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009B1 - 와이어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009B1
KR101574009B1 KR1020140032061A KR20140032061A KR101574009B1 KR 101574009 B1 KR101574009 B1 KR 101574009B1 KR 1020140032061 A KR1020140032061 A KR 1020140032061A KR 20140032061 A KR20140032061 A KR 20140032061A KR 101574009 B1 KR101574009 B1 KR 10157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ller
speed
curvatur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9067A (ko
Inventor
임희준
김갑수
육장용
윤원규
Original Assignee
희성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009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21C47/18Unwinding or uncoiling from re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2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 B65H2404/1521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 B65H2404/15212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rolle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1/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metering predetermined lengths of running material
    • B65H61/005Applications of devices for metering predetermined lengths of running material for measuring speed of running ya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에 롤 형태로 감겨져 적치된 와이어를 가공기 측으로 인출할 때 와이어의 곡률을 직선 형태로 풀도록 성형하여 가공기 측으로 공급하도록 함과 아울러, 와이어의 인출속도와 스탠드의 회전속도를 일치시켜 와이어의 인출동작이 일정한 장력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 인출장치는 대차 본체와; 대차 본체의 상측에 회전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동작시 롤형태로 감겨져 적치된 와이어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스탠드와; 상기 대차 본체 상에 지지되어 와이어의 인출을 가이드하면서 와이어의 인출 속도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인출 가이드수단과;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에 의해 인출되는 와이어의 곡률을 가변 조절하는 곡률 성형수단; 및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와이어의 인출속도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속도를 가변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와이어 인출장치{WIRE UNCOI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어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와이어를 가공기 측으로 공급하도록 와이어의 인출동작을 자동으로 가이드하면서 롤 형태의 와이어를 가공기측으로 인출시키기 위해 와이어의 곡률 기울기를 가변되게 조절되도록 성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와이어의 인출속도에 따라 스탠드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와이어의 장력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와이어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소재의 와이어는 전기기계의 도체, 전선 또는 각종 산업재로 사용되고, 와이어의 제조는 금속 빌렛을 압출기로 압출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압출기에 의해 압출되는 와이어는 선경이나 길이가 금속의 재질 및 빌렛의 사이즈에 따라 가변되며, 드럼의 외주면에 감겨 롤 형태로 인출된다.
롤 형태로 인출된 와이어는 가공 작업을 위해 드럼에서 분리시키고 분리시킨 와이어를 가공기에 진입시킨 후에, 가공기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게 된다.
이때 가공기에서는 두꺼운 와이어를 각각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가공하게 되며, 일 예로 인발공정이나 Tandem 공정을 거쳐 점차 얇은 선경의 와이어로 만드는 공정과, 압연공정을 통해 얇은 박판의 판재로 가공하는 공정이 있을 수 있다.
기존 인출기에서 가공기측으로 와이어를 공급하는 기계는 인출기의 상측에 배치되어 동력없이 단순 회전 가능한 스탠드를 이용하여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와이어를 가공기측으로 당겨서 인출하는 방식이 있다.
이 공급방식의 와이어인출시에는 가공기의 와이어가공 속도와 스탠드를 이용한 와이어의 공급속도가 맞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성이 저하되고 가공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와이어의 공급속도가 가공기의 가공속도를 따라가지 못할 경우 스탠드측에 인장력이 전달되어 스탠드가 전복되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가공기의 가공속도에 적합한 속도로 와이어를 당겨서 가공기측으로 공급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피로가 증대되고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 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작업이 아니라 와이어해권부와 와이어가공기 사이에는 자동 와이어 인출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종래의 와이어 인출장치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2366호 "전선 공급용 텐션 유지장치"(등록일자: 2008.05.20)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종래의 와이어 인출장치는 와이어가 감겨져 수직방향으로 풀어지는 와이어해권부과 와이어를 절단하여 탈피하는 와이어단부 가공장치로 와이어를 공급하는 인출롤러 사이에 배치되며, 와이어보빈 측에서 와이어단부 가공장치로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롤러가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 대; 상기 가이드 대의 하부에서 와이어단부 가공장치로 세워지게 고정되는 슬라이드 바; 상기 슬라이드 바에 상하로 미끄럼 이동되게 결합되고, 와이어단부 가공장치로 이동되는 와이어를 하방으로 당기는 무게추가 하부에 구비된 장력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와이어 인출장치는 와이어가 일정 길이로 인출롤러에 의해 당겨 인출될 때마다 상기 장력유지 수단의 무게추가 상승되었다가 중력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무게추가 바닥과 접촉될 때 작업자에게 괴로운 소음을 주게 되고, 고중량의 무게추와 와이어간의 마찰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긴장상태를 긴장해제로 만들어주는 장력 유지 수단이 상기 가이드 대와 와이어단부 가공장치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므로, 작업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다.
