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646B1 - Apparatus of training wrist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training wri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646B1
KR101595646B1 KR1020140021131A KR20140021131A KR101595646B1 KR 101595646 B1 KR101595646 B1 KR 101595646B1 KR 1020140021131 A KR1020140021131 A KR 1020140021131A KR 20140021131 A KR20140021131 A KR 20140021131A KR 101595646 B1 KR101595646 B1 KR 101595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
hand
hand rest
ai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1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9945A (en
Inventor
이재화
김국한
하정훈
강승호
Original Assignee
(주)대성마리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마리프 filed Critical (주)대성마리프
Priority to KR102014002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646B1/en
Publication of KR2015009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9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6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38Driving mean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5Several programs sele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61H2201/5046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손을 거치하는 손 거치대; 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손 거치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환자의 팔을 거치하는 팔 거치대; 상기 팔 거치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와 상기 손 거치대의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상기 손 거치대를 회동시키고, 공기 유입호스가 구비되는 에어백;을 포함하고, 상기 손 거치대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손목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hand of a patient; An arm rest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and rest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nd which rests the patient's arm; A suppor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rm rest; And an airbag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hand rest so that the hand res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and an air inflow hose is provided, wherein the hand rest is provided with a size adjustable wrist motion device do.

Description

손목 운동장치{APPARATUS OF TRAINING WRIST}{APPARATUS OF TRAINING WRIST}

본 발명은 손목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을 실제 의료 또는 재활치료 현장에 적용해 본 결과,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를 활용하는 환자의 손 크기에 맞는 경우도 있으나, 환자의 손 크기가 제각각이며 나아가 환자의 손 경직이나 마비 상태나 상황에 따라서 손바닥이 접혀 있는 등 손 크기가 환자마다 차이가 많이 나는 것에 대응되지 못한다는, 재활을 담당하는 의사나 물리치료사 등으로부터의 사용상 불만을 해소한, 손목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 mo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 mo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However, the size of the hand of the patient is different, and the palm is fold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hand or the paralysis of the patient, and the size of the hand does not correspond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 motion device,

일반적으로 편마비는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또는 뇌성마비 등의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마비를 동반한 운동 장애와 감각의 결손, 자세의 불균형, 신체 자각 능력 결여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편마비는 마비된 근육을 필요한 순간에 적당한 크기의 힘이 발생하도록 사용하지 못하는 운동마비 중 하나이다. In general, hemiplegia can be caused by movement disorders and sensory deficits resulting from central nervous system injuries such as stroke, traumatic brain injury, or cerebral palsy, imbalance in posture, lack of physical self-awareness, It is one of the exercise paralysis that can not use muscles to generate moderate force at the required moment.

이와 같은 증상을 갖는 편마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신경발달치료 접근법을 이용하여 치료사와 일대일 운동치료를 통하여 자세 조정과 움직임을 만들어가고 전기치료를 이용한 통증의 조절과 운동기구를 이용한 근력강화 훈련, 근육조절 훈련, 스트레칭, 균형훈련 등에 의해 환자 스스로의 운동을 통하여 치료하게 된다. In order to treat hemiplegic patients with such symptoms, the neurological development therapy approach is used to make posture adjustments and movements through a one-to-one exercise therapy with the therapist, to control pain using electric therapy, to strengthen muscles using exercise equipment, Adjustment training, stretching, balance training and so on.

아울러, 치료사와 일대일 치료가 환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줌으로써, 재활 치료 효율성은 우수하나, 환자의 심리적 불안감으로 역으로 치료사는 과도한 업무적 스트레스를 받는 등의 여러 이유로 치료사의 인력 부족과 더불어 치료사를 통한 일대일 치료 비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patient with the therapist provides psychological stability, but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treatment is excellent, but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the patient, the therapist, due to excessive work stress, etc.,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reatment cost was high.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재활치료기구를 이용한 치료가 행해지고, 이는 환자가 침대에 누워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에서 환자의 상지에 재활치료기구를 부착하여 강제적으로 환자의 상지를 운동시키는 재활훈련이 실시된다. Because of such a problem, treatment using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is performed, and rehabilitation training is performed in which the patient's upper limb is forcibly exercised by attaching a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to the upper limb of the patient in a lying or sitting position on the bed.

