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408B1 -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408B1
KR102349408B1 KR1020210059392A KR20210059392A KR102349408B1 KR 102349408 B1 KR102349408 B1 KR 102349408B1 KR 1020210059392 A KR1020210059392 A KR 1020210059392A KR 20210059392 A KR20210059392 A KR 20210059392A KR 102349408 B1 KR102349408 B1 KR 102349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guard
corner
hol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연희
Original Assignee
(주)이룸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룸이앤씨 filed Critical (주)이룸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05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전력구에 설치되는 케이블 받침대의 날카로운 모서리로 인한 의복 또는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형성되는 걸림구멍(22); 모서리 내측면(23)에 밀착되는 내측모서리가드(30); 모서리 외측면(24)에 밀착되고, 내측모서리가드(30)와 만나 모서리(21)를 은폐하는 외측모서리가드(40); 내측모서리가드(30)의 밀착면에 형성되는 부채꼴 모양의 내측함몰부(31); 내측모서리가드(30)의 밀착면에 형성되는 내측돌출부(32); 내측함몰부(31)와 내측돌출부(32)의 경계에 형성되는 엘자모양의 내측반턱부(33); 외측모서리가드(40)의 밀착면에 형성되는 부채꼴 모양의 외측함몰부(41); 외측모서리가드(40)의 밀착면에 형성되는 외측돌출부(42); 외측함몰부(41)와 외측돌출부(42)의 경계에 형성되는 엘자모양의 외측반턱부(43); 내측함몰부(31)로부터 돌출되는 장축보스(35); 장축보스(35)에 형성되는 탭구멍(36); 외측함몰부(41)로부터 돌출되는 단축보스(45); 단축보스(45)의 중심에 관통되는 볼트구멍(46); 볼트구멍(46)과 중심이 일치되고, 외측모서리가드(40)의 표면에 형성되는 카운터보어홀(47); 탭구멍(36)에 결합되는 체결볼트(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Edge Safe Guard for Distribution Cable Bracket}
본 발명은 지중 전력구에 설치되는 케이블 받침대의 날카로운 모서리로 인한 의복 또는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배전을 위해 양쪽 또는 한쪽 벽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케이블 받침대를 이용해서 케이블을 다단으로 포설하고 있으며, 유지 및 보수를 위해 건축물의 중앙 또는 한쪽을 통로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케이블 받침대의 일예를 첨부도면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이를 참조면, 건축물(10)의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고정앵글(12)에 케이블 받침대(14)를 볼트(16) 및 너트와 같은 체결물에 의해 수평하게 설치한 다음 케이블(도시생략)을 케이블 받침대(14) 위에 올리면서 건축물(10)의 벽면을 따라 포설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케이블 받침대(14)는 단부가 노출된 채 방치되어 있고, 케이블 받침대(14)의 단부가 작업자가 통행하는 건축물(10)의 통로를 향하고 있었기 때문에 유지, 보수, 점검 등을 위해 작업자가 좁은 건축물(10)의 통로를 따라 이동할 때 날카로운 케이블 받침대(14)의 모서리에 옷이 걸려서 찢어지거나 피부에 찰과상을 입는 등 부상의 위험이 매우 높았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84722호(공고일 2015.01.20.)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97157호(공고일 2016.02.24.)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99714호(공고일 2017.01.25.)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61533호(공고일 2018.05.28.)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94328호(공고일 2019.06.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블 받침대의 날카로운 모서리로부터 작업자의 옷이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는, 케이블 받침대의 모서리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형성되는 관통형의 걸림구멍; 케이블 받침대의 모서리 내측면에 밀착되는 내측모서리가드; 케이블 받침대의 모서리 외측면에 밀착되고, 내측모서리가드와 만나 모서리를 은폐하는 외측모서리가드; 내측모서리가드의 밀착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모서리 내측면에 밀착되는 부채꼴 모양의 내측함몰부; 내측모서리가드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모서리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내측돌출부; 내측함몰부와 내측돌출부의 경계에 형성되고, 모서리와 만나는 엘자모양의 내측반턱부; 외측모서리가드의 밀착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모서리 외측면에 밀착되는 부채꼴 모양의 외측함몰부; 외측모서리가드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모서리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외측돌출부; 외측함몰부와 외측돌출부의 경계에 형성되고, 모서리와 만나는 엘자모양의 외측반턱부; 내측함몰부로부터 걸림구멍을 향해 돌출되는 장축보스; 장축보스의 중심에 형성되는 탭구멍; 외측함몰부로부터 걸림구멍을 향해 돌출되는 단축보스; 단축보스의 중심에서 외측모서리가드의 표면으로 관통되는 볼트구멍; 볼트구멍과 중심이 일치되고, 외측모서리가드의 표면에 형성되는 카운터보어홀; 카운터보어홀과 볼트구멍을 통해 탭구멍에 결합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내측모서리가드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돌출부를 지나 내측반턱부의 코너부를 