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863B1 -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863B1
KR101524863B1 KR1020140148626A KR20140148626A KR101524863B1 KR 101524863 B1 KR101524863 B1 KR 101524863B1 KR 1020140148626 A KR1020140148626 A KR 1020140148626A KR 20140148626 A KR20140148626 A KR 20140148626A KR 101524863 B1 KR101524863 B1 KR 101524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unit
cutting
press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철강
전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철강, 전용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철강
Priority to KR102014014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1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articles with helicoid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작업 대상물이 공급되면 작업 대상물을 하나씩 연속하여 공급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의 작업부위를 가압하여 일정한 굵기의 작업부위를 성형하는 가압부; 상기 작업부위를 길이가 일정하도록 상기 작업부위 단부를 면취하는 면취부; 상기 작업부위에 나사산을 형성하도록 전조작업을 행하는 성형부; 및 상기 투입부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을 상기 가압부, 상기 면취부 또는 상기 성형부에 대향되게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SCREW FORMING DEVICE FOR IRON BAR}
본 발명은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사산이 가공될 단부를 가압하는 프레싱 공정과 철근의 단부를 깎아내는 면취공정과 나사산을 성형하는 전조공정이 단계적으로 연속되게 진행될 수 있는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근은, 전기로 등에서 제조된 용강은 래들 정련과정을 거쳐 탈산, 탈린, 탈황되고 합금철을 첨가하여 목적하는 조성비를 맞춘 후 턴디쉬로 공급되어 연속주조된다.
연속주조를 통해 빌렛 등의 중간제품이 생상되고, 다시 중간제품을 화형 공형을 가진 압연롤로 다단계 압연을 실시함으로써 철근이 생산된다.
생산된 철근은 냉각 후, 주문된 길이로 절단하여 출하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철근의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건설 현장에서 철근을 나사이음하여 필요한 길이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용 나사 성형장치는, 구동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 성형롤과, 감속기의 두 출력축과 상하 성형롤을 각각 연결하는 두 구동축과, 두 구동축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위상차 보정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7616호(2013년 04월 29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철근의 나사 성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철근의 나사 성형장치는, 철근의 단부를 가압하여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위를 매끈하게 프레싱(Pressing)하는 장치 및 프레싱공정이 진행된 철근의 단부 길이를 조절하도록 면취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철근의 단부에 규격화된 일정한 크기의 나사산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철근의 나사 성형장치는, 프레싱 장치 및 면취장치를 별도를 설치하여 각각의 공정이 완료된 철근을 작업자가 이송하여 다음 공정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나사산 성형작업을 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나사산이 가공될 단부를 가압하는 프레싱공정과 철근의 단부를 면취하는 공정과 나사산을 성형하는 전조공정이 단계적으로 자동으로 연속되게 진행될 수 있는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작업 대상물이 공급되면 작업 대상물을 하나씩 연속하여 공급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의 작업부위를 가압하여 일정한 굵기의 작업부위를 성형하는 가압부; 상기 작업부위를 길이가 일정하도록 상기 작업부위 단부를 깎아내는 면취부; 상기 작업부위에 나사산을 형성하도록 전조작업을 행하는 성형부; 및 상기 투입부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을 상기 가압부, 상기 면취부 또는 상기 성형부에 대향되게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투입부는, 상기 이송부 측으로 연장되는 투입베이스; 상기 투입베이스에 상기 이송부 측으로 순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 개의 철근이 안착되는 투입체인; 상기 투입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체인에 동력을 제공하는 투입구동부; 및 상기 이송부에 대향되는 상기 투입베이스의 단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철근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승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회전케이스가 가압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본체; 상기 회전케이스의 회전축 방향으로 구동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가압경사면이 구비되는 이동블록; 상기 제1가압경사면에 대향되는 제2가압경사면이 구비되고 복수 개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이동블록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는 가압블록; 및 상기 회전케이스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가압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면취부는, 상기 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삽입되는 작업 대상물을 구속하는 구속부; 상기 구속부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케이스; 상기 출몰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파이프가 구비되며 면취날이 구비되는 면취부; 상기 출몰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면취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 및 상기 출몰케이스를 상기 구속부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출몰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속부는, 상기 이송부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전진되는 작업 대상물이 삽입되는 홀부를 구비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홀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로드가 출몰되면서 작업 대상물을 가압하는 면취구속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성형부는, 상기 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전진되는 작업 대상물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나사산을 가공하는 한 쌍의 절삭날; 상기 절삭날에 동력을 제공하는 절삭구동부; 상기 절삭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절삭날에 전달하도록 상기 절삭구동부와 상기 절삭날을 연결하는 절삭동력전달부; 상기 절삭날을 작업 대상물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절삭실린더; 한 쌍의 상기 절삭실린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작업 대상물의 지름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절삭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및 작업 대상물에 성형되는 나사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절삭실린더가 전진 또는 후진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량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간격조절부는, 한 쌍의 상기 절삭실린더 사이에 설치되도록 각각의 상기 절삭실린더에 구비되는 간격홀부에 삽입되는 간격축; 상기 