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648B1 -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 Google Patents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648B1
KR101597648B1 KR1020140035190A KR20140035190A KR101597648B1 KR 101597648 B1 KR101597648 B1 KR 101597648B1 KR 1020140035190 A KR1020140035190 A KR 1020140035190A KR 20140035190 A KR20140035190 A KR 20140035190A KR 101597648 B1 KR101597648 B1 KR 101597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hole
reinforcing
laye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083A (ko
Inventor
한신인
정영욱
전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제영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35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6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면에서 상면으로 직경이 좁아드는 형상으로 각 측면이 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완충돌기; 상기 완충돌기 사이에서 내주연이 가압면을 이루는 복수의 가압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그리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Confined pressurizing reinforcement grid }
본 발명은 포장구조, 비탈면, 보강토 옹벽, 성토 매립층, 터널이나 지하공간 등 시설 용도에 맞게 내재되어 하중완화, 응력집중 방지, 구속력 작용에 의해 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건전성을 보강토록 하는 그리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로 도심지 침수, 홍수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층의 증가가 대표적인 침수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투수콘크리트 등을 이용한 포장구조를 시공하여 여러가지 환경 또는 자연재해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수콘크리트 자체의 강도문제, 우천시 우수침투 등으로 인해 기층과 포장층의 들뜸 등의 문제로 그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투수콘크리트를 이용한 포장층과 기층(보조기층) 사이에 다양한 보강 그리드를 게재하여 강성, 전단강도를 보강하고 있다.
또한 절개지, 성토지 등 각종 비탈면에서도 토사가 흘러서 유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 보강 그리드가 내재되도록 하며, 터널의 경우도 굴착면과 숏크리트층 사이에 보강 그리드가 내재되도록 하여 전단강도를 보강하고 이질층 간의 부착력을 강화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그리드에 관한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 바,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17154호에서는 가로방향 스트랩과 세로방향 스트랩이 교차하는 격자구조의 지오그리드에 있어서, 스트랩이 교차하는 교차부에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교차부에서 위로 돌출된 줄기체와 상기 줄기체의 위쪽 끝에서 옆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가지체를 포함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그리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보강재 상부 토양에 대하여 미끌림 하중이 돌출부에 집중되어 구조적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격자구조에 의해 단순히 이질층의 평면방향의 미끌림 저항 향상 등의 효과만 기대될 뿐이며 연직방향의 상재하중에 대한 하중전달과 완화구조가 충분히 제시되고 있지 않아서 내재되는 부분에 대한 구조적 보강 기능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17154호
본 발명은 다양한 용도에 내재되어 상재하중으로 인한 응력집중이 유발되지 않도록 충분히 완화하고 하중을 원활하게 전달함은 물론 압축강성을 보완할 수 있으며, 충전된 재료의 탈락과 이탈을 방지하는 보강 그리드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보강 그리드는 하면에서 상면으로 직경이 좁아드는 형상으로 각 측면이 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완충돌기; 상기 완충돌기 사이에서 내주연이 가압면을 이루는 복수의 가압홀;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히는 상기 완충돌기는 완충돌기 간을 곡면으로 연결하는 4개의 연결측면과, 상기 연결측면 사이에서 상기 가압홀에 연결되는 4개의 사이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홀은 4개의 완충돌기에 있어 각각 사이측면과 연하면서 원형으로 구성되되 일정 유격의 가압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완충돌기 하면의 접촉면에 삽입되는 앵커가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하는 복수의 수평유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완충돌기 하면의 접촉면에 삽입되되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투수관이 더 구성됨이 