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098B1 - 불소 도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불소 도포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098B1
KR101597098B1 KR1020140047776A KR20140047776A KR101597098B1 KR 101597098 B1 KR101597098 B1 KR 101597098B1 KR 1020140047776 A KR1020140047776 A KR 1020140047776A KR 20140047776 A KR20140047776 A KR 20140047776A KR 101597098 B1 KR101597098 B1 KR 101597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de
coating composition
fluorin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279A (ko
Inventor
오명환
김원호
함미현
김근중
김윤기
Original Assignee
(주) 베리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베리콤 filed Critical (주) 베리콤
Priority to KR1020140047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09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6Fluorin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Abstract

본 발명은 레진(Resin), 용매,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로서, 상기 불소 도포제 조성물은 상기 용매의 휘발에 의해 경화되며, 상기 조성물은 생화학적 반응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색소를 더 포함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불소 도포제 조성물 {Fluoride Varnish Composition}
본 발명은 레진(Resin), 용매, 불소 화합물 및 색소를 포함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우식증은 구강 내 세균이 뭉쳐 있는 치태(Dental plaque)에서, 숙주가 섭취하는 영양소(특히 단당류)를 세균이 분해하여 산(acid)을 생성하고, 이러한 산이 치아를 구성하고 있는 무기성분 중 칼슘염을 용해시켜 화학구조에 결함을 초래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치태세균이 만드는 여러 가지 종류의 산 중에서 특히 젖산(Lactic acid)은 분자의 크기가 아주 작아서 치아의 법랑질의 구조 내로 파고들 수 있고, 불소의 함량이 비교적 낮은 내부 법랑질에서 심한 반응을 유발하게 된다. 이 반응으로 치아 표면 바로 밑의 칼슘염이 탈회(Demineralization)되고 치아의 표면에서보다 더 큰 미세한 구멍을 표면 밑부분에 생성하며, 이를 백색 반점(white spot lesion)이라 부른다. 법랑질의 내부에서 탈회현상이 계속 진행되면 치아는 우식치아로 변하게 된다.
치아우식증의 발생기전이 탈회라고 한다면, 예방기전은 재광화(Remineralization)이며, 재광화를 통해 발생기전을 차단하거나 발생된 초기 우식을 다시 회복하여 치아표면의 구조를 바꾸어 우식 발생기전의 발생 또는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치아우식증의 예방 및 억제 목적으로 이용되는 대표적인 방법은 불소를 함유한 제재 또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다. 구강 내 불소도포는 탈회된 법랑질을 재광화되도록 촉진하기 때문에 치아의 시린 증상(지각과민처치)과 충치예방(치아우식방지)에 큰 도움이 되고, 치아에 불소막을 형성하여 법랑질을 강화시켜 충치를 예방하며, 칼슘 등의 무기질이 치아에 결합하는 과정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불소의 치아우식증 예방 또는 억제 메커니즘(작용기작)은 특히 불소의 함량이 적은 유치에 효과적이며, 불소가 유치의 형성기간 중에 법랑질의 결정체 구조에 포함되면 산에 잘 용해되지 않는 불화인회석(Fluoroapatite)이라는 물질을 형성하게 되고, 특히 유치가 구강 내로 나오기 직전에는 체액으로 둘러싸인 법랑질의 표면에 불소가 많이 쌓여서 불소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불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치아표면의 결정 구조인 인회석(Apatite)이 더욱 안정성을 갖추게 된다.
성인치(영구치)의 경우, 불소는 구강 내에서 치아우식증 유발세균들과 작용하여 세균들이 산성물질을 생성하는 것을 억제하고, 산에 대한 치아의 저항력을 높여 주며, 이는 치아가 산에 의해 탈회되는 것을 막고 탈회된 치아표면이 재광화 되도록 돕는다.
