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898B1 - 모바일상품권 거래 중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바일상품권 거래 중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898B1
KR101600898B1 KR1020140071926A KR20140071926A KR101600898B1 KR 101600898 B1 KR101600898 B1 KR 101600898B1 KR 1020140071926 A KR1020140071926 A KR 1020140071926A KR 20140071926 A KR20140071926 A KR 20140071926A KR 101600898 B1 KR101600898 B1 KR 10160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ft certificate
button
server
information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3909A (ko
Inventor
김건무
Original Assignee
김건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무 filed Critical 김건무
Priority to KR102014007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89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3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개 서버와 연동하여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을 구비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중개 서버와 실시간 통신을 하며 자유롭게 시간 및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수를 상대로 모바일상품권을 교환하거나 매매 등 거래할 수 있고, 특히 상품권의 유효기간이 얼마 남지 않을 경우에는 중개 서버로 접속하여 거래 조건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상품권 거래 중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PPLICATION INTERMEDIATING MOBILE COUPON TRANSACTIONS}
본 발명은 모바일상품권 거래 중개 어플리케이션(이하,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로 약칭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2007년 아이폰 3GS 등장 이후 각종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상품권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가고 있다.
여기서, 모바일상품권이란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는 일체의 상품권을 말하는 것으로, 소셜 커머스 할인권, 기프티콘, 기프트쇼 등 전자 상품권뿐만 아니라 기존의 종이 상품권이지만 상품권 번호 등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문화상품권, 게임상품권 등도 이에 포함된다.
상품권의 가장 큰 문제점은 유효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된다는 것인데, 그냥 사라지는 상품권만 해도 2013년 기준 한해 백억 원에 육박한다는 뉴스 기사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도 인터넷상에서 전자쿠폰의 유효성 인증을 담보하여 매매 또는 환전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한국 공개특허 10-2014-0052202), 할인쿠폰을 필요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와 해당 할인쿠폰에 대해 사용의 필요성이 낮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 사이에 바로 매매 등 거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한국 공개특허 10-2013-0049235),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된 쿠폰 통합 관리용 어플을 이용하여 각종 쿠폰을 한 곳에서 통합관리하기 위한 기술(한국 등록특허 10-1238224)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중개 서버와 통신을 하며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 자유롭게 시간 및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수를 상대로 모바일상품권을 교환하거나 매매 등 거래할 수 있는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은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을 개발하여, 이것이 탑재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부, 제어부, 통신부, 저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장부에 하나 이상의 어플이 저장되고, 상기 어플의 동작으로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하며 소정의 서버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서버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 모바일상품권 거래를 중개하는 중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은 상기 중개 서버와 연동하여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을 포함하고, 상기 중개 서버는 회원가입시 상기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로 상품권을 팔거나 구매했을 때 일정 중개수수료가 부가됨을 고지하고 이를 승인받도록 하고, 상기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은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보이는 상품권 중개 어플 아이콘을 클릭하면, 상품권 팔기 버튼과 상품권 사기 버튼이 있는 어플 시작화면을 보여주고, 상기 상품권 팔기 버튼과 상기 상품권 사기 버튼 중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상품권 거래화면을 보여주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품권 종류->거래방식->거래 정보 및 조건을 순차로 입력받되, 상기 상품권 거래화면에는 상기 거래방식을 입력할 때 일정금액 버튼, 경매 버튼 및 상품권교환 버튼을 보여주고 이 중에서 선택받도록 하고, 상기 거래 정보 및 조건을 입력할 때 상품권 금액 입력창,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위치서비스 기능을 활용하여 찾을 수 있는 상품권 사용처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거래 정보 입력창을 보여주고 해당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보이는 전송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중개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결과화면으로 보여주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은, 상기 전송버튼을 클릭하지 아니하면,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할 경우 클릭횟수를 감지하여 상기 어플 시작화면까지 되돌아 가며 입력 데이터를 수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은, 상기 어플 시작화면 또는 상기 결과화면에는 상품권 거래등록 리스트 버튼을 더 보이고, 상기 상품권 거래등록 리스트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중개 서버에 기 등록된 상품권 리스트를 보여주고, 상기 등록된 상품권 리스트에서 등록된 상품권을 클릭하면, 상기 중개 서버로 접속하여 등록된 상품권의 현재 거래정보 및 수정버튼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보여주고, 상기 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수정자 정보 확인 후 상기 중개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현재 거래정보를 바로 수정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은, 상기 등록된 상품권 리스트에서 등록된 상품권을 클릭하면, 상기 등록된 상품권의 거래방식에 따라 구매정보 입력 버튼, 입찰금액 입력 버튼 및 상품권 교환 버튼 중 하나 이상이 더 생성되고, 상기 구매정보 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구매정보가 입력되면, 결제화면을 보여주고 결제방식을 선택받고, 상기 결제방식에 따라 결제완료시 결제완료 메시지와 함께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상품권을 다운받고, 상기 입찰금액 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입찰금액이 입력되면, 소정의 경매시간 경과 후 낙찰 여부를 안내하고, 낙찰 확인 신호가 들어오면, 상기 결제화면을 보여주고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로 돌아가고, 상기 상품권 교환 버튼을 클릭하면, 피교환상품권 정보 및 상품권파일을 입력받아 상기 중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개 서버로 전송된 상기 피교환상품권 정보가 상표권 교환 조건에 만족하게 되면, 접속자의 포인트를 차감한 후 상표권 교환 완료 메시지와 함께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교환상표권을 다운받고, 상기 상표권 교환 조건에 만족하지 않게 되어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교환조건 보완 또는 포인트 구입 안내 메시지를 받게 되면, 교환조건 보완 또는 포인트 구입 후 상기 상표권 교환 완료 메시지와 함께 교환상표권을 다운받는 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교환조건 보완 또는 포인트 구입 안내 메시지를 받고도 일정 시간 이내 교환조건 보완 또는 포인트 구입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피교환상품권을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돌려받고 교환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개 서버와 연동하여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을 구비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중개 서버와 실시간 통신을 하며 자유롭게 시간 및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수를 상대로 모바일상품권을 교환하거나 매매 등 거래할 수 있고, 특히 상품권의 유효기간이 얼마 남지 않을 경우에는 중개 서버로 접속하여 거래 조건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려지는 상품권이 없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인터넷을 통해 중개 서버(200)로 접속되는 모습을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하여 중개 서버(200)로 회원가입하는 모습을 보인 이동통신단말기 화면이다.
