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814B1 -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814B1
KR101595814B1 KR1020140002902A KR20140002902A KR101595814B1 KR 101595814 B1 KR101595814 B1 KR 101595814B1 KR 1020140002902 A KR1020140002902 A KR 1020140002902A KR 20140002902 A KR20140002902 A KR 20140002902A KR 101595814 B1 KR101595814 B1 KR 101595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target
inspection
state
clamp
eddy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303A (ko
Inventor
이성식
Original Assignee
세이프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프텍(주) filed Critical 세이프텍(주)
Priority to KR102014000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8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4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by analysing electrical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93Arrangements for supporting the sensor; Combinations of eddy-current sensors and auxiliary arrangements for marking or for rejec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부품의 설치되어 고정되며, 상부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저장홈(106)이 형성되어 검사대상 부품(P)이 저장되어 보관되는 검사대상공급함(104)과; 상기 검사대상공급함(104)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다수개의 검사대상 부품(P)을 파지하여 공급하는 검사대상공급수단(110)과;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110)에 의해 공급되는 다수개의 검사대상 부품(P)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와전류를 검출하여 검사대상 부품의 열처리 상태를 감지하는 검사대상측정모듈(160)과;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정상상태의 부품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와전류를 검출하여 검사대상 부품의 기준값을 검출하는 검사대상기준모듈(170)과; 상기 검사대상측면모듈(16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측정값과 상기 검사대상기준모듈(170)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검사대상 부품의 열처리 상태를 검출하여 정상상태 및 불량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172)와; 상기 제어부(172)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7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에 삽입 고정되는 검사대상 부품(P)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검사대상배출수단(190)과;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190)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수거홈(182)이 형성되어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190)에 의해 이동되는 정상상태의 검사대상 부품(P)이 삽입되어 저장되는 정상부품수거함(180);을 포함하는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검사대상기존모듈을 통행 정상상태의 검사대상 부품에 대한 와전류의 크기와 분포를 검출하여 기준값을 검출하고, 검사대상측정모듈에 공급되는 검사대상 부품을 와전류의 크기와 분포를 비교하여 검사대상 부품인 볼스터드에 대한 열처리의 정상상태와 불량상태를 정확히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열처리 상태의 정상상태와 불량상태를 판단할 수 없는 검사대상 부품을 와전류를 통해 간단하게 조작으로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검사시간이 단축되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사대상 부품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공급 및 배출할 필요가 없이 다수개의 검사대상 부품을 검사대상공급수단과 검사대상배출수단이 자동으로 정상상태의 검사대상 부품과 불량상태의 검사대상 부품을 판별해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열처리 검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AUTOMATIC DEVICE FOR INSPECTION OF HEAT TREATMENT STATE}
본 발명은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정확하게 판별하기 어려운 볼스터드의 열처리 상태를 검사하여 정상상태의 볼스타드와 불량상태의 볼스타드를 판별하는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스타드는 자동자의 스티어링 계통이나 서스펜션 계통 등의 관절부에 사용된다. 볼스타드는 조향 중 차량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운전자가 핸들을 조정하는 경우 전달받은 조타력을 조향 너클에 전달하고 좌,우 방향 조정을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나아가 타이어의 상하 요동 및 좌우 요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자동차의 볼 조인트를 구성하는 핵심 구성품이다.
통상적인 볼스타드는 기본적으로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구비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일체형으로 하부에 구비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몸체부는 단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고정체와 결합되는 나사부와 헤드부와 몸체부의 경계 부분에 형성되는 목부, 그리고 일정각도 테이퍼져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반복적인 하중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볼스터드의 파손은 표면에서 균열의 발생으로 인한 피로 파괴가 대부분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 열처리를 통하여 표면의 피로강도를 향상시키는 공정이 도입되고 있다.
