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929B1 - Fruit sorting machine - Google Patents
Fruit sort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6929B1 KR101596929B1 KR1020150015495A KR20150015495A KR101596929B1 KR 101596929 B1 KR101596929 B1 KR 101596929B1 KR 1020150015495 A KR1020150015495 A KR 1020150015495A KR 20150015495 A KR20150015495 A KR 20150015495A KR 101596929 B1 KR101596929 B1 KR 101596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ing
- box
- roller
- unit
- conveying convey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크기별로 선별된 과일을 기설정된 중량에 따라 포장박스에 투입할 수 있는 과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sort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uit sorting machine capable of putting fruit sorted by size into a packing box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weight.
수확된 배, 사과, 대추와 같은 청과물은 다양한 품질과 크기의 것 등이 섞여 있기 때문에 수확한 다음 선별하여 출하 또는 저장한다. 과일의 선별방법으로는 사람이 직접선별하는 인력 선별법과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기계 선별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Vegetables such as harvested pears, apples, jujubes are mixed in various quality and size, so they are harvested and sorted or shipped or stored. The fruit selection method can be classified into manpower selection method which is directly selected by man and mechanical selection method which is selected by using a mechanical device.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과일의 상태를 보고 선별하는 인력 선별법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농촌의 노동인구 감소, 소비자의 욕구충족, 물류비용의 증가등으로 기계 선별 방법의 사용이 최근 증가하고 있다. 산지의 일부 저장업체와 대부분의 포장센터에서는 생상자로부터 청과물을 매입 또는 위탁받아 기계 선별을 통해 포장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In the past, workforce selection methods were mainly used to manually select and sort fruits by the operator. However, the use of the machine sorting method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due to the decrease in the rural labor force,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needs, and the increase in logistics costs. Some storage companies and most packing centers in the mountain area purchase or consume fruits and vegetables from raw boxes, and perform packaging work by sorting machines.
과일선별기는 중량식 선별기, 광학식 선별기 및 형상식 선별기로 구분된다. 형상식 선별기는 크기와 형상에 따라 선별되며, 크기와 중량편차가 있고 손상이 비교적 적은 청과물로 양파, 감자, 마늘, 감귤 등과, 크기가 비교적 작아 대량처리가 요구되는 방울토마토, 피망 등의 선별에 사용된다. The fruit sorting machines are classified into a weight sorting machine, an optical sorting machine and a type separating machine. The type selector is sort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and it has a relatively small size and weight variation. It has a comparatively small damage and it is suitable for selection of onion, potato, garlic, citrus etc. Is used.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5565호에서는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가 개시되어 있다.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5565 discloses a " lift roller type common type separator ".
상기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는 양파, 감자와 같은 청과물을 선별하는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선별시 청과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청과물의 선별정밀도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다수의 청과물을 차례로 공급하는 청과물 공급부와, 상기 청과물 공급부에서 차례로 공급된 청과물을 이송하면서 크기별로 선별하는 다수개의 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가 이동하면서 점차적으로 넓어진 간극 사이로 청과물이 통과하면서 크기별로 선별되는 청과물 선별부 및 상기 청과물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각각의 청과물을 수납하는 청과물 수납부를 포함하는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청과물 선별부의 롤러부는 쌍으로 설치되는 고정롤러부와 이동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내설된 다수개의 선별롤러로서, 원통형으로 양단에서 중간부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형성된 선별롤러 및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된 회전롤러를 포함한다. In order to maximize the sorting accuracy of fruits and vegetables while minimizing the damage to fruits or vegetables during the sorting operation, the lift roller type food and beverage separator is used in which a plurality of fruits or vegetables, And a plurality of roller units for sorting the fruits or vegetables supplied in turn from the fruit or vegetable supply unit, the fruit or vegetable sorting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roller units, Wherein the roller portion of the fruit or vegetable sort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xing roller portions and a moving roller portion, and the roller portion includes a rotation shaft, A plurality of As a screening roller, and a rotating roller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orting roller and the axis of rotation formed toward the recess towards the middle of the both ends in a cylindrical shape.
그러나 상기 리프트롤러 형상식 선별기는 롤러부들 사이 간극을 통해 선별된 과일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집하여 포장박스에 기설정된 중량만큼 투입하므로 번거럽고, 포장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lift roller type separato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operator manually collects the fruit select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roller portions and inserts the fruit into the packing box by a predetermined weight, which requires a lot of time and manpow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고정롤러 및 승강롤러 사이 간극을 통해 선별된 과일을 수집하여 기설정된 중량만큼 포장박스에 투입하는 계량투입유닛이 마련된 과일 선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uit sorter provided with a weighing and input unit for collecting fruit sorted through a gap between a fixing roller and a lifting roller, It has its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스프로킷에 감겨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구동체인을 포함하는 구동유닛과, 선별대상 과일을 지지 및 이송시키면서 크기별로 과일을 선별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체인에, 상기 구동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체인에 설치된 롤러지지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승강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유닛과, 상기 승강롤러가 상기 구동체인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고정롤러와의 간극이 점점 커지도록 상기 승강롤러를 상기 고정롤러로부터 이격되게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롤러와 승강롤러 사이의 간극을 통해 선별된 상기 과일들을 수집하여 포장박스들에 투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 포장박스에 기설정된 중량만큼 상기 과일을 투입하는 계량투입유닛을 구비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ruit sor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ive unit including a frame, a driving chain wound around a sprocket installed at a front and a rear of the frame and rotating along an endless track, A plurality of fixing roll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chain and a roller support portion provided on the driving chain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rollers, The elevating roller is moved up or down from the fixing roller so that the gap between the elevating roller and the fixing roller gradually increases as the elevating roller moves to one side along the driving chain. And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lin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xing roller and the elevating roller, The as to collect the fruits put on the packing box and by a predetermined weight to each of the packing box having a metering input unit which inputs the fruit.