타당하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가압홀의 내주연에는 보강링이 더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복수의 보강링이 구성되며 보강링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돌기 하면에 접하여 인접하는 보강 그리드 간을 연결하는 연결판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완충돌기 하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보강 그리드 간을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투수성 포장을 포함하는 포장구조, 비탈면, 성토 매립층, 보강토옹벽, 터널이나 지하공간 벽체 등에 있어 내부에 내재되도록 함으로써 상재하중을 완충돌기에 의해 다방향의 곡면으로 분산시키도록 하며 전체 완충돌기 간을 곡면으로 연결함으로써 응력집중을 방지하고 하중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고, 완충돌기 간에 형성된 가압홀에 의해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물에 구속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변형을 방지하고 압축강도를 증진시키도록 하며, 이질층에 내재되어도 전단강도가 보강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홀이 상기에서 언급한 구조적 기능 외에 비탈면 등에서는 식생공간으로서 기능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수성 포장구조에 있어서는 배수로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수직배수는 물론 수평배수를 유도하여 측구 등과 연결시 원활한 투수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닛 간 연결에 있어서 연결부분을 견고히 함으로써 변형 등에 의한 구조적 취약점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유닛 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실시 예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이 적층형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상정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유닛 간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실시 예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이 적층형으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인 보강 그리드(100)는 투수성 포장을 포함하는 포장구조, 비탈면, 성토매립층, 터널이나 지하공간 벽체 등에 있어 그 내부에 내재됨으로써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도록 하면서 용도에 맞게 투수성 포장구조의 경우는 골재탈리방지, 배수구조 확보 등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며, 비탈면이나 터널 및 지하공간 굴착 벽체 등에서는 낙석, 낙반 등의 방지, 식생환경 조성 등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보강그리드(100)는 표층(상층), 기층(하층)에 내재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경계면에 내재되도록 할 수 있고 이하에서 설명할 적층구조로 구성하여 강도보강은 물론 빗물저류조로서의 기능 즉 투수에 더하여 저류의 기능도 확보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그리드(100)는 상층(10) 및 하층(20)의 경계면에 내재되도록 하여 구조적 강성 및 용도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층(10)은 포장구조의 경우 투수층, 아스팔트층이 포함되는 포장층에 해당될 것이며, 하층(20)은 기층, 보조기층에 해당될 것이다. 또한, 비탈면 등의 경우 상층(10)은 숏크리트층, 되메움층 등이 될 것이고, 하층(20)은 비탈면 등에 있어 굴착면이 될 것이다.
또한 보강토옹벽과 매립층의 경우 상층(10)은 단계별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되메움층에서 상부층이 될 것이고, 하층(20)은 상층(20)에 인접하여 구성되는 하부층이 될 것이다.
또한 터널과 지하굴착 등의 경우는 상층(10)은 숏크리트층, 라이닝층이 될 것이고, 하층(20)은 굴착면이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보강그리드(100)가 경계면에 설치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강 그리드(10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면(111)에서 상면(112)으로 직경이 좁아드는 형상으로 각 측면(113,114)이 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완충돌기(110); 상기 완충돌기(110) 사이에서 내주연이 가압면(121)을 이루는 복수의 가압홀(1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히는 상기 완충돌기(110)는 완충돌기(110) 간을 곡면으로 연결하는 4개의 연결측면(113)과, 상기 연결측면(113) 사이에서 상기 가압홀(120)에 연결되는 4개의 사이측면(114)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홀(120)은 4개의 완충돌기(110)에 있어 각각 사이측면(114)과 연하면서 원형으로 구성되되 일정 유격(d)의 가압면(12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인 보강 그리드(100)는 복수의 완충돌기(110)가 각각 곡면으로 연결되고, 4개의 완충돌기(110) 사이에 일정유격(d)을 형성하는 가압홀(120)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완충돌기(110)의 