종래의 볼스타드제조공정은 대한민국등록공보 10-0284115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볼스타드 제조공정에는 열처리된 볼스타드를 검사하기 위한 별도의 검사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정확한 판별이 어려운 육안 검사 이외에는 볼스터드의 열처리 상태 검사가 불가능하고, 육안 검사를 실시하더라도 자동검사에 비해 검사의 부정확, 불량품의 혼입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28411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대상기존모듈을 통행 정상상태의 검사대상 부품에 대한 와전류의 크기와 분포를 검출하여 기준값을 검출하고, 검사대상측정모듈에 공급되는 검사대상 부품을 와전류의 크기와 분포를 비교하여 검사대상 부품인 볼스터드에 대한 열처리의 정상상태와 불량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는, 다수의 부품의 설치되어 고정되며, 상부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저장홈이 형성되어 검사대상 부품이 저장되어 보관되는 검사대상공급함과, 상기 검사대상공급함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다수개의 검사대상 부품을 파지하여 공급하는 검사대상공급수단과,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다수개의 검사대상 부품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와전류를 검출하여 검사대상 부품의 열처리 상태를 감지하는 검사대상측정모듈과, 기 검사대상측정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며, 정상상태의 부품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와전류를 검출하여 검사대상 부품의 기준값을 검출하는 검사대상기준모듈과, 상기 검사대상측면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의 측정값과 상기 검사대상기준모듈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검사대상 부품의 열처리 상태를 검출하여 정상상태 및 불량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에 삽입 고정되는 검사대상 부품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검사대상배출수단과,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수거홈이 형성되어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정상상태의 검사대상 부품이 삽입되어 저장되는 정상부품수거함을 포함한다.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검사대상 부품 중 불량상태의 검사대상 부품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불량품수거함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은, 상기 공작물공급함의 상부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검사대상 부품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제1클램프와, 상기 제1클램프의 상측이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클램프를 지지하는 제1클램프 몸체와, 다수개의 제1클램프 몸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제1클램프 고정브라켓과, 내부에 상하이송스크류와 상하이송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제1클램프 고정프라켓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상하이송부재와, 상기 제1상하이송부재의 일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좌우이송스크류와 좌우이송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제1상하이송부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좌우이송부재와, 상기 제1좌우이송부재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전후이송스크류와 전후이송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제1좌우이송부재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1전후이송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은, 상기 정상부품수거함의 상부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의 삽입 고정되는 검사대상 부품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제2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의 상측이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클램프를 지지하는 제2클램프 몸체와, 다수개의 제2클램프 몸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제2클램프 고정브라켓과, 내부에 상하이송스크류와 상하이송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제2클램프 고정프라켓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상하이송부재와, 상기 제2상하이송부재의 일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좌우이송스크류와 좌우이송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제1상하이송부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2좌우이송부재와, 상기 제2좌우이송부재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전후이송스크류와 전후이송모터가 구비되어 상기 제2좌우이송부재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2전후이송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 및 상기 검사대상기준모듈은, 내부에 와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구동코일과 와전류를 검출하는 검출코일이 설치되며, 검사대상 부품의 와전류를 검출하는 와전류 측정부재와,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부품이 삽입 고정되는 부품삽입홈과,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가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검사대상기존모듈을 통행 정상상태의 검사대상 부품에 대한 와전류의 크기와 분포를 검출하여 기준값을 검출하고, 검사대상측정모듈에 공급되는 검사대상 부품을 와전류의 크기와 분포를 비교하여 검사대상 부품인 볼스터드에 대한 열처리의 정상상태와 불량상태를 정확히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열처리 상태의 정상상태와 불량상태를 판단할 수 없는 검사대상 부품을 와전류를 통해 간단하게 조작으로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검사시간이 단축되고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사대상 부품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공급 및 배출할 필요가 없이 다수개의 검사대상 부품을 검사대상공급수단과 검사대상배출수단이 자동으로 정상상태의 검사대상 부품과 불량상태의 검사대상 부품을 판별해줌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열처리 검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2클램프가 검사대상 부품을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불량품 배출홀과 검사대상측정모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2클램프가 검사대상 부품을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불량품 배출홀과 