2007년도 보건복지부 구강보건사업계획의 자료에 의하면 불소를 이용한 대표적 구강관리 제품을 4분류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으며, 불소세치제(불소가 함유된 치약 같은 제품), 불소용액 양치제(불소가 함유된 구강청정제 같은 제품), 불소겔(불소겔을 트레이에 부어 입에 머금고 사용하는 제품), 불소 도포제(불소가 치아 표면에 오랫동안 붙어 있게 하기 위해 천연로진인 송진 성분과 함께 도포하는 제품)가 있다.
이러한 4가지 분류 중 불소 도포제의 충치예방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충치예방효과는 이전에 사용됐던 불소겔 보다 2배 더 높고, 불소세치제를 함께 이용했을 경우에 약 10% 정도 효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조사보고 되었다.
불소 도포제 적응증(어떠한 약제나 수술 따위의 치료효과가 요구되는 질환이나 증상)으로는 칫솔질이 잘 안되고 충치가 잘 생기는 영유아, 영유아의 치과 정기검진 시 충치예방을 하고자 할 때, 초기의 충치를 치료하고자 할 때, 치아와 치아 사이인 인접면의 충치를 예방하고자 할 때, 갓 나온 영구치의 충치 예방, 교정환자의 충치 예방, 임플란트 또는 다른 보철물을 착용하는 경우에 충치를 예방하고자 할 때, 잇몸질환으로 인하여 치근이 노출되어 시린 경우, 스켈링 후 시린 경우, 미백치료 후 시린 경우, 치아가 전체적으로 법랑질의 탈회현상이 보이고 적절한 치료가 어려울 때에 사용된다.
기존의 불소 도포제는 적색을 띠는 천연 로진인 송진을 사용하여 불소 도포제 시술을 받은 후 치아의 색상 변화로 환자들의 심미적 거부감이 매우 높았으나, 최근 적색을 띠는 천연 로진인 송진을 대체한 정제 송진을 사용함으로써 치아의 색상과 유사한 백색 또는 투명한 색상을 구현하여 환자들의 심미적 거부감이 완화하고 있다.
다만, 치아의 색상과 유사한 백색 또는 투명한 색상의 불소 도포제는 치아에 불소 도포제가 잘 도포되었는지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환자들의 심미적 요구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시술자의 시술 편의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레진, 용매, 및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에 생화학적 반응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색소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소망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진(Resin), 용매,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로서, 상기 불소 도포제 조성물은 상기 용매의 휘발에 의해 경화되며, 상기 조성물은 생화학적 반응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색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색소는 시술시에는 치아와 구별되는 색상, 예를 들어, 청남색이지만, 용매의 휘발에 의해 조성물이 경화되고, 생화학적 반응에 의해 조성물이 치아색상 또는 백색과 같이 초기색상과 구별되는 색상으로 변화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불소 도포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불소 도포제를 환자에게 도포할 때에는 불소 도포제가 치아와 구별되는 색상이므로 시술자의 시술 편의성 및 효율성을 제공하는 한편, 시술 후 불소 도포제가 경화되고 치아와 유사한 색상으로 변하게 되므로 환자의 심미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 색소는 불소 도포제의 생물학적 또는 생화학적 반응기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소량만으로도 충분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하고, 불소 도포제 조성물이 가져야 하는 작용기작 및 특성을 저하하지 않아야 한다.
더욱이, 상기 색소는 치아와 인체에 독성이 없고, 치아와 결합력이 없으며, 경화 후 불소 도포제로부터 유출되어도 안전한 생체 친화성 물질로서 구강 내 사용이 가능해야 함은 물론, 친수기적 특성을 가지며 레진과 친화성이 높아야 하며, 친수성 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레진에 용이하게 혼합, 분산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레진과 친화성이 높다는 것은 레진과 물리화학적 특성이 유사하여 레진과 혼합 시 잘 섞임으로써 상분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색소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색소는 녹말; 및 요오드 및/또는 요오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색소는 시술 전에는, 녹말에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용액을 떨어뜨리면 나선형 구조인 녹말 분자의 나선 속으로 요오드 원자단이 끼어들어가 갈색을 띠고 있던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용액의 색상이 바뀌는 특성 때문에, 청남색을 띠게 된다.
