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910B1 - 끽연 물품용 담뱃갑 및 이에 사용되는 용지 - Google Patents

끽연 물품용 담뱃갑 및 이에 사용되는 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910B1
KR101596910B1 KR1020117001324A KR20117001324A KR101596910B1 KR 101596910 B1 KR101596910 B1 KR 101596910B1 KR 1020117001324 A KR1020117001324 A KR 1020117001324A KR 20117001324 A KR20117001324 A KR 20117001324A KR 101596910 B1 KR101596910 B1 KR 101596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
enclosure
pivot member
cigar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037A (ko
Inventor
마르코 베치
Original Assignee
지아이엠에이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아이엠에이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지아이엠에이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2001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A24F15/18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8Drawer-and-shell 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1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automatically urged towards the dispensing aperture, e.g. spring-lo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5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automatically urged towards the dispensing aperture, e.g. spring-lo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54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ombined with an outer sleeve connected to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끽연 물품용 담뱃갑은 끽연 물품을 수용하는 수납부(14), 수납부(14)를 내부에 포함하는 외장체(2), 및 수납부(14)와 외장체(2)를 벽에서 연결하기 위한 연결 기구(23)를 포함하며, 연결 기구(23)가 벽의 층을 통과하는 피벗 부재(25)를 구비함으로써, 외장체(2)와 수납부(14)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끽연 물품용 담뱃갑 및 이에 사용되는 용지{PACKET FOR SMOKE ARTICLES AND CORRESPONDING BLANK}
본 발명은 담배 등의 끽연 물품을 위한 담뱃갑과 이러한 담뱃갑을 만드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용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딱딱한 재질의 담뱃갑, 즉 두꺼운 종이로 된 용지를 접어서 만든 담뱃갑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사용자들은 담뱃갑이 바람에 날아가거나 자신들의 주머니 또는 가방에 보관하고 있을 때에도 담배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렇게 만든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최근에는 딱딱한 재질의 이러한 전형적인 담뱃갑을 개조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는데, 흡연자들로 하여금 전형적인 외양의 담뱃갑이 아닌 특별한 외양의 담뱃갑을 선호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실질적으로 평행 육면체 형상으로서, 기저부(base)와 이 기저부로부터 서로 대면하면서 연장된, 폭이 넓은 2개의 측면을 갖는 수납부(containing body)를 구비하는 담뱃갑이 제안되었다. 이 수납부는 상기 폭이 넓은 2개의 측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2개의 측면을 더 구비하는데, 이들 폭이 좁은 측면은 폭이 넓은 2개의 측면 사이에 위치한다. 수납부에는 상부에 담배를 빼낼 수 있도록 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를 외장체(outer enclosure)가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다. 외장체는 수납부에 있는 기저부의 접번선(hinge line)에 힌지 결합된 바닥 벽(bottom wall)을 포함한다. 접번선은 직선 형태로 되어 있으며, 담뱃갑의 기저부상에 약화선(weakening line)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장체는 또한 바닥 벽으로부터 연장된 2개의 폭이 넓은 측벽(greater side wall)과 이들 폭이 넓은 2개의 측벽 사이에 위치하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측벽(lesser side wall)을 포함한다. 외장체는 또한 폭이 넓은 측벽 및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측벽의 상부의 에지 부위에 연결되는 상부 벽(upper wall)을 더 포함한다. 폭이 넓은 측벽의 자유 에지(free edge) 및 상부 벽의 자유 에지 사이에는, 수납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된 측면 개구(side opening)가 형성되어 있다.
외장체는 담뱃갑의 기저부상에 있는 접번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외장체가 수납부의 상부 개구를 닫는 폐쇄 위치와 사용자가 담배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담뱃갑은, 예를 들어 유럽특허출원 EP 1923329 및 EP 1829799와 국제특허출원 공개번호 WO 2006/02158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설명한 담뱃갑은 접번선이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담뱃갑의 외양을 심미적으로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담뱃갑을 열고 닫기 위해 반복적으로 젖히는 동작을 함으로써, 담뱃갑을 싸고 있는 인쇄된 외면 중에 접번선이 있는 부분이 훼손될 수 있다.
또한, 외장체의 폭이 넓은 측벽 중에서 측면 개구를 형성하는 자유 에지에 대하여, 곡선 형태를 사용하고 담뱃갑을 바깥쪽으로 젖힐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채택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서는, 외장체의 폭이 넓은 측벽과 수납부의 폭이 넓은 측면 사이에 빈 공간이 생겨서, 심미적으로 만족감을 주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담배 등의 끽연 물품용 담뱃갑과 이러한 담뱃갑을 만드는데에 사용될 수 있는 용지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부를 외장체(outer enclosure)의 내부에 배치하는 경우 외장체가 수납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외장체와 수납부 사이의 연결이 손상을 받을 위험을 감소시킨 끽연 물품용 담뱃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장체와 이 외장체의 안쪽에 배치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끽연 물품용 담뱃갑으로서, 외장체의 자유 에지가 수납부로부터 과도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 담뱃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딱딱한 재질의 담뱃갑에 비해 개선되고 새로운 외양을 갖춘 끽연 물품용 담뱃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담배 등의 끽연 물품용의 담뱃갑을 제공한다. 이 담뱃갑은 끽연 물품을 수용하는 수납부(containing body), 수납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외장체(outer enclosure), 및 수납부와 외장체를 벽(wall)에서 연결하기 위한 연결 기구(connecting device)를 포함하며, 연결 기구가 벽의 층을 통과하는 피벗 부재(pivoting member)를 구비함으로써, 외장체와 수납부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담배 등의 끽연 물품용의 담뱃갑의 외장체를 형성하기 위한 용지(blank)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지는, 외장체의 길이방향 벽을 형성하기 위한 주 패널, 및 외장체의 횡단 벽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 패널을 포함하며, 주 패널 상에, 연결 기구의 피벗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절취 예정 선(intended breakage line)이 마련되며, 절취 예정 선은 폐루프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부와 외장체가 담뱃갑을 덮고 있는 인쇄 커버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서로에 대하여 여러 번 회전시킬 수 있는 끽연 물품용 담뱃갑을 얻을 수 있다. 사실상, 피벗 부재가 담뱃갑의 벽의 층을 통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접번선으로서 작용하며 많은 횟수의 열고 닫는 동작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약화선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지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담뱃갑을, 특히 통상의 포장 기계를 약간만 변형해서 매우 단순한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부와 외장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담뱃갑을, 통상적인 딱딱한 담뱃갑에 대하여 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소비자를 위한 메시지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한 매우 넓은 표면을 만들 수 있다.
일례로, 외장체는 서로 마주보며 담뱃갑의 축을 따라 배치된 폭이 넓은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한다.
