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613B1 -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613B1
KR101594613B1 KR1020090033115A KR20090033115A KR101594613B1 KR 101594613 B1 KR101594613 B1 KR 101594613B1 KR 1020090033115 A KR1020090033115 A KR 1020090033115A KR 20090033115 A KR20090033115 A KR 20090033115A KR 101594613 B1 KR101594613 B1 KR 101594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verter
foreign matter
unit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640A (ko
Inventor
김웅광
한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33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61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93Skull removal; Cleaning of the convert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전로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을 보다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한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는 전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로의 벽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벽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안착유닛;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벽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마유닛과 타격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구비하는 이물 제거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에 의하면, 이물 제거부에 구비되며 승강 및 이동 가능한 몸체에 설치되는 타격부재와 연마부재를 통해 전로의 벽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다 완전하게 전로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고, 타격유닛과 연마유닛을 구비하는 이물 제거부를 통해 전로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이물 제거시 발생되는 전로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전로, 이물, 슬래그, 제거

Description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MATERIAL ON CONVERTER}
본 발명은 이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선을 용강으로 정련하는 전로의 내부와 전로 입구에 굳은 이물을 제거하는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강공정은 용선을 전로에 장입시켜 취련하는 공정이다. 이때 일반적으로 용선에 고압의 산소가 공급되며, 고압의 산소에 의해 이물, 예를 들어 슬래그(Slag)가 전로의 내부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슬래그가 부착되면 고철장입시 노구에 고철슈트가 박히는 현상으로 크레인 후크가 이탈되거나 용선 장입시에 래들과 노구가 밀착되지 않아 용선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시간을 내어 전로에 부착된 이물, 예를 들어 슬래그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슬래그는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전로 내부에서 제거봉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슬래그를 제거하므로 슬래그를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며,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전로에 부착된 슬래그를 제거할 수 있는데, 크레인에 고철슈트를 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로와 래들을 접촉시켜 그 충격으로 슬래그를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전로와 래들을 접촉시켜 그 충격으로 슬래그를 제거하기 때문에 대형 설비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전로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로에 부착된 슬래그를 제거하는 데에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적기에 슬래그의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로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을 보다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로의 내부에 굳은 이물을 제거할 때, 전로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로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시간을 감소시켜 적기에 이물 제거를 수행할 수 있는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는, 전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로의 벽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벽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안착유닛;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벽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마유닛과 타격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구비하는 이물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장착되는 브라켓트; 상기 브라켓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벽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브라켓트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재가 상기 벽체에 안착될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 구동원과 상기 제1 구동원에 연결되는 구동부재를 구비하는 고정본체; 및 상기 고정본체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크레인에 장착되는 장착구를 구비하는 이동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탄성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타격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벽체를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다수개의 타격부재; 상기 타격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타격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제4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벽체를 반복적으로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타격부재와 접촉되는 캠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마유닛은 상기 몸체에 고정설치되는 제5 구동원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벽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연마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연마부재가 이물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제5 구동원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회동되어 상기 연마부재가 상기 몸체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 구동원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몸체에 설치되는 제3 구동원에 연결되어 상기 벽체에 인접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제2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벽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감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 제거부에 구비되며 승강 및 이동 가능한 몸체에 설치되는 타격부재와 연마부재를 통해 전로의 벽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다 완전하게 전로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격유닛과 연마유닛을 구비하는 이물 제거부를 통해 전로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이물 제거시 발생되는 전로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물 제거부를 통해 전로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이물을 제거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적기에 이물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는 일례로서, 본체부(120), 안착유닛(140), 및 이물 제거부(160)를 포함한다.
본체부(120)는 전로(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본체(122)와 이동본체(12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고정본체(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 구동원(122a), 제1 구동원(122a)에 연결되는 구동부재(122b), 및 이동본체(12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122c)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동원(122a)은 이동본체(124)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구동부재(122b)는 제1 구동원(122a)에 연결되어 제1 구동원(122a)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이동본체(124)에 전달한다.