상기 계량투입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포장박스가 안착되는 박스 거치대 및 보조거치대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상기 구동체인의 상측 이송부분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롤러유닛을 통해 선별된 상기 과일을 상기 박스 거치대 및 보조거치대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 상기 포장박스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와, 상기 박스 거치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박스 거치대에 안착된 상기 포장박스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센서와, 상기 보조거치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거치대에 안착된 상기 포장박스의 중량을 측정하는 보조센서와, 상기 중량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과일이 상기 보조거치대에 안착된 상기 포장박스로 이송되도록 제1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보조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과일이 상기 박스 거치대에 안착된 상기 포장박스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Wherein the weighing and inputting unit includes a box rest and an auxiliary rest which are install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frame and on which the packing box is rested, A first conveying conveyor provided below the upper conveying portion for conveying the fruit selected through the roller unit to the packaging box seated on any one of the box rest and the auxiliary rest, A weighing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acking box seated on the box cradle, an auxiliary sensor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acking box each mounted on the auxiliary cradle and seated on the auxiliary cradle, When the measured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weight, the fruit is stored in the auxiliary cradle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is controlled so as to be conveyed to the packaging box, and when the measurement value measured from the auxiliary sensor reaches a predetermined weight, the first conveying conveyance is performed so that the fruit is conveyed to the packaging box,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는 상기 계량투입유닛을 통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한 상기 포장박스들을 수집하여 이송하는 박스 이송유닛을 더 구비한다. Meanwhile, the fruit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box transfer unit for collecting and transferring the packing boxes, which have reached predetermined weights through the metering input unit.
상기 박스 이송유닛은 상기 계량투입유닛을 통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한 상기 포장박스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와 각 박스 거치대 사이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한 상기 포장박스를 상기 박스 거치대에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다수의 제3이송컨베이어와, 상기 포장박스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로 배출되는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들의 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의 출구를 지나는 상기 포장박스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로의 상기 포장박스 이송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다수의 차단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포장박스가 감지되면 상기 차단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로의 상기 포장박스의 이송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rein the box conveying unit includes a second conveying conveyor for conveying the packing box that has reached a preset weight through the metering and inputting unit and a second conveying conveyo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and each box rest, A third conveying conveyor for conveying the box from the box rest to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and a third conveying conveyor for conveying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utlet of the third conveying conveyors, A sensing sensor installed in the conveyor for sensing the packaging box passing through the outlet of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and a sensor installed in each of the third conveying conveyors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conveyance of the packaging box to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Wherein when the packaging box is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By operating the units it is preferred to block the transfer of the packaging box by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포장박스를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박스의 이송경로로 진퇴가능하게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되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차단플레이트를 진퇴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The blocking unit includes a blocking member installed in the third conveying conveyer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a conveying path of the packaging box so as to interfere with the packaging box conveyed through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And an actuator for moving the blocking plate forward and backward by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는 계량투입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선별된 과일을 수집하여 기설정된 중량만큼 포장박스에 투입하므로 계량 및 포장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fruit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time and manpower required for weighing and packing work can be saved because the fruit selected automatically by the weighing and inputting unit is collected and put into the packing box with a predetermined weigh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과일 선별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과일 선별기의 계량투입유닛 및 박스 이송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과일 선별기의 차단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과일 선별기의 롤러유닛을 도시한 부분 발췌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과일 선별기의 롤러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롤러유닛에 연결되는 체인을 지지하는 체인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부분 발췌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fruit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fruit sorter of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eighing input unit and the box transfer unit of the fruit sorter of Fig. 1,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cut-off unit of the fruit sorter of Fig. 1,