경우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재하중을 완화하여 전달시키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재하중(F1)이 상면(112)에 작용시 상면(112)과 연결되는 4개의 연결측면(113)이 하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하면서 퍼지도록 구성되어 상재하중(F1)은 4개의 방향의 분산하중(F2)으로 분기되어 하면(111)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복수의 완충돌기(110)가 각각 상재하중(F1)을 분산시킴으로써 특히 상층(10)이 투수콘크리트 등 강성이 비교적 약한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수직하중을 분산시켜 상층(10)의 구조적 건전성 저하을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완충돌기(110) 간은 상기 연결측면(113)을 통해 곡면(a)으로 연결이 되므로 본 발명의 보강 그리드(100)는 상재하중(F1)으로부터 분기된 분산하중(F2)에 의해 응력집중이 발생될 수 있는 포인트가 없으므로 응력집중에 의해 부분적 파괴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부분적 상재하중의 차이가 있더라도 인접하는 완충돌기(110) 간에 하중이 응력집중 없이 전달이 되도록 하여 전체 구조물의 구조적 건전성이 도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가압홀(120)은 투수콘크리트 등 상층(10)을 구성하는 조성이 내부에 충전됨으로써 하층(20)과 단절없이 연속적이고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부착강도를 강화시켜 이질층의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배수로의 기능, 식생환경의 조성기능(비탈면)을 하도록 하며, 특히 상층(10)의 내재되는 부분에 원형 2차원의 평면방향으로 구속력을 부가함으로써 상재하중에 대한 상층(10)의 압축강성과 변형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속력에 의해 내재부분의 팽창을 억제함으로써 보강 그리드(100)의 변형에 의한 상층(10)과 하층(20)의 들뜸현상 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홀(120)은 골재이탈을 방지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홀(120)에 있어 가압면(12)의 일정 유격(d)은 상층(10)의 재질, 설계하중 등을 고려하여 그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인 보강 그리드(100)에는 하층(20)과의 견고한 부착을 위해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완충돌기(110)에는 상면(112)과 하면(111)을 관통하는 관통홀(115)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관통홀(115)을 관통하여 완충돌기(110) 하면(11)의 접촉면 즉 하층(20)에 삽입되는 앵커(116)가 구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앵커(116)는 공지기술로 쐐기앵커가 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인장재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보강그리드(100)에는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완충돌기(110)에는 상면(112)과 하면(111)을 관통하는 관통홀(115)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하면(111)에는 상기 관통홀(115)과 연통하는 복수의 수평유로(117)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유로(117)를 형성하는 이유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층(10)에서 하층(20)으로 수직방향으로의 투수에 더하여 상기 수평유로(117)를 타고 수평방향으로의 투수를 유도하도록 하여 투수성포장구조 등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측구와 연결되도록 하는 경우 수평방향으로 투수에 의해 측구를 통해 배수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홀(115)을 관통하여 완충돌기(110) 하면(111)의 접촉면 즉 하층(20)에 삽입되되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복수의 토출공(118-1)이 형성된 투수관(118)이 더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수관(118)은 상단이 막힌 구조이고 하단부가 직경이 좁아드는 형상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복수의 토출공(118-1)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공(118-1)을 통해 유입된 물이 내부로 유동하면서 상기 수평유로(117) 및 하층(20)과 연통하는 토출공(118-1)을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수평 및 수직방향 배수가 유도되도록 하고 완충돌기(110)가 하층(2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토출공(118-1)은 상층(10) 및 하층(20)을 구성하는 입자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물만이 유동하도록 그 직경을 선택적으로 결정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그리드(100)는 적층구조로 구성하여 강도보강에 더하여 빗물저류조로서의 기능 즉 투수에 더하여 저류의 기능도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보강그리드(100)가 3층으로 적층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적층수는 선택적임은 당연하다.