수납부는 폭이 넓은 한 쌍의 측면과 이들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기구는 외장체의 폭이 넓은 측벽을 수납부의 대응하는 폭이 넓은 측면에 연결시킬 수 있다.
다른 연결 기구는 외장체의 폭이 넓은 다른 측벽을 수납부의 대응하는 폭이 넓은 다른 측면에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외장체의 폭이 넓은 측벽이 변형되거나 수납부의 폭이 넓은 측면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거나 심미적이지 않은 빈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과 이하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담배 등의 끽연 물품을 위한 담뱃갑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담뱃갑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담뱃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 IV-IV를 따라 절취한, 도 1의 담뱃갑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담뱃갑이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담뱃갑의 수납부를 형성하기 위한 용지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담뱃갑의 외장체를 형성하기 위한 용지의 안쪽 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8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연결 기구의 고정 요소가 고정 부착된 용지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용지의 바깥 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담뱃갑의 외장체를 형성하는 위한 용지를 나타내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2는 고정 요소가 고정된 용지를 나타내는, 도 11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용지의 바깥 면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는 담배 등의 끽연 물품(smoke article)을 수용하기 위한 딱딱한 재질의 담뱃갑(1)을 나타낸다. 이 담뱃갑(1)은 도 3에 나타낸 축(Z)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축(Z)은 담뱃갑(1) 내에 수납된 담배 등의 끽연 물품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담뱃갑(1)은 판지(card)로 만들어진 용지(blank)를 접어서 형성할 수 있는 외장체(outer enclosure)(2)를 포함한다. 이 외장체(2)는 폭이 넓은 제1 측벽(side wall)(3) 및 제2 측벽(4)을 포함하고, 이들 측벽은 서로 대면하도록 되어 있다. 제1 측벽(3)과 제2 측벽(4)은 축(Z)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외장체(2)는 상기 폭이 넓은 측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1 측벽(5)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2 측벽(6)도 포함하는데, 이들 측벽도 서로 대면하도록 되어 있다. 폭이 좁은 제1 측벽(5)은 폭이 넓은 제1 측벽(3)과 제2 측벽(4) 사이에 위치하며, 폭이 좁은 제2 측벽(6)도 마찬가지로 제1 측벽(3)과 제2 측벽(4) 사이에 위치한다. 폭이 좁은 제1 측벽(5) 및 제2 측벽(6)은 축(Z)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폭이 넓은 제1 측벽(3) 및 제2 측벽(4)과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1 측벽(5) 및 제2 측벽(6)은 편평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상기 측벽들은 축(Z)에 평행한 곡선형의 에지 부위(7)를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담뱃갑(1)은 소위 "곡선형 모서리"(round corner)의 외양을 갖는다. 도시하지 않은 예로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벽을 연결하는 에지 영역을 평탄하게 해서, 담뱃갑(1)이 전체적으로 팔각형의 외양을 갖도록 해도 된다.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측벽이 각진 모서리(sharp corner)를 따라 연결되도록 해서, 종래의 딱딱한 재질로 된 담뱃갑처럼, 담뱃갑(1)이 평행 육면체의 단면을 갖도록 해도 된다.
외장체(2)는 서로 대면하도록 된 하부 벽(lower wall)(8)과 상부 벽(upper wall)(9)을 더 포함한다. 하부 벽(8)과 상부 벽(9)은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될 수 있다. 하부 벽(8)과 상부 벽(9)은 축(Z)을 가로지르도록, 즉 축(Z)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폭이 넓은 제1 측벽(3) 및 제2 측벽(4)은 하부 벽(8) 및 상부 벽(9)과 모두 이웃하도록 된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1 측벽(5) 및 제2 측벽(6)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제1 측벽(3) 및 제2 측벽(4)보다 길이가 짧다. 폭이 좁은 제1 측벽(5)은 하부 벽(8)과 인접해 있지만, 상부 벽(9)과는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폭이 넓은 제1 측벽(3), 폭이 넓은 제2 측벽(4), 폭이 좁은 제1 측벽(5), 및 상부 벽(9) 사이에는 제1 측면 개구(1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폭이 좁은 제2 측벽(6)은 상부 벽(9)과는 인접해 있지만, 하부 벽(8)과는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폭이 넓은 제1 측벽(3), 폭이 넓은 제2 측벽(4), 폭이 좁은 제1 측벽(6), 및 하부 벽(8) 사이에는 제2 측면 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측면 개구(11)는 제1 측면 개구(10)와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실제로, 제2 측면 개구(11)는 담뱃갑(1)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 측면 개구(10)는 담뱃갑(1)의 상부에 위치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체(2)는 폭이 좁은 제2 측벽(6)과 폭이 넓은 제1 측벽(3) 사이 및 폭이 좁은 제2 측벽(6)과 폭이 넓은 제1 측벽(4) 사이에 형성된 관통 슬롯과 같은 2개의 통로(passage)(12)를 더 포함한다. 이 통로(12)는 제2 측면 개구(11)의 위에 위치한다. 폭이 넓은 제1 측벽(3) 및 제2 측벽(4)은 그림이나 메시지 등의 인쇄 영역, 특히 흡연자를 위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네모 구획(13)을 구비할 수 있다.
담뱃갑(1)은 외장체(2)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납부(containing body)(14)를 더 포함한다. 이 수납부(14)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내부 포장(internal wrap)(15)을 형성하기 위해 일단의 담배(a group of cigarettes)를 금속 시트나 은박지로 싼 일단의 끽연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 수납부(14)는 컵 모양이 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부(14)는 편평한 형태를 가지며 끽연 물품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 특히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부 면(lower face)(16)을 포함한다. 수납부(14)는 폭이 넓은 제1 측면(side face)(17)과 폭이 넓은 제2 측면(18)을 더 포함한다. 이 폭이 넓은 제1 측면(17)과 폭이 넓은 제2 측면(18)은 서로 대향하도록 될 수 있다. 이들 측면은 내부 포장(15) 내에 포장된 끽연 물품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수납부(14)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제1 측면(19)과 폭이 좁은 제2 측면(20)도 포함한다. 폭이 좁은 제1 측면(19)과 폭이 좁은 제2 측면(20)은 서로 대향하면서 폭이 넓은 제1 측면(17)과 폭이 넓은 제2 측면(18) 사이에 위치한다. 폭이 좁은 제1 측면(19)과 폭이 좁은 제2 측면(20)은 끽연 물품이 연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폭이 좁은 제1 측면(19)과 폭이 좁은 제2 측면(20)은 각각 에지 영역(21)을 따라 폭이 넓은 제1 측면(17)과 폭이 넓은 제2 측면(18)에 접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 에지 영역(21)은 곡선형의 에지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에지 영역(21)은 외장체(2)의 에지 부위(7)의 형태에 대응하는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납부(14)에는 흡연자가 끽연 물품을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부 개구(upper opening)(22)가 형성되어 있다.