FIG. 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ller unit of the fruit sorter of FIG. 1,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roller unit of the fruit sorter of FIG. 1,
Fig. 7 is a fragmentary side view showing a chain guide member for supporting a chain connected to a roller unit.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일 선별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fruit sor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1 to 7 show a
과일선별기(100)는 프레임(200), 구동유닛(300), 롤러유닛(400), 승강가이드부재(500), 계량투입유닛(600) 및 박스 이송유닛(800)을 구비한다. The
프레임(20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수직부재(210),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제1 연장부재(220)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수의 제2 연장부재(미도시)에 의해 사각의 구조물을 이룬다. The
이때, 프레임(200)의 상부 좌우측면에는 후술되는 롤러유닛(400)에 의해 지지되어 이송되는 과일이 프레임(200)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이탈방지판(250)이 설치되어 있다. At this time,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이탈방지판(25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이탈방지판(250)은 프레임(200)의 상단부로부터 후술되는 구동유닛(300)의 구동체인(330)의 상측 이송부분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또한, 프레임(200)의 후방에는 롤러유닛(400)에 의해 선별되지 못한 크기의 과일을 수집하는 보조수집부(240)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수집부(240)는 프레임(200)에 설치된 구동체인(330)의 상측 이송부분보다 하측의 프레임(200) 후방면에 설치되어 롤러유닛(400)을 통해 이송되되, 선별되지 못한 과일을 수집하는 보조호퍼(241)와, 보조호퍼(241)의 배출구 하측에 설치되어 보조호퍼(241)를 통해 수집된 과일을 수용하는 보조용기(242)를 구비한다. In addition, an
보조용기(242)는 내부에 과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고, 상면은 보조호퍼(241)로부터 배출되는 과일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The
롤러유닛(400)에 지지된 과일 중 선별되지 못한 과일은 롤러유닛(400)이 스프로킷에 의해 하강시, 롤러유닛(400)으로부터 이탈하여 보조호퍼(241)로 유입되고, 보조호퍼(241)를 통해 과일은 보조용기(242) 내로 유입되어 수집된다. When the
구동유닛(300)은 프레임(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310) 및 피동스프로킷(320), 스프로킷에 연결된 구동체인(330) 및 상기 구동스프로킷(31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40)를 구비한다. The drive unit 300 includes a
구동스프로킷(310)은 프레임(20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프레임(200)의 양측 측면판에 각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구동축(311)에 좌우로 이격되도록 두 개의 구동스프로킷(310)이 설치되어 있다. The driving
피동스프로킷(320)은 프레임(200)의 전방에 설치되는데, 구동축(311)과 마찬가지로 프레임의 전방 양측 측면판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종동축(321)에 좌우로 이격되도록 두 개의 피동스프로킷(3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스프로킷(320)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구동스프로킷(310)들 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The driven
구동체인(330)은 구동스프로킷(310) 및 피동스프로킷(320)에 연결되며,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구동체인(33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복수개가 프레임(200)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구동스프로킷(310) 및 피동스프로킷(320)에 설치된다.The
구동모터(340)는 구동스프로킷(310)의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회전력을 동력전달부(미도시)를 통해 구동스프로킷(310)에 전달한다.The
동력전달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구동모터(340)에 설치된 제1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의 구동축에 체결된 제2스프로킷과, 제1 및 제2 스프로킷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40)를 통해 발생된 회전력을 구동스프로킷에 전달하는 전달체인을 구비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first sprocket installed in the
롤러유닛(400)은 선별대상 과일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구동체인(330)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고정롤러(410)와, 상기 고정롤러(410)들 사이의 상기 구동체인(33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롤러지지부(421)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다수의 승강롤러(420)를 구비한다. The
고정롤러(410)는 프레임(20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양단은 2개의 구동체인(33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고정롤러(410)는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구동체인(330)에 회전되지 않도록 양단부가 고정될 수도 있다.The
승강롤러(420)는 고정롤러(410)들의 사이에서 프레임(20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양단은 구동체인(330)에 연결되어 있는 롤러지지부(421)에 의해 회전은 제한되고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롤러지지부(421)는 상호 인접된 고정롤러(410)들 사이의 구동체인(330)에 고정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슬라이딩홈(424)이 형성된 구속부재(422)와, 승강롤러(420)의 양단면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슬라이딩홈(424)에 의해 구속되는 구속바(423)를 구비한다. The
구속부재(422)는 고정롤러(410)들 사이의 구동체인(330)들에 연결되는데, 승강롤러(420)의 양측 단부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양측 구동체인(330)에 상호 마주보는 위치로 설치된다. 구속부재(422)는 구동체인(330)의 내측에 고정되는 플랜지부(425)과, 플랜지부(42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라이딩홈(424)이 형성되어 있는 구속부(426)를 구비한다. The restricting