이때, 상기 색소는 녹말과 효소의 생화학적 반응에 의해 색상이 변할 수 있으며, 상기 효소는 아밀라아제 일 수 있다.
아밀라아제를 포함하는 구강 내 타액은 주성분인 물과 전해질, 점액, 면역글로불린, 성장인자, 항균물질, 그리고 효소 등을 포함하며, 그 중에서도 아밀라아제는 타액선에서 만들어져 구강 내 점막에서 국소적으로 분비되므로, 정상적인 구강의 건강 상태에서 타액의 아밀라아제 농도는 혈액내의 농도에 비해 매우 높다. 한편, 타액 내의 아밀라아제는 환경적, 정신적 요인에 따라 개인 간에는 차이가 크지만 개인 내에서는 비교적 안정된 값을 보인다.
상기 아밀라아제는 녹말을 말토스(maltos)와 덱스트린으로 분해시키므로, 불소 도포제의 시술 전에 녹말과 I2가 결합된 상태(청색)에서 불소 도포제 시술 후에는 구강 내 아밀라아제에 의해 녹말이 분해되면서 저분자의 당과 I2가 해리되어 무색으로 변하는 반응을 통해 상기 색소의 색상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불소 도포제 조성물을 치아에 도포할 때 불소 도포제 층을 쉽게 관찰할 수 있으며, 과량의 불소 도포제 조성물이 충진 또는 도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충진층 또는 접착층의 균일성 및 도포되지 않은 부분을 시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색소의 함량은 불소 도포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5 중량%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0.01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색소의 첨가량이 5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경화 후 색상이 치아 색상 또는 백색으로 충분히 변화하기 어려워 환자의 심미적 요구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고, 표면적 증가로 인한 점도의 상승으로 분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그로 인한 엉김 현상으로 불소 도포제의 물성 저하, 예를 들어, 도포성과 접착력의 감소, 불소 방출력의 감소, 용매 휘발도의 감소를 유발하여, 시술 시 작업성을 저하할 수 있다.
반면, 색소의 첨가량이 0.0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불소 도포제의 초기 색상이 치아 색상과 구별될 정도로 진하지 않아 시술자의 작업 편의성 및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색소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에 독립적으로 첨가되거나, 상기 레진 또는 용매와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첨가될 수 있으며, 그 외 하기에서 설명하는 접착성 물질 또는 감미제 등과 같은 물질과 결합된 상태로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색상 변화를 객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CIE 표색계를 사용할 수 있다. CIE는 국제조명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의 약칭으로 CIE 계수는 빛의 물리량과 인간의 시감각 신경을 자극하는 심리량을 나타내는 과학적인 지표이다.
또한, 색의 다름을 색차라고 하며 그 값을 △E*로 나타내고, 국제적으로 색차를 취급하는 표색계로 CIE Lab 표색계가 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CIE Lab 표색계에서 L*는 명도를 나타내고 색상과 채도를 표시하는 색도를 a*와 b*로 나타낸다. a*와 b*는 색의 방향을 나타내고 +a*는 적(red), -a*는 녹(green), +b*는 황(yellow), -b*는 청(blue)를 각각의 방향을 표시하고 있으며 수치가 클수록 색이 선명해진다.
색차는 하기의 식 1 및 식 2로 구할 수 있으며, 사람의 경우 일반적으로 ΔE*값이 3 이상인 경우에 색상을 분별할 수 있다.
