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369B1 -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369B1
KR101600369B1 KR1020140073057A KR20140073057A KR101600369B1 KR 101600369 B1 KR101600369 B1 KR 101600369B1 KR 1020140073057 A KR1020140073057 A KR 1020140073057A KR 20140073057 A KR20140073057 A KR 20140073057A KR 101600369 B1 KR101600369 B1 KR 101600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unit
telephone numb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207A (ko
Inventor
어호선
오정헌
유성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모바일
Priority to KR102014007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369B1/ko
Priority to PCT/KR2015/005896 priority patent/WO2015194793A1/ko
Publication of KR2015014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되고, 음성 통신망과 구별되는 데이터 통신망의 통신 어드레스로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사용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될 송신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격된 노드(node)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의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고 있다.
이때,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서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다양한 요소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78313호에는 오픈플로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와 로컬 호스트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송수신과 관련된 내용은 개시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78313호
본 발명은 다른 노드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되고, 음성 통신망과 구별되는 데이터 통신망의 통신 어드레스로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사용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수신된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될 송신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데이터 통신망의 통신 어드레스로 전화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통신 사업자는 용이하게 각 단말기의 통신 어드레스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별다른 통신 관련 지식이 없더라도 전화 번호로 타겟 단말기를 지정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단말기와 용이하게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통신 대상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함으로써, 그룹 단위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신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신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는 통신부(110), 표시부(190) 및 입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 PDA, 퍼스널 컴퓨터와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마련되거나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이 본 발명의 통신 장치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통신 모듈과 같은 통신부(110), 마이크 또는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부(170),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와 같은 표시부 등의 하드웨어적 요소가 마련된 단말기에는 통신 장치가 소프트웨어 형태로 탑재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다른 단말기 또는 다른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노드(node)는 데이터 통신망에서 통신 어드레스가 부여된 단말기일 수 있다.
통신부(110)에는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부여된 제1 전화 번호는 데이터 통신망의 통신 어드레스로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망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CDMA 등 음성 통신망과 구별되는 것으로, 일예로 인터넷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통신 어드레스에는 노드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의 식별 번호가 제1 전화 번호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망에서 각 단말기 또는 각 노드를 식별하는 식별자로 통신 어드레스가 필요하다. 이때의 통신 어드레스는 보통 복잡한 숫자와 영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루어진 통신 어드레스를 사용자가 인지하고 이용하기는 현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통신부(110)는 통신 사업자 등으로부터 부여된 제1 전화 번호가 포함된 문자열을 통신 어드레스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통신부(110)는 제1 전화 번호를 호출한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제1 전화 번호를 알고 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제1 전화 번호를 호출하면, 해당 사용자는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된 단말기 또는 노드(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를 통해 주고받는 데이터는 음성 통신망과 구별되는 데이터 통신망을 경유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에 해당되며, 문자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데이터는 음성 통신망을 이용하는 음성 신호와 구분되는 것으로 인터넷망 등 데이터 통신망을 경유한 것일 수 있다.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통신 장치에는 표시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190)는 통신부(110)에서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표시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표시부(190)의 종류도 달라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문자 데이터 또는 그래픽 데이터라면 표시부(19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라면 표시부(19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에는 처리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처리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호화하거나, 각 표시부(190)의 표시 형식에 맞춰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30)는 문자 데이터 또는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부(190)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처리부(130)는 음성 데이터가 표시부(190)에 해당하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해당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통신부(110)를 통해 다른 노드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통신 장치에는 입력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송신될 송신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입력부(170)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 문자 데이터 또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통신에 맞는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를 통해 출력 가능한 양식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1 전화 번호를 호출한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만약, 일시점에서 제1 전화 번호를 호출한 노드가 복수인 경우, 통신부(110)는 일반 전화 통화와 다르게 모든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하나의 통신부(110)에 대해 복수의 통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노드는 통신부(110)가 다른 노드와 통신하는 상태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신부(11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만, 각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서로 다른 수신 데이터가 하나의 표시부(190)를 통해 동시에 출력된다면, 통신 장치의 사용자는 그 내용을 확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입력부(170)는 통신부(110)와 통신 중인 복수의 노드(100)중 특정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특정 노드가 선택되면 처리부(130)는 특정 노드의 채널만을 표시부(190)에 연결시키고, 이를 통해 표시부(190)는 특정 노드로부터 수신된 수신 데이터만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입력부(170)에 의해 선택되지 못한 나머지 노드로부터 수신된 수신 데이터는 별다른 조치없이 사라질 수 있다.