간격축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홀부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1너트; 및 상기 간격축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홀부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제2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동량조절부는, 상기 절삭실린더의 로드에 설치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센싱바; 상기 센싱바에 나사산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싱블록; 상기 절삭실린더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장착플레이트; 상기 장착홀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싱블록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절삭실린더로부터 돌출되는 로드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장착홀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장착홀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싱블록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절삭실린더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송부는,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며 상기 가압부, 상기 면취부 또는 상기 성형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이송베이스;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거나 다음의 공정으로 이동되는 작업 대상물이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안착홈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경사면; 상기 이송베이스에 설치되는 공급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을 상기 가압부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공급롤러; 상기 이송베이스에 설치되는 상기 공급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을 상기 면취부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2공급롤러; 상기 이송베이스에 설치되는 상기 공급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을 상기 성형부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3공급롤러; 상기 제1공급롤러, 상기 제2공급롤러 또는 상기 제3공급롤러에 안착되는 작업 대상물을 일측을 이동시키는 단계이동부; 및 작업 대상물이 상기 가압부, 상기 면취부 또는 상기 성형부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단계이동부는, 상기 제1공급롤러, 상기 제2공급롤러 및 상기 제3공급롤러와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베이스에 설치되는 이동축; 작업 대상물을 상기 이송베이스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제1공급롤러, 상기 제2공급롤러 또는 상기 제3공급롤러에 안착되는 작업 대상물을 거치하는 걸림턱부가 구비되는 이동편; 상기 이송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축을 회전시키는 이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는, 철근을 연속하여 가압부, 면취부 및 성형부에 단계적으로 공급하여 프레싱 공정, 면취공정 및 전조공정을 단계적으로 연속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철근에 나사산을 성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나사산 성형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성형부에는 전조공정을 행하는 절삭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가 구비되므로 다양한 굵기의 철근에 나사산을 성형할 수 있어 굵기가 다른 철근에 나사산 성형작업을 행할 때에 나사산 성형장치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성형부는, 절삭날의 이동량을 제어하는 이동량조절부가 구비되므로 정확한 전조공정을 행할 수 있어 균일한 크기의 나사산을 일정하게 성형할 수 있어 대량으로 제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철근의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투입부 및 이송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투입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단계이동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단계이동부 및 제1센싱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면취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성현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간격조절부 및 이동량조절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투입부 및 이송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투입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단계이동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단계이동부 및 제1센싱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가압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면취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성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간격조절부 및 이동량조절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는, 복수 개의 작업 대상물이 공급되면 작업 대상물을 하나씩 연속하여 공급하는 투입부(10)와, 투입부(10)로부터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의 작업부위를 가압하여 일정한 굵기의 작업부위를 성형하는 가압부(50)와, 작업부위를 길이가 일정하도록 작업부위 단부를 면취하는 면취부(70)와, 작업부위에 나사산을 형성하도록 전조작업을 행하는 성형부(80)와, 투입부(10)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을 가압부(50), 면취부(70) 또는 성형부(80)에 대향되게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30)를 포함한다.
투입부(10) 및 이송부(30)는 다수 개의 철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송부(30)의 일측 단부에 대향되도록 가압부(50), 면취부(70) 및 성형부(80)가 일렬로 정렬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크레인 등의 장비를 조작하여 투입부(10) 상면에 다수 개의 철근을 안착시키고,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를 구동시키면 투입부(10)로부터 작업 대상물이 하나씩 이송부(30)에 공급된다.
이송부(30)에 의해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작업 대상물은 가압부(50) 측으로 전진된 후에 단부에 작업부위가 매끄러운 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프레싱공정이 이루어진다.
프레싱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이송부(30)의 작동에 의해 면취부(70)에 대향되게 작업 대상물이 이동된 후에 면취부(70) 측으로 전진된 후에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일정한 길이로 면취된다.
면취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이송부(30)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성형부(80)에 대향되게 이동되고, 작업 대상물이 성형부(80) 측으로 전진된 후에 작업부위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작업 대상물의 단부에 일정한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작업 대상물 단부에 나사산을 가공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구성은 철근이 아닌 다양한 작업 대상물에 나사산을 가공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투입부(10)는, 이송부(30) 측으로 연장되는 투입베이스(11)와, 투입베이스(11)에 이송부(30) 측으로 순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 개의 철근이 안착되는 투입체인(12)과, 투입베이스(11)에 설치되고 투입체인(12)에 동력을 제공하는 투입구동부(13)와, 이송부(30)에 대향되는 투입베이스(11)의 단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승편(16)을 포함한다.
