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484B1 -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484B1
KR101595484B1 KR1020140053381A KR20140053381A KR101595484B1 KR 101595484 B1 KR101595484 B1 KR 101595484B1 KR 1020140053381 A KR1020140053381 A KR 1020140053381A KR 20140053381 A KR20140053381 A KR 20140053381A KR 101595484 B1 KR101595484 B1 KR 101595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ember
heating sheet
electrode
conductive
electro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477A (ko
Inventor
노태욱
오승연
강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다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티에스이엠
오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다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티에스이엠, 오승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다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4005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48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H05B3/267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the insulating base being an organic material, e.g. pla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9Heaters using conductive material in contact with opposing surfaces of the resistive element or resistive layer
    • H05B2203/01Heaters comprising a particular structure with multipl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균일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시트의 발열면에서 열이 균일하게 발산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열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발열균일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면상 발열체는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일측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발열시트와,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일측과, 상기 발열시트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전극부재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필름부재와,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 및 상기 전극부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절연체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시트는 유기용매와, 결합제와, 전도성 카본블랙과, 전도성 그라파이트와, 분산제 및 가소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전도성 페이스트가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에 도포된 후 건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Planar hea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발열균일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시트의 발열면에서 열이 균일하게 발산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열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발열균일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을 위해 피난방 영역에 선상의 열선을 배치하고, 열선에 전류를 인가하여 열선의 저항치에 따라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고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선은 피난방 영역에 선(wire)상으로 배치되어 피난방면에 전체적으로 열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급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선, 열선의 간격유지 불안 등의 문제점들이 부각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열 저항의 표출면적을 확장, 즉, 발열면적을 확장시킨 방식의 면상발열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면상발열체는 얇은 면상의 전도성 발열체의 양단에 금속 전극을 설치한 후 절연재로 절연 처리하여 면 전체로 발열하는 발열체로서, 기존 니크롬선등과 같은 열선을 이용하는 전기 발열체에 비해 전체 면상에서 고른 열이 발산되어 열효율이 높고, 발열이 빠르다는 장점으로 인해 에너지 절약 및 경제적 파급효과가 커서 최근 난방용 재료로 부각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면상발열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면상발열체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발열블럭 내의 카본블랙이 상호 응집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면상발열체(100)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플리에스테르 수지와 도전성의 카본 블랙파우더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발열블럭(110)과 발열블럭(110) 상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전극부재(120)와 발열블럭(110) 및 전극부재(12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절연체(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극부재(1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열블럭(110)의 상면 중 양측단부 부근에 발열블럭(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전극(121)과, 한쌍의 수직전극(121) 중 어느 하나의 수직전극(121)으로부터 다른 수직전극(121)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수평전극(12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면상발열체(100)는 한쌍의 전극부재(120)에 각각 (+)극과 (-)극의 전류를 공급하면 발열블럭(110)의 저항치에 따라 발열블럭(110)으로부터 열이 발생되고,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발산되면서 피난방 영역을 난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면상발열체(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열블럭(1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폴리플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카본 블랙 파우더를 혼합하게 되는데, 응집력이 강한 도전성 카본블랙의 특성상 도전성의 카본블랙 파우더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응집되면서 발열블럭(110) 상에 도전성 카본블랙의 분포도가 불균일하게 되고, 이에 따라 카본블랙에 따른 발열블럭(110)의 발열면 저항치가 불균일해지면서 발열면의 발열온도 분포 또한 분균일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면상발열체(100)는 상하방향의 전극간 이격거리는 동일하나 수평전극(122)의 단부와 수직전극(121)의 일측간 이격거리가 상하방향의 전극간 이격거리와 차이가 발생되어 발열블럭(110)의 발열면 중앙부분과 양측단부분간 발열온도가 불균일해지면서 발열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발열시트의 발열면에서 열이 균일하게 