또한, 나머지 노드는 통신부(110)와 정상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전송을 시도조차 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불합리함을 해소하기 위해 통신 장치에는 저장부(150)가 부가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송신 데이터 및 수신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위 실시예의 경우, 나머지 노드로부터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에는 표시부(190)를 통해 표시된 수신 데이터 역시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저장부(150)에는 통신부(110)를 통해 복수의 노드로부터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표시부(190)에 표시된 여부와 상관없이 모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7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90)는 입력부(170)에 의해 선택된 특정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장부(150)에 저장된 수신 데이터를 추출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때의 재생에는 처리부(130)도 관여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입력부(170)를 통해 입력된 송신 데이터 역시 저장부(150)에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처리부(130)에 의해 재생되며, 표시부(19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특정 환경에서만 송신 데이터를 다른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환경의 제약 없이 다른 노드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190) 역시 특정 환경에서만 수신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 또는 표시부(190)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입력부(17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트리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입력부(170)에는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물리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트리거 신호는 해당 버튼이 눌려지면 생성될 수 있다. 만약, 해당 버튼의 눌림 상태가 해제되면 트리거 신호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버튼이 눌리면 트리거 신호가 해제되고, 버튼의 눌림 상태가 해제되면 트리거 신호가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트리거 신호가 생성되면, 통신부(110)는 제1 전화 번호를 호출한 노드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만약 트리거 신호가 해제되면, 표시부(190)는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된 수신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일예로, 통신 장치는 버튼을 누르면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버튼을 떼면 수신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리거 신호가 유지되는 제1 기간에는 입력부(170) 및 통신부(110)가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 데이터는 입력부(170)에서 생성되고, 통신부(110)를 통해 타겟 노드로 송신될 수 있다. 트리거 신호가 유지되는 제1 기간은 버튼이 눌려진 기간이거나 버튼이 떼어진 기간일 수 있다.
그리고, 트리거 신호가 해제된 제2 기간에는 표시부(190) 및 통신부(110)가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데이터는 통신부(110)를 통해 표시부(19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의 해제로 송신 데이터가 타겟 노드로 송신되는 중에는 표시부(190)를 통해 수신 데이터가 표시될 수 없다.
즉, 제2 기간 동안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사라질 수 있다. 이렇게 사라지는 수신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 저장부(150)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저장부(150)는 제2 기간에 타겟 노드로부터 수신된 수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타겟 노드는 제1 전화 번호를 호출한 노드이거나, 통신부(110)에서 호출한 노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저장부(150)가 모든 수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적은 용량의 메모리로 저장부(150)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저장부(150)에 저장된 수신 데이터는 처리부(130)에 의해 재생되고, 표시부(19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통신부(110)는 도 1과 같이 하나의 노드와 통신하는 제1 모드 및 도 2와 같이 복수의 노드와 통신하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모드의 경우 통신 장치는 동일한 송신 데이터를 통신부(110)를 통해 복수의 노드로 동시에 송신하고, 복수의 노드로부터 수신된 수신 데이터를 표시부(190)를 통해 모두 표시할 수 있다.
특정 노드가 제1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통신부(110)를 호출하면, 통신부(110)는 특정 노드를 대상으로 하는 제1 모드로만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신 장치는 다른 노드로부터 통신을 요청받을 경우 제1 모드로만 동작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에는 n+1개의 노드가 마련되고 있다. 이때, 각 노드에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좌측에 배치된 1개의 노드가 우측에 배치된 n개의 노드를 동시에 호출하고 있다. 이때, 호출을 받은 노드 ①, ②,..., ⓝ은 자신을 호출한 좌측의 노드 1개와 통신하고, 다른 노드와는 통신할 수 없다.
일예로, 소방관들이 통신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책임자는 모든 소방관을 대상으로 지시 사항을 전달하고, 각 소방관으로부터 필요 사항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2의 좌측에 배치된 노드는 책임자가 사용하고, 우측에 배치된 노드 ①, ②,..., ⓝ은 각 소방관이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에 사용하던 무전기와 유사한 환경이 구축되나, 통신 가능한 범위, 즉 커버리지 범위에서 막대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일예로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통신 장치가 설비된다면 전세계를 통신 커버리지로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통신 장치가 설비된 복수의 노드(100)가 개시되고 있다.