검사대상측정모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는, 다수의 부품의 설치되어 고정되며, 상부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저장홈(106)이 형성되어 검사대상 부품(P)이 저장되어 보관되는 검사대상공급함(104)과, 상기 검사대상공급함(104)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다수개의 검사대상 부품(P)을 파지하여 공급하는 검사대상공급수단(110)과,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110)에 의해 공급되는 다수개의 검사대상 부품(P)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와전류를 검출하여 검사대상 부품의 열처리 상태를 감지하는 검사대상측정모듈(160)과,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정상상태의 부품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와전류를 검출하여 검사대상 부품의 기준값을 검출하는 검사대상기준모듈(170)과, 상기 검사대상측면모듈(16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측정값과 상기 검사대상기준모듈(170)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검사대상 부품의 열처리 상태를 검출하여 정상상태 및 불량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172)와, 상기 제어부(172)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7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에 삽입 고정되는 검사대상 부품(P)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검사대상배출수단(190)과,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190)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수거홈(182)이 형성되어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190)에 의해 이동되는 정상상태의 검사대상 부품(P)이 삽입되어 저장되는 정상부품수거함(18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프레임이 전,후,좌,우에 각각 연결되어 직육면체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지지판(102)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102)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102)은 상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지지판(102)의 중앙 하부에는 검사대상공급함(104)이 설치된다. 상기 검사대상공급함(104)은 도 1과 같이,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검사대상공급함(104)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검사대상 부품(P)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검사대상공급함(104)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저장홈(106)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홈(106)은 상기 검사대상공급함(104)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원형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저장홈(106)의 내부에는 검사대상 부품(P)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검사대상공급함(104)의 저장홈(106) 내부에 검사대상 부품이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개의 제1클램프(112)의 간격한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되어 검사대상 부품(P)의 정확한 파지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사대상공급함(104)의 좌측에는 검사대상공급수단(110)이 설치된다.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110)은 도 1과 같이, 상기 지지판(102)의 하부 좌측에 설치된다.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110)은, 상기 검사대상공급함(104)의 상부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검사대상 부품(P)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제1클램프(112)와, 상기 제1클램프(112)의 상측이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클램프(112)를 지지하는 제1클램프 몸체(116)와, 다수개의 제1클램프 몸체(116)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제1클램프 고정브라켓(118)과, 내부에 상하이송스크류(124)와 상하이송모터(126)가 구비되어 상기 제1클램프 고정프라켓(118)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상하이송부재(120)와, 상기 제1상하이송부재(120)의 일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좌우이송스크류(134)와 좌우이송모터(136)가 구비되어, 상기 제1상하이송부재(12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좌우이송부재(130)와, 상기 제1좌우이송부재(13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전후이송스크류(144)와 전후이송모터(146)가 구비되어 상기 제1좌우이송부재(13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1전후이송부재(1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클램프(112)는 일반적인 클램프 장치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제1클램프(112)는 도 4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중공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클램프(112)는 좌,우측으로 이동되어 검사대상 부품(P), 즉, 볼스터드 헤드부의 파지 및 파지 해제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1클램프(112)의 내부에는 제1파지부재(114)가 설치된다. 상기 제1파지부재(114)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져,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검사대상 부품(P)의 원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파지부재(114)의 상기 제1클램프(1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호 형상의 함몰부가 검사대상 부품(P), 즉, 볼스터드의 헤드부를 견고하게 파지한다.
상기 제1클램프(112)의 상부에는 제1클램프 몸체(116)가 설치된다. 상기 제1클램프 몸체(116)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며, 하부면에 제1클램프(112)가 설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클램프 몸체(116)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로관이 설치되어 상기 제1클램프(112)에 공기압 또는 유압이 공급함을 물론, 상기 제1클램프(11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클램프 몸체(116)의 상부에는 제1클램프 고정브라켓(118)이 설치된다. 상기 제1클램프 고정브라켓(118)은 도 3과 같이, 상기 제1클램프 고정브라켓(118)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다수개의 상기 제1클램프 몸체(116)가 고정되어 지지된다.
