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308B1 -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 - Google Patents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308B1
KR101595308B1 KR1020140048518A KR20140048518A KR101595308B1 KR 101595308 B1 KR101595308 B1 KR 101595308B1 KR 1020140048518 A KR1020140048518 A KR 1020140048518A KR 20140048518 A KR20140048518 A KR 20140048518A KR 101595308 B1 KR101595308 B1 KR 101595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telescopic column
telescopic
pilla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398A (ko
Inventor
최규출
허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진인터내쇼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진인터내쇼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진인터내쇼날
Priority to KR1020140048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30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를 진압하는 방수포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는 방화수를 분사하는 방수포본체, 상기 방수포본체가 결합되어 상기 방수포본체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키는 메인 구동기구, 상기 방수포본체가 지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열 영상을 촬영하는 열화상카메라,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에서 촬영된 열 영상을 기초로 화점을 파악하고, 상기 방수포본체가 상기 화점을 지향하도록 상기 메인 구동기구를 제어하는 화점추적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조작자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화점을 추적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며, 다수의 화점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동시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a nozzle with fire auto Tracking function and a fire truck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화재를 진압하는 방수포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구의 증가로 주거면적이 좁아지면서 오피스텔과 아파트와 같이 고층건물들이 많이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고층건물들은 화재의 발생시 많은 인명피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빠른 화재진압이 중요하다.
고층건물에 화재가 발생 시에는 내부에 소화전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건물의 내부로 진입이 어려운 경우, 소방차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이러한 고층건물에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차는 종래에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0-0108921호의 "다기능 소방차"로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다기능 소방차는 다기능 소방차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회동되는 턴테이블(11)이 설치된 차량몸체(10); 턴테이블(11)에 설치되어 360도 회동하는 것으로서 연장되는 다수의 붐을 가지는 붐구조체(20); 붐구조체(20)의 단부에 설치되는 회동구동부(30); 회동구동부(3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로드부(40); 소방노즐(N)이 고정되는 지그(50); 로드부(40)의 단부에 설치되어 지그(5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입체회동구동부(60);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 화재현장의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70);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 화재현장의 일반 영상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80); 제1카메라(70)와 제2카메라(8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 및 지그(50)에 설치되어 전방 화재현장을 조명하는 조명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다기능 소방차는 붐구조체(20)가 연장되어 높은 고층건물의 화재를 쉽게 진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다기능 소방차는 붐구조체(20)으로 인해 크기가 방대하여 상대적으로 도로의 폭이 좁은 농로나 골목길 등으로 진입이 어려워 농로나 골목길에 위치된 건물에 화재를 진압하기에는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기능 소방차는 붐구조체(20)가 세워진 상태에서 소방노즐(N)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다시 붐구조체(20)를 접어야하기 때문에 붐구조체(20)를 접고 펴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화재진압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카메라(70) 및 제2카메라(80)를 통해 얻은 영상을 토대로 소방노즐(N)이 화점을 향하도록 소방노즐(N)의 위치를 조작자가 직접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화재현장에 위치되는 소방차에서 직접 소방노즐(N)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소방노즐(N)의 위치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화재로 인해 제2의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방노즐(N)이 한 부분으로만 방화수의 분사가 가능하여 다수의 화점이 발생된 화재에서는 신속한 화재진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점을 자동으로 추적하여 화재를 진압하고, 무선으로 조정이 가능하여 화재현장의 노출로 인한 제2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화점이 존재하는 화재의 경우에도 쉽게 진압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좁은 도로에도 쉽게 진입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구비한 소방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는 방화수를 분사하는 방수포본체, 상기 방수포본체가 결합되어 상기 방수포본체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키는 메인 구동기구, 상기 방수포본체가 지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열 영상을 촬영하는 열화상카메라,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에서 촬영된 열 영상을 기초로 화점을 파악하고, 상기 방수포본체가 상기 화점을 지향하도록 상기 메인 구동기구를 제어하는 화점추적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포본체가 지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명하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포본체에서 방화수를 분사하는 방향을 조정하도록 상기 메인 구동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무선컨트롤러, 및 상기 무선컨트롤러에서 발신된 제어신호로 상기 메인 구동기구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화점추적 제어부로 제공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포본체가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방수포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다단식으로 