투입베이스(11)는 좌우방향으로 긴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고, 투입베이스(11)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다수 개의 투입체인(12)이 풀리를 따라 순환되도록 설치되므로 다수 개의 투입체인(12) 상면에 작업 대상물이 안착된다.
투입베이스(11)의 하부에는 투입구동부(13)를 이루는 제1모터(14)가 설치되고, 제1모터(14)의 회전축과 투입체인(12)이 설치되는 풀리 사이에 제1구동체인(15)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1모터(14)가 구동되면 다수 개의 풀리가 설치되는 회전축이 제1구동체인(15)에 의해 회전되면서 다수 개의 투입체인(12)을 순환시키면서 투입체인(12)의 상면에 안착되는 작업 대상물을 이송부(30)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투입베이스(11)의 전방 측 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출몰되는 상승편(16)이 설치되고, 상승편(16)은 제1구동실린더(18)의 작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므로 상승편(16)이 하강한 후에 상승되면 1개의 작업 대상물이 이송부(30) 측으로 공급되며, 상승편(16)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상승경사면(17)에 의해 1개의 작업 대상물이 이송부(30) 측으로 가압되어 공급된다.
이때, 제1구동실린더(18)가 하강한 후에 상승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짧은 시간이 유지되므로 1개씩의 작업 대상물이 시간적 간격을 유지하며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가압부(50)는, 회전케이스(52)가 가압롤러(52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본체(51)와, 회전케이스(52)의 회전축 방향으로 구동실린더(54)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가압경사면(55)이 구비되는 이동블록(53)과, 제1가압경사면(55)에 대향되는 제2가압경사면(57)이 구비되고 복수 개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블록(53)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는 가압블록(56)과, 회전케이스(52)를 회전시키도록 가압본체(51)에 설치되는 회전실린더(58)를 포함한다.
가압본체(51)는 이송부(3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테이블 상면에 설치되고, 가압본체(51) 내부에는 회전케이스(52)가 회전실린더(58)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회전케이스(52)의 둘레면은 가압본체(51)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가압롤러(52a)에 의해 지지되므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케이스(52)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는 연결편에 회전실린더(58)의 로드가 연결되므로 회전실린더(58)로부터 출몰되는 로드에 의해 회전케이스(52)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케이스(52) 내부에는 이송부(3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도록 이동블록(53)이 설치되고, 회전케이스(52) 배면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54)에 의해 이송부(3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이동을 행하게 된다.
이동블록(53)의 중앙부에는 다수 개의 가압블록(56)이 안착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이동블록(53)의 내벽에는 다수 개의 가압블록(56)을 중앙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가압경사면(55)이 형성된다.
이동블록(53)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가압블록(56)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면 삽입되고, 제1가압경사면(55)에 대향되도록 가압블록(56)의 경사면에 제2가압경사면(57)이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실린더(5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제1가압경사면(55)에 의해 다수 개의 가압블록(56)이 중앙부 측으로 모아지도록 가압작동이 이루어져 다수 개의 가압블록(56)은 회전케이스(52)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중앙부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송부(30)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회전케이스(52)의 회전중심을 따라 다수 개의 가압블록(56)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홀부로 삽입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블록(56)이 회전케이스(52)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중앙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다수 개의 가압블록(56)이 작업 대상물의 단부를 압축시켜 둘레면이 매끈한 원기둥 모양을 이루며 작업부위가 형성되는 프레싱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구동실린더(54)의 작동에 의해 다수 개의 가압블록(56)이 작업 대상물의 단부를 가압하면서 회전실린더(58)의 구동에 의해 회전케이스(52) 및 가압블록(56)이 회전되면서 작업 대상물의 단부를 매끈한 원기둥 모양으로 만드는 프레싱 공정이 진행된다.
가압본체(51)의 전면에는 작업 대상물이 통과되도록 홀부가 형성되는 안내가이드(59)가 설치되고, 안내가이드(59)에는 프레싱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작업 대상물이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한 쌍의 구속실린더(59a)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송부(30)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안내가이드(59)의 홀부를 통과하여 다수 개의 가압블록(56)의 중앙부 측으로 삽입되면 구속실린더(59a)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작업 대상물을 구속하게 된다.
또한, 구속실린더(59a)의 로드 단부에는 작업 대상물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작업 대상물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부재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 대상물의 단부에 작업부위가 형성되는 프레싱 공정이 완료되면 이송부(30)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은 면취부(70) 측으로 이동된다.
면취부(70)는, 이송부(30)의 작동에 의해 삽입되는 작업 대상물을 구속하는 구속부(77)와, 구속부(77)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케이스(73)와, 출몰케이스(7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파이프(75)가 구비되며 면취날이 구비되는 면취홀부(74)와, 출몰케이스(73)에 설치되고 면취홀부(74)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76)와, 출몰케이스(73)를 구속부(77)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출몰실린더(72)를 포함한다.