담배갑(1)은 외장체(2)를 수납부(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더 포함한다. 특히, 이 연결 수단은 외장체(2)의 폭이 넓은 제1 측벽(3)을 수납부(14)의 폭이 넓은 제1 측면(17)에 연결하는 연결 기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수단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체(2)의 폭이 넓은 제2 측벽(4)을 수납부(14)의 폭이 넓은 제2 측면(18)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기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기구(23)와 연결 기구(24)는 공통의 회전 축(X)을 가지면서 서로 대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수납부(14)와 외장체(2)는 공통의 회전 축(X)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폐쇄 위치로부터 도 6에 나타낸 개방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폐쇄 위치에서, 수납부(14)는 외장체(2)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 구성에서, 외장체(2)가 중심으로 삼아서 이동하는 축(Z)은 수납부(14) 내에 수납된 끽연 물품이 배치된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수납부(14)의 상부 개구(22)는 끽연 물품이 담뱃갑(1)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외장체(2)의 상부 벽(9)에 의해 폐쇄된다.
개방 위치에서, 수납부(14)는 외장체(2)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수납부(14)의 상부는 제1 측면 개구(side opening)(10)를 통해 외장체(2)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에 의해, 수납부(14)에 수용된 끽연 물품을 빼내기 위한 상부 개구(22)에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방 위치에서, 수납부(14)의 하부는 제2 측면 개구(11)를 통해 외장체(2)의 외부로 돌출된다.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또는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수납부(14)와 외장체(2)는 서로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 예를 들어 대략 45도의 각도로 회전한다.
도 5는 연결 기구(23)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연결 기구(23)는 폭이 넓은 제1 측벽(3)의 두께를 통해 얻어진 피벗 부재(pivoting member)(25)를 포함한다. 이 피벗 부재(25)는 외장체(2)를 형성하는 재료로부터 원반(circular disc)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피벗 부재(25)는 절단 선(cutting line)(26)에 의해 폭이 넓은 제1 측벽(3)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분리된다.
피벗 부재(25)는 수납부(14)의 폭이 넓은 제1 측면(17)에, 예를 들어 접착제(28)에 의해 고정 부착된 제1 면(27)을 갖는다.
피벗 부재(25)가 폭이 넓은 제1 측벽(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피벗 부재(25)에 고정 요소(locking element)(29)가 고정된다. 고정 요소(29)는, 회전 축(X)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측정했을 때, 피벗 부재(25)의 횡방향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서, 고정 요소(29)는 폭이 넓은 제1 측벽(3)에 접하도록 하기 위한 접촉 면(abutting surface)(30)을 갖는다. 이 접촉 면(30)에 의해, 피벗 부재(25)를 담뱃갑(1) 안으로 밀어 넣는 경우에도, 피벗 부재(25)가 폭이 넓은 제1 측벽(3)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요소(29)는 직경이 피벗 부재(25)의 직경보다 큰 원형 패널(circular panel)의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고정 요소(29)의 형상은 반드시 원형으로 하지 않아도 되며 임의의 원하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고정 요소(29)는, 예를 들어 다수의 접착 점(31)에 분산시킨 접착제를 사용해서 피벗 부재(25)에 고정된다. 접착 점(31)은 피벗 부재(25)의 제1 면(27)에 대향하는 제2 면(32)과 고정 요소(29) 사이에 도포된다.
고정 요소(29)는 수납부(14) 및/또는 외장체(2)와 동일한 재료, 예를 들어 판지로 만들어도 된다.
피벗 부재(25)는, 회전 축(X)을 따라 측정했을 때, 외장체(2)의 폭이 넓은 제1 측벽(3)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특히,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피벗 부재(25)는 폭이 넓은 제1 측벽(3)을 형성하는 재료를 절단 선(26)을 따라 잘라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피벗 부재(25)는 사용자가 담뱃갑(1)을 처음 개봉할 때에 뜯어내는 접합 부분에 의해 폭이 넓은 제1 측벽(3)의 주변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부(14)가 제1 측면 개구(10) 및 제2 측면 개구(11)를 통해 외장체(2)를 빠져나오도록, 통로(12)를 통해 수납부(14)에 추력(thrust)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담뱃갑(1)이 열린다. 담뱃갑(1)을 닫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1 측면 개구(10)를 빠져나온 수납부(14)의 상부 및/또는 제2 측면 개구(11)를 빠져나온 수납부(14)의 하부에 힘을 가해서, 수납부(14)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회전시키면 된다.
피벗 부재(25)에 의해, 외장체(2)와 수납부(14) 사이, 특히 폭이 넓은 제1 측벽(3)과 폭이 넓은 제1 측면(17) 사이에 힌지 연결(hinge connection)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벗 부재(25)는 폭이 넓은 제1 측벽(3)을 통과하는 힌지 피벗(hinge pivot)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하면, 담뱃갑의 인쇄된 외면에 쉽게 손상을 줄 수 있는, 담뱃갑의 외면상에 만드는 약화선에 의해 이루어진 힌지 연결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대하여, 피벗 부재(25)를 사용하면, 담뱃갑(1)을 여러 번 열고 닫아도, 담뱃갑(1)의 보이는 면 및 이러한 면에 만들 수 있는 글자나 그림에 손상을 줄 염려가 없다.
피벗 부재(25)와 고정 요소(29)에 의해, 폭이 넓은 제1 측벽(3)과 폭이 넓은 측면(17) 사이의 중심 영역에 연결부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폭이 넓은 제1 측벽(3)을 폭이 넓은 측면(17)과 계속 접촉하도록 할 수 있으며, 폭이 넓은 제1 측벽(3)이 바깥쪽으로 구부러짐으로써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측면 개구(10)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폭이 넓은 제1 측벽(3)의 자유 에지와 수납부(14) 사이에 바람직하지 않은 빈 공간이 생기지 않는다. 이러한 바람직한 효과는, 폭이 넓은 제2 측벽(4)과 폭이 넓은 제2 측면(18)을 연결하는 추가의 연결 기구(24)를 구비하는 경우에, 더욱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추가의 연결 기구(24)를 구비한 경우, 이 추가의 연결 기구(24)는 연결 기구(23)와 유사한 구조와 동작을 갖는다.
