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476B1 - 치아용 포스트 - Google Patents

치아용 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476B1
KR101599476B1 KR1020150074604A KR20150074604A KR101599476B1 KR 101599476 B1 KR101599476 B1 KR 101599476B1 KR 1020150074604 A KR1020150074604 A KR 1020150074604A KR 20150074604 A KR20150074604 A KR 20150074604A KR 101599476 B1 KR101599476 B1 KR 101599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post body
light
light scattering
scatter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두락
신경수
Original Assignee
(주)디엑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엑스엠 filed Critical (주)디엑스엠
Priority to KR102015007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476B1/ko
Priority to PCT/KR2016/004193 priority patent/WO20161905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A61C13/14Vulcanising devices for artificial teeth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용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치아 근관 내에 식립되는 포스트본체와; 상기 포스트본체의 외주면에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본체 상부에서 하부로 조사되는 광을 상기 포스트본체의 외측으로 산란시키는 광산란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아용 포스트{DENTAL POST}
본 발명은 치아용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배출시켜 접착제의 경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치아용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충치와 같이 치아가 손상되는 경우, 근관 내부의 손상된 신경조직을 잘라내고 잘라낸 신경조직의 자리에 포스트를 식립하고 인공치아 또는 치아를 덮개 된다. 포스트의 일례가 공개특허 제10-2010-0104206호 "치아포스트"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포스트(15)를 근관(11) 내부에 식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근관(11) 내부에 포스트(15)를 배치하고, 포스트(15)를 근관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13)를 충진한다. 그리고, 접착제(13)를 경화시켜 포스트(15)를 고정시키고, 치아(10)의 삽입공(10a)에 포스트(15)의 상단을 삽입하여 시술을 완료한다.
여기서, 접착제(13)는 광경화 접착제와 셀프 경화 접착제가 혼합되어 사용된다. 접착제(13)의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포스트(15)의 상부에서 광(L)을 조사한다. 조사된 광(L)은 포스트(15)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며 외부로 배출되어 접착제(13)를 경화시키게 된다.
그런데, 통상 광(L)은 직진성을 갖게 되므로, 상부에서 조사된 광(L)은 대부분 포스트(15) 내부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고 접착제(13)가 위치된 외부로 배출되는 광량은 미비하다. 이에 접착제(13)의 경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신경치료의 실패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외부로 배출되는 량을 늘려 접착제 경화시간을 줄일 수 있는 치아용 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용 포스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용 포스트는, 치아 근관 내에 식립되는 포스트본체와; 상기 포스트본체의 외주면에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본체 상부에서 하부로 조사되는 광을 상기 포스트본체의 외측으로 산란시키는 광산란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패턴은 상기 포스트본체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패턴은 상기 포스트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패턴은 상기 포스트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패턴은 상기 포스트본체의 외주면에 함몰된 도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패턴은 상기 포스트본체의 외주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산란패턴은 상기 포스트본체의 외주면에 불규칙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포스트는 포스트본체의 외벽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광산란패턴이 형성되어, 광원에서 입사된 광이 수직하게 이동되지 않고 광산란패턴에 부딪혀 다양한 각도로 산란된 후 외벽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포스트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광량이 증가하여 포스트본체를 감싸는 접착제의 경화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접착제와 포스트의 접촉면적이 늘어나고, 포스트의 함몰된 부위에 접착제가 채워짐으로써 접착고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포스트를 치아에 식재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를 따라 광이 이동되는 경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포스트(100)의 내부를 따라 광이 이동되는 경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스트(1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포스트(100)는 포스트본체(110)와, 포스트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광산란패턴(120)을 포함한다.
포스트본체(110)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원뿔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포스트본체(110)는 유리강화섬유 또는 탄소강화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광산란패턴(120)은 포스트본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포스트본체(110)의 상부에서 입사되는 광(L)을 포스트본체(110)의 외부로 안내한다. 즉, 광산란패턴(120)은 광원(도 1의 A)으로부터 조사되어 포스트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는 광(L)이 포스트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광(L)의 이동경로를 변화시킨다.
광산란패턴(120)은 포스트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포스트본체(110)가 근관(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광원(A)에서 광을 조사하면 상대적으로 하부로 전달되는 광량이 적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포스트본체(110)는 광산란패턴(120)이 상부영역에 비해 하부영역에 보다 높은 비율로 배치되도록 하여 하부 측면으로 배출되는 광량이 보다 많아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광산란패턴(120) 사이의 간격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다(d1>d2). 또한, 경우에 따라 광산란패턴(120)의 두께도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점차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w1<w2).
한편, 광산란패턴(120)의 깊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본체(110) 내부로 입사된 광(L)이 표면에 부딪쳐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광산란패턴(120)의 깊이는 포스트본체(110)의 직경과 재질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포스트(100)의 광배출 경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포스트본체(110)를 근관 내부에 배치하고, 근관과 포스트본체(110) 사이의 공간에 접착제(13)를 충진한다.
그리고, 포스트본체(110)의 상부에 광(L)을 조사한다. 광원에서 조사된 광(L)은 포스트본체(110)의 내부로 입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L)의 입사각도에 따라 포스트본체(110) 내부로 입사된 광(L)은 입사된 후, 포스트본체(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내벽면에 함몰 형성된 광산란패턴(120)에 부딪쳐 포스트본체(110)의 측면 방향으로 광경로가 꺽여진다.
경로가 꺽여진 광(L)은 포스트본체(110)의 외벽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L1). 출사된 광(L1)은 포스트본체(110)를 감싸는 접착제(도 1의 13)와 접촉되며 접착제(13)를 경화시키게 된다.
광산란패턴(120)의 형상에 의해 종래 광산란패턴(120)이 형성되지 않은 포스트와 비교할 때 외부로 배출되는 광량이 현저히 많아지므로 접착제의 경화시간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포스트식립 시술시간도 짧아질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100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100)는 광산란패턴(120)이 원주방향으로 링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100a)는 광산란패턴(130)이 포스트(100)의 외벽면에 길이방향으로 직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100b)는 광산란패턴(140)이 일정간격으로 포스트본체(110) 외벽면의 전영역에 도트형태로 형성된다. 내부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도트형태의 광산란패턴(140)이 입사광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한편, 광산란패턴은 상술한 형태 외에도 포스트본체의 외벽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거나, 불규칙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원주방향을 따른 링형상, 직선형상, 도트 형상이 서로 혼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용 포스트는 포스트본체의 외벽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광산란패턴이 형성되어, 광원에서 입사된 광이 수직하게 이동되지 않고 광산란패턴에 부딪혀 다양한 각도로 산란된 후 외벽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포스트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광량이 증가하여 포스트본체를 감싸는 접착제의 경화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치아용 포스트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치아용 포스트
110 : 포스트본체
120 : 광산란패턴

