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180B1 -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180B1
KR101597180B1 KR1020140174681A KR20140174681A KR101597180B1 KR 101597180 B1 KR101597180 B1 KR 101597180B1 KR 1020140174681 A KR1020140174681 A KR 1020140174681A KR 20140174681 A KR20140174681 A KR 20140174681A KR 101597180 B1 KR101597180 B1 KR 101597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dhesive tape
subsidiary material
roller
materia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세영
김천희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세호로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호로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호로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1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1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5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with controlled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for advancing the pile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which automatically attaches subsidiary materials such as a gusset plate etc. to an object such as substrates etc.. The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feed roller and a second feed roller which feed an cohesive tape along a predetermined feeding route; a supplementary table which is installed on the feeding route of the cohesive tape by the first feed roller and the second feed roller; a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ing unit which a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ing device on which a subsidiary material sheet formed by attaching the subsidiary materials on a release sheet is loaded, a pickup head for picking up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and a pickup head transfer unit which transfers the pickup head; a separating table which is installed on the feeding route of the cohesive tape by the first feed roller and the second feed roller; an adhesive table on which a substrate to which the subsidiary materials are attached is loaded; an adhesive head which picks up the subsidiary materials on the release sheet which is arranged on the separating table, and an adhesive head transfer unit which transfers the adhesive head to attach the subsidiary materials on the substrate which is loaded on the adhesive table by separating the subsidiary materials attached to the adhesive head from the release sheet.

Description

부자재 부착장치{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0001]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

본 발명은 부자재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의 패턴 등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판 등의 부자재를 기판 등의 대상물에 자동으로 부착하는 부자재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material attach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attach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ttaching a subsidiary material such as a reinforcing plate for protecting a pattern or the like of a substrate to an object such as a substrate.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의 기판에는 회로를 구성하는 도전성을 갖는 패턴(pattern)이 인쇄되어 있다. 기판의 제조 공정 및 사용 중에 패턴을 보호하거나 기판의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부분에는 강성의 보강을 위하여 폴리이미드 필름, 글래스 에폭시 필름(glass epoxy film) 등의 합성수지 또는 SUS 등의 금속박판 소재로 된 보강판(stiffener)이 부착된다.BACKGROUND ART [0002] A conductive pattern constituting a circuit is printed on a substrate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n order to protect the patter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use of the substrate, or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substrate where the electronic components are mounted, a synthetic resin such as a polyimide film, a glass epoxy film, or a reinforcement made of a metal thin plate material such as SUS A stiffener is attached.

보강판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이를 필요한 형상으로 타발하여 연성회로기판에 가접한 후 가열하면, 접착제가 녹아 보강판이 기판에 접착된다. 가열할 필요 없이 상온에서 작용하는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면을 이형지로 덮어 보강판을 공급하고, 사용 시에 이형지를 분리한 후에 기판에 보강판을 부착한다.The reinforcing plate is coated with an adhesive. When the reinforcing plate is laid in a desired shape and then the flexible circuit substrate is heated, the adhesive is melted and the reinforcing plate is bonded to the substrate. In the case of using an adhesive functioning at room temperature without heating, the reinforcing plate is supplied by covering the surface to which the adhesive is applied with release paper, and the reinforcing plate is attached to the substrate after separating the release paper at the time of use.

보강판 등의 부자재를 기판 등에 부착하는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시된 바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969506호(2010. 7. 9.)에 개시된 보강판 부착장치는 롤 형태로 공급되는 보강판 필름에서 이형지를 분리하고 보강판 필름을 타발하여 보강판을 형성한 후 그 보강판을 부착 헤드로 운반하여 기판에 부착하는 장치이다.Various types of devices for attaching auxiliary materials such as reinforcing plates to a substrate have been disclosed. For example, in the reinforcing plate attaching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969506 (July 9, 2010), a releasing sheet is separated from a reinforcing plate film supplied in a roll form, a reinforcing plate is formed by tapping the reinforcing plate film, And the plate is carried by the attaching head and attached to the substrate.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은 보강판 등의 부자재가 롤형 이형지에 부착된 부자재 롤만을 사용할 수 있다. 실제 제조 작업에 있어서는 이러한 부자재 롤뿐만 아니라 시트형 이형지에 부자재가 부착된 부자재 시트도 사용되고 있는 바, 종래 부자재 부착장치로는 낱장의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부자재 시트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only the subsidiary material rolls attached to the roll-type release sheet can use only the auxiliary material such as the reinforcing plate. In the actual manufacturing work, not only the auxiliary material roll but also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having the subsidiary material attached to the sheet-type release sheet is used, and the conventional subsidiary material attaching apparatus has a disadvantage that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provided in a sheet form can not be us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부자재 시트로부터 부자재를 분리하여 기판 등의 대상물에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는 부자재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bsidiary material attaching apparatus which can automatically attach a subsidiary material to a target such as a substrate by separating the subsidiary material from the sheet of subsidiary material provided in a sheet form .

또한 본 발명은 롤 형태로 제공되는 부자재 롤과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부자재 시트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자재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material attaching device which can use both a subsidiary material roll provided in a roll form and a subsidiary material sheet provided in a sheet for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부자재 부착장치는, 점착성 테이프를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일정한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제 1 이송 롤러 및 제 2 이송 롤러; 상기 제 1 이송 롤러 및 제 2 이송 롤러에 의한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송 경로 중에 설치되는 보조 테이블; 이형지 시트 위에 부자재가 점착되어 형성되는 부자재 시트가 상기 부자재가 상측을 향하도록 놓이는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와, 상기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에 놓인 상기 부자재 시트를 픽업할 수 있도록 상기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의 상측에 배치되는 픽업 헤드와, 상기 픽업 헤드가 픽업한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기 보조 테이블 위의 상기 점착성 테이프에 옮겨 점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픽업 헤드를 이송하는 픽업 헤드 이송유닛을 갖는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 상기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에 의해 상기 부자재 시트가 점착된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이송 롤러 및 제 2 이송 롤러에 의한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송 경로 중에 설치되는 분리 테이블; 상기 부자재가 부착될 기판이 놓이는 부착 테이블; 상기 분리 테이블 위에 배치된 상기 이형지 시트에서 상기 부자재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 테이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부자재 시트의 부자재를 픽업하는 부착 헤드; 및 상기 부착 헤드에 부착된 상기 부자재를 상기 이형지 시트에서 분리하여 상기 부착 테이블에 놓인 상기 기판에 옮겨 붙일 수 있도록 상기 부착 헤드를 이송하는 부착 헤드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ccessory attach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conveying roller and a second conveying roller installed to support adhesive tapes at a spaced apart position, the first conveying roller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conveying the adhesive tape along a predetermined conveying path; An auxiliary table installed in a conveying path of the adhesive tape by the first conveying roller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A subsidiary material sheet feeding mechanism in which a subsidiary material sheet formed by adhering a subsidiary material is placed on the release paper sheet so that the subsidiary material is directed upwardly and a second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mechanism arranged above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mechanism to pick up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placed in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mechanism A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having a pick-up head and a pick-up head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pick-up head so that the pick-up head picks up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to transfer the pick-up head onto the adhesive tape on the subsidiary table; A separation table installed in a conveyance path of the adhesive tape by the first conveyance roller and the second conveyance roller so that the adhesive tape to which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is adher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can pass; An attachment table on which the substrate to which the subsidiary material is to be attached is placed; An attachment head disposed above the separation table for separating the subsidiary material from the release material sheet disposed on the separation table and picking up the subsidiary material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And an attachment head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attachment head so that the attachment material attached to the attachment head can be separated from the release paper sheet and transferred to the substrate placed on the attachment table.

본 발명에 의한 부자재 부착장치는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부자재 시트로부터 부자재를 분리하여 기판 등의 대상물에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attach the subsidiary material to a target such as a substrate by separating the subsidiary material from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provided in a sheet form.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부자재 부착장치는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부자재 시트와 롤 형태로 제공되는 부자재 롤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부자재 시트를 사용하는 부착장치와 부자재 롤을 사용하는 부착장치를 모두 구비하지 않고도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되는 부자재를 이용한 부착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Further, the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use a subsidiary material sheet provided in a sheet form and a subsidiary material roll provided in a roll for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erform the attaching work using the auxiliary materials provided in the two forms without the attaching apparatus us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and the attaching apparatus using the subsidiary material rol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가 부자재 시트를 사용하여 부자재 부착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가 부자재 시트와 무한궤도형 점착성 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자재 부착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attaching an accessory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struction of an accessory att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apparatus for attaching an accessory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7 illustrate a method of attaching an accessory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n accessory sheet.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ttaching an auxiliary material using an auxiliary material sheet and an endless track type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attaching an accessory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struction of an accessory att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부자재 부착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an apparatus for attaching an accessory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100)는, 부자재 롤(20) 또는 점착성 테이프(30; 도 4 참조)(50; 도 7 참조)를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이들을 일정한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제 1 이송 롤러(110) 및 제 2 이송 롤러(112)와, 제 1 이송 롤러(110)와 제 2 이송 롤러(112)에 의한 이송 경로 중에 부자재 롤(20) 또는 점착성 테이프(30)(50)가 놓이도록 차례로 설치되는 보조 테이블(116) 및 분리 테이블(120)과, 부자재가 부착될 대상물이 놓이는 부착 테이블(125)과, 부자재 시트(10)를 보조 테이블(116) 상으로 공급하기 위한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130)과, 부자재 시트(10)로부터 부자재(12)를 분리하여 기판(40)에 부착하는 부착 헤드(160)와, 부착 헤드(160)를 이송하기 위한 부착 헤드 이송유닛(162)을 포함한다.1 to 3, the auxiliary material attac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idiary material roll 20 or an adhesive tape 30 (see FIG. 4) 50 (see FIG. 7) A first conveying roller 110 and a second conveying roller 112 which are installed to support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in a spaced apart position and convey them along a predetermined conveying path, An auxiliary table 116 and a separation table 120 which are installed in order to place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or the adhesive tapes 30 and 50 in the conveying path by the conveying path and the attachment table 125 on which the object to be attached with the auxiliary material is placed, A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130 for supply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onto the auxiliary table 116 and an attachment head 160 for attaching the subsidiary material 12 to the substrate 40 by separating the subsidiary material 12 from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And an attachment head transfer unit 162 for transferring the attachment head 160.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100)는 시트 형태의 부자재 시트(10; 도 5 참조)와 롤 형태의 부자재 롤(20)을 겸용으로 사용하여 기판(40)에 부자재를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다. 부자재 시트(10)를 사용하는 경우 제 1 이송 롤러(110)와 제 2 이송 롤러(112)에는 점착성 테이프(30)(50)가 지지되고, 부자재 롤(20)을 사용하는 경우 제 1 이송 롤러(110)와 제 2 이송 롤러(112)에는 부자재 롤(20)이 지지된다. 부자재의 공급에서 부자재 부착까지의 일련의 부착 작업은 제어기(17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The auxiliary material attac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10 (see FIG. 5) in the form of a sheet and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in the form of a roll to automatically attach the auxiliary material to the substrate 40 .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is used, the adhesive tape 30 (50) is supported on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and when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is used,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is supported on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A series of attaching operations from the supply of the subsidiary material to the attachment of the subsidiary material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70. [