전개되는 텔레스코픽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은 바닥에 결합되는 제1 기둥, 상기 제1 기둥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기둥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기둥, 상기 제2 기둥에 삽입되어 제2 기둥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기둥, 및 상기 제3 기둥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3 기둥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방수포가 결합되는 제4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은 유압에 의해 전개되도록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은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의 외면에 형성되는 계단안착홈,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의 전개 시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을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상기 계단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계단안착홈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단부재, 및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의 전개 시 상기 계단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펼쳐지도록 상기 계단안착홈에서 상기 계단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포본체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방화수를 복수 개의 갈래로 나눠 분사시키는 화점분산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점분산헤드는 상기 방수포본체의 전방을 밀폐하는 헤드본체, 상기 헤드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방화수를 여러 갈래로 나눠 분사시키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 및 상기 방수포본체에서 상기 헤드본체를 회전시켜 상기 분사노즐을 상기 방수포본체의 전방에 위치시키거나, 상기 방수포본체의 전방에서 이탈시키는 헤드 구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점분산헤드는 상기 헤드본체에서 상기 분사노즐을 각각 회전시키는 노즐 구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구동기구는 상기 분사노즐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노즐 구동모터, 상기 노즐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편심연결부재, 및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편심연결부재를 연결하는 노즐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구비한 소방차는 상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화점 지향형 방수포, 상기 방수포가 설치되는 차량,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고 방화수의 압력을 증대시켜 상기 방수포로 공급하는 가압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은 상기 방화수를 저장하여 상기 가압펌프로 공급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화상카메라로 촬영되는 열 영상을 화점추적 제어부에서 화점을 찾아 방수포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때문에 조작자가 방수포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다단식으로 전개되는 텔레스코픽 기둥에 방수포가 설치되어 고층건물의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텔레스코픽 기둥의 전개 시 텔레스코픽 기둥에 설치된 계단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전개되어 계단을 형성함으로써, 방수포의 고장 시 또는 수동조작 시 텔레스코픽 기둥을 축소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직접 올라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화재진압의 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무선컨트롤러가 설치되어 화재현장과 이격된 거리에서 무선으로 방수포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현장의 가까운 곳에 작업자가 노출되어 제2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방수포의 전방에 화점분산헤드가 설치되어 다수의 화점이 존재하는 경우, 선택에 따라 다수에 화점으로 동시에 방화수를 분사함으로써, 빠른 화재진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수직으로 세워진 다단식으로 전개되는 텔레스코픽 기둥에 방수포가 설치되어 차량에 설치되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은 차량에도 방수포의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좁은 도로에도 쉽게 진입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방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텔레스코픽 기둥이 다단식으로 전개되어 위에서 아래를 향해 방화수를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방수포와 인접한 건물의 지하층의 화재 발생시에도 용이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구비한 소방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화점분산헤드가 방수포본체의 전방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화점분산헤드가 방수포본체의 전방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의 화점분산헤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의 화점분산헤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가 구비된 소방차에서 텔레스코픽 기둥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의 텔레스코픽 기둥이 전개된 상태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의 텔레스코픽 기둥이 전개된 상태에서 제2 기둥과 제3 기둥이 연결된 부분만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계단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의 텔레스코픽 기둥이 축소되는 상태에서 제2 기둥과 제3 기둥이 연결된 부분만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계단부재가 접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300)는 방수포본체(3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수포본체(301)는 방화수를 공급하는 가압펌프(230)로부터 압력이 증대시켜 화재진압을 위해 방화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한편, 방수포본체(301)는 노즐의 형태로 형성되어 화점을 향해 방화수를 분사할 수 있으며, 방화수가 분사되는 전방부분에는 회전함에 따라 마치 분무기와 같이 방화수를 분산시켜 분사하거나, 한군데로 집중시켜 분사하는 분사조절노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분사조절노즐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방수포본체(301)는 수직회전축(302)과 수평회전축(303)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방화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방수포(300)는 화점분산헤드(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점분산헤드(350)는 방화지점에 다수의 화점(화재의 발원지점)이 존재할 경우, 방수포본체(301)에서 분사되는 방화수를 다수의 화점으로 분산되도록 여러 갈래로 분산시켜 분사할 수 있다.