고정 요소(29) 위에는, 흡연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폭이 넓은 제1 측벽(3)의 외면에 만든 하나 이상의 그래픽 표시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그래픽 표시를 만들 수 있다. 이 메시지는 담뱃갑(1)이 개방 위치인지 폐쇄 위치인지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요소(29) 위에, 예를 들어 이중 화살표를 포함하는 인쇄된 제1 위치 지시 수단(33)이 있을 수 있다. 폭이 넓은 제1 측벽(3)의 외면상에는, 180도 반대 위치에 있는 한 쌍의 글자 "C"와, 180도 반대 위치에 있으며 글자 "C"에 대하여 대략 45도만큼 회전된 한 쌍의 글자 "O"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지시 수단(34)이 있을 수 있다. 담뱃갑(1)이 폐쇄 위치인 경우에는, 고정 요소(29) 상에 인쇄된 이중 화살표가 수직 위치로 배치되어, 화살표의 끝이 폭이 넓은 제1 측벽(3) 상에 인쇄된 글자 "C"(closed: 폐쇄)를 향하게 된다. 수납부(14)가 회전되어 개방 위치로 된 경우, 고정 요소(29)는 수납부(14)와 함께 회전하고, 이중 화살표는 대략 45도로 기울어진다. 이에 의해서, 이중 화살표는 폭이 넓은 제1 측벽(3) 상에 인쇄된 한 쌍의 글자 "O"(open: 개방)에 위치한다.
물론, 이중 화살표와 한 쌍의 글자들 "C" 및 "O"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 요소(29) 및 폭이 넓은 제1 측벽(3)에 임의의 다른 그래픽 표시를 사용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담뱃갑(1)은 시중에서 파는 전형적인 담뱃갑의 외양과 쉽게 구분되는, 흡연자의 시선을 끄는 요소를 갖춘 특징적인 외양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체(2)의 상부 벽(9)과 내부 포장(15) 사이의 폐쇄 위치에서, 간격(G1)을 만들 수 있다. 동일한 구성으로, 외장체(2)의 하부 벽(8)과 수납부(14) 사이에 다른 간격(G2)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간격(G1, G2)은 서로 동일하게 해도 되고 상이하게 해도 된다. 간격(G1, G2)은 수납부(14)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또는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에, 내부 포장(15)과 수납부(14)가 외장체(2)의 하부 벽(8) 또는 상부 벽(9)과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내부 포장(15)과 외장체(2)의 상부 벽(9)이 서로 방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접착제를 사용해서 내부 포장(15)의 상부 덮개(upper flap)(35)를 하부 덮개(36)에 고정 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수납부(14)를 회전시킬 때에, 상부 덮개(35)가 하부 덮개(36)로부터 이탈해서 상부 벽(9)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 포장(15)의 하단부에도 이와 유사한 해결 방안을 채택할 수 있다. 상부 덮개(35)는, 흡연자가 담배를 빼내기 위해 담뱃갑(1)을 처음 개봉할 때에 흡연자에 의해 뜯겨진다.
간격(G1)에 의해 담뱃갑(1)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보이는 심미적이지 않은 빈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납부(14)는 내부 포장(15)에 대하여 상부 벽(9)을 향해 돌출하는 상부 측단부(upper side end)(37)를 포함한다. 이 상부 측단부(37)는 수납부(14)의, 폐쇄 위치에서 제1 측면 개구(10)와 대면하는 쪽에 위치한다. 상부 측단부(37)는, 담뱃갑(1)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간격(G1)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부 벽(9)과 접하는 또는 거의 접하는 크기를 갖는다. 상부 벽(9)과 대면하는 상부 측벽(37)과 마찬가지로, 수납부(14)의 상부 측단부(37)와 대향하는 다른 상부 측단부(38)를 내부 포장(15)의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에 위치시켜서, 회전시키는 동안 상부 벽(9)과 부딪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폭이 좁은 제1 측면(19)과 이 제1 측면에 인접한 에지 영역(21)은 폭이 좁은 제2 측면(20)보다 상부 벽(9)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해서, 상부 측단부(37)가 다른 상부 측단부(38)와 상이한 높이를 갖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담뱃갑(1)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간격(G2)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납부(14)는 내부 포장(15)으로부터 하부 벽(8) 쪽으로 돌출된 하부 측단부(lower side end)(39)를 포함한다. 이 하부 측단부(39)는 수납부(14)의, 폐쇄 위치에서 제2 측면 개구(11)와 대면하는 쪽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서, 하부 측단부(39)는 상부 측단부(37)와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대향한다. 하부 측단부(39)는 담뱃갑(1)이 폐쇄 위치인 경우에, 하부 벽(8)과 실질적으로 접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수납부(14)의 다른 하부 측단부(40)는 하부 측단부(39)와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내부 포장(1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짐으로써, 수납부(14)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에, 하부 벽(8)과 부딪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부 측단부(39)는, 하부 측단부에 인접한 에지 영역(21)과 마찬가지로, 폭이 좁은 제1 측면(19)보다 하부 벽(8)을 향해 더 돌출된 폭이 좁은 제2 측면(20)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은 예로서, 연결 기구(23) 및/또는 추가의 연결 기구(24)가 외장체(2)의 폭이 넓은 측벽의 두께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수납부(14)의 폭이 넓은 측면을 통해 이동하는 피벗 부재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고정 부재는 수납부(14) 내에 위치한다. 또한, 피벗 부재는 외장체(2)의 대응하는 폭이 넓은 측벽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외장체(2)의 폭이 넓은 측벽[폭이 넓은 제1 측벽(3) 또는 폭이 넓은 제2 측벽(4) 모두 가능]과 이에 대응하는 수납부(14)의 폭이 넓은 측면은 담뱃갑(1)의 벽부를 형성한다. 이 벽부는 2층 구조(two-layered structure)로 되어 있는데, 하나의 층은 외장체(2)의 폭이 넓은 측벽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층은 수납부(14)의 폭이 넓은 측면으로 형성된다. 피벗 부재(25)는 이러한 2층 구조 중의 임의의 층을 통해 이동하도록 해도 된다. 피벗 부재(25)는 상기 2개의 층 중에서 피벗 부재(25)가 이동하지 않는 층에 고정시킨다. 고정 요소(29)는 피벗 부재(25)의, 피벗 부재(25)가 고정된 층에 대향하는 쪽에 위치한다.
도 7은 담뱃갑(1)의 수납부(14)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판지 등으로 만든 용지(blank)(41)를 나타낸다.