부자재 시트(10)는 시트 형태의 이형지 시트(11) 위에 부자재(12)가 점착되어 형성된다. 부자재(12)의 일면에는 접착제(13)가 도포되어 있고, 이 접착제(13)는 이형지 시트(11)에 의해 보호된다. 이형지 시트(11)는 종이의 일면에 접착제(13)와의 박리를 위한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이 도포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부자재 롤(20)은 롤 형태로 감기는 이형지 롤(21) 위에 부자재(22)가 점착되어 형성된다. 부자재(22)의 일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이 접착제는 이형지 롤(21)에 의해 보호된다. 이형지 롤(21)은 이형지 시트(11)와 마찬가지로 종이의 일면에 접착제와의 박리를 위한 물질이 도포된 구조를 갖는다.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is formed by adhering an auxiliary material 12 on a release paper sheet 11 in the form of a sheet. An adhesive 13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auxiliary material 12, and this adhesive 13 is protected by the release paper sheet 11. The release paper sheet 11 has a structure in which a material for peeling off the adhesive 13, for example, silicone,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paper.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is formed by adhering the auxiliary material 22 on the release paper roll 21 wound in a roll form. An adhesive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auxiliary material 22, and this adhesive is protected by the release paper roll 21. Like the release paper sheet 11, the release paper roll 21 has a structure in which a material for peeling off an adhesive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paper.

점착성 테이프(30; 도 5 참조)(50; 도 7 참조)는 분리 테이블(120) 상에서 부자재 시트(10)의 이형지 시트(11)를 부자재(12)와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점착성 테이프(30)(50)로는 제 1 이송 롤러(110)에서 풀러 제 2 이송 롤러(112)에 되감기도록 설치되는 롤형의 점착성 테이프(30)와, 제 1 이송 롤러(110)와 제 2 이송 롤러(112) 사이를 연속 순환하도록 설치되는 무한궤도형의 점착성 테이프(50)가 이용될 수 있다. 이들 점착성 테이프(30)(50)는 부자재 시트(10)의 이형지 시트(11)를 점착할 수 있도록 일면에 점착력을 갖는 점착물질이 도포된 점착면(31)(51)을 갖는다. 점착성 테이프(30)(50)가 보조 테이블(116) 위에 놓일 때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130)에 의해 부자재 시트(10)가 점착성 테이프(30)(50)의 점착면(31)(51)에 점착된다. 점착성 테이프(30)(50)의 점착면(31)(51)을 구성하는 점착물질로는 점착력이 떨어질 때 세척을 통해 점착력을 회복할 수 있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롤형의 점착성 테이프(30)는 일단 사용되면 점착력 회복이 어려운 점착물질로 이루어진 점착면을 가질 수 있다.The adhesive tape 30 (see FIG. 5) 50 (see FIG. 7) is for separating the release sheet 11 of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10 from the auxiliary material 12 on the separation table 120. The PSA tapes 30 and 50 include a roll type adhesive tape 30 installed to rewind from the first conveyance roller 110 to the second conveyance roller 112 and a second conveyance roller An endless track type adhesive tape 50 provided so as to be continuously circulated between the transport rollers 112 can be used. These adhesive tapes 30 and 50 have adhesive surfaces 31 and 51 to which an adhesive substance having an adhesive force is applied on one surface so as to adhere the release sheet 11 of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10.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10 is pressed against the adhesive surface 31 (51) of the adhesive tape 30 (50) by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feeding unit 130 when the adhesive tape 30 (50) Lt; / RTI > As the adhesive material constituting the adhesive surfaces 31 and 51 of the adhesive tapes 30 and 50, a material capable of recovering the adhesive force through washing when the adhesive force is low can be used. Of course, the roll-type adhesive tape 30 may have an adhesive surface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which is difficult to recover the adhesive force once used.

제 1 이송 롤러(110) 및 제 2 이송 롤러(112)는 부자재 롤(20) 또는 점착성 테이프(30)(50)를 일정한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한다. 제 1 이송 롤러(110) 및 제 2 이송 롤러(112)에 지지되는 부자재 롤(20)의 이형지 롤(21) 또는 점착성 테이프(30)(50)는 복수의 지지 롤러(114)와 분리 테이블(120) 등에 의해 형성되는 절곡된 형태의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제 1 이송 롤러(110) 및 제 2 이송 롤러(112)는 이에 지지되는 부자재 롤(20) 또는 점착성 테이프(30)(50)를 이송 경로를 따라 일정 간격씩 간헐 이송시킬 수 있다.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convey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or the adhesive tape 30 or 50 along a predetermined conveying path. The release roll 21 or the adhesive tape 30 or 50 of the subsidiary material roll 20 supported by the first conveyance roller 110 and the second conveyance roller 112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114 and a separation table 120, and the like.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can intermittently convey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or the adhesive tape 30 or 50 supported there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onveying path.

보조 테이블(116)과 분리 테이블(120)은 부자재 롤(20) 또는 점착성 테이프(30)(50)의 이송 경로 중 제 1 이송 롤러(110)와 부착 테이블(125) 사이에 차례로 설치된다. 부자재 롤(20) 또는 점착성 테이프(30)(50)는 분리 테이블(120)에서 그 이송 방향이 전환된다. 즉, 제 1 이송 롤러(110)에서 이송되는 부자재 롤(20) 또는 점착성 테이프(30)(50)는 보조 테이블(116)과 분리 테이블(120)을 차례로 통과하여 분리 테이블(120)의 후단에서 그 이송 방향이 꺾인 후 제 2 이송 롤러(112) 쪽으로 이송된다.The auxiliary table 116 and the separation table 120 are sequentiall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and the attaching table 125 in the conveying path of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or the adhesive tapes 30 and 50.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or the adhesive tape 30 (50) is switched from the separation table 120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or the adhesive tape 30 or 50 conveyed by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table 116 and the separation table 120 and is conveyed from the rear end of the separation table 120 And is conveyed towar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after the conveying direction is deflected.

보조 테이블(116)은 하부 프레임(102)에 결합된 테이블 지지대(117)에 의해 지지된다. 테이블 지지대(117)에는 후술할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나 가이드 롤러(191)가 결합되고, 테이블 지지대(117)의 중간에는 작업 홈(118)이 마련된다. 이 작업 홈(118)은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위한 것이다. 작업자는 작업 홈(118)을 통해 부자재 롤(20) 또는 점착성 테이프(30)(50)를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나 가이드 롤러(191)를 거쳐 제 2 이송 롤러(112)에 거는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auxiliary table (116) is supported by a table support (117) coupled to the lower frame (102). A release sheet sheet separating member 190 or a guide roller 191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table support 117 and a work groove 118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table support 117. This work groove 118 is for the work convenience of the operator. The worker moves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or the adhesive tape 30 or 50 to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through the release sheet separating member 190 or the guide roller 191 through the work groove 118 And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분리 테이블(120)은 하부 프레임(102)에 결합된 테이블 지지대(122)에 의해 지지된다. 테이블 지지대(122)에는 부자재 롤(20) 또는 점착성 테이프(30)(50)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 롤러(114) 중 일부가 결합되고, 테이블 지지대(122)의 중간에는 작업 홈(123)이 마련된다. 이 작업 홈(123)은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위한 것이다. 작업자는 작업 홈(123)을 통해 부자재 롤(20) 또는 점착성 테이프(30)(50)를 지지 롤러(114)를 거쳐 제 2 이송 롤러(112)에 거는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separation table 120 is supported by a table support 122 coupled to the lower frame 102. A part of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114 for guiding the subsidiary material roll 20 or the adhesive tapes 30 and 50 is coupled to the table support 122 and a work groove 123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table support 122. [ . This work groove 123 is for the work convenience of the operator.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carry out the work of placing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or the adhesive tape 30 or 50 on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via the support roller 114 through the work groove 123.

부착 테이블(125)은 부자재(12)(22)가 부착될 기판(40) 등의 대상물이 놓이는 평평한 상면을 갖는다.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부착 테이블(125)의 상면에는 기판(40)을 진공 흡착하기 위한 다수의 흡입구멍이 마련될 수 있고, 진공압 발생유닛(172)으로부터 진공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부착 테이블(125)은 진공압을 이용하여 기판(40)을 고정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기구적 고정 방법 등 진공압 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기판(40)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attaching table 125 has a flat upper surface on which an object such as the substrate 40 to which the subsidiary materials 12 and 22 are to be attached is place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for vacuum-sucking the substrate 4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ttachment table 125, and vacuum pressure may be provided from the vacuum pressure generating unit 172. Of course, the attaching table 125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substrate 40 by using the vacuum pressure, and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substrate 40 by various other methods besides vacuum pressure such as a mechanical fixing method .

