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669B1 - 튜브 테스트장치 - Google Patents

튜브 테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669B1
KR101594669B1 KR1020140054747A KR20140054747A KR101594669B1 KR 101594669 B1 KR101594669 B1 KR 101594669B1 KR 1020140054747 A KR1020140054747 A KR 1020140054747A KR 20140054747 A KR20140054747 A KR 20140054747A KR 101594669 B1 KR101594669 B1 KR 101594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luid
fastening part
tubes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131A (ko
Inventor
문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54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669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튜브 테스트장치는, 복수 개 튜브의 누수 유무를 동시에 확인하기 위한 튜브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프레임과,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과, 상기 유체공급라인과 복수 개의 튜브의 일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유체공급라인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분리하여 복수 개의 상기 튜브로 공급하는 제1 튜브체결부,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튜브를 폐쇄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튜브의 타단부에 체결되는 제2 튜브체결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복수의 튜브의 누수 유무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으므로 종래 방법에 비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튜브 테스트장치{TESTING APPARATUS FOR TUBE}
본 발명은 튜브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 튜브의 누수 유무를 동시에 확인하기 위한 튜브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산업분야에서는 고온의 환경에서 공정이 이루어지며, 특히 철강 제조 공정이 대표적이다. 철강 제조 공정 중에서도 연속주조 공정은 용강으로부터 주편(slab)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고온의 용강을 냉각하기 위하여 냉각장치가 사용된다. 이때, 용강은 주형에서 성형되는 과정에서 1차 냉각되고, 가이드 롤을 통해 이동하면서 가이드 롤 사이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2차 냉각된다. 이러한 냉각장치는 냉각이 필요한 곳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다수의 튜브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고온 등의 가혹한 외부환경 또는 오랜 사용시간에 의하여 냉각수를 이송하는 튜브가 마모되거나 파손되어 냉각수가 누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은 냉각수를 공급하는 튜브(T)가 설비(M) 내에서 파손된 그림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튜브의 누수 또는 파손으로 설비의 작동에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튜브의 손상 여부를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튜브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설비로부터 튜브를 분리하여 육안으로 튜브를 살펴보고 재사용 가능한지 판단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으로는 튜브의 파손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상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지 못한 튜브를 설비에 재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냉각수의 누수 또는 튜브의 파손이 설비 내에서 발생하여야 다시 튜브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설비 자체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설비에서 분리된 다양한 종류의 튜브를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누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튜브 테스트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 테스트 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다양한 튜브를 동시에 설치하여 누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튜브 테스트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튜브 테스트장치는, 장치프레임;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 상기 유체공급라인과 복수 개의 튜브의 일단부가 체결되고, 상기 유체공급라인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분리하여 복수 개의 상기 튜브로 공급하는 제1 튜브체결부; 및 복수 개의 상기 튜브를 폐쇄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튜브의 타단부에 체결되는 제2 튜브체결부;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튜브체결부는, 상기 유체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유입단; 및 상기 유입단과 연통되고, 복수 개의 상기 튜브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토출단;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튜브체결부는, 복수 개의 상기 토출단 각각에 체결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 및 상기 튜브에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상기 토출단 각각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개폐밸브의 후방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압력측정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프레임은, 상기 제1 튜브체결부 및 제2 튜브체결부 사이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튜브체결부 또는 제2 튜브체결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치프레임은,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톱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이동부재와 같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재가 마련된 상기 제1 튜브체결부 또는 제2 튜브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슬라이딩바; 상기 슬라이딩바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장치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딩바를 고정 및 해제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장착되는 잭볼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튜브체결부는, 복수 개의 상기 튜브 각각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튜브체결부재; 및 상기 튜브체결부재가 설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튜브 각각의 길이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상기 튜브체결부재를 각각 상기 제1 튜브체결부 측으로 전진 및 후진 하도록 마련되는 이송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튜브체결부는, 상기 튜브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유입단에 설치되는 압력측정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력측정기에 의하여 측정된 유체의 압력이 설정 값 이상이 되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체공급라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튜브체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토출단에 탈착되게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튜브가 탈착되게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튜브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직경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튜브 테스트장치에 