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157B1 -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157B1
KR101597157B1 KR1020150155402A KR20150155402A KR101597157B1 KR 101597157 B1 KR101597157 B1 KR 101597157B1 KR 1020150155402 A KR1020150155402 A KR 1020150155402A KR 20150155402 A KR20150155402 A KR 20150155402A KR 101597157 B1 KR101597157 B1 KR 101597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cover
fixing bar
rib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55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받침대의 날카로운 단부 모서리로부터 작업자의 의복 또는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받침대(20)에 형성되는 노치(22n)(24n); 케이블 받침대(20)의 단부를 감싸는 커버(30); 커버(30)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라운드부(34); 커버(30)의 구석에 형성되는 코너리브(36);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 쌍의 코너보강판(40)(42); 코너보강판(40)(42)에 형성되는 밀판(44); 코너리브(36)의 전후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리브(37a)(37b)(38a)(38b); 코너리브(36)의 전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일방향성 톱니(37c)(38c); 코너보강판(40)(42)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40g)(42g); 일방향성 톱니(37c)(38c)에 걸리는 탄성후크(45)(46); 커버(30)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걸림홈(39a)(39b); 코너보강판(40)(42)에 형성되어 걸림홈(39a)(39b)을 통과하여 노치(22n)(24n)에 걸리는 스토퍼(47a)(47b); 커버(30)의 단부에 부착되는 윤활시트(50); 윤활시트(50)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완충부재(60); 완충부재(60)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곡면돌출부(61); 커버(30)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 및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를 완충부재(60)에 연결하는 탄성변형리브(62r)(64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Distribution Cable Bracket End Protector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 전력구에 설치되는 케이블받침대의 날카로운 단부 모서리로 인한 의복 또는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배전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소규모인 경우에는 지중에 매설되는 파형관을 이용해서 포설하고 있으나 용량이 크고 선로가 많은 경우에는 설치와 관리가 용이한 전력구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력구에는 양쪽 또는 한쪽 벽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케이블 받침대를 이용해서 케이블을 다단으로 포설하고 있으며, 유지 및 보수를 위해 전력구의 중앙 또는 한쪽을 통로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케이블 받침대의 일예를 첨부도면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이를 참조면, 지중에 위치된 전력구(10)의 수직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고정앵글(12)에 케이블 받침대(14)를 볼트(15) 및 너트와 같은 체결물에 의해 수평하게 설치한 다음 케이블(도시생략)을 케이블 받침대(14) 위에 올리면서 전력구(10)를 따라 포설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케이블 받침대(14)는 단부가 노출된 채 방치되어 있고, 케이블 받침대(14)의 단부가 작업자가 통행하는 전력구(10)의 통로를 향하고 있었기 때문에 유지, 보수, 점검 등을 위해 작업자가 좁은 전력구(10)의 통로를 따라 이동할 때 날카로운 케이블 받침대(14)의 모서리에 옷이 걸려서 찢어지거나 피부에 찰과상을 입는 등 부상의 위험이 매우 높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47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받침대의 날카로운 단부 모서리로부터 작업자의 옷이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는 케이블 받침대의 수직판과 수평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노치; 상기 케이블 받침대의 단부를 둘레방향으로 감싸고, 양단을 관통하는 엘형구멍을 갖는 커버; 상기 커버의 외측모서리에 형성되는 라운드부; 상기 커버의 바깥쪽 구석에 형성되는 코너리브; 상기 코너리브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미끄러져 상기 커버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 쌍의 코너보강판; 상기 코너보강판의 한쪽 단부에 걸치는 형태로 형성되는 원호형의 밀판; 상기 코너리브의 전후면에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브; 상기 가이드리브 사이에 위치된 코너리브의 전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일방향성 톱니; 상기 코너보강판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리브를 따라 미끄러지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리브 