이와 관련한 종래 특허 문헌으로서, 본 출원인이 2009년 7월 24일에 출원하여 2011년 12월 7일에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 제1093954호(발명의 명칭 :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를 들 수 있다. Korean Patent No. 1093954, filed on July 24, 2009 and filed on December 7, 2011, entitled "Vascular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Training Organization", which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특허 문허에서는, "본 발명은 환자의 손을 거치하는 손 거치대, 상기 손 거치대와 힌지로 연결되며 환자의 팔을 거치하는 팔 거치대, 상기 팔 거치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와 상기 손 거치대의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상기 손 거치대를 회동시키고, 각각의 공기 유입호스가 구비되는 복수개의 에어백 및 상기 공기 유입호스와 연결되는 에어호스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백으로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펌프가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에 의하면, 뇌손상 또는 뇌졸중으로 인한 상지(손가락, 손목, 팔꿈치) 편마비 환자의 상지를 운동으로 조절하여 재활치료를 할 수 있고, 에어백의 공기 유출입량에 따라 상지의 접힘도를 조절 할 수 있어 환자의 상지 재활치료에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라고 개시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patent appl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hand of a patient, an arm rest which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hand rest, A plurality of airbag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hand rest so that the hand res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and a plurality of airbags provided with the respective air inflow hoses and an air hose connected to the air inflow hose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n air pump for introducing or discharging air into or from the airbag.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training athletic rehabilitation therap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imb ) It is possible to regenerate the upper limbs of the hemiplegic patient by exercising and adjust the folding degree of the upper limb according to the air inflow / And thus it has a great effect on the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treatment of the patient. "

하지만, 이와 같은 기술/제품을 실제 의료 또는 재활치료 현장에 적용해 본 결과,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를 활용하는 환자의 손 크기에 맞는 경우도 있으나, 환자의 손 크기가 제각각이며 나아가 환자의 손 경직이나 마비 상태나 상황에 따라서 손바닥이 접혀 있는 등 손 크기가 환자마다 차이가 많이 나는 것에 대응되지 못한다는, 재활을 담당하는 의사나 물리치료사 등로부터의 사용상 불만이 있었다. However, as a result of applying these technologies / products to the actual medical or rehabilitation field, there are cases where the size of the hand of the patient utilizing the articulate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meets the size of the patient, but the size of the patient's hand is different, There was a dissatisfaction with the use from a physician or physical therapist who was in charge of rehabilitation that the size of the hand, such as the palm folded depending on the state of stiffness or paralysis or situation, did not correspond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s.

또한, 종래 병원, 의원 등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물리치료나 재활치료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손바닥을 활짝 편 상태에서 손목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손 경직이나 마비, 편마비 등으로 인해서 환자의 손바닥이 접혀 있는 문제가 있어서, 손바닥을 활짝 편 상태로 손목 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손목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었다. In addition, although it is desirable to exercise the wrist in a state where the palm is widen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o the physical therapy o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in the medical field such as the hospital or the clinic in the past, or in the daily life, the patient's hand stiffness, paralysis, The patient's palm was folded, and it was impossible to move the palm of the wrist in a wavy state, so that the effect of the wrist motion could not be maximized.

또한, 손목 운동장치를 제조하는 기업 입장에서, 복수 개의 에어백을 제조하고, 복수 개의 에버백 각각에 공기 유입호스를 형성하는 종래 기술은, 제조 비용이 높아지고, 제조하기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갖는다.
Further, in the case of a company manufacturing a wrist motion device, a conventional technique of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airbags and forming an air inflow hos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bags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production is not easy.

대한민국 특허 제1093954호(2011년 12월 7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Korean Patent No. 1093954 (Registered on Dec. 7, 2011, entitled: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Organiz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을 실제 의료 또는 재활치료 현장에 적용해 본 결과,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를 활용하는 환자의 손 크기에 맞는 경우도 있으나, 환자의 손 크기가 제각각이며 나아가 환자의 손 경직이나 마비 상태나 상황에 따라서 손바닥이 접혀 있는 등 손 크기가 환자마다 차이가 많이 나는 것에 대응되지 못한다는, 재활을 담당하는 의사나 물리치료사 등로부터의 사용상 불만을 해소한, 손목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ior art to actual medical or rehabilitation fiel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apted to the hand size of the patient utilizing the articulate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 The size of the patient's hand is different, and the size of the hand, such as the palm folded according to the patient's hand stiffness or paralysis state or situa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rist motion device that solves the problem of using the wrist.

또한, 종래 병원, 의원 등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물리치료나 재활치료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손바닥을 활짝 편 상태에서 손목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손 경직이나 마비로 인해서 환자의 손바닥이 접혀 있는 문제가 있었는데,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을 거치하여 고정하는 손가락 거치부 구성을 통해서, 손바닥을 강제적으로 활짝 편 상태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손목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it is desirable to perform a wrist motion in a state where the palm is spread out in the process of applying to a physical therapy or rehabilitation treatment in a medical field such as a hospital or a clinic, or in daily life, the patient's hand stiffness or paralysis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palm is fold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ix the palm of the palm by forcefully holding the palm of the palm by fixing the four fingers except for the thumb, .