화점분산헤드(350)는 방수포본체(301)에서 방화수가 분사되는 전방부분, 방수포본체(301)에 분사조절노즐이 설치될 경우, 분사조절노즐의 전방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화점분산헤드(350)는 선택에 따라 방화수가 분사되는 방수포본체(301)의 전방에 위치되거나, 전방에서 제거되도록 방수포본체(301)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화점분산헤드(350)는 헤드 구동기구(3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헤드 구동기구(355)는 화점분산헤드(350)를 회전시켜 화점분산헤드(350)를 방수포본체(301)의 전방에 위치시키거나, 전방에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 구동기구(355)는 전기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전기모터의 회전축이 화점분산헤드(350)의 둘레에 결합되어 화점분산헤드(3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전기모터의 회전축에는 감속기가 연결되어 감속기에 의해 전기모터의 회전력을 변환시켜 화점분산헤드(3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화점분산헤드(350)는 헤드본체(3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헤드본체(351)는 방수포본체(301)에서 방화수가 분사되는 전방부분과 동일한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방수포본체(301)의 전방부분을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본체(351)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헤드 구동기구(355)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축고정부가 형성된 반대방향의 헤드본체(351)의 부분에는 방화수의 압력을 견뎌 헤드본체(351)가 방수포본체(30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올 돌출되는 고정돌기(35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수포본체(301)에는 고정돌기(359)가 안착되어 걸쳐지는 고정고리(305)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고리(305)는 헤드본체(351)가 방수포본체(301)를 밀폐하도록 회전하는 방향과 마주하는 부분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돌기(359)와 고정고리(305)는 헤드본체(351)가 방수포본체(301)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회전되면, 고정고리(305)의 개방된 부분으로 고정돌기(359)가 삽입되어 헤드본체(351)가 방수포본체(301)에 고정되고, 헤드본체(351)가 방수포본체(301)의 전방에서 제거되도록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고정고리(305)의 개방된 부분으로 고정돌기(359)가 이탈되는 형태로 헤드본체(351)를 방수포본체(301)에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본체(351)에는 하기에 설명될 복수 개의 분사노즐(353)이 설치될 관통된 형태의 노즐 안착홈(35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본체(351)와 방수포본체(301)가 마주하는 둘레 면에는 둘 사이를 기밀하는 오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화점분산헤드(350)는 분사노즐(3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분사노즐(353)은 헤드본체(351)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방수포본체(301)에서 분사되는 방화수를 여러 갈래의 다양한 각도로 분산시켜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노즐(353)은 회전결합부(353a)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결합부(353a)는 헤드본체(351)의 노즐 안착홈(351a)에서 분사노즐(353)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분사노즐(353)의 끝단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본체(351)에 형성되는 노즐 안착홈(351a)도 회전결합부(353a)와 대응되는 구형상의 홈으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실시예에서는 분사노즐(353)을 2개로 구성하였지만, 2개 이상의 개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화점분산헤드(350)는 노즐 구동기구(3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노즐 구동기구(357)는 각 분사노즐(353)마다 서로 다른 방향의 화점으로 방화수를 분사하도록 분사노즐(353)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노즐 구동기구(357)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353)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노즐 구동기구(357)는 편심연결부재(357b), 노즐링크(357c), 노즐 구동모터(357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노즐 구동모터(357a)는 분사노즐(353)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노즐 구동모터(357a)의 회전축에는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편심연결부재(357b)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링크(357c)는 일측 끝단이 편심연결부재(357b)의 편심된 위치에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분사노즐(353)의 측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편심연결부재(357b)와 분사노즐(353)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노즐 구동기구(357)는 노즐 구동모터(357a)가 회전하면 편심된 위치의 링크가 분사노즐(353)을 당기거나 밀어 회전시키는 형태로 분사노즐(353)이 방화수를 분사하는 방향을 다양하게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353)은 편심연결부재(357a)에 의해 원운동하고, 편심연결부재(357b)는 막대 또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300)는 메인 구동기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메인 구동기구(320)는 방수포본체(301)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방화수가 분사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메인 구동기구(320)는 좌우 회전부(310)와 상하 회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우 회전부(310)는 방수포본체(301)를 수직회전축(302)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좌우 회전부(310)는 좌우 구동모터(311)와 기어(gear)들을 포함할 수 있다.