ΔE* = (ΔL*2 + Δa*2 + Δb*2)1/2 (1)
ΔE**= [(L1 *-L2 *)2+(a1 *-a2 *)2+(b1 *-b2 *)2]1/2 (2)
본 발명에 의한 색소의 색상 변화는 CIE Lab 표색계에 의한 색차(ΔE*)가 10 이상일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15 이상 내지 30 이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색소와 레진의 분산성, 불소 도포제의 심미성, 색소의 크기나 함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불소 도포제 조성물의 기저물질인 레진의 한 종류인 로진은 안전성이 높고 점착성 부여 효과가 있으며, 각종 탄성수지에 상용성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로진의 주성분인 아비에트산(Abietic acid)은 공액이중결합의 존재로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경시적으로 착색하는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색상이 담황색에서 갈색이 되기 때문에 담색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제한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검로진에 많이 포함된 불안정한 아비에트산, 팔루스트리산(Palustric acid), 네오아비에트산(Neoabietic acid) 등을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Dehydroabietic acid), 다이하이드로아비에트산(Dihydroabietic acid), 테트라하이드로아비에트산(Tetrahydroabietic acid) 등으로 변환시킨 탈수소화로진(Disproportionated rosin or Dehydrogenated rosin) 또는 수첨로진(Hydrogenated rosin)이 개발되었다. 이렇듯 변화 과정을 거친 로진은 분자내의 방향족 핵의 생성 또는 공명구조를 잃어버리게 되어 화학적으로 안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탈수소화로진 및 수첨로진은 본래의 로진이 가진 기본특성과는 큰 차이가 없으며, 로진은 산가(Acid number)가 약 170 이상으로 연화점(Softening point)이 높아 카르복시산(Carboxylic acid)기에 다양한 알코올기를 치환(Esterification)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사용되는 알코올기는 1가 알코올인 메탄올(Methanol), 2가 알코올인 알콜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glycol)), 3가 알코올인 글리세롤(Glycerol), 4가 알코올인 펜타에리트리올(Pentaerythriol)이 있으며, 이들로 제조된 에스테르계 로진(Ester-form rosin)은 각각 액상 로진(Liquid rosin), 반고체 로진(Semi-solid), 고체(연화점 80℃), 고체(연화점 100℃)의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로진의 에스테르화(Esterification)는 연화점, 휘발도, 산가를 낮추고 화학안정성 및 산화안정성을 높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레진은 의료 및 식품 재료로서 치아와의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고, 용매에 용해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검로진(Gum Rosin) 또는 우드로진계 레진일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천연로진, 탈수소화로진(Dehydrogenated Rosin), 수첨로진에스테르계(Ester of Hydrogenated Rosin), 완전수첨로진계(Fully Hydrogenated Rosin), 부분수첨로진계(Partially Hydrogenated Rosin), 이합체 로진(Dimerized Rosin), 및 탄화수소레진계(Hydrocarbon Resin)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검로진 또는 우드로진계 레진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80 중량%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4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접착력 및 발림성을 제공하기 어렵고 불소의 혼합 및 담지가 용이하지 않으며, 80 중량% 초과이면 점도의 증가로 인하여 시술 시 작업성 및 발림성이 저하되고 불소방출능력 또한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진이 수첨로진에스테르계 물질, 완전수첨로진계 물질, 및 부분수첨로진계 물질의 혼합물인 경우에는, 상기 수첨로진에스테르계 물질, 완전수첨로진계 물질, 부분수첨로진계 물질이 중량을 기준으로 0.2 ~ 2 : 1 ~ 3 : 0.2 ~2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망하는 정도의 불소 도포제의 초기점착력, 접착력, 응집력, 용해도, 제거능을 고려하여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용매는 휘발성 용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톤, 벤젠, 사이클로 헥산, 톨루엔, n-펜탄, n-헥산, n-헵탄, n-옥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및 아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의 휘발에 의해 불소 도포제 조성물은 구강 내 얇은 피막을 형성하게 되며, 용매의 함량에 따라 도포성, 피막형성도, 분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러한 용매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60 중량%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2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불소 화합물은 인체에 독성이 없고 불소를 방출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불화나트륨(NaF), 일불소인산나트륨(Na2PFO3), 불화주석(SnF2), 삼불화비스무트(BiF3), 불화아연(ZnF2), 불화칼륨(KF), 불화칼슘(CaF2), 사불화지르코늄(ZrF4), 육불화규산(H2SiF6), 및 육불화규산나트륨(Na2SiF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구강 내 pH가 낮아지면 불소와 수소이온이 결합하여 플루오르화수소(HF)를 형성하여 구강 내 박테리아의 내부로 침투해 들어가게 되고, 박테리아 내부로 들어간 HF가 용해되면서 박테리아 세포 내부를 산성화시고 불소를 방출하게 되며, 방출된 불소는 세포의 해당작용(Glycolysis)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세포 내에 불소가 계속 축적되면 구강 내 유해균이 사멸되어, 구강 내 불소는 충치예방에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불소 화합물에서 제공되는 불소는 탈회화된 법랑질을 다시 재광화 하도록 촉진한다. 