출몰케이스(73)는 이송부(3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테이블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71)을 따라 이송부(30) 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가이드레일(71) 사이에 설치되는 출몰실린더(72)의 로드에 출몰케이스(73)가 연결된다.
따라서 이송부(30)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구속부(77)를 통과하여 면취홀부(74)에 삽입될 때에 출몰실린더(72)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서 출몰케이스(73)를 이송부(30)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출몰케이스(73)의 내부에는 면취홀부(7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출몰케이스(73)에 설치되는 제2모터(76)와 면취홀부(74)의 회전축이 풀리 및 벨트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2모터(76)의 동력이 면취홀부(74)에 전달되면 면취홀부(74)가 회전되면서 작업 대상물의 단부를 면취하게 된다.
면취홀부(74)의 전방 측 단부에는 작업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파이프(75)가 설치되고, 삽입파이프(75)을 통해 면취홀부(74) 내측으로 삽입되는 작업 대상물은 면취홀부(74) 내부에 구비되는 면취날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면취된다.
따라서 프레싱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작업부위가 일정한 길이로 조절될 수 있게 되고, 추후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길이가 일정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게 된다.
구속부(77)는, 이송부(30)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이송부(30)의 작동에 의해 전진되는 작업 대상물이 삽입되는 홀부를 구비는 홀더(79)와, 홀더(79)의 홀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로드가 출몰되면서 작업 대상물을 가압하는 면취구속실린더(78)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송부(30)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홀더(79)를 통과하여 면취홀부(74)에 삽입되면 면취구속실린더(78)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서 작업 대상물을 홀더(79)의 홀부 내벽에 가압하게 되므로 면취공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작업 대상물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면취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면취공정이 완료되면 이송부(30)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성형부(80) 측으로 이동되고, 작업 대상물이 성형부(80) 측으로 전진된 후에 작업부위에 나사산을 성형하는 전조공정이 진행된다.
성형부(80)는, 이송부(30)의 작동에 의해 전진되는 작업 대상물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나사산을 가공하는 한 쌍의 절삭날(81)과, 절삭날(81)에 동력을 제공하는 절삭구동부(82)와, 절삭구동부(82)의 동력을 절삭날(81)에 전달하도록 절삭구동부(82)와 절삭날(81)을 연결하는 절삭동력전달부(83)와, 절삭날(81)을 작업 대상물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절삭실린더(84)와, 한 쌍의 절삭실린더(8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작업 대상물의 지름에 따라 한 쌍의 절삭날(8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85)와, 작업 대상물에 성형되는 나사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절삭실린더(84)가 전진 또는 후진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량조절부(86)를 포함한다.
절삭날(81)은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에 나사산을 가공하기 위한 스크루 모양의 칼날이 형성되며, 한 쌍의 절삭날(81)이 간격을 유지하며 테이블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절삭날(81)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작업 대상물의 단부에 한 쌍의 절삭날(81)이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작업 대상물의 단부에 나사산을 성형하는 전조공정이 진행된다.
한 쌍의 절삭날(81)에는 절삭구동부(82)로부터 절삭동력전달부(83)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절삭날(81)이 회전되면서 나사산을 성형하고, 한 쌍의 절삭날(81)은 각각 절삭실린더(8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절삭날(81) 사이의 간격으로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삽입된 후에 절삭실린더(8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한 쌍의 절삭날(81)이 작업 대상물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절삭구동부(8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절삭날(81)이 회전되면서 절삭날(81)이 작업 대상물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의 단부에 구비되는 작업부위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동량조절부(86)에 의해 절삭실린더(84)로부터 출몰되는 로드의 길이가 제어되므로 나사산 사이에 형성되는 골의 깊이가 결정된다.
또한, 지름이 다른 작업 대상물에 나사산을 가공하는 전조공정이 진행될 때에는 작업자가 간격조절부(85)를 조작하여 한 쌍의 절삭실린더(84)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 후에 전조공정을 행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지름의 작업 대상물에 나사산 가공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간격조절부(85)의 조작에 의해 한 쌍의 절삭실린더(84) 사이의 간격 및 한 쌍의 절삭날(81)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절삭실린더(84)가 고정되는 종래의 성형장치와 비교하여 다른 지름의 작업 대상물에 나사산을 성형하는 공정을 준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간격조절부(85)는, 한 쌍의 절삭실린더(84) 사이에 설치되도록 각각의 절삭실린더(84)에 구비되는 간격홀부(85b)에 삽입되는 간격축(85a)과, 간격축(85a)에 결합되고 간격홀부(85b)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1너트(85c)와, 간격축(85a)에 결합되고 간격홀부(85b)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제2너트(85d)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절삭실린더(84)는 테이블의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절삭실린더(84)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간격홀부(85b)에 간격축(85a)이 삽입된다.