사이로 끼워지고, 상기 일방향성 톱니에 걸리는 탄성후크; 상기 노치와 일치되는 위치로 안쪽으로 관통되게 상기 커버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코너보강판의 양쪽 꼭지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을 통과하여 상기 노치에 걸리는 스토퍼; 상기 커버의 단부에 부착되고 엘형슬롯을 갖는 윤활시트; 상기 윤활시트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완충부재; 상기 완충부재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라운드부(34)와 표면이 일치되는 곡면돌출부; 상기 엘형슬롯을 통해 상기 엘형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바와 수평고정바; 및 상기 수직고정바와 수평고정바를 상기 완충부재에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변형리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탄성후크에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수직고정바와 수평고정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반원돌기; 및 상기 엘형구멍에 형성되어 상기 반원돌기와 만나서 결합되는 반원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케이블 받침대(20)의 주변을 통행하는 작업자가 케이블 받침대(20)의 단부 모서리를 스치거나 부딪치려고 하는 경우 케이블 받침대(20)의 단부를 감싸고 있는 커버(30)와 완충부재(60)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부드러운 곡면 형태의 라운드부(34)와 곡면돌출부(61)에 의해 옷이나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완충부재(60)가 윤활시트(50)로부터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받침대(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스치거나 부딪치는 경우 완충부재(60)가 움직이면서 탄성변형리브(62r)(64r)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충격을 완화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완충부재(60)로부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변형리브(62r)(64r)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완충부재(60)가 윤활시트(50)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되므로, 언제든 다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코너보강판(40)(42)의 꼭지부위에 형성된 스토퍼(47a)(47b)가 커버(30)에 형성된 걸림홈(39a)(39b)과 케이블 받침대(20)에 형성된 노치(22n)(24n)에 끼워져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30)와 완충부재(60)가 케이블 받침대(20)로부터 자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너보강판(40)(42)이 탄성후크(45)(46)와 일방향성 톱니(37c)(38c)의 걸림작용에 의해 커버(30)에 결합되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스토퍼(47a)(47b)가 노치(22n)(24n)와 걸림홈(39a)(39b)으로부터 자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코너보강판(40)(42)을 커버(30)에 결합할 때 한 쌍의 코너보강판(40)(42) 사이로 진입되는 코너리브(36)와, 서로 미끄러지는 가이드리브(37a)(37b)(38a)(38b)와 슬라이딩홈(40g)(42g)에 의해 직선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47a)(47b)의 위치결정을 좀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코너보강판(40)(42)을 45도 상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커버(30)에 결합할 때 코너보강판(40)(42)에 설치된 밀판(44)을 이용하게 되면, 보다 넓은 면적에 지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탄성후크(45)(46)에 형성된 손잡이(45a)(46a)에 의해 탄성후크(45)(46)의 걸림을 보다 쉽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를 엘형구멍(32)으로 삽입해서 고정할 때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에 각각 형성된 반원돌기(62a)(62b)(64a)(64b)가 엘형구멍(32)의 안쪽면에 형성된 돌걸림홈(39a)(39b)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부재(60)를 커버(30)에 설치하는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직고정바(62)와 완충부재(60) 사이 및 수평고정바(64)와 완충부재(60) 사이에 복수의 탄성변형리브(62r)(64r)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완충부재(60)가 충격을 받아서 움직일 때 각각의 탄성변형리브(62r)(64r)가 독립적으로 휘면서 탄성변형이 좀더 쉽게 일어나게 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커버(30)의 단부에 설치된 윤활시트(50)의 자기윤활작용에 의해 완충부재(60)가 좀 더 부드럽고 쉽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상태에서 갑자기 움직일 때 일어날 수 있는 스틱슬립(stick-slip)이 줄어들게 되어 완충부재(60)의 움직임이 좀 더 부드럽게 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받침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을 반대편에서 바라 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상태로부터 완충부재가 충격에 의해 이동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 