용지(41)는 수납부(14)의 하부 면(16)을 형성하기 위한 기저부(base portion)(42)를 포함한다. 기저부(42)는 수납부(14)의 단면에 대응하는 실질적인 사각 형상을 갖는다. 기저부(42)에는 곡선형의 정점 부위(43)가 4개 있다. 기저부(42)는 수납부(14)의 폭이 넓은 측면(17, 18)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폭이 넓은 제1 부분(45)과 폭이 넓은 제2 부분(46)에 2개의 접음 선(crease)(44)을 따라 연결된다. 폭이 넓은 제1 부분(45)의 2개의 측면에는, 폭이 좁은 제1 부분(47)과 폭이 좁은 다른 제1 부분(48)이 위치한다. 폭이 넓은 제2 부분(46)의 2개의 측면에는, 폭이 좁은 제2 부분(49)과 폭이 좁은 다른 제2 부분(50)이 위치한다. 용지(41)를 접으면, 폭이 좁은 제1 부분(47)과 폭이 좁은 제2 부분(49)이 서로 겹쳐지게 되고, 마찬가지로 폭이 좁은 다른 제1 부분(48)과 폭이 좁은 다른 제2 부분(50)도 서로 겹쳐지게 된다. 이에 의해, 수납부(14)의 폭이 좁은 제1 측면(19)과 폭이 좁은 제2 측면(20)이 형성된다.
폭이 넓은 제1 부분(45)과 폭이 좁은 제1 부분(47)의 사이, 폭이 넓은 제1 부분(45)과 폭이 좁은 다른 제1 부분(48)의 사이, 폭이 넓은 제2 부분(46)과 폭이 좁은 제2 부분(49)의 사이, 폭이 넓은 제2 부분(46)과 폭이 좁은 다른 제2 부분(50)의 사이에는 일련의 평행한 접음 선(51)이 위치한다.
폭이 좁은 다른 제1 부분(48)에는 핀 부재(fin)(52)가 연결되는데, 핀 부재(52)는 접혀지면, 내부 포장(15)과 기저부(42) 사이에 위치한다.
용지(41)의 빗금 표시된 부분은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는 부착 부위(fixing zone)(53)를 나타낸다. 이 부착 부위(53)는 폭이 좁은 제2 부분(49)과 폭이 좁은 다른 제2 부분(50)에 제공되어, 이들 부분이 폭이 좁은 제1 부분(47)과 폭이 좁은 다른 제1 부분(48)에 부착되도록 한다. 핀 부재(52)에 제공된 부착 부위(53)는 내부 포장(15)을 수납부(14)에 고정되도록 한다.
폭이 넓은 제1 부분(45)과 폭이 넓은 다른 제1 부분(46)은 기저부(42)와 대향하는 쪽에 각각 "U"자형 단면의 경계를 가짐으로써, 수납부(14)의 폭이 넓은 측면(17)과 폭이 넓은 제2 측면(18)이 전형적인 담뱃갑에서 사용되는 내부 프레임의 "U"자 형태를 갖게 된다.
폭이 좁은 제1 부분(47)과 폭이 좁은 제2 부분(49)은 각각의 횡단 에지(55)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이 횡단 에지는 각각의 접음 선(44)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데, 이 거리는 폭이 좁은 다른 제1 부분(48)과 폭이 좁은 다른 제2 부분(50)이 경계를 이루는 다른 횡단 에지(56)의 상기 접음 선으로부터의 거리보다 짧다. 이에 의해, 수납부(14)에서, 상부 측단부(37)가 다른 상부 측단부(38)보다 상부 벽(9)을 향해 더 돌출된다. 폭이 좁은 제1 부분(47)과 폭이 좁은 제2 부분(49)은, 기저부(42)의 부근에서, 에지 선(edge line)(57)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이 에지 선(57)은 접음 선(44)과 동일한 높이가 아니기 때문에, 수납부(14)에서 하부 측단부(39)가 하부 면(16)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용지(41)를, 예를 들어 내부 포장(15)의 둘레로 접어서 수납부(1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담뱃갑(1)의 외장체(2)를 형성하기 위해 접어야 하는, 판지 등으로 만든 용지(59)의 안쪽 면(internal surface)을 나타낸다.
용지(59)는 폭이 좁은 제1 패널 또는 제1 보조 패널(secondary panel)(61)에 연결된 폭이 넓은 제1 패널 또는 제1 주 패널(main panel)(60)을 포함한다. 제1 보조 패널(61)은 외장체(2)의 상부 벽(9)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주 패널(60)에 대하여 제1 보조 패널(61)의 반대 쪽에 제1 보조 패널(61)에 연결된 제2 주 패널(62)이 배치된다. 제1 주 패널(60) 및 제2 주 패널(62)은 외장체(2)에서 각각 폭이 넓은 제1 측벽(3)과 폭이 넓은 제2 측벽(4)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주 패널(60), 제1 보조 패널(61), 및 제2 주 패널(62)은 종축(Y)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이에 의하면, 용지(59)는 정상적인 담뱃갑에 사용되는 용지와 그다지 상이하지 않은 구조체가 된다.
제2 보조 패널(63)은 제1 주 패널(60)에 대하여 반대쪽에서 제1 주 패널(60)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1 보조 패널(61)의 반대쪽에서, 제2 주 패널(62)에 다른 제2 보조 패널(64)이 연결된다. 제2 보조 패널(63)과 다른 제2 보조 패널(64)은 외장체(2)의 하부 벽(8)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중첩되도록 된다.
제1 보조 패널(61), 제2 보조 패널(63), 및 다른 제2 보조 패널(64)은 외장체(2)의 단면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모양을 가지며, 곡선형 모서리를 갖는다. 모서리(65)는 외장체(2)의 원하는 단면에 따라 평탄하게, 각지게, 또는 그외 다른 형태로 해도 된다.
제2 보조 패널(63)과 제1 주 패널(60)의 사이, 제1 주 패널(60)과 제1 보조 패널(61)의 사이, 제1 보조 패널(61)과 제2 주 패널(62)의 사이, 및 제2 주 패널(62)과 다른 제2 보조 패널(64)의 사이에는, 횡단 접음 선(transverse crease)(66)이 위치한다. 횡단 접음 선(66)은 종축(Y)을 가로지르도록, 특히 직각으로 가로지르도록 위치한다.
