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814B1 - 전자 거울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거울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814B1
KR101598814B1 KR1020090006113A KR20090006113A KR101598814B1 KR 101598814 B1 KR101598814 B1 KR 101598814B1 KR 1020090006113 A KR1020090006113 A KR 1020090006113A KR 20090006113 A KR20090006113 A KR 20090006113A KR 101598814 B1 KR101598814 B1 KR 101598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display
display unit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730A (ko
Inventor
백찬욱
김선일
이장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6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814B1/ko
Priority to US12/385,908 priority patent/US9163994B2/en
Priority to EP09161724A priority patent/EP2210551B1/en
Publication of KR2010008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61B5/015By temperature mapping of body pa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5Interfacing a pyrometer to an external device or network;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18Waveguides
    • G01J5/0821Optical fib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37Microantennas, e.g. bow-ti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96Optical arrangements using a light source, e.g. for illuminating a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2005/0077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전자 거울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전자 거울은 표시부, 검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검출부 및 표시부를 제어하여, 검출부에 수신된 신호를 표시부에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은 검출부를 투과하여 전자 거울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전자 거울은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외부의 광이 검출부 및 표시부를 투과한 후 반사부에 의해 반사될 수 있으며, 반사된 광은 표시부 및 검출부를 투과하여 전자 거울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전자 거울, 적외선, 테라헤르츠, 안테나

Description

전자 거울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Electronic mirror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 거울 및 상기 전자 거울을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로부터는 다양한 파장 대역의 전자기파가 방사된다.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파를 분석함으로써, 인체 각 부분의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를 갖는 물체의 경우 물체의 온도에 대응되는 파장의 적외선이 방사된다. 따라서, 인체로부터 방사된 적외선을 통하여 체온의 변화나 국부적인 피부의 온도변화로 건강 상태를 알아 볼 수 있고, 피로도와 같은 것도 체크할 수 있다.
테라헤르츠(terahertz) 파의 경우는 적외선보다 파장이 상대적으로 더 길어 종이나 플라스틱 등 다양한 유전체를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로부터 방사된 테라헤르츠 파를 통하여 치아 내 충치의 진행 상태, 피부암 또는 유방암 등 육안으로 식별이 되지 않는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세포의 굴절율 및 유전율 등을 분석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체나 물체로부터 자연적으로 방사되는 신호 또는 인체나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전자 거울 및 상기 전자 거울을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 거울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거울은,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한쪽 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신호를 수신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에 수신된 신호가 상기 표시부에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검출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은, 상기 표시부의 다른 쪽 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표시부 및 상기 검출부를 투과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방법은, 검출부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에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을 상기 검출부를 투과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상기 검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투과한 광을 반사하는 단계; 및 반사된 광을 상기 검출부 및 상기 표 시부를 투과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면, 물체 또는 인체로부터 자연적으로 방사되거나 또는 반사된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거울을 이용하여 자신의 몸에 대응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영상을 통해 신체 각 부분의 건강 상태를 자가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은 통상의 거울과 마찬가지로 외부의 광을 반사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거울은 검출부(10), 표시부(20) 및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10)는 물체 또는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일 수 있다. 예컨대, 검출부(10)는 물체 또는 인체로부터 자연적으로 방사되는 적외선 또는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거울은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10)는 발진부(50)에 의해 생성된 발진 신호를 외부로 방사하고, 발진 신호가 외부의 물체 또는 인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에 따라서는 물체 또는 인체로부터 자연적으로 방사되는 신호 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발진부(50)를 이용하여 발진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고 물체 또는 인체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물체 또는 인체를 영상화 할 수 있다.
검출부(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제어부(4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검출부(10)에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표시부(20)를 구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검출부(10)에 수신된 신호가 표시부(20)에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10)에 수신된 신호는, 신호의 파장이나 세기, 그리고 위상 등에 따라 상이한 색을 갖는 영상의 형태로 표시부(20)에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2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반사형 디스플레이 패널, 전기변색(electrochromic) 디스플레이, 나노점(nano dot) 디스플레이, 양자점(quantum dot)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또는 다른 적당한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표시부(20)를 구동하기에 적당한 회로 또는 연산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검출부(10)는 표시부(20)의 한쪽 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표시부(20)에 표시되는 영상은 검출부(10)를 투과하여 전자 거울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검출부(10)는 일부 또는 전체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검출부(10)의 특정 영역에 수신된 신호는 표시부(20) 상에서 이와 동일한 영 역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부(10)와 인접하여 인체 또는 물체가 위치하는 경우, 인체 또는 물체의 위치에 대응되는 표시부(20)의 영역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하여, 전자 거울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물체 또는 인체의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전자 거울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인체로부터 방사되거나 반사된 적외선 또는 테라헤르츠 대역의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거울을 통하여 적외선 또는 테라헤르츠 대역의 신호에 의한 자신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전자 거울은 검출부(10)에 수신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70)를 구비할 수도 있다. 통신부(7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0)는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무선인터넷(Wi-Fi) 등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인체로부터 방사된 적외선 또는 테라헤르츠 대역의 신호는 건강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분석을 위해 검출부(10)에 수신된 신호를 통신부(70)를 통해 의료 기관 등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은 표시부(20)를 기준으로 검출부(10)가 위치한 면과 반대쪽 면에 위치하는 반사부(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사부(30)는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표시부(20)는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상태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제2 상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특정 기 계적 및/또는 전기적 입력에 의하여 표시부(20)의 상태를 전환할 수도 있다.