또한, 하나의 에어백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되,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각각은 서로 인접한 에어백 간에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이 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공기 유입호스는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전체적으로 1개만 형성된 구성을 통해서, 손목 운동장치를 제조하는 측면에서 복수 개의 에어백을 제조하고, 복수 개의 에어백 각각에 공기 유입호스를 형성하는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제조 원가를 낮추면서도 제조하기도 용이한 장점을 갖는 손목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Each of the airbag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each of the airbags being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uch that the inflow or outflow of air can be performed between adjacent airbags, and the air inlet hos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irbag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lurality of airbags are manufactured on the side of manufacturing the wrist motion device and the airbag is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bags through a configuration in which only one is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rist motion device having a wrist mo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운동장치는, 환자의 손을 거치하는 손 거치대; 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손 거치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환자의 팔을 거치하는 팔 거치대; 상기 팔 거치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와 상기 손 거치대의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상기 손 거치대를 회동시키고, 공기 유입호스가 구비되는 에어백;을 포함하고, 상기 손 거치대는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rist rest device comprising: a hand rest; An arm rest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and rest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nd which rests the patient's arm; A suppor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rm rest; And an airbag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hand rest so that the hand res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and an air inflow hose is provided. The hand rest is adjustable in size.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종래 환자의 손 크기가 제각각이며 나아가 환자의 손 경직이나 마비 상태나 상황에 따라서 손바닥이 접혀 있는 등 손 크기가 환자마다 차이가 많이 나는 것에 대응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hand of the patien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size of the hand such as the palm is fold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hand stiffness or the paralysis of the patient, Do.

여기서, 상기 손 거치대는, 상기 연결부재을 통해서 상기 팔 거치대의 양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며, 양측에 복수 개의 제 1 나사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손 거치대 연결부; 및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의 상면을 슬라이딩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 1 나사 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 2 나사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나사 고정홈과 상기 제 2 나사 고정홈을 서로 맞추어 나사 고정함으로써, 상기 손 거치대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손 거치대 크기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hand rest includes a pair of hand rest support members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arm rest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A hand rest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pair of hand rest support parts to each other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crew fix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 plurality of second screw fixing groov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rew fixing grooves so as to be slidab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 rest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first screw fixing grooves and the second screw fixing grooves And a hand rest size regulating portion capable of regulating the size of the hand rest by screwing them together.

또한,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가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와 맞닿는 부분에,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가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로부터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의 면에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를 위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portion where the hand rest connect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pair of hand rest supporting portions, the hand rest connecting portion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hand rest supporting portions while the hand rest connect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pair of hand rest supporting portions A sliding groove for the hand rest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pair of hand rest supporting portions.

또한, 상기 손 거치대 크기 조절부의 일측 또는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의 일측에는,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을 거치하거나 또는 고정할 수 있도록, 나머지 4개의 손가락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 구조가 형성된 손가락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groov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four fingers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d rest size regulating portion or on one side of the pair of hand rest rest supporting portions so as to mount or fix the remaining four fingers except the thumb And may further comprise a formed finger rest.

종래 병원, 의원 등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물리치료나 재활치료시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손바닥을 활짝 편 상태에서 손목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손 경직이나 마비로 인해서 환자의 손바닥이 접혀 있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와 같은 손가락 거치부 구성을 통해서, 손바닥을 강제적으로 활짝 편 상태를 고정/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손목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lthough it is desirable to exercise the wrist in a state where the palm is widen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o the physical therapy o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in the medical field such as a hospital or a clinic in the past or everyday lif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nger is folded. By such a configuration of the finger mount portion, it is possible to forcibly fix / unfold the palm of the han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wrist motion.

또한, 상기 에어백은, 하나의 에어백에 대해서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서로 연통되도록 복수 개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유입호스는 1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airbag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irbags so that the airbag is communicated with one airbag so that air is simultaneously introduced or discharged, and the airblown hose may be composed of one airbag.

또한, 상기 에어백은,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복수 개의 에어백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에어백에는 각각 하나의 공기 유입호스가 구비될 수 있다.The airbag may comprise a plurality of airbags into which air is introduced or exhausted, and each airbag may be provided with one air inlet hose.

혹은, 상기 에어백은 하나의 에어백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각각은 서로 인접한 에어백 간에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이 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호스는 상기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전체적으로 1개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손목 운동장치를 제조하는 측면에서 복수 개의 에어백을 제조하고, 복수 개의 공기 유입호스를 형성하는 것과 대비하여, 제조 원가를 낮으면서도 제조하기도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다. Alternatively, the airbag may divide one airbag into a plurality of spaces, each of the plurality of airbags being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uch that air can be introduced or discharged between adjacent airbags, Only one airbag tha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irbags may be formed. This configuration has advantages in that a plurality of airbags are manufactured on the side of manufacturing a wrist motion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easy compared to forming a plurality of air inflow hoses.