또한 도 8에서는 이렇게 보강그리드(100)를 적층하고 상,하로 적층된 보강그리드(100)에 있어 각각의 관통홀(115)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투수관(118)이 삽입되도록 하여 적층된 보강그리드(100)를 고정하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투수관(118) 및 각각의 수평유로(117)에 의해 수직 및 수평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동시에 적층구조에 의해 투수관(118), 각각의 수평유로(117) 등 물의 저장공간도 확보되어 빗물저류조의 기능도 병행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서는 하층(20)에만 보강그리드(100)가 적층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층(10), 접촉면 등 보강, 배수, 저류가 필요한 부분에 적층에 의해 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보강 그리드(100)는 상층(10) 및 하층(20)이 곡면으로 시공되어야 할 경우 등에 있어 연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하여 자유로운 형상으로 시공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연성의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상재하중이 크게 작용하면 상기 가압홀(120)에서 내재부분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제어하지 못하는 경우가 상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압홀(120)의 내주연에는 보강링(130)이 더 구성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상기 보강링(130)은 상기 가압홀(120)의 내주연 즉 가압면(121)에 부착되어 보강 그리드(100) 전체는 자유로운 형상으로 시공이 되도록 하면서 상기 보강링(130)의 구속력에 의해 상재하중 및 이로 인한 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보강링(130)은 당연히 보강 그리드(100)를 구성하는 타 재질보다 강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보강 그리드(100)는 유닛으로 구성하여 시공면적에 따라 유닛 간을 연결하면서 시공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유닛 간을 연결하는 구성이 필요한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링(130)과 연계되는 연결판(140)을 제시함으로써 유닛 간 연결부분에서 발생될 수 있는 구조적 취약성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러한 실시 예로서 첫 번째 실시 예가 도 6에 도시되고 있다. 보강 그리드(100) 간 즉 2개의 유닛(100a, 100b) 간을 연결함에 있어 보강링(130)이 형성된 연결판(140)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제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결판(140)은 그 상면에 복수의 보강링(130)이 구성되며 보강링(130)과 연통하는 관통공(141)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닛(100a, 100b) 간 접합부분에서 상호 대향하는 보강링(130)이 가압홀(120)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연결판(140)이 접합부분에서의 완충돌기(110) 하면(111)에 접하도록 하여 보강 그리드 간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에서는 연결판(140)에 3개의 보강링(130)이 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도록 하여 가운데 보강링(130)이 유닛(100a, 100b) 간 접합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가압홀(120)에 삽입되도록 하고, 양측의 보강링(130)이 각각 유닛(100a, 100b)에 형성된 가압홀(120)에 삽입되도록 하는데, 중앙의 보강링(130)은 접합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가압홀(120)에서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을 구속력에 의해 제어하고, 양측의 보강링(130)은 각각 유닛(100a, 100b)에 형성된 가압홀(120)에 구속력이 발현되도록 하면서 각각 유닛(100a, 100b)을 잡아주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하면 2개의 유닛(100a, 100b)에 의해 접합부분에서 형성되는 가압홀(120)이 상층(10)으로부터 내재되는 부분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충분한 구속력을 발현시킬 수 없어 발생될 수 있는 압축강도 저하, 변형발생 등의 문제를 중앙의 보강링(130)에 의해 구속력이 가해지도록 하면서 양측의 보강링(130)에 의해 더욱 견고한 연결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 예가 도 7에 도시되고 있는데, 이 경우도 보강 그리드(100) 간 즉 2개의 유닛(100a, 100b) 간을 연결함에 있어 보강링(130)이 형성된 연결판(140)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제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도 상기 연결판(140)은 그 상면에 복수의 보강링(130)이 구성되며 보강링(130)과 연통하는 관통공(141)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닛(100a, 100b) 간 접합부분에서 보강링(130)이 가압홀(120)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연결판(140)이 접합부분에서의 완충돌기(110) 하면(111)에 접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완충돌기(110) 하면(111)에는 삽입홈(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판(140)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42)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보강 그리드 간을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연결판(140)에 1개의 보강링(130)이 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도록 하여 보강링(130)이 유닛(100a, 100b) 간 접합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가압홀(120)에 삽입되도록 하고, 양측의 삽입돌기(142)가 각각 유닛(100a, 100b)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하는데, 보강링(130)은 접합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가압홀(120)에서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을 구속력에 의해 제어하고, 양측의 삽입돌기(142)가 각각 유닛(100a, 100b)을 잡아주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의 경우도 2개의 유닛(100a, 100b)에 의해 접합부분에서 형성되는 가압홀(120)이 상층(10)으로부터 내재되는 부분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충분한 구속력을 발현시킬 수 없어 발생될 수 있는 압축강도 저하, 변형발생 등의 문제를 보강링(130)에 의해 구속력이 가해지도록 하면서 양측의 삽입돌기(142)에 의해 더욱 견고한 연결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보강 그리드 110 : 완충돌기