표시부(20)가 제1 상태인 경우에는 검출부(10)에 수신된 신호가 표시부(20)에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광은 반사부(30)에 도달하지 못한다. 그러나, 표시부(20)가 제2 상태인 경우에는 표시부(20)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물체 또는 인체의 광이 검출부(10) 및 표시부(20)를 투과하여 반사부(30)에 도달할 수 있다. 반사부(30)에 도달한 광은 반사되어, 다시 표시부(20) 및 검출부(10)를 투과하여 전자 거울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거울을 이용하여 물체 또는 인체의 반사된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에서 표시부에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거울에 인접하여 물체(1000)가 위치할 수 있다. 물체(1000)는 임의의 물건 또는 인체일 수 있다. 물체(1000)로부터 자연적으로 방사되거나 또는 물체(1000)로부터 반사된 신호가 검출부(10)에 수신되면, 표시부(20)는 수신된 신호를 영상(200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검출부(10)는 표시부(20)에서 출력된 영상(2000)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체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자 거울을 사용하여, 물체로부터 방사된 신호 또는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거울 앞에 위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몸으로부터 방사되거나 반사된 적외선 또는 테라헤르츠 대역의 신호를 영상으로 볼 수 있다. 인체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 또는 테라 헤르츠 대역의 신호는 각 기관의 건강 상태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자 거울을 이용하여 신체의 건강 상태를 자가 진단할 수 있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에서 표시부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부(20)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일부 또는 전체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물체(1000)의 광은 검출부(10) 및 표시부(20)를 투과하여 진행할 수 있다. 검출부(10) 및 표시부(20)를 투과한 광은 반사부(30)에서 반사되어 거울상(300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전자 거울을 통상의 거울과 유사한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에 포함된 검출부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출부(10)는 기판(11) 및 상기 기판(11) 상의 하나 이상의 검출기(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은 유리(glass) 등의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검출기(12)는 목적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검출기(12)는 어레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검출기(12)를 이용하여 검출부(10)를 구성함으로써, 검출부(10)에 신호가 수신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검출기(12)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한 쌍의 안테나(121, 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검출기(12)에 전자기파가 전달되면, 전자기파에 의하여 각 안테나(121, 122) 사이에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달된 전자기파로부터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0; 도 1)는 각 안테나(121, 12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안테나(121, 122)는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안테나(121, 122)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각 안테나(121, 122)는 인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라핀(graphene), 전도성 폴리머(conductive polymer), 나노 섬유(nano fiber), 나노복합재료(nanocomposite), 또는 다른 적당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에는 나선형(spiral) 안테나(121, 122)를 포함하는 검출기(12)가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안테나(121, 122)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형태의 나선형 안테나, 대수 주기 안테나(log-periodic antenna), 또는 다른 적당한 형태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검출기(12)는 적외선 카메라 또는 테라헤르츠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검출기(12)는 각각의 안테나(121, 12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환기(12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각 안테나(121, 122)로부터 전달된 전기 신호를, 변환기(123)를 이용하여 적당한 다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기(123)는 각 안테나(121, 122)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신호의 세기 또는 위상에 대응되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변환기(123)는 PN 접합(pn junction)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안테나(121, 122)에 의하여 전달되는 전기 신호는 교류 신호이므로, PN 접합으로 이루어진 변환기(123)를 이용하여 이를 직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변환기(123)는 볼로미터(bolometer) 또는 파이로미터(pyrometer) 등과 같이 전기 신호를 열로 변환하는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변환기(123)는 기판(1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변환기(123)는 기판(11) 외부에 구비되고 도파관(waveguide) 을 통하여 각각의 안테나(121, 12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변환기(123)는 제어부(40; 도 1)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검출기(12)는 발진부(50; 도 1)에 의하여 생성된 발진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진 신호가 한 쌍의 안테나(121, 122) 사이에 인가되면, 안테나(121, 122)의 표면에서 전자기파가 방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121, 122)로부터 방사된 전자기파는 외부의 물체 또는 인체로부터 반사될 수 있으며, 안테나(121, 122)는 반사되어 되돌아온 전자기파로부터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에 포함된 표시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20)는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21),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기판(22) 및 백라이트 유닛(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3)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광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백라이트 유닛(23)은 반사판(231) 및 램프(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램프(232)는 광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램프(232)로부터 방사된 광은 반사판(231)에서 반사되 어 TFT 기판(22)을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3)은 램프(232)가 반사판(231)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는 