간격축(85a)의 양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너트(85c) 및 제2너트(85d)가 결합되는데, 제1너트(85c) 및 제2너트(85d)를 회전시키면서 한 쌍의 간격홀부(85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한 쌍의 절삭실린더(8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동량조절부(86)는, 절삭실린더(84)의 로드에 설치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센싱바(86a)와, 센싱바(86a)의 나사산(86g)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싱블록(86f)과, 절삭실린더(84)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장착홀부(86e)가 형성되는 장착플레이트(86d)와, 장착홀부(86e)에 설치되고 센싱블록(86f)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송신하여 절삭실린더(84)로부터 돌출되는 로드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86b)와, 제1센서(86b)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복수 개의 장착홀부(86e) 중 어느 하나의 장착홀부(86e)에 설치되고 센싱블록(86f)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송신하여 절삭실린더(84)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제2센서(86c)를 포함한다.
이동량조절부(86)는 절삭실린더(84)로부터 출몰되는 로드의 길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절삭실린더(84)의 구동여부 또는 구동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절삭실린더(8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로드에 설치되는 센싱바(86a)가 작업 대상물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센싱바(86a)에 설치되는 센싱블록(86f)이 제1센서(86b)에 의해 감지되면 제1센서(86b)로부터 감지신호가 제어부에 송신되고, 제어부로부터 정지신호가 절삭실린더(84)에 송신되면 절삭실린더(8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는 작동이 정지된다.
절삭실린더(8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는 동안에 작업 대상물의 단부에 나사산을 성형하는 전조공정이 진행되고, 전조공정이 완료되면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후진신호에 따라 절삭실린더(84) 내측으로 로드가 삽입되어 한 쌍의 절삭날(81)이 작업 대상물로부터 후진된다.
로드가 절삭실린더(84) 내측으로 삽입되면 센싱바(86a)가 후진하게 되고, 제2센서(86c)에 의해 감지신호가 송신되면 제어부로부터 정지신호가 송신되어 절삭실린더(84)의 구동이 정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싱공정, 면취공정 및 전조공정은 이송부(30)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단계적으로 공급되므로 하나의 작업 대상물에 프레싱공정, 면취공정 및 전조공정이 차례로 진행된다.
이송부(30)는, 투입부(10)로부터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며 가압부(50), 면취부(70) 또는 성형부(80)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안착홈부(33)가 구비되는 이송베이스(31)와, 투입부(10)로부터 공급되거나 다음의 공정으로 이동되는 작업 대상물이 슬라이드되도록 안착홈부(33)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경사면(32)과, 이송베이스(31)에 설치되는 공급구동부(37)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을 상기 가압부(5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공급롤러(34)와, 이송베이스(31)에 설치되는 공급구동부(37)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을 면취부(7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2공급롤러(35)와, 이송베이스(31)에 설치되는 공급구동부(37)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을 성형부(8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3공급롤러(36)와, 제1공급롤러(34), 제2공급롤러(35) 또는 제3공급롤러(36)에 안착되는 작업 대상물을 일측을 이동시키는 단계이동부(38)와, 작업 대상물이 가압부(50), 면취부(70) 또는 성형부(8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39)를 포함한다.
이송베이스(31)는 좌우방향으로 긴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다수 개의 지지대가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어 지지대의 상면에 작업 대상물이 안착된다.
지지대의 상면에는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는 3개의 안착홈부(33)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안착홈부(33) 사이에는 이송경사면(32)이 형성되므로 단계이동부(38)의 작동에 의해 안착홈부(33)로부터 배출되어 인접한 다른 안착홈부(33) 측으로 이동되는 작업 대상물은 이송경사면(32)을 따라 다음의 안착홈부(33) 또는 이송부(30)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3개의 안착홈부(33)는 각각 가압부(50), 면취부(70) 또는 성형부(80)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안착홈부(33)에 대응되도록 제1공급롤러(34), 제2공급롤러(35) 또는 제3공급롤러(36)가 설치되며, 제1공급롤러(34), 제2공급롤러(35) 또는 제3공급롤러(36)의 회전축에는 공급구동부(37)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도록 풀리 및 체인이 연결된다.
따라서 공급구동부(37)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제1공급롤러(34), 제2공급롤러(35) 또는 제3공급롤러(36)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작업 대상물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제1공급롤러(34)의 정회전에 의해 전진되는 작업 대상물은 가압부(50)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공급롤러(35)의 정회전에 의해 전진되는 작업 대상물은 면취부(7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3공급롤러(36)의 정회전에 의해 전진되는 작업 대상물은 성형부(8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에, 프레싱공정, 면취공정 또는 전조공정이 종료되면 제1공급롤러(34), 제2공급롤러(35) 또는 제3공급롤러(36)가 역회전되면서 작업 대상물이 후진된다.