따르면, 튜브 테스트장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튜브의 누수 유무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으므로 테스트 시간을 절약하여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측정기를 마련하여 튜브의 누수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종래 테스트 방법과 비교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의 손상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여 불필요한 튜브의 교체를 방지하여 설비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설비에서 튜브가 파손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테스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튜브 테스트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튜브 테스트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튜브 테스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튜브 테스트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테스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튜브 테스트장치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테스트장치(10a)는 장치프레임(100)과, 상기 장치프레임(100)에 제공되고 복수 개의 튜브(T)가 체결되며, 체결된 복수 개의 튜브(T)에 유체를 공급하여 복수 개의 튜브(T)의 누수 유무를 동시에 확인하는 테스트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테스트수단은 상기 장치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210), 상기 튜브(T)의 양단이 체결되는 제1 튜브체결부(220)와 제2 튜브체결부(230), 튜브(T)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224), 상기 제1 튜브체결부(220)와 제2 튜브체결부(230) 간의 사이를 조절하는 이동부재(240),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40)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톱퍼(25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체공급라인(210)은 가스 또는 냉각수 등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상태의 유체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자체적으로 유체를 압축하여 공급할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전달하는 방식으로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공급라인(210)은 어느 하나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상용의 장비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체공급라인(210)은 유체를 제1 튜브체결부(220)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1 튜브체결부(220)와 연결되는 공급배관(21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튜브체결부(220)는 유체공급라인(210)의 공급배관(211)과 연결되는 유입단(221)과, 상기 유입단(221)과 연통되고 복수 개의 튜브(T)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토출단(222)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단(221)과 토출단(222)은 내부가 관통된 관 형식으로 마련된다. 상기 유입단(221)은 일측영역이 유체공급라인(210)의 공급배관(211)에 연결되고, 타측영역에 토출단(222)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확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단(222)은 유입단(221)의 타측영역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복수 개의 튜브(T)가 각각 체결되어 유입단(221)으로 유입된 유체가 동시에 복수 개의 튜브(T)에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튜브체결부(230)는 제1 튜브체결부(220)의 토출단(222)과 수와 형태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제1 튜브체결부(22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2 튜브체결부(230)는 제1 튜브체결부(220)에 체결된 복수 개의 튜브(T)의 타측단에 체결되며, 체결된 튜브(T)의 내부에 유체가 유입될 경우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튜브(T)를 밀폐한다.
상기 압력측정기(224)는 제1 튜브체결부(220)의 유입단(221)에 마련되어 상기 유체공급라인(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는, 튜브(T)에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테스트 중에 튜브(T)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압력측정기(224)에 표시되는 압력이 튜브(T)가 견딜 수 있는 소정 치의 압력을 넘어서는 경우 유체공급라인(210)으로부터의 유체 공급을 차단하거나, 공급배관(211)에 마련되어 있는 차단밸브(212)를 작동하여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하여 튜브(T)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튜브체결부(220)와 제2 튜브체결부(230)는 장치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상기 장치프레임(100)에는 상기 제1 튜브체결부(220)와 제2 튜브체결부(230) 사이에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튜브체결부(220) 또는 제2 튜브체결부(23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0)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이동부재(2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240)는 제2 튜브체결부(230)에 마련되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테스트할 튜브(T)의 길이에 대응하여 제1 튜브체결부(220)와 제2 튜브체결부(2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튜브체결부(230)에 이동부재(240)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한 일예를 도시한 것이고, 제1 튜브체결부(220)에 이동부재(240)가 마련되어 제1 튜브체결부(220)가 이동하거나, 제1 튜브체결부(220) 및 제2 튜브체결부(230) 모두가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제1 튜브체결부(220)와 제2 튜브체결부(2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베어링(bearing), 랙 피니언 타입(rack pinion type) 등 어떠한 기계적 이동수단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톱퍼(250)는 이동부재(24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상기 스톱퍼(250)는 이동부재(240)가 마련된 제2 튜브체결부(230)에 연결되는 슬라이딩바(251), 상기 슬라이딩바(25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52),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바(251)를 고정 및 해제하는 잭볼트(253)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바(251)는 제1 튜브체결부(220)와 제2 튜브체결부(230) 사이의 이동거리에 대응하도록 길이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바(251)의 일측단은 이동부재(240)가 마련된 제2 튜브체결부(230)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절곡 형성되어 제1 튜브체결부(220)와 제2 튜브체결부(230)가 충돌하지 않도록 이동부재(240)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52)는 장치프레임(100)에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바(25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바(251)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52)는 슬라이딩바(25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내측에 베어링(미도시)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잭볼트(253)는 가이드부(252)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부재(240)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슬라이딩바(251)의 구속을 해제하고, 상기 이동부재(240)의 이동을 구속해야 하는 경우 가이드부(252)를 압착하여 고정한다.