받침대(20)의 수직판(22)과 수평판(24)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노치(22n)(24n); 상기 케이블 받침대(20)의 단부를 둘레방향으로 감싸고, 양단을 관통하는 엘형구멍(32)을 갖는 커버(30); 상기 커버(30)의 외측모서리에 형성되는 라운드부(34); 상기 커버(30)의 바깥쪽 구석에 형성되는 코너리브(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받침대(20)는 L-형강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노치(22n)(24n)는 펀칭가공 또는 절삭, 연삭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30)는, 예컨대 합성수지를 이용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할 수 있으며, 커버(30)의 전체적인 윤곽은 대략적으로 "L"자 모양을 이루고, 엘형구멍(32)은 케이블 받침대(20)의 단면과 일치하도록 커버(30)의 중심을 따라 대략적으로 "L"자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또, 코너리브(36)는, 예를 들면 대략적인 형상이 직각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30)의 바깥쪽 구석에 케이블 받침대(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커버(3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코너리브(36)의 정중앙과 커버(30)에 형성된 걸림홈(39a)(39b)의 정중이 상하방향으로 동일 수직면상에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코너리브(36)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미끄러져 상기 커버(30)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 쌍의 코너보강판(40)(42); 상기 코너보강판(40)(42)의 한쪽 단부에 걸치는 형태로 형성되는 원호형의 밀판(44)을 포함한다.
한 쌍의 상기 코너보강판(40)(42)은, 상기 커버(30)의 구석에 직각으로 밀착되도록 대략적인 윤곽이 직각삼각형을 이루면서 케이블 받침대(2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밀판(44)은, 예를 들면 상기 코너보강판(40)(42)의 경사진 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오목한 면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해서 손으로 누를 때 약간 걸리도록 해서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고,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밀판(44)의 오목한 면에 삼각단면이 곡면을 따라 반복해서 형성되는 요철면을 형성해서 미끄럼을 더욱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밀판(44)의 전후방측 양쪽 단부를 코너보강판(40)(42) 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해서 코너보강판(40)(42)을 분리할 때 손가락을 걸어서 당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코너리브(36)의 전후면에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브(37a)(37b)(38a)(38b); 상기 가이드리브(37a)(37b)(38a)(38b) 사이에 위치된 코너리브(36)의 전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일방향성 톱니(37c)(38c); 상기 코너보강판(40)(42)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리브(37a)(37b)(38a)(38b)를 따라 미끄러지는 슬라이딩홈(40g)(42g); 상기 슬라이딩홈(40g)(42g)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리브(37a)(37b)(38a)(38b) 사이로 끼워지고, 상기 일방향성 톱니(37c)(38c)에 걸리는 탄성후크(45)(4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코너리브(36)의 전후면은 정면도인 첨부도면 도 5를 기준으로 하며, 상기 일방향성 톱니(37c)(38c)와 탄성후크(45)(46)의 걸림은 상기 탄성후크(45)(46)를 가이드리브(37a)(37b)(38a)(38b) 사이로 삽입해서 결합할 때 삽입의 반대방향으로 걸림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며, 삽입방향으로는 걸림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일방향성 톱니(37c)(38c)와 탄성후크(45)(46)의 걸림부위를 직각삼각형의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노치(22n)(24n)와 일치되는 위치로 안쪽으로 관통되게 상기 커버(30)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걸림홈(39a)(39b); 상기 코너보강판(40)(42)의 양쪽 꼭지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9a)(39b)을 통과하여 상기 노치(22n)(24n)에 걸리는 스토퍼(47a)(47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커버(30)의 단부에 부착되고 엘형슬롯(52)을 갖는 윤활시트(50); 상기 윤활시트(50)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완충부재(60); 상기 완충부재(60)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라운드부(34)와 표면이 일치되는 곡면돌출부(61); 상기 엘형슬롯(52)을 통해 상기 엘형구멍(32)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30)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 상기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를 상기 완충부재(60)에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변형리브(62r)(64r)를 포함한다.