좌우 구동모터(311)는 기어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기어들은 수직회전축(302)에 연결되어 좌우 구동모터(311)의 구동력에 의해 기어들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방수포본체(301)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하 회전부(330)는 수평회전축(303)을 중심으로 방수포본체(301)를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하 회전부(330)는 좌우 구동모터(331)와 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회전부(330)는 좌우 구동모터(331)와 기어(gear)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하 구동모터(331)는 기어들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기어들은 수평회전축(301)에 연결되어 상하 구동모터(331)의 구동력에 의해 기어들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방수포본체(301)을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좌우 회전부(310)와 상하 회전부(33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들은 감속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방수포본체(301)의 수평회전축(303)은 수직회전축(302)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방수포본체(301)의 상하로 회전각도는 중앙을 중심으로 상부로 90°, 하부로 90° 총 180°의 각도로 상하회전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300)는 열화상카메라(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열화상카메라(370)는 방수포본체(301)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한 곳의 외부에서 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촬영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피촬영물에서 적외선을 검지하는 형태로 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열화상카메라(370)에서 촬영된 영상은 하기에 설명될 화점추적 제어부(50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열화상카메라(370)는 방수포본체(301)의 타겟점과 열화상카메라(370)가 촬영하는 중앙 부분이 서로 일치하도록 방수포본체(30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300)는 화점추적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점추적 제어부(500)는 열화상카메라(370)에서 촬영되는 열 영상을 분석하여 화점을 찾고, 화점을 지향하여 방화수를 분사하도록 메인 구동기구(320)를 제어하여 방수포본체(301)에서 방화수를 분사하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화점추적 제어부(500)는 열 영상에서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진 부분을 화점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의 중앙에 화점이 일치되도록 메인 구동기구(320)를 제어하여 방수포본체(301)가 화점을 향해 방화수를 분사하도록 방수포본체(301)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열화상카메라(370)는 방수포본체(301)의 타겟점과 촬영하는 중앙 부분이 서로 일치되도록 방수포본체(301)에 설치되기 때문에 열화상카메라(370)로 촬영되는 영상의 중앙에 위치시키면 자연적으로 방수포본체(301)도 화점을 지향하여 방화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300)는 조명기구(3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조명기구(390)는 방수포본체(301)에 설치되어 방수포본체(301)가 지향하는 부분을 조명할 수 있다.
예컨대, 야간이나 화재가 발생한 부분이 어두울 경우, 조명기구(390)로 조명하여 정확하게 화점을 겨냥하여 방화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이때, 조명기구(390)는 저전력 고효율의 LED램프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300)는 무선컨트롤러(600) 및 무선통신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무선컨트롤러(600)는 조작자가 조작하여 방수포본체(301)에서 방화수를 분사하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화점추적 제어부(500)에서 화점을 추적하지 못하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조작자가 직접 방수포본체(301)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무선컨트롤러(600)는 방수포본체(301)를 제어할 수 있는 각종 스위치와 조이스틱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무선컨트롤러(600)는 방수포본체(301)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하기에 설명될 무선통신부(510)로 발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510)는 무선컨트롤러(600)에서 발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방수포본체(301)를 제어하는 화점추적 제어부(5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510)는 열화상카메라(370)로 촬영되는 열 영상을 화점추적 제어부(500)로부터 제공받아 무선으로 발신할 수 있으며, 무선컨트롤러(600)에는 디스플레이(610)가 설치되어 무선통신부(510)에서 발신되는 열 영상을 수신받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컨트롤러(600)와 무선통신부(510)는 방수포본체(301)에서 이격된 거리에서도 무선으로 방수포본체(301)를 제어할 수 있으며, 