발산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열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발열균일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면상 발열체는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부재와,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일측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발열시트와,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일측과, 상기 발열시트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전극부재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필름부재와,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 및 상기 전극부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절연체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시트는 유기용매와, 결합제와, 전도성 카본블랙과, 전도성 그라파이트와, 분산제 및 가소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전도성 페이스트가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에 도포된 후 건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은 유기용매와, 결합제와, 전도성 카본블랙과, 전도성 그라파이트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와,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부재와, 한쌍의 수직전극부 및 상기 한쌍의 수직전극부 중 어느 하나의 수직전극부로부터 다른 하나의 수직전극부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일측에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이를 건조하여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에 발열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일측 및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의 상면 일측에 상기 전극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와 상기 전극부재의 외면에 절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상 발열체는 유기용매, 결합제, 전도성 카본블랙, 전도성 그라파이트와, 분산제 및 가소제를 혼합하여 발열시트를 형성함으로써 전도성 그라파이트에 의해 전도성 카본블랙이 상호 응집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전도성 카본블랙 및 전도성 그라파이트의 함량이 증대되도록 하여 발열면의 발열균일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고, 열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시트상에 위치하는 전극간 이격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발열시트의 발열면으로부터 열이 보다 균일하게 발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면상발열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면상발열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발열블럭 내의 카본블랙이 상호 응집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효율이 향상된 면상발열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효율이 향상된 면상발열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카본블랙이 그라파이트와 그라파이트사이에 충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균일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의 제조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면상 발열체의 형상에 따른 발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열 효율이 향상된 면상발열체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열 효율이 향상된 면상발열체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카본블랙이 그라파이트와 그라파이트 사이에 충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면상 발열체는 필름 부재(10), 발열 시트(20) 전극부재(30) 및 절연체(40)를 포함한다.
필름부재(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PET원단, 폴리에칠렌원단, 폴리우레탄원단, 폴리이미드원단, 폴리프로필렌원단, 폴리에칠렌나프탈레이트원단, 아크릴원단을 사용될 수 있으며, 발열시트(20) 및 전극부재(30)의 설치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절연체(40)와 같이 발열시트(20) 및 전극부재(30)가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습기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발열시트(20)는 유기용매, 결합제, 전도성 카본블랙, 전도성 그라파이트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전도성 페이스트를 필름부재(10)의 상면에 도포한 후 이를 건조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0.01 ~ 0.1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극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자체 저항치에 의해 발열하여 열을 발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발열시트(20)의 두께를 0.01 ~ 0.1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이유는 발열시트(20)의 두께를 0.01mm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 발열시트(20)의 발열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발열시트(20)의 두께를 0.1mm를 초과하도록 형성하는 경우에는 필름부재(10)에 부착되는 발열시트의 부착력이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발열시트(20)는 필름부재(10)의 상면 중 필름부재(10)의 양측단부 부근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후술하는 전극부재(30)를 설명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전도성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유기용매 30 ~ 70중량%, 전도성 카본블랙 10 ~ 50중량%, 전도성 그라파이트 5 ~ 20중량% 및 분산제 1 ~ 20중량%, 가소제 1 ~ 15%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혼합물을 3 roll 밀링기와 같은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제조된 혼합물의 조성물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혼합물을 교반장치로 교반하여 제조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여기서 유기용매로는 테르피네올(terpineol), benzoyloxycinnamaldehyde (BCA), exportcreditagency(ECA)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도성 페이스트의 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제로는 에틸셀룰로스(Ethyl Cellulose)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도성 카본블랙과, 전도성 그라파이트가 유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카본블랙(Carbon black)은 천연가스, 타르등을 불완전연소시켜 생긴 그을음을 모으거나 이를 열분해하여 제조되는 흑색의 미세한 탄소분말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대략 20 ~ 100nm의 크기를 갖는 전도성 카본블랙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카본블랙은 아세틸렌 가스(Acetylene Gas)의 계속적인 열분해에 의해 생산된 카본블랙(Carbon Black)의 일종으로, 고무, Plastic Matrix 안에서 중첩도가 높고, Carbon Black안의 이중 결합 상태가 높아서 도전성을 갖는다.