상기 윤활시트(50)의 모서리 부위도 상기 커버(30)에 형성된 라운드부(34)와 표면이 일치되도록 곡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윤활시트(50)는, 예컨대 자기윤활성을 갖는 테프론 계열의 합성수지로 성형된 얇은 시트를 재료를 이용해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윤활시트(50)는, 예를 들면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과 같은 접합수단에 의해 커버(30)의 단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제조공장에서 미리 부착해서 현장으로 운송하면 시공을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변형리브(62r)(64r)는 완충부재(60)와 수직고정바(62) 사이 및 완충부재(60)와 수평고정바(64) 사이에 위치되며, 탄성변형시 상기 커버(30)에 형성된 엘형구멍(32)에 접촉되지 못하도록 엘형구멍(32)의 폭보다 작은 가로세로 폭을 갖도록 형성한다.
또, 탄성변형리브(62r)(64r)는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복수로 설치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6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탄성변형이 좀 더 자유롭게 일어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탄성후크(45)(46)에 형성되는 손잡이(45a)(46a)를 포함하며, 손잡이(45a)(46a)는 탄성후크(45)(46)의 바깥쪽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해서 양손으로 손잡이(45a)(46a)를 잡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서 탄성후크(45)(46)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45a)(46a)의 끝부분을 두툼하게 형성해서 손잡이(45a)(46a)를 손가락으로 잡고 당길 때 미끄럼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반원돌기(62a)(62b)(64a)(64b); 및 상기 엘형구멍(32)에 형성되어 상기 반원돌기(62a)(62b)(64a)(64b)와 만나서 결합되는 반원홈(32a)(32c)(32d)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 반원돌기(62a)(62b)(64a)(64b) 및 곡면돌출부(61)는, 예를 들면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이용해서 상기 완충부재(6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와 완충부재(60)의 모서리부위는 부드러운 곡면 형태로 라운드 처리해서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는, 엘형구멍(32)의 안쪽에 형성된 반원홈(32a)(32c)(32d)과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 외측면에 형성된 반원돌기(62a)(62b)(64a)(64b)에 의해서 고정이 충분하지만 이탈이 염려된 경우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를 엘형구멍(32)으로 삽입할 때 그 밀착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해서 접착하면 염려를 덜 수 있다.
또,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에 의해 완충부재(60)를 커버(30)의 단부에 설치할 때 윤활시트(50)를 미리 커버(30)의 단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를 커버(30)에 형성된 엘형구멍(32)으로 삽입하게 되면,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에 각각 형성된 반원돌기(62a)(62b)(64a)(64b)가 탄성변형에 의해 약간 압축되면서 엘형구멍(32) 안쪽으로 진입되며, 이후 반원돌기(62a)(62b)(64a)(64b)가 엘형구멍(32)의 안쪽면에 형성된 반원홈(32a)(32c)(32d)에 일치되는 순간 고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반원홈(32a)(32c)(32d)에 일치되면서 걸리게 된다.
또, 완충부재(60)는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에 의해 커버(30)에 결합된 상태로 제조공장에서 작업현장으로 운송하면, 현장설치작업을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받침대(20)에 형성되는 노치(22n)(24n)의 가공위치는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에 의해 완충부재(60)가 커버(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 받침대(20)를 커버(30)에 형성된 엘형구멍(32)으로 삽입해서 케이블 받침대(20)의 끝부분이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에 걸릴 때 커버(30)에 형성된 걸림홈(39a)(39b)과 상하방향으로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위치결정을 쉽게 하는데 바람직하지만, 꼭 케이블 받침대(20)의 끝부분이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에 접촉하지 않더라도 걸리기 직전 매우 가까운 위치에서 걸림홈(39a)(39b)과 일치되도록 형성해도 스토퍼(47a)(47b)의 조립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의 단부에 윤활시트(50)가 부착된 상태에서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에 의해 완충부재(60)가 윤활시트(50)를 사이에 두고 커버(30)의 단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30)에 형성된 엘형구멍(32)으로 케이블 받침대(20)의 단부를 삽입하게 되면, 케이블 받침대(20)의 수직판(22)과 수평판(24)에 각각 형성된 노치(22n)(24n)가 커버(30)에 형성된 걸림홈(39a)(39b)과 일치된다.