즉, 상기 제1클램프 고정브라켓(118)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상기 제1클램프 몸체(116)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클램프 고정브라켓(118)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클램프 몸체(116)가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제1클램프 고정브라켓(118)의 후면에는 제1상하이송부재(1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상하이송부재(12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상하이송몸체(122)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하이송스크류(124)와, 상기 상하이송스크류(124)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상하이송모터(1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상하이송부재(120)의 상하이송스크류(124)에 상기 상기 제1클램프 고정브라켓(118)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상기 상하이송스크류(124)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송된다.
상기 제1상하이송부재(120)의 전면에는 도 1과 같이, 제1좌우이송부재(13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좌우이송부재(13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좌우이송몸체(132)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좌우이송스크류(134)와, 상기 좌우이송스크류(134)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좌우이송모터(1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좌우이송부재(130)의 좌우이송스크류(134)에 상기 상기 제1상하이송몸체(122)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좌우이송스크류(134)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송된다.
상기 제1좌우이송부재(130)의 하부면에는 제1전후이송부재(14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전후이송부재(140)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전후이송몸체(142)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전후이송스크류(144)와, 상기 좌우이송스크류(144)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후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전후이송모터(14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전후이송부재(140)의 전후이송스크류(144)에 상기 상기 제1좌우이송몸체(132)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전후이송스크류(144)의 회전에 따라 전후로 이송된다.
즉, 다수개의 상기 제1클램프(112)가 상기 제1상하이송부재(120), 제1좌우이송부재, 제1전후이송부재(140)에 의해 전,후,좌,우 및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검사대상공급함(104)의 검사대상 부품(P)을 한번에 정확히 파지하고, 이송위치에 정확히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전후이송부재(140)의 하부에는 제1수직지지대(15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수직지지대(150)는 내부가 중공된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수직지지대(150)는 상기 제1전후이송부재(140)의 전,후면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102)의 상측으로 상기 제1전후이송부재(140)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지지판(102)의 중앙에는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이 설치된다.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은, 내부에 와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구동코일과 와전류를 검출하는 검출코일이 설치되며, 부품(P)의 와전류를 검출하는 와전류 측정부재(162)와,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162)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부품(P)이 삽입 고정되는 부품삽입홈(164)과,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16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162)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162)가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재(16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162)는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구동코일과 와전류를 검출하는 검출코일이 각각 설치되어 검사대상 부품(P)의 와전류의 크기와 분포를 검출한다.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162)의 중앙에는 부품삽입홈(164)이 형성된다. 상기 부품삽입홈(164)은 원형으로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내부에 검사대상 부품(P)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162)의 하부에는 고정부재(166)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166)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162)가 상기 지지판(102)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고정부재(166)의 중앙에는 고정삽입홈(168)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삽입홈(168)은 원형으로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내부에 검사대상 부품(P)의 하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은 상기 제1클램프(112)의 설치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110)에 의해 공급되는 다수개의 검사대상 부품(P)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162)에 와전류가 발생되어 검사대상 부품(P)의 와전류 크기와 분포를 검출한다.
또한, 다수개의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이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동시에 와전류를 검출하는 경우에 인접한 다른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와전류에 의해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순차적으로 와전류의 크기와 분포가 검출된다.
상기 지지판(102)의 우측 상부에는 검사대상기준모듈(170)이 설치된다. 상기 검사대상기준모듈(170)은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와 동일한 갯수로 설치된다. 상기 검사대상기준모듈(170)은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과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열처리 상태가 정상상태인 검사대상 부품(P)의 와전류의 크기와 분포를 검출하고,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에서 검사되는 검사대상 부품(P)의 와전류의 크기와 분포를 비교하는 비교 기준이 된다.
또한, 다수개의 검사대상기준모듈(170)이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동시에 와전류를 검출하는 경우에 인접한 다른 검사대상기준모듈(170)의 와전류에 의해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순차적으로 와전류의 크기와 분포가 검출된다.