또한, 상기 공기 유입호스와 연결되는 에어호스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백으로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펌프가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hose connected to the air inlet hose and an air pump for introducing or discharging air into or from the air bag.

또한, 상기 팔 거치대는, 상부에 상기 팔의 움직음을 제한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m res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arm on the upper portion.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에어백에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것에 대하여, 자동 프로그램 또는 수동 프로그램 또는 상기 환자에 대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Further, it is possible for the control means to set an automatic program or a manual program or a customized program for the patient, while air is introduc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airbag.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운동장치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wrist mo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종래 기술인 대한민국 특허 제1093954호(2011년 12월 7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을 구현한 제품을 실제 의료 또는 재활치료 현장에 적용해 본 결과,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를 활용하는 환자의 손 크기에 맞는 경우도 있으나, 실제로는 환자의 손 크기가 제각각이며 나아가 환자의 손 경직이나 마비 상태나 상황에 따라서 손바닥이 접혀 있는 등 손 크기가 환자마다 차이가 많이 나는 것에 대응되지 못한다는, 재활을 담당하는 의사나 물리치료사 등로부터의 사용상 불만을 해소한, 손목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Firs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duct implemented in Korean Patent No. 1093954 (Registered on Dec. 7, 2011, entitled "Joint Rehabilitation Treatment Training Organization") to the actual medical or rehabilitation field, In some cases, the size of the hand of the patien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and of the patient utilizing the training apparatus. Further, the size of the hand such as the palm is folded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h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rist motion device that solves complaints of use from physicians, physical therapists,

둘째, 종래 병원, 의원 등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물리치료나 재활치료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손바닥을 활짝 편 상태에서 손목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손 경직이나 마비로 인해서 환자의 손바닥이 접혀 있는 문제가 있었는데,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을 거치하여 고정하는 손가락 거치부 구성을 통해서, 손바닥을 강제적으로 활짝 편 상태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손목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Second, although it is desirable to exercise the wrist in the state where the palm is in the open state in the process of applying to the physical therapy o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in the medical field such as the hospital or the clinic or the daily life, the patient's hand stiffness or paralysis,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palm is fold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ix the palm of the palm by forcefully holding the palm of the palm by fixing the four fingers except for the thumb, It is possible.

셋째, 하나의 에어백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되,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각각은 서로 인접한 에어백 간에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이 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공기 유입호스는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전체적으로 1개만 형성된 구성을 통해서, 손목 운동장치를 제조하는 측면에서 복수 개의 에어백을 제조하고, 복수 개의 에어백 각각에 공기 유입호스를 형성하는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제조 원가를 낮추면서도 제조하기도 용이한 장점을 갖는 손목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Thirdly, one airbag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each of the airbags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irbags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or discharged between adjacent airbags, and the air inlet hos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irbag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plurality of airbags are manufactured on the side of manufacturing the wrist motion device and the airbag is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bags through a configuration in which only one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rist motion device having a wrist motion.

넷째, 저렴한 가격으로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 보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존에 손 마비 환자 또는 손 경직 환자의 경우 적절한 물리 치료를 받지 못하여 일정 기간 경과 후 해당 경직 부위에 상당한 통증에 시달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Fourth, since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medical treatment site or daily life at an inexpensive pr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atient suffering from hand pain or hand stiffness from suffering considerable pain in the stiff area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do.

다섯째, 손 고도 경직 환자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복지나 삶의 질 향상, 인간다운 삶의 영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회적 측면에서 보면, 정부의 복지 정책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Fifth, improvement of welfare and quality of life for the socially weak, such as handicapped and sick patients, and promotion of human life can be promoted.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government's welfare policy from the social point of view.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93954호(발명의 명칭 :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에 개시된 손목 운동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운동장치의 측면도로서, 하나의 에어백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되,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각각은 서로 인접한 에어백 간에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이 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공기 유입호스는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전체적으로 1개만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s. 1 and 2 are wrist motion devices disclosed in the Korean Patent No. 1093954 (entitled " Joint Rehabilitation Therapy Training Organization ") of the present applicant.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rist mo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a wrist mo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e airbag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each of the airbag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irbags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air inlet hose is formed by only one airba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irba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93954호(발명의 명칭 :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에 개시된 손목 운동장치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운동장치의 측면도로서, 하나의 에어백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되,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각각은 서로 인접한 에어백 간에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이 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공기 유입호스는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전체적으로 1개만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1 and 2 are wrist motion device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93954 of the present applicant (name of the invention: athletic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rist mo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a wrist mo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e airbag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each of the airbag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irbags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air inlet hose is formed by only one airba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irbag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운동장치는, 환자의 손(30)을 거치하는 손 거치대(10); 연결부재(12)를 통하여, 상기 손 거치대(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환자의 팔(31)을 거치하는 팔 거치대(11); 상기 팔 거치대(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체(13); 및 상기 지지체(13)와 상기 손 거치대(10)의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상기 손 거치대(10)를 회동시키고, 공기 유입호스(21)가 구비되는 에어백(20);을 포함하고, 상기 손 거치대(10)는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3, the wrist re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 rest 10 for holding a patient's hand 30; An arm rest 11 rotatably connected to the hand rest 10 via a connecting member 12 and for holding a patient's arm 31; A support 13 provided below the arm rest 11; And an airbag 20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13 and the hand rest 10 to rotate the hand rest 10 in accordance with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and having an air inflow hose 21 , The hand rest 10 is adjustable in size.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종래 환자의 손(30) 크기가 제각각이며 나아가 환자의 손 경직이나 마비 상태나 상황에 따라서 손바닥이 접혀 있는 등 손 크기가 환자마다 차이가 많이 나는 것에 대응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size of the hand 30 of the patient is different, and furthermore, the palm is folded depending on the hand stiffness, the paralysis state or the situation of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do.