물론, 상기 이동부재(24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트/너트 체결방법 등 다양한 기계적 고정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튜브체결부(220)는 상기 토출단(222)과 튜브(T)의 사이에 구비되어, 일단부가 토출단(222)에 탈착되게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튜브(T)가 탈착되게 설치되는 체결부재(2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23)는 토출단(222)과 튜브(T)를 연결하는 어댑터(adapter)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재(223)의 일단부(223a)는 토출단(222)의 직경에 대응하여 탈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223b)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튜브(T)가 탈착되도록 다양한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23)는 테스트 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신속하게 탈착할 수 있는 캠록 커플링(cam-lock coupling)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체결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기계적 체결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튜브체결부(230)도 제1 튜브체결부(220)와 동일하게 튜브(T)의 직경에 대응하여 교체할 수 있는 튜브체결부재(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테스트할 튜브(T)의 직경에 대응하는 체결부재로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직경의 튜브를 테스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냉각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튜브(T)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제1 튜브체결부(220)의 토출단(222)에 테스트할 튜브(T)의 직경에 대응하는 체결부재(223)를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23)에 튜브의 일측단을 연결하고, 타측단을 제2 튜브체결부(230)에 각각 연결한다. 유체공급라인(210)을 작동시켜 모든 튜브(T)에 냉각수를 공급하며, 공급되는 냉각수는 공급배관(211)과 유입단(221)을 통과하여 유입단(221)의 타측단에서 분산되어 복수 개의 토출단(222)를 통하여 모든 튜브(T)에 동시에 공급된다. 그리고, 육안으로 튜브(T)의 외부를 확인하여 냉각수의 누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튜브 테스트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튜브 테스트장치(10b)는 앞서 설명한 튜브 테스트장치(10a)에 복수의 압력측정기(224)와 복수의 개폐밸브(225)를 더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 복수의 압력측정기(224)와 복수의 개폐밸브(225)는 제1 튜브체결부(220)의 토출단(222)에 각각 마련된다. 이는, 튜브(T)에 공급된 유체의 누수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튜브(T)에 유입되는 유체가 액체인 경우에는 육안으로 판단 가능하지만, 무색 무취의 가스인 경우에는 육안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이러한 구성으로 가스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튜브(T)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제1 튜브체결부(220)의 토출단(222)에 테스트할 튜브(T)의 일측단을 연결하고, 타측단을 제2 튜브체결부(230)에 각각 연결한다. 여기서, 제2 튜브체결부(230)는 제1 튜브체결부(220)와 달리 내부가 연통되어 있지 않고, 각각의 튜브(T)에 체결되어 튜브(T)의 타측단을 차폐한다. 그리고, 유체공급라인(210)을 작동시켜 모든 튜브(T)에 가스를 공급한다. 튜브(T)에 소정치 이상의 압력으로 가스가 유입되면 토출단(222)에 마련되어 있는 각각의 개폐밸브(225)를 작동하여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고, 토출단(222)에 마련되어 있는 압력게이지에 표시되는 압력 값을 확인한다. 튜브가 손상되어 가스의 누출이 있는 경우에는 압력측정기(224)에 표시되는 압력 값이 낮아지게 되므로 보다 정확하게 튜브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튜브 테스트장치(10b)는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튜브(T)를 동시에 테스트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튜브체결부(230)는 복수 개의 상기 튜브(T) 각각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튜브체결부재와, 복수 개의 상기 튜브(T) 각각의 길이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상기 튜브체결부재를 각각 상기 제1 튜브체결부(220) 측으로 전진 및 후진 하도록 마련되는 이송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재가 전진 및 후진하는 구성을 살펴보면, 장치프레임(100)에 구비되는 베이스몸체(미도시)와, 상기 베이스몸체에 설치되는 이송가이드(미도시)와, 상기 이송가이드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하는 이송부재, 그리고 상기 이송부재를 이동하게 하는 리드스크류(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가이드는 베이스몸체에 고정되고, 단면이 반원 형태로 내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재는 튜브체결부재가 체결되며, 이송가이드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측에 암나사산이 구비된 관통구멍이 마련된다. 여기서, 이송가이드와 이송부재는 일측에 평면을 가지는 반원 형태로 제작되고, 이송가이드의 내측 평면에 이송부재의 외측 평면이 맞닿아 있어 이송부재의 회전운동을 구속한다.