도 4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내장된 상품권 중개 어플 구동시 모습을 보여주는 이동통신단말기 화면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내장된 상품권 중개 어플 구동시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입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장부(140)에 상기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이 저장되고, 상기 어플 중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의 동작으로 상기 제어부(120)를 통하여 중개 서버(200)와 연동하며 인터넷 등으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DA 등 사용자가 휴대하며 중개 서버(200)와 유, 무선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일체의 이동통신수단을 말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일체의 수단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키 패드 등의 입력 수단으로 활성화된 터치 패드로 디스플레이부(150)와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각종 어플의 설치로 이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각 구성(110)(130)(140)(150)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중앙처리장치 등 각종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30)는 유, 무선 인터넷으로 직접 중개 서버(200)로 통신할 수 있는 수단은 물론, 이웃한 이동통신단말기, 무선랜, 와이 파이 등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중개 서버(200)로 통신할 수 있는 일체의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110)로 입력된 데이터, 통신부(130)를 통하여 중개 서버(200)로 송, 수신된 상품권 중개 데이터(상품권 등), 거래 결과 등을 저장하는 수단으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각종 저장장치(RAM 포함)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어플의 구동 결과물을 보여주는 수단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패드로 입력부(110)와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하여 중개 서버(200)로 회원가입하는 모습을 보인 회원가입 화면(10a)이다. 도 3에 의한 회원가입 화면(10a)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을 중개 서버(200) 또는 어플 제공 서버(예컨대, 어플 마켓 등)로부터 다운받아 설치할 때, 보이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도 4와 같은 상품권 중개 어플 시작화면(10b)에서 상품권 팔기 버튼(30)이나 상품권 사기 버튼(40)을 클릭하여 상품권 거래를 개시할 때,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과 같이, 중개 서버(200)로 회원가입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로 상품권을 팔거나 구매했을 때 일정 중개수수료(예컨대, 거래 금액의 1%)가 부가됨을 고지하고 이를 승인받도록 하여, 중개 서버(200) 운영자는 이를 근거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이 많이 이용하게 될 경우에는 상품 광고를 함께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28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 구동으로 상품권 팔기 관련 실시예를 보여주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화면이고, 도 14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 구동으로 상품권 사기 관련 실시예를 보여주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각 화면이고,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 구동시 제어부(120)를 통하여 제어되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13 및 도 25를 참조하며, 상품권 팔기 관련된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25와 같이,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을 중개 서버(200)나 어플 제공 서버(예컨대, 어플 마켓 등)로부터 다운받아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설치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50)의 이동통신단말기 화면에 상품권 중개 어플 아이콘(미도시)이 보여지게 된다(S100).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보이는 상품권 중개 어플 아이콘을 클릭하면(S110), 도 4와 같이, 상품권 팔기 버튼(30)과 상품권 사기 버튼(40)이 있는 어플 시작화면(10b)을 보여주고(S120), 상기 상품권 중개 어플 아이콘을 클릭하지 않으면(S110),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이전 단계인 상품권 중개 어플 아이콘이 계속 보여지게 된다.
상기 어플 시작화면(10b)에서 상품권 팔기 버튼(30)을 클릭하면(S130), 도 5와 같이, 상품권 팔기 화면(10c)으로 바뀌고, 입력부(110)로서 상품권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선택버튼(11)이 보이고, 화면 일측에는 검색 버튼(24)이 추가될 수 있다(S140).
여기서, 상기 검색 버튼(24)은 선택버튼(11)이 많아질 경우, 바로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이하, 동일함).
상기 상품권 종류 선택버튼 중 예컨대 식품버튼(11)을 클릭하면, 도 6과 같이, 식품 상품권 팔기 화면(10d)으로 바뀌고, 다시 식품의 세부 분류 품목으로 나누어진 복수 개의 선택버튼(13)이 보이고, 화면 일측에는 검색 버튼(24)이 추가될 수 있다.
