KR101601129B1 - 포장재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재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129B1
KR101601129B1 KR1020140070063A KR20140070063A KR101601129B1 KR 101601129 B1 KR101601129 B1 KR 101601129B1 KR 1020140070063 A KR1020140070063 A KR 1020140070063A KR 20140070063 A KR20140070063 A KR 20140070063A KR 101601129 B1 KR101601129 B1 KR 10160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frame
folding line
depth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393A (ko
Inventor
최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덕
Priority to KR1020140070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12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08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 B65B43/10Forming three-dimensional containers from sheet material by fold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3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ackag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포장재를 공급하는 포장재 공급부와,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재를 기설정된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부와, 포장재 공급부에서 절단부로 이송되는 포장재의 이송경로 상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포장재의 일측면에 소정의 깊이로 인입되게 접힘선을 형성하는 접힘선 형성부와, 프레임에 설치되어 포장재의 일측면에 대한 접힘선의 인입깊이를 조절하는 인입깊이 조절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는 인입깊이 조절부에 의해 가공장치를 정지시키지 않더라도 접힘선의 인입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접힘선의 인입깊이 조절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포장재 가공장치{Packing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포장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재질의 포장재에 접힙선을 가공할 수 잇는 포장재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조립이 완성된 냉장고와 같은 가전제품은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포장된 상태로 이송된다. 이러한 제품 포장의 궁극적인 목적은 물론 제품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거나 충격이 가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근래에 이르러 상기한 궁극적인 목적을 고려한 상태에서 제품 포장재의 부피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제품 포장에 필요한 작업 공수를 최소화시키려는 제품 포장의 방법 내지 구조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LDPE 재질의 포장재로 가전제품을 감싸도록 포장한 다음, 포장박스에 삽입하여 포장한다. 이때, 상기 포장재는 용이하게 가전제품을 감싸도록 가전제품의 크기에 맞게 접힘선이 형성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41704호에는 포장재에 접힘선을 제조할 수 있는 코어 구조물 제조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코어 구조물 제조시스템은 다수의 롤러를 통해 지지되어 이송되는 골조판에 가압롤들을 사용하여 압입하여 접힘선을 제조한다.
그러나 상기 코어 구조물 제조시스템은 골조판 표면에 대한 접힘선의 압입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접힘선의 압입깊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을 정지한 다음 가압롤을 조절해야 하므로 번거럽고, 작업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포장재에 형성된 접힘선의 인입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포장재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포장재를 공급하는 포장재 공급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포장재를 기설정된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포장재 공급부에서 상기 절단부로 이송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송경로 상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소정의 깊이로 인입되게 접힘선을 형성하는 접힘선 형성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대한 상기 접힘선의 인입깊이를 조절하는 인입깊이 조절부를 구비한다.
상기 접힘선 형성부는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접힘선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지지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대해 소정 깊이로 인입되게 형성된 가공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인입깊이 조절부는 상기 접힘선 형성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외주면에 상기 포장재의 타측면이 접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포장재의 이송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와, 상기 포장재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롤러를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 이동부는 상기 가압롤러의 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제1지지브라켓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가압롤러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이격봉과, 상기 제1이격봉이 관통되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1나사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결합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623)를 회전시켜 상기 제1이격봉을 상기 가압롤러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구동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제1회전부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접힘선 형성부는 상기 접힘선 형성부는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포장재의 이송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대해 소정 깊이로 인입되게 형성된 가공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인입깊이 조절부는 상기 지지바를 상기 포장재에 대해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킨다.
상기 인입깊이 조절부는 상기 지지바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2지지브라켓과, 상기 제2지지브라켓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방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이격봉과, 상기 제2이격봉이 관통되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2나사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결합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2회전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1이격봉을 상기 지지바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재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는 상기 포장재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포장재의 일부분을 절개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재의 이송경로 상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절삭블레이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절삭블레이드는 상기 가공블레이드에 대해 상기 포장재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지지바에 고정되며, 상기 포장재를 절삭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로부터 상기 가공블레이드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는 인입깊이 조절부에 의해 가공장치를 정지시키지 않더라도 접힘선의 인입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접힘선의 인입깊이 조절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포장재를 이용한 가전제품 포장에 대한 분리 사시도에 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포장재 가공장치의 인입깊이 조절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인입깊이 조절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의 인입깊이 조절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인입깊이 조절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의 폭조절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폭조절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에 의해 제조된 포장재(10)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포장재(10)는 가전제품(13)을 포장박스(12)에 삽입하기 전에 가전제품(13)을 감싸도록 포장하는 것으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포장재(10)는 용이하게 가전제품(13)을 감싸도록 가전제품(13)의 크기에 맞게 접힘선(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장재 가공장치(100)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포장재(10)를 공급하는 포장재 공급부(200)와,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포장재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포장재(10)를 기설정된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부(300)와, 상기 포장재 공급부(200)에서 상기 절단부(300)로 이송되는 상기 포장재(10)의 이송경로 상의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재(10)의 일측면에 소정의 깊이로 인입되게 접힘선(11)을 형성하는 접힘선 형성부(500)와,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재(10)의 일측면에 대한 상기 접힘선(11)의 인입깊이를 조절하는 인입깊이 조절부(600)를 구비한다.