기존 와이어 인출장치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2468호 "와이어 인출장치"(등록일자: 2011.08.3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와이어해권부, 상기 와이어해권부에서 해권되는 와이어의 단부를 절단하여 탈피하는 와이어단부 가공장치에 와이어를 공급하는 인출롤러, 그리고 와이어해권부 측에서 와이어단부 가공장치로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롤러부가 상부에 배치된 가이드대를 포함하는 와이어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대와 상기 와이어단부 가공장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대의 하류단에 마련되고, 상기 인출롤러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회전속도를 갖는 예비인출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예비인출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해권부에서 풀리어지는 와이어가 한 번 감기어져 있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 와이어의 인출공정은 와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력 조절수단이 요구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감겨져 있던 롤 형태의 와이어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가공기측으로 공급되는 와이어가 원활하게 인출되지 못하고 꺾임 등의 불량 요소가 발생하거나 가공중에 편심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2366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246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와이어의 인출 작업시 작업자가 직접 손 대지 않고도 자동으로 와이어의 이송을 가이드하면서 가공기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공기의 가공속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와이어의 인출속도를 조절하여 와이어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 와이어의 인출 작업시 간단한 성형작업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의 곡률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와이어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차 본체; 상기 대차 본체의 상측에 회전모터의 회전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동작시 롤 형태로 감겨져 적치된 와이어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스탠드; 상기 대차 본체 상에 지지되어 와이어의 인출을 가이드하면서 와이어의 인출 속도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인출 가이드수단;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에 의해 인출되는 와이어의 곡률을 가변 조절하는 곡률 성형수단; 및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와이어의 인출속도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의 구동속도를 가변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은 상기 대차 본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기둥과, 상기 회전기둥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탠드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의 인출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에 가이드되어 인출되는 와이어와 접촉되어 회전동작되는 속도검출롤러와, 상기 속도검출롤러에 마련되어 속도검출롤러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엔코더를 구비한다.
상기 곡률 성형수단은 상기 대차 본체 상에 기립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와이어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1,2이송롤러와, 상기 제1,2이송롤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전,후진 가능하게 마련되며 전,후진 동작시 상기 제1,2이송롤러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와이어의 곡률 반경을 가변 조절하는 성형롤러 및, 상기 성형롤러를 상기 대차 본체에 전,후진 동작시키는 롤러 이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롤러 이동부는 상기 성형롤러가 탑재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의 일측에 축 연결되고 상기 대차 본체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며 단부에 조절레버가 마련되어 조절레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에 전,후진력을 제공하는 조절축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조절축의 전,후진 동작을 지지하도록 조절축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곡률 성형수단은 상기 제1이송롤러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와이어를 상기 제1이송롤러에 접촉되도록 제1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더 구비한다.
상기 성형롤러는 외측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와이어가 휘어지면서 이송되도록 원호 형태로 마련되는 성형편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기존 작업자가 와이어의 인출동작을 수작업으로 가이드할 필요없이, 롤 형태로 감겨져 적치된 와이어의 인출 동작을 자동으로 간편하게 가이드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가 작업중에 배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인력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는 이점이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성형수단을 이용하여 가공기측으로 공급되는 와이어가 직선형태로 풀려서 공급되도록 와이어의 곡률을 간편하게 가변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출되는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엔코더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인출속도에 따라 스탠드의 회전속도를 가변 조절함으로써, 와이어의 인출시 원활하게 와이어가 가공기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와이어의 인출시 불량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인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인출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부에 캐스터(12)가 배치되어 이동 가능한 대차 본체(10)와; 상기 대차 본체(10)의 상측에 회전모터(130)의 회전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동작시 롤형태로 감겨져 적치된 와이어(W)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스탠드(110)와; 상기 대차 본체 상에 지지되어 와이어(W)의 인출을 가이드하면서 와이어(W)의 인출 속도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500)로 출력하는 인출 가이드수단(200)과;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200)에 의해 인출되는 와이어(W)의 곡률을 가변 조절하는 곡률 성형수단(300); 및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200)으로부터 출력된 와이어(W)의 인출속도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130)의 구동속도를 가변 조절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대차 본체(10)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부 모서리 부위에 각각의 캐스터(12)가 구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스탠드(110)가 턴테이블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스탠드(110)는 대차 본체의 하부에 배치된 회전모터(1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스탠드(110)의 중앙 상부에 와이어(W)를 롤 형태로 권취시키기 위한 권취부재(120)가 기립되도록 배치되어 스탠드(110)와 연동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대차 본체(10)에는 스탠드(110)와 곡률 성형수단(300) 및 인출 가이드수단(200)이 탑재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출 가이드수단(200)은 대차 본체(10)의 상면에 기립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고 공지의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기둥(230)과, 회전기둥(23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탠드(110)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와 접촉되면서 회전되어 와이어의 인출동작을 가이드하도록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10)와, 상기 가이드롤러(210)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와 접촉되어 회전동작되고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속도검출롤러(220)와, 상기 속도검출롤러(220)에 마련되어 속도검출롤러(22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500)측으로 출력하는 엔코더(225)로 구성된다.