따라서,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검사대상 부품(P)의 와전류 크기와 분포를 검출하여 상기 검사대상기준모듈(170)의 정상상태의 검사대상 부품(P)의 와전류 크기와 분포를 비교하여 정상상태와 불량상태의 검사대상 부품(P)을 판별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우측 하부에는 제어부(172)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172)는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 및 상기 검사대상기준모듈(170)에 연결되어 측정된 검사대상 부품(P)의 와전류 크기와 분포를 비교 분석하여 정상상태와 불량상태의 검사대상 부품(P)을 판별하고, 아래에서 설명할 검사대상배출수단(190)을 제어하여 정상상태와 불량상태의 검사대상 부품(P)을 분리한다.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상부에는 불량품배출홀(174)이 형성된다. 상기 불량품배출홀(174)의 상기 지지판(102)의 중앙 상부에 상하로 다수개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불량품배출홀(174)은 아래에서 설명할 검사대상배출수단(190)에 의해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 부품 중 불량상태인 검사대상 부품(P)이 상기 지지판(102)의 하부로 낙하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불량품배출홀(174)의 하부에는 불량품수거함(176)이 설치된다. 상기 불량품수거함(176)은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불량품배출홀(174)과 연통되어 상기 불량품배출홀(174)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는 불량상태의 검사대상 부품(P)이 저장된다.
상기 지지판(102)의 중앙 상부에는 정상부품수거함(180)이 설치된다. 상기 정상부품수거함(180)은 도 1과 같이,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정상부품수거함(18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정상상태 검사대상 부품(P)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정상부품수거함(18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수거홈(182)이 형성된다. 상기 수거홈(182)은 상기 정상부품수거함(180)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원형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수거홈(182)의 내부에는 정상상태 검사대상 부품(P)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정상부품수거함(180)의 수거홈(182) 내부에 정상상태 검사대상 부품(P)이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개의 제2클램프(192)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되어 정상상태 검사대상 부품(P)의 정확한 수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상부품수거함(180)의 우측에는 검사대상배출수단(190)이 설치된다.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190)은, 상기 정상부품수거함(180)의 상부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에 삽입 고정되는 검사대상 부품(P)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제2클램프(192)와, 상기 제2클램프(192)의 상측이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2클램프(192)를 지지하는 제2클램프 몸체(196)와, 다수개의 상기 제2클램프 몸체(196)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제2클램프 고정브라켓(198)과, 내부에 상하이송스크류(204)와 상하이송모터(206)가 구비되어 상기 제2클램프 고정프라켓(198)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상하이송부재(200)와, 상기 제2상하이송부재(200)의 일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좌우이송스크류(214)와 좌우이송모터(216)가 구비되어, 상기 제1상하이송부재(12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2좌우이송부재(210)와, 상기 제2좌우이송부재(21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전후이송스크류(224)와 전후이송모터(226)가 구비되어 상기 제2좌우이송부재(21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2전후이송부재(2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190)은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11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190)은 상기 제어부(17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후,좌,우 및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검사대상 부품(P)을 파지하고, 불량상태의 검사대상 부품(P)인 경우에는 상기 불량품배출홀(174)에 낙하시키고, 정상상태 검사대상 부품(P)은 상기 정상부품수거함(180)의 수거홈(182)에 삽입하여 정상상태 부품과 불량상태 부품을 분리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작업자는 다수개의 검사대상기준모듈(170)에 정상상태의 검사대상 부품(P)을 삽입하고, 제어부(172)를 통해 와전류의 크기와 분포를 검출하여 기준값을 검출한다.