무선컨트롤러(600)의 디스플레이(610)에서 표시되는 열 영상을 통해 화점에 정확히 방화수를 분사하도록 방수포본체(301)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컨트롤러(600)는 유압펌프를 작동시켜 하기에 설명될 텔레스코픽 기둥(400)이 전개되거나 축소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300)는 텔레스코픽 기둥(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텔레스코픽 기둥(400)은 방수포본체(301)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한편, 텔레스코픽 기둥(400)은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다단식으로 전개되어 방수포본체(301)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텔레스코픽 기둥(400)은 마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와 같이, 전개되도록 제1 기둥(410)과, 제2 기둥(420)과, 제3 기둥(430)과 제4 기둥(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기둥(440)들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기둥(410)의 하단은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제2 기둥(420)은 제1 기둥(41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3 기둥(430)은 제2 기둥(42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4 기둥(440)은 제3 기둥(43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전개시 최상단에 위치되는 제4 기둥(440)의 상단에는 방수포본체(30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 기둥은(410,420,430,440)은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내관(470)이 각각 설치되어 각 내관(470)이 텔레스코픽 기둥(400)과 같이 다단식으로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텔레스코픽 기둥(400)과 내관(470) 사이 또는 내관(470)의 내부 중 어느 하나에는 가압펌프(230)가 연결되어 방수포본체(310)로 방화수로 공급하고, 다른 하나에는 유압펌프가 연결되어 텔레스코픽 기둥(400)을 전개시키는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내관(470)의 내부로 방화수를 공급하고, 내관(470)과 텔레스코픽 기둥(400)의 사이로는 텔레스코픽 기둥(400)을 전개시키는 유체 예컨대, 유압오일이 공급되도록 구성하였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기둥(400)에는 방수포본체(301)의 고장 시 긴급하게 방수포본체(301)를 수동 조작 시 텔레스코픽 기둥(400)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계단부재(4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계단부재(450)는 막대형상 또는 손잡이 또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텔레스코픽 기둥(400)의 전개 시 각 기둥(410,420,430,440)에서 돌출되어 계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각 기둥(410,420,430,440)의 둘레에는 계단안착홈(451)이 텔레스코픽 기둥(4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고, 각 계단안착홈(451)에는 계단부재(450)가 회전하여 삽입되도록 계단부재(450)의 하단 부분이 각 계단안착홈(451)에 힌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계단부재(450)는 텔레스코픽 기둥(400)의 전개 시 탄성력에 의해 계단안착홈(451)에서 회전하여 펼쳐지도록 탄성부재(45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계단부재(450)는 텔레스코픽 기둥(400)의 전개 시 탄성부재(453)의 탄성력에 의해 각 계단안착홈(451)에서 회전하는 형태로 펼쳐져 계단을 형성하고, 텔레스코픽 기둥(400)이 축소될 때에는 각 기둥(410,420,430,440)의 상단부분에 가압되고, 이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여 계단안착홈(451)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텔레스코픽 기둥(400)의 가장 하단에 위치되는 제1 기둥(410)에는 계단안착홈(451)이 형성되지 않고 계단부재(450)가 펼쳐진 상태로 텔레스코픽 기둥(4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300)는 화재의 발생 시 텔레스코픽 기둥(400)이 전개되도록 텔레스코픽 기둥(400)의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작동시킨다.
유압펌프가 작동하면, 텔레스코픽 기둥(400)의 내부에 유체가 채워지면서 각 기둥(410,420,430,440)이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전개된다.
이때, 유체는 텔레스코픽 기둥(400)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관(470)으로 공급되거나, 텔레스코픽 기둥(400)과 내관(470)의 사이 중 어느 한 군데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텔레스코픽 기둥(400)이 전개되면, 각 계단안착홈(451)에 수용되었던 계단부재(450)는 탄성부재(453)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펼쳐져 텔레스코픽 기둥(400)을 오르고 내릴 수 있는 계단을 형성한다.
이 계단을 형성하는 계단부재(450)는 텔레스코픽 기둥(400) 또는 방수포본체(301)의 고장시 또는 긴급하게 방수포본체(301)를 수동조작시, 계단부재(450)를 통해 텔레스코픽 기둥(400)을 오르고 내릴 수 있다.
한편, 텔레스코픽 기둥(400)이 전개되면, 열화상카메라(370)가 작동하여 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열 영상은 화점추적 제어부(500)로 전달되어 열 영상에서 화점을 추적한다.