또한, 불소이온이 치아의 주성분인 수산화인회석의 수산화 이온 자리에 끼어 들어가면 치아표면에 수산화인회석보다 더 단단한 플루오르화인회석을 만들고, 이를 통해 법랑질로부터 미네랄의 손실을 억제함으로써 탈회화를 방비하여 충치를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불소 화합물은 로진, 용매 및 색소와의 함량 관계를 고려했을 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2 내지 8 중량%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불소 화합물은 평균 입경이 0.005 내지 100 ㎛일 수 있고, 상기 불소 화합물의 평균 입경이 0.005 ㎛ 보다 작으면 입자들 상호간의 응집력으로 인해 불소 도포제 조성물 내에서의 균일한 분산이 어려울 수 있고, 평균 입경이 100 ㎛ 보다 크면 불소 도포제의 도포성이 감소하여 시술자가 치아에 도포하기 어렵고, 도포 후 타액 또는 혀에 의해 불소 화합물 입자가 상실될 가능성이 높아져 불소방출이 감소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위의 조성물 외에도 불소 도포제 조성물을 구현하기 위해서 첨가물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물은, 예를 들어, 유화제, 접착성 물질, 증점제, 감미제, 및 향료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유화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계열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화제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0.1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불소 도포제 조성물은 치아 접착성을 제공하며, 용매에 용해되었을 때 치아 접착성을 나타내고, 치아표면에 코팅되어 필름을 형성하는 접착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성 물질은,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Hydroxypropyl Cellulose),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카보머(Carbomer), 및 초산 비닐 수지(Polyvin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성 물질은 불소 도포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성 물질은 불소 도포제의 점도, 용매의 용해성, 도포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폴리비닐 피롤리돈과 초산 비닐 수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이러한 접착성 물질은 K=25~35와 분자량 40,000~50,000으로 유사한 점도와 분자량을 가져야 우수한 접착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불소 도포제 조성물의 도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한 점도를 가질 필요가 있으며, 과량의 용매를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이유로 다소 낮은 점도를 보이는 경우 증점제를 첨가하여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증점제로는, 실리카 필러(Silica filler), 잔탄 검(Xantan gum), 셀룰로스 유도체(Cellulose derivativ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증점제들은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상이하고, 과량을 사용하게 되면 불소 도포제의 작용기작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불소 도포제의 타조성물 함량에 따라 적절한 증점제 함량이 요구되며, 구체적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1 내지 4 중량%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불소 도포제 조성물은 감미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감미제는 예를 들어, 수크로오스(Sucrose), 아세설팜칼륨(Acesulfame Potassium), 아스파탐(Aspartame), 아스파탐아세설팜염(Salt of Aspartame Acesulfame), 사이클라민산나트륨(Sodium Cyclamate), 둘신(Dulcin), 네오탐(Neotame), P-400, 사카린(Saccharin), 소르비톨(Sorbitol), 스크랄로스(Sucralose),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및 자일리톨(Xylit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감미제는 타조성물에 의한 매운맛, 쓴맛 등의 구강에 거부되는 맛을 단맛으로 제어하여 불소 도포제 도포시 거부감을 줄여주며, 특히 자일리톨은 항균력과 청량감을 주기 때문에 치약 및 세치액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들은 감미도가 상이하고, 불소 도포제의 타조성물 함량에 따라 적절한 감미제 함량이 요구되며, 구체적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2 내지 4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불소 도포제 조성물은 타조성물에 의한 레진향, 용매향 등으로 인해 환자에게 발생하는 거부감을 줄여주기 위해, 향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향료는, 특히 소아환자의 거부감을 줄여주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향료는, 인체에 해가 없고 환자의 거부감을 줄여줄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풍선검향(Bubble gum), 민트향(Mint), 딸기향(Strawberry), 메론향(Melon), 체리향(Cherry), 산딸기(Raspberry), 스피어민트향(Spearmint), 페퍼민트향(Peppermint), 수박향(Watermelon), 카라멜향(Caramel), 및 바닐라향(Vanill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수 있다.