또한, 구동부재(122b)는 고정본체(12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일단이 고정본체(122)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구동원(122a)은 모터일 수 있으며, 구동부재(122b)는 볼스크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구동원(122a)과 구동부재(122b)는 이동본체(124)를 이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이탈방지부재(122c)는 구동부재(122b)의 타단에 배치되도록 고정본체(122)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본체(124)는 고정본체(122)에 구비되는 구동부재(122b)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로(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크레인(미도시)에 장착되는 장착구(124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전로(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크레인(미도시)은 장착구(124a)에 연결되는데, 이동본체(124)는 구동부재(122b)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크레인이 장착구(124a)에 연결될 때 이동본체(124)가 이동되어 본체부(120)의 무게중심 상에서 크레인과 장착구(124a)가 연결될 수 있다.
안착유닛(140)은 본체부(120)에 구비되며, 전로(10)의 벽체(12)를 따라 상기 본체부(120)가 이동되도록 상기 벽체(12)에 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착유닛(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트(142), 안착부재(144), 탄성부재(146), 및 감지센서(148)를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트(142)는 본체부(120)의 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브라켓트(142)는 고정본체(122)의 저면에 구비되는 설치홈(122d)에 일단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안착부재(144)는 브라켓트(14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벽체(12)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재(144)는 벽체(12)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144a)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146)는 브라켓트(142)에 연결되어 안착부재(144)가 벽체(12)에 안착될 때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부재(146)의 일단은 고정본체(122)의 설치홈(122d)에 지지되며, 타단은 브라켓트(142)의 일단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44)가 벽체(12)에 안착되며 탄성부재(146)가 가압되어 수축되고, 결국 탄성부재(146)가 충격을 흡수한다.
감지센서(148)는 탄성부재(146)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본체부(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46)의 변형을 감지하여 안착부재(144)가 벽체(12)에 안착 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센서(148)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감지센서(148)는 제어부로 탄성부재(146)의 변형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유닛(14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본체부(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부(12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면 안착유닛(14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물 제거부(160)는 본체부(120)에 설치되며, 벽체(12)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타격유닛(162)과 연마유닛(164)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구비할 수 있다.
타격유닛(162)은 몸체(170), 타격부재(174, 도 4 참조), 스프링(176, 도 4 참조), 및 구동수단(177, 도 4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몸체(170)는 본체부(12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몸체(170)는 고정본체(12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몸체(171)와 제2 몸체(17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몸체(171)는 본체부(120)에 고정설치되는 제2 구동원(173a)에 연결되어 승강된다. 즉, 제1 몸체(171)는 고정본체(12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제1 몸체(171)는 고정본체(122)에 구비되는 가이드부(122e)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몸체(171)는 제2 구동원(173a)에 연결되어 승강되며, 승강시 고정본체(122)에 구비되는 가이드부(122e)에 의해 안내된다. 한편, 제2 구동원(173a)은 실린더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몸체(171)를 승강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제2 몸체(172)는 제1 몸체(171)에 설치되는 제3 구동원(173b)에 연결되며, 벽체(12)에 인접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제1 몸체(17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몸체(172)는 제1 몸체(17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171a)에 장착되며, 제3 구동원(173b)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축(171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 구동원(173b)은 모터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3 구동원(173b)이 모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한 것이다.
한편, 제2 몸체(17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재(174)의 일단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접촉홈(172a)과 스프링(176)이 장착되는 장착홈(172b)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2 몸체(172)는 제3 구동원(173b)에 의해 이동시 전로(10)의 벽체(12)와의 이격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감지부재(172c)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거리감지부재(172c)도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연결되어 전로(10)의 벽체(12)와의 이격 거리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몸체(172)가 전로(10)의 벽체(12)에 충돌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타격부재(174)는 몸체(17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벽체(12)를 반복적으로 타격하며,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타격부재(174)는 제2 몸체(172)의 힌지체결구(172d)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타격부재(174)의 중앙측에는 타격부재(174)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174a)를 구비하며, 타격부재(174)의 일단부에는 벽체(12)를 타격하는 타격부(174b)를 구비하고, 타격부재(174)의 타단부에는 구동수단(177)에 접촉되는 접촉부(174c)를 구비할 수 있다.