화점이 추적되면, 화점추적 제어부(500)는 방수포본체(301)가 화점으로 방화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메인 구동기구(320)를 제어하여 방수포본체(301)의 방향을 조절한다.
그리고, 방수포본체(301)에서 방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가압펌프(230)를 작동시킨다.
가압펌프(230)가 작동되면, 방화수의 압력이 증대되어 텔레스코픽 기둥(400)의 내부를 통해 방수포본체(301)로 공급되고 화점을 향해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이때, 방화수는 텔레스코픽 기둥(400)과 내관(470)의 사이 및 내관(470)의 내부 중 기둥(400)의 전개를 위해 유체가 공급되는 부분과는 다른 부분을 통해 방수포본체(301)로 전달되고, 야간이나 화재가 발생한 부분이 어두운 장소일 경우, 방수포본체(301)에 구비된 조명기구(390)를 작동하여 조명할 수 있다.
한편, 조작자가 방수포본체(301)를 조정해야 할 경우, 예컨대, 화재가 크게 번져 열 영상에서 화점을 찾지 못할 경우에는 무선컨트롤러(600)를 통해 방수포본체(301)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무선컨트롤러(600)에서는 조작자에 조작에 따라 메인 구동기구(32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무선으로 발신되며, 제어신호는 무선통신부(510)가 수신하여 화점추적 제어부(500)로 전달하고, 화점추적 제어부(500)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메인 구동기구(320)를 작동시키는 형태로 조작자가 방수포본체(301)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컨트롤러(600)에 디스플레이(610)가 구비된 경우에는 열화상카메라(37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무선통신부(510)를 통해 발신되고, 무선컨트롤러(600)가 수신하여 디스플레이(610)에서 표시하여 조작자가 정확한 화점을 향해 방화수가 분사되도록 방수포본체(301)를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열화상카메라(370)로 촬영된 열 영상에서 다수의 화점이 존재하는 경우, 다수의 화점으로 방화수가 분사되도록 방수포본체(301)에 구비된 화점분산헤드(350)를 헤드 구동기구(355)로 회전시켜 방수포본체(301)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복수의 분사노즐(353)이 각각의 화점을 지향하도록 각각의 분사노즐(353)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분사노즐(353)은 각 분사노즐(353)을 회전시키는 노즐 구동기구(357)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데, 노즐 구동기구(357)는 노즐 구동모터(357a)에 연결된 편심연결부재(357b)을 회전시켜 분사노즐(353)에 연결된 링크에 의해 원호 회전시키는 형태로 분사노즐(353)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방수포본체(301)의 전방에 화점분산헤드(350)가 위치되면, 방수포본체(301)에서 분사되는 방화수가 각 분사노즐(353)을 통해 여러 갈래로 분산되어 분사됨으로써, 복수의 화점이 존재할 경우에도 신속하게 화재진압이 가능하다.
여기서, 화점분산헤드(350)는 화점추적 제어부(500)에 제어 받아 방화수의 타겟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컨트롤러(600)로도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화재진압이 완료되면, 가압펌프(230)의 작동을 멈춰 방화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텔레스코픽 기둥(400)을 전개하기 위해 공급하였던, 유체를 유체펌프로 다시 회수하여 전개된 텔레스코픽 기둥(400)의 길이를 축소시킨다.
이때, 각 기둥(410,420,430,440)이 서로 내부로 삽입되면서, 각 기둥(410,420,430,440)의 상단부분에 계단부재(450)가 가압되어 계단안착홈(451)에 수용된 상태로 각 기둥(410,420,430,440)의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300)는 열화상카메라(370)로 화점을 추적하여 방화수를 분사함으로써, 화점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방화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또한, 화점분산헤드(350)가 설치되어 다수의 화점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정확하고 용이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텔레스코픽 기둥(400)의 전개 시 자동으로 계단이 형성되어 방수포본체(301)의 고장 시 또는 유사시 방수포본체(301)를 수동 조작하기 위해 텔레스코픽 기둥(400)을 오르내릴 수 있다.