제1 주 패널(60)의 에지 부위에 종축(Y)에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측면 패널(67)이 연결된다. 제1 측면 패널(67)은, 종축(Y)에 평행하게 측정했을 때, 제1 주 패널(6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제1 측면 패널(67)이 연결되는 제1 주 패널(60)의 에지 부위는 제2 보조 패널(63) 부근에 위치하며, 제1 보조 패널(6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2 주 패널(62)의 에지 부위에는, 종축(Y)을 따라 측정했을 때, 제1 측면 패널(67)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다른 제1 측면 패널(68)이 연결된다. 다른 제1 측면 패널(68)이 연결되는 제2 주 패널(62)의 에지 부위는 다른 제2 보조 패널(64)에 인접한 위치에서 종축(Y)에 평행하게 연장하며, 제1 보조 패널(6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다른 제1 측면 패널(68)은 제1 측면 패널(67)에서 접혀서 외장체(2)의 폭이 좁은 제1 측벽(5)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측면 패널(67)과 다른 제1 측면 패널(68)은 대응하는 주 패널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제1 보조 패널(61)로부터 이격되어 있어서, 외장체(2) 내에 제1 측면 개구(1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제1 측면 패널(68)에는 제1 핀 부재(69)가 연결되며, 제1 핀 부재(69)는 90도로 접히도록 하부 벽(8)과 수납부(14) 사이에 위치된다. 제1 핀 부재(69)는 완성된 담뱃갑(1)의 외장체(2)의 폭이 좁은 제1 측벽(5)과 하부 벽(8) 사이에 심미적이지 않은 빈 공간이 보이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측면 패널(67)과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제1 주 패널(60)에 제2 측면 패널(70)이 연결된다. 제2 측면 패널(70)은 종축(Y)을 따라 제1 주 패널(6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제2 측면 패널(70)은 종축(Y)에 실질적으로 평행하지만 이 종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보조 패널(61) 부근에 위치하며, 제2 보조 패널(63)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제2 측면 패널(70)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다른 제2 측면 패널(71)은 다른 제1 측면 패널(68)과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2 주 패널(62)에 연결된다. 제2 측면 패널(70)과 다른 제2 측면 패널(71)은 제1 보조 패널(61)에 대하여 대칭으로 위치한다. 이에 의해, 용지(59)를 접을 때에, 다른 제2 측면 패널(71)은 제2 측면 패널(70) 상에 중첩되어 외장체(2)의 폭이 좁은 제2 측벽(6)을 형성한다. 다른 제2 측면 패널(71)에 제2 핀 부재(72)가 연결되며, 이 제2 핀 부재(72)를 90도로 접으면 외장체(2)의 상부 벽(9)과 수납부(14)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핀 부재(72)는 완성된 담뱃갑(1)에서 보이는 부분 중 하나인, 외장체(2)의 폭이 좁은 제2 측벽(6)과 상부 벽(9) 사이에 심미적이지 않은 빈 공간이 보이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측면 패널(67), 다른 제1 측면 패널(68), 제2 측면 패널(70), 및 다른 제2 측면 패널(71)은 종축(Y)에 평행하게 위치한 다수의 접음 선(73)에 의해, 각각 주 패널(60, 62)에 연결된다. 다수의 접음 선(73)에 의해, 용지(59)를 접으면, 외장체(2)의 곡선형의 에지 부위(7)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제2 측면 패널(71)과 제2 주 패널(62)의 사이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측면 패널(70)과 제1 주 패널(60)의 사이에는, 외장체(2)에 통로(12)를 형성하기 위한 관통 개구(74)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보조 패널(61)과 다른 제2 보조 패널(64)에는 보강 핀 부재(stiffening fin)(75) 및 추가의 보강 핀 부재(76)가 각각 연결된다.
도 8의 빗금 표시된 부분은 용지(59)의 원하는 부분을 고정하도록 접착제를 바르기 위한 접착 부위(77)를 나타낸다. 2개의 접착 부위(77)는 제2 주 패널(63)이 다른 제2 주 패널(64)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주 패널(63)에 위치한다.
접착 부위(77)는 제1 측면 패널(67)과 제2 측면 패널(70)에도 위치함으로써, 이들 패널이 다른 제1 측면 패널(68)과 다른 제2 측면 패널(71)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접착 부위(77)는 추가의 보강 핀 부재(76)에도 제공될 수 있다.
제1 주 패널(60) 상에는, 예를 들어 원형인 폐쇄 경로를 따라 연장하는 절취 예정 선(intended breakage line)(78)을 제공할 수 있다. 절취 예정 선(78)은 핀 부재부(joining portion)(79)에 의해 분리된 다수의 절단 선(cutting line)(26)에 의해 형성된다. 절취 예정 선(78)은 용지(59)에 내부 구역(internal zone)(80)을 형성하는데, 이 내부 구역은 절취 예정 선(78)의 안쪽에 위치하며 외부 구역(8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내부 구역(80)에 의해, 핀 부재부(79)를 뜯어낼 때에 피벗 부재(25)가 외부 구역(81)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외부 구역(81)은 피벗 부재(25)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부(seat)로서 작용한다.
절취 예정 선(78)은 용지(59)의 제조업자가 제1 주 패널(60) 상에 직접 형성해도 된다. 절취 예정 선(78)은, 담뱃갑(1)을 포장하는 포장 기계에서 수행되는 블랭킹 공정(blanking operation)에 의해 용지(59)에 형성할 수 있다.
제2 주 패널(62) 상에도, 절취 예정 선(78)과 유사한 추가의 절취 예정 선(82)을 형성할 수 있다. 절취 예정 선(78)은 연결 기구(23)의 피벗 부재(25)를 위한 것이고, 추가의 절취 예정 선(82)은 다른 연결 기구(24)의 피벗 부재(25)를 위한 것이다. 절취 예정 선(78)과 제1 보조 패널(61) 사이의 거리는 추가의 절취 예정 선(82)과 제1 보조 패널(61)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의하면, 완성된 담뱃갑(1)에서, 연결 기구(23)와 추가의 연결 기구(24)가 동일한 회전 축(X)을 가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59)의 외면에, 연결 기구(23)의 고정 요소(29)를 형성하기 위한 고정 패널(locking panel)(83)이 사용된다. 고정 패널(83)은 용지(59)의, 절취 예정 선(78)의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해 절취 예정 선(78)을 형성한 영역에 제공된다. 도시한 예에서, 고정 패널(83)은 원형의 형태를 가지며, 절취 예정 선(78)의 의해 규정된 외주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고정 패널(83)은 절취 예정 선(78)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패널(83)은 도 5와 관련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 점(31)에 의해 내부 구역(80)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접착 점(31)은 도 8 내지 도 10의 빗금으로 표시한 구역으로 도시되어 있다.
고정 패널(83)은 용지(59)의 제조업자가 직접 용지(59)에 제공하거나, 담뱃갑(1)을 포장하는 포장 기계에서 용지(59)에 접착할 수 있다. 포장 기계에서 접착하는 경우, 고정 패널(83)은 판지로부터 절단해서 미리 절단한 요소로서 포장 기계에 넣어도 된다.
고정 패널(83)과 마찬가지로, 추가 연결 기구(24)(구비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의 고정 요소(29)를 형성하기 위해, 추가 고정 패널(84)을 폭이 넓은 주 패널(62)의 외면에 접착할 수 있다.