상기 향료들은 향도가 상이하고, 불소 도포제의 타조성물 함량에 따라 적절한 향료 함량이 요구되며, 구체적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2 내지 4 중량% 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불소 도포제 조성물은 치과용 재료로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지각과민 약물을 담지한 지각과민처치제(Desensitizer), 와동 베이스(Cavity base), 와동이장재(Cavity liner), 와동바니쉬(Cavity varnish), 코팅제 등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각과민처지제는 치아의 과민반응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이고, 와동 베이스는 와동이 형성된 후 치수면에 축성하는 재료로 열차단 효과와 와동형태를 형성하는 재료이며, 와동 이장재는 와동이 형성된 후 치수면에 바르는 재료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는 재료이고, 와동 바니쉬는 와동이 형성된 후 표면에 바르는 재료로서 약리작용 없이 격리막 역할을 하는 재료이다. 또한, 코팅제는 기저물질에 각종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치아에 코팅하는 물질을 말하며, 예를 들어, 미백성분을 기저물질에 혼합하여 치아에 코팅하는 치아미백제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소 도포제 조성물은, 불소 도포제를 환자에게 도포할 때에는 불소 도포제가 치아와 구별되는 색상이므로 시술자의 시술 편의성 및 효율성을 제공하고, 시술 후에는 불소 도포제가 경화되고 생화학적 반응에 의해 치아와 유사한 색상으로 변하게 되어 환자의 심미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불소 도포제 조성물의 색상변화 전후의 비교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1 색소의 제조>
녹말 20 g을 끓는 물 1 L에 녹인 후 요오드(I2) 50 mg과 요오드화칼륨(KI) 500 mg을 첨가하여 색소를 제조하였다.
<1-2 불소 도포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1-1>의 방법으로 제조된 색소를 사용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불소 도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4038035626-pat00001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색소를 0.01 중량%로 하고, 에탄올을 24.49 중량%로 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불소 도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색소의 함량을 0.1 중량%로 하고, 에탄올을 24.4 중량%로 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불소 도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색소의 함량을 1 중량%로 하고, 에탄올을 23.5 중량%로 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불소 도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색소를 첨가하지 않고, 에탄올을 24.5 중량%로 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불소 도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총 4개의 불소 도포제들이 타액과 반응할 때의 불소 도포제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였다. 디스크형(지름 12.5 ㎜ x 두께 0.5 ㎜) 몰드에 불소 도포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킨 다음 30세 성인 남자와 28세 성인 여자의 구강 내 타액 5 ml를 채취하여 침을 도포한 후 2분 내에 색상 변화를 측정하였다. 색 계측 분광분석기 (spectrophotometer; CM-3500d,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SCI (Specular component included) 모드로 CIE 계수 (L*, a*, b* )를 5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시편의 색 분포를 분석하였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CIE L*a*b*표색계를 측정하고 하기의 식 3을 이용하여 색차(ΔE*)를 구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식에서, 아래첨자 1은 타액 도포 전, 2는 타액 도포 후를 각각 나타낸다.
