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330B1 -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330B1
KR101600330B1 KR1020140074023A KR20140074023A KR101600330B1 KR 101600330 B1 KR101600330 B1 KR 101600330B1 KR 1020140074023 A KR1020140074023 A KR 1020140074023A KR 20140074023 A KR20140074023 A KR 20140074023A KR 101600330 B1 KR101600330 B1 KR 101600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s
tape
tapes
release film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284A (ko
Inventor
정준진
김영호
Original Assignee
㈜드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림텍 filed Critical ㈜드림텍
Priority to KR1020140074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33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착력이 서로 다른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와,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상면에 접착 형성되는 이형필름과,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배면에 접착 형성되는 바닥지를 포함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의 배면에 접착 형성되며, 상기 바닥지의 제거 시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가 상기 바닥지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사방지부재가 구비되는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물 {STRUCTURE OF PREVENTING TRANSFER BADNESS OF PLURALITY TAPE WITH DIFFERENT ADHESION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로부터 바닥지를 제거할 때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강한 테이프가 바닥지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의 기술 개발이 급속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각종 모바일 기기에 대한 대중적인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의 경우, 종전의 휴대폰 및 개인용 컴퓨터의 제한적인 이용 형태에서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지참할 수 있는 형태로 소형화로 제작되어, 바쁜 일상의 현대인들에게는 항시 소지하고 다니는 필수품의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판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 모바일 기기용 기판에는 여러 형상과 기능을 갖는 테이프(이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라 함)가 구비된다.
상기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는 대부분 일면을 통해 이형필름이 접착되며, 타면을 통해 바닥지가 접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그런데, 상기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경우 그 종류마다 조금씩 접착력에 차이가 있기에, 바닥지를 제거하는 과정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강한 테이프가 바닥지로 전사되어 바닥지와 함께 분리되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이 같은 문제를 테이프 전사 불량이라 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방안이 절실히 요청된다.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7-1495호 (1997.01.24. 공개)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전자 부품용 접착테이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로부터 바닥지를 제거할 때 테이프 별로 접착력이 서로 다른 점에 기인하여 일부 테이프가 바닥지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착력이 서로 다른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와,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상면에 접착 형성되는 이형필름과,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배면에 접착 형성되는 바닥지를 포함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의 배면에 접착 형성되며, 상기 바닥지의 제거 시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가 상기 바닥지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사방지부재가 구비되는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사방지부재는,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가 배치되는 구간에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는 상기 전사방지부재의 배면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사방지부재는, 상기 이형필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형력(release force)이 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사방지부재는, 상기 이형필름 및 상기 바닥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접착력이 서로 다른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와,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상면에 접착 형성되는 이형필름과,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배면에 접착 형성되는 바닥지를 포함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가 배치되는 구간을 따라 상기 이형필름의 배면에 접착 형성되는 전사방지부재; 및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가 배치되는 구간을 따라 상기 바닥지의 상면에 구비되는 엠보싱부;를 포함하여, 상기 바닥지의 제거 시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가 상기 바닥지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는 상기 전사방지부재의 배면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사방지부재는, 상기 이형필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형력(release force)이 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사방지부재는, 상기 이형필름 및 상기 바닥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바닥지의 코팅면을 통해 격자 무늬로 돌출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로부터 바닥지를 제거할 때 테이프 별로 접착력이 서로 다른 점에 기인하여 일부 테이프가 바닥지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제조 공정 상에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 속도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전사 불량 방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은 도 1의 A-A 단면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전사 불량 방지 구조에서 바닥지가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전사 불량 방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도 4의 B-B 단면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전사 불량 방지 구조에서 바닥지가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전사 불량 방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전사 불량 방지 구조(100)는 접착력이 서로 다른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T1, T2, T3)와,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상면에 접착 형성되는 이형필름(110)과,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배면에 접착 형성되는 바닥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형필름(110)의 배면에 접착 형성되어 상기 바닥지(미도시)의 제거 시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T1, T2, T3)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T3)가 상기 바닥지(미도시)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사방지부재(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T1, T2, T3)의 종류마다 조금씩 접착력에 차이가 있기에, 바닥지를 제거하는 과정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강한 테이프(T3)가 바닥지로 전사되어 바닥지와 함께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전사 불량'이라 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형력(release force)이 높은 전사방지부재(120)를 이형필름(110)과 바닥지(미도시) 사이에 더 구비함으로써, 바닥지의 제거 시에도 상기 테이프(T3)가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사방지부재(120)는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T1, T2, T3)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T3)가 배치되는 구간을 따라 이형필름(110)의 배면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T1, T2, T3)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T3)는 상기 전사방지부재(120)의 배면을 통해 접착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사방지부재(120)는 상기 