회전기둥(2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차 본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와이어의 인출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엔코더(225)는 와이어의 인출시 와이어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속도검출롤러(220)의 롤러축 단부에 배치되어 속도검출롤러(22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00)측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곡률 성형수단(300)은 대차 본체(10)의 상면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기둥(305)과, 지지기둥(305)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지지프레임(307)과, 상기 지지프레임(307) 상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200)을 통해 공급되는 와이어(W)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1,2이송롤러(310,320)와, 상기 제1,2이송롤러(310,3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7)에 전,후진 가능하게 마련되며 전,후진 동작시 상기 제1,2이송롤러(310,320)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와이어(W)의 곡률 반경을 가변 조절하는 성형롤러(330)와, 상기 성형롤러(330)를 상기 대차 본체(10)에 전,후진 동작시키는 롤러 이동부(350)로 구성된다.
제1,2이송롤러(310,320)는 와이어(W)의 이송을 가이드하도록 지지프레임(307)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2이송롤러(310,320)는 성형롤러(330)의 좌,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제1,2이송롤러(310,320)는 와이어(W)의 이송시 이송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며, 제1이송롤러(310)에는 인출 가이드수단(200)을 통해 인출되는 와이어(W)와 접촉되면서 와이어(W)의 초기 공급력을 부여하도록 제1이송롤러(310)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340)가 더 구비된다.
성형롤러(330)는 와이어(W)의 이송을 가이드하도록 외주 둘레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성형롤러(330)의 일측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와이어(W)가 휘어지면서 이송되도록 원호 형태로 마련되는 성형편(335)이 더 구비된다.
성형편(335)은 와이어(W)가 성형롤러(330)에 밀착된 상태로 곡률을 부여하도록 성형될 때 와이어(W)를 성형롤러(33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와이어(W)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성형롤러(330)과 성형편(335)은 내부에 와이어(W)가 통과되는 중에, 제1,2이송롤러(310,320)와의 간격이 가변됨에 따라 와이어(W)에 제공하는 곡률 변형율이 가변되는 구조를 갖는다.
성형롤러(330)는 성형편과 함께 롤 형태로 감겨져 있도록 곡률 형성된 와이어(W)을 외부로 인출하여 가공기측으로 공급하기 전에 곡률 형성된 와이어(W)를 직선 형태로 풀어서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롤러 이동부(350)는 상기 성형롤러(330)가 탑재되고 지지프레임(307)에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레일에 지지되는 이동블록(352)과, 상기 이동블록(352)의 일측에 축 연결되고 단부에 조절레버(355)가 마련되어 조절레버(35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352)에 전,후진력을 제공하는 조절축(354)과, 지지프레임(307)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조절축(354)의 전,후진 동작을 지지하도록 조절축(354)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블록(356)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4를 참조함과 아울러,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스탠드(110)의 권취부재(120)에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와이어(W)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해 회전모터(130)를 회전 구동시켜 와이어(W)를 스탠드(110)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스탠드(110)의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W)는 인출 가이드수단(200)을 통과하면서 와이어(W)의 이송이 가이드되어 곡률 성형수단(300)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와이어(W)는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롤러(210) 사이를 통과한 후에,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속도검출롤러(2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접촉되는 속도검출롤러(2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엔코더(225)는 속도검출롤러(22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고, 제어부(500)측에 속도검출롤러(220)의 회전속도를 출력한다.
이어서, 제어부(500)는 엔코더(225)로부터 출력된 속도검출롤러(220)의 회전속도를 근거로 와이어(W)의 인출속도를 판단한 후에, 와이어(W)의 인출속도와 대응되도록 스탠드(1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30)의 속도를 가변 조절한다.
이로 인해, 제어부(500)는 와이어(W)의 인출속도와 스탠드(110)의 회전속도를 일치시킴으로써, 인출되는 와이어(W)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에, 와이어(W)는 인출 가이드수단(200)을 통과한 후에, 제1이송롤러(310)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회전레버(340)를 조작하여 제1이송롤러(3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와이어(W)의 단부에 이송력을 부여하여 성형롤러(330)측으로 유도한다.