타격부재(174)의 설치상태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타격부재(174)는 힌지체결구(172d)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후 타격부재(174)의 연장부(174a)는 제2 몸체(172)의 장착홈(172b)에 이탈 방지토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제2 몸체(172)의 장착홈(172b)에는 스프링(176)이 삽입 설치되고, 이후 타격부재(174)의 연장부(174a)가 스프링(176)의 일단에 지지되도록 장착홈(172b)에 삽입 결합되며, 이후 걸림판(172e)이 장착홈(172b)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타격부재(174)의 연장부(174a)는 장착홈(172b)에 삽입 결합된다.
한편, 타격부재(174)의 접촉부(174c)는 제2 몸체(172)의 접촉홈(172a)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타격부재(174)의 접촉부(174c)가 구동수단(177)에 접촉되어 타격부재(174)는 제2 몸체(172)의 힌지체결구(172d)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스프링(176)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격부재(174)에 연결되도록 몸체(170)에 설치되며, 타격부재(174)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스프링(176)은 일측이 제2 몸체(172)의 장착홈(172b)에 지지되고, 타측이 타격부재(174)의 연 장부(174a)에 지지되며, 타격부재(174)의 회동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176)은 타격부재(174)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수단(177)은 몸체(170)에 구비되며 타격부재(174)를 구동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수단(177)은 동력전달부재(178)와 캠부재(179)를 구비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78)는 몸체(120)를 구성하는 제2 몸체(172)에 구비되는 제4 구동원(173c)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재(178)는 제4 구동원(173c)에 연결되는 제1 동력전달부재(178a), 및 제1 동력전달부재(178a)에 연결되어 캠부재(179)를 회전시키는 제2 동력전달부재(178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동력전달부재(178a)는 다수개의 제1 베벨기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4 구동원(173c)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제2 동력전달부재(178b)는 일단에 제1 베벨기어에 연결되는 제2 베벨기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동력전달부재(178a)에 전달된 구동력은 제2 동력전달부재(178b)에 전달될 수 있다. 결국, 제2 동력전달부재(178b)는 회전될 수 있다.
캠부재(179)는 동력전달부재(178)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타격부재(174)가 벽체(12)를 반복적으로 타격할 수 있도록 타격부재(174)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캠부재(179)는 제2 몸체(172)의 접촉홈(172a) 내에서 타격부재(174)의 접촉부(174c)에 접촉되도록 제2 동력전달부재(178b)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캠부재(179)의 회전시 타격부재(174)는 회동될 수 있고, 타격부재(174)의 타격부(174b)는 전로(10)의 벽체(12)를 타격할 수 있다.
한편, 제4 구동원(173c)은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력을 발생시켜 캠부재(179)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연마유닛(164)은 벽체(12)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연마유닛(164)은 프레임(182)과 연마부재(184)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182)은 몸체(170)에 고정설치되는 제5 구동원(173d)에 연결되며, 몸체(12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82)은 연결부(182a)와 회동부(182b)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182a)는 제5 구동원(173d)에 연결되어 전,후진될 수 있다. 즉, 제5 구동원(173d)은 실린더일 수 있으며, 연결부(182a)는 제5 구동원(173d)에 연결되어 전,후진될 수 있다.