부착 테이블(125)은 테이블 이송기구(127)에 의해 하부 프레임(102)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28)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테이블 이송기구(127)는 부자재 부착 작업 시 부착 테이블(125)을 움직임으로써 부착 헤드(160)가 부착 테이블(125)에 놓인 기판(40) 상의 정해진 위치에 부자재(12)(22)를 원활하게 부착하도록 한다. 테이블 이송기구(127)는 모터를 이용하는 구조나 실린더를 이용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attachment table 125 can be linearly moved along the guide rails 128 provided on the lower frame 102 by the table transfer mechanism 127. The table conveying mechanism 127 moves the attachment table 125 in the attaching opera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so that the attachment head 160 smoothly moves the subsidiary materials 12 and 22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substrate 40 placed on the attachment table 125 . The table conveying mechanism 127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tructure using a motor or a structure using a cylinder.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130)은 부자재 시트(10)를 보조 테이블(116) 상의 점착성 테이프(30)(5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이송 롤러(110) 및 보조 테이블(116)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하부 프레임(102) 위에 설치된다.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130)은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131)와, 픽업 헤드(136)와, 픽업 헤드 이송유닛(138)을 포함한다.1 to 3,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130 is for supply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to the adhesive tape 30 (50) on the subsidiary table 116, and the first transfer roller 110 and on the side of the sub-table 116. As shown in Fi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130 includes a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mechanism 131, a pickup head 136, and a pick-up head transfer unit 138.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131)는 부자재 시트(10)가 놓이는 적재 테이블(132)을 포함한다. 적재 테이블(132)은 하부 프레임(102) 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133)에 결합된 복수의 지지기둥(134)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적재 테이블(132)은 이동 프레임(133)에 설치된 테이블 승강기구(135)에 의해 승강한다. 적재 테이블(132) 상에는 부자재 시트(10)가 그 부자재(12)가 상측을 향하도록 복층으로 적재되고, 테이블 승강기구(135)는 부자재 시트(10)의 적재 높이에 맞춰 적재 테이블(132)을 상승시킴으로써 적재 테이블(132) 상측에 설치된 픽업 헤드(136)가 부자재 시트(10)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픽업할 수 있도록 한다. 테이블 승강기구(135)는 모터를 이용하는 구조나, 실린더를 이용하는 구조 등 적재 테이블(132)을 승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mechanism 131 includes a loading table 132 on which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is placed. The stacking table 132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34 coupled to a moving frame 133 movably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102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loading table 132 is raised and lowered by a table elevating mechanism 135 provided on the moving frame 133. The table lift mechanism 135 is mounted on the table 132 in such a manner that the auxiliary table 12 is stacked on the table 132 so as to match the stacking height of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10, Up head 136 provided above the stacking table 132 can smoothly and stably pick up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 The table elevating mechanism 135 may have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the loading table 132 such as a structure using a motor or a structure using a cylinder.

픽업 헤드(136)는 적재 테이블(132)에 적재되어 있는 부자재 시트(10)를 픽업하여 보조 테이블(116)에 옮겨 놓을 수 있도록 적재 테이블(132) 및 보조 테이블(116)의 상측에 설치된다. 픽업 헤드(136)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부자재 시트(10)를 흡착하는 것이나, 기구적인 방법으로 부자재 시트(10)를 클램핑하는 것 등 적재 테이블(132)에 적재된 부자재 시트(10)를 하나씩 픽업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픽업 헤드(136)가 진공압을 이용하여 부자재 시트(10)를 픽업하는 경우, 픽업 헤드(136)는 진공압 발생유닛(172)으로부터 진공압을 제공받아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복수의 픽업 헤드(136)가 부자재 시트(10)에 접하여 부자재 시트(10)를 픽업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픽업 헤드(136)의 설치 개수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수로 변경될 수 있다.The pick-up head 136 is installed above the mounting table 132 and the auxiliary table 116 so as to pick up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loaded on the mounting table 132 and transfer it to the auxiliary table 116. The pick-up head 136 is configured to suck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by using the vacuum pressure or to clamp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by mechanical means such as clamp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stacked on the stacking table 132 one by one Various structures that can be picked up can be used. When the pick-up head 136 picks up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by using the vacuum pressure, the pick-up head 136 can be operated by receiving the vacuum pressure from the vacuum pressure generating unit 172. Although the plurality of pick-up heads 136 are illustrated as picking up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s 10 in contact with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the number of the pick-up heads 136 can be changed to one or more various numbers.

픽업 헤드 이송유닛(138)은 픽업 헤드(136)가 픽업한 부자재 시트(10)를 보조 테이블(116) 위의 점착성 테이프(30)(50)에 옮겨 점착시킬 수 있도록 픽업 헤드(136)를 이송한다. 픽업 헤드 이송유닛(138)은 픽업 헤드(136)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139)와, 픽업 헤드(136)를 수평 이송하는 수평 이송기구(143)를 포함한다.Pickup head transfer unit 138 transfers the pick-up head 136 so that the picked-up subsidiary sheet 10 picked up by the pick-up head 136 can be transferred to and adhered to the adhesive tapes 30 and 50 on the subsidiary table 116 do. The pick-up head transfer unit 138 includes a lift mechanism 139 for moving the pick-up head 136 and a horizontal transfer mechanism 143 for horizontally moving the pick-up head 136.

승강기구(139)는 복수의 픽업 헤드(136)를 지지하는 승강부재(140)와 승강부재(140)를 승강시키는 승강 액츄에이터(141)를 포함한다. 수평 이송기구(143)는 이동 프레임(133) 위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44)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이송부재(145)와 수평 이송부재(145)를 수평 이송시키는 수평 이송 액츄에이터(146)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44)은 이동 프레임(133)에 결합된 받침대(147)에 지지되어 보조 테이블(116)에 대한 점착성 테이프(30)(50)의 이송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며, 수평 이송부재(145)는 수평 이송 액츄에이터(146)에 의해 지지 프레임(144)을 따라 보조 테이블(116)에 대한 점착성 테이프(30)(50)의 이송 방향과 수직으로 수평 이송된다.The lift mechanism 139 includes a lift member 140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pick-up heads 136 and a lift actuator 141 for moving the lift member 140 up and down. The horizontal conveying mechanism 143 includes a horizontal conveying member 145 that is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conveyed to the support frame 144 provided on the moving frame 133 and a horizontal conveying actuator 146 that horizontally conveys the horizontal conveying member 145 . The support frame 144 is supported by a pedestal 147 coupled to the moving frame 133 and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30 (50) relative to the sub table 116, and the horizontal conveying member 145 Is horizontally conveyed along the support frame 144 by the horizontal transfer actuator 146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30 (50) to the sub table (116).

승강기구(139)의 승강 액츄에이터(141)는 수평 이송기구(143)의 수평 이송부재(145)에 결합되고 승강기구(139)의 승강부재(140)는 복수의 가이드 로드(148)에 의해 수평 이송기구(143)의 수평 이송부재(145)에 대해 승강하도록 수평 이송부재(145)와 결합된다. 따라서, 복수의 픽업 헤드(136)는 승강기구(139)를 통해 수평 이송기구(143)와 연결되며, 승강기구(139)에 의해 승강하고 수평 이송기구(143)에 의해 보조 테이블(116) 대한 점착성 테이프(30)(50)의 이송 방향과 수직으로 수평 이송될 수 있다. 승강기구(139)의 승강 액츄에이터(141)나 수평 이송기구(143)의 수평 이송 액츄에이터(146)는 모터를 이용하는 구조나 실린더를 이용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evating actuator 141 of the elevating mechanism 139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conveying member 145 of the horizontal conveying mechanism 143 and the elevating member 140 of the elevating mechanism 139 is horizontally And is coupled with the horizontal conveying member 145 so as to move up and down relative to the horizontal conveying member 145 of the conveying mechanism 143. The pick-up head 136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eed mechanism 143 via the lift mechanism 139 and is lifted by the lift mechanism 139 and moved up and down by the horizontal feed mechanism 143, And can be transported horizontally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PSA tape 30 (50). The elevating actuator 141 of the elevating mechanism 139 and the horizontal conveying actuator 146 of the horizontal conveying mechanism 143 may be construct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tructure using a motor or a structure using a cylinder.

승강기구(139)의 승강부재(140)에는 복수의 픽업 헤드(136)와 함께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150)이 결합된다.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150)은 보조 테이블(116) 위의 점착성 테이프(30)(50)로 옮겨 온 부자재 시트(10)를 점착성 테이프(30)(50)에 가압하여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압착 롤러(151)와, 압착 롤러 승강기구(154)와, 압착 롤러 수평 이송기구(156)를 포함한다. 압착 롤러(151)는 압착 롤러 승강기구(154)에 결합된 롤러 지지대(1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압착 롤러 승강기구(154)는 압착 롤러(151)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압착 롤러 수평 이송기구(156)에 결합된다. 압착 롤러 수평 이송기구(156)는 압착 롤러(151)를 보조 테이블(116)에 대한 점착성 테이프(30)(50)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수평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픽업 헤드 이송유닛(138)의 승강부재(140)에 결합된다. 압착 롤러 승강기구(154)나 압착 롤러 수평 이송기구(156)는 모터를 이용하는 구조나 실린더를 이용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The auxiliary material sheet pressing unit 150 is coupled to the elevating member 140 of the elevating mechanism 139 together with the plurality of pick-up heads 136.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150 is for press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transferred to the adhesive tape 30 (50) on the subsidiary table 116 against the adhesive tape 30 (50) A pressing roller elevating mechanism 154, and a pressing roller horizontal conveying mechanism 156. The pressing roller elevating mechanism 154 and the pressing roller horizontal conveying mechanism 156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The pressing roller 151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roller support 152 coupled to the pressing roller elevating device 154. [ The pressing roller elevating mechanism 154 is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pressing roller 151 and is coupled to the pressing roller horizontal feeding mechanism 156. The squeeze roller horizontal feed mechanism 156 is for horizontally feeding the squeeze roller 151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30 (50) to the sub table 16 And is coupled to the lifting member 140. The squeeze roller elevating mechanism 154 and the squeeze roller horizontal feed mechanism 156 may be of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tructure using a motor or a structure using a cylinder.

압착 롤러(151)는 압착 롤러 수평 이송기구(156) 및 압착 롤러 승강기구(154)를 통해 픽업 헤드 이송유닛(138)의 승강부재(140)와 연결되므로 픽업 헤드 이송유닛(138)에 의해서도 승강 및 수평 이송될 수 있다. 픽업 헤드 이송유닛(138)의 수평 이송기구(143)에 의한 압착 롤러(151)의 수평 이송 방향은 보조 테이블(116)에 대한 점착성 테이프(30)(50)의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다. 압착 롤러(151)는 보조 테이블(116)에 놓인 점착성 테이프(30)(50)를 위쪽에서 보조 테이블(116)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보조 테이블(116) 상측에 위치한다.The pressing roller 151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140 of the pick-up head conveying unit 138 via the pressing roller horizontal conveying mechanism 156 and the pressing roller elevating mechanism 154, And horizontally. The horizontal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roller 151 by the horizontal conveying mechanism 143 of the pick-up head conveying unit 138 i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30 (50) to the sub table 116 . The pressing roller 151 is positioned above the auxiliary table 116 so that the adhesive tape 30 or 50 placed on the auxiliary table 116 can be pressed from above to the auxiliary table 116 side.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130)과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150)은 하부 프레임(102)에 설치되는 공급유닛 이송기구(158)에 의해 하부 프레임(102) 상에서 수평 이송된다.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130)과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150)이 설치된 이동 프레임(133)은 하부 프레임(102)에 보조 테이블(116)에 대한 점착성 테이프(30)(50)의 이송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가이드 레일(159)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공급유닛 이송기구(158)는 이동 프레임(133)을 가이드 레일(159)을 따라 수평 이송한다. 공급유닛 이송기구(158)로는 모터를 이용하는 구조나 실린더를 이용하는 구조 등 이동 프레임(133)을 직선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130 and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150 are horizontally transported on the lower frame 102 by the supply unit transfer mechanism 158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102. [ The moving frame 133 provided with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feeding unit 130 and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15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30 or 50 with respect to the subsidiary table 116 in the lower frame 102 And is movably coupled to the arranged guide rails 159. The feeding unit feed mechanism 158 horizontally feeds the moving frame 133 along the guide rails 159. As the feeding unit feed mechanism 158, a structure using a motor, a structure using a cylinder, or the like, having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linearly reciprocating the moving frame 133 can be used.