이어서, 제1이송롤러(310)를 통과하는 와이어(W)는 성형롤러(330)의 홈과 원호형태의 성형편(335)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곡률이 부여된 와이어(W)가 완만한 곡률 기울기 또는 직선형태로 성형된다.
이때, 성형롤러(330)는 제1,2이송롤러(310,320)(보다 정확하게는 제1이송롤러(310))와의 간격 차에 따라 와이어(W)의 곡률 변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이송롤러(310)와 성형롤러(330)의 공간(성형롤러(330)와 성형편(335) 사이의 공간)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와이어(W)의 곡률 변형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곡률 변형율은 롤 형태로 감겨져 곡률이 부여된 와이어(W)의 곡률 정도에 따라 작업자가 조절할 수 있다.
성형롤러(330)와 제1이송롤러(310)간의 간격 조절은 롤러 이동부(350)에 의해 가변 조절되며, 롤러 이동부(350)의 동작은 작업자가 손으로 조절레버(355)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방향(시계바늘의 진행방향) 회전시키면 나사산을 갖는 조절축(354)이 나사 체결된 고정블록(356)에 지지된 상태로 전진 동작되고, 조절축(354)의 전진 동작에 따라 조절축(354)의 단부에 연결된 이동블록(352)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성형롤러(330)와 제1이송롤러(310)간의 간격이 축소된다.
이와 반대로 조절레버(355)를 타방향(시계바늘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축(354)과 이동블록(352)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성형롤러(330)와 제1이송롤러(310)간의 간격이 커지게 된다.
참고로, 여기서는 표현되지 않았으나, 조절축(354)의 회전을 작업자가 조절레버(355)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500)에 의해 동작 제어되는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조절축(354)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완만한 곡률 기울기 또는 직선 형태로 성형된 와이어(W)는 제2이송롤러를 거쳐서 가공기측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와이어(W)의 인출 동작을 자동으로 간편하게 가이드할 수 있고, 와이어(W)의 장력을 균일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와이어(W)의 곡률 변형을 가변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W)의 인출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 : 대차 본체 110 : 스탠드
120 : 권취부재 130 : 회전모터
200 : 인출 가이드수단 210 : 가이드롤러
220 : 속도검출롤러 225 : 엔코더
230 : 회전기둥 300 : 곡률 성형수단
305 : 지지기둥 307 : 지지프레임
310,320 : 제1,2이송롤러 330 : 성형롤러
335 : 성형편 340 : 회전레버
350 : 롤러 이동부 352 : 이동블록
354 : 조절축 355 : 조절레버
356 : 고정블록 500 : 제어부
W : 와이어

Claims (5)

  1. 대차 본체(10)와;
    상기 대차 본체(10)의 상측에 회전모터(130)의 회전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동작시 롤형태로 감겨져 적치된 와이어(W)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스탠드(110)와;
    상기 대차 본체 상에 지지되어 와이어(W)의 인출을 가이드하면서 와이어(W)의 인출 속도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500)로 출력하는 인출 가이드수단(200)과;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200)에 의해 인출되는 와이어(W)의 곡률을 가변 조절하는 곡률 성형수단(300); 및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200)으로부터 출력된 와이어(W)의 인출속도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130)의 구동속도를 가변 조절하는 제어부(500)를 구비하는 와이어 인출장치로서,
    상기 곡률 성형수단(300)은
    상기 대차 본체(10) 상에 기립되는 지지기둥(305),
    상기 지지기둥(305)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지지프레임(307),
    상기 지지프레임(307) 상에 회전가능하게 탑재되고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200)을 통해 공급되는 와이어(W)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1,2이송롤러(310,320),
    상기 제1,2이송롤러(310,3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7)에 전,후진 가능하게 마련되며 전,후진 동작시 상기 제1,2이송롤러(310,320)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와이어(W)의 곡률 반경을 가변 조절하는 성형롤러(330),
    상기 성형롤러(330)를 상기 대차 본체(10)에 전,후진 동작시키는 롤러 이동부(350), 및
    상기 제1이송롤러(310)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200)을 통해 공급되는 와이어(W)를 상기 제1이송롤러(310)에 접촉되도록 제1이송롤러(310)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3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가이드수단(200)은
    상기 대차 본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기둥(230),
    상기 회전기둥(23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탠드(110)로부터 공급되는 와이어(W)의 인출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210),
    상기 가이드롤러(210)에 가이드되어 인출되는 와이어(W)와 접촉되어 회전동작되는 속도검출롤러(220), 및
    상기 속도검출롤러(220)에 마련되어 속도검출롤러(22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500)측으로 출력하는 엔코더(225)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인출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이동부(350)는
    상기 성형롤러(330)가 탑재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7)에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블록(352),
    상기 이동블록(3542)의 일측에 축 연결되고 상기 대차 본체(10)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며 단부에 조절레버(355)가 마련되어 조절레버(35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블록(352)에 전,후진력을 제공하는 조절축(354),
    상기 지지프레임(307)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절축(354)의 전,후진 동작을 지지하도록 조절축(354)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블록(356)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인출장치.