본 발명을 사용하는 손 경직 환자는 뇌손상 또는 뇌졸중으로 인한 상지(손가락, 손목, 팔꿈치) 편마비 환자, 또는 장기간 깁스에 의한 마비 환자 등이다. 편마비는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또는 뇌성마비 등의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마비를 동반한 운동장애와 감각의 결손, 자세의 불균형, 신체 자각 능력 결여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편마비는 마비된 근육을 필요한 순간에 적당한 크기의 힘이 발생하도록 사용하지 못하는 운동마비 중 하나이다. A hand rigid patient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tient with upper limb (finger, wrist, or elbow) hemiplegic due to brain injury or stroke, or a paralysis caused by a long-term cast. Hemiplegia can occur due to movement disorders and sensory deficits associated with paralysis caused by central nervous system damage such as stroke, traumatic brain injury or cerebral palsy, postural imbalance, lack of physical self-awareness, and hemiplegia is caused by paralyzed muscles It is one of the exercise paralms that can not be used to generate moderate sized forces at the required moment.

여기서 운동이라는 것은 손 경직 환자 또는 손 마비 환자의 의사에 의한 및/또는 손 경직/마비 환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하는 운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Here, the term " exercise " is a concept including both exercises by a physician of a handicapped patient or a handicapped patient and / or exercises that are independent of a physician of a handicapped / paralytic patient.

다시 말해, 손 경직/마비 환자 이외에 손 근력 및 손 주위 근육을 키우거나 세밀한 손 동작의 연습이 요구되는 사람이 특정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운동장치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손목의 유연성이나 근력 향상이 필요한 프로야구 선수들이 근력이나 유연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운동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it is needless to say that, in addition to hand stiffness / paralysis, a person who needs to raise hand muscles and muscles around hands or practice exercises of detailed hand movements may use the wrist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 specific purpose. The wrist mo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strength and flexibility of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who need to improve the flexibility and strength of the wrist.

여기서, 상기 손 거치대(10)는, 상기 연결부재(12)을 통해서 상기 팔 거치대(11)의 양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50);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50)를 서로 연결하며, 양측에 복수 개의 제 1 나사 고정홈(61)이 형성되어 있는 손 거치대 연결부(60); 및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60)의 상면을 슬라이딩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 1 나사 고정홈(6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 2 나사 고정홈(71)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나사 고정홈(61)과 상기 제 2 나사 고정홈(71)을 서로 맞추어 나사(80) 고정함으로써, 상기 손 거치대(10)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손 거치대 크기 조절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hand rest 10 includes a pair of hand rest support members 50 rotatably connected to the arm rests 11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2; A hand rest connection part (60) connecting the pair of hand rest support parts (50) to each other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crew fixing grooves (61)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 plurality of second screw fixing grooves (71)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rew fixing grooves (61) so as to be slidab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 rest connection portion (60) (70) capable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hand holding table (10) by fixing the first screw fixing groove (61) and the second screw fixing groove (71) have.

또한, 손 거치대 연결부(60)가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50)에 맞닿는 부분에, 손 거치대 지지부(50)의 면에 슬라이딩 홈을 형성시켜, 손 거치대 연결부(60)가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는 한편 손 거치대 지지부(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liding groove on the surface of the hand rest support portion 50 at a portion where the hand rest connection portion 60 is abutted against the pair of hand rest rest supports 50 so that the hand rest connection 60 can slide smoothly While being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and rest supporting portion 50. [

또한,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60)가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50)와 맞닿는 부분에,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60)가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50)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50)로부터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6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손 거치대 지지부(50)의 면에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60)를 위한 슬라이딩 홈(51)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hand rest connection 60 that abuts against the pair of hand rest rest supports 50 allows the hand rest connection 60 to slide relative to the pair of hand rest supports 50, A sliding groove 51 for the hand rest connection portion 6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and rest portion supporting portion 50 so as to prevent the hand rest portion connecting portion 6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and rest supporting portion 50 of the hand- .