식품 선택버튼 중 예컨대 커피버튼(13)을 클릭하면, 도 7과 같이, 커피 상품권 팔기 화면(10e)으로 바뀌고, 다시 커피의 브랜드별로 나누어진 복수 개의 선택버튼(15)이 보이고, 화면 일측에는 검색 버튼(24)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품권 종류를 세부 분류로 좁혀 가며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도 7과 같이, 설정한 가장 좁은 범위 내의 상품권 팔기 화면(10e)으로 바뀐 상태에서, 커피 선택버튼 중 예컨대 스타벅스 버튼(15)을 클릭하면, 도 8과 같이, 스타벅스커피 상품권 팔기 화면(10f)으로 바뀌고, 입력부(110)로서 거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선택버튼(52, 54, 56)이 보이게 된다(S150).
여기서, 상기 거래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나, 바로 구매 거래 방식을 위한 일정금액 버튼(52), 경매 거래 방식을 위한 경매 버튼(54) 및 상품권 교환 거래 방식을 위한 상품권교환 버튼(56)이 거래방식 선택화면인 스타벅스커피 상품권 팔기 화면(10f)에 보이도록 하여, 거래방식을 선택받도록 한다.
다음, 도 8에서 일정금액 버튼(52)을 클릭하면, 도 9와 같이, 일정금액으로 팔기 화면(10g)을 보여주고, 입력부(110)를 통하여 상품권의 거래 정보/조건를 입력받게 된다(S160).
상기 상품권의 거래 정보/조건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나, 일 예로 도 9와 같이, 상품권 판매금액 입력창(62)을 보여주고 여기에 스타벅스커피 상품권의 희망 판매금액을 입력하게 하고, 판매되는 상품권 정보를 복수 개의 정보 입력창(64), 예컨대, 정가, 사용기간, 사용처, 기타정보 입력창을 보여주고 여기에 해당 정보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타정보에는 사용처의 위치정보 등이 들어가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내장된 위치서비스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처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품권 판매금액 입력창(62)과 정보 입력창(64)에 입력 후 화면의 일측에 보여지는 완료 버튼(26)을 클릭하게 되면, 도 10과 같이, 상품권 팔기 정보 화면(10h)으로 바뀌어, 입력된 상품권 거래 정보/조건을 보여주게 된다(S170).
상기 상품권 팔기 정보 화면(10h)에는 팔고자 하는 상품권 파일을 검색하여 첨부할 수 있게 파일탐색 버튼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고, 상품권 파일 첨부 후에는 화면 일측에 보여지는 전송버튼(22)을 클릭함으로써(S180), 중개 서버(200)로 입력된 상품권 거래 정보/조건과 팔고자 하는 상품권 파일을 전송하고, 중개 서버(200)로부터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결과화면으로 보이도록 제어한다(S190).
상기 전송버튼(22)을 클릭하지 아니하면, 도 25와 같이,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하는지를 판단하여(S182), 상기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할 경우 클릭횟수를 감지하여 클릭할 때마다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며, 특히 어플 시작화면(10b)까지 되돌아 가며 입력부(110)을 통해 입력 데이터를 수정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함으로써, 중개 서버(200)로 상품권 거래 정보/조건과 팔고자 하는 상품권 파일을 전송하기 전에 입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중개 서버(200)에서는 팔고자 하는 상품권 거래 정보/조건과 상품권 파일을 받고, 상기 판매 조건에 맞는 구매자가 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로 구매자로 하여금 결제를 하도록 하여 그 처리 결과를 판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판매 정보 등록완료 메시지(70)를 전송하여 판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상품권 팔기 결과화면(10i)에서 보이도록 한다.
상기 판매 정보 등록완료 메시지(70)에는 등록번호도 포함되도록 하여, 차후 판매자가 중개 서버(200)로 접속하여 용이하게 판매 정보를 수정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의 스타벅스커피 상품권 팔기 화면(10f)에서 경매 버튼(54)을 클릭하면, 도 12와 같이, 경매로 팔기 화면(10j)으로 바뀌고, 여기에는 경매 최저금액 입력창(82)과 경매시간 설정창(84)을 보여주고 입력부(110)를 통하여 각각 스타벅스커피 상품권의 경매시 최저금액과 경매 시간을 입력하게 하고, 아울러 판매되는 상품권 정보를 복수 개의 정보 입력창(86), 예컨대, 정가, 사용기간, 사용처, 기타정보 입력창을 보여주고 입력부(110)를 통하여 각 해당 정보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타정보에는 사용처의 위치정보 등이 들어가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내장된 위치서비스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처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매 관련 정보를 입력 후 화면의 일측에 보여지는 완료 버튼(26)을 클릭하게 되면, 도 10과 같은 방식으로, 상품권 팔기 정보 화면(10h)으로 바뀌어, 입력된 상품권 경매 정보/조건을 보여주게 된다(S170).
여기서도, 경매로 팔고자 하는 상품권 파일을 검색하여 첨부할 수 있게 파일탐색 버튼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고, 상품권 파일 첨부 후에는 화면 일측에 보여지는 전송버튼(22)을 클릭함으로써(S180), 중개 서버(200)로 입력된 상품권 경매 정보/조건과 경매로 팔고자 하는 상품권 파일을 전송하고, 중개 서버(200)로부터 등록완료 메시지(70) 등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결과화면(10i)으로 보이도록 제어한다(S190).