플랜지부(425)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고정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구동체인(330)의 내측에 고정된다. 플랜지부(425)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용접에 의해 구동체인(330)에 고정될 수도 있다. The
상기 구속부(426)는 슬라이딩홈(424)을 중심으로 양측 단부가 구동체인(330)의 연장방향을 따라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플랜지부(42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구동체인(330)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폭이 점점 커지는 제1 경사구간(427)과, 제1 경사구간(427)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양측 폭이 점점 작아지는 제2 경사구간(428)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속부(426)는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이렇게 구속부(426)의 양측 단부를 구동체인(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시킨 것은 승강롤러(420)가 고정롤러(410)로부터 벌어져 과일이 크기에 따라 선별될 때, 상기 승강롤러(420) 및 고정롤러(410)가 지지되는 양측 단부의 구속부를 통해 과일이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승강롤러(420)가 상술한 구동스프로킷(310)과 피동스프로킷(320)에 감겨 회전할 때 구속부(426)들 사이에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경사구간(428)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stricting
구속바(423)는 승강롤러(420)의 양측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424)으로 삽입되어 승강롤러(420)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속한다. 특히 구속바(423)는 슬라이딩홈(424)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회전되지 않도록 슬라이딩홈(424)의 내면과 소정길이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The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슬라이딩홈(424)이 구동체인(330)의 상측 이송부분에 대해 하측으로 연장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슬라이딩홈(424)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승강롤러(420)가 고정롤러(410)에 대해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동체인(330)의 상측 이송부분에 대해 상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liding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승강롤러(420)는 승강 또는 하강 구동시, 롤러지지부(421)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므로 외피가 무른 과일이 고정롤러(410)와의 간극에 끼어 파손되거나 뭉게지면서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의 간극을 통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승강가이드부재(500)는 승강롤러(420)가 고정롤러(410)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속바(423)가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가 체인에 의해 진행하는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점점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의 간극이 점점 커지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과일은 크기가 작은것부터 롤러유닛(400)을 통과해 낙하하게 되므로 과일 선별이 크기별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lifting and lowering
롤러유닛(400)에서 크기에 따라 선별된 과일은 상부와 하부의 롤러유닛 사이에 설치된 계량투입유닛(6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저장된다. The fruit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과일선별기(100)는 프레임에 설치되어 과일 선별이 이루어지는 상측 롤러유닛(400)의 구동체인(330)이 구동스프로킷(310)과 피동스프로킷(320)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인유동 방지수단으로서 체인가이드부재(700)가 더 마련되어 있다.Meanwhile, the
상기 체인가이드부재(700)는 구동체인(3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체인(33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스프로킷(310)과 피동스프로킷(32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체인가이드부재(700)는 피동스프로킷(320)과 인접한 프레임(200)의 전방으로부터 구동스프로킷(310)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는 제1 연장부(710)와, 제1 연장부(710)로부터 구동스프로킷(310)과 인접하는 프레임(200)의 후방을 향해 연장디는 제2 연장부(720)를 포함하는데, 제1 연장부(710)는 프레임(200)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해 연장될수록 높이가 점점 높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연장부(720)는 제1 연장부(710)와 연결되는 일측으로부터 프레임(200)의 후방을 향해 연장될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형성되어 있다.The
이렇게 양측 단부에 비해 중심측의 높이가 높은 체인가이드부재(700)에 의해 구동체인(330)은 적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주행 과정에서 구동체인(330)이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체인(330)이 상하로 유동하게 되면 구동체인(330)에 지지되어 있는 고정롤러(410)가 상하로 유동하게 되면서 승강롤러(420)와 고정롤러(410) 사이의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과일 선별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구동체인(3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체인가이드부재(700)의 역할이 중요하다.The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레임(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측 구간의 롤러유닛(400)에서 승강롤러(420)가 고정롤러(410)로부터 이격되게 하기 위하여 하강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승강롤러(420)가 가이드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하도록 가이드하여 고정롤러(410)와 승강롤러(420)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계량투입유닛(600)은 다수의 박스 거치대(610), 다수의 보조거치대(650), 다수의 제1이송컨베이어(620), 중량측정센서(630), 보조센서(660) 및 제어부(640)를 구비한다. The weighing
박스 거치대(610)는 프레임(200)에 인접된 위치에, 다수개가 구동체인(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과일 포장용 포장박스가 거치된다. 상기 박스 거치대(610)는 상기 프레임(200)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거치프레임(611)과, 거치프레임(611)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면에 상기 포장박스가 안착되는 안착플레이트(612)와, 거치프레임(611)과 안착플레이트(612) 사이에 설치되어 거치프레임(611)에 대한 안착플레이트(612)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613)를 구비한다. The