이형필름(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형력(release force)이 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사방지부재(120)는 재질 특성 상 이형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매끄러운 표면가공을 통해 이형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부재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사방지부재(120)는 상기 이형필름(110) 및 상기 바닥지(미도시)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사방지부재의 길이 양단은 상기 이형필름 및 상기 바닥지의 길이 양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은 도 1의 A-A 단면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사방지부재(120)가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T1, T2, T3)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T3)가 배치되는 구간을 따라 이형필름(110)의 배면을 통해 구비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사방지부재(120)는 상기 테이프(T3)에 비해 더 큰 면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전사 불량 방지 구조에서 바닥지가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이형력(release force)이 높은 전사방지부재(120)를 이형필름(110)과 바닥지(130) 사이에 더 구비함으로써, 바닥지(130)의 제거 시에도 상기 테이프(T3)가 상기 전사방지부재(120)의 배면을 통해 그대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전사 불량 방지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전사 불량 방지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전사방지부재(120)를 구비하고, 이에 더하여 바닥지의 상면을 통해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T1, T2, T3)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T3)가 배치되는 구간을 따라 엠보싱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전사방지부재(120)와 함께 상기 엠보싱부(131)를 통해 바닥지의 제거 시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가 바닥지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B-B 단면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엠보싱부(131)가 바닥지(130)의 상면을 통해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T1, T2, T3)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T3)가 배치되는 구간을 따라 돌출하여 구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엠보싱부(131)의 돌기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다른 형상의 요철 무늬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전사 불량 방지 구조에서 바닥지가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이형력(release force)이 높은 전사방지부재(120)를 이형필름(110)과 바닥지(130) 사이에 더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바닥지(130)의 상면(예: 바닥지의 코팅면)을 통해 엠보싱부(131)가 격자 무늬로 돌출하여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바닥지(130)의 제거 시에도 종래 전사 불량에 취약한 테이프(T3)는 상기 바닥지(130)와 용이하게 분리되며 바닥지(130)의 상면으로 전사되는 종래의 전사 불량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로부터 바닥지를 제거할 때 테이프 별로 접착력이 서로 다른 점에 기인하여 일부 테이프가 바닥지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제조 공정 상에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 속도 및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1, T2, T3: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100: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
110: 이형필름
120: 전사방지부재
130: 바닥지
131: 엠보싱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접착력이 서로 다른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와,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상면에 접착 형성되는 이형필름과,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배면에 접착 형성되는 바닥지를 포함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가 배치되는 구간을 따라 상기 이형필름의 배면에 접착 형성되는 전사방지부재; 및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가 배치되는 구간을 따라 상기 바닥지의 상면에 구비되는 엠보싱부;를 포함하여,
    상기 바닥지의 제거 시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가 상기 바닥지로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큰 테이프는 상기 전사방지부재의 배면을 통해 구비되며,
    상기 전사방지부재는 매끄러운 표면가공을 통해 상기 이형필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형력(release force)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전사방지부재는 상기 이형필름 및 상기 바닥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상기 전사방지부재의 길이 양단은 상기 이형필름 및 상기 바닥지의 길이 양단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바닥지의 상면에 형성된 코팅면을 통해 격자 무늬로 돌출하여 구비되는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74023A 2014-06-18 2014-06-18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물 KR101600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023A KR101600330B1 (ko) 2014-06-18 2014-06-18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023A KR101600330B1 (ko) 2014-06-18 2014-06-18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284A KR20150145284A (ko) 2015-12-30
KR101600330B1 true KR101600330B1 (ko) 2016-03-08

Family

ID=5508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023A KR101600330B1 (ko) 2014-06-18 2014-06-18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3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025U (ja) 2001-06-28 2002-01-18 王佳實業股▲分▼有限公司 粘着用テープ体
KR100787002B1 (ko) 2007-05-23 2007-12-18 산양전기주식회사 복수개의 보조테이프가 배열된 캐리어테이프 및 이를이용한 fpcb 보조테이프 부착방법
KR101401034B1 (ko) 2013-09-16 2014-05-29 강용찬 연성회로기판용 접착테이프 및 그 부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3025U (ko) * 1989-12-11 1991-08-23
JP5856867B2 (ja) * 2012-02-16 2016-02-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025U (ja) 2001-06-28 2002-01-18 王佳實業股▲分▼有限公司 粘着用テープ体
KR100787002B1 (ko) 2007-05-23 2007-12-18 산양전기주식회사 복수개의 보조테이프가 배열된 캐리어테이프 및 이를이용한 fpcb 보조테이프 부착방법
KR101401034B1 (ko) 2013-09-16 2014-05-29 강용찬 연성회로기판용 접착테이프 및 그 부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284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N2015DN03284A (ko)
TW200736781A (en) Pressure sensitive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540607B1 (ko) 안테나가 접착된 베이스 부재 및 접착층
WO2006113806A3 (en) Isolation layer for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20140141207A1 (en) Protective film
KR101600330B1 (ko) 접착력이 상이한 다수의 모바일 기기용 테이프의 전사 불량 방지 구조물
CN208938543U (zh) 盖板及显示装置
KR101407498B1 (ko) 기판용 테이프의 이형필름 구조체
KR20140042320A (ko) 유연 집적회로 소자 패키지 제조용 전사 장치
CN106028775B (zh) 磁性薄板和电子仪器
WO2007078799A3 (en) Low resistivity package substr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202035086A (zh) 衝切用具及衝切方法
KR20170008981A (ko) 전자파 차폐 및 방열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JP2013086315A (ja) スクリーン印刷機用スクリーン版
KR101321067B1 (ko) 부분점착 테이프 제조방법
JP5857202B2 (ja) 熱伝導シート
CN106909208B (zh) 粘接部件以及电子设备
US20140099432A1 (en) Fabrication method for flexible circuit board
KR102219128B1 (ko) 전사필름, 전사필름을 이용한 전사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전자제품
US10016930B2 (en) Printing method of 3D printer
CN109605793B (zh) 外壳的加工方法、外壳及电子设备
KR101032208B1 (ko) 캐리어 필름을 이용한 커버레이어 형성용 다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의 커버레이어 형성 방법
TWI335782B (ko)
JP6136561B2 (ja) 情報媒体及び情報媒体の製造方法、導電層のパターン付与方法
KR200382855Y1 (ko) 정전기 방지 점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