여기서도, 상기 판매 정보 등록완료 메시지(70)에는 등록번호도 포함되도록 하여, 차후 판매자가 중개 서버(200)로 접속하여 용이하게 경매 정보를 수정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송버튼(22)을 클릭하지 아니하면, 도 25와 같이,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하는지를 판단하여(S182), 상기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할 경우 클릭횟수를 감지하여 클릭할 때마다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며, 특히 어플 시작화면(10b)까지 되돌아 가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수정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함으로써, 중개 서버(200)로 상품권 경매 정보/조건과 경매로 팔고자 하는 상품권 파일을 전송하기 전에 입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중개 서버(200)에서는 상품권 경매 정보/조건과 상품권 파일을 받고, 다수의 입찰자가 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매 시간 이내에 입찰한 최고가로 낙찰 결정을 하고, 그 처리 결과를 판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8의 스타벅스커피 상품권 팔기 화면(10f)에서 상품권교환 버튼(56)을 클릭하면, 도 13과 같이, 상품권 교환하기 화면(10k)으로 바뀌고, 여기에는 교환 대상 상품권 검색 버튼(92)과 희망 상품권 종류(명칭) 입력창(94)을 보여주고 희망 상품권 종류(명칭) 입력창(94)에 입력부(110)를 통하여 희망 상품권 종류(명칭)를 입력하게 하고, 아울러 교환되는 피교환 상품권 정보를 복수 개의 정보 입력창(96), 예컨대, 정가, 사용기간, 사용처, 기타정보 입력창을 보여주고 입력부(110)를 통하여 각 해당 정보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타정보에는 사용처의 위치정보 등이 들어가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내장된 위치서비스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처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품권 교환 관련 정보를 입력 후 화면의 일측에 보여지는 완료 버튼(26)을 클릭하게 되면, 도 10과 같은 방식으로, 상품권 팔기 정보 화면(10h)으로 바뀌어, 입력된 상품권 교환 정보/조건을 보여주게 된다(S170).
여기서도, 교환되는 상품권 파일을 검색하여 첨부할 수 있게 파일탐색 버튼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고, 피교환 상품권 파일 첨부 후에는 화면 일측에 보여지는 전송버튼(22)을 클릭함으로써(S180), 중개 서버(200)로 입력된 상품권 교환 정보/조건과 피교환 상품권 파일을 전송하고, 중개 서버(200)로부터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결과화면으로 보이도록 제어한다(S190).
또한, 상기 전송버튼(22)을 클릭하지 아니하면, 도 25와 같이,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하는지를 판단하여(S182), 상기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할 경우 클릭횟수를 감지하여 클릭할 때마다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며, 특히 어플 시작화면(10b)까지 되돌아 가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수정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함으로써, 중개 서버(200)로 상품권 교환 정보/조건과 피교환 상품권 파일을 전송하기 전에 입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중개 서버(200)에서는 상품권 교환 정보/조건과 피교환 상품권 파일을 받고, 상기 상품권 교환 조건에 맞는 상품권이 있을 경우에는, 바로 각 중계수수료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한 후 상품권 교환 완료 메시지와 함께 교환 상품권 및 피교환 상품권을 각각 판매자 및 구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교환 정보 등록완료 메시지(70)를 전송하여 판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상품권 팔기 결과화면(10i)에서 보이도록 한다.
여기서도, 상기 교환 정보 등록완료 메시지(70)에는 등록번호도 포함되도록 하여, 차후 판매자가 중개 서버(200)로 접속하여 용이하게 교환 정보를 수정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4, 도 14 내지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며, 상품권 사기 관련된 실시예를 살펴본다. 이는 상술한 상품권 팔기 관련된 실시예와 비슷한 논리구조로 제어하게 된다.
도 25와 같이,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을 설치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50)의 이동통신단말기 화면에 상품권 중개 어플 아이콘(미도시)이 보여지게 되고(S100),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보이는 상품권 중개 어플 아이콘을 클릭하면(S110), 도 4와 같이, 상품권 팔기 버튼(30)과 상품권 사기 버튼(40)이 있는 어플 시작화면(10b)을 보여주고(S120), 상기 상품권 중개 어플 아이콘을 클릭하지 않으면(S110), 디스플레이부(150)에는 이전 단계인 상품권 중개 어플 아이콘이 계속 보여지게 된다.
상기 어플 시작화면(10b)에서 상품권 사기 버튼(40)을 클릭하면(S130), 도 14와 같이, 상품권 사기 화면(10m)으로 바뀌고, 입력부(120)로서 상품권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선택버튼(11)이 보이고, 화면 일측에는 검색 버튼(24)이 추가될 수 있다(S140).
상기 상품권 종류 선택버튼 중 예컨대 식품버튼(11)을 클릭하면, 도 15와 같이, 식품 상품권 사기 화면(10n)으로 바뀌고, 다시 식품의 세부 분류 품목으로 나누어진 복수 개의 선택버튼(13)이 보이고, 화면 일측에는 검색 버튼(24)이 추가될 수 있다.