ΔE**= [(L1 *-L2 *)2+(a1 *-a2 *)2+(b1 *-b2 *)2]1/2 (3)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총 5개의 불소 도포제들의 총불소함량 및 4시간 후 불소방출거동을 측정하였다. 총불소함량 측정과 4시간 후 불소방출거동은 JADA, Vol. 135, December 2004의 불소분석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불소방출거동은 유리 후 4시간 뒤에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총 5 개의 불소 도포제의 상아세관봉쇄능과 표면경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우식이 없는 소구치의 상아질을 노출시킨 후 표면에 35% 인산을 10초간 산-부식 처리한 후 20초간 물로 세척하였다. 산-부식처리된 상아질 표면에 불소 도포제를 도포/경화 후 37℃, 100% 상대습도조건에서 4시간 유지하고, 37℃ 증류수에서 24시간 보관하였다. 상아질 시편의 표면을 OsO4로 코팅하여 FE-SEM으로 상아세관의 봉쇄정도를 관찰하였고, 표면경도변화는 비커스 마이크로 경도 시험기(Vickers Micro Hardness Tester, Shimadzu, HMV-2)를 이용하였다. 사각뿔 형태의 다이아몬드 압자(Diamond indenter)로 시편표면에 일정한 힘을 가해 시편의 표면에 마름모 형태의 압흔을 형성한 한 뒤 마름모의 가로, 세로축의 길이를 현미경을 통해 측정하여 마름모의 넓이를 계산하였다. 그 후 가해진 힘을 마름모의 넓이로 나누어 시편의 경도를 산출해 내었다(비커스 경도, Hv). 압자(Indenter)로 가해진 힘은 4,903N이었고 힘이 가해지는 시간은 10초로 설정하였다. 총 5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산-부식처리 전 상아질 표면과 산-부식처리 후 상아질표면의 표면강도의 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4038035626-pat0000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성인 남녀의 타액 도포 전후의 색차(ΔE*)가 10 이상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시술자가 구강 내에서도 쉽게 육안으로 구별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은 색차이다. 다만, 실시예 2의 경우, 색차(ΔE*)가 10에 근접한 값을 가지므로, 육안으로 관찰 시 색구별에 시술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바, 색소는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을 비교할 때, 불소총함량, 4시간 후 불소방출 함량, 상아봉쇄능, 및 표면경도변화에서 유사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본발명에 따른 불소 도포제 조성물의 경우 색소를 포함하더라도 불소 도포제의 작용기작 및 특성이 저하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발명의 내용을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레진(Resin), 용매 및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로서, 상기 불소 도포제 조성물은 상기 용매의 휘발에 의해 경화되며, 상기 조성물은 생화학적 반응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색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색소는 녹말; 및 요오드, 또는 요오드 화합물, 또는 요오드 및 요오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녹말과 효소의 생화학적 반응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아밀라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의 함량은 불소 도포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의 함량은 불소 도포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에 독립적으로 첨가되거나, 상기 레진 또는 용매와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의 색상 변화는 CIE Lab표색계에 의한 색차(ΔE*)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은 검로진(Gum Rosin) 또는 우드로진계 레진이며,
    천연로진, 탈수소화로진(Dehydrogenated Rosin), 수첨로진에스테르계(Ester of Hydrogenated Rosin), 완전수첨로진계(Fully Hydrogenated Rosin), 부분수첨로진계(Partially Hydrogenated Rosin), 이합체 로진(Dimerized Rosin), 및 탄화수소레진계(Hydrocarbon Resin) 물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진은 수첨로진에스테르계 물질, 완전수첨로진계 물질, 및 부분수첨로진계 물질의 혼합물이고, 상기 수첨로진에스테르계 물질, 완전수첨로진계 물질, 부분수첨로진계 물질이 중량을 기준으로 0.2 ~ 2 : 1 ~ 3 : 0.2 ~2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휘발성 용매이며,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톤, 벤젠, 사이클로헥산, 톨루엔, n-펜탄, n-헥산, n-헵탄, n-옥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및 아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화합물은 불화나트륨(NaF), 일불소인산나트륨(Na2PFO3), 불화주석(SnF2), 삼불화비스무트(BiF3), 불화아연(ZnF2), 불화칼륨(KF), 불화칼슘(CaF2), 사불화지르코늄(ZrF4), 육불화규산(H2SiF6), 및 육불화규산나트륨(Na2SiF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화합물은 평균 입경이 0.005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도포제 조성물은 접착성 물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성 물질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Hydroxy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Hydroxypropyl Cellulose),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카보머(Carbomer), 및 초산 비닐 수지(Polyvin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도포제 조성물은 감미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감미제는 수크로오스(Sucrose), 아세설팜칼륨(Acesulfame Potassium), 아스파탐(Aspartame), 아스파탐아세설팜염(Salt of Aspartame Acesulfame), 사이클라민산나트륨(Sodium Cyclamate), 둘신(Dulcin), 네오탐(Neotame), P-400, 사카린(Saccharin), 소르비톨(Sorbitol), 스크랄로스(Sucralose),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및 자일리톨(Xylit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도포제 조성물.