또한, 무선컨트롤러(600)를 통해 방수포본체(301)의 조작이 가능하여 화재발생 지점과 이격된 부분에서 방수포본체(301)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명기구(390)가 설치되어 어두운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기둥(400)이 다단식으로 전개되어 위에서 아래를 향해 최대 90°즉, 방수포본체(301)의 수직 하부까지 방화수를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방수포(300)와 인접한 건물의 지하층의 화재 발생시에도 용이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화점 지향형 방수포를 구비한 소방차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화점 지향형 방수포를 구비한 소방차(100)는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화점 지향형 방수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점 지향형 방수포(300)는 위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구비한 소방차(100)는 차량(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차량(200)은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할 수 있으며, 차량(200)은 가압펌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압펌프(230)는 차량(200)에 설치되어 방화수의 압력을 증대시켜 하기에 설명될 방수포(300)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200)은 저장탱크(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저장탱크(210)는 차량(200)에 설치되어 방화수를 저장하며, 저장된 방화수를 가압펌프(230)를 통해 방화수의 압력을 증대시켜 자동 화점 지향형 방수포(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 화점 지향형 방수포를 구비한 소방차(100)에는 텔레스코픽 기둥(400)의 하단이 차량(200)에 결합되어 차량(200)에 의해 자동 화점 지향형 방수포(300)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구비한 소방차(100)는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의 텔레스코픽 기둥(400)이 설치되어 방수포(300)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차량에 방수포(300)을 탑재하여 대형 소방차의 진입이 어려운 폭이 좁은 도로에도 용이하게 진입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이동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구비한 소방차
200: 차량 210: 저장탱크
230: 가압펌프 300: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301: 방수포본체 302: 수직회전축
303: 수평회전축 305: 고정고리
310: 좌우 회전부 311: 좌우 구동모터
320: 메인 구동기구 330: 상하 회전부
331: 상하 구동모터 350: 화점분산헤드
351: 헤드본체 351a: 노즐 안착홈
353: 분사노즐 353a: 회전결합부
355: 헤드 구동기구 357: 노즐 구동기구
357a: 노즐 구동모터 357b: 편심연결부재
357c: 노즐링크 359: 고정돌기
370: 열화상카메라 390: 조명기구
400: 텔레스코픽 기둥 410: 제1 기둥
420: 제2 기둥 430: 제3 기둥
440: 제4 기둥 450: 계단부재
451: 계단안착홈 453: 탄성부재
470: 내관 500: 화점추적 제어부
510: 무선통신부 600: 무선컨트롤러
610: 디스플레이

Claims (14)

  1. 방화수를 분사하는 방수포본체,
    상기 방수포본체가 결합되어 상기 방수포본체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키는 메인 구동기구,
    상기 방수포본체가 지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열 영상을 촬영하는 열화상카메라, 및
    상기 열화상카메라에서 촬영된 열 영상을 기초로 화점을 파악하고, 상기 방수포본체가 상기 화점을 지향하도록 상기 메인 구동기구를 제어하는 화점추적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포본체가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방수포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다단식으로 전개되는 텔레스코픽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은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과 함께 다단식으로 전개되는 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 과 상기 내관 중 어느 하나의 내부로는 방화수가 공급되고 다른 하나의 내부로는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을 전개시키기 위해 상기 방화수와는 다른 유체가 공급되며,
    상기 방수포본체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상기 방화수를 복수 개의 갈래로 나눠 분사시키는 화점분산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화점분산헤드는 상기 방수포본체의 전방을 밀폐하는 헤드본체, 상기 헤드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방화수를 여러 갈래로 나눠 분사시키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 및 상기 방수포본체에서 상기 헤드본체를 회전시켜 상기 분사노즐을 상기 방수포본체의 전방에 위치시키거나, 상기 방수포본체의 전방에서 이탈시키는 헤드 구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화점분산헤드는 상기 헤드본체에서 상기 분사노즐을 각각 회전시키는 노즐 구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구동기구는 상기 분사노즐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노즐 구동모터, 상기 노즐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편심연결부재, 및 상기 분사노즐과 상기 편심연결부재를 연결하는 노즐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본체가 지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명하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본체에서 방화수를 분사하는 방향을 조정하도록 상기 메인 구동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신하는 무선컨트롤러, 및
    상기 무선컨트롤러에서 발신된 제어신호로 상기 메인 구동기구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화점추적 제어부로 제공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은
    바닥에 결합되는 제1 기둥,
    상기 제1 기둥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기둥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기둥,
    상기 제2 기둥에 삽입되어 제2 기둥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기둥, 및
    상기 제3 기둥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3 기둥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방수포가 결합되는 제4 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은
    유압에 의해 전개되도록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은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의 외면에 형성되는 계단안착홈,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의 전개 시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을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상기 계단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계단안착홈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계단부재, 및
    상기 텔레스코픽 기둥의 전개 시 상기 계단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펼쳐지도록 상기 계단안착홈에서 상기 계단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 제2항, 제3항, 제6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상기 방수포가 설치되는 차량,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고 방화수의 압력을 증대시켜 상기 방수포로 공급하는 가압펌프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구비한 소방차.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방화수를 저장하여 상기 가압펌프로 공급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를 구비한 소방차.