물론 슬라이딩 홈 대신에 슬라이딩 돌기를 손 거치대 지지부(50)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손 거치대 지지부(50)와 손 거치대 연결부(60)와 슬라이딩 홈이나 슬라이딩 돌기는 모두 하나로 결합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sliding protrusion on the hand rest support 50 instead of the sliding recess and the hand rest support 50 and the hand rest connection 60 can be combined with the sliding recess or the sliding protrusion .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50)의 일측에는, 즉,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50)에 힌지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서 회동하게 결합되며,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을 거치하거나 또는 고정할 수 있도록, 나머지 4개의 손가락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 구조가 형성된 손가락 거치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 i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pair of hand restraint support portions 50, that is, to the pair of hand restraint support portions 50 through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hinge, And a finger mount 90 having a groov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four fingers so that the remaining four fingers can be mounted or fixed.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50)의 일측이 아니라, 상기 손 거치대 크기 조절부(70)의 일측(특히, 손가락 방향으로 끝쪽)에,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을 거치하거나 또는 고정할 수 있도록, 나머지 4개의 손가락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 구조가 형성된 손가락 거치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not shown, but one side of the hand rest size restricting portion 70 (in particular, the end in the finger direction), not the one side of the pair of hand rest rest supporting portions 50, The finger mount 9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four finger shapes so that the finger mount 90 can be mounted or fixed.

종래 병원, 의원 등 의료 현장이나 일상 생활에서 물리치료나 재활치료시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손바닥을 활짝 편 상태에서 손목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환자의 손 경직이나 마비로 인해서 환자의 손바닥이 접혀 있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와 같은 손가락 거치부(90) 구성을 통해서, 손바닥을 강제적으로 활짝 편 상태를 고정/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손목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lthough it is desirable to exercise the wrist in a state where the palm is widen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o the physical therapy o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in the medical field such as a hospital or a clinic in the past or everyday life, It is possible to forcibly fix / unfold the palm of the palm by such a configuration of the finger rest 90, and it become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wrist motion.

또한, 도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도, 상기 에어백(20)은,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복수 개의 에어백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에어백에는 각각 하나의 공기 유입호스(21)가 구비될 수도 있지만, 혹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20)은 하나의 에어백을 복수 개로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각각은 서로 인접한 에어백 간에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이 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호스(21)는 상기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전체적으로 1개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1 and 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bag 20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airbags into which air is introduced or discharged, and each airbag is provided with one air inlet hose 21, 4, the airbag 20 divides one airbag into a plurality of airbags,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airbag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irbags, And the air inlet hose 21 may be formed in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ir bags as a whole.

여기서, 에어백(20)이 하나의 에어백을 복수 개로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각각은 서로 인접한 에어백 간에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이 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에어백을 복수 개로 구획되도록 박음질이나 접착을 하되 전체를 박음질하거나 접착하지 않도록 하여, 서로 인접한 에어백 간에 공기가 서로 통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의 22 부분에서는, 서로 인접한 에어백 간에 공기가 안 통하는 영역(박음질이나 접착 등을 통해서)도 존재하지만 연통되는 부분도 존재하게 된다. Here, the airbag 20 divides one airbag into a plurality of airbag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airbags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or discharged between adjacent airbags, , It is possible to stitch the airbags so as to b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airbags so that the entire airbags are not adhered or adhered to each other so that the air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tween adjacent airbags. In the portion 22 of Fig. 4, there is also a region where air does not pass between the airbags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stitching or adhesion), but there is also a portion communicating.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손목 운동장치를 제조하는 측면에서 복수 개의 에어백을 제조하고, 복수 개의 공기 유입호스를 형성하는 것과 대비하여, 제조 원가를 낮으면서도 제조하기도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다. This configuration has advantages in that a plurality of airbags are manufactured on the side of manufacturing a wrist motion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easy compared to forming a plurality of air inflow hoses.

또한, 상기 공기 유입호스(21)와 연결되는 에어호스(41)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백(20)으로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펌프가 구비되는 제어수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n air hose 41 connected to the air inlet hose 21 and an air pump for introducing or discharging air into or from the air bag 20 .

또한, 상기 팔 거치대(11)는, 상부에 상기 팔의 움직음을 제한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부재(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m rest 11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14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arms.

또한,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에어백(20)에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것에 대하여, 자동 프로그램 또는 수동 프로그램 또는 상기 환자에 대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Further, the control means (40) is capable of setting an automatic program or a manual program or a customized program for the patient, while air is introduc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airbag (20).