KR1020140047776A 2014-04-22 2014-04-22 불소 도포제 조성물 KR101597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776A KR101597098B1 (ko) 2014-04-22 2014-04-22 불소 도포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776A KR101597098B1 (ko) 2014-04-22 2014-04-22 불소 도포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279A KR20150122279A (ko) 2015-11-02
KR101597098B1 true KR101597098B1 (ko) 2016-02-25

Family

ID=5459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776A KR101597098B1 (ko) 2014-04-22 2014-04-22 불소 도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040A (ko) 2017-09-29 2019-04-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상아세관 침투력 및 코팅 유지력이 향상된 불소 도포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2280B2 (en) 1998-04-03 2003-11-25 Morton Coh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altering, and treating teeth
US20090191279A1 (en) 2008-01-29 2009-07-30 Ultradent Products, Inc. Fluoride varnish compositions including an organo phosphoric acid adhesion promoting ag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2280B2 (en) 1998-04-03 2003-11-25 Morton Coh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altering, and treating teeth
US20090191279A1 (en) 2008-01-29 2009-07-30 Ultradent Products, Inc. Fluoride varnish compositions including an organo phosphoric acid adhesion promoting ag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8040A (ko) 2017-09-29 2019-04-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상아세관 침투력 및 코팅 유지력이 향상된 불소 도포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1684B1 (ko) 2017-09-29 2019-09-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상아세관 침투력 및 코팅 유지력이 향상된 치아 도포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279A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9161B2 (en) Microencapsu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issue mineralization
DE60037319T2 (de)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dentin hypersensitivität
US9296767B1 (en) Surface-treated calcium phosphate particles suitable for oral care and dental compositions
DE60219893T2 (de) Kits für die mundpflege und zusammensetzungen
EP2068815B1 (de) Dentale, insbesondere remineralisierende und gegen schmerzempfindliche zähne wirksame zusammensetzung sowie dentale partikel, insbesondere für die zusammensetzung
EP3648731B1 (en) Oral care composition
EP3668604B1 (en) Oral care composition
CN111163744B (zh) 具有改善的牙本质小管渗透力和涂覆保持力的氟涂覆剂及其制备方法
KR101597098B1 (ko) 불소 도포제 조성물
KR102394529B1 (ko) 치아 미백용 구강 조성물 및 치아 미백용 건조 필름
KR20150123988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불소 도포제 조성물
EP3614993B1 (en) Oral care composition based on zinc oxide and calcium dihydrogen phosphate
RU2367407C1 (ru) Лак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EP3547989B1 (en) Oral care composition
KR20060123410A (ko) 캡슐 함유 구강용 조성물
WO1998017236A1 (fr) Preparations orales contenant du verre cristallise biologiquement actif
JPH10139644A (ja) 生体活性ガラス含有口腔用組成物
CA3141388A1 (en) Encapsulated antimicrobials and related methods of treatment
JPH1067627A (ja) 生体活性ガラス含有口腔用組成物
US20230120190A1 (en) Oral composition with synergistic association of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for full maintenance of oral health, process for obtaining and uses thereof
WO2015046909A1 (ko) 엠티에이계 코팅 조성물의 신규한 용도
WO2021048041A1 (en) Oral care composition
RU2095053C1 (ru) Состав для лечения зубов
BR112020003065B1 (pt) Composição de cuidado oral, método para beneficiar dentes de um indivíduo e uso de uma composição de cuidado oral
KR20060081532A (ko) 점착성이 강화된 액체형 치아미백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