이송베이스(31)의 상면으로 후진된 작업 대상물은 단계이동부(38)의 작동에 의해 다음의 안착홈부(33) 측으로 이동되거나 이송베이스(31) 외측으로 배출된다.
단계이동부(38)는, 제1공급롤러(34), 제2공급롤러(35) 및 제3공급롤러(36)와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이송베이스(31)에 설치되는 이동축(38a)과, 작업 대상물을 이송베이스(31)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동축(38a)에 설치되고 제1공급롤러(34), 제2공급롤러(35) 또는 제3공급롤러(36)에 안착되는 작업 대상물을 거치하는 걸림턱부(38c)가 구비되는 이동편(38b)과, 이송베이스(31)에 설치되고 이동축(38a)을 회전시키는 이동구동부(38e)를 포함한다.
각각의 안착홈부(33)의 일측에는 안착홈부(33)와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이동축(38a)이 설치되고, 이동축(38a)에는 다수 개의 이동편(38b)이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므로 이동구동부(38e)의 작동에 의해 이동축(38a)이 회전되면 이동축(38a)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걸림턱부(38c)에 작업 대상물을 걸어 상승시킨다.
이때, 이동편(38b)은 이동축(38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걸림턱부(38c)에 거치되어 상승되는 작업 대상물은 원호 모양을 그리며 다음의 안착홈부(33)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편(38b)의 회전이 지속되어 작업 대상물이 이동편(38b) 외측으로 배출되면 이송경사면(3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다음의 안착홈부(33) 또는 이송베이스(31)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동편(38b)의 하단에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간섭홈부(38d)가 구비되므로 제1공급롤러(34), 제2공급롤러(35) 또는 제3공급롤러(36)에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이 간섭홈부(38d)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공급구동부(37)와 이동편(38b)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크레인을 구동시켜 다수 개의 작업 대상물을 투입베이스(11) 상면에 안착시키고 본 실시예의 성형장치를 구동시키면, 투입구동부(13)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이송부(30) 측으로 이동되면서 투입체인(12)의 상면의 작업 대상물이 넓게 퍼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투입체인(12)이 이송부(30) 측으로 이동되는 작동이 지속되는 동안에 제1구동실린더(18)의 작동에 의해 상승편(16)의 하강 및 상승이 설정시간 동안 반복되면 설정된 시간 차이를 유지하면서 작업 대상물이 1개씩 이송부(3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송베이스(31)의 상면에 안착되는 작업 대상물은 이송경사면(32)을 따라 안착홈부(33)에 삽입되면서 제1공급롤러(34)에 안착되고, 공급구동부(37)의 작동에 따라 작업 대상물이 가압부(50) 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가압부(50) 측으로 전진하는 작업 대상물의 단부는 안내가이드(59)를 통과하여 다수 개의 가압블록(56)에 의해 형성되는 홀부에 삽입되고, 구속실린더(59a)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서 작업 대상물을 구속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 대상물이 전진하여 가압부(50)에 삽입되면 안착홈부(33)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싱부(39)에 의해 작업 대상물의 전진상태가 감지되고, 센싱부(39)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가압부(50)가 구동된다.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실린더(5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이동블록(53)이 전진하면서 이동블록(53)의 제1가압경사면(55)이 가압블록(56)의 제2가압경사면(57)을 중앙부 측으로 가압하므로 다수 개의 가압블록(56)이 중앙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작업 대상물의 단부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회전실린더(58)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서 회전케이스(52)를 회전시키면 다수 개의 가압블록(56)이 작업 대상물을 가압함과 동시에 가압블록(56)이 회전하게 되어 작업 대상물의 단부에 둘레면이 매끈한 원기둥 모양의 작업부위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싱공정이 종료되면 구속실린더(59a)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고, 공급구동부(37)로부터 역방향 동력이 제공되어 작업 대상물이 이송베이스(31) 내측으로 후진된다.
이후에, 이동구동부(38e)의 작동에 의해 이동축(38a) 및 이동편(38b)이 회전되면 이동편(38b)의 걸림턱부(38c)에 거치되는 작업 대상물이 원호를 그리며 상승되어 이송경사면(32)에 떨어지게 되고, 이송경사면(32)을 따라 다음의 안착홈부(33)에 삽입되어 제2공급롤러(35)에 안착된다.