이후 커버(30)의 구석에 형성되어 있는 코너리브(36)가 코너보강판(40)(42) 사이로 진입되도록 코너보강판(40)(42)을 커버(30)의 구석을 향해 45도 상향하는 방향으로 삽입하면서 코너리브(36)의 전후면에 형성된 가이드리브(37a)(37b)(38a)(38b)와 코너보강판(40)(42)에 형성된 슬라이딩홈(40g)(42g)을 서로 일치시키게 되면, 코너보강판(40)(42)의 슬라이딩홈(40g)(42g)에 형성된 탄성후크(45)(46)가 가이드리브(37a)(37b)(38a)(38b) 사이로 진입되면서 탄성후크(45)(46)가 일방향성 톱니(37c)(38c)에 단계적으로 걸리게 된다.
이때 코너보강판(40)(42)이 가이드리브(37a)(37b)(38a)(38b)와 코너리브(36)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결합되며, 코너보강판(40)(42)의 꼭지 부위에 형성된 스토퍼(47a)(47b)가 걸림홈(39a)(39b)을 통해 노치(22n)(24n)에 끼워져 걸리면서 커버(30)가 케이블 받침대(20)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코너보강판(40)(42)이 커버(30)의 바깥쪽 구석에 밀착되면, 스토퍼(47a)(47b)의 상부와 측면 일부의 표면이 커버(30)의 표면과 일치되며, 코너보강판(40)(42)은 탄성후크(45)(46)와 일방향성 톱니(37c)(38c)의 걸림작용에 의해 커버(3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완충부재(60)와 커버(30)가 케이블 받침대(20)에 설치된 상태에서 통행 중 첨부도면 도 7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부딪치는 경우 첨부도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부재(60)가 윤활시트(50)의 윤활작용에 의해 충격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동시에 탄성변형리브(62r)(64r)가 복원력을 갖고 탄성 변형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변형리브(62r)(64r)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완충부재(6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완충부재(60) 자체가 고무와 같은 완충재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을 받을 때 약간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커버(30)와 완충부재(60)의 모서리 부위가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커버(30)와 완충부재(60)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라운드부(34)와 곡면돌출부(61)에 의해 작업자가 부딪치는 경우 라운드부(34)와 곡면돌출부(61)가 완만한 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걸림이 발생되는 것을 막아 작업복의 찢어짐이나 피부 팔과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노후된 커버(30)를 케이블 받침대(20)로부터 분리해서 교체하는 경우에는 결합의 역순으로 진행되는데, 탄성후크(45)(46)에 형성된 손잡이(45a)(46a)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탄성후크(45)(46)가 탄성변형에 의해 일방향성 톱니(37c)(38c)으로부터 떨어지면서 걸림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탄성후크(45)(46)와 일방향성 톱니(37c)(38c)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밀판(44)의 전후단을 손으로 잡고 45도 하향하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코너보강판(40)(42)이 커버(30)로부터 멀어지면서 분리되고, 코너보강판(40)(42)의 꼭지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47a)(47b)가 노치(22n)(24n)와 걸림홈(39a)(39b)으로부터 분리되어 커버(30)를 케이블 받침대(2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며, 새로운 완충부재(60)와 윤활시트(50) 및 커버(30)를 케이블 받침대(20)에 설치할 때 기존에 사용하였던 코너보강판(40)(42)은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코너보강판(40)(42)은 커버(30)의 바깥쪽 구석에 밀착되기 때문에 케이블 받침대(20)를 강성을 향상시키는 작용도 하게 된다.