예를 들어, 공기가 에어백(20)에 유입되고 배출되는 하나의 사이클(한 주기)의 시간을 조절하거나 유입 시간과 배출 시간을 달리 조절하거나 유입 및 배출 속도나 양을 조절하는 것을 손 경직 또는 손 마비 환자마다 달리 세팅하는 것도 가능하며, 미리 설정된 자동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물리 치료사나 의사 등 물리 치료에 관여하는 의료인이나 일상 생활에서는 환자 본인이나 가족이 스스로 위와 같은 팩터(factor) 들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수동 조절의 경우, 회전 레버나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ime of one cycle (one cycle) in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airbag 20, or to adjust the inflow and outflow times differently, It is also possible to set it up differently for each paralyzed patient.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it with a preset automatic program. In the case of a medical person involved in physical therapy such as a physiotherapist or doctor, or in daily life, the patient himself / It is possible to design it to be possible. In the case of manual adjustment, it can be realized in the form of a rotary lever, a button or a touch scree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와 같은 실시예와 도면에 기재된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 또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given herein,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손 거치대
11...팔 거치대
12...힌지
13...지지체
14...고정부재
20...에어백
21...공기 유입호스
30...손
31...팔
40...제어수단
41...에어호스
50...손 거치대 지지부
51...슬라이딩 홈 또는 슬라이딩 돌기
60...손 거치대 연결부
61...제 1 나사 고정홈
70...손 거치대 크기 조절부
71...제 2 나사 고정홈
80...나사
90...손가락 거치부
10 ... Hand rest
11 ... arm rest
12 ... hinge
13 ... support
14 ... fixing member
20 ... airbag
21 ... air inlet hose
30 ... hands
31 ... arm
40 ... control means
41 ... air hose
50 ... hand rest support
51 ... sliding groove or sliding projection
60 ... hand rest connection
61 ... first screw fixing groove
70 ... hand rest size adjuster
71 ... second screw fixing groove
80 ... screws
90 ... Finger mount

Claims (9)

환자의 손을 거치하는 손 거치대;
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손 거치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환자의 팔을 거치하는 팔 거치대;
상기 팔 거치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와 상기 손 거치대의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상기 손 거치대를 회동시키고, 공기 유입호스가 구비되는 에어백;을 포함하고,
상기 손 거치대는 크기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손 거치대는,
상기 연결부재을 통해서 상기 팔 거치대의 양측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며, 양측에 복수 개의 제 1 나사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손 거치대 연결부; 및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의 상면을 슬라이딩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 1 나사 고정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 2 나사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나사 고정홈과 상기 제 2 나사 고정홈을 서로 맞추어 나사 고정함으로써, 상기 손 거치대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손 거치대 크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손목 운동장치.
A hand resting on the patient's hand;
An arm rest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and rest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nd which rests the patient's arm;
A suppor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rm rest; And
And an airbag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hand rest so that the hand res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inflow and outflow of air, and an air inflow hose is provided,
The hand rest is adjustable in size,
The hand-
A pair of hand rest support members rotatably connected at both sides of the arm rest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A hand rest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pair of hand rest support parts to each other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crew fix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nd a plurality of second screw fixing groov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crew fixing grooves so as to be slidable on an upper surface of the hand rest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first screw fixing grooves and the second screw fixing groove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 hand rest size regulating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hand rest rest by screwing,
Wrist motion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가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와 맞닿는 부분에,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가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로부터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의 면에 상기 손 거치대 연결부를 위한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손목 운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 rest connecting portion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pair of hand rest rest supporting portions in a portion where the hand rest connecting portion contacts the pair of hand rest rest supporting portions while preventing the hand rest connect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air of hand rest rest supporting portions A sliding groove for the hand rest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pair of hand rest support portions,
Wrist motion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 거치대 크기 조절부의 일측 또는 상기 한쌍의 손 거치대 지지부의 일측에는,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을 거치하거나 또는 고정할 수 있도록, 나머지 4개의 손가락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 구조가 형성된 손가락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손목 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finger structure having a groov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four finger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 rest size regulating portion or one side of the pair of hand rest rest supporting portions so as to mount or fix the remaining four fingers except for the thumb,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Wrist mot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복수 개의 에어백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에어백에는 각각 하나의 공기 유입호스가 구비된,
손목 운동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irbag
A plurality of airbags into which air is introduced or discharged, each airbag being provided with one air inlet hose,
Wrist mot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하나의 에어백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되,
상기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각각은 서로 인접한 에어백 간에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이 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호스는 상기 복수 개로 구획된 에어백 전체적으로 1개만 형성된,
손목 운동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irbag divides one airbag into a plurality of space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irbags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uch that the inflow or outflow of air can be performed between adjacent airbags,
Wherein the air inlet hose is formed by only one airbag partitioned by the plurality of airbags,
Wrist motion device.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호스와 연결되는 에어호스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백으로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펌프가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손목 운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Further comprising control means provided with an air hose connected to the air inlet hose and having an air pump for introducing or discharging air into or from the air bag,
Wrist motion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팔 거치대는,
상부에 상기 팔의 움직음을 제한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손목 운동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rm res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arms on the upper portion,
Wrist motion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에어백에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것에 대하여, 자동 프로그램 또는 수동 프로그램 또는 상기 환자에 대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손목 운동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Wherein air is introduc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airbag, an automatic program or a manual program, or a program capable of setting a customized program for the patient,
Wrist motion device.
KR1020140021131A 2014-02-24 2014-02-24 Apparatus of training wrist KR1015956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131A KR101595646B1 (en) 2014-02-24 2014-02-24 Apparatus of training wri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131A KR101595646B1 (en) 2014-02-24 2014-02-24 Apparatus of training wri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945A KR20150099945A (en) 2015-09-02
KR101595646B1 true KR101595646B1 (en) 2016-02-18