부착 헤드(160)는 분리 테이블(120) 상에서 부자재 시트(10)의 이형지 시트(11)에 점착된 부자재(12) 또는 분리 테이블(120) 상에서 부자재 롤(20)의 이형지 롤(21)에 점착된 부자재(22)를 분리할 수 있도록 분리 테이블(120)의 상측에 배치된다. 부착 헤드(160)는 분리 테이블(120) 상에서 부자재 시트(10)의 부자재(12) 또는 부자재 롤(20)의 부자재(22)를 픽업하여 부착 테이블(125)에 놓인 기판(40)에 가압하는 방법으로 부착하기 위해 부착 헤드 이송유닛(162)에 의해 움직인다.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부착 헤드(160)는 그 하면에 진공압 발생유닛(172)과 연결되는 복수의 흡입구멍(미도시)을 구비하여 부자재(12)(22)를 진공 흡입력으로 흡착할 수 있다. 물론, 부착 헤드(160)는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기구적 클램핑 방법이나 점착물질을 이용한 점착 방법 등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부자재(12)(22)를 픽업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attaching head 160 is attached to the release roll 21 of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on the separating table 120 or the auxiliary material 12 adhered to the release sheet 11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on the separation table 12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table 120 so as to be able to separate the subsidiary material 22. The attachment head 160 picks up the subsidiary material 12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or the subsidiary material 22 of the subsidiary material roll 20 on the separation table 120 and presses the substrate 40 on the attachment table 125 By attaching head transfer unit 162 for attachment in a metho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attachment head 160 has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not shown) connected to the vacuum pressure generating unit 172 on its lower surface to attract the subsidiary materials 12 and 22 by a vacuum suction force . Of course, the attachment head 160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picking up the auxiliary materials 12 (22) by various other methods such as a mechanical clamping method or an adhesive method using an adhesive material, in addition to a method using a vacuum suction force.

부착 헤드(160)는 부착 헤드 이송유닛(162)에 의해 승강 및 수평 이동한다. 부착 헤드 이송유닛(162)은 부착 테이블(125) 상측의 상부 프레임(104)에 설치된다. 부착 헤드 이송유닛(162)은 부착 헤드(160)를 상하 이동하기 위한 상하 이동기구(163)와 부착 헤드(160)를 수평 이동하기 위한 수평 이동기구(166)를 포함한다. 상하 이동기구(163)는 부착 헤드(160)와 결합되는 상하 이동부재(164)와 상하 이동부재(164)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액츄에이터(165)를 포함한다. 수평 이동기구(166)는 상하 이동 액츄에이터(165)를 지지하는 수평 이동부재(167)와 수평 이동부재(167)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액츄에이터(168)를 포함한다. 상하 이동부재(164)는 수평 이동부재(167)에 대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 이동 액츄에이터(165)에 연결되고, 수평 이동부재(167)는 상부 프레임(104)에 부착 테이블(125)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169)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하 이동 액츄에이터(165)나 수평 이동 액츄에이터(168)는 모터를 이용하는 구조나 실린더를 이용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The attachment head 16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attachment head transfer unit 162. The attachment head transfer unit 162 is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104 above the attachment table 125. The attachment head transfer unit 162 includes a vertical movement mechanism 163 for moving the attachment head 160 up and down and a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166 for horizontally moving the attachment head 160. The vertical movement mechanism 163 includes a vertical movement member 164 coupled to the attachment head 160 and a vertical movement actuator 165 for moving the vertical movement member 164 up and down. The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166 includes a horizontal movement member 167 for supporting the vertical movement actuator 165 and a horizontal movement actuator 168 for horizontally moving the horizontal movement member 167. The vertical moving member 164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ement actuator 165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moving member 167 and the horizontal moving member 167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104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ttaching table 125 And is movably coupled to a guide rail 169 dispos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uide rail 169. The vertical movement actuator 165 and the horizontal movement actuator 168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tructure using a motor or a structure using a cylinder.

이 밖에, 본 발명에 의한 부자재 부착장치(100)는 부자재(12)(22)가 부착될 기판(40)을 촬영하기 위한 기판 카메라(174)와, 부착 헤드(160)에 부착된 부자재(12)(22)를 촬영하기 위한 부자재 카메라(176)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material attac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camera 174 for capturing a substrate 40 to which the auxiliary materials 12 and 22 are to be attached, a subsidiary material 12 And a subsidiary material camera 176 for photographing the subsidiary material 22.

기판 카메라(174)는 부착 헤드(160)와 함께 부착 헤드 이송유닛(162)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부착 헤드 이송유닛(162)의 수평 이동부재(167)에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기판(40)에는 적어도 2개의 마크가 표시되어 있으며, 기판 카메라(174)는 기판(40)의 마크를 촬영하여 그 영상을 제어기(170)에 전달하고, 제어기(170)는 기판 카메라(174)에서 전달받은 영상을 이용하여 기판(40)의 위치와 각도를 산출한다.The substrate camera 174 is coupled to the horizontally moving member 167 of the attachment head transfer unit 162 so as to be movable by the attachment head transfer unit 162 together with the attachment head 160. At least two marks are marked on the substrate 40 and the substrate camera 174 takes the image of the mark on the substrate 40 and transfers the image to the controller 170,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substrate 40 are calculated using the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sensor 174.

부자재 카메라(176)는 부착 헤드(160)가 픽업한 부자재(12)(22)를 촬영할 수 있도록 분리 테이블(120)과 부착 테이블(125) 사이의 부착 헤드(160) 하부에 설치된다. 부자재 카메라(176)는 카메라 이동기구(178)에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부자재가 부자재 카메라(176)가 한번 촬영으로 전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크기일 경우 부자재 카메라(176)는 부착 헤드(160)가 움직일 때 고정된 상태로 부착 헤드(160)가 픽업한 부자재를 촬영한다. 반면, 부자재가 부자재 카메라(176)가 한번 촬영으로 전체 영상을 획득할 수 없는 크기일 경우 부자재 카메라(176)는 카메라 이동기구(178)에 의해 움직이면서 부자재(12)(22)를 복수 회 촬영하여 부자재의 전체 영상을 획득한다. 카메라 이동기구(178)는 모터를 이용하는 구조나 실린더를 이용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The subsidiary material camera 176 is installed under the attachment head 160 between the separation table 120 and the attachment table 125 so that the attachment head 160 can pick up the subsidiary materials 12 and 22 picked up. The auxiliary material camera 176 can horizontally move to the camera moving mechanism 178. [ The subsidiary material camera 176 photographs the subsidiary material picked up by the attaching head 160 in a fixed state when the attaching head 160 is moved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camera 176 is large enough to acquire the entire image by one shot do.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camera 176 is of such a size that it can not acquire the entire image by one shot, the subsidiary material camera 176 photographs the subsidiary material 12 (22) a plurality of times while moving by the camera moving mechanism 178 Obtain the full image of the subsidiary material. The camera moving mechanism 178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structure using a motor or a structure using a cylinder.

이 밖에 본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100)는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와 테이프 클리너(195)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와 테이프 클리너(195)는 무한궤도형의 점착 테이프(50)를 사용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무한궤도형의 점착성 테이프(50)는 제 1 이송 롤러(110)와 보조 테이블(116)과 분리 테이블(120)과 제 2 이송 롤러(112)를 차례로 경유하여 연속적으로 순환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점착성 테이프(50) 상에서 부자재(12)가 분리된 후에도 점착성 테이프(50)에 점착되어 있는 이형지 시트(11)를 점착성 테이프(50)로부터 분리해주고, 점착성 테이프(50)의 점착면(51)을 클리닝 해줄 필요가 있다.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는 점착성 테이프(50) 상에서 이형지 시트(11)를 분리해주고, 테이프 클리너(195)는 점착성 테이프(50)를 클리닝해 준다.In addition, the auxiliary material attac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release sheet separator 190 and a tape cleaner 195. The release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190 and the tape cleaner 195 may be usefully used when the endless track type adhesive tape 50 is used. 7, the endless track type adhesive tape 50 is continuously passed through the first conveyance roller 110, the sub table 116, the separation table 120 and the second conveyance roller 112 in order And is installed to circulate. In this case, the release paper sheet 11 adhering to the adhesive tape 50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tape 50 even after the subsidiary material 12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tape 50, and the adhesive surface 50 of the adhesive tape 50 51) need to be cleaned. The releasing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190 separates the release paper sheet 11 on the adhesive tape 50 and the tape cleaner 195 cleans the adhesive tape 50.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는 점착성 테이프(50)의 점착면(51)에 점착된 이형지 시트(11)를 점착성 테이프(5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점착성 테이프(50)의 이송 경로 중에 점착성 테이프(50)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는 분리 테이블(120)이 점착성 테이프(50)로부터 부자재 시트(10)의 부자재(12)를 분리하는 것과 같이 점착성 테이프(50)의 경로를 꺾음으로써 점착성 테이프(50)로부터 이형지 시트(11)를 분리시킨다. 즉,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는 점착성 테이프(50)의 점착면(51) 반대 쪽 면에 접하여 점착성 테이프(50)를 이형지 시트(11)의 점착면(51)에 점착되는 일면으로부터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로 전환시킨다.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에 의해 점착성 테이프(50)의 경로가 전환되는 부분에서 점착성 테이프(50)에 점착된 이형지 시트(11)는 점착성 테이프(50)로부터 분리된다.The releasing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190 separates the adhesive tape 50 from the adhesive tape 50 in the conveying path of the adhesive tape 50 in order to separate the release paper sheet 11 adhering to the adhesive surface 51 of the adhesive tape 50 from the adhesive tape 50 As shown in Fig. This releasing sheet separating member 190 is formed by cutting the path of the adhesive tape 50 such that the separating table 120 separates the subsidiary material 12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from the adhesive tape 50, To separate the release paper sheet 11 from the release paper sheet 11. That is, the release sheet sheet separating member 190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pposite to the adhesive surface 51 of the adhesive tape 50, so that the adhesive tape 50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surface 51 of the release sheet 11 in the direction . The release paper sheet 11 adhered to the adhesive tape 50 at the portion where the path of the adhesive tape 50 is switched by the release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190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tape 50. [

