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949B1 -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및 제어방법과 헤드 유닛 - Google Patents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및 제어방법과 헤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949B1
KR101598949B1 KR1020140139863A KR20140139863A KR101598949B1 KR 101598949 B1 KR101598949 B1 KR 101598949B1 KR 1020140139863 A KR1020140139863 A KR 1020140139863A KR 20140139863 A KR20140139863 A KR 20140139863A KR 101598949 B1 KR101598949 B1 KR 101598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mode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및 제어방법과 헤드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통신부; 제어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 차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차량 내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헤드 유닛; 및 차량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이 등록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헤드 유닛을 정상 작동시키거나, 또는 발렛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및 제어방법과 헤드 유닛{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TOMATIC VALET MODE, AND HEAD UNIT}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및 제어방법과 헤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차량 안전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안전 장치는 차량의 도로 주행 시, 운전자의 핸들조작을 보조하여 주행차선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선이탈 경보 장치와 운전자에 의해서 선택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경로에 따른 주변 정보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유닛(Head Unit)은 상술한 내비게이션 기능뿐만 아니라,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을 비롯한 차량 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차량 내 탑승한 사용자의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때, 헤드 유닛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보안이 요구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여 서비스 제공 시 이용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헤드 유닛을 탑재한 차량은 차주가 운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호텔, 음식점 등을 방문할 때 발렛 파킹 등을 위해 타인이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차주의 개인 정보를 취급하는 헤드 유닛의 보안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다.
개시된 발명은 차량에 탑승할 사용자의 단말을 보안된 운전자로 등록하고, 미등록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하여 헤드 유닛의 접근을 제한하는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및 제어방법과 헤드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측면은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운전자 정보를 비롯하여 차량과 관련된 각종 제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차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기 차량 내 내비게이션 기능을 비롯한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헤드 유닛; 및 상기 차량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이 등록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등록 운전자인 경우 상기 헤드 유닛을 정상 작동시키며, 미등록 운전자인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헤드 유닛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등록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 운전자인 경우, 상기 헤드 유닛이 정상 작동되어 주행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미등록 운전자인 경우, 상기 발렛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운전자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 운전자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사용자 단말 미소지자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하고, 운전자에 의해서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헤드 유닛을 주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 유닛의 주행 모드 구동 중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헤드 유닛의 부가 서비스를 정상 동작 지원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재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다른 측면은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운전자로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차량이 운전자에 의해서 입력된 비밀번호를 수신한 경우, 헤드 유닛을 정상 작동시켜 주행모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하여 헤드 유닛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운전자로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차량이 헤드 유닛을 정상 작동시켜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이후에,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비정상 종료된 경우,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재 연결시도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재연결이 실패한 경우, 차량이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운전자에 의해서 입력된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헤드 유닛을 주행 모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발렛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이후에,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정상 종료된 경우, 차량이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차량이 운전자에 의해서 입력된 비밀번호를 수신한 경우, 헤드 유닛을 주행모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발렛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헤드 유닛을 정상 작동시킨 경우, 상기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이 발렛 모드 진입 버튼이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운전자로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 의해서 운전자 등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운전자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운전자에 의해서 입력된 운전자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단말 리스트 중 특정 단말을 선택하여 운전자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운전자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기존에 등록된 운전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기존에 등록된 운전자가 있는 경우, 미등록 운전자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확인 결과, 미등록 운전자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기존에 등록된 운전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은 차량이 헤드 유닛의 조작을 제한하는 발렛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등록된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헤드 유닛을 정상 동작시켜 주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이 발렛 모드를 동작하는 단계 이후, 차량이 주행 모드 진입 버튼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운전자에 의해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차량이 상기 헤드 유닛을 주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은 헤드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통신부; 운전자 정보를 비롯하여 헤드 유닛과 관련된 각종 제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헤드 유닛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차량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이 등록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등록 운전자인 경우 상기 헤드 유닛을 정상 작동시키며, 미등록 운전자인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헤드 유닛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등록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등록된 운전자의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에 헤드 유닛을 정상 동작시켜 주행모드로 구동하고, 미등록 운전자의 경우 헤드 유닛의 접근을 제한하기 때문에, 차량 내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차량 내 운전자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차량 내 발렛모드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차량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블럭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차량의 발렛모드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헤드 유닛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블럭도이다.