KR1020140048518A 2014-04-23 2014-04-23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 KR101595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518A KR101595308B1 (ko) 2014-04-23 2014-04-23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518A KR101595308B1 (ko) 2014-04-23 2014-04-23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398A KR20150122398A (ko) 2015-11-02
KR101595308B1 true KR101595308B1 (ko) 2016-02-18

Family

ID=5459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518A KR101595308B1 (ko) 2014-04-23 2014-04-23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884B1 (ko) * 2019-07-29 2020-02-12 이범수 특수 화재진화 및 구조 시스템
CN111853378A (zh) * 2020-07-21 2020-10-30 德阳市卿发建材物资有限公司 新型玻璃钢内衬混凝土组合管
KR102678589B1 (ko) * 2022-04-12 2024-06-26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화재진압용 차량에 구비된 소방수 분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5411A1 (en) 2004-09-28 2006-03-30 Oshkosh Truck Corporation Firefighting agent delive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616U (ko) * 2008-01-23 2009-07-28 신용희 소방차용 방수포시스템
KR20100108925A (ko) * 2009-03-31 2010-10-08 이윤희 다기능 소방차
KR20120011378A (ko) * 2010-07-29 2012-02-08 김유찬 다관절 접이식 무인원격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5411A1 (en) 2004-09-28 2006-03-30 Oshkosh Truck Corporation Firefighting agent deliv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398A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308B1 (ko) 텔레스코픽 자동화점추적 방수포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
US9566459B2 (en) Fire engine suitable for fire-fighting in high-rise and super high-rise buildings
US5211245A (en) Vehicle mounted aerial lift
EP1371391B1 (en) A fluid dispensing arrangement and skid pan for a vehicle
JP6170622B2 (ja) 高層及び超高層ビルの消火活動に適用する消防車の制御方法
US9573004B2 (en) Control system of a fire truck for high-rise and super high-rise building firefighting
KR20120011378A (ko) 다관절 접이식 무인원격 소화장치
KR102245515B1 (ko) 스쿠터
KR101595312B1 (ko) Bim을 이용한 화재진압 방수포 및 bim을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KR102584199B1 (ko) 자동차화재 진압 및 방어용 커버
KR101990631B1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비상 관창
US20190134440A1 (en) Aerial flowable material delivery trailer
CN102740932B (zh) 用于分配诸如水、水和泡沫的混合物等的灭火液体的设备
JP2012223434A (ja) 消防用放水車
JP2017000082A (ja) ブームスプレーヤ
CN105920760A (zh) 一种高空灭火设备
JP2022132547A (ja) 低層建物用高所消火装置
TW202005681A (zh) 放水裝置及滅火系統
KR102049528B1 (ko) 수관 결합구조를 갖는 인명구조용 소방차 작업대
KR200491486Y1 (ko) 수관 결합구조를 갖는 인명구조용 소방차 작업대
WO2015034348A1 (en) Apparatus for fire and/or smoke control
KR101562200B1 (ko)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050716A (zh) 一种车载式自动灭火设备
KR101914670B1 (ko) 파괴방수소방차 및 그 제어방법
KR102083894B1 (ko) 버켓을 구비하는 소방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