제2공급롤러(35)에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면 공급구동부(37)로부터 전달되는 정방향 동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전단부 측으로 전진되어 홀더(79)를 통과하여 면취부(70) 내부로 삽입되고, 출몰실린더(72)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출몰케이스(73)가 가이드레일(71)을 따라 구속부(77)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에, 전달구속실린더(59a)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작업 대상물의 회전운동이 구속되고, 제2모터(76)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면취부(70)가 회전되면서 작업 대상물의 단부를 일정한 길이로 면취하게 되므로 작업 대상물의 단부에 면치기를 행하는 면취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면취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공급구동부(37)로부터 전달되는 역방향 동력에 의해 제2공급롤러(35)가 역회전되므로 작업 대상물이 이송베이스(31) 내부로 후진되고, 단계이동부(38)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다음의 안착홈부(33)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작업 대상물이 마지막 안착홈부(33)에 삽입되어 제3공급롤러(36)에 안착되면 공급구동부(37)로부터 전달되는 정방향 동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성형부(80) 측으로 전진되고, 센싱부(39)에 의해 작업 대상물의 전진상태가 감지되면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절삭실린더(84)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절삭날(81)이 작업 대상물의 작업부위에 밀착된다.
이때, 절삭구동부(8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절삭날(81)은 작업부위에 나사산을 성형하게 되고, 나사산을 성형하는 전조공정이 종료되면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절삭실린더(84)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며, 공급구동부(37)로부터 역방향 동력이 전달되어 작업 대상물이 이송베이스(31) 내부로 후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조공정이 종료되면 단계이동부(38)의 작동에 따라 작업 대상물이 이송베이스(31) 외부로 배출되므로 작업 대상물의 단부에 나사산을 성형하는 작업이 완료된다.
이로써, 나사산이 가공될 단부를 가압하는 프레싱 공정과 철근의 단부를 면취하는 면취공정과 나사산을 성형하는 전조공정이 단계적으로 연속되게 진행될 수 있는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성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투입부 11 : 투입베이스
12 : 투입체인 13 : 투입구동부
14 : 제1모터 15 : 제1구동체인
16 : 상승편 17 : 상승경사면
18 : 제1구동실린더 30 : 이송부
31 : 이송베이스 32 : 이송경사면
33 : 안착홈부 34 : 제1공급롤러
35 : 제2공급롤러 36 : 제3공급롤러
37 : 공급구동부 38 : 단계이동부
38a : 이동축 38b : 이동편
38c : 걸림턱부 38d : 간섭홈부
38e : 이동구동부 39 : 제1센싱부
50 : 가압부 51 : 가압본체
52 : 회전케이스 52a : 가압롤러
53 : 이동블록 54 : 구동실린더
55 : 제1가압경사면 56 : 가압블록
57 : 제2가압경사면 58 : 회전실린더
59 : 안내가이드 59a : 구속실린더
70 : 면취부 71 : 가이드레일
72 : 출몰실린더 73 : 출몰케이스
74 : 면취축 75 : 삽입파이프
76 : 제2모터 77 : 구속부
78 : 면취구속실린더 79 : 홀더
80 : 성형부 81 : 절삭날
82 : 절삭구동부 83 : 절삭동력전달부
84 : 절삭실린더 85 : 간격조절부
85a : 간격축 85b : 간격홀부
85c : 제1너트 85d : 제2너트
86 : 이동량조절부 86a : 센싱바
86b : 제1센서 86c : 제2센서
86d : 장착플레이트 86e : 장착홀부
86f : 센싱블록 86g : 나사산

Claims (10)

  1. 복수 개의 작업 대상물이 공급되면 작업 대상물을 하나씩 연속하여 공급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의 작업부위를 가압하여 일정한 굵기의 작업부위를 성형하는 가압부;
    상기 작업부위를 길이가 일정하도록 상기 작업부위 단부를 면취하는 면취부;
    상기 작업부위에 나사산을 형성하도록 전조작업을 행하는 성형부; 및
    상기 투입부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을 상기 가압부, 상기 면취부 또는 상기 성형부에 대향되게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면취부는,
    상기 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삽입되는 작업 대상물을 구속하는 구속부;
    상기 구속부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케이스;
    상기 출몰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파이프가 구비되며 면취날이 구비되는 면취부;
    상기 출몰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면취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 및
    상기 출몰케이스를 상기 구속부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출몰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이송부 측으로 연장되는 투입베이스;
    상기 투입베이스에 상기 이송부 측으로 순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 개의 철근이 안착되는 투입체인;
    상기 투입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체인에 동력을 제공하는 투입구동부; 및
    상기 이송부에 대향되는 상기 투입베이스의 단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철근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승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회전케이스가 가압롤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본체;
    상기 회전케이스의 회전축 방향으로 구동실린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가압경사면이 구비되는 이동블록;
    상기 제1가압경사면에 대향되는 제2가압경사면이 구비되고 복수 개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이동블록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는 가압블록; 및
    상기 회전케이스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가압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이송부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전진되는 작업 대상물이 삽입되는 홀부를 구비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홀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로드가 출몰되면서 작업 대상물을 가압하는 면취구속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이송부의 작동에 의해 전진되는 작업 대상물의 둘레면에 밀착되어 나사산을 가공하는 한 쌍의 절삭날;
    상기 절삭날에 동력을 제공하는 절삭구동부;
    상기 절삭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절삭날에 전달하도록 상기 절삭구동부와 상기 절삭날을 연결하는 절삭동력전달부;
    상기 절삭날을 작업 대상물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절삭실린더;