안착플레이트(61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높이조절부(613)를 통해 거치프레임(611)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된다. 안착플레이트(612)의 상면에는 포장상자가 안착되는 데, 포장상자는 제1이송컨베이어(620)를 통해 이송되는 과일이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높이조절부(613)는 하단이 거치프레임(611)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하측링크(631,632)와, 하단이 제1하측링크의 상단에 힌치결합되며, 상단은 안착플레이트(612)의 하면에 힌지결합된 제1 상측링크(633)와, 하단이 제2 하측링크(634)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며, 상단은 안착플레이트(612)의 하면에 힌지결합된 제2 상측링크(634)와, 제1 하측링크(631)와 제1 상측링크(633)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이 마련된 제1보조블럭(미도시)과, 제2 하측링크(632)와 제2 상측링크(634)의 연결부분에 설치되는 제2보조블럭(미도시)와, 제1보조블럭의 관통공에 관통되게 나사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2보조블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볼트(635)를 구비한다. 작업자는 조절볼트(635)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보조블럭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거치프레임(611)의 상면에 대해 안착플레이트(612)의 높이를 조절한다. The
한편, 거치프레임(611)에는 포장박스로 과일이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호퍼(614)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호퍼(614)는 복수의 지지판(615)에 의해 안착플레이트(612)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호퍼(614)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에는 안착플레이트(612)에 안착된 포장박스로 과일이 투입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615)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면, 상단은 가이드호퍼(614)에 고정되고, 타단은 거치프레임(611)에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a
보조거치대(650)는 구동체인(330)을 기준으로 박스 거치대(610)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보조거치대(650)는 보조프레임(651)과, 보조프레임(651)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포장박스가 안착되는 보조안착판(652)을 구비한다. 보조안착판(652)은 보조이격부재(653)에 의해 보조프레임(651)의 상면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되게 지지된다. The
제1이송컨베이어(620)는 승강부재에 의해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상기 구동체인(330)의 상측 이송부분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620)는 다수개가 구동체인(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롤러유닛(400)을 통해 선별된 과일을 각 박스 거치대(610)에 거치된 포장박스로 이송시킨다. The first conveying
제1이송컨베이어(620)는 구동체인(330) 상측 이송부분의 하측 프레임(200)에 고정되고, 구동체인(33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프레임(20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이송프레임(621)과, 제1이송프레임(621)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구동롤러(미도시)와, 제1이송프레임(621)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종동롤러(미도시)와, 제1구동롤러 및 제1종동롤러에 설치되어 롤러유닛(400)으로부터 선별된 과일을 이송하는 제1이송벨트(623)와, 상기 제1구동롤러를 구동하는 제1롤러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때, 제1이송프레임(621)은 양단부가 상호 대향되는 박스 거치대(610) 및 보조거치대(650)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타단부에는 박스 거치대(610)의 가이드호퍼(614)가 고정된다. The first conveying
한편, 제1이송컨베이어(620)와 구동체인(330)의 상측 이송부분 사이의 프레임(200)에 롤러유닛(400)을 통해 선별된 과일을 수집하여 제1이송컨베이어(620)의 제1이송벨트(623) 측으로 배출하는 투입호퍼(62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fruit collected through the
중량측정센서(630)는 박스 거치대(610)의 안착플레이트(61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포장박스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로드셀로 구성된다. 보조센서(660)는 보조거치대(650)의 보조안착판(65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포장박스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로드셀로 구성된다. The
제어부는 상기 중량측정센서(630)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과일이 상기 보조거치대(650)에 안착된 상기 포장박스로 이송되도록 제1이송컨베이어(620)의 이송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보조센서(660)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과일이 상기 박스 거치대(610)에 안착된 상기 포장박스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620)의 이송방향을 조절한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ing
롤러유닛(400)에 의해 선별된 과일들은 제1이송컨베이어(620)에 따라 크기별로 각 가이드호퍼(614)로 이송되고, 가이드호퍼(614)를 통해 과일들은 크기별로 각 포장박스에 투입된다. 이때, 포장박스의 중량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제어부(640)는 제1이송컨베이어(620)의 과일 이송방향을 보조거치대(650)에 안착된 포장박스 측으로 변환시키며, 작업자는 포장박스를 박스 거치대(610)로부터 분리시키고, 새로운 포장박스를 박스 거치대(610)에 안착시킨다. 또한, 보조센서(660)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제1이송컨베이어(620)의 과일 이송방향을 박스 거치대(610)에 안착된 포장박스 측으로 변환시킨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포장박스를 보조거치대(650)로부터 분리시키고, 새로운 포장박스를 보조거치대(650)에 안착시킨다.The fruits selected by the
박스 이송유닛(800)은 계량투입유닛(600)을 통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한 포장박스들을 수집하여 다음 공정을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제2이송컨베이어(810)와, 다수의 제3이송컨베이어(820)와, 다수의 감지센서(830), 차단유닛(840) 및 보조컨베이어(870)를 구비한다. The box conveying unit 800 collects the packing boxes reaching predetermined weights through the weighing
제2이송컨베이어(810)는 각 박스 거치대(610)로부터 이동되는 다수의 포장박스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박스 거치대(610)로부터 프레임(200)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구동체인(3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이송프레임(811)과, 제2이송프레임(811)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구동롤러(미도시)와, 제2이송프레임(811)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종동롤러(미도시)와, 제2구동롤러 및 제2종동롤러 사이의 상기 제2이송프레임(8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롤러(미도시)와, 제2구동롤러, 제2종동롤러 및 지지롤러에 설치되며, 포장박스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벨트(812)와, 제2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제2롤러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The second conveying
제3이송컨베이어(820)는 다수개가 제2이송컨베이어(810)와 각 박스 거치대(610) 사이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한 포장박스를 각 박스 거치대(610)에서 제2이송컨베이어(810)로 이송시킨다. 제3이송컨베이어(820)는 박스 거치대(610)와 제2이송컨베이어(810) 사이에 설치되며, 일단이 안착플레이트(612)에 인접되고, 타단은 제2이송컨베이어(810)의 제2이송프레임(811)에 인접되게 연장되는 제3이송프레임(821)과, 상기 제3이송프레임(821)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제3구동롤러(822)와, 제3구동롤러(822)를 회전시키는 제3롤러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작업자는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한 포장박스를 안착플레이트(612)로부터 제3이송프레임(821)으로 이동시킨다. 제3이송프레임(821)으로 이동된 포장박스는 다수의 제3구동롤러(822)에 의해 제2이송컨베이어(810)로 이송되고, 제2이송컨베이어(810)에 의해 포장박스는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A third conveying