그라파이트는 일반적으로 흑연 또는 석연으로도 불리며, 얇은 육방형판상결정으로 형성되는 명갈회색의 탄소 동소체 중 하나로서, 대략 30 ~ 80의 크기를 가지며, 내열성, 내열충격성, 내식성이 강하고 전기 및 열 전도성이 좋은 특징이 있다.
분산제는 전도성 카본블랙과 그라파이트의 분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BYK-2000, EB-140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가소제로는 고형화된 발열시트(20)에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이옥틸프탈레이트(DOP), 다이옥틸아디페이트(DOA), 트라이크레실포스테이트(TC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열시트(20), 즉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판상의 그라파이트와 카본블랙이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상의 그라파이트와 그라파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카본블랙이 충진되어 카본블랙이 상호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전성물질(카본블랙과 그라파이트)의 함량이 증대되어 저항을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열발생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극부재(30)는 필름부재(10)의 상면 중 양측단부 부근에 각각 필름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쌍의 수직전극부(31)와 한쌍의 수직전극부(31) 중 어느 하나의 수직전극부(31)로부터 다른 하나의 수직전극부(31)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전극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이동되는 이동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쌍의 수직전극부(31)는 각각 (+)극과 (-)극이 연결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인가되는 전류가 수평전극부(32)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수평전극부(3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쌍의 수직전극부(31) 중 어느 하나의 수직전극부(31)로부터 다른 하나의 수직전극부(31)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발열시트(20)를 폭방향으로 통과하고,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수직전극부(31)로부터 전류를 전달받고 전달된 전류에 의해 발열시트(20)에서 열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수직전극부(31)로부터 연장형성된 수평전극부(32)의 단부가 발열시트(20)의 상면 중 양측모서리와 일치하도록 배치되는데, 그 이유는 수평전극부(32)와 발열시트(20)에 의해 열이 발생되는 영역 중 전극간 거리가 항상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전극간 이격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평전극부(32)의 단부와 수직전극부(31)의 일측간 거리가 짧아 그에 따라 발생되는 발열시트(20)의 온도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전극부(32)의 단부와 수직전극부(31)의 일측과 대응되는 영역에 발열시트(20)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발열시트(20)의 발열면 상에서 열이 균일하게 발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균일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의 제조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발열 균일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균일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의 제조방법을 도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기용매, 전도성 카본블랙, 그라파이트와, 분산제 및 가소제를 준비하고, 유기용매 30 ~ 70중량%, 전도성 카본블랙 10 ~ 50중량%, 전도성 그라파이트 5 ~ 20중량% 및 분산제 1 ~ 20중량%, 가소제 1 ~ 15%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S10)
이후 제조된 혼합물을 3 roll 밀링기와 같은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혼합물의 조성물이 보다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여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한다.(S20)
다음 위에서 제조된 전도성 페이스트와, 필름부재 및 전극부재를 준비한다.(S30)
그리고, 준비된 필름부재의 상면에 전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되, 필름부재의 상면 중 필름부재의 양측단부 부근을 제외한 영역에 전도성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상온에서 5 ~ 6 시간동안 자연 건조시켜 필름부재 상면 중 양측단부 부근을 제외한 영역에 발열시트층이 형성되도록 한다.(S40)
이후, 준비된 전극부재를 필름부재 및 발열시트층 상면에 형성하되, 한쌍의 수직전극부를 필름부재의 상면 중 양측단부 부근에 각각 필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한쌍의 수직전극부 주어 어느 하나의 수직전극부로부터 다른 하나의 수직전극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전극부가 발열시트층을 폭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수평전극부를 발열시트층 상면에 배치한다.(S50)
또한, 복수개의 수평전극부를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발열시트층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수평전극부의 영역 내에서만 발열되도록 함으로써 발열면으로부터 열이 균일하게 발산될 수 있다.
이후, 필름부재와 발열시트층 및 전극부재의 외면에 절연체를 형성(S60)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균일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를 제조한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균일성이 향상된 면상발열체(시료 1)와 종래의 발열블럭을 포함하는 종래의 면상발열체(시료 2)를 상온 6 ~ 7℃에서 저항(Ω), 전류(I), 전력(W) 및 발열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극부재의 너비와, 복수개의 수평전극부간 이격거리 및 전극부재에 공급되는 전압은 동일한 조건으로 테스트 되었다.