이때, 각 노드에는 서로 구분되는 제2 전화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구분되는 제2 전화 번호 중 하나가 제1 전화 번호일 수 있다.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된 통신부(110)는 제2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복수 노드 중 하나의 특정 노드를 호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신부(110)는 특정 노드에 대해 통신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10)는 특정 노드를 대상으로 제1 모드로만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통신부(110)는 제2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노드를 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10)는 호출이 이루어진 복수의 노드를 대상으로 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를 하나씩 선택 또는 호출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그룹 개념을 도입할 수 있다.
일예로, 통신부(110)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한 그룹을 호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를 대상으로 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70)는 동일한 송신 데이터의 타겟이 되는 복수의 노드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각 노드에는 서로 구분되는 제2 전화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70)에 의해 특정 그룹이 선택되면 통신부(110)는 특정 그룹에 포함된 각 노드의 전화 번호를 대상으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정리하면, 통신부(110)는 특정 노드(100)또는 특정 그룹과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부(110)가 특정 대상과 통신하고 있는 도중에 다른 대상이 끼어들게 되면 기존 통신 대상의 사용자와 통신부(110)의 사용자 간의 의사 전달에 혼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신부(110)는 특정 노드(100)또는 특정 그룹과의 통신이 종료되기 전에는 다른 노드(100)또는 다른 그룹과의 통신이 배제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총 7개의 노드가 배치되고 있다.
노드 ⓢ는 입력부(170)를 통해 3개의 노드 ①, ②, ③을 하나의 그룹 ⓐ로 설정하고 있다.
노드 ⓢ에서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면, 노드 ⓢ의 통신부(110)는 그룹 ⓐ로 송신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룹 ⓐ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드 ⓢ에서 송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노드 ⓢ의 통신부(110)는 그룹 ⓐ를 구성하는 노드 ①, ②, ③ 각각에 동일한 송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노드 ①은 호출을 받은 노드가 되므로, 노드 ⓢ로만 자신의 송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다른 노드로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다.
또한, 노드 ⓢ는 동일한 송신 데이터를 노드 ①, ②, ③ 모두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그룹 ⓐ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노드 ⓢ는 노드 ①, ②, ③ 모두에 동일한 송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뿐, 그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여 송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는 없다. 또한, 노드 ①, ②, ③을 제외한 다른 노드로도 송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다.
이러한 관계는 노드 ⓢ와 노드 ①의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노드 ⓢ 또는 노드 ①의 선택에 의해 노드 ⓢ와 노드 ①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노드 ⓢ와 노드 ①은 다른 노드들과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의 통신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수신 데이터는 각 노드의 표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노드 ②, ③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일예로, 노드 ③은 노드 ⓢ와 통신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다른 노드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노드 ③은 그룹 ⓑ와 통신할 수 있다.
그룹 ⓑ에 노드 ④, ⑤, ⑥이 포함된 경우, 노드 ③의 통신부(110)는 노드 ④, ⑤, ⑥에 동일한 송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노드 ④, ⑤, ⑥ 각각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저장부(150)가 마련된 경우라면, 노드 ①의 통신부(110)는 노드 ⓢ와 통신하는 중에도 다른 노드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노드 ⓢ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표시부(19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반면,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표시부(190)를 통해 출력되는 대신 저장부(150)에 저장되고, 추후 처리부(130)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노드 110...통신부
130...처리부 150...저장부
170...입력부 190...표시부

Claims (10)

  1. 삭제
  2.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되고, 음성 통신망과 구별되는 데이터 통신망의 통신 어드레스로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사용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될 송신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호출한 복수의 노드와 통신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노드 중 특정 노드를 선택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특정 노드로부터 수신된 수신 데이터만 표시하는 통신 장치.
  3.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되고, 음성 통신망과 구별되는 데이터 통신망의 통신 어드레스로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사용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될 송신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송신 데이터 및 상기 수신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호출한 복수의 노드와 통신하며,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복수의 노드로부터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특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통신 장치.
  4.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되고, 음성 통신망과 구별되는 데이터 통신망의 통신 어드레스로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사용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될 송신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호출한 노드와 통신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트리거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노드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가 해제되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노드로부터 수신된 상기 수신 데이터를 표시하는 통신 장치.