감지센서(830)는 다수개가 제3이송프레임(821)들의 타단부에 인접된 위치의 제2이송프레임(811)에 각각 설치되어 제2이송벨트(812)를 통해 이송되는 포장박스를 감지한다. A plurality of
차단유닛(840)은 다수개가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820)들에 각각 설치되어 제2이송컨베이어(810)로의 포장박스 이송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82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포장박스를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박스의 이송경로로 진퇴가능하게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820)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차단부재(850,860)와, 상기 제1 및 제2차단부재(850,860)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64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차단부재(850,860)를 진퇴시키는 제1 및 제2액츄에이터(845,846)를 구비한다. A plurality of blocking
제1차단부재(850)는 제3이송프레임(821)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봉(851)과, 제1회전봉(851)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회전봉(851)의 외주면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제1고정판(852)과, 제1회전봉(851)의 회전시 단부가 제3구동롤러(822)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포장박스를 간섭할 수 있도록 제1고정판(852)의 단부에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된 제1간섭판(853)을 구비한다. The
이때, 제1회전봉(851)의 일측 외주면에는 제1액츄에이터(845)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브라켓(85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간섭판(853)은 포장박스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제3구동롤러(822)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제2차단부재(860)는 제1차단부재(850)로부터 박스 거치대(610)에 인접된 위치의 제3이송프레임(8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봉(861)과, 제2회전봉(861)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2회전봉(86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암(862)과, 상기 지지암(862)의 단부에, 지지암(862)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고정판(863)과, 제2회전봉(861)의 회전시 단부가 제3구동롤러(822)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포장박스를 간섭할 수 있도록 제2고정판(863)의 단부에 상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된 제2간섭판(864)을 구비한다. The
이때, 제2회전봉(861)은 인접된 제3구동롤러(822)들 사이에 위치하며, 일측 외주면에는 제2액츄에이터(846)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2브라켓(86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간섭판(864)은 포장박스에 대한 접촉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제3구동롤러(822)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제1액츄에이터(845)는 일단이 제1회전봉(851)의 제1브라켓(85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제3이송프레임(8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액츄에이터(845)는 제어부(640)에 의해 작동되며, 제1회전봉(85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양단이 신축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end of the
제2액츄에이터(846)는 일단이 제2회전봉(861)의 제2브라켓(86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제3이송프레임(8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액츄에이터(846)는 제어부(640)에 의해 작동되며, 제2회전봉(86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양단이 신축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end of the
이때, 제어부(640)는 제3이송컨베이어(820)로부터 포장상자가 제2이송컨베이어(810)로 이송시, 상기 포장상자가 제2이송컨베이어(810)에 의해 이동하는 포장상자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지센서(830)를 통해 포장상자가 감지되면 제2이송컨베이어(810)로의 포장사자 이송을 차단하기 위해 제1 및 제2액츄에이터(845,846)를 작동시켜 제1 및 제2간섭판(853,864)을 제3구동롤러(822)의 상방으로 돌출시킨다. 감지센서(830)를 통해 포장상자가 미감지되면, 제어부(640)는 제2이송컨베이어(810)의 포장상자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및 제2간섭판(853,864)이 제3구동롤러(822)의 하방으로 인입되도록 제1 및 제2액츄에이터(845,846)를 작동시킨다. At this time, when the packaging box is transferred from the third conveying
보조컨베이어(870)는 각 보조거치대(650)로부터 이동되는 다수의 포장박스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보조안착판(652) 하측의 보조거치대(650)들에 설치되며, 구동체인(3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보조이송프레임(871)과, 보조이송프레임(871)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구동롤러(미도시)와, 보조이송프레임(871)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종동롤러와, 보조구동롤러 및 보조종동롤러 사이의 상기 보조이송프레임(87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보조롤러(미도시)와, 보조구동롤러, 보조종동롤러 및 보저롤러에 설치되며, 포장박스를 이송시키는 보조이송벨트(872)와, 보조구동롤러를 회전시키는 보조롤러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fruit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과일 공급부로부터 선별대상 과일이 고정롤러 및 승강롤러로 공급된다. 이때, 구동체인(330)이 이동할 수록 승하강부재에 의해 고정롤러 및 승강롤러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며, 상기 간극에 의해 과일들은 크기에 따라 하방으로 낙하한다. 낙하한 과일들은 구동체인(330)의 상측 이송부분 하측에 마련된 제1이송컨베이어(620)들을 통해 박스 거치대(610)로 이송된다. 박스 거치대(610)로 이송된 과일들은 가이드호퍼(614)에 의해 포장상자에 투입된다. The fruit to be sorted is supplied to the fixing roller and the elevating roller from the fruit supply part. At this time, as the driving
이때, 충량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포장상자의 중량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제어부(640)는 제1이송컨베이어(620)의 이송방향을 변환시키고, 작업자는 포장상자를 제3이송컨베이어(820)로 이동시키고, 안착플레이트(612)의 상면에 새로운 포장상자를 안착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weight of the packing box measured through the charge measuring sensor reaches a predetermined weight, the