식품 선택버튼 중 예컨대 커피버튼(13)을 클릭하면, 도 16과 같이, 커피 상품권 사기 화면(10p)으로 바뀌고, 다시 커피의 브랜드별로 나누어진 복수 개의 선택버튼(15)이 보이고, 화면 일측에는 검색 버튼(24)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품권 종류를 세부 분류로 좁혀 가며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도 16과 같이, 설정한 가장 좁은 범위 내의 상품권 사기 화면(10p)으로 바뀐 상태에서, 커피 선택버튼 중 예컨대 스타벅스 버튼(15)을 클릭하면, 도 17과 같이, 스타벅스커피 상품권 사기 화면(10q)으로 바뀌고, 입력부(110)로서 거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선택버튼(52, 54, 56)이 보이게 된다(S150).
여기서, 상기 사기 방식도 다양할 수 있으나, 바로 구매 방식을 위한 일정금액 버튼(52), 경매 방식을 위한 경매 버튼(54) 및 상품권 교환 방식을 위한 상품권교환 버튼(56)이 거래방식 선택화면인 스타벅스커피 상품권 사기 화면(10q)에 보이도록 하여, 거래방식을 선택받도록 한다.
다음, 도 17에서 일정금액 버튼(52)을 클릭하면, 도 18과 같이, 일정금액으로 사기 화면(10r)을 보여주고, 입력부(110)를 통하여 상품권의 거래 정보/조건를 입력받게 된다(S160).
상기 상품권의 거래 정보/조건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나, 일 예로 도 18과 같이, 상품권 희망 구매금액 입력창(63)을 보여주고 여기에 스타벅스커피 상품권의 희망 구매금액을 입력하게 하고, 구매되는 상품권 정보를 복수 개의 정보 입력창(65), 예컨대, 정가, 사용기간, 사용처, 기타정보 입력창을 보여주고 여기에 해당 정보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기타정보에는 사용처의 위치정보 등이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또한, 일정금액으로 사기 화면(10r)에는, 도 18과 같이, 등록된 대상 상품권 검색 버튼(61)을 더 구비하여, 이를 클릭하게 되면 중개 서버(200)로 바로 접속하여, 스타벅스커피 상품권의 판매 정보(예컨대, 판매가격 및 장수)를 수신받아, 도 21과 같이, 등록된 스타벅스커피 상품권 구매 화면(10u)에 보여지게 하고, 입력부(120)를 통하여 구매가격 및 구매장수 입력창(67)에 구매정보를 입력하고, 완료버튼(22)을 클릭하면, 후술하는 상품권 구매 정보 화면(10s)으로 바뀌어, 입력된 상품권 사기 거래 정보/조건을 보여주게 된다(S170). 이렇게 함으로써, 실시간 상품권 구매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물론, 도 18에서 상품권 희망 구매금액 입력창(63)과 구매 상품권 정보 입력창(65)에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한 후 화면의 일측에 보여지는 완료 버튼(26)을 클릭하게 되면, 도 19와 같이, 상품권 구매 정보 화면(10s)으로 바뀌어, 입력된 상품권 사기 거래 정보/조건을 보여주게 된다(S170).
상기 상품권 구매 정보 화면(10s)을 통해 입력된 상품권 구매 정보를 확인 후 화면 일측에 보여지는 전송버튼(22)을 클릭하면(S180), 중개 서버(200)로 입력된 상품권 사기 거래 정보/조건을 전송하고, 중개 서버(200)로부터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결과화면으로 보이도록 제어한다(S190).
상기 전송버튼(22)을 클릭하지 아니하면, 도 25와 같이,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하는지를 판단하여(S182), 상기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할 경우 클릭횟수를 감지하여 클릭할 때마다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며, 특히 어플 시작화면(10b)까지 되돌아 가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수정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함으로써, 중개 서버(200)로 상품권 사기 거래 정보/조건을 전송하기 전에 입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중개 서버(200)에서는 사고자 하는 상품권 거래 정보/조건을 받고, 상기 구매 조건에 맞는 판매자가 있을 경우에는 바로 구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상기 처리결과로 그 내용을 전송하게 된다.
구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중개 서버(200)로부터 상기 구매 조건에 맞는 판매자가 있어 구매 가능하다는 내용을 수신받은 경우에는, 도 22와 같이,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결제하기 화면(10v)을 보여준다.
상기 결제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나, 도 22와 같이, 결제하기 화면(10v)에는 중개 서버(200)에 누적된 사용자 포인트로 결제하기 위한 포인트 버튼(72), 가상계좌로 결제하기 위한 가상계좌 버튼(74), 신용카드로 결제하기 위한 신용카드 버튼(76) 등이 생성되어 보일 수 있다.
상기 결제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결제를 완료하게 되면, 도 23과 같이, 결제완료 메시지(71)와 함께 상품권 파일 다운로드 받기 버튼(73)이 보여지는 상품권 받기 화면(10w)으로 바뀌게 된다.
이어, 상기 상품권 받기 화면(10w)에서 상품권 파일 다운로드 받기 버튼(73)을 클릭하게 되면, 구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중개 서버(200)로 접속되어 구매 상품권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부(140)에 저장하게 됨으로써, 상품권 사기는 종료하게 된다.