포장재 공급부(200)는 포장재(10)를 압출성형하는 성형기(201)와, 상기 성형기(201)로부터 압출된 포장재(10)의 하단부를 절개하는 절개날(202)과, 절개날(202)에 의해 하단이 절개된 포장재(10)를 펼치는 복수의 펼침롤러(203)를 구비한다.
성형기(201)는 전방에 포장재(10)가 압출되는 압출구가 마련되며, 소정의 외경을 갖는 환형으로 단면을 갖는 포장재(10)를 제조한다. 상기 성형기(201)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포장재(10)를 제조하는 것으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출성형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절개날(202)은 성형기(201)의 압출구 전방의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압출구를 통해 압출되는 포장자의 하단을 절개할 수 있도록 단부가 상기 포장재(10)의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펼침롤러(203)들은 절개날(202)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펼침롤러(203)들 사이에는 절개날(202)에 의해 하단이 절개된 포장재(10)가 펼쳐진 상태로 삽입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펼침롤러(203)들에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어 성형기(201)로부터 압출된 포장재(10)를 전방으로 강제이송시킨다.
절단부(300)는 펼침롤러(203)에 의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복수의 파지롤러(301)와, 상기 파지롤러(301)를 통과한 포장재(10)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절단블레이드(302)와, 상기 절단블레이드(302)를 구동시키는 구동 액츄에이터(303)를 구비한다.
파지롤러(301)들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1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포장재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재(10)는 파지롤러(301)들 사이에 삽입되어 이송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파지롤러(301)들에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어 포장재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재(10)를 강제이송시킨다.
한편, 파지롤러(301)들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110)에는 파지롤러(301)들을 통과한 포장재(10)가 안착되도록 안착플레이트(304)가 설치되어 있다.
절단블레이드(302)는 파지롤러(301)와 안착플레이트(304) 사이의 프레임(110)에, 포장재(10)의 이송경로의 상측에 설치된다. 구동 액츄에이트는 절단블레이드(302)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블레이드(30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작업자는 기설정된 길이만큼 포장재(10)가 파지롤러(301)들을 통과하면 구동 액츄에이터(303)를 작동시켜 포장재(10)를 절단한다.
한편, 포장재 공급부(200) 및 절단부(300) 사이의 프레임(110)에는 포장재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포장재(10)를 가이드하기 위해 다수의 지지롤러(4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지지롤러(400)들은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되, 외주면에 포장재(10)가 일부 감기도록 설치된다. 이때, 지지롤러(400)들은 상기 포장재(10)에 소정의 장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교호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선 형성부(500)는 상기 포장재(10)의 상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지지바(501)와, 상기 지지바(50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상기 포장재(10)의 일측면에 대해 소정 깊이로 인입되게 형성된 가공블레이드(502)를 구비한다.
지지바(501)는 파지롤러(301)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110)에 설치되되, 포장재(10)의 이송경로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바(501)는 포장재(10)의 폭보다 더 길게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가공블레이드(502)는 복수개가 상기 지지바(5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공블레이드(502)들은 포장재(10)의 접힘선(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블레이드(502)는 단부가 상기 포장재(10)의 상면에 대해 소정깊이로 인입되도록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가공블레이드(502)의 가장자리는 첨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롤러(400)에 의해 지지되는 포장재(10)는 가공블레이드(502)를 통과시, 가공블레이드(502)의 단부에 의해 상면이 절개되어 접힘선(11)이 형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바(501)에 2개의 가공블레이드(502)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가공블레이드(502)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포장재(10)의 접힘선(11) 개수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인입깊이 조절부(600)는 상기 접힘선 형성부(500)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110)에, 외주면에 상기 포장재(10)의 하면이 접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포장재(10)의 이송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610)와, 상기 포장재(10)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롤러(610)를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부(620)를 구비한다.