제3이송컨베이어(820)로 이송된 포장상자는 제3구동롤러(822)들에 의해 제2컨베이어로 이송된다. 이때, 제어부(640)는 제3이송컨베이어(820)로부터 포장상자가 제2이송컨베이어(810)로 이송시, 상기 포장상자가 제2이송컨베이어(810)에 의해 이동하는 포장상자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감지센서(830)를 통해 포장상자가 감지되면 차단유닛(840)을 작동시켜 포장상자의 제2이송컨베이어(810)로의 진입을 차단하고, 감지센서(830)를 통해 포장상자가 미감지되면 포상장자가 제2이송컨베이어(810)로 진입되도록 차단유닛(840)을 제어한다. 제2이송컨베이어(810)로 진입된 포장상자는 제2이송컨베이어(810)에 의해 다음공정으로 이송된다. The packaging box conveyed to the third conveying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과일 선별기는 계량투입유닛(600)에 의해 자동으로 선별된 과일을 수집하여 기설정된 중량만큼 포장박스에 투입하므로 계량 및 포장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fruit s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ollects fruits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weigh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과일 선별기
200: 프레임
300: 구동유닛
310: 구동스프로킷
320: 피동스프로킷
330: 구동체인
340: 구동모터
400: 롤러유닛
410: 고정롤러
420: 승강롤러
421: 롤러지지부
422: 구속부재
423: 구속바
424: 슬라이딩홈
500: 승강가이드부재
600: 계량투입유닛
700: 체인가이드부재
800: 박스 이송유닛100: Fruit picker
200: frame
300: drive unit
310: Drive sprocket
320: driven sprocket
330: drive chain
340: drive motor
400: roller unit
410: Fixing roller
420: lifting roller
421:
422:
423: Restraint bar
424: Sliding groove
500:
600: Weighing input unit
700: chain guide member
800: Box transport unit
Claims (5)
상기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스프로킷에 감겨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구동체인을 포함하는 구동유닛과;
선별대상 과일을 지지 및 이송시키면서 크기별로 과일을 선별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체인에, 상기 구동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고정롤러와, 상기 고정롤러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체인에 설치된 롤러지지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승강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유닛과;
상기 승강롤러가 상기 구동체인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고정롤러와의 간극이 점점 커지도록 상기 승강롤러를 상기 고정롤러로부터 이격되게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가이드부재와;
상기 고정롤러와 승강롤러 사이의 간극을 통해 선별된 상기 과일들을 수집하여 포장박스들에 투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 포장박스에 기설정된 중량만큼 상기 과일을 투입하는 계량투입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계량투입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인접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포장박스가 안착되는 박스 거치대 및 보조거치대와,
상기 승강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롤러와 고정롤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상기 구동체인의 상측 이송부분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롤러유닛을 통해 선별된 상기 과일을 상기 박스 거치대 및 보조거치대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된 상기 포장박스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와,
상기 박스 거치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박스 거치대에 안착된 상기 포장박스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센서와,
상기 보조거치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보조거치대에 안착된 상기 포장박스의 중량을 측정하는 보조센서와,
상기 중량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과일이 상기 보조거치대에 안착된 상기 포장박스로 이송되도록 제1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보조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하면 상기 과일이 상기 박스 거치대에 안착된 상기 포장박스로 이송되도록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A frame;
A driving unit including a driving chain wound around a sprocket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frame and rotating along an endless track;
A plurality of fixing roll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chain by sorting fruits by size while supporting and conveying fruit to be sorted, A roller unit having a plurality of ascending and descending rollers supported vertically in a vertically movable manner on an installed roller support portion;
An elevating guide member for moving the elevating roller up or down from the fixing roller so that the gap between the elevating roller and the fixing roller gradually increases as the elevating roller moves to one side along the driving chain;
And a weighing and inputting unit for collecting the fruits select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xing roller and the elevating roller and inputting the fruits into the packing boxes,
The metering input unit
A box cradle and an auxiliary cradle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rame,
Wherein the guide member is provided below the upper conveying portion of the driving chain in which a gap is formed between the elevating roller and the fixing roller by the elevating guide member, A first conveying conveyor for conveying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to the packaging box,
A weighing sensor installed in the box res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acking box seated on the box rest,
An auxiliary sensor installed on the auxiliary cradle and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ackaging box seated on the auxiliary cradle,
Adjust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so that the fruit is conveyed to the packing box seated on the auxiliary cradle when the measured value measured from the weight measuring sensor reaches a predetermined weigh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so that the fruit is conveyed to the packing box placed on the box rest when the predetermined weight is reached.
상기 계량투입유닛을 통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한 상기 포장박스들을 수집하여 이송하는 박스 이송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box transfer unit for collecting and transferring the packing boxes that have reached predetermined weights through the metering input unit.