회동부(182b)는 연결부(182a)에 연결되는 동시에 몸체(170), 즉 제2 몸체(17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회동부(182b)는 제2 몸체(172)에 힌지결합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실린더인 제5 구동원(173d)에 연결되어 제2 몸체(172)에 장착된 프레임(182)의 회동부(182b)가 회동되므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 발생되는 이격 거리를 보상할 수 있도록 회동부(182b)와 연결부(182a)가 결합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사항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마부재(184)는 프레임(18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벽체(12)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연마부재(184)는 회동부(182b)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6 구동원(173e)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회동부(182b)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연마부재(184)가 벽체(12)에 부착된 이물에 접촉시, 제6 구동원(173e)에 의해 연마부재(184)는 회전되어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연마부재(184)는 제2 몸체(172)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벽체(12)에 부착된 이물을 연마부재(184)를 통해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제5 구동원(173d)에 의해 프레임(182)의 연결부(182a)가 이동, 즉 후진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182a)에 연결된 회동부(182b)는 회동되어 제2 몸체(172)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이후, 제6 구동원(173e)에 의해 연마부재(184)가 회전되고, 이물은 연마부재(184)에 의해 벽체(1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물 제거부(160)에 구비되는 승강 및 이동 가능한 몸체(170)에 설치되는 타격부재(174)와 연마부재(184)를 통해 전로(10)의 벽체(12)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다 완전하게 전로(10)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타격유닛(162)과 연마유닛(164)을 구비하는 이물 제거부(160)를 통해 전로(10)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전로(10)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물 제거부(160)를 통해 전로(10)의 내부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이물을 제거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적기에 이물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본체(124)의 장착구(124a)에 크레인(미도시)을 연결한다. 이때 이동본체(124)는 고정본체(122)에 구비되는 제1 구동원(122a)에 의해 미세 이동되어 본체부(120)의 무게중심 상에서 크레인이 장착구(124a)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크레인에 의해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는 전로(10)의 상부로 이동된다.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가 전로(10)의 상부로 이동되면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를 하강시켜 안착유닛(140)이 전로(10)의 벽체(12)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안착부재(144)의 안착홈(144a)에 벽체(12)가 삽입되고, 안착시 발생되는 충격은 탄성부재(146)에 의해 완화된다. 또한, 감지센서(148)는 탄성부재(146)의 변형을 감지하여 안착부재(144)가 벽체(12)에 안착 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안착유닛(140)이 전로(10)의 벽체(12)에 안착되면, 이후 제2 구동원(173a)에 의해 타격유닛(162)의 몸체(170)는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위치로 하강된다.
타격유닛(162)의 몸체(170)의 하강이 완료되면, 몸체(170)를 구성하는 제2 몸체(172)는 제3 구동원(173b)에 의해 제1 몸체(171)에 구비되는 구동축(171a)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거리감지부재(172c)는 제2 몸체(172)와 벽체(12)와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다.
제2 몸체(172)가 벽체(12)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면, 연마유닛(164)에 의해 벽체(12)에 부착된 이물이 제거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제5 구동원(173d)에 의해 프레임(182)의 연결부(182a)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연결부(182a)에 연결된 회동부(182b)가 회동된다.
이에 따라, 회동부(182b)에 장착된 연마부재(184)는 제2 몸체(172)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벽체(12)에 부착된 이물에 접촉된다. 이후, 제6 구동원(173e)에 의해 연마부재(184)가 회전되어 이물이 제거될 수 있다.
이후, 벽체(12)로부터 이물이 어느 정도 제거되면, 제5 구동원(173d)에 의해 프레임(182)의 연결부(182a)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회동부(182b)가 회동된다. 이에 따라 연마부재(184)는 제2 몸체(172)의 측면에 배치된다.
연마유닛(164)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제3 구동원(173b)에 의해 제2 몸체(172)는 이동되어, 타격유닛(162)의 타격부재(174)가 벽체(12)에 접촉된다.