도 10은 차량의 운전자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차량의 발렛모드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의 외관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윈드 스크린(windscreen)(11),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3) 및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앞바퀴(21),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뒷바퀴(22)를 포함하여 차량(1)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윈드 스크린(11)은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2)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13)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의 내부는 운전자가 차량(1)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 보드(dashboard)(14), 차량(1)의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15), 차량(1)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 표시부(51, 52),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비게이션(60)은 경로 안내 정보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의 기능까지 제공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일 수 있다.
대시 보드(14)는 윈드 스크린(11)의 하부로부터 운전자를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 보드(14)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운전석(15)은 대시 보드(14)의 후방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1)의 전방과 대시 보드(14)의 각종 기기를 주시하며 차량(1)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스터 표시부(51, 52)는 대시 보드(14)의 운전석(15) 측에 마련되며, 차량(1)의 운행 속도를 표시하는 주행 속도 게이지(51), 동력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rpm 게이지(5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60)은 차량(1)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보 또는 운전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의 내비게이션(60)을 비롯한 각종 구동 조작을 위한 별도의 조그 다이얼(30)을 구비할 수 있다.
차량(1)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바퀴(21, 22)을 회전시키는 동력 장치(미도시), 차량(1)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조향 장치(미도시), 바퀴(21, 22)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제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장치는 본체(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앞바퀴(21) 또는 뒷바퀴(2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동력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주행 방향을 입력받는 조향 핸들(42), 조향 핸들(42)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 조향 기어(미도시), 조향 기어(미도시)의 왕복 운동을 앞바퀴(21)에 전달하는 조향 링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향 장치는 바퀴(20)의 회전축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차량(1)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제동 조작을 입력받는 제동 페달(미도시), 바퀴(21, 22)과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미도시), 마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드럼(미도시)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동 장치는 바퀴(21, 22)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1)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다.
도 3은 차량 내 운전자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차량 내 발렛모드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0)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210a, 210b, 210c, ...: 이하에서는 '210'이라 함)을 소지한 운전자를 탑승시킬 수 있는데, 이 중 차주 및 차주와 관련된 가족과 같은 지인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차주와 관계없이 일시적으로 탑승하는 발렛 파킹 요원 등도 있을 수 있다.
이에, 차주 및 차주와 관련된 지인은 차량(100) 내 운전자 등록을 수행하여, 이후 차량(100) 내 구비된 헤드 유닛(도 5의 160)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등록되지 않은 운전자에 대해서는 헤드 유닛(160)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이다.
운전자 등록 이후,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0)은 전원이 온 상태(ACC On)로 전환함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과 같은 차량(100) 내 통신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통신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210)이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10)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Bluetooth Device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정보를 운전자 등록 시 저장한 고유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운전자를 검증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등록된 운전자인 경우, 차량(100)은 헤드 유닛(도 5의 160)을 정상 동작시키고, 미등록된 운전자인 경우, 차량(100)은 발렛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발렛 모드는 AVN(Audio Video Navigation)의 기능을 비롯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헤드 유닛(160)의 조작 및 헤드 유닛(160)과 관련하여 네트워크 기능을 제한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는 차량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발렛모드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0)은 전원부(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디스플레이(140), 저장부(150), 헤드 유닛(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원부(110)는 차량(100)의 주행을 비롯한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의 온(On) 및 오프(Off)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통신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입력부(130)는 운전자 정보를 비롯하여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제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운전자명 및 보안을 위한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 헤드 유닛(160)의 시작과 종료, 헤드 유닛(160) 내 각종 서비스 실행 선택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140)가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제어 정보를 입력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버튼 선택을 통해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0)는 내비게이션 기능인 길 안내 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실행에 따른 음악명, 영상 또는 차량(100) 내에서 이루어지는 동작과 관련하여 각종 안내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보안 등록된 운전자 정보를 비롯하여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헤드 유닛(Head Unit)(160)은 차량 내 내비게이션 기능을 비롯한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유닛(160)은 차량의 운전자 편의를 위해 내비게이션(Navigation) 기능뿐만 아니라, 카 오디오(Car audio) 기능, 비디오(Video) 기능을 비롯한 차량(100) 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헤드 유닛(160)은 차량(100) 내 탑승한 사용자의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제어부(170)는 차량(100)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210)이 등록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등록 운전자인 경우 헤드 유닛(160)을 정상 작동시키며, 미등록 운전자인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헤드 유닛(160)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100) 내에서 적용 가능한 무선 통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7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210)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등록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은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을 비롯하여 이동통신 기능을 갖는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 단말(210)은 고유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 어드레스(BD Address: Bluetooth Device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제어부(170)는 사용자 단말(210)의 고유 식별정보를 등록된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210)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존재여부에 따라 등록된 운전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단말(210)이 등록 운전자인 경우, 헤드 유닛(160)이 정상 작동되어 주행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미등록 운전자인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서 운전자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 리스트를 출력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 운전자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도 6과 같이 AAA..., BBB..., CCC...