Claims (7)

  1. 치아 근관 내에 식립되는 포스트본체와;
    상기 포스트본체의 외주면에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본체 상부에서 하부로 조사되는 광을 상기 포스트본체의 외측으로 산란시키는 복수개의 광산란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광산란패턴은 상기 포스트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간격은 좁아지고 두께는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포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패턴은 상기 포스트본체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포스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패턴은 상기 포스트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포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패턴은 상기 포스트본체의 외주면에 함몰된 도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포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패턴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포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패턴은 불규칙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포스트.
KR1020150074604A 2015-05-28 2015-05-28 치아용 포스트 KR101599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604A KR101599476B1 (ko) 2015-05-28 2015-05-28 치아용 포스트
PCT/KR2016/004193 WO2016190550A1 (ko) 2015-05-28 2016-04-22 치아용 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604A KR101599476B1 (ko) 2015-05-28 2015-05-28 치아용 포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476B1 true KR101599476B1 (ko) 2016-03-03

Family

ID=5553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604A KR101599476B1 (ko) 2015-05-28 2015-05-28 치아용 포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9476B1 (ko)
WO (1) WO20161905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550A1 (ko) * 2015-05-28 2016-12-01 (주)디엑스엠 치아용 포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0486A2 (en) * 1999-07-23 2001-01-24 Sergio Cellentani Pin for use in dentistry
JP2010042152A (ja) * 2008-08-13 2010-02-25 Sun Medical Co Ltd 歯科用支台築造光ファイバー入りファイバーポスト、およびそれを含む歯科治療用キ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343B1 (ko) * 2006-11-21 2007-06-19 주식회사 레이 덴탈 ct를 이용한 인공치아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026776B1 (ko) * 2009-02-06 2011-04-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지대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9476B1 (ko) * 2015-05-28 2016-03-03 (주)디엑스엠 치아용 포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0486A2 (en) * 1999-07-23 2001-01-24 Sergio Cellentani Pin for use in dentistry
JP2010042152A (ja) * 2008-08-13 2010-02-25 Sun Medical Co Ltd 歯科用支台築造光ファイバー入りファイバーポスト、およびそれを含む歯科治療用キ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550A1 (ko) * 2015-05-28 2016-12-01 (주)디엑스엠 치아용 포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0550A1 (ko)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42568C (en) Light diffusing devices for use in photoimmunotherapy
US4631030A (en) Equipment for putting in approximal fillings with light-hardening materials
EP1778118B1 (en) Fiber optic probe for use in a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making it
EP3635458B1 (en) Light diffusing devices for use in photoimmunotherapy
KR101599476B1 (ko) 치아용 포스트
JP5872928B2 (ja) 根管治療器具
CN108700262A (zh) 带有光源的匀光器
US5073402A (en) Method of making an optical device
CN106137413A (zh) 光学编织纤维牙根柱
Vicentin et al. Application of ESR spectroscopy in the study of the light efficiency of a dental translucent fiberglass post to promote polymerization
TW201635982A (zh) 光學編織纖維牙根柱
JP5395742B2 (ja) 発光デバイス及び発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4725732B2 (ja) 歯科修復用接着剤の照射硬化器具
JP2019051022A (ja) 光散乱部品及び医療ライトガイド
JP2015028991A (ja) Ledランプの製造方法
NZ760765B2 (en) Light diffusing devices for use in photoimmuno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