도시된 것과 같이,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와 제 2 이송 롤러(112) 사이에는 가이드 롤러(191)가 점착성 테이프(50)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점착성 테이프(50)의 이송 경로를 전환시킨다. 가이드 롤러(191)에 의해 점착성 테이프(50)의 경로는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예각으로 꺾인다.A guide roller 191 is provided between the release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190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tape 50 so as to switch the conveying path of the adhesive tape 50, The path of the adhesive tape 50 is bent at an acute angle upward from the end of the release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190 by the guide roller 191. [

물론,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에 의한 점착성 테이프(50)의 경로 전환 각도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의 설치 위치는 도시된 것과 같이 점착성 테이프(50)의 이송 경로 중 분리 테이블(120)과 제 2 이송 롤러(112) 사이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위치로 바뀔 수 있다. 또한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의 구조는 도시된 것과 같은 쐐기형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는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에 접하여 점착면에 점착된 이형지 시트를 직접 분리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path switching angle of the PSA tape 50 by the releasing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19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releasing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190 is not limited to the separating table 120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in the conveying path of the adhesive tape 50 as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changed to various other positions. Further,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190 can be changed into various other 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wedge-shaped structure as shown. The releasing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may have a structure for directly separating the release paper sheet adher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테이프 클리너(195)는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에 의해 이형지 시트(11)가 분리된 점착성 테이프(50)의 점착면(51)을 클리닝하기 위해 점착성 테이프(50)의 이송 경로 중에 점착성 테이프(50)의 점착면(51)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테이프 클리너(195)는 점착성 테이프(50)의 점착면(51)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클리닝 롤러(196)와, 클리닝 롤러(196)와 점착성 테이프(5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점착성 테이프(50)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232)를 포함한다. 클리닝 롤러(196)는 점착면(51)에 접하여 점착면(51)에 점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예컨대, 클리닝 롤러(196)는 점착면(51)의 이물질을 점착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점착면(51)의 점착력보다 큰 점착력을 갖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The tape cleaner 195 removes the adhesive tape 51 from the adhesive tape 50 in the feeding path of the adhesive tape 50 in order to clean the adhesive surface 51 of the adhesive tape 50 from which the release paper sheet 11 has been separated by the release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190. [ 50 to be in contact with the adhered surface 51. The tape cleaner 195 is provided with a cleaning roller 196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adhering surface 51 of the adhesive tape 50 and a fixing roller 196 provided so as to face the cleaning roller 196 and the adhesive tape 50, And a support roller 232 for supporting the roller 50. The cleaning roller 196 can take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dhered to the adhesive surface 51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surface 51. For example, the cleaning roller 196 can have a structure having adhesive force greater than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surface 51 so as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of the adhesive surface 51 in an adhesive manner.

이 밖에 테이프 클리너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점착성 테이프(50)의 점착면(51)에 접하여 점착 방식이나 세정 방식, 또는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점착면(51)의 점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점착면(51)의 점착력을 부자재 시트(10)의 이형지 시트(11)를 점착할 수 있는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tructure shown in the figure, the tape cleaner may be configured to remove adhesive foreign substances on the adhesive surface 51 by an adhesive method, a cleaning method, or other various methods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surface 51 of the adhesive tape 50,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dhesive force of the release sheet 51 to various other structures that can maintain the release sheet sheet 11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at a level higher than a certain level.

이와 같이,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와 테이프 클리너(195)는 무한궤도형의 점착성 테이프(50)를 사용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롤형의 점착성 테이프(3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롤형의 점착성 테이프(3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형태의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와 테이프 클리너를 이용함으로써, 점착성 테이프(30)로부터 이형지 시트(11)를 분리하고 점착성 테이프(30)를 클리닝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클리너의 설치 위치는 점착성 테이프(30)가 제 2 이송 롤러(112)에 되감기기 전에 점착성 테이프(30)를 클리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leasing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190 and the tape cleaner 195 can be effectively used when the endless track type adhesive tape 50 is used, but also when the roll type adhesive tape 30 is used have. That is, even in the case of using the roll-type adhesive tape 30, the release paper sheet 11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tape 30 by using various types of release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and tape cleaner and the adhesive tape 30 is cleaned .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ape cleaner should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adhesive tape 30 can be cleaned before the adhesive tape 30 is rewound on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material attac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100)는 부자재 시트(10) 또는 부자재 롤(20)을 겸용으로 사용하여 기판(40) 등의 대상물에 대한 부자재 부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subsidiary material attac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perform the subsidiary material attaching operation to the object such as the substrate 40 by us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or the subsidiary material roll 20 together.

먼저,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부자재 시트(10)를 사용하여 부자재 부착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4 to 8,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subsidiary material us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will be described.

부자재 시트(10)를 사용하는 경우,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130)은 보조 테이블(116) 쪽으로 전진하여 보조 테이블(116) 옆쪽에 위치하고, 제 1 이송 롤러(110) 및 제 2 이송 롤러(112)에는 롤형의 점착성 테이프(30)가 지지된다. 점착성 테이프(30)는 제 1 이송 롤러(110)에서 풀려 분리 테이블(120) 및 분리 테이블(120)을 차례로 거쳐 제 2 이송 롤러(112)에 되감기며, 제 1 이송 롤러(110) 및 제 2 이송 롤러(112)의 작용으로 피치 이송된다.4,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feeding unit 130 advances toward the subsidiary table 116 and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subsidiary table 116, and the first feed roller 110 and the second feed roller 116 A roll-type adhesive tape 30 is supported on the two conveying rollers 112. The adhesive tape 30 is unwound from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to rewind the separating table 120 and the separating table 120 to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in order and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0 And is conveyed in pitch by the action of the conveying roller 112.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점착성 테이프(30)가 보조 테이블(116)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130)의 픽업 헤드(136)가 픽업 헤드 이송유닛(138)의 작용으로 적재 테이블(132)에 적재된 부자재 시트(10)를 픽업하여 부자재 시트(10)를 분리 테이블(120) 위로 운반한다. 부자재 시트(10)를 픽업한 픽업 헤드(136)는 분리 테이블(120) 상에서 하강하였다가 상승함으로써 부자재 시트(10)를 보조 테이블(116) 위의 점착성 테이프(30)에 압착하는 방법으로 점착시킨다.5, the pick-up head 136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feeding unit 130 is moved by the action of the pick-up head transfer unit 138 in the state in which the adhesive tape 30 is placed on the auxiliary table 116, 132 and picks up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to transport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onto the separation table 120. The pick-up head 136 picking up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is lowered on the separation table 120 and then raised so that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is adhered to the adhesive tape 30 on the subsidiary table 116 .

이후, 도 6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150)의 압착 롤러(151)는 압착 롤러 승강기구(154)에 의해 하강하여 점착성 테이프(30)에 점착된 부자재 시트(10)에 압착된 상태에서 압착 롤러 수평 이송기구(156)에 의해 제 1 이송 롤러(110) 쪽으로 일정 간격 수평 이송되어 부자재 시트(10)의 선단부를 점착성 테이프(30)에 압착시킨다. 이러한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150)의 작용으로 부자재 시트(10)의 이형지 시트(11)는 그 선단부가 점착성 테이프(30)에 안정적으로 밀착된다. 압착 롤러(151)가 부자재 시트(10)에서 벗어난 후, 제 1 이송 롤러(110) 및 제 2 이송 롤러(112)의 작용으로 점착성 테이프(30)가 보조 테이블(116)에서 분리 테이블(120) 쪽으로 이송된다. 보조 테이블(116) 상에서 부자재 시트(10)가 분리 테이블(120) 쪽으로 이송된 후, 픽업 헤드(136) 및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150)은 적재 테이블(132)에 적재되어 있는 새로운 부자재 시트(10)를 보조 테이블(116) 상의 점착 테이프(30)로 이송하고 부자재 시트(10)를 점착 테이프(30)에 밀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6 (a), the pressing roller 151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150 is lowered by the pressing roller elevating mechanism 154 to press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The sheet is horizontally conveyed by the squeeze roller horizontal feed mechanism 156 to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ess the leading end of the subsidiary sheet 10 against the adhesive tape 30. [ The release sheet sheet 11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stably adheres to the adhesive tape 30 at the tip end thereof by the ac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150. The adhesive tape 30 is moved from the auxiliary table 116 to the separation table 120 by the action of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after the pressing roller 151 is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10. [ Lt; / RTI > After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is transferred to the separation table 120 on the subsidiary table 116, the pick-up head 136 and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150 transfer the new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Is carried to the adhesive tape 30 on the sub table 116 and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dhesive tape 30. [

도 6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분리 테이블(120) 상에서 점착성 테이프(30)가 이송될 때, 점착성 테이프(30)에 밀착된 이형지 시트(11)는 점착성 테이프(30)와 함께 분리 테이블(120)의 끝단에서 그 이송 방향이 꺾이게 되며, 이때 이형지 시트(11)에 점착되어 있던 부자재(12)가 이형지 시트(11)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점착 테이프(30)가 분리 테이블(120) 상으로 이송되고 부자재(12)가 이형지 시트(11)에서 분리될 때, 부착 헤드(160)가 분리 테이블(120) 상으로 이송된다.6 (b), when the adhesive tape 30 is transported on the separation table 120, the release paper sheet 11 adhered to the adhesive tape 30 adheres to the separation table 120 together with the adhesive tape 30, The auxiliary material 12 adhered to the release paper sheet 11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paper sheet 11 at this time. When the adhesive tape 30 is conveyed onto the separation table 120 and the auxiliary material 12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sheet 11, the attachment head 160 is conveyed onto the separation table 120.

부착 헤드(160)는 부착 헤드 이송유닛(162)의 작용으로 분리 테이블(120) 상에서 이형지 시트(11)로부터 분리되는 부자재(12)를 픽업하여 부착 테이블(125) 쪽으로 이동한다. 부착 헤드(160)는 부자재(12)를 픽업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부자재 카메라(176)를 통과하고, 부자재 카메라(176)가 부착 헤드(160)가 픽업하여 이송하는 부자재(12)를 촬영한다. 부자재 카메라(176)가 촬영한 영상은 제어기(170)에 제공되고, 제어기(170)는 부자재 카메라(176)에서 전달받은 영상을 이용하여 부착 테이블(125)로 이송되는 부자재(12)의 위치와 각도를 산출한다.The attachment head 160 picks up the subsidiary material 12 separated from the release sheet 11 on the separation table 120 by the action of the attachment head transfer unit 162 and moves toward the attachment table 125. The attachment head 160 passes through the subsidiary material camera 176 while moving while picking up the subsidiary material 12 and the subsidiary material camera 176 picks up the subsidiary material 12 picked up and transferred by the attachment head 160. [ The image captur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camera 176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70 and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subsidiary material 12 to be transferred to the attachment table 125 using the image transferred from the subsidiary material camera 176 Calculate the angle.