그러나, 중개 서버(200)에서 사고자 하는 상품권 거래 정보/조건을 받고, 상기 구매 조건에 맞는 판매자가 있지 않을 경우에는, 도 20과 같이, 구매 정보 등록완료 메시지(70')를 전송하여 구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상품권 사기 결과화면(10t)에서 보이도록 한다.
상기 구매 정보 등록완료 메시지(70')에는 등록번호도 포함되도록 하여, 차후 구매자가 중개 서버(200)로 접속하여 용이하게 구매 정보를 수정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7의 스타벅스커피 상품권 사기 화면(10q)에서 경매 버튼(54)을 클릭하면, 도 24와 같이, 경매로 사기 화면(10x)으로 바뀌고, 여기에는 경매 현황 확인 버튼(81)과 입찰금액 입력창(83)을 보여준다.
상기 경매 현황 확인 버튼(81)을 클릭하면, 중개 서버(200)로 접속하여 현재 스타벅스커피 상품권 관련 경매 현황 정보를 받아 경매로 사기 화면(10x)에 보여주고, 구매자는 이를 참작하여 입찰금액 입력창(83)에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찰금액을 입력하고, 화면의 일측에 보여지는 완료 버튼(22)을 클릭하게 되면, 도 19와 같은 방식으로, 상품권 경매 사기 정보 화면(10s)으로 바뀌어, 입력된 상품권 경매 정보/조건을 보여주게 된다(S170).
상기 상품권 구매 정보 화면(10s)을 통하여 구매 정보 확인 후 화면 일측에 보여지는 전송버튼(22)을 클릭함으로써(S180), 중개 서버(200)로 입력된 상품권 경매 사기 정보/조건을 전송하고, 중개 서버(200)로부터 등록완료 메시지(70') 등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결과화면(10t)으로 보이도록 제어한다(S190).
여기서도, 상기 경매 사기 정보 등록완료 메시지(70')에는 등록번호도 포함되도록 하여, 차후 구매자가 중개 서버(200)로 접속하여 용이하게 경매 사기 정보를 수정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송버튼(22)을 클릭하지 아니하면, 도 25와 같이,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하는지를 판단하여(S182), 상기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할 경우 클릭횟수를 감지하여 클릭할 때마다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며, 특히 어플 시작화면(10b)까지 되돌아 가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수정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함으로써, 중개 서버(200)로 상품권 경매 사기 정보/조건을 전송하기 전에 입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중개 서버(200)에서는 상품권 경매 사기 정보/조건을 받고, 다수의 입찰자가 있을 경우에는, 경매 시간 이내에 입찰한 최고가로 낙찰 결정을 하고, 그 처리 결과를 구매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 17의 스타벅스커피 상품권 사기 화면(10q)에서 상품권교환 버튼(56)을 클릭하여 소지한 상품권을 바꿀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상품권 팔기의 실시예 중 상품권교환 방식으로 상품권을 바꾸는 것과 동일하게 제어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은, 도 26과 같이,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도 4의 어플 시작화면(10b), 도 11의 상품권 팔기 결과화면(10i) 또는 도 20의 상품권 사기 결과화면(10t)에는 상품권 거래등록 리스트 버튼(미도시)을 더 보이고, 상품권 거래등록 리스트 버튼을 클릭하면(S200), 중개 서버(200)에 기 등록된 상품권 리스트를 보여주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S210).
여기서, 상기 등록된 상품권 리스트는 중개 서버(200)에 기 등록된 일체의 등록 리스트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의 실행으로 중개 서버(200)와 연동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저장부(140)에 수시, 일정 시간 간격 또는 중개 서버(200)의 데이터 변동시에 실시간 갱신되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품권 거래등록 리스트 버튼을 클릭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25 및 도 26과 같이, 어플 시작화면(10b)에서 상품권 팔기 버튼(30) 또는 상품권 사기 버튼(40)을 클릭 받는 단계(S130)를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등록된 상품권 리스트에서 특정 등록된 상품권을 클릭하면(S220), 중개 서버(200)로 접속하여 등록된 상품권의 현재 거래정보 및 수정버튼(미도시)을 디스플레이부(150)에 보여주게 된다(S230).
이어, 상기 수정버튼을 클릭하면(S240), 사용자 아이디 및 등록번호 등으로 수정자 정보를 확인한 후 중개 서버(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현재 상품권 팔기 또는 사기 관련 거래정보를 바로 수정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도 26의 어풀 시작화면 보여주기 단계(S120) 또는 중개서버에 입력된 상품권 거래 정보/조건 및/또는 상품권 파일을 전송하고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보여주기 단계(S190)에서, 도 4의 어플 시작화면(10b), 도 11의 상품권 팔기 결과화면(10i) 또는 도 20의 상품권 사기 결과화면(10t)에 상품권 거래등록 리스트 버튼을 더 보이게 제어하고, 도 26과 같이, 상품권 거래등록 리스트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중개 서버(200)에 접속하여 현재의 상품권 팔기 또는 사기 관련 거래정보를 바로 수정하여 저장하도록 하여, 상품권의 유효기간이 다가옴에 따라 또는 기타 필요에 따라 상품권 팔기 또는 사기 관련 거래정보를 수정하여 상품권이 거래될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 26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상기 등록된 상품권 리스트에서 등록된 상품권을 클릭하면(S220), 디스플레이부(150)에 등록된 상품권의 거래방식에 따라 구매정보 입력 버튼, 입찰금액 입력 버튼 및 상품권 교환 버튼 중 하나 이상이 더 생성되고, 상기 수정버튼 대신, 도 27과 같이, 상기 구매정보 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구매정보가 입력되면(S300), 도 22와 같이, 결제화면(10v)을 보여주고 결제방식을 선택받고(S310), 결제방식에 따라 결제완료시 도 23과 같이 결제완료 메시지(71)와 함께 중개 서버(200)로부터 상품권을 다운받고 종료하게 된다(S320).