정상상태 검사대상 부품(P)의 기준값 검출이 완료되면 검사대상공급수단(110)이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클램프(112)가 검사대상공급함(104)에 거치된 다수개의 검사대상 부품(P)을 파지한다.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110)은 지지판(102)의 중앙에 설치된 다수개의 검사대상측정모듈(160)에 검사대상 부품(P)을 삽입하고,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이 작동되어 내부에 삽입된 검사대상 부품(P)의 와전류의 크기와 분포를 검출하여 상기 검사대상기준모듈(170)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검사대상 부품(P)의 열처리 상태에 대한 정상상태와 불량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열처리 검사가 완료되면 검사대상배출수단(190)이 작동되어 다수개의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에 삽입된 검사대상 부품(P)을 제2클램프(192)가 파지하여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외부로 배출하고, 불량상태의 검사대상 부품(P)은 불량품배출홀(174)에 낙하시키고, 정상상태의 검사대상 부품(P)의 정상부품수거함(180)에 삽입한다.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190)에 의한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에 검사대상 부품(P)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110)이 이동되어 상기 검사대상공급함(104)의 검사대상 부품(P)을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에 공급하여 검사대상 부품(P)에 대한 열처리 상태를 반복적으로 검사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지지프레임 102. 지지판
104. 검사대상공급함 110. 검사대상공급수단
160. 검사대상측정모듈 170. 검사대상기준모듈
172. 제어부 180.정상부품수거함
190. 검사대상배출수단

Claims (5)

  1. 다수의 부품의 설치되어 고정되며, 상부에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저장홈(106)이 형성되어 검사대상 부품(P)이 저장되어 보관되는 검사대상공급함(104)과;
    상기 검사대상공급함(104)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다수개의 검사대상 부품(P)을 파지하여 공급하는 검사대상공급수단(110)과;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110)에 의해 공급되는 다수개의 검사대상 부품(P)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와전류를 검출하여 검사대상 부품의 열처리 상태를 감지하는 검사대상측정모듈(160)과;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정상상태의 부품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와전류를 검출하여 검사대상 부품의 기준값을 검출하는 검사대상기준모듈(170)과;
    상기 검사대상측면모듈(16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측정값과 상기 검사대상기준모듈(170)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검사대상 부품의 열처리 상태를 검출하여 정상상태 및 불량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172)와;
    상기 제어부(172)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7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에 삽입 고정되는 검사대상 부품(P)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검사대상배출수단(190)과;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190)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수거홈(182)이 형성되어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190)에 의해 이동되는 정상상태의 검사대상 부품(P)이 삽입되어 저장되는 정상부품수거함(180)을 포함하며;
    상기 검사대상공급수단(110)은,
    상기 검사대상공급함(104)의 상부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검사대상 부품(P)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제1클램프(112)와;
    상기 제1클램프(112)의 상측이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클램프(112)를 지지하는 제1클램프 몸체(116)와;
    다수개의 제1클램프 몸체(116)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제1클램프 고정브라켓(118)과;
    내부에 상하이송스크류(124)와 상하이송모터(126)가 구비되어 상기 제1클램프 고정프라켓(118)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1상하이송부재(120)와;
    상기 제1상하이송부재(120)의 일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좌우이송스크류(134)와 좌우이송모터(136)가 구비되어, 상기 제1상하이송부재(12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1좌우이송부재(130)와;
    상기 제1좌우이송부재(13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전후이송스크류(144)와 전후이송모터(146)가 구비되어 상기 제1좌우이송부재(13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1전후이송부재(140);를 포함하는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중앙에 다수개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17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190)에 의해 이동되는 검사대상 부품(P) 중 불량상태의 검사대상 부품(P)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불량품수거함(176);을 더 포함하는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배출수단(190)은,
    상기 정상부품수거함(180)의 상부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의 삽입 고정되는 검사대상 부품(P)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는 제2클램프(192)와;
    상기 제2클램프(192)의 상측이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2클램프(192)를 지지하는 제2클램프 몸체(196)와;