  5. 삭제
KR1020140032061A 2014-03-19 2014-03-19 와이어 인출장치 KR101574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61A KR101574009B1 (ko) 2014-03-19 2014-03-19 와이어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061A KR101574009B1 (ko) 2014-03-19 2014-03-19 와이어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067A KR20150109067A (ko) 2015-10-01
KR101574009B1 true KR101574009B1 (ko) 2015-12-02

Family

ID=5433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061A KR101574009B1 (ko) 2014-03-19 2014-03-19 와이어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0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071B1 (ko) 2017-02-21 2017-07-18 이성삼 케이블 와인딩 장치
KR101829237B1 (ko) * 2017-03-07 2018-03-30 신상민 단조성형기의 연강선재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89436B (zh) * 2016-03-23 2017-11-28 南京众慧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多用钢帘线放线装置
CN106269991A (zh) * 2016-08-22 2017-01-04 江苏句容联合铜材有限公司 一种叠加式放线筐
KR101992644B1 (ko) * 2017-10-27 2019-06-25 대원강업주식회사 장입소재의 요동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코일스프링 제조용 냉간 코일와이어 디스펜서
KR101962685B1 (ko) * 2018-01-17 2019-03-27 정선호 선재 공급장치가 구비된 볼트 가공장치
CN110064678B (zh) * 2019-04-19 2020-12-04 江苏恒欣仓储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螺旋式钢板仓成型的立式主动开卷装置
CN110405466B (zh) * 2019-07-24 2021-06-08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监控设备旋转接头自动组装机
KR102114127B1 (ko) * 2019-11-08 2020-05-22 김순경 코일스프링 성형 방법
KR102114129B1 (ko) * 2019-11-08 2020-05-22 김순경 스프링 제조 방법
KR102144966B1 (ko) * 2020-01-30 2020-08-14 김종포 스프링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0586A (ja) * 2010-08-18 2012-03-01 Toyo Kensetsu Koki Kk コイル状鉄筋繰出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0586A (ja) * 2010-08-18 2012-03-01 Toyo Kensetsu Koki Kk コイル状鉄筋繰出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071B1 (ko) 2017-02-21 2017-07-18 이성삼 케이블 와인딩 장치
KR101829237B1 (ko) * 2017-03-07 2018-03-30 신상민 단조성형기의 연강선재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067A (ko)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009B1 (ko) 와이어 인출장치
KR101687476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용 와이어 공급장치
US9643227B2 (en) Drawing unit and corresponding method
EP3965972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führen eines langgestreckten werkstücks zu einer umformmaschine
JPH11514927A (ja) ロール成形装置と方法
CN117244954A (zh) 一种多模热拉丝机
US3143786A (en) Bar and wire processing machine
CN105215223B (zh) 一种整卷薄板卷料卷桶同步进给送料的方法和装置
JP4195187B2 (ja) ロールを形成するためのシート状連続製品の巻き取り装置
JP2020075287A (ja) 押出同期切断装置
JP2016097479A (ja) 切断装置
WO2014097675A1 (ja) 線材連続供給装置及び線材連続供給方法
KR20150092520A (ko) 비닐 시트 포장장치
CN113896029A (zh) 一种螺旋线绕线机
KR101967743B1 (ko) 앵글 가공장치
EP3658364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the automatic feeding of a strip of elastomeric material to a user unit
CN105329701B (zh) 自动送线器的送线控制装置
KR100340552B1 (ko) 변화하는선재의규격에대응가능한선재인출기
KR101708827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프레스용 피더 장치
CN113699361B (zh) 一种高强数控切割线生产用分电式拉连退设备
KR20020040705A (ko) 이형선재의 연속압연장치
KR101524863B1 (ko)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CN215159573U (zh) 一种卷布辊间距可调的卷布机
CN117226015B (zh) 一种铜线批量化定长切割装置
CN213055891U (zh) 一种可实现自变速的绒带开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