향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안내 티홈; 외측돌출부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직선안내 티홈에 결합되도록 티형 단면을 갖는 티형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외측반턱부와 티형 슬라이더의 코너부에 형성되고, 모서리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방지홈; 내측모서리가드의 외주면과 내측반턱부가 만나는 에지부와 외측모서리가드의 외주면과 외측반턱부가 만나는 에지부에 각각 형성되는 면취부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를 감싸는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에 의해 날카로운 모서리(21)에 접촉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내측모서리가드(30)에 형성된 직선안내 티홈(34)과 외측모서리가드(40)에 형성된 티형 슬라이더(44)에 의해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케이블 받침대(20)에 형성된 걸림구멍(22)에 장축보스(35)와 단축보스(45)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볼트(50)를 탭구멍(36)에 결합하기 전에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가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외측모서리가드(40)에 형성된 간섭방지홈(48)에 의해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반턱부(43)와 케이블 받침대(2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카운터보어홀(47)과 볼트구멍(46)을 통해 탭구멍(36)에 결합되는 체결볼트(5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외측모서리가드(40)에 형성된 카운터보어홀(47)에 의해 체결볼트(50)의 볼트머리가 외측모서리가드(40)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볼트머리 돌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걸림이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내측모서리가드(30)외 외주면과 내측반턱부(33)가 만나는 에지부와 외측모서리가드(40)의 외주면과 외측반턱부(43)가 만나는 에지부에 각각 면취부(37)(4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날카로운 에지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받침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모서리가드와 외측모서리가드가 케이블 받침대의 모서리에 조립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모서리가드와 외측모서리가드를 케이블 받침대의 모서리로부터 분리한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을 반대편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안내 티홈에 티형 슬라이더를 끼우는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측모서리가드의 안쪽면을 확대해서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을 반대방향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모서리가드의 안쪽면을 확대해서 보인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을 반대방향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모서리가드가 케이블 받침대의 모서리에 조립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측모서리가드가 케이블 받침대의 모서리에 조립된 것을 보인 저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형성되는 관통형의 걸림구멍(22);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 내측면(23)에 밀착되는 내측모서리가드(30);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 외측면(24)에 밀착되고, 내측모서리가드(30)와 만나 모서리(21)를 은폐하는 외측모서리가드(40)를 포함한다.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를 이용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으며, 내측모서리가드(30)는 하기 장축보스(35)의 중심을 걸림구멍(22)의 중심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낸 화살표방향과 같이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 내측면(23)을 향해 이동시켜서 조립한다.
하기 직선안내 티홈(34)과 티형 슬라이더(44)를 서로 일직선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티형 슬라이더(44)를 직선안내 티홈(34)에 끼우면 외측모서리가드(40)가 내측모서리가드(30)에 밀착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결합된다.
이때 하기 단축보스(45)의 중심이 걸림구멍(22)의 중심에 일치되기 전에는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로 움직이고, 단축보스(45)의 중심에 걸림구멍(22)의 중심에 일치되는 순간 탄성복원력에 의해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단축보스(45)가 걸림구멍(22)으로 진입되어 걸린다.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반구형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의 표면을 부드럽고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내측모서리가드(30)의 밀착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모서리 내측면(23)에 밀착되는 부채꼴 모양의 내측함몰부(31); 내측모서리가드(30)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모서리(21)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내측돌출부(32); 내측함몰부(31)와 내측돌출부(32)의 경계에 형성되고, 모서리(21)와 만나는 엘자모양의 내측반턱부(33)를 포함한다.