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운전자가 사용자 단말(210) 미소지자인 경우,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하고, 운전자에 의해서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헤드 유닛(160)을 주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운전자가 사용자 단말(210)을 미소지 하더라도 비밀번호를 통해 헤드 유닛(16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7과 같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을 안내하는 문구와 비밀번호 입력창을 포함하는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헤드 유닛(160)의 주행 모드 구동 중 사용자의 단말(210)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헤드 유닛(160)의 부가 서비스를 정상 동작 지원하는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재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만약, 최종 재 연결실패 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경고 팝업을 표시할 있다. 이때에도 헤드 유닛(160)을 통한 부가 서비스 기능은 정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헤드 유닛(160)의 주행 모드 구동 중 헤드 유닛(160)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면, 부가 서비스 기능은 정상으로 지원하되, 통신 연결 해제 상태를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하여 통보하고, 차량(100)의 시동이 꺼지기 전까지는 주행 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발렛 모드 구동 시 발렛 모드 해제 안내를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발렛 모드 구동 시에도 주행 모드로 복귀하기 용이하도록 디스플레이(140)에 주행 모드 복귀를 위한 비밀번호 입력창을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발렛 모드입니다. 해제를 원하시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와 같은 안내 문구와 비밀번호 입력 창을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헤드 유닛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블럭도이다.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300)은 통신부(310), 입력부(330), 디스플레이(350), 저장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입력부(330)는 운전자 정보를 비롯하여 헤드 유닛과 관련된 각종 제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350)가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350)를 통해 제어 정보를 입력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버튼 선택을 통해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50)는 헤드 유닛(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저장부(370)는 보안 등록된 운전자 정보를 비롯하여 헤드 유닛(3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차량(100)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210)이 등록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등록 운전자인 경우 헤드 유닛(160)을 정상 작동시키며, 미등록 운전자인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하여 헤드 유닛(160)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9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210)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등록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차량의 운전자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0)은 운전자에 의해서 입력된 운전자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1). 이때, 운전자 등록 요청은 차량(100) 내 구비된 별도의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표시되는 운전자 등록 메뉴 등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차량(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03).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일 수 있다.
확인 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차량(100)은 기존에 등록된 운전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05).
확인 결과, 기존에 등록된 운전자가 있는 경우, 차량(100)은 미등록 운전자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07). 이때, 단말은 사용자 단말(210)을 의미하는 것이다.
확인 결과, 미등록 운전자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차량(100)은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S109).
다음, 차량(100)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단말 리스트 중 특정 단말을 선택하여 운전자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S111). 이때, 특정 단말은 운전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단말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03의 확인 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차량(100)은 비밀번호 입력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S113).
운전자에 의해서 입력된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100)은 단계 S105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운전자에 의해서 비밀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차량(100)은 운전자 등록 실패 안내 및 이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115).
다른 한편, 단계 S105의 확인 결과, 기존에 등록된 운전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량(100)은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17).
확인 결과,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차량(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11).
만약,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차량(100)은 운전자 등록 실패 안내 및 이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115).
또 다른 한편, 단계 S107의 확인 결과, 미등록 운전자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량(100)은 운전자 등록 실패 안내 및 이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115).
도 11은 차량의 발렛모드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상술한 도 10의 차량의 운전자 등록 단계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먼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에 의해서 운전자 등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운전자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0)은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운전자로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01, S203).
확인 결과, 운전자로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차량(100)은 헤드 유닛(160)을 정상 작동시켜 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205).
다음, 차량(100)은 비밀번호 입력에 의한 헤드 유닛(160)의 진입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07).
확인 결과, 차량(100)이 비밀번호 입력에 의한 진입이 아닌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종료됨에 따라 비정상 종료인지 또는 정상 종료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09, S211).