가압롤러(610)는 소정의 외경을 갖고, 포장재(10)의 폭보다 더 길게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롤러(610)는 양단부가 상기 롤러 이동부(62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되, 포장재(10)의 이송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이때, 가압롤러(610)는 외주면이 상기 포장재(10)의 하면에 접하도록 포장재(10)의 이송경로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 이동부(620)는 상기 가압롤러(610)의 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1지지브라켓(621)과, 상기 지지브라켓들에 상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가압롤러(610)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제1이격봉(622)과, 상기 제1이격봉(622)이 관통되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1나사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결합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10)에 지지되는 복수의 제1회전부재(623)와, 상기 제1회전부재(623)를 회전시켜 상기 제1이격봉(622)을 상기 가압롤러(61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재(625)를 구비한다.
제1이격봉(62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복수개가 상단이 베어링에 의해 상기 제1지지브라켓(621)들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이격봉(622)은 상기 제1회전부재(623)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1회전부재(623)는 제1지지브라켓(621)들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110)에 각각 제1고정브라켓(626)에 의해 제1나사결합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나사결합홀은 제1회전부재(623)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회전부재(623) 및 제1지지브라켓(621) 사이의 프레임(110)에는 상기 제1이격봉(622)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블럭(62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가이드블럭(624)은 상기 제1이격봉(622)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1구동부재(625)는 상기 프레임(1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구동축(631)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제1구동축(63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핸들(632)과, 상기 제1구동축(631)의 회전력을 상기 제1회전부재(623)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재(633)를 구비한다.
상기 제1구동축(63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포장재(10)의 폭보다 더 길게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구동축(631)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는 상기 제1핸들(632)이 설치되어 상기 제1핸들(632)에 의해 제1구동축(631)이 회전한다.
제1동력전달부재(633)는 제1회전부재(623)들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1치합부재(634)와, 상기 제1구동축(631)에 설치되며, 상기 제1치합부재(634)들에 각각 치합되는 제2치합부재(635)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제1치합부재(634) 및 상기 제2치합부재(635)는 기어이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헬리컬 기어로 구성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1치합부재(634) 및 제2치합부재(635)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베벨기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작업자가 제1핸들(632)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핸들(632)에 의해 제1구동축(631)이 회전하고, 제1동력전달부재(633)에 의해 제1구동축(631)의 회전력이 제1회전부재(623)에 전달된다. 제1회전부재(623)가 회전하면, 제1회전부재(623)에 나사결합된 제1이격봉(622)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된다.
이때, 제1이격봉(622)이 승강될 경우, 포장재(10)를 지지하는 가압롤러(610)가 가공블레이드(502)로부터 멀어지므로 포장재(10)에 작용하는 장력이 증가하고, 장력의 증가로 인해 포장재(10)의 상면에 대한 가공블레이드(502)의 인입깊이가 깊어져서 접힘선(11)의 인입깊이가 증가한다.
또한, 제1이격봉(622)이 하강될 경우, 포장재(10)를 지지하는 가압롤러(610)가 가공블레이드(502)로 인접되므로 포장재(10)에 작용하는 장력이 감소하고, 장력의 감소로 인해 포장재(10)의 상면에 대한 가공블레이드(502)의 인입깊이가 얕아져서 접힘선(11)의 인입깊이가 감소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100)는 포장재(1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폭조절부(7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폭조절부(700)는 인입깊이 조절부(600)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고정바(701)와, 상기 고정바(701)에 설치되어 포장재(10)의 일부분을 절단하는 절삭블레이드(702)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바(701)는 포장재(10)의 이송경로 상측의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포장재(10)의 폭보다 더 길게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절삭블레이드(70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복수개가 고정바(7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때, 절삭블레이드(702)들은 가공하고자 하는 포장재(1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삭블레이드(702)는 단부가 포장재(10)를 관통하도록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가장자리가 첨예하게 형성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 가공장치(100)는 인입깊이 조절부(600)에 의해 가공장치(100)를 정지시키지 않더라도 접힘선(11)의 인입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접힘선(11)의 인입깊이 조절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입깊이 조절부(8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입깊이 조절부(800)는 상기 지지바(501)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2지지브라켓(810)과, 상기 제2지지브라켓(81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방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이격봉(820)과, 상기 제2이격봉(820)이 관통되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2나사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결합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10)에 지지되는 제2회전부재(830)와, 상기 제2회전부재(830)를 회전시켜 상기 제2이격봉(820)을 상기 지지바(501)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재(850)를 구비한다.