내측반턱부(33)는 도 3, 도 5, 도 8, 도 9,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에 대응하도록 엘자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내측돌출부(32)의 돌출높이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 두께의 절반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측모서리가드(40)의 밀착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모서리 외측면(24)에 밀착되는 부채꼴 모양의 외측함몰부(41); 외측모서리가드(40)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모서리(21)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외측돌출부(42); 외측함몰부(41)와 외측돌출부(42)의 경계에 형성되고, 모서리(21)와 만나는 엘자모양의 외측반턱부(43)를 포함한다.
외측반턱부(43)는 도 4, 도 7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에 대응하도록 엘자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외측돌출부(42)의 돌출높이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 두께의 절반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측함몰부(31)로부터 걸림구멍(22)을 향해 돌출되는 장축보스(35); 장축보스(35)의 중심에 형성되는 탭구멍(36); 외측함몰부(41)로부터 걸림구멍(22)을 향해 돌출되는 단축보스(45); 단축보스(45)의 중심에서 외측모서리가드(40)의 표면으로 관통되는 볼트구멍(46); 볼트구멍(46)과 중심이 일치되고, 외측모서리가드(40)의 표면에 형성되는 카운터보어홀(47); 카운터보어홀(47)과 볼트구멍(46)을 통해 탭구멍(36)에 결합되는 체결볼트(50)를 포함한다.
장축보스(35)의 높이를 단축보스(45)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장축보스(35)를 걸림구멍(22)에 조립할 때 걸림구멍(22)의 천공방향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장축보스(35)의 높이를 높게 해도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이며, 단축보스(45)는 걸림구멍(22)의 구멍 천공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단축보스(45)의 중심이 걸림구멍(22)의 중심에 일치될 때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카운터보어홀(47)은 체결볼트(50)의 볼트머리가 외측모서리가드(40)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보스(35)와 단축보스(45)가 걸림구멍(22)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장축보스(35)와 단축보스(45)의 단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축보스(35)와 단축보스(45)의 길이를 적절하게 결정하면,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가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 내측면(23)과 모서리 외측면(24)에 밀착될 때 장축보스(35)와 단축보스(45)로 인해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측모서리가드(3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돌출부(32)를 지나 내측반턱부(33)의 코너부를 향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안내 티홈(34); 외측돌출부(42)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직선안내 티홈(34)에 결합되도록 티형 단면을 갖는 티형 슬라이더(44)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모서리가드(30)가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 내측면(23)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측모서리가드(40)에 형성된 티형 슬라이더(44)와 내측모서리가드(30)에 형성된 직선안내 티홈(34)을 서로 일직선으로 위치시킨 다음 외측모서리가드(40)를 내측모서리가드(30)를 향해 사선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티형 슬라이더(44)가 직선안내 티홈(34)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조립된다.
이때 외측모서리가드(40)에 형성된 단축보스(45)는 끝 부분이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 외측면(24)에 접촉되어 미끄러지게 되며,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의 사이가 단축보스(45)의 돌출높이 만큼 벌어지게 되고, 단축보스(45)의 중심이 걸림구멍(22)의 중심에 일치되는 순간 탄성복원력에 의해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가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 내측면(23)과 모서리 외측면(24)에 밀착되고, 단축보스(45)는 걸림구멍(22)의 안쪽으로 진입되어 걸린다.
즉, 내측모서리가드(30)에 형성된 직선안내 티홈(34)과 외측모서리가드(40)에 형성된 티형 슬라이더(44)에 의해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걸림구멍(22)에 삽입되어 있는 장축보스(35)과 단축보스(45)에 의해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가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가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에 조립된 상태에서 체결볼트(50)를 카운터보어홀(47)과 볼트구멍(46)으로 통과시켜서 탭구멍(36)에 결합하면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가 견고하게 조립된다.
본 발명은 외측반턱부(43)와 티형 슬라이더(44)의 코너부에 형성되고, 모서리(21)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방지홈(48); 내측모서리가드(30)의 외주면과 내측반턱부(33)가 만나는 에지부와 외측모서리가드(40)의 외주면과 외측반턱부(43)가 만나는 에지부에 각각 형성되는 면취부(37)(49)를 포함한다.