부착 헤드(160)가 부착 테이블(125) 위로 이송되면, 부착 테이블(125) 위에 위치한 기판 카메라(174)가 부착 테이블(125)에 놓인 기판(40)을 촬영한다. 일반적으로 기판(40)에는 적어도 2개의 마크가 표시되어 있으며, 기판 카메라(174)는 기판(40)의 마크를 촬영하여 그 영상을 제어기(170)에 전달하고, 제어기(170)는 기판 카메라(174)에서 전달받은 영상을 이용하여 기판(40)의 위치와 각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기(170)는 기판 카메라(174) 및 부자재 카메라(176)가 제공한 영상으로부터 기판(40)의 위치와 각도, 부자재(12)(22)의 위치와 각도를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부착 헤드 이송유닛(162) 및 테이블 이송기구(127)를 제어함으로써, 부착 헤드(160)에 의해 이송된 부자재(12)를 기판(40)의 정해진 부착 위치에 정밀하게 정렬하여 부착한다.When the attachment head 160 is transported over the attachment table 125, a substrate camera 174 located above the attachment table 125 takes a picture of the substrate 40 placed on the attachment table 125. At least two marks are marked on the substrate 40 and the substrate camera 174 takes the image of the mark on the substrate 40 and transfers the image to the controller 170,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substrate 40 are calculated using the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sensor 174. The controller 170 calculates the positions and angles of the substrate 40 and the positions and angles of the auxiliary materials 12 and 22 from the images provided by the substrate camera 174 and the auxiliary material camera 176, The auxiliary member 12 conveyed by the attaching head 160 is precisely aligned and attached to the predetermined attaching position of the substrate 40 by controlling the conveying unit 162 and the table conveying mechanism 127. [

한편,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부자재(12)가 분리된 상태로 점착 테이프(30)에 점착되어 있는 이형지 시트(11)는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에 의해 점착 테이프(30)로부터 제거된다. 그리고 제 2 이송 롤러(112)에는 이형지 시트(11)가 제거된 점착 테이프(30)가 되감긴다.7, the release paper sheet 11 which is adhered to the adhesive tape 30 in a state in which the subsidiary material 12 is separated is removed from the adhesive tape 30 by the release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190 . Then, the adhesive tape 30 from which the release sheet 11 is removed is rewound on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100)가 무한궤도형 점착성 테이프(50)를 사용하여 부자재 부착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무한궤도형의 점착 테이프(50)는 제 1 이송 롤러(110)와 보조 테이블(116)과 분리 테이블(120)과 제 2 이송 롤러(112)를 차례로 경유하여 연속적으로 순환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 1 이송 롤러(110)에서 풀려 제 2 이송 롤러(112)에 되감기는 형태로 설치되는 롤형의 점착성 테이프(30)를 사용하려면 점착성 테이프(30)의 길이가 길어야 하고, 점착성 테이프(30)가 제 1 이송 롤러(110)에다 다 풀린 후 제 1 이송 롤러(110)에 점착성 테이프(30)를 다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반해, 무한궤도형의 점착성 테이프(50)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점착성 테이프(50)를 이용할 수 있고, 점착성 테이프(50)를 재설치 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8 shows a case where the apparatus 100 for attaching the subsidiary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subsidiary material attaching operation using the endless track type PSA tape 50. [ The endless track type adhesive tape 50 is installed to circulate continuously through the first conveyance roller 110, the sub table 116, the separation table 120 and the second conveyance roller 112 in order.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use the roll-type adhesive tape 30 that is unwound from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and rewound to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the length of the adhesive tape 30 must be long, There is the inconvenience that the adhesive tape 30 must be reinstalled on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after the tape 30 is loosened to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endless track type adhesive tape 50 is used, the adhesive tape 50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can be used, and it is not necessary to re-install the adhesive tape 50, which enables efficient operation.

이러한 무한궤도형의 점착 테이프(5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보조 테이블(116) 상에 위치한 점착 테이프(50)에 부자재 시트(10)를 이송하고 점착 테이프(50)에 밀착시키는 동작이나, 분리 테이블(120) 상에서 부자재(12)를 픽업하여 부착 테이블(125) 상의 기판(40)으로 옮겨 부착하는 동작은 상술한 것과 같다. 또한 부자재(12)가 분리된 상태로 점착 테이프(50)에 점착되어 있는 이형지 시트(11)가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190)에 의해 점착 테이프(50)로부터 제거되는 동작도 상술한 것과 같다.The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to the adhesive tape 50 placed on the subsidiary table 116 and bring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dhesive tape 50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endless track type adhesive tape 50 is used, The operation of picking up the subsidiary material 12 on the mounting table 120 and transferring it to the substrate 40 on the attachment table 125 is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release paper sheet 11 which is adhered to the adhesive tape 50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material 12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tape 50 by the release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190 is as described above.

다만, 무한궤도형의 점착 테이프(50)는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동안 테이프 클리너(195)에 의해 클리닝된다. 테이프 클리너(195)의 클리닝 롤러(196)는 이형지 시트(11)가 제거된 후 점착 테이프(50)의 점착면(51)에 접하여 점착면(51)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점착면(51)의 점착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켜 준다.However, the endless track type adhesive tape 50 is cleaned by the tape cleaner 195 while continuously circulating. The cleaning roller 196 of the tape cleaner 195 removes various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adhesive surface 51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surface 51 of the adhesive tape 50 after the release paper sheet 11 is removed, (51) i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or more.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부자재 롤(20)을 사용하여 부자재 부착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이송 롤러(110) 및 제 2 이송 롤러(112)에는 부자재 롤(20)이 지지된다. 부자재 롤(20)은 제 1 이송 롤러(110)에서 풀려 보조 테이블(116) 및 분리 테이블(120)을 차례로 거쳐 제 2 이송 롤러(112)에 되감긴다. 제 1 이송 롤러(110) 및 제 2 이송 롤러(112)의 작용으로 부자재 롤(20)이 분리 테이블(120) 상에서 피치 이송될 때, 이형지 롤(21)의 분리 테이블(120)의 끝단에서 이송 방향이 꺾이는 부분에서 이형지 롤(21)에 점착되어 있던 부자재(22)가 이형지 롤(21)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부착 헤드(160)가 분리 테이블(120) 상에서 부자재(22)를 분리하여 부착 테이블(125)에 놓인 기판(40)으로 옮겨 부착한다. 부착 헤드(160)가 분리 테이블(120)에서 부자재(22)를 픽업한 이후의 작업은 상술한 부자재 시트(10)를 사용할 때의 부자재 부착 방법과 같다.1 to 3,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attach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subsidiary material roll 20, the subsidiary material roll 20 is supported on the first transfer roller 110 and the second transfer roller 112 do.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is unwound from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and is wound on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in order through the auxiliary table 116 and the separating table 120 in this order. When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is pitch-transferred on the separation table 120 by the action of the first conveyance roller 110 and the second conveyance roller 112, the separation material is transferred from the end of the separation table 120 of the release paper roll 21 The subsidiary material 22 adhered to the release paper roll 21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paper roll 21 at the portion where the direction is bent. The attachment head 160 removes the subsidiary material 22 from the separation table 120 and transfers it to the substrate 40 placed on the attachment table 125. The operation after the attachment head 160 picks up the subsidiary material 22 from the separation table 120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attaching the subsidiary material 10 when us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described above.