상기 리드스크류는 이송가이드에 회동되게만 체결되고, 이송부재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암나사산과 상대운동하도록 숫나사산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스크류의 회전운동에 대응하여 이송부재는 직선운동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이송부재는 직선운동하게 되고, 이송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튜브체결부재가 제1 튜브체결부(2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튜브(T)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각각의 튜브(T)의 길이에 대응하여 설치 간격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송부재를 이동하기 위한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동장치를 마련하여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하는 방법 등 다양한 기계적 이동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튜브 테스트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블록도이다.
상기 테스트수단은 압력측정기(224)에 의하여 측정된 유체의 압력이 설정 값 이상이 되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체공급라인(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튜브 테스트장치(10a)의 제어부(26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60)는 유체공급라인(210)과 차단밸브(212)의 작동을 제어하고 압력측정기(224)에 표시되는 압력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유체공급라인(210)에서 유체가 공급되면 압력측정기(224)는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게 되고, 제어부(260)에 설정되어 있는 설정 값 이상의 압력이 압력측정기(224)에 의하여 측정되면 제어부(260)는 유체공급라인(210)을 작동하여 유체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공급배관(211)에 마련되어 있는 차단밸브(212)를 작동하여 유체의 유입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튜브 테스트장치(10b)의 제어부(260)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60)는 유체공급라인(210)과 각각의 개폐밸브(225)의 작동을 제어하고 압력측정기(224)에 표시되는 각각의 압력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유체공급라인(210)에서 유체가 공급되면 각각의 토출단(222)에 마련되어 있는 압력측정기(224)는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게 되고, 제어부(260)에 설정되어 있는 설정 값 이상의 압력이 압력측정기(224)에 의하여 측정되면 제어부(260)는 토출단(222)에 마련되어 있는 개폐밸브(225)를 각각 작동하여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모든 토출단(222)가 차단되면 유체공급라인(210)을 작동하여 유체의 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제어부(260)에 설정되어 있는 설정 값은 튜브(T)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압력 값이거나, 실재 사용환경에서의 압력 값으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튜브를 테스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a, 10b : 튜브 테스트장치 T : 튜브
100 : 장치프레임 110 : 가이드레일
210 : 유체공급라인 211 : 공급배관
212 : 차단밸브 220 : 제1 튜브체결부
221 : 유입단 222 : 토출단
223 : 체결부재 224 : 압력측정기
225 : 개폐밸브 230 : 제2 튜브체결부
240 : 이동부재 250 : 스톱퍼
251 : 슬라이딩바 252 : 가이드부
253 : 잭볼트 260 : 제어부

Claims (8)

  1. 삭제
  2.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된 장치프레임(100);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210);
    상기 장치프레임(100)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공급라인(210)과 연결되는 유입단(221)과, 상기 유입단(221)과 연통되고 복수 개의 튜브(T)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토출단(222)을 구비하여, 상기 유체공급라인(210)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분리하여 복수 개의 상기 튜브(T)로 공급하는 제1 튜브체결부(220);
    상기 장치프레임(100)에 배치되고,상기 튜브(T)의 타단부를 폐쇄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튜브(T)의 타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튜브체결부재와, 상기 튜브체결부재를 지지하고 복수 개의 상기 튜브(T) 각각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튜브체결부재 각각을 상기 제1 튜브체결부(22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 시키도록 마련되는 이송부재를 구비하는 제2 튜브체결부(230); 및
    상기 제1 튜브체결부(220) 또는 제2 튜브체결부(230)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10) 상을 이동하여 상기 제1 튜브체결부(110)와 상기 제2 튜브체결부(23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동부재(24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테스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체결부(220)는,
    복수 개의 상기 토출단(222) 각각에 체결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225); 및
    상기 튜브(T)에 유입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상기 토출단(222) 각각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개폐밸브(225)의 후방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압력측정기(224);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테스트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프레임(100)은,
    상기 이동부재(240)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톱퍼(25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톱퍼(250)는,
    상기 이동부재(240)와 같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부재(240)가 마련된 상기 제1 튜브체결부(220) 또는 제2 튜브체결부(230)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슬라이딩바(251);
    상기 슬라이딩바(251)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장치프레임(100)에 설치되는 가이드부(252); 및
    상기 슬라이딩바(251)를 고정 및 해제하도록, 상기 가이드부(252)에 장착되는 잭볼트(253);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테스트장치.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체결부(220)는,
    상기 튜브(T)에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유입단(221)에 설치되는 압력측정기(224);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력측정기(224)에 의하여 측정된 유체의 압력이 설정 값 이상이 되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상기 유체공급라인(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테스트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체결부(220)는,
    일단부가 상기 토출단(222)에 탈착되게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튜브(T)가 탈착되게 설치되는 체결부재(22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223)의 타단부는 상기 튜브(T)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테스트장치.