에지릿(edge lit)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거울에 반사부(30; 도 1)가 구비된 경우에는, 반사부(30)가 일반 거울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반사부(30)에서 반사된 외부광으로 거울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거울에 반사부(30; 도 1)가 구비된 경우에는, 반사부(30)가 백라이트 유닛(23)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반사부(30)에서 반사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램프(232)와 같은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표시부(20)는 백라이트 유닛(23)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TFT 기판(22)은 기판(221), 화소 영역(222) 및 TFT(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판(221)은 유리 등의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영역(222)은 기판(221)상에서 하나 이상의 행 및 하나 이상의 열로 이루어진 어레이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화소 영역(222)의 동작은 TFT(223)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화소 영역(222) 및 TFT(223)는 제어부(40; 도 1)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화소 영역(222) 및 TFT(223)를 제어하여 검출부(10; 도 1)에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화소 영역(222)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검출부(10)는 복수 개의 검출기(1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검출기(12)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각 검출기(12)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화소 영역(222)에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화소 영역(222)의 크기에 따 라서는 하나의 검출기(12)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가 복수 개의 화소 영역(222)에 영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복수 개의 검출기(12)에 수신된 신호가 하나의 화소 영역(222)에 표시될 수도 있다.
컬러필터 기판(21)은 TFT 기판(22)을 덮도록 위치할 수 있다. 컬러필터 기판(21)에는 영상의 색을 표시하기 위하여 각각의 화소 영역(222)에 대응되는 컬러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컬러필터 기판(21)에 전기변색(electrochromic) 소재를 적용하여, 전계가 주어졌을 때에만 색깔을 내도록 하고 전계가 없을 때에는 투명하도록 하여 반사판(231) 또는 반사부(30; 도 1)가 거울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전자 거울은 LCD 형태의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에서 표시부는 다른 반사형 디스플레이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CRT, PDP, 나노점 디스플레이, 양자점 디스플레이, OLED, 또는 다른 적당한 표시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에 포함된 반사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사부(30)는 기판(31) 및 반사 물질(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판(31)은 유리 등의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 물질(32)은 기판(31)의 한쪽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반사 물질(32)은 수은(A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20; 도 1)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에 서, 물체 또는 인체의 가시광은 기판(31)을 투과하여 진행할 수 있다. 기판(31)을 투과한 광은 반사 물질(32)에 의하여 반사되어 전자 거울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에 포함된 표시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에 포함된 검출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에 포함된 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거울에 포함된 반사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19)

  1.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한쪽 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신호를 수신하는 검출부;
    상기 표시부의 다른 쪽 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검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투과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부; 및
    상기 검출부에 수신된 신호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검출부의 상기 투명한 물질을 통해 보여지는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검출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사이를 전환하며 동작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검출부에 수신된 신호에 기초한 영상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표시부에 영상이 출력되지 않아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보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거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거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 및 상기 기판상에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거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거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나선형 안테나 또는 대수 주기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거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투명한 도전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거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인주석 산화물, 탄소나노튜브, 그라핀, 전도성 폴리머, 나노 섬유, 또는 나노복합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거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적외선 카메라 또는 테라헤르츠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거울.
  10. 제 1항에 있어서,
    발진 신호를 생성하는 발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발진부에 의해 생성된 발진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발진 신호가 외부의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거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 수신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거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음극선관,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반사형 디스플레이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 나노점 디스플레이, 양자점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거울.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적외선 또는 테라헤르츠 대역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거울.