한편, 상기 입찰금액 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입찰금액이 입력되면(S330), 소정의 경매시간 경과 후 낙찰 여부를 안내하고(S340), 낙찰 확인 신호가 들어오면(S350), 상기 결제화면(10v)을 보여주고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단계(S310)로 돌아가서, 결제방식에 따라 결제완료시 도 23과 같이 결제완료 메시지(71)와 함께 중개 서버(200)로부터 상품권을 다운받고 종료하게 된다(S320).
그러나, 상기 낙찰 여부 안내시 낙찰되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받아 낙찰 확인 신호가 들어오지 않게 되면, 도 25 및 도 27과 같이, 어플 시작화면(10b)에서 상품권 팔기 버튼(30) 또는 상품권 사기 버튼(40)을 클릭 받는 단계(S130)를 진행하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상품권 교환 버튼을 클릭하면(S400), 도 28과 같이, 피교환상품권 정보 및 상품권파일을 입력받아(S410), 입력된 정보 확인 후 피교환상품권 정보 및 상품권파일을 중개 서버(200)로 전송하고(S420), 중개 서버로 전송된 피교환상품권 정보가 상표권 교환 조건에 만족하게 되면(S430), 접속자인 사용자의 포인트를 차감한 후 상표권 교환 완료 메시지와 함께 중개 서버(200)로부터 교환상표권을 다운받고 종료하게 된다(S440).
상기 상표권 교환 조건에 만족하지 않게 되어 중개 서버(200)로부터 교환조건 보완 또는 포인트 구입 안내 메시지를 받게 되면, 교환조건 보완 또는 포인트 구입 후 상기 상표권 교환 완료 메시지와 함께 교환상표권을 다운받는 단계(S450)를 진행하고, 중개 서버(200)로부터 교환조건 보완 또는 포인트 구입 안내 메시지를 받고도 일정 시간 이내 교환조건 보완 또는 포인트 구입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피교환상품권을 중개 서버(200)로부터 돌려받고 교환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460).
상기 교환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는, 도 28과 같이, 상기 피교환상품권 정보 및 상품권파일을 입력받는 단계(S410)로 되돌아 가서 피교환상품권 정보를 수정하며 상품권파일을 다시 받아 진행하게 할 수 있다.
도 26에서 등록된 상품권을 클릭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생성된 수정버튼, 구매정보 입력 버튼, 입찰금액 입력 버튼 및 상품권 교환 버튼 중 어느 것도 클릭하지 않을 경우에는 중개 서버(200)로 접속하여 등록된 상품권의 현재 거래정보를 계속 디스플레이부(150)에 보여주는 단계(S230)로 있게 된다.
상기 설명 중 디스플레이부(150) 또는 화면에 생성된 각종 버튼은 입력부(110)로 구현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각종 입력창은 디스플레이부(150) 또는 화면에 키 패드 등으로 형성된 입력부(110)를 통하여 데이터가 입력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상품권 종류를 세부 분류로 좁혀 가며 선택할 때 새로운 화면을 띄운 것 대신에 다이얼로그 팝업창을 띄워 선택받도록 할 수 있는바,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 구현에 있어 등가 적 범위 내의 실시예라 할 것이다.