간섭방지홈(48)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로부터의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외측모서리가드(40)에 형성된 외측반턱부(43)가 케이블 받침대(20)에 밀착되는데 도움을 주게 되며,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모서리가드(30)에 형성된 직선안내 티홈(34)에 의해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직선안내 티홈(34)이 마치 간섭방지홈(48)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모서리가드(30)에 형성된 장축보스(35)의 중심을 케이블 받침대(20)에 형성된 걸림구멍(22)의 중심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내측모서리가드(30)를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 내측면(23)에 밀착시키면 장축보스(35)가 걸림구멍(22)으로 삽입되어 걸린다.
이때 내측모서리가드(30)에 형성된 직선안내 티홈(34)과 외측모서리가드(40)에 형성된 티형 슬라이더(44)를 서로 일직선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측모서리가드(40)를 내측모서리가드(30)를 향해 사선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티형 슬라이더(44)가 직선안내 티홈(34)을 따라 직선이동되면서 조립된다.
이 과정에서 단축보스(45)에 의해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로 조립되며, 단축보스(45)의 중심이 걸림구멍(22)의 중심에 일치되는 순간 탄성복원력에 의해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단축보스(45)는 걸림구멍(22)에 걸리고,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가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 내측면(23)과 모서리 외측면(24)에 밀착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모서리가드(30)에 형성된 내측돌출부(32)와 외측모서리가드(40)에 형성된 외측돌출부(42)가 서로 밀착된다.
이와 같이 티형 슬라이더(44)가 직선안내 티홈(34)에 결합되고, 장축보스(35)과 단축보스(45)가 걸림구멍(22)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볼트(50)를 탭구멍(36)에 결합하기 전이라도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가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체결볼트(50)를 카운터보어홀(47)과 볼트구멍(46)을 통해 탭구멍(36)에 결합해서 강하게 조이면 내측모서리가드(30)와 외측모서리가드(40)가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에 견고하게 조립된다.
20 : 케이블 받침대 21 : 모서리
22 : 걸림구멍 23 : 모서리 내측면
24 : 모서리 외측면 30 : 내측모서리가드
31 : 내측함몰부 32 : 내측돌출부
33 : 내측반턱부 34 : 직선안내 티홈
35 : 장축보스 36 : 탭구멍
37,49 : 면취부 40 : 외측모서리가드
41 : 외측함몰부 42 : 외측돌출부
43 : 외측반턱부 44 : 티형 슬라이더
45 : 단축보스 46 : 볼트구멍
47 : 카운터보어홀 48 : 간섭방지홈
50 : 체결볼트

Claims (3)

  1.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21)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형성되는 관통형의 걸림구멍(22);
    상기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 내측면(23)에 밀착되는 내측모서리가드(30);
    상기 케이블 받침대(20)의 모서리 외측면(24)에 밀착되고, 상기 내측모서리가드(30)와 만나 상기 모서리(21)를 은폐하는 외측모서리가드(40);
    상기 내측모서리가드(30)의 밀착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 내측면(23)에 밀착되는 부채꼴 모양의 내측함몰부(31);
    상기 내측모서리가드(30)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21)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내측돌출부(32);
    상기 내측함몰부(31)와 상기 내측돌출부(32)의 경계에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21)와 만나는 엘자모양의 내측반턱부(33);
    상기 외측모서리가드(40)의 밀착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 외측면(24)에 밀착되는 부채꼴 모양의 외측함몰부(41);
    상기 외측모서리가드(40)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21)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외측돌출부(42);
    상기 외측함몰부(41)와 상기 외측돌출부(42)의 경계에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21)와 만나는 엘자모양의 외측반턱부(43);
    상기 내측함몰부(31)로부터 상기 걸림구멍(22)을 향해 돌출되는 장축보스(35);
    상기 장축보스(35)의 중심에 형성되는 탭구멍(36);
    상기 외측함몰부(41)로부터 상기 걸림구멍(22)을 향해 돌출되는 단축보스(45);
    상기 단축보스(45)의 중심에서 상기 외측모서리가드(40)의 표면으로 관통되는 볼트구멍(46);
    상기 볼트구멍(46)과 중심이 일치되고, 상기 외측모서리가드(40)의 표면에 형성되는 카운터보어홀(47);
    상기 카운터보어홀(47)과 상기 볼트구멍(46)을 통해 상기 탭구멍(36)에 결합되는 체결볼트(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모서리가드(3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측돌출부(32)를 지나 상기 내측반턱부(33)의 코너부를 향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안내 티홈(34);
    상기 외측돌출부(42)의 밀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직선안내 티홈(34)에 결합되도록 티형 단면을 갖는 티형 슬라이더(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반턱부(43)와 상기 티형 슬라이더(44)의 코너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21)의 간섭을 회피하는 간섭방지홈(48);