아울러, 각 시료의 발열면 중 중앙부의 서로 다른 두 곳(a, b)과 수평전극부의 단부와 수직전극부 일측 사이영역(c)을 측정부위로 동시에 테스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인 시료 1은 수평전극부의 단부와 수직전극부 일측의 사이영역, 즉 c영역의 측정부위는 발열면이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서, 측정부위 중 a, b영역의 발열온도를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14042229659-pat00001
위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전극폭과 동일한 전극거리를 갖는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시료 1)과 종래의 면상발열체(시료 2)에 동일한 전압을 공급한 후 그 측정값을 살펴본 결과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의 경우 동일한 전압이 공급될 때 측정부위 a, b 두 곳의 온도편차가 극히 미미하게 나타난 반면 반면에 시료 2인 종래의 면상발열체는 발열면의 중앙부인 a, b에서도 상호 온도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을 뿐 아니라 c영역의 발열온도는 a, b의 측정부위와도 현격한 온도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료 1인 본 발명의 면상발열체의 경우 시료 2인 종래의 면상발열체에 비해 평균적으로 발열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값은 종래의 면상발열체의 경우 카본블랙이 상호 응집되면서 발열면 상에 카본블랙이 불균일하게 배치되면서 발열면상의 온도편차가 발생될 뿐 아니라 발열면 상에서 도전체인 카본블랙의 분산도가 낮아지면서 저항값이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발열효율이 낮은 반면에 본원발명의 경우 전도성 카본블랙이 그라파이트에 의해 분산되어 발열균일성이 향상되고, 도전재인 전도성 카본블랙 및 그라파이트의 함류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상승, 즉 저항값이 낮아지면서 열효율이 향상됨을 용이하게 추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면상 발열체의 형상에 따른 발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또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면상 발열체의 형상에 따른 발열 상태를 알아보기로 한다.
하기 표 2는 면상 발열체의 형상 및 저항을 나타내고 있다.
[표 2]
Figure 112014042229659-pat00002
표 2에 의하면, 전극간 거리가 증가할수록 저항이 높아지며, 전극폭이 증가할수록 저항이 높아진다. 또한, 전극폭보다 전극간 거리가 저항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기 표 3 내지 표 4는 각 면상 발열체의 발열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표 3]
Figure 112014042229659-pat00003
[표 4]
Figure 112014042229659-pat00004
시료 1, 시료 2의 경우 저항이 낮고, 전류가 높아 시료 1의 경우 전압 8V이상, 시료 2는 12V 이상에서 측정이 불가한 반면, 시료 3의 경우 저항 6 내지 7Ω에서 18V, 4.2A, 75.3W에서 35 내지 100℃의 발열이 가능하다. 즉, 전극간 거리가 25mm인 경우, 전극 폭은 최소 10mm 이상이어야 한다.