이때, 접힘선 형성부(500)의 지지바(501)는 포장재(10)의 이송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이격봉(8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복수개가 하단이 베어링에 의해 상기 제2지지브라켓(810)들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2이격봉(820)은 상기 제2회전부재(83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2회전부재(830)는 제2지지브라켓(810)들에 대해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110)에 각각 제2고정브라켓(831)에 의해 제2나사결합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나사결합홀은 제2회전부재(830)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회전부재(830) 및 제2지지브라켓(810) 사이의 프레임(110)에는 상기 제2이격봉(82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블럭(84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가이드블럭(840)은 상기 제2이격봉(820)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2구동부재(850)는 상기 프레임(1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구동축(851)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제2구동축(85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구동축(851)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핸들(852)과, 상기 제2구동축(851)의 회전력을 상기 제2회전부재(830)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재(853)를 구비한다.
상기 제2구동축(85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포장재(10)의 폭보다 더 길게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구동축(851)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는 상기 제2핸들(852)이 설치되어 상기 제2핸들(852)에 의해 제2구동축(851)이 회전한다.
제2동력전달부재(853)는 제2회전부재(830)들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3치합부재(854)와, 상기 제2구동축(851)에 설치되며, 상기 제3치합부재(854)들에 각각 치합되는 제4치합부재(855)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제3치합부재(854) 및 상기 제4치합부재(855)는 기어이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헬리컬 기어로 구성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제3치합부재(854) 및 제4치합부재(855)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베벨기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작업자가 제2핸들(852)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핸들(852)에 의해 제2구동축(851)이 회전하고, 제2동력전달부재(853)에 의해 제2구동축(851)의 회전력이 제2회전부재(830)에 전달된다. 제2회전부재(830)가 회전하면, 제2회전부재(830)에 나사결합된 제2이격봉(820)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된다.
이때, 제2이격봉(820)이 하강될 경우, 포장재(10)를 지지하는 가압롤러(610)가 가공블레이드(502)로부터 멀어지므로 포장재(10)에 작용하는 장력이 증가하고, 장력의 증가로 인해 포장재(10)의 상면에 대한 가공블레이드(502)의 인입깊이가 깊어져서 접힘선(11)의 인입깊이가 증가한다.
또한, 제2이격봉(820)이 하강될 경우, 지지바(501)가 하강하여 포장재(10)의 상면에 대한 가공블레이드(502)의 인입깊이가 깊어져서 접힘선(11)의 인입깊이가 증가한다. 제2이격봉(820)이 승강될 경우, 지지바(501)가 승강하여 포장재(10)의 상면에 대한 가공블레이드(502)의 인입깊이가 얕야져서 접힘선(11)의 인입깊이가 감소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폭조절부(9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폭조절부(900)는 접힘선 형성부(500)의 지지바(501)에 고정되는 복수의 절삭블레이드(901)를 구비한다. 상기 절삭블레이드(901)는 상기 가공블레이드(502)에 대해 상기 포장재(10)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지지바(501)에 고정되며, 상기 포장재(10)를 절삭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501)로부터 상기 가공블레이드(502)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돌출형성된다.
상기 절삭블레이드(901)는 복수개가 지지바(501)의 좌우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절삭블레이드(901)들은 가공하고자 하는 포장재(1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폭조절부(900)는 지지바(501)에 설치된 절삭블레이드(901)에 의해 포장재(10)의 폭을 조절할 수 있어 별도의 포장재(10)의 폭 조절 공정이 생략되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포장재
11: 접힘선
100: 포장재 가공장치
110: 프레임
200: 포장재 공급부
201: 성형기
202: 절개날
203: 펼침롤러
300: 절단부
301: 파지롤러
302: 절단블레이드
303: 구동 액츄에이터
304: 안착플레이트
400: 지지롤러
500: 접힘선 형성부
502: 가공블레이드
600: 인입깊이 조절부
610: 가압롤러
620: 롤러 이동부
621: 제1지지브라켓
622: 제1이격봉
623: 제1회전부재

Claims (8)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포장재를 공급하는 포장재 공급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포장재를 기설정된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포장재 공급부에서 상기 절단부로 이송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송경로 상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소정의 깊이로 인입되게 접힘선을 형성하는 접힘선 형성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대한 상기 접힘선의 인입깊이를 조절하는 인입깊이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힘선 형성부는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접힘선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지지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대해 소정 깊이로 인입되게 형성된 가공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인입깊이 조절부는
    상기 접힘선 형성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외주면에 상기 포장재의 타측면이 접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포장재의 이송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와,
    상기 포장재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롤러를 이동시키는 롤러 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가공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이동부는
    상기 가압롤러의 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제1지지브라켓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가압롤러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이격봉과;
    상기 제1이격봉이 관통되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1나사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결합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1이격봉을 상기 가압롤러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과,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제1회전부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가공장치.