    상기 내측모서리가드(30)의 외주면과 상기 내측반턱부(33)가 만나는 에지부와 상기 외측모서리가드(40)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반턱부(43)가 만나는 에지부에 각각 형성되는 면취부(37)(4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
KR1020210059392A 2021-05-07 2021-05-07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 KR102349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392A KR102349408B1 (ko) 2021-05-07 2021-05-07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392A KR102349408B1 (ko) 2021-05-07 2021-05-07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408B1 true KR102349408B1 (ko) 2022-01-12

Family

ID=7933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392A KR102349408B1 (ko) 2021-05-07 2021-05-07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103B1 (ko) * 2022-05-25 2023-03-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케이블 행거 보호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5332A (ja) * 2012-08-02 2012-12-27 Shin Etsu Polymer Co Ltd 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構造並びに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取り付け方法
KR101484722B1 (ko) 2012-12-28 2015-01-20 대한전선 주식회사 지중 전력케이블용 고정 클리트 어셈블리
KR101597157B1 (ko) 2015-11-05 2016-02-24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1699714B1 (ko) 2016-12-16 2017-01-25 주식회사 동진 공동주택용 배전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1861533B1 (ko) 2018-03-30 2018-05-28 (주)건일엠이씨 건축용 배전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1963235B1 (ko) * 2019-02-07 2019-03-28 (주)제이알씨엠 공동주택용 지중관 스페이서 결속장치
KR101994328B1 (ko) 2019-02-01 2019-06-28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5332A (ja) * 2012-08-02 2012-12-27 Shin Etsu Polymer Co Ltd 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構造並びに回り縁部のコーナー接合部材の取り付け方法
KR101484722B1 (ko) 2012-12-28 2015-01-20 대한전선 주식회사 지중 전력케이블용 고정 클리트 어셈블리
KR101597157B1 (ko) 2015-11-05 2016-02-24 (주)광명토탈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1699714B1 (ko) 2016-12-16 2017-01-25 주식회사 동진 공동주택용 배전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1861533B1 (ko) 2018-03-30 2018-05-28 (주)건일엠이씨 건축용 배전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1994328B1 (ko) 2019-02-01 2019-06-28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KR101963235B1 (ko) * 2019-02-07 2019-03-28 (주)제이알씨엠 공동주택용 지중관 스페이서 결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103B1 (ko) * 2022-05-25 2023-03-23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케이블 행거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9790A (en) Suction outlet assembly for whirlpool baths and the like
KR102349408B1 (ko)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모서리 보호장치
CN105322479B (zh) 导管容纳器
US7443067B2 (en) Pump-motor assembly lead protector and assembly method
US5287664A (en) Metal stud interlocking conduit strap
KR101861533B1 (ko) 건축용 배전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US20080081496A1 (en) Weather-resistant electrical outlet cover
US10367344B2 (en) Cable armor stop
US6131719A (en) Front entry escalator guard device
CA1106046A (en) Lift cover assembly for electrical wiring device
US20140174818A1 (en) Connector member including a locking element
CN106300164A (zh) 线束固线夹
US4793754A (en) Process for locking two screwed elements and elements for carrying out this process
US3575429A (en) Electrical connector sealing ring
KR102513103B1 (ko) 건축용 케이블 행거 보호구
CN212849674U (zh) 一种快封口过线槽
KR102505983B1 (ko) 건축용 케이블 받침대 단부 보호장치
EP3485546B1 (en) Pin-based non-metallic fittings for attachment of flexible metallic conduit
EP2690727B1 (en) Device for the passage of cables and pipes, for electrical applications and the like
US2475574A (en) Conduit connector
JP6302279B2 (ja) 回転機器
JP7306105B2 (ja) カバー
KR102124132B1 (ko) 콘센트 일체형 박스커버
CN210247230U (zh) 电线出线防水结构及应用该结构的人脸识别装置
CA2978613C (en) Wire detachment-preven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