상기 박스 이송유닛은
상기 계량투입유닛을 통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한 상기 포장박스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와 각 박스 거치대 사이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중량에 도달한 상기 포장박스를 상기 박스 거치대에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다수의 제3이송컨베이어와,
상기 포장박스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로 배출되는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들의 출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의 출구를 지나는 상기 포장박스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로의 상기 포장박스 이송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다수의 차단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포장박스가 감지되면 상기 차단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로의 상기 포장박스의 이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box transfer unit
A second conveying conveyor for conveying the packaging box that has reached a predetermined weight through the metering and inputting unit,
A plurality of third conveying conveyor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and each of the box rests for conveying the box from the box rest to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Wherein the packaging box is installed in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utlet of the third conveying conveyors discharged to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and detects the packaging box passing through the outlet of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Wow,
And a plurality of blocking unit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third conveying conveyors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conveyance of the packaging box to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blocking unit when the packaging box is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to block the conveyance of the packaging box to the second conveyance conveyor.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포장박스를 간섭할 수 있도록 상기 포장박스의 이송경로로 진퇴가능하게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에 설치되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차단부재를 진퇴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locking unit
A blocking member installed on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a conveying path of the packaging box so as to interfere with the packaging box conveyed through the third conveying conveyor,
And an actuator for moving the blocking member forward and backward by the control unit, the actuator being provided in the blocking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5495A KR101596929B1 (en) | 2015-01-30 | 2015-01-30 | Fruit sort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5495A KR101596929B1 (en) | 2015-01-30 | 2015-01-30 | Fruit sorting mach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6929B1 true KR101596929B1 (en) | 2016-02-23 |
Family
ID=5544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5495A KR101596929B1 (en) | 2015-01-30 | 2015-01-30 | Fruit sort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6929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30775A1 (en) * | 2017-06-12 | 2018-12-20 |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 Anti-collision conveyor, conveyor system, and substrate transfer method using same |
CN109502078A (en) * | 2018-11-29 | 2019-03-22 | 北京理工大学 | Boxing apparatus for fruit |
KR102236161B1 (en) * | 2020-08-21 | 2021-04-07 | (주)네오하이테크 | Conveyor moving type sorting fruit sorting apparatus |
KR20210153782A (en) * | 2020-06-10 | 2021-12-20 | 주식회사 비엠지 | Contact lens packing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8248Y1 (en) * | 2006-12-06 | 2008-02-01 | (주)도이엘 | Supply controlling apparatus of fruit Sorting |
KR20140027720A (en) * | 2012-08-27 | 2014-03-07 | 최병훈 | Fruit sorting machine |
-
2015
- 2015-01-30 KR KR1020150015495A patent/KR10159692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8248Y1 (en) * | 2006-12-06 | 2008-02-01 | (주)도이엘 | Supply controlling apparatus of fruit Sorting |
KR20140027720A (en) * | 2012-08-27 | 2014-03-07 | 최병훈 | Fruit sorting machin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30775A1 (en) * | 2017-06-12 | 2018-12-20 |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 Anti-collision conveyor, conveyor system, and substrate transfer method using same |
CN109502078A (en) * | 2018-11-29 | 2019-03-22 | 北京理工大学 | Boxing apparatus for fruit |
CN109502078B (en) * | 2018-11-29 | 2024-01-26 | 北京理工大学 | Boxing equipment for fruits |
KR20210153782A (en) * | 2020-06-10 | 2021-12-20 | 주식회사 비엠지 | Contact lens packing system |
KR102405619B1 (en) * | 2020-06-10 | 2022-06-08 | 주식회사 비엠지 | Contact lens packing system |
KR102236161B1 (en) * | 2020-08-21 | 2021-04-07 | (주)네오하이테크 | Conveyor moving type sorting fruit sort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6929B1 (en) | Fruit sorting machine | |
KR101709752B1 (en) | Fish grading apparatus | |
CN208915544U (en) | Dixie cup collection system | |
KR20190115273A (en) | Weight separator having multiseriate structure and up-and-down function | |
EP3842349B1 (en) | Alignment device having automatic weight sorting function | |
KR102504509B1 (en) | Apparatus for sorting fruit | |
KR101019401B1 (en) | Transportation and Dumping Apparatus of Fruit Basket | |
KR20200031378A (en) | Selective packing machine for globe-shaped products | |
KR101174867B1 (en) | Fruit sorting machine | |
KR102234563B1 (en) | Fruit loading system | |
KR101991293B1 (en) | Fruit auto loading apparatus for fruit sorting | |
KR101488221B1 (en) | Fruit loading system | |
US4965982A (en) | Fruit bin filler | |
KR101836444B1 (en) | Fruit sorting machine | |
KR101265686B1 (en) | Sorter for abaione | |
KR101967257B1 (en) | Apparatus for sorting faulty of goods | |
KR20200032574A (en) | A abalone feeding and sorting apparatus | |
KR101453504B1 (en) | Fruit sorting machine | |
KR102123744B1 (en) | Weight measuring apparatus and system with the same | |
KR20190125044A (en) | Weight measuring apparatus and system with the same | |
KR100590595B1 (en) | Apparatus of taking an image of bulk crops, apparatus of dividing bulk crops and apparatus of sorting bulk crops | |
CN110250255B (en) | Three-dimensional intelligent fish separating machine | |
KR101239374B1 (en) | Material supply appararus for packing box of fruits or product separator | |
KR102236161B1 (en) | Conveyor moving type sorting fruit sorting apparatus | |
KR101861301B1 (en) | Fruit sor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