20 : 케이블 받침대 22 : 수직판
24 : 수평판 22n,24n : 노치
30 : 커버 32 : 엘형구멍
32a,32c,32d : 반원홈 34 : 라운드부
36 : 코너리브 37a,37b,38a,38b : 가이드리브
37c,38c : 일방향성 톱니 39a,39b : 걸림홈
40,42 : 코너보강판 40g,42g : 슬라이딩홈
44 : 밀판 45,46 : 탄성후크
45a,46a : 손잡이 47a,47b : 스토퍼
50 : 윤활시트 52 : 엘형슬롯
60 : 완충부재 61 : 곡면돌출부
62 : 수직고정바 64 : 수평고정바
62a,62b,64a,64b : 반원돌기 62r,64r : 탄성변형리브

Claims (2)

  1. 케이블 받침대(20)의 수직판(22)과 수평판(24)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노치(22n)(24n);
    상기 케이블 받침대(20)의 단부를 둘레방향으로 감싸고, 양단을 관통하는 엘형구멍(32)을 갖는 커버(30);
    상기 커버(30)의 외측모서리에 형성되는 라운드부(34);
    상기 커버(30)의 바깥쪽 구석에 형성되는 코너리브(36);
    상기 코너리브(36)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미끄러져 상기 커버(30)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 쌍의 코너보강판(40)(42);
    상기 코너보강판(40)(42)의 한쪽 단부에 걸치는 형태로 형성되는 원호형의 밀판(44);
    상기 코너리브(36)의 전후면에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브(37a)(37b)(38a)(38b);
    상기 가이드리브(37a)(37b)(38a)(38b) 사이에 위치된 코너리브(36)의 전후면에 각각 형성되는 일방향성 톱니(37c)(38c);
    상기 코너보강판(40)(42)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리브(37a)(37b)(38a)(38b)를 따라 미끄러지는 슬라이딩홈(40g)(42g);
    상기 슬라이딩홈(40g)(42g)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리브(37a)(37b)(38a)(38b) 사이로 끼워지고, 상기 일방향성 톱니(37c)(38c)에 걸리는 탄성후크(45)(46);
    상기 노치(22n)(24n)와 일치되는 위치로 안쪽으로 관통되게 상기 커버(30)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걸림홈(39a)(39b);
    상기 코너보강판(40)(42)의 양쪽 꼭지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9a)(39b)을 통과하여 상기 노치(22n)(24n)에 걸리는 스토퍼(47a)(47b);
    상기 커버(30)의 단부에 부착되고 엘형슬롯(52)을 갖는 윤활시트(50);
    상기 윤활시트(50)에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완충부재(60);
    상기 완충부재(60)의 외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라운드부(34)와 표면이 일치되는 곡면돌출부(61);
    상기 엘형슬롯(52)을 통해 상기 엘형구멍(32)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30)에 고정되는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 및
    상기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를 상기 완충부재(60)에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탄성변형리브(62r)(64r);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후크(45)(46)에 형성되는 손잡이(45a)(46a);
    상기 수직고정바(62)와 수평고정바(64)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반원돌기(62a)(62b)(64a)(64b); 및
    상기 엘형구멍(32)에 형성되어 상기 반원돌기(62a)(62b)(64a)(64b)와 만나서 결합되는 반원홈(32a)(32c)(32d);
    을 더 포함하는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20150155402A 2015-11-05 2015-11-05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1597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402A KR101597157B1 (ko) 2015-11-05 2015-11-05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402A KR101597157B1 (ko) 2015-11-05 2015-11-05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157B1 true KR101597157B1 (ko) 2016-02-24

Family

ID=5544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402A KR101597157B1 (ko) 2015-11-05 2015-11-05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15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714B1 (ko) 2016-12-16 2017-01-25 주식회사 동진 공동주택용 배전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1994328B1 (ko) 2019-02-01 2019-06-28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2230427B1 (ko) 2020-11-02 2021-03-22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 배전용 내진 보강장치
KR102234808B1 (ko) 2020-11-27 2021-04-01 주식회사 지케이엔지니어링 건축 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2236001B1 (ko) 2020-10-26 2021-04-05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건축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2349408B1 (ko) 2021-05-07 2022-01-12 (주)이룸이앤씨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