시료 4 역시 시료 1, 시료 2와 동일하게 저항이 낮고, 전류가 높이 17V 이상에서 측정이 불가한 반면, 시료 5의 경우 저항 13Ω에서 26V, 4.4A, 114.4W에서 40 내지 90℃의 발열이 가능하다. 또한, 시료 6의 경우 저항 14Ω에서 20V, 3.3A, 66W에서 28 내지 74℃의 발열이 가능하다. 즉, 전극간 거리가 35mm인 경우, 전극 폭은 최소 5mm 이상이어야 한다. 이와 같이 균일한 발열을 위한 전극간 거리와 전극 폭은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삭제
1 : 면상발열체 10 : 필름부재
20 : 발열시트 30 : 전극부재
31 : 수직전극부 32 : 수평전극부
40 : 절연체

Claims (6)

  1.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부재;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일측에 도포되어 형성되는 발열시트;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일측과, 상기 발열시트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전극부재;
    외부로 노출된 상기 필름부재와 상기 발열시트 및 상기 전극부재의 외면에 형성되는 절연체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시트는 유기용매, 결합제, 전도성 카본블랙, 전도성 그라파이트, 분산제 및 가소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전도성 페이스트가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에 도포된 후 건조되어 형성되며,
    상기 발열시트는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중 상기 필름부재의 양측단부 부근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부재는,
    상기 필름부재의 가장자리 부근에 각각 상기 필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쌍의 수직전극부; 및
    상기 한쌍의 수직전극부 중 어느 하나의 수직전극부 일측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수직전극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수평전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평전극부는 상기 발열시트의 상면을 폭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발열시트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전극부는 상기 발열시트상에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발열시트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발열효율과 상기 필름부재에 부착되는 부착력을 고려하여 상기 발열시트의 두께는 0.01 내지 0.1㎜이며,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수평전극부 사이의 거리가 25㎜이면, 상기 수평전극부의 전극폭은 10㎜이상이며,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수평전극부 사이의 거리가 35㎜이면, 상기 수평전극부의 전극폭은 5㎜이상이며,
    상기 수평전극부 사이의 거리와 상기 수평전극부의 전극폭은 반비례하며,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는,
    상기 유기용매 30 ~ 70중량%,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 10 ~ 50중량%, 상기 전도성 그라파이트 5 ~ 20중량% 및 상기 분산제 1 ~ 20중량%, 상기 가소제 1 ~ 15%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상기 혼합물의 조성물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혼합물을 교반장치로 교반하여 제조되며,
    상기 결합제는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과 상기 전도성 그라파이트를 유기적 결합시키는 에틸셀룰로스가 사용되며,
    상기 전도성 그라파이트는 판상 형상을 가지며, 판상 형상을 갖는 상기 전도성 그라파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이 충진되며,
    균일한 발열을 위해 상대적으로 가장 상측에 위치한 수평 전극부의 상측과 상대적으로 가장 하측에 위치한 수평 전극부의 하측에 상기 발열시트의 일부가 노출되며,
    노출된 상기 발열시트와 상기 절연체는 일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수직 전극부와 상기 절연체가 일정 거리 이격되며,
    이격된 영역에 상기 필름부재가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
  2. 삭제
  3. 삭제
  4. 유기용매, 결합제, 전도성 카본블랙, 전도성 그라파이트, 분산제 및 가소제를 혼합하여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와,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부재와, 한쌍의 수직전극부 및 상기 한쌍의 수직전극부 중 어느 하나의 수직전극부로부터 다른 하나의 수직전극부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전극부를 포함하는 전극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일측에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이를 건조하여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에 발열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일측 및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의 상면 일측에 상기 전극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와 상기 전극부재의 외면에 절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에 발열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중 상기 필름부재의 양측단부 부근을 제외한 영역에 발열시트층을 형성하며,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일측 및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의 상면 일측에 상기 전극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필름부재의 상면 중 양측단부 부근에 상기 한쌍의 수직전극부를 각각 상기 필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한쌍의 수직전극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상기 수평전극부의 단부가 상기 발열시트의 상면을 폭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수직전극부를 상기 발열시트 상면에 형성하며, 상기 수직전극부는 상기 발열시트상에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발열시트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발열효율과 상기 필름부재에 부착되는 부착력을 고려하여 상기 발열시트의 두께는 0.01 내지 0.1㎜이며,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수평전극부 사이의 거리가 25㎜이면, 상기 수평전극부의 전극폭은 10㎜이상이며,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된 상기 수평전극부 사이의 거리가 35㎜이면, 상기 수평전극부의 전극폭은 5㎜이상이며,