  5.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포장재를 공급하는 포장재 공급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포장재를 기설정된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포장재 공급부에서 상기 절단부로 이송되는 상기 포장재의 이송경로 상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소정의 깊이로 인입되게 접힘선을 형성하는 접힘선 형성부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대한 상기 접힘선의 인입깊이를 조절하는 인입깊이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힘선 형성부는
    상기 접힘선 형성부는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포장재의 이송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부가 상기 포장재의 일측면에 대해 소정 깊이로 인입되게 형성된 가공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인입깊이 조절부는 상기 지지바를 상기 포장재에 대해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가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깊이 조절부는
    상기 지지바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제2지지브라켓과;
    상기 제2지지브라켓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바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이격봉과;
    상기 제2이격봉이 관통되게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2나사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결합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제2회전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2이격봉을 상기 지지바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가공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포장재의 일부분을 절개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재의 이송경로 상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절삭블레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가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블레이드는
    상기 가공블레이드에 대해 상기 포장재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지지바에 고정되며, 상기 포장재를 절삭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로부터 상기 가공블레이드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더 길게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가공장치.





KR1020140070063A 2014-06-10 2014-06-10 포장재 가공장치 KR101601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63A KR101601129B1 (ko) 2014-06-10 2014-06-10 포장재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63A KR101601129B1 (ko) 2014-06-10 2014-06-10 포장재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93A KR20150141393A (ko) 2015-12-18
KR101601129B1 true KR101601129B1 (ko) 2016-03-21

Family

ID=5508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063A KR101601129B1 (ko) 2014-06-10 2014-06-10 포장재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570B1 (ko) * 2018-06-20 2020-01-08 유창수 달걀 포장용기 포장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589B1 (ko) * 2006-08-29 2007-02-08 김길동 스펀지 3면 수직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589B1 (ko) * 2006-08-29 2007-02-08 김길동 스펀지 3면 수직 절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570B1 (ko) * 2018-06-20 2020-01-08 유창수 달걀 포장용기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93A (ko) 201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5930B (zh) 用于切割纸卷的机器
KR101574009B1 (ko) 와이어 인출장치
US20190099909A1 (en) Machine for cutting logs with grinding wheels and method
KR100953758B1 (ko) 슬리터 리와인더
JP2009102784A (ja) 不織布加工装置及び方法
US20180162006A1 (en) Clamping device for machines used for transversally cutting convolutely wound logs of web materials
US8998122B2 (en) Winder for film trim winding
US99504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tubular members
CN105398863A (zh) 标签纸切断装置
US201502983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roduct during cutting
KR101601129B1 (ko) 포장재 가공장치
CN106995151A (zh) 一种切边可调的布料单切边机
KR101658511B1 (ko) 파우치 필름원단 슬리팅 커팅장치
GB2137918A (en) A Device for Removing Scrap
KR101714449B1 (ko)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KR101525316B1 (ko) 슬리팅기를 이용하여 비닐포장지에 개봉안내선 형성 및 상흔홈 깊이 조정장치
CN203921250U (zh) 四边封颗粒包装机
KR101552915B1 (ko)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롤원단 포장지 컷팅장치
US11678672B2 (en) Machine for making a food roll
KR20130060559A (ko) 와이어 커팅장치
US8453422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rapping a stack of objects with a film
CN206579192U (zh) 一种多辊联动式纸箱裁切装置
CN103101073B (zh) 一种截断料长度均匀的食品切割机
KR101376772B1 (ko) 이열 공급식 가래떡 자동 절단장치
WO2011015245A1 (en) Assembly particularly for machines for packaging rolls of tissue-type pa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