  14.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검출부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에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이 상기 검출부의 상기 투명한 물질을 통해 보여지도록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을 상기 검출부를 투과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검출부 및 상기 표시부를 투과한 광을 반사부에 의해 반사하는 단계; 및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상기 표시부 및 상기 검출부를 투과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부를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전환하며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검출부에 수신된 신호에 기초한 영상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상기 표시부에 영상이 출력되지 않아 상기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표시부를 통해 보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5. 삭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전에, 발진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부에서 수신하는 신호는, 상기 발진 신호가 외부의 물체로부터 반사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외부의 전자기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에 수신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적외선 또는 테라헤르츠 대역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KR1020090006113A 2009-01-23 2009-01-23 전자 거울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KR101598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113A KR101598814B1 (ko) 2009-01-23 2009-01-23 전자 거울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US12/385,908 US9163994B2 (en) 2009-01-23 2009-04-23 Electronic mirror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EP09161724A EP2210551B1 (en) 2009-01-23 2009-06-02 Electronic mirror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113A KR101598814B1 (ko) 2009-01-23 2009-01-23 전자 거울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730A KR20100086730A (ko) 2010-08-02
KR101598814B1 true KR101598814B1 (ko) 2016-03-15

Family

ID=4119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113A KR101598814B1 (ko) 2009-01-23 2009-01-23 전자 거울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63994B2 (ko)
EP (1) EP2210551B1 (ko)
KR (1) KR101598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2908B2 (en) 2013-12-23 2016-04-26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cealed radar imaging
JP6679807B1 (ja) * 2016-12-23 2020-04-15 ニュートノイド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Newtonoid Technologies, Llc 多層インテリジェントガラス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7178637B2 (ja) * 2019-03-27 2022-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虚像表示システム、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移動体
JP7178638B2 (ja) * 2019-03-27 2022-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ミラーシステム、及び移動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768A (ja) * 2002-10-17 2004-05-13 Sharp Corp 画像入出力装置及びその画像情報読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3124A (en) * 1975-05-19 1976-08-03 Barnes Engineering Company Infrared line scanning instrument
US4691712A (en) * 1983-07-20 1987-09-08 American Thermometer Co., Inc. Device for detecting, measuring, and recording body thermal emissivity
JP2000083779A (ja) 1998-09-08 2000-03-28 Hirose Kumiko 健康鏡
US20050206610A1 (en) * 2000-09-29 2005-09-22 Gary Gerard Cordelli Computer-"reflected" (avatar) mirror
KR20050024303A (ko) * 2002-05-31 2005-03-10 뉴저지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테라헤르츠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
JP4307021B2 (ja) * 2002-06-28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センサーユニット、光学センサーアレイ及び光学センサーの駆動方法
JP2005010356A (ja) * 2003-06-18 2005-01-13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4056443B2 (ja) 2003-08-21 2008-03-05 Necフィールディング株式会社 健康診断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A2573246C (en) 2004-07-07 2014-11-25 Real Imaging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reast cancer using 3d imaging
DE202005003306U1 (de) 2005-03-01 2005-06-09 Weber, Frank Spiegelbildschirmsystem
KR20060116940A (ko) * 2005-05-12 2006-11-16 한국과학기술원 하프미러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과 그의 구동방법
US20070040033A1 (en) * 2005-11-18 2007-02-22 Outland Research Digital mirror system with advanced imaging features and hands-free control
KR100794660B1 (ko) * 2006-07-14 2008-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US7697053B2 (en) * 2006-11-02 2010-04-13 Eastman Kodak Company Integrated display having multiple capture devices
US7714923B2 (en) * 2006-11-02 2010-05-11 Eastman Kodak Company Integrated display and capture apparatus
WO2008108558A1 (en) 2007-03-02 2008-09-12 3Dis Co., Ltd. Interactive digital multimedia information mirror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768A (ja) * 2002-10-17 2004-05-13 Sharp Corp 画像入出力装置及びその画像情報読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63994B2 (en) 2015-10-20
EP2210551A1 (en) 2010-07-28
EP2210551B1 (en) 2012-05-16
US20100188315A1 (en) 2010-07-29
KR20100086730A (ko) 201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4703B2 (en) Touch input device which detects a magnitude of a touch pressure
US8330945B2 (en) Multi-purpose plasmonic ambient light sensor and visual range proximity sensor
US20210113088A1 (en) Optical sens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optical sensor
US8981302B2 (en) Infrared sensor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598814B1 (ko) 전자 거울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KR101303443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9282303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452955B1 (ko) 광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50153564A1 (en) Wavelength variable interference filter, optical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20170370773A1 (en) Optical device including slot and apparatus employing the optical device
CN115856830A (zh) 透过显示器干涉接近度和速度感测
US9933552B2 (en) Optical element, 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0871583B1 (ko) 듀얼 모드 디스플레이
EP3203358A1 (en) Touch contro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347093B2 (en) Touch panel, touch control method thereof, and touch control apparatus
US11280955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arable device
US11635854B2 (en) Touch screen
US20230260315A1 (en) Fingerprint sensing system
CN111640395B (zh) 电子设备及切换方法
CN112741600A (zh) 一种用于测量生物组织光学参数的频域近红外光检测装置
CN209803815U (zh) 光电传感装置及电子设备
US11882752B1 (en) Electronic devices with through-display sensors
CN210626323U (zh) 一种膏状物紫外线透过率检测装置
TW200421157A (en) Wireless keyboard with improved radiation transmission
KR101847088B1 (ko) 디스플레이로 시력을 보호하는 ir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