Family

ID=5424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131A KR101595646B1 (en) 2014-02-24 2014-02-24 Apparatus of training wri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6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417A (en) * 2017-03-07 2018-09-17 울산과학기술원 Active-assistive and Customized Self-Rehabilita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564B1 (en) * 2015-12-24 2017-07-26 (주)대성마리프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joint
CN109350922A (en) * 2018-10-08 2019-02-19 上海理工大学 The soft exoskeleton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of shoulder elbow towards Acute Stroke Patients
KR102227425B1 (en) * 2019-05-22 2021-03-15 (주)대성마리프 Joint-rehabilitation treatment system
CN113181482A (en) * 2021-04-21 2021-07-30 薛玉民 Auxiliary fixing plate, combined device for indwelling needle infusion and us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6428A1 (en) * 2002-02-25 2009-12-31 Saebo, Inc. Dynamic hand splint
CN201603218U (en) 2010-03-04 2010-10-13 魏燕妮 Arm support for intravenous infusion
KR101093954B1 (en) * 2009-07-24 2011-12-15 (주)대성마리프 Training equipment for arm joint rehabilitation medical
JP2013017718A (en) 2011-07-13 2013-01-31 R-Techs:Kk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fing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6428A1 (en) * 2002-02-25 2009-12-31 Saebo, Inc. Dynamic hand splint
KR101093954B1 (en) * 2009-07-24 2011-12-15 (주)대성마리프 Training equipment for arm joint rehabilitation medical
CN201603218U (en) 2010-03-04 2010-10-13 魏燕妮 Arm support for intravenous infusion
JP2013017718A (en) 2011-07-13 2013-01-31 R-Techs:Kk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fing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2417A (en) * 2017-03-07 2018-09-17 울산과학기술원 Active-assistive and Customized Self-Rehabilitation device
KR102337018B1 (en) 2017-03-07 2021-12-08 울산과학기술원 Active-assistive and Customized Self-Rehabilit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945A (en)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4653B2 (en) Exoskeleton for assisting human movement
KR101595646B1 (en) Apparatus of training wrist
Unluhisarcikli et al. Design and control of a robotic lower extremity exoskeleton for gait rehabilitation
US9265646B2 (en) Orthotic device for treating knee flexion contracture
Monaco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NEUROBike: A neurorehabilitative platform for bedridden post-stroke patients
KR101093954B1 (en) Training equipment for arm joint rehabilitation medical
JP6647225B2 (en) Leg straightening device and straightening device
WO2011075003A1 (en) Method for correcting pathological configurations of segments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device for realizing same
CN110997245A (en) Upper torso enhancement system and method
JP2018518208A (en) A device that drives walking in an upright position and lower limbs of a person in a supine or partially lying position
EP3554769A1 (en) Upper torso augmentation system and method
KR101471805B1 (en) Apparatus of training hand
WO2020056227A1 (en) Portable lower limb therapy device
WO2016060470A1 (en) Lower body and spine joint moving device for restoring bodily balan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60136030A1 (en) Modeling apparatus for assisting in the recovery of hand, wrist and foot movement
US20130196833A1 (en) Handheld Extremity Flexibility Treatment Device
KR101011011B1 (en) Motion apparatus orthosis for upper extremity
WO2010075478A1 (en) Muscle therapy system
KR20140120517A (en) Motion apparatus orthosis for upper extremity
US20150148199A1 (en) Handheld Extremity Inflexibility Treatment Device
KR101471804B1 (en) Apparatus of training hand
KR20160056235A (en) Apparatus of hand rehabilitation
CN203598082U (en) Knee rehabilitation device
ITLU20100014A1 (en) PORTABLE TOOL FOR SELF-TESTING AND DISINFURCING THE SPINE
RU2573535C2 (en) Method for neurodynamic (neurosensory) correction for motor, posture, sensory and cognitive functional recovery in patients with nervous system pathology and locomotor system and suit for implement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