100: 이동통신단말기
110: 입력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50: 디스플레이부
200: 중개 서버

Claims (4)

  1. 입력부, 제어부, 통신부, 저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장부에 하나 이상의 어플이 저장되고, 상기 어플의 동작으로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하며 소정의 서버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의 모바일상품권 거래를 중개하는 중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은 상기 중개 서버와 연동하여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을 포함하고,
    상기 중개 서버는 회원가입시 상기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로 상품권을 팔거나 구매했을 때 일정 중개수수료가 부가됨을 고지하고 이를 승인받도록 하고,
    상기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은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보이는 상품권 중개 어플 아이콘을 클릭하면, 상품권 팔기 버튼과 상품권 사기 버튼이 있는 어플 시작화면을 보여주고,
    상기 상품권 팔기 버튼과 상기 상품권 사기 버튼 중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상품권 거래화면을 보여주고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품권 종류->거래방식->거래 정보 및 조건을 순차로 입력받되, 상기 상품권 거래화면에는 상기 거래방식을 입력할 때 일정금액 버튼, 경매 버튼 및 상품권교환 버튼을 보여주고 이 중에서 선택받도록 하고, 상기 거래 정보 및 조건을 입력할 때 상품권 금액 입력창,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위치서비스 기능을 활용하여 찾을 수 있는 상품권 사용처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거래 정보 입력창을 보여주고 해당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보이는 전송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중개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결과화면으로 보여주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은,
    상기 전송버튼을 클릭하지 아니하면,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돌아가기 버튼을 클릭할 경우 클릭횟수를 감지하여 상기 어플 시작화면까지 되돌아 가며 입력 데이터를 수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은,
    상기 어플 시작화면 또는 상기 결과화면에는 상품권 거래등록 리스트 버튼을 더 보이고,
    상기 상품권 거래등록 리스트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중개 서버에 기 등록된 상품권 리스트를 보여주고,
    상기 등록된 상품권 리스트에서 등록된 상품권을 클릭하면, 상기 중개 서버로 접속하여 등록된 상품권의 현재 거래정보 및 수정버튼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보여주고,
    상기 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수정자 정보 확인 후 상기 중개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현재 거래정보를 바로 수정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4. 제 3 항에서,
    상기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은,
    상기 등록된 상품권 리스트에서 등록된 상품권을 클릭하면, 상기 등록된 상품권의 거래방식에 따라 구매정보 입력 버튼, 입찰금액 입력 버튼 및 상품권 교환 버튼 중 하나 이상이 더 생성되고,
    상기 구매정보 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구매정보가 입력되면, 결제화면을 보여주고 결제방식을 선택받고,
    상기 결제방식에 따라 결제완료시 결제완료 메시지와 함께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상품권을 다운받고,
    상기 입찰금액 입력 버튼을 클릭하여 입찰금액이 입력되면, 소정의 경매시간 경과 후 낙찰 여부를 안내하고,
    낙찰 확인 신호가 들어오면, 상기 결제화면을 보여주고 결제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로 돌아가고,
    상기 상품권 교환 버튼을 클릭하면, 피교환상품권 정보 및 상품권파일을 입력받아 상기 중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개 서버로 전송된 상기 피교환상품권 정보가 상표권 교환 조건에 만족하게 되면, 접속자의 포인트를 차감한 후 상표권 교환 완료 메시지와 함께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교환상표권을 다운받고,
    상기 상표권 교환 조건에 만족하지 않게 되어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교환조건 보완 또는 포인트 구입 안내 메시지를 받게 되면, 교환조건 보완 또는 포인트 구입 후 상기 상표권 교환 완료 메시지와 함께 교환상표권을 다운받는 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교환조건 보완 또는 포인트 구입 안내 메시지를 받고도 일정 시간 이내 교환조건 보완 또는 포인트 구입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피교환상품권을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돌려받고 교환 실패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상품권 중개 어플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20140071926A 2014-06-13 2014-06-13 모바일상품권 거래 중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1600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926A KR101600898B1 (ko) 2014-06-13 2014-06-13 모바일상품권 거래 중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926A KR101600898B1 (ko) 2014-06-13 2014-06-13 모바일상품권 거래 중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909A KR20150143909A (ko) 2015-12-24
KR101600898B1 true KR101600898B1 (ko) 2016-03-09

Family

ID=5508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926A KR101600898B1 (ko) 2014-06-13 2014-06-13 모바일상품권 거래 중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803B1 (ko) * 2019-09-30 2021-12-02 문영재 모바일 상품권의 거래 플랫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403A (ko) * 2000-06-19 2001-12-28 박원배 물품 및 용역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08915A (ko) * 2000-07-21 2002-02-01 손창환 상품권매매시스템
KR101198884B1 (ko) * 2011-01-20 2012-11-07 비씨카드(주) 티켓 거래 중개 방법 및 티켓 거래 중개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909A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3272B2 (ja) 還元ポイントを用いるモバイル支払システム
JP4873118B2 (ja) オンライン・オフラインシステムにおける電子商品券流通方法
US201403510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oint of sale functiona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0803130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nsactions initiated via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0803067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order initiation offer to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101127925B1 (ko)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여부 조회 및 분할결제가 가능한 선불 카드용 조회시스템
US7096191B2 (en) Cash payment system using vending machine
US20130159077A1 (en) Local affiliate marketing
KR20110005507A (ko)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접목한 온라인 연결장치를 이용하는 전자화폐 결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8352330B2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returning cash points to a user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KR101544132B1 (ko) 현장 거래용 스마트 중고물품 거래자판기를 통한 중고물품거래장치 및 방법
CN105531728A (zh) 商户控制的销售点
WO2002017177A1 (en) The method and system of selling merchandise through a virtual shop with an electronic lottery
KR20110123107A (ko) 약정식 구매 상품권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76618A (ko) 배달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00898B1 (ko) 모바일상품권 거래 중개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0436955B1 (ko) 추첨 방식을 적용한 인터넷 쇼핑몰 운영방법
JP6556335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サーバ及びシステム
JP2019512830A (ja) インテリジェント選択機能を搭載した購入ガイド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083303B1 (ko) 적립 포인트를 이용한 자판기 상품 구매 시스템
CN113196321A (zh) 利用移动应用程序的实时随机折扣服务提供系统及方法
KR102258913B1 (ko) 할인폭을 변경할 수 있는 할인쿠폰을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KR10264750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랜덤물품 자판기
JP2001202418A (ja) オンライン決済装置
US20230055855A1 (en) Vending machi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