한편, 부자재 시트(10)를 사용한 부자재 부착 작업이나, 부자재 롤(20)을 사용한 부자재 부착 작업을 위해 제 2 이송 롤러(112)에 부자재 롤(20)이나 점착성 테이프(30)(50)를 연결하는 경우, 작업자는 보조 테이블(116)을 지지하는 테이블 지지대(117)에 마련된 작업 홈(118)이나 분리 테이블(120)을 지지하는 테이블 지지대(122)에 마련된 작업 홈(123)을 이용하여 장착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급유닛 이송기구(158)를 이용하여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130)을 제 1 이송 롤러(110) 쪽으로 후퇴시켜 테이블 지지대(117)(122)에 마련된 작업 홈(118)(123)을 정면 쪽으로 노출시킨 후, 부자재 롤(20)이나 점착성 테이프(30)(50)를 제 2 이송 롤러(112)나 가이드 롤러(191) 등에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bsidiary material roll 20 or the adhesive tape 30 (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port roller 112 for the operation of attaching the subsidiary material us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or the operation for attaching the subsidiary material using the subsidiary material roll 20 The operator uses the work groove 123 provided in the work support recess 118 provided on the table support 117 for supporting the auxiliary table 116 or the table support 122 supporting the separation table 120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conveniently. 3,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feeding unit 130 is retracted toward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by using the feeding unit feeding mechanism 158,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or the adhesive tape 30 or 50 to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or the guide roller 191 or the like after exposing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rollers 118 and 123 to the front side .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100)는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부자재 시트(10)로부터 부자재(12)를 자동으로 분리하여 기판(40) 등의 대상물에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 형태로 제공되는 부자재 롤(20)로부터 부자재(22)를 분리하여 대상물에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제조 환경에서는 부자재가 부자재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와 부자재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가 수시로 바뀌므로, 제공되는 부자재의 형태에 맞춰 작업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두 종류의 부자재에 대해 부자재 부착 작업을 신속하게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material attac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automatically separate the subsidiary material 12 from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10 provided in the form of a sheet and attach it to the object such as the substrate 40 Alternatively, the auxiliary material 22 may be detached from the auxiliary material roll 20 provided in the form of a roll and automatically attached to the object. Therefore, in the actual manufacturing environment, when the subsidiary material is provided in a form of a subsidiary material sheet or in the form of a subsidiary material sheet,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ubsidiary material,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quickly.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an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200)는 부자재 롤(20; 도 1 참조) 또는 점착성 테이프(30; 도 3 참조)(50)를 이송하는 제 1 이송 롤러(110) 및 제 2 이송 롤러(112)와, 제 1 이송 롤러(110)와 제 2 이송 롤러(112)에 의한 이송 경로 중에 부자재 롤(20) 또는 점착성 테이프(30)(50)가 놓이도록 차례로 설치되는 보조 테이블(116) 및 분리 테이블(120)과, 부자재가 부착될 대상물이 놓이는 부착 테이블(125)과, 부자재 시트(10)를 분리 테이블(120) 상으로 공급하기 위한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210)과, 부자재 시트(10)를 점착성 테이프(30)(50)에 밀착시키는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220)과, 부자재 시트(10)로부터 부자재(12)를 분리하여 기판(40)에 부착하는 부착 헤드(160)와, 부착 헤드(160)를 이송하기 위한 부착 헤드 이송유닛(16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 1 이송 롤러(110)와, 제 2 이송 롤러(112)와, 분리 테이블(120)과, 부착 테이블(125)과, 부착 헤드(160)와, 부착 헤드 이송유닛(162)은 상술한 것과 같다.The auxiliary material attach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9 and 10 is provided with a first feed (see Fig. 1) for transferring the subsidiary material roll 20 The rollers 110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s 112 and the auxiliary material rolls 20 or the adhesive tapes 30 and 50 are placed in the conveying path by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An auxiliary table 116 and a separating table 120 which are installed in this order so that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10 and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eparating table 120, A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220 for separating the subsidiary material 12 from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and separat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from the substrate 40 An attachment head 160 to which the attachment head 160 is attached, and an attachment head transfer unit 162 for transferring the attachment head 160. Here, the first conveying roller 110, the second conveying roller 112, the separating table 120, the attaching table 125, the attaching head 160, and the attaching head conveying unit 162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210)은 부자재 시트(10)가 놓이는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211)와,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211)에 놓인 부자재 시트(10)를 픽업할 수 있도록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211)의 상측에 배치되는 픽업 헤드(136)와, 픽업 헤드(136)를 이송하는 픽업 헤드 이송유닛(138)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픽업 헤드(136)와 픽업 헤드 이송유닛(138)은 상술한 것과 같다.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210)은 앞서 설명한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130)과 같이 공급유닛 이송기구(158)에 의해 움직이는 구조가 아닌 하부 프레임(102) 상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물론,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210)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동형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210 includes a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mechanism 211 in which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is placed and a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mechanism 211 for picking up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placed in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mechanism 211. [ And a pick-up head transfer unit 138 for transferring the pick-up head 136. The pick- Here, the pick-up head 136 and the pick-up head transfer unit 138 are as described above.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2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13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102 instead of the structure moved by the supply unit transfer mechanism 158 as in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130 described above. Of course,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210 may be installed in a movabl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211)는 부자재 시트(10)를 차례로 픽업 헤드(136)의 하측으로 운반하는 운반 컨베이어(212)를 포함한다. 운반 컨베이어(212)는 부자재 시트(10)가 그 부자재(12)가 상측을 향하도록 차례로 놓이는 이송 벨트(213)와, 이송 벨트(213)를 구동시키는 벨트 구동기구(214)를 포함한다. 벨트 구동기구(214)가 이송 벨트(213)를 구동시킴으로써 이송 벨트(213) 위에 놓이는 부자재 시트(10)는 차례로 픽업 헤드(136)의 하측으로 운반될 수 있다. 물론, 운반 컨베이어(212)는 도시된 것과 같은 벨트형 컨베이어 구조 이외에 부자재 시트(10)를 그 부자재(12)가 상측을 향하도록하여 차례로 픽업 헤드(136) 쪽으로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auxiliary material sheet feeding mechanism 211 includes a conveying conveyor 212 for conveying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10 in sequence to the lower side of the pickup head 136. The conveying conveyor 212 includes a conveyance belt 213 in which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is placed in order such that the subsidiary material 12 faces upward and a belt drive mechanism 214 for driving the conveyance belt 213.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10 placed on the conveyance belt 213 by driving the conveyance belt 213 by the belt driving mechanism 214 can be conveyed to the lower side of the pick-up head 136 in turn. Of course, the conveying conveyor 212 can be changed to various other structures capable of convey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toward the pick-up head 136 in order, with the subsidiary material 12 facing upward, in addition to the belt- .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220)은 보조 테이블(116)과 분리 테이블(120) 사이에 서로 마주하여 설치되는 지지 롤러(221)와 압착 롤러(222)를 포함한다. 지지 롤러(221)는 보조 테이블(116)에서 분리 테이블(120)로 이송되는 점착성 테이프(50)를 떠받치도록 이송되는 점착 테이프(50)의 하측에 설치된다. 압착 롤러(222)는 점착 테이프(50)에 점착된 부자재 시트(10)를 지지 롤러(221)에 대해 가압하도록 이송되는 점착 테이프(50)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220)은 보조 테이블(116) 상에서 부자재 시트(10)가 점착 테이프(50)에 점착된 후 점착 테이프(50)가 보조 테이블(116)에서 분리 테이블(120)로 이송될 때 압착 롤러(222)로 부자재 시트(10)를 가압하여 점착 테이프(50)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부자재 부착장치(100)의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150)보다 단순한 구조로 부자재 시트(10)를 점착 테이프(50)에 간단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220 includes a support roller 221 and a compression roller 222 which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etween the auxiliary table 116 and the separation table 120. The support roller 221 is provided below the adhesive tape 50 to be conveyed so as to support the adhesive tape 50 conveyed from the auxiliary table 116 to the separation table 120. The pressing roller 222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dhesive tape 50 which is conveyed to press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adhered to the adhesive tape 50 against the supporting roller 221.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2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dhesive material 50 is transferred from the auxiliary table 116 to the separation table 120 after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10 is adhered to the adhesive tape 50 on the auxiliary table 116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is pressed by the pressure roller 222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dhesive tape 50. Therefore,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can be simp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dhesive tape 50 by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150 of the subsidiary material attachment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물론,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220)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압착 롤러(222)는 보조 테이블(116) 또는 분리 테이블(120) 상에서 부자재 시트(10)를 점착 테이프(50)에 밀착시킬 수도 있도록 보조 테이블(116) 또는 분리 테이블(1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Of course, the structure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220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The pressing roller 22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table 116 or the separation table 120 so that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can be brought into tight contact with the adhesive tape 50 on the auxiliary table 116 or the separation table 120 Can be installed.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자재 부착장치(200) 역시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부자재 시트(10)와 롤 형태로 제공되는 부자재 롤(20)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부자재 시트(10)를 사용하는 경우 도시된 것과 같이 무한궤도형 점착성 테이프(50)를 사용할 수도 있고,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롤형의 점착성 테이프(30)도 사용할 수 있다.The auxiliary material attach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use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10 provided in a sheet form and the subsidiary material roll 20 provided in a roll form. In the case of using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10, the endless track type adhesive tape 50 may be used as shown in the figure, or the roll type adhesive tape 30 as described above may also be used.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도면에는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150)이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130)의 승강부재(140)에 결합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은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과 분리되어 분리 테이블(1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figure,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150 is shown as being coupled to the elevation member 140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130, but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is separated from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120, respectively.

또한 도면에는 부착 헤드 이송유닛(162)이 부착 헤드(160)를 상하 방향 및 1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구조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부착 헤드 이송유닛은 부착 헤드(160)를 상하 방향 및 2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attachment head transfer unit 162 is shown as a structure for horizontally moving the attachment head 160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in one direction. However, the attachment head transfer unit is configured to move the attachment head 160 in the up- It can be changed to a horizontal moving structure.

또한 부착 테이블(125)은 하부 프레임(102) 상에 고정 설치되거나, 다양한 형태로 움직이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Further, the attachment table 125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102, or may be installed in a structure moving in various forms.

또한 기판 카메라(174)는 도시된 것과 같이 부착 헤드 이송유닛(162)에 의해 부착 헤드(160)와 함께 움직이는 구조 이외에, 별도의 이송유닛에 의해 부착 헤드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구조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substrate camera 174 moves together with the attachment head 160 by the attachment head transfer unit 162 as shown, it can also be independently moved by a separate transfer unit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attachment head Do.

10 : 부자재 시트 11 : 이형지 시트
12, 22 : 부자재 20 : 부자재 롤
21 : 이형지 롤 30, 50 : 점착성 테이프
40 : 기판 100, 200 : 부자재 부착장치
102 : 하부 프레임 104 : 상부 프레임
110 : 제 1 이송 롤러 112 : 제 2 이송 롤러
114, 197, 221 : 지지 롤러 116 : 보조 테이블
117 : 테이블 지지대 120 : 분리 테이블
125 : 부착 테이블 127 : 테이블 이송기구
130, 210 :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
131, 211 :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
132 : 적재 테이블 133 : 이동 프레임
135 : 테이블 승강기구 136 : 픽업 헤드
138 : 픽업 헤드 이송유닛 139 : 승강기구
140 : 승강부재 141 : 승강 액츄에이터
143 : 수평 이송기구 144 : 지지 프레임
145 : 수평 이송부재 146 : 수평 이송 액츄에이터
147 : 받침대 148 : 가이드 로드
150 :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 151 : 압착 롤러
152 : 롤러 지지대 154 : 압착 롤러 승강기구
156 : 압착 롤러 수평 이송기구 158 : 공급유닛 이송기구
160 : 부착 헤드 162 : 부착 헤드 이송유닛
163 : 상하 이동기구 164 : 상하 이동부재
165 : 상하 이동 액츄에이터 166 : 수평 이동기구
167 : 수평 이동부재 168 : 수평 이동 액츄에이터
170 : 제어기 172 : 진공압 발생유닛
174 : 기판 카메라 176 : 부자재 카메라
178 : 카메라 이동기구 190 :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
191 : 가이드 롤러 195 : 테이프 클리너
196 : 클리닝 롤러 212 : 운반 컨베이어
213 : 이송 벨트 214 : 벨트 구동기구
10: Subsidiary material sheet 11: Release sheet sheet
12, 22: subsidiary material 20: subsidiary material roll
21: Release roll 30, 50: Adhesive tape
40: Substrate 100, 200: Substrate attachment device
102: lower frame 104: upper frame
110: first feed roller 112: second feed roller
114, 197, 221: support roller 116:
117: table support 120: separation table
125: attachment table 127: table transfer mechanism
130, 210: Substrate sheet feeding unit
131, 211: Subsidiary material sheet feeding mechanism
132: Stacking table 133: Moving frame
135: table elevator 136: pick-up head
138: pick-up head transfer unit 139:
140: lift member 141: lift actuator
143: Horizontal feed mechanism 144: Support frame
145: horizontal conveying member 146: horizontal conveying actuator
147: pedestal 148: guide rod
150: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151: compression roller
152: roller support 154: compression roller elevator
156: squeeze roller horizontal feed mechanism 158: feed unit feed mechanism
160: attaching head 162: attaching head conveying unit
163: vertical movement mechanism 164: vertical movement member
165: vertical movement actuator 166: horizontal movement mechanism
167: Horizontal moving member 168: Horizontal moving actuator
170: controller 172: vacuum pressure generating unit
174: Substrate camera 176: Substance camera
178: camera moving mechanism 190: release paper sheet separation member
191: guide roller 195: tape cleaner
196: Cleaning roller 212: Conveying conveyor
213: conveying belt 214: belt driving mechanism