    한 쌍의 상기 절삭실린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작업 대상물의 지름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절삭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및
    작업 대상물에 성형되는 나사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절삭실린더가 전진 또는 후진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이동량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한 쌍의 상기 절삭실린더 사이에 설치되도록 각각의 상기 절삭실린더에 구비되는 간격홀부에 삽입되는 간격축;
    상기 간격축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홀부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1너트; 및
    상기 간격축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홀부의 타측면에 밀착되는 제2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조절부는,
    상기 절삭실린더의 로드에 설치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센싱바;
    상기 센싱바에 나사산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싱블록;
    상기 절삭실린더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장착플레이트;
    상기 장착홀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싱블록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절삭실린더로부터 돌출되는 로드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장착홀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장착홀부에 설치되고 상기 센싱블록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절삭실린더 내부로 삽입되는 로드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이 안착되며 상기 가압부, 상기 면취부 또는 상기 성형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이송베이스;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되거나 다음의 공정으로 이동되는 작업 대상물이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안착홈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경사면;
    상기 이송베이스에 설치되는 공급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을 상기 가압부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공급롤러;
    상기 이송베이스에 설치되는 상기 공급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을 상기 면취부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2공급롤러;
    상기 이송베이스에 설치되는 상기 공급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을 상기 성형부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3공급롤러;
    상기 제1공급롤러, 상기 제2공급롤러 또는 상기 제3공급롤러에 안착되는 작업 대상물을 일측을 이동시키는 단계이동부; 및
    작업 대상물이 상기 가압부, 상기 면취부 또는 상기 성형부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이동부는,
    상기 제1공급롤러, 상기 제2공급롤러 및 상기 제3공급롤러와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베이스에 설치되는 이동축;
    작업 대상물을 상기 이송베이스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제1공급롤러, 상기 제2공급롤러 또는 상기 제3공급롤러에 안착되는 작업 대상물을 거치하는 걸림턱부가 구비되는 이동편;
    상기 이송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축을 회전시키는 이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KR1020140148626A 2014-10-29 2014-10-29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KR101524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26A KR101524863B1 (ko) 2014-10-29 2014-10-29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626A KR101524863B1 (ko) 2014-10-29 2014-10-29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863B1 true KR101524863B1 (ko) 2015-06-03

Family

ID=5350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626A KR101524863B1 (ko) 2014-10-29 2014-10-29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8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840B1 (ko) 2016-10-18 2018-04-19 이조원 전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012B1 (ko) * 2013-05-21 2013-12-31 주식회사 상신기공 길이가 다양한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자동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012B1 (ko) * 2013-05-21 2013-12-31 주식회사 상신기공 길이가 다양한 이형철근의 연결단부 자동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840B1 (ko) 2016-10-18 2018-04-19 이조원 전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94606B (zh) 冲压机之全自动送料装置
CN101486163B (zh) 磨床物料自动传输装置
KR101448871B1 (ko) 롤포밍 형강제품 연속생산 규격의 길이 자동절단이송프레스장치
CN202539249U (zh) 冷挤压液压机自动上下料机构
CN102319786A (zh) 摇摆冲压机构
KR101012822B1 (ko) 공작물 자동분할 커팅 장치
US11077482B2 (en) Radial/axial ring rolling mill for rolling a ring
CN116833308B (zh) 一种五金配件打孔设备
KR100609075B1 (ko) 금속 로드 사면 가공장치
KR101291070B1 (ko) 전조기의 피가공물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
KR101524863B1 (ko) 철근용 나사산 성형장치
KR101771048B1 (ko) 전조기 및 전조 가공 방법
CN115740619B (zh) 一种大型板材高效精准切割设备
EP2295165B1 (en) Press for simultaneously rough-pressing and finishing / embossing
KR20150018193A (ko) 널링공구대 이동형 소재 자동 널링 가공장치
CN202076896U (zh) 摇摆冲压机构
KR20170081905A (ko) 복합프레스장치
CN105750984B (zh) 一种数控加工设备及使用方法
KR101915600B1 (ko) 단조성형기의 원재료 공급장치
KR20160000271U (ko) 알루미늄 압출형재 양 끝단의 스크랩 부분 자동배출장치
CN201026500Y (zh) 不锈钢边角料轧圆机
KR101508468B1 (ko) 형강의 모서리 가공장치
KR101708827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프레스용 피더 장치
US5158404A (en) Taper thread cutting machine and method
KR101002394B1 (ko) 권취된 성형 가공물의 리사이징 커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