담뱃갑(1)을 포장하는 경우, 용지(41)는 수납부(14)를 형성하도록 접는다. 수납부는 내부 포장(15)을 수용한다. 필요에 따라, 용지(59)에, 절취 예정 선(78)과 추가의 절취 예정 선(82)이 있을 수 있다.
접착 구역(77)에 접착제를 바른다. 이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접착 점(31)을 사용해도 된다. 고정 패널(83)과 선택적으로 추가 고정 패널(84)을 용지(59)에 접착할 수 있다. 계속해서, 용지(59)를 수납부(14)의 둘레로 접어서, 외장체(2)를 형성하고 담뱃갑(1)을 완성한다. 사용자가 담뱃갑(1)을 개봉할 때는, 먼저 핀 부재(79)를 뜯어낸다. 이후, 피벗 부재(25)를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담뱃갑을 열고 닫을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장체(2)를 형성하기 위해 접을 수 있는 용지(159)를 나타낸다.
용지(59)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요소(159)의 구성요소는 용지(59)에 대해 사용했던 것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는데, 숫자 "1"을 앞에 붙인다. 그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반복해서 설명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용지(59)는 주 패널과 보조 패널이 주 패널의 종축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길이방향 타입이다. 이에 대하여, 용지(159)는 주 패널과 보조 패널이 주 패널의 횡단 축을 따라 나란히 옆으로 배치된 횡단 타입이다.
용지(159)에서, 제1 주 패널(160)과 제2 주 패널(162)은 외장체(2)의 폭이 좁은 제2 측벽(6)을 형성하기 위한 중앙 패널(8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중앙 패널(85)은 제1 주 패널(160)과 제2 주 패널(162)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중앙 패널(85)은 제1 주 패널(160)의 주 축(P)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에지 부위를 따라 제1 주 패널(160)에 연결된다.
제1 주 패널(160)과 제2 주 패널(162)은 중앙 패널(85)에 대향하는 제1 주 패널(16)의 단부 및 제2 주 패널(162)의 단부에 배치된 제거가능한 패널(removable panel)(86)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 제거가능한 패널(86)은 절취가능한 선(breakable line)(87)을 따라 제1 주 패널(160) 및 제2 주 패널(162)에 접합되며, 용지(159)를 포장 기계에서 처리할 때에 용지(159)의 변형을 제한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거가능한 패널(86)은 사용자에 의해 제거되어, 제2 측면 개구(11)가 형성된다.
제1 측면 패널(167) 및 제2 측면 패널(168)의 각각의 부근에 있는 제1 주 패널(160) 및 제2 주 패널(162)에 제1 보강 패널(stiffening panel)(88) 및 제2 보강 패널(89)이 각각 연결된다. 제1 보강 패널(88) 및 제2 보강 패널(89)은 용지(159)의 안쪽으로 180도로 접혀서, 제1 주 패널(160) 및 제2 주 패널(162)에 각각 접착된다. 제1 보강 패널(88)과 제2 보강 패널(89)에 의하면 제1 측면 개구(10)의 자유 에지가 보강되어 이들 에지가 바깥쪽으로 휘어져서 담뱃갑(1)의 심미적인 외양을 안 좋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용지(159)는 제2 주 패널(162)에 연결된 다른 제1 보조 패널(90)을 포함하는데, 이 다른 제1 보조 패널은 외장체(2)의 상부 벽(9)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보조 패널(161)과 접촉해서 접혀지도록 되어 있다.
용지(41)와 용지(59 또는 159)에 의하면, 연결 기구(23)와 추가 연결 기구(24)를, 외장체(2)와 수납부(14) 사이의 힌지 결합을 만들기 위해 판지와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통상의 포장 기계를 약간만 변형해서 매우 단순한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Claims (26)

  1. 담배 등의 끽연 물품용의 담뱃갑에 있어서, 상기 담배갑은:
    상기 끽연 물품을 수용하는 수납부(containing body)(14);
    상기 수납부(14)를 내부에 포함하는 외장체(outer enclosure)(2); 및
    상기 수납부(14)와 상기 외장체(2)를 벽(wall)에서 연결하기 위한 연결 기구(connecting device)(23)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기구(23)가 상기 외장체(2)의 벽의 층을 통과하는 피벗 부재(pivoting member)(2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외장체(2)와 상기 수납부(14)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벗 부재(25)는 접합부(joining portion)(79; 179)에 의해 상기 층에 접합되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피벗 부재(25) 및 상기 층을 상호 간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파손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담뱃갑.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다른 층을 포함하며, 상기 피벗 부재(25)는 상기 다른 층에 고정되는, 상기 담뱃갑.
  4. 제 1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부재(25)가 상기 층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요소(locking element)(29)를 더 포함하는, 상기 담뱃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29)는 상기 다른 층의 반대쪽에서 상기 피벗 부재(25)에 고정된, 상기 담뱃갑.
  6. 제 1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부재(25)는 상기 층만큼의 두께로 형성되는 원반(circular disc)의 형태를 갖는, 상기 담뱃갑.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29)는 제1 위치 지시 수단(position indicating means)(3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위치 지시 수단은 상기 담뱃갑(1)이 개방될 때 또는 폐쇄될 때에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상기 벽 상에 제공된 제2 위치 지시 수단(34)과 연동하는, 상기 담뱃갑.
  8. 제 1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2)는 제1 측면 개구(10)와 제2 측면 개구(1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개구(10)와 상기 제2 측면 개구(11)는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담뱃갑(1)을 개방할 때에, 상기 수납부(14)의 제1 단부가 상기 제1 측면 개구(10)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고, 상기 수납부(14)의 제2 단부가 상기 제2 측면 개구(11)로부터 빠져나오도록 구성된, 상기 담뱃갑.
  9. 제 1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2)는 하나 이상의 통로(passage)(12)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14)를 상기 외장체(2)에 대하여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수납부(14)에 대해 힘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기 담뱃갑.
  10. 제 1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4)는 상기 외장체(2)의 종방향 치수보다 작은 종방향 치수를 가짐으로써, 상기 수납부(14)와 상기 외장체(2)의 횡단 벽(8, 9) 사이에, 상기 수납부(14)가 상기 내부 포장(2)에 대하여 회전할 때에 상기 횡단 벽(8, 9)과 서로 방해를 받지 않고 회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간격(clearance)(G1, G2)이 형성되는, 상기 담뱃갑.
  11. 제 1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2)와 상기 수납부(14)를 상기 벽과 대향하는 다른 벽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피벗 부재를 구비하는 추가의 연결 기구(24)를 더 포함하는 상기 담뱃갑.