Claims (17)

점착성 테이프를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일정한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제 1 이송 롤러 및 제 2 이송 롤러;
상기 제 1 이송 롤러 및 제 2 이송 롤러에 의한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송 경로 중에 설치되는 보조 테이블;
이형지 시트 위에 부자재가 점착되어 형성되는 부자재 시트가 상기 부자재가 상측을 향하도록 놓이는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와, 상기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에 놓인 상기 부자재 시트를 픽업할 수 있도록 상기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의 상측에 배치되는 픽업 헤드와, 상기 픽업 헤드가 픽업한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기 보조 테이블 위의 상기 점착성 테이프에 옮겨 점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픽업 헤드를 이송하는 픽업 헤드 이송유닛을 갖는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
상기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에 의해 상기 부자재 시트가 점착된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이송 롤러 및 제 2 이송 롤러에 의한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송 경로 중에 설치되는 분리 테이블;
상기 분리 테이블에 대한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을 수평 이송하는 공급유닛 이송기구;
상기 부자재가 부착될 기판이 놓이는 부착 테이블;
상기 분리 테이블 위에 배치된 상기 이형지 시트에서 상기 부자재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 테이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부자재 시트의 부자재를 픽업하는 부착 헤드; 및
상기 부착 헤드에 부착된 상기 부자재를 상기 이형지 시트에서 분리하여 상기 부착 테이블에 놓인 상기 기판에 옮겨 붙일 수 있도록 상기 부착 헤드를 이송하는 부착 헤드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픽업 헤드 이송유닛은, 상기 픽업 헤드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픽업 헤드를 점착성 테이프의 이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수평 이송하는 수평 이송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A first conveying roller and a second conveying roller installed to support the adhesive tape at mutually spaced positions and conveying the adhesive tape along a predetermined conveying path;
An auxiliary table installed in a conveying path of the adhesive tape by the first conveying roller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
A subsidiary material sheet feeding mechanism in which a subsidiary material sheet formed by adhering a subsidiary material is placed on the release paper sheet so that the subsidiary material is directed upwardly and a second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mechanism arranged above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mechanism to pick up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placed in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mechanism A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having a pick-up head and a pick-up head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pick-up head so that the pick-up head picks up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to transfer the pick-up head onto the adhesive tape on the subsidiary table;
A separation table installed in a conveyance path of the adhesive tape by the first conveyance roller and the second conveyance roller so that the adhesive tape to which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is adhered by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supply unit can pass;
A feeding unit feeding mechanism for horizontally feed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feeding unit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to the separation table;
An attachment table on which the substrate to which the subsidiary material is to be attached is placed;
An attachment head disposed above the separation table for separating the subsidiary material from the release material sheet disposed on the separation table and picking up the subsidiary material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And
And an attachment head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attachment head so that the attachment material attached to the attachment head can be separated from the release paper sheet and transferred to the substrate placed on the attachment table,
Wherein the pick-up head transfer unit comprises an elevator mechanism for elevating the pick-up head and a horizontal transfer mechanism for horizontally transferring the pick-up hea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adhesive t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시트 공급유닛의 픽업 헤드에 의해 상기 점착성 테이프로 옮겨 온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기 점착성 테이프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점착성 테이프에 밀착시키는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transferred to the PSA tape by the pick-up head of the PSA supply unit to the PSA tape to adhere to the PSA tap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은 상기 보조 테이블과 상기 분리 테이블 사이에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떠받치도록 설치되는 지지 롤러와,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기 지지 롤러에 대해 가압하도록 상기 보조 테이블과 상기 분리 테이블 사이에 상기 지지 롤러와 마주하여 설치되는 압착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pressing unit includes a supporting roller provided between the auxiliary table and the separating table so as to support the adhesive tape, and a supporting roller between the auxiliary table and the separating table for urging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against the supporting roller, And a pressing roller provided so as to face the roll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은,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구름 이동하여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기 보조 테이블 쪽으로 가압하는 압착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를 승강시키는 압착 롤러 승강기구와, 상기 압착 롤러를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수평 이송하는 압착 롤러 수평 이송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ssing member includes a pressing roller for rolling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to press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toward the auxiliary table and a press roller elevating mechanism for lifting the pressing roller, And a squeeze roller horizontal conveying mechanism for horizontally conveying the shee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은,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구름 이동하여 상기 부자재 시트를 상기 분리 테이블 쪽으로 가압하는 압착 롤러와, 상기 압착 롤러를 승강시키는 압착 롤러 승강기구와, 상기 압착 롤러를 상기 부자재 시트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수평 이송하는 압착 롤러 수평 이송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ssing member comprises a pressing roller for rolling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and pressing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toward the separating table, a pressing roller elevating mechanism for moving the pressing roller up and down, And a squeeze roller horizontal conveying mechanism for horizontally conveying the shee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시트 압착유닛은 상기 픽업 헤드 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픽업 헤드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픽업 헤드 이송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subsidiary material sheet compres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pick-up head transfer unit so as to move together with the pick-up head by the pick-up head transfer uni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는 상기 부자재 시트가 복수로 적재되어 놓이는 적재 테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feeding mechanism includes a loading table on which a plurality of the auxiliary material sheets are stack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는 상기 적재 테이블을 승강시키는 테이블 승강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supplying mechanism further comprises a table elevating mechanism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loading t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자재 시트 공급기구는 상기 부자재 시트를 차례로 상기 픽업 헤드의 하측으로 운반하는 운반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feeding mechanism comprises a conveying conveyor for conveying the auxiliary material sheet sequentially to the lower side of the pick-up hea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테이프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에서 풀려서 상기 제 2 이송 롤러에 되감기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tape is provided so as to be unwound from the first conveying roller and rewound on the second conveying 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테이프는 상기 제 1 이송 롤러와 상기 보조 테이블과 상기 분리 테이블과 상기 제 2 이송 롤러를 차례로 경유하여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tape is provided in an endless track shape in which the first adhesive layer is continuously circulated through the first transfer roller, the auxiliary table, the separation table, and the second transfer roller in or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테이블에서 상기 점착성 테이프로부터 상기 부자재가 분리된 후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점착면에 점착된 상기 이형지 시트를 상기 점착성 테이프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송 경로 중에 상기 점착성 테이프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lease sheet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tape in a conveyance path of the adhesive tape for separating the release sheet adhered to th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from the adhesive tape after the auxiliary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adhesive tape in the separation table, And a sheet separat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sheet material from the sheet material.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는 상기 점착성 테이프를 상기 이형지 시트의 상기 점착면에 점착되는 일면으로부터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점착면 반대쪽 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said releasing paper sheet separating member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surface opposite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of sai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so as to swit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n a direction extending from one surface adhered to sai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of said release paper sheet.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 시트 분리부재에 의해 상기 이형지 시트가 분리된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점착면에 점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이송 경로 중에 상기 점착성 테이프의 점착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테이프 클리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And a tape cleaner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in a conveyance path of the adhesive tape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separated from the release sheet by the release sheet sheet separating member Wherein the auxiliary material attaching device inclu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 롤러에는 상기 점착성 테이프가 분리된 상태에서 부자재가 점착되어 있는 이형지 롤이 상기 분리 테이블을 경유하여 상기 제 2 이송 롤러에 되감길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 테이블 상에 상기 이형지 롤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부착 헤드가 상기 분리 테이블 상에서 상기 이형지 롤에 점착된 상기 부자재를 분리하여 상기 부착 테이블에 놓인 상기 기판에 가압하는 방법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재 부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ease roll may be mounted on the first transport roller so that the release roll adhered to the subsidiary material in the separated state of the adhesive tape can be rewound on the second transport roller via the separation table,
Wherein the attaching head is attached by a method of separating the subsidiary material adhering to the release roll on the separation table and pressing the release sheet onto the substrate placed on the attachment table when the release roll is located on the separation table Attachment device.
KR1020140174681A 2014-12-08 2014-12-08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KR1015971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681A KR101597180B1 (en) 2014-12-08 2014-12-08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681A KR101597180B1 (en) 2014-12-08 2014-12-08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180B1 true KR101597180B1 (en) 2016-02-25

Family

ID=5544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681A KR101597180B1 (en) 2014-12-08 2014-12-08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1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5901A (en) * 2022-03-17 2022-06-17 华北水利水电大学 Automatic paster equipment of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075A (en) * 2002-08-29 2004-03-18 Casio Comput Co Ltd Optical sheet sticking method and device
KR100668132B1 (en) * 2006-05-04 2007-01-11 세호로보트산업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stiffening plate o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1145187B1 (en) * 2010-09-08 2012-05-14 (주)우리엔지니어링 La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3184390A (en) * 2012-03-08 2013-09-19 Hitachi Cable Ltd Screen printing device and its adsorption st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075A (en) * 2002-08-29 2004-03-18 Casio Comput Co Ltd Optical sheet sticking method and device
KR100668132B1 (en) * 2006-05-04 2007-01-11 세호로보트산업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stiffening plate o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1145187B1 (en) * 2010-09-08 2012-05-14 (주)우리엔지니어링 La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3184390A (en) * 2012-03-08 2013-09-19 Hitachi Cable Ltd Screen printing device and its adsorption st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5901A (en) * 2022-03-17 2022-06-17 华北水利水电大学 Automatic paster equipment of sensor
CN114635901B (en) * 2022-03-17 2023-11-03 华北水利水电大学 Automatic chip mounting equipment for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5433B2 (en) Single wafer lamina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979859B1 (en) Optical member adhesion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KR1012576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hering additional plate to fpc
US20140001241A1 (en) Solder ball printing and mounting apparatus
KR100836588B1 (en) Apparatus for polarizer adhesive on glass panel
JP2007302398A (en) Device and method for affixing joining sheet
JP2013145872A (en) Film peeling system and method for dfsr
KR101597179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CN216990674U (en) Curved surface screen assembling equipment
JP7281567B2 (en) Composite substrate manufactu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597180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KR101724093B1 (en) double-sided tape laminating apparatus
KR100879806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film
KR20110117507A (en) Pre-laminating apparatus of printed circuit board
KR101553330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KR101496776B1 (en) Apparatus for mounting additional plate to fpc
JP2009010032A (en)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for electronic component
KR102221149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multi-layer substrate
KR20180038645A (en) Coverlay attaching apparatus
JP7282927B2 (en) Composite substrate manufactur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CN110626857A (en) Double-end sticking film machine
KR20210000647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substrate
KR20160017756A (en) Apparatus for Attaching Subsidiary Materials
KR101446753B1 (en) Auto borad loader and an equipent for attaching protecting material using the same
KR101753695B1 (en) Film supply apparatus for back light unit produc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