    상기 수평전극부 사이의 거리와 상기 수평전극부의 전극폭은 반비례하며,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유기용매 30 ~ 70중량%,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 10 ~ 50중량%, 상기 전도성 그라파이트 5 ~ 20중량% 및 상기 분산제 1 ~ 20중량%, 상기 가소제 1 ~ 15%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상기 혼합물의 조성물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혼합물을 교반장치로 교반하며 상기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며,
    상기 결합제는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과 상기 전도성 그라파이트를 유기적 결합시키는 에틸셀룰로스가 사용되며,
    상기 전도성 그라파이트는 판상 형상을 가지며, 판상 형상을 갖는 상기 전도성 그라파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상기 전도성 카본블랙이 충진되며,
    균일한 발열을 위해 상대적으로 가장 상측에 위치한 수평 전극부의 상측과 상대적으로 가장 하측에 위치한 수평 전극부의 하측에 상기 발열시트의 일부가 노출되며,
    노출된 상기 발열시트와 상기 절연체는 일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수직 전극부와 상기 절연체가 일정 거리 이격되며,
    이격된 영역에 상기 필름부재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40053381A 2014-05-02 2014-05-02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5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81A KR101595484B1 (ko) 2014-05-02 2014-05-02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81A KR101595484B1 (ko) 2014-05-02 2014-05-02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477A KR20150126477A (ko) 2015-11-12
KR101595484B1 true KR101595484B1 (ko) 2016-02-19

Family

ID=5460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381A KR101595484B1 (ko) 2014-05-02 2014-05-02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365B1 (ko) 2020-07-13 2021-12-22 동국성신(주) 면상발열체 히터의 발열부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를 가지는 면상발열체 히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1178B (zh) * 2017-08-28 2023-09-29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低温卷烟的发烟装置及其制作方法
KR102156728B1 (ko) * 2019-01-09 2020-09-16 (주)바이오니아 내열성 면상발열체가 접착된 시료농축튜브와 이를 포함하는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석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38B1 (ko) * 2009-02-10 2010-09-01 한국기계연구원 도전성 박막과 전극을 구비한 발열기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0410A (ko) * 2006-09-30 2008-04-04 강석환 면상발열체용 도전성 잉크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면상발열체
KR200446123Y1 (ko) * 2007-01-09 2009-09-28 이장훈 면상발열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538B1 (ko) * 2009-02-10 2010-09-01 한국기계연구원 도전성 박막과 전극을 구비한 발열기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365B1 (ko) 2020-07-13 2021-12-22 동국성신(주) 면상발열체 히터의 발열부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를 가지는 면상발열체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477A (ko)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9350B2 (en) Heater, in particular high-temperature heat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1595484B1 (ko) 면상발열체 및 그의 제조방법
Chu et al. Electr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carbon-nanotube composite for flexible electric heating-unit applications
CN101465259B (zh) 场发射电子器件
CN106189297B (zh) 一种导电沥青及其制备方法
CN208158918U (zh) 一种石墨烯发热板
CN106255239B (zh) 一种地暖用石墨烯电热板及其生产方法
KR20080030410A (ko) 면상발열체용 도전성 잉크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면상발열체
CN101969703B (zh) 中高温碳晶电热材料、中高温碳晶电热板以及相关制备方法
US20210092801A1 (en) Cooktop with a heating coating
CN113480312A (zh) 石墨烯膜及其制备方法
CN203722846U (zh) 一种平面状电热辐射体
KR20130125920A (ko)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투명 발열기판 및 이의 제작방법
CN102821495A (zh) 一种聚四氟乙烯基电热厚膜及其制造方法
CN104270838A (zh) 界面通电与界面发热用电热涂层及其制备方法
CN113067206B (zh) 高厚度高密度大散流面积的柔性石墨接地模块及制作工艺
US3595720A (en) Heating elements
JP2001060489A (ja) 面状炭素発熱体
KR102254883B1 (ko) 면상 발열체
KR101638244B1 (ko) 면상 발열체 및 그 제조 방법
CN205648032U (zh) 变功率电发热膜以及具有其的木地板地暖
CN111343734A (zh) 一种石墨烯发热膜的制备方法
CN215420820U (zh) 石墨烯发热片、石墨烯发热装置及按摩仪
KR100522820B1 (ko) 섬유 및 입자상을 이용한 전도성패널 제조방법
DE102012013496A1 (de) Definierte Leitfähigkeit von organischen Materialien, reduzierte Leitfähigkeitsänderung und Vermeidung von Hot Spots durch Einsatz von lamellaren Eisenglim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