  12. 담배 등의 끽연 물품용의 담뱃갑(1)의 외장체(2)를 형성하기 위한 용지(blank)에 있어서, 상기 용지는:
    상기 외장체(2)의 길이방향 벽(3)을 형성하기 위한 주 패널(60; 160); 및
    상기 외장체(2)의 횡단 벽(8, 9; 16)을 형성하기 위한 보조 패널(61; 161)을 포함하며,
    상기 주 패널(60; 160) 상에, 연결 기구(23)의 피벗 부재(25)를 형성하기 위한 절취 예정 선(intended breakage line)(78)이 마련되며, 상기 절취 예정 선(78)은 폐루프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용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 예정 선(78)에 중첩되는 위치에서 상기 주 패널(60; 160)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기구(23)의 고정 요소(29)를 형성하기 위한 고정 패널(locking panel: 83)을 더 포함하는 상기 용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패널(83)은 상기 용지(41; 59) 중에서 상기 절취 예정 선(78)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의 횡방향 치수보다 큰 횡방향 치수를 갖는, 상기 용지.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패널(60; 160)에 인접하며, 상기 외장체(2)의 측벽(5, 6; 19, 20)을 형성하기 위한 측면 패널(side panel)(67; 167)을 더 포함하는 상기 용지.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17001324A 2008-06-19 2009-06-15 끽연 물품용 담뱃갑 및 이에 사용되는 용지 KR101596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O2008A000178 2008-06-19
IT000178A ITMO20080178A1 (it) 2008-06-19 2008-06-19 Pacchetto per articoli da fumo e relativo bla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037A KR20120016037A (ko) 2012-02-22
KR101596910B1 true KR101596910B1 (ko) 2016-02-24

Family

ID=4030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324A KR101596910B1 (ko) 2008-06-19 2009-06-15 끽연 물품용 담뱃갑 및 이에 사용되는 용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315700B1 (ko)
KR (1) KR101596910B1 (ko)
CN (1) CN102112375B (ko)
IT (1) ITMO20080178A1 (ko)
RU (1) RU2493067C2 (ko)
WO (1) WO200915372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637B1 (ko) * 2018-08-14 2019-03-20 김선국 회전식 개폐기능을 갖는 담배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201290717A1 (ru) * 2010-01-29 2013-01-30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Емкость с внутренней выдвижной частью и наружной оболочкой
EP2716574B1 (en) * 2012-10-02 2015-12-16 Reemtsma Cigarettenfabriken GmbH Package for tobacco related 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ckage
ITBO20130023A1 (it) * 2013-01-21 2014-07-22 Gd Spa Confezione di articoli sfusi e metodo per realizzare tale confezione.
WO2014190503A1 (zh) * 2013-05-29 2014-12-04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盒
CN112373529B (zh) * 2020-10-16 2022-03-08 安徽工程大学 一种汽车油泵泵芯的输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30965A (en) * 1934-11-20 1935-06-27 Diego Moreno Y Miranda An improved packet for packing cigarettes
JP2005219806A (ja) * 2004-02-03 2005-08-18 Susumu Nemoto 組み立て式段ボール製包装箱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93643A (en) * 1937-05-20 1938-10-12 Leonard Eries Improved construction of cardboard and like cases or boxes
US2818969A (en) * 1955-10-13 1958-01-07 Robert H Klein Package case
GB871869A (en) * 1956-11-23 1961-07-05 Roger Liouville Improved container for pencils, cigarettes or articles of like shape
FR2571698B1 (fr) * 1984-10-16 1987-02-27 Bourbon Fils Ets A Boitier destine notamment au rangement et a la presentation d'objets tels que fiches, disquettes, crayons
JPH0425036Y2 (ko) * 1987-01-30 1992-06-15
ITBO20040532A1 (it) * 2004-08-26 2004-11-26 Aticarta S P A Incarto rigido per articoli da fumo con coperchio incernierato collegato mediante incollatura
JP2007039124A (ja) * 2005-02-16 2007-02-15 Konan Rubber Kk 包装用容器
KR100981203B1 (ko) * 2005-09-08 2010-09-10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시가렛 상자 및 그 블랭크 세트
BE1017858A6 (fr) * 2007-11-26 2009-09-01 Sweijd Frank Boites a charnieres a fermeture integree pour boites en cart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30965A (en) * 1934-11-20 1935-06-27 Diego Moreno Y Miranda An improved packet for packing cigarettes
JP2005219806A (ja) * 2004-02-03 2005-08-18 Susumu Nemoto 組み立て式段ボール製包装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637B1 (ko) * 2018-08-14 2019-03-20 김선국 회전식 개폐기능을 갖는 담배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93067C2 (ru) 2013-09-20
EP2315700A2 (en) 2011-05-04
WO2009153725A2 (en) 2009-12-23
WO2009153725A3 (en) 2010-02-25
KR20120016037A (ko) 2012-02-22
CN102112375A (zh) 2011-06-29
RU2011100475A (ru) 2012-07-27
EP2315700B1 (en) 2013-12-25
CN102112375B (zh) 2014-10-08
ITMO20080178A1 (it) 200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793B1 (ko) 담뱃갑 및 이에 사용하는 용지
JP4335486B2 (ja) シガレット用曲折ボックス
CA2513111C (en) Package for rod-like smoking articles
EP1923329B1 (en) Cigarette box and a blank set therefor
KR101244532B1 (ko) 측개방형의 경첩식 뚜껑을 갖는상자
CA2549608C (en) Hinge-lid type package for rod-like smoking articles and a blank therefor
KR101596910B1 (ko) 끽연 물품용 담뱃갑 및 이에 사용되는 용지
JP4485725B2 (ja) シガレット用ヒンジ蓋付きパッケージ
US7537113B2 (en) Hinge-lid type package for rod-like smoking articles and a blank therefor
US6742651B1 (en) Package in the style of a carton of cigarettes
JP5302308B2 (ja) タバコ製品用硬質パック
JPH09267877A (ja) 紙巻き煙草等のヒンジ蓋付きパッケージ
HU228347B1 (hu) Dohányáru csomagolás
JPH06199340A (ja) シガレットパッケージ・ケース組合せ体
JPH10230931A (ja) シガレットのためのヒンジ留め蓋付パケット
WO2009107521A1 (ja) ヒンジリッド型パッケージ
US20110155595A1 (en) Package for smoking articles
US7828143B2 (en) Cigarette box and an outer blank therefor
WO2009125240A1 (en) Packet for smoke articles and corresponding blank.
KR20140092825A (ko) 힌지로 된 리드를 구비한 용기
JP6732956B2 (ja) 容器、方法
JP5077563B2 (ja) ヒンジリッド型パッケージ
KR101541788B1 (ko) 담뱃갑 및 이에 사용하는 용지
JPH08207973A (ja) 紙巻き煙草などの直方体のパック
KR20200092963A (ko) 힌지식 뚜껑 패키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