KR1020140054747A 2014-05-08 2014-05-08 튜브 테스트장치 KR101594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747A KR101594669B1 (ko) 2014-05-08 2014-05-08 튜브 테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747A KR101594669B1 (ko) 2014-05-08 2014-05-08 튜브 테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131A KR20150129131A (ko) 2015-11-19
KR101594669B1 true KR101594669B1 (ko) 2016-02-17

Family

ID=5484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747A KR101594669B1 (ko) 2014-05-08 2014-05-08 튜브 테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019B1 (ko) * 2020-04-29 2022-02-08 세원이앤씨(주) 튜브 투 튜브시트의 이너보어 용접부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335A (ja) * 1982-10-25 1984-05-02 Kubota Ltd 管の水圧試験装置
KR100926695B1 (ko) * 2008-04-29 2009-11-17 부국산업주식회사 자동차용 고압튜브시험기
KR20090033344A (ko) * 2009-02-24 2009-04-02 천경식 열교환기 튜브의 누설 시험 장치
KR101083333B1 (ko) * 2009-04-13 2011-11-15 주식회사 디케이시 버터플라이 밸브용 수압 테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131A (ko)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25603B (zh) 一种钼及钼合金棒、管材的高温拉伸检测设备及方法
US8584705B2 (en) Bidirectional sleeved/plug ball check valve
KR101370591B1 (ko) 밸브시험 장치
EP3650874B1 (en) Transformer simulation system and setting value simulation measurement method
JP5679367B2 (ja) バッテリーボックス気密検査装置
CN213600348U (zh) 板状况工具及其成套部件
CN105383027A (zh) 一种压铸模具冷却系统的检测方法及装置
KR101395739B1 (ko) 가스미터 누설 검사 장치 및 방법
JPH07260986A (ja) 管状部材の壁部分の漏止め具合の現場検査方法及び装置
KR101594669B1 (ko) 튜브 테스트장치
CN103493033B (zh) 高完整性保护系统及其测试和操作方法
KR101941423B1 (ko) 층류소자를 이용하는 누설률 모니터링 장치
JP2011220429A (ja) オイルエア潤滑システムの配管異常検知方法および配管異常検知装置
US20090056438A1 (en) Gage Cock Ball Valve
KR200408408Y1 (ko) 안전변 점검 장치
KR101418370B1 (ko) 발전소 솔레노이드밸브 테스트 블록장치 및 방법
JP2012068212A (ja) エンジン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N207439669U (zh) 一种阀门快速试压检测装置
CN103822847A (zh) 一种长距离浆体管道腐蚀率的检测方法
KR101327329B1 (ko) 로터리조인트 테스트장치
KR200463038Y1 (ko) 정압기 점검장치
JP5392220B2 (ja) バッテリーボックス気密検査装置
CN208060354U (zh) 一种用于管材管件测试的冷热水循环系统
KR101126462B1 (ko) 절연유내의 잔여 가스압 측정장치
KR20160066996A (ko) 관내 액체 홀드업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