KR102488201B1 (ko) 2021-12-09 2023-01-16 (주)건축사사무소 테마공간 건축용 전력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2505985B1 (ko) 2022-02-23 2023-03-07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지중배전 케이블 완충장치
KR102505983B1 (ko) 2022-02-23 2023-03-07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2513103B1 (ko) 2022-05-25 2023-03-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케이블 행거 보호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086A (ko) * 2005-07-07 2007-01-11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 트레이 행거
KR20080003120U (ko) * 2007-02-01 2008-08-06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JP2012255332A (ja) * 2012-08-02 2012-12-27 Shin Etsu Polymer Co Ltd 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構造並びに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取り付け方法
KR101484722B1 (ko) 2012-12-28 2015-01-20 대한전선 주식회사 지중 전력케이블용 고정 클리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086A (ko) * 2005-07-07 2007-01-11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 트레이 행거
KR20080003120U (ko) * 2007-02-01 2008-08-06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JP2012255332A (ja) * 2012-08-02 2012-12-27 Shin Etsu Polymer Co Ltd 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構造並びに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取り付け方法
KR101484722B1 (ko) 2012-12-28 2015-01-20 대한전선 주식회사 지중 전력케이블용 고정 클리트 어셈블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714B1 (ko) 2016-12-16 2017-01-25 주식회사 동진 공동주택용 배전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1994328B1 (ko) 2019-02-01 2019-06-28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2236001B1 (ko) 2020-10-26 2021-04-05 주식회사 와이디이엔지 건축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2230427B1 (ko) 2020-11-02 2021-03-22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 배전용 내진 보강장치
KR102234808B1 (ko) 2020-11-27 2021-04-01 주식회사 지케이엔지니어링 건축 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2349408B1 (ko) 2021-05-07 2022-01-12 (주)이룸이앤씨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
KR102488201B1 (ko) 2021-12-09 2023-01-16 (주)건축사사무소 테마공간 건축용 전력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2505985B1 (ko) 2022-02-23 2023-03-07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지중배전 케이블 완충장치
KR102505983B1 (ko) 2022-02-23 2023-03-07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2513103B1 (ko) 2022-05-25 2023-03-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케이블 행거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157B1 (ko)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US10122400B2 (en) Vent blade device mounting assembly
KR101861533B1 (ko) 건축용 배전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CN104742082B (zh) 通信设备板卡专用拔插工具
US20140014787A1 (en) Cable organizer structure
EP3044384B1 (en) Combination of a pipe securing apparatus and a stud of a wall
US10316991B2 (en) Wide range edge mounting clamp
US11038306B2 (en) Power plug retention device
KR102254427B1 (ko) 산업용 디스플레이 지지패드의 핸드장착구조
US20150282642A1 (en) Dispenser for Cable Support and Method
KR20160138732A (ko) 엘리베이터 도어판의 보호판 체결장치
US9370291B2 (en) Suction foot for a floor cleaning machine
US2021010590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cable management system
CN206041382U (zh) 固线夹及具有其的空调器
CN205472015U (zh) 随意停式线缆管理装置
US10326260B2 (en) Temporary cable bend limiting device for use in cable installation
JP3981751B2 (ja) 壁面養生板の支持方法並びに支持装置
CN217984342U (zh) 一种电缆用缆线外部防护装置
KR101939118B1 (ko) 모터 자석 연속 공급 기능을 구비한 피딩기
JP4829168B2 (ja) 壁面養生板の支持装置
KR20170064338A (ko) 풀러 장치
KR200485549Y1 (ko) 와이어 가이드를 위한 덕트
CN105655934A (zh) 一种可随意停的线缆管理装置
KR101498264B1 (ko) 조절형 케이블 부싱
CN205201349U (zh) 钳头结合总成及所适用的钳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