예를 들어, 차량(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 종료가 헤드 유닛(160) 또는 사용자 단말(210)에 의한 비정상 종료인지, 또는 운전자의 선택에 의한 정상 종료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비정상 종료는 헤드 유닛(160)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 상태가 불안정하여 종료된 것이나, 또는 사용자 단말(210)이 멀어지는 등의 이유로 통신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211의 확인 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비정상 종료된 경우, 차량(100)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재 연결시도할 수 있다(S213).
다음, 사용자 단말(21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재연결이 실패한 경우, 차량(100)은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S215).
차량(100)이 운전자에 의해서 입력된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헤드 유닛(160)을 주행 모드로 전환하고(S205), 비밀번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하여 헤드 유닛(160)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S217).
한편, 단계 S211의 확인 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정상 종료된 경우, 차량(100)은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S215).
차량(100)은 운전자에 의해서 입력된 비밀번호를 수신한 경우, 헤드 유닛(160)을 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205).
만약, 차량(100)이 단계 S215 이후 비밀번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발렛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217).
다른 한편, 단계 S203의 확인 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차량(100)은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S219).
차량(100)은 운전자에 의해서 입력된 비밀번호를 수신한 경우, 헤드 유닛(160)을 정상 작동시켜 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205).
한편,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헤드 유닛(160)을 정상 작동시킨 경우, 상기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이후에, 차량(100)가 발렛 모드 진입 버튼이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207, S221, S217).
만약, 단계 S219에서 차량(100)이 비밀번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발렛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217).
도 12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0)은 헤드 유닛(160)의 조작을 제한하는 발렛 모드를 동작할 수 있다(S301). 이때, 차량(100)이 발렛 모드를 동작함은 도 11에서 개시하는 다양한 방법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등록된 운전자의 사용자 단말(210)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03).
확인 결과, 차량(100)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되지 않고 주행 모드 진입 버튼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S305, S307).
다음, 운전자에 의해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차량(100)은 헤드 유닛(160)을 주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309).
만약, 운전자에 의해서 비밀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차량(100)은 S301의 발렛 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03의 확인 결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차량(100)은 헤드 유닛(160)을 정상 동작시켜 주행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309).
다른 한편, 단계 S305의 확인 결과, 주행 모드 진입 버튼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차량(100)은 단계 S301의 발렛 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100 : 차량 110 : 전원부
120, 310 : 통신부 130, 330 : 입력부
140, 350 : 디스플레이 150, 370 : 저장부
160 : 헤드 유닛 170, 390 : 제어부
300 : 헤드 유닛

Claims (19)

  1.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운전자 정보를 비롯하여 차량과 관련된 각종 제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차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기 차량 내 내비게이션 기능을 비롯한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헤드 유닛; 및
    상기 차량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이 등록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등록 운전자인 경우 상기 헤드 유닛을 정상 작동시키며, 미등록 운전자인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헤드 유닛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 유닛의 주행 모드 구동 중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헤드 유닛의 부가 서비스를 정상 동작 지원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재연결을 시도하는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등록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등록 운전자인 경우, 상기 헤드 유닛이 정상 작동되어 주행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고, 미등록 운전자인 경우, 상기 발렛 모드로 전환하는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서 운전자 등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 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 운전자 등록을 수행하는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인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가 사용자 단말 미소지자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하고, 운전자에 의해서 기 설정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헤드 유닛을 주행 모드로 전환하는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6. 삭제
  7. 차량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운전자로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차량이 운전자에 의해서 입력된 비밀번호를 수신한 경우, 헤드 유닛을 정상 작동시켜 주행모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하여 헤드 유닛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이후에,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비정상 종료된 경우,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재 연결시도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재연결이 실패한 경우, 차량이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운전자에 의해서 입력된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헤드 유닛을 주행 모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발렛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로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차량이 헤드 유닛을 정상 작동시켜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의 제어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이후에,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정상 종료된 경우,
    차량이 비밀번호 입력 요청 안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차량이 운전자에 의해서 입력된 비밀번호를 수신한 경우, 헤드 유닛을 주행모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발렛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의 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헤드 유닛을 정상 작동시킨 경우,
    상기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이 발렛 모드 진입 버튼이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로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차량이 사용자에 의해서 운전자 등록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운전자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운전자에 의해서 입력된 운전자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단말 리스트 중 특정 단말을 선택하여 운전자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기존에 등록된 운전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 기존에 등록된 운전자가 있는 경우, 미등록 운전자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확인 결과, 미등록 운전자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에 등록된 운전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등록된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단말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의 제어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근거리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통신부;
    운전자 정보를 비롯하여 헤드 유닛과 관련된 각종 제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헤드 유닛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차량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된 사용자의 단말이 등록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등록 운전자인 경우 상기 헤드 유닛을 정상 작동시키며, 미등록 운전자인 경우 발렛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헤드 유닛의 조작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 유닛의 주행 모드 구동 중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헤드 유닛의 부가 서비스를 정상 동작 지원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 재연결을 시도하는 헤드 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등록 운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헤드 유닛.