120 : 가압홀 130 : 보강링
140 : 연결판

Claims (9)

  1. 하면에서 상면으로 직경이 좁아드는 형상으로 각 측면이 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완충돌기; 상기 완충돌기 사이에서 내주연이 가압면을 이루는 복수의 가압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돌기는,
    완충돌기 간을 곡면으로 연결하는 4개의 연결측면과, 상기 연결측면 사이에서 상기 가압홀에 연결되는 4개의 사이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홀은,
    4개의 완충돌기에 있어 각각 사이측면과 연하면서 원형으로 구성되되 일정 유격의 가압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완충돌기 하면의 접촉면에 삽입되는 앵커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하는 복수의 수평유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완충돌기 하면의 접촉면에 삽입되되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투수관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홀의 내주연에는 보강링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7. 제 6항에 있어서,
    복수의 보강링이 구성되며 보강링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돌기 하면에 접하여 인접하는 보강 그리드 간을 연결하는 연결판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 하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보강 그리드 간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9.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층으로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그리드.
KR1020140035190A 2014-03-26 2014-03-26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KR101597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190A KR101597648B1 (ko) 2014-03-26 2014-03-26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190A KR101597648B1 (ko) 2014-03-26 2014-03-26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083A KR20150112083A (ko) 2015-10-07
KR101597648B1 true KR101597648B1 (ko) 2016-03-30

Family

ID=5434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190A KR101597648B1 (ko) 2014-03-26 2014-03-26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231B1 (ko) * 2018-03-16 2019-06-12 주식회사 금별산업 내구성이 향상된 식생포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181B1 (ko) 2009-10-13 2011-03-03 주식회사 아트캠 도로용 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포장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181B1 (ko) 2009-10-13 2011-03-03 주식회사 아트캠 도로용 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포장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083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403B1 (ko) 일체식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4762980B (zh) 耗能减震防液化刚柔性抗滑桩及施工方法
JP6449040B2 (ja) 沈埋函体同士の接続構造、海底トンネルの施工方法
KR101597648B1 (ko) 가압구속형 보강그리드
JPWO2011037002A1 (ja) 樹脂製積層構造物を備える地中構造物
KR20180021144A (ko) 포장 방법 및 포장 구조
KR101698758B1 (ko) 보강그리드 구조
CN210946536U (zh) 一种小型危岩落石的防护结构
JP4614928B2 (ja) 軽量盛土工法
US9243380B2 (en) Reinforced arch with floating foot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CA2818730C (en) Reinforced arch with floating foot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CN103821164B (zh) 山区沟谷回填隧道构造
JP6832101B2 (ja) 盛土の補強構造及び盛土の補強方法
KR100719888B1 (ko) 지반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지반보강 시공방법
TWI558887B (zh) Construction methods and filling methods for weak sites and sites with liquefaction concerns, as well as structural bags
CN114351729A (zh) 一种装配式地固件护坡与垫层结构及其铺设方法
CN104480897B (zh) 陆域占地少应用范围广的防汛墙
Arellano et al. Framework for design guideline for expanded polystyrene block geofoam in slope stabilization and repair
JP6292028B2 (ja) 盛土補強構造
CN103898844B (zh) 一种片石垛加筋土复合路堤涵管结构
JP2018100508A (ja) 建物の構築方法
JP5805547B2 (ja) 道路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20110037317A (ko) 보강토 옹벽의 보강토블록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101204058B1 (ko)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
JP2021152313A (ja) 盛土補強構造及び盛土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