    다수개의 제2클램프 몸체(196)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제2클램프 고정브라켓(198)과;
    내부에 상하이송스크류(204)와 상하이송모터(206)가 구비되어 상기 제2클램프 고정프라켓(198)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2상하이송부재(200)와;
    상기 제2상하이송부재(200)의 일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좌우이송스크류(214)와 좌우이송모터(216)가 구비되어, 상기 제1상하이송부재(20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제2좌우이송부재(210)와;
    상기 제2좌우이송부재(21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전후이송스크류(224)와 전후이송모터(226)가 구비되어 상기 제2좌우이송부재(21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제2전후이송부재(220);를 포함하는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측정모듈(160) 및 상기 검사대상기준모듈(170)은,
    내부에 와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구동코일과 와전류를 검출하는 검출코일이 설치되며, 부품(P)의 와전류를 검출하는 와전류 측정부재(162)와;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162)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부품(P)이 삽입 고정되는 부품삽입홈(164)과;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162)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162)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와전류 측정부재(162)가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재(166);를 포함하는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
KR1020140002902A 2014-01-09 2014-01-09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 KR101595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902A KR101595814B1 (ko) 2014-01-09 2014-01-09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902A KR101595814B1 (ko) 2014-01-09 2014-01-09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303A KR20150083303A (ko) 2015-07-17
KR101595814B1 true KR101595814B1 (ko) 2016-02-19

Family

ID=5387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902A KR101595814B1 (ko) 2014-01-09 2014-01-09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081A (ko) * 2020-08-10 2022-09-26 아신유니텍 (주) 자동차용 부품의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6408A (zh) * 2017-12-27 2018-04-27 合肥知常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光学元件吸收率测量的标定工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2911A (ja) 1999-09-14 2001-03-30 Mitsubishi Heavy Ind Ltd 部品検査装置
KR101179410B1 (ko) 2012-05-21 2012-09-04 주식회사 한국센트랄 볼 스터드의 규격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115B1 (ko) 1998-07-30 2001-03-02 강태릉 자동차볼조인트용볼스터드제조공정
KR101123283B1 (ko) * 2009-09-29 2012-03-21 주식회사 멥스 강구 테스트 장치
KR20120108405A (ko) * 2011-03-24 2012-10-05 (주)레이나 Pec를 이용한 대상물의 열처리 정상 유무 선별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2911A (ja) 1999-09-14 2001-03-30 Mitsubishi Heavy Ind Ltd 部品検査装置
KR101179410B1 (ko) 2012-05-21 2012-09-04 주식회사 한국센트랄 볼 스터드의 규격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081A (ko) * 2020-08-10 2022-09-26 아신유니텍 (주) 자동차용 부품의 검사 장치
KR102557958B1 (ko) 2020-08-10 2023-07-20 아신유니텍 (주) 자동차용 부품의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303A (ko) 201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355B1 (ko) 테이퍼베어링용 테이퍼롤러의 자동계측 비젼 분류장치
KR101767964B1 (ko) 볼트 측면 비전 검사 수단을 포함하는 회전 낙하식 볼트 선별장치
CN106824812B (zh) 一种轴类零件自动检测设备
KR101339211B1 (ko) 크랭크샤프트 가공홀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595814B1 (ko)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장치
TW201632831A (zh) 量測工件之量測機
CN109719052B (zh) 保持架自动化综合检测工业线
KR101416748B1 (ko) 연속 핀 자동 검사 장치
KR102355865B1 (ko) 너트 자동검사장치
KR101859092B1 (ko) 부품 검사장치
JP6885920B2 (ja) ネジ自動検査システム
KR101595813B1 (ko) 열처리 상태 자동 검사방법
KR100961507B1 (ko) 벤딩물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TWI445122B (zh) 具移料單元之電子元件設備
KR101426022B1 (ko) 슬리브 검사 시스템
KR101800621B1 (ko) 차량 스틸튜브용 플래어 너트의 형상별 자동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1928021B1 (ko) 스터드용 자동용접장치의 구동방법
CN110584189A (zh) 烟草上料系统
JP3180893U (ja) 足場ボルトの自動検査装置及び該検査装置を備えた自動選別機
CN209849332U (zh) 一种丝/棒/管材检测用自动输出分选装置
CN204666064U (zh) 螺纹自动检测装置
CN209559172U (zh) 一种复合制动鼓在线自动测量装置
KR101872389B1 (ko) Dwtt 가혹시험 설비의 자동화 시스템
KR101525798B1 (ko) 금속분리판 일체형의 연료전지용 가스켓 버 제거 시스템 및 방법
CN220104939U (zh) 六角棒检测设备中的热处理检测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