KR1020140139863A 2014-10-16 2014-10-16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및 제어방법과 헤드 유닛 KR101598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863A KR101598949B1 (ko) 2014-10-16 2014-10-16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및 제어방법과 헤드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863A KR101598949B1 (ko) 2014-10-16 2014-10-16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및 제어방법과 헤드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949B1 true KR101598949B1 (ko) 2016-03-14

Family

ID=5554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9863A KR101598949B1 (ko) 2014-10-16 2014-10-16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및 제어방법과 헤드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9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581A (ko) * 2016-08-03 2019-03-27 아우디 아게 휴대 가능한 키 장치에 의해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키 장치
CN117236646A (zh) * 2023-11-10 2023-12-15 杭州一喂智能科技有限公司 车辆调度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434A (ko) * 2006-08-08 200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핸즈프리 장치의 이동 통신 단말 자동 연결 방법및 장치
KR20080069749A (ko) * 2007-01-24 2008-07-2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장치 및 방법
KR20080106244A (ko) * 2006-02-13 2008-12-04 올 프로텍트 엘엘씨 제 3 자에게 주어진 차량을 제어하는 시스템
KR20120137729A (ko) * 2011-06-13 2012-12-24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244A (ko) * 2006-02-13 2008-12-04 올 프로텍트 엘엘씨 제 3 자에게 주어진 차량을 제어하는 시스템
KR20080013434A (ko) * 2006-08-08 200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핸즈프리 장치의 이동 통신 단말 자동 연결 방법및 장치
KR20080069749A (ko) * 2007-01-24 2008-07-2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장치 및 방법
KR20120137729A (ko) * 2011-06-13 2012-12-24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제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581A (ko) * 2016-08-03 2019-03-27 아우디 아게 휴대 가능한 키 장치에 의해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키 장치
KR102010730B1 (ko) * 2016-08-03 2019-08-13 아우디 아게 휴대 가능한 키 장치에 의해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키 장치
CN117236646A (zh) * 2023-11-10 2023-12-15 杭州一喂智能科技有限公司 车辆调度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7236646B (zh) * 2023-11-10 2024-03-12 杭州一喂智能科技有限公司 车辆调度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9693B2 (ja) 自律型車両
JP6773046B2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並びに移動体
CA3005147C (en)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s in connection with transport services
US20190299933A1 (en) Vehicle and program for vehicle
US9043049B2 (en) Method for providing user-specific settings in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assign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a motor vehicle from a plurality of motor vehicles
US961539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gesture-based detection of driver mobile device
KR102422330B1 (ko) 차량, 차량과 통신하는 단말기, 및 차량의 제어 방법
US11430436B2 (en) Voice interaction method and vehicle using the same
JP2012208685A (ja) 充電スタンド案内システム
JP2015228152A (ja) 通信方法、路側装置、移動通信機、車両、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動作決定方法
KR20130132594A (ko)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차량용 장치
KR20190004921A (ko) 차량의 원격 제어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및 이동통신 단말
KR10175531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598949B1 (ko) 자동 발렛모드 진입을 위한 차량 및 제어방법과 헤드 유닛
CN108733026B (zh) 基于与车辆的接近度的动态远程控制重新配置方法和设备
KR102330034B1 (ko) 지능형 차량 제어 방법
JP2012079127A (ja) 予約管理装置
KR101929303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1112284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8834097B (zh) 在使用车辆控制器时进行自主车辆选择的方法
CN114900380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JP3879699B2 (ja) 情報表示装置の遠隔操作システム
JP4581767B2 (ja) 通信装置
JP7043853B2 (ja) 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11680811B2 (en) Vehicle position guidance system and vehicle position guidanc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