타격부재(174)가 벽체(12)에 접촉되면, 제4 구동원(173c)이 구동되고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재(178)를 거쳐 캠부재(179)가 회전된다. 결국, 캠부재(179)에 접촉되는 타격부재(174)는 캠부재(179)의 회전에 따라 벽체(12)를 반복적으로 타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벽체(12)에 잔존하고 있는 이물이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마유닛(164)을 통해 벽체(12)에 부착된 이물을 먼저 제거한 후, 타격유닛(162)으로 벽체(12)를 타격하여 벽체(12)에 잔존하는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다 완전하게 벽체(12)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 제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격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로 120 : 본체부
140 : 안착유닛 160 : 이물 제거부
162 : 타격유닛 164 : 연마유닛

Claims (7)

  1. 전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로의 벽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벽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안착유닛;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벽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마유닛과 타격유닛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구비하는 이물 제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장착되는 브라켓트;
    상기 브라켓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벽체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브라켓트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부재가 상기 벽체에 안착될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 구동원과 상기 제1 구동원에 연결되는 구동부재를 구비하는 고정본체; 및
    상기 고정본체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크레인에 장착되는 장착구를 구비하는 이동본체
    를 구비하는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탄성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벽체를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다수개의 타격부재;
    상기 타격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타격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을 구비하는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제4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벽체를 반복적으로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타격부재와 접촉되는 캠부재
    를 구비하는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유닛은
    상기 몸체에 고정설치되는 제5 구동원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벽체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하는 연마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연마부재가 이물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제5 구동원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회동되어 상기 연마부재가 상기 몸체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설치되는 제2 구동원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몸체에 설치되는 제3 구동원에 연결되어 상기 벽체에 인접 또는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제2 몸체
    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벽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감지부재를 구비하는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KR1020090033115A 2009-04-16 2009-04-16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KR101594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115A KR101594613B1 (ko) 2009-04-16 2009-04-16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115A KR101594613B1 (ko) 2009-04-16 2009-04-16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640A KR20100114640A (ko) 2010-10-26
KR101594613B1 true KR101594613B1 (ko) 2016-02-17

Family

ID=4313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115A KR101594613B1 (ko) 2009-04-16 2009-04-16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634B1 (ko) * 2018-01-24 2019-10-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5470B2 (ja) * 2017-04-13 2022-08-0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加飾成型用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470B2 (ja) * 1984-05-10 1995-12-13 ウイレツト インターナシヨナル リミテツド 溶融熱可塑性組成物及び該組成物の基質への適用方法
JPS6124455U (ja) * 1984-07-20 1986-02-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分割刃を有する転炉炉口付着物切削装置
JPH05256584A (ja) * 1992-03-13 1993-10-05 Nisshin Steel Co Ltd 溶融炉炉壁の損傷部の補修方法及び装置
KR200198176Y1 (ko) * 1996-12-24 2000-10-02 이구택 전로에 부착된 지금 제거장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5470B2 (ja) * 2017-04-13 2022-08-0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加飾成型用粘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640A (ko) 201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48027U (zh) 一种带顶压弹簧的建筑钢筋打磨装置
KR101594613B1 (ko) 전로의 이물 제거 장치
CN208585727U (zh) 一种钢坯传输过程中的自动推钢提钢装置
KR101185294B1 (ko) 철 분진 자동 회수 장치
KR20110105238A (ko) 파쇄장치
CN107265048A (zh) 化肥生产用斗式提升机
CN113458373B (zh) 包口清理装置
KR20070091805A (ko) 빌렛 연마기용 스케일 배출장치
CN112847086B (zh) 一种轴座驱动装置及破鳞辊除锈设备
CN212963931U (zh) 一种小球跌落试验二次撞击预防装置
KR100929185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밀림 방지장치
KR20100134337A (ko) 전기로의 리멜트 샘플 자동 채취 장치
CN205148025U (zh) 一种新型建筑钢筋打磨装置
CN112782272B (zh) 罐底漏磁成像检测仪
CN217919455U (zh) 一种建筑加工用收料装置
CN215477171U (zh) 一种无害化处理上料料斗
CN205148001U (zh) 一种改进型的建筑钢筋打磨装置
JP2013227478A (ja) コークス炉炭化室のコークス詰まり除去装置
CN114455532B (zh) 一种流体罐车对接用多功能加注垂管
CN112275371B (zh) 一种自动化稀土打碎机
CN114260267B (zh) 用于盛钢水容器出钢口的清理装置
CN217097099U (zh) 一种电脑可跟踪定位的砂光机
CN214054901U (zh) 一种金属棒材抛丸清理机
KR102021193B1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CN218331057U (zh) 一种电梯门硬度检测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