  5.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되고, 음성 통신망과 구별되는 데이터 통신망의 통신 어드레스로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사용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될 송신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호출한 노드와 통신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트리거 신호가 유지되는 제1 기간에는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가 구동되며, 상기 송신 데이터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노드로 송신되고,
    상기 트리거 신호가 해제된 제2 기간에는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가 구동되며, 상기 수신 데이터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로 전달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에 상기 노드로부터 수신된 수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수신 데이터를 재생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7.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되고, 음성 통신망과 구별되는 데이터 통신망의 통신 어드레스로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사용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될 송신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하나의 노드와 통신하는 제1 모드 및 복수의 노드와 통신하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고,
    특정 노드가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부를 호출하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특정 노드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제1 모드로만 동작하는 통신 장치.
  8.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되고, 음성 통신망과 구별되는 데이터 통신망의 통신 어드레스로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사용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될 송신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하나의 노드와 통신하는 제1 모드 및 복수의 노드와 통신하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고,
    상기 각 노드에는 서로 구분되는 제2 전화 번호가 부여되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노드 중 하나의 특정 노드를 호출하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특정 노드를 대상으로 하는 상기 제1 모드로만 동작하거나,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2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노드를 호출하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호출이 이루어진 복수의 노드를 대상으로 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거나,
    상기 통신부가 복수의 노드를 포함한 그룹을 호출하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를 대상으로 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장치.
  9. 제1 전화 번호가 부여되고, 음성 통신망과 구별되는 데이터 통신망의 통신 어드레스로 상기 제1 전화 번호를 사용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될 송신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특정 노드 또는 특정 그룹과 통신하고, 상기 특정 노드 또는 상기 특정 그룹과의 통신이 종료되기 전에는 다른 노드 또는 다른 그룹과의 통신이 배제되는 통신 장치.
  10. 삭제
KR1020140073057A 2014-06-16 2014-06-16 통신 장치 KR101600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057A KR101600369B1 (ko) 2014-06-16 2014-06-16 통신 장치
PCT/KR2015/005896 WO2015194793A1 (ko) 2014-06-16 2015-06-11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057A KR101600369B1 (ko) 2014-06-16 2014-06-16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207A KR20150144207A (ko) 2015-12-24
KR101600369B1 true KR101600369B1 (ko) 2016-03-07

Family

ID=5493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057A KR101600369B1 (ko) 2014-06-16 2014-06-16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0369B1 (ko)
WO (1) WO201519479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545B1 (ko) * 2011-07-18 2012-08-30 주식회사 코모바일 유저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을 이용한 푸시-투-토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197B1 (ko) * 2006-06-30 2013-03-05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통합하여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 통신단말기
KR101378313B1 (ko) 2013-09-12 2014-03-27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오픈플로우(OpenFlow)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와 로컬 호스트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545B1 (ko) * 2011-07-18 2012-08-30 주식회사 코모바일 유저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을 이용한 푸시-투-토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4793A1 (ko) 2015-12-23
KR20150144207A (ko)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36566A1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8914016B1 (en) External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JP2017534930A (ja) チャットインターフェースでのゲーム実現の方法、装置および端末機器
KR20140020112A (ko) 메시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RU260957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лужбы передачи речи
EP1771002A2 (en) Mobile video communication terminal
KR20140137736A (ko) 그룹 메시지 표시 방법 및 장치
EP4099690A1 (en) Enhanced video call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N115190197B (zh) 基于蓝牙耳机的通话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7028343A (ja) 会議システム及び端末
KR20100110148A (ko) 화면 터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화면 터치를 기반으로 하는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KR101600369B1 (ko) 통신 장치
US706902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SMS in mobile telephone
KR20080025227A (ko) 이모티콘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상통화시 이모티콘 표시방법
WO2004102374A1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装置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KR100610898B1 (ko) 음성메모 입력시 지정한 이미지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806507B1 (ko) 인터넷전화 기능을 갖는 일체형 컴퓨터 장치
KR101400762B1 (ko) 통화 중 메세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90026991A (ko) 미등록 메시지 리스트를 이용한 전화번호 등록 방법 및장치
KR1012188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ptt 서비스 설정방법
KR100629078B1 (ko) 요청받은 전화 번호로의 통화 요청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4967169B2 (ja) 交換システム及び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pcと電話機との連携方法
KR20160019074A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의 그룹 채팅
KR100749749B1 (ko) 원격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15026905A (ja) 着信応答プログラム、電話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