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499B1 - Color code table for dyeing w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yed wood - Google Patents

Color code table for dyeing w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yed w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499B1
KR101594499B1 KR1020150062054A KR20150062054A KR101594499B1 KR 101594499 B1 KR101594499 B1 KR 101594499B1 KR 1020150062054 A KR1020150062054 A KR 1020150062054A KR 20150062054 A KR20150062054 A KR 20150062054A KR 101594499 B1 KR101594499 B1 KR 101594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ing
color
wood
liquid
patter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0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연준
Original Assignee
선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2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4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2Staining or dyeing wood; Bleaching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Provided is a color code table for dyeing wood, in which (1) the type of coloring agents, (2) the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s, (2) sample pictures of dyed wood depending upon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s, (4) color codes corresponding to the colors of the samples, and (5) color samples corresponding to the color codes that are written, and which is used for dyeing wood. Also, a method for manufacturing dyed wood using the sam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select color and chromaticity (the concentration of color), etc. corresponding to the color code table to supply a dyed wood product having a desired color. Also, a user can easily manufacture the dyed wood having various colors and chromaticity, based on the color code table.

Description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 및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 {COLOR CODE TABLE FOR DYEING W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YED WO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code table for re-coloring wood,

본 발명은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 및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색상 및 색도(색상의 농도) 등을 선택하도록 하여 원하는 색상 목재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 및 이를 이용한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code table for re-coloring woo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olor code for a wood, which can supply a desired color wood product by selecting color and chromaticity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olorless wood using the same.

목재의 용도는 다양하다. 목재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천연 무늬(나뭇결무늬 등)는 목재의 최대 장점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자연감과 미적 가치를 높여준다. 이에 따라, 목재는 바닥재 및 벽면 마감재 등의 건축 자재나 장식품, 그리고 가구 등에 주로 사용된다. Wood uses vary. The inherent natural patterns of wood (such as wood grain) can be seen as the greatest strength of wood, which in particular increases the natural sense and aesthetic value. Accordingly, wood is mainly used for building materials such as flooring and wall finishing materials, ornaments, and furniture.

일반적으로, 목재 제품은 목재의 천연 무늬, 특히 천연 나뭇결무늬(나이테 무늬)가 두드러질 수 있도록 가공된다. 일례를 들어, 판재 제품의 경우, 목재의 천연 나뭇결무늬를 구현하기 위해, 목재 합판에 천연 무늬목 시트를 접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천연 무늬목 시트의 접착 공정 등에 따른 작업 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무엇보다 천연 무늬목 시트의 노화나 박리에 의해 내구성이 떨어진다. In general, wood products are processed so that the natural pattern of the wood, especially the natural wood grain pattern, can stand out. For example, in the case of plate products, natural veneer sheets are bonded to wood plywood to realize the natural wood grain of the wood. However, this requires a large amount of working water due to the bonding process of the natural veneer sheet and durability is degraded by aging or peeling of the natural veneer sheet.

다른 예를 들어, 목재의 천연 나뭇결무늬를 두드러지게 하는 방법으로는 토치(torch) 등을 이용한 열처리를 통하여, 목재의 표면을 태워 목재 자체의 나뭇결무늬를 부각시키고, 이후 목재 표면을 브러싱(brushing)하여 나뭇결무늬를 입체적으로 부착시키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76535호(선행문헌 1)에는 이와 관련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예를 들어 탄화 정도에 따라 무늬의 차이가 생기며, 이와 함께 탄화에 의해 자연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order to stand out the natural wood grain pattern of the wood, the surface of the wood is burnt through the heat treatment using a torch or the like to highlight the grain pattern of the wood itself, and then the wood surface is subjected to brushing, Thereby attaching the grain pattern three-dimensionally.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3-0076535 (Prior Art 1) discloses a technique related to this. However, this results in a difference in pattern depending on the degree of carbonization, for examp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atural feeling is deteriorated due to carbonization.

또한, 위와 같은 탄화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5434호(선행문헌 2)에서는 콩기름, 참기름이나 삼나무액, 목진액 및 숯가루 등을 포함한 표면 처리제를 도포, 건조시킨 다음, 브러싱(brushing)하여 자연감과 입체감을 갖게 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carbonization as described above, in Korean Patent No. 10-1385434 (Prior Art 2), a surface treatment agent containing soybean oil, sesame oil, cedar liquid, corn oil and charcoal powder is applied and dried, A technique capable of imparting natural feeling and stereoscopic feeling by brushing is proposed.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은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어렵다. 예를 들어, 상기 선행문헌 1에서와 같이 토치 등으로 탄화시키거나, 상기 선행문헌 2에서와 같이 숯가루를 포함한 표면 처리제를 도포하는 경우, 색상이 검은색으로 국한되어 제한적이거나, 미려한 색상을 구현하기 어렵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various colors in the prior art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s. For example, when carbonizing with a torch or the like and applying a surface treatment agent containing charcoal powder as in the prior art document 2 as in the prior art document 1, the color is limited to a black color, It is difficult to do.

또한, 목재에 색상을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목재의 표면에 색상 도료를 도장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색상 도료의 도장은 도료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는 목재 고유의 천연 질감을 떨어뜨린다. 무엇보다, 색상 도료의 도장은 도료층의 적층에 의해 목재의 천연 무늬(나뭇결무늬 등)가 소실되어 자연감과 미적 가치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Also, as a method of implementing color on wood, there is a method of applying color paint on the surface of wood. However, painting of color paints can achieve various colors depending on the choice of paints, but it drops the natural texture of wood. Above all, the painting of color paints is problematic in that the natural pattern (wood grain pattern, etc.) of the wood is lost due to the lamination of the paint layer,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natural feeling and aesthetic value.

한편, 일반적으로 목재 제품의 소비자나 가공 업체 등은 선호하는 색상을 가지고 있다. 일례를 들어, 목재 가구나 장식품 등의 가공 업체는 소비자(구매자)가 원하는 색상을 가지는 목재 제품을 공급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목재의 색상은 특정의 소비자나 가공 업체가 선호하는(원하는) 색상에 상관없이 임의로 미리 정해져 공급되고 있어 색상 충족도를 최대한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consumers and processors of wood products generally have preferred colors. For example, processors such as wooden furniture and ornaments need to supply wood products with the color desired by the consumer (buyer). However, the color of wood is supplied arbitrarily predetermined regardless of the color (color) preferred by a specific consumer or a processing company, and thus the color satisfying degree is not satisfied to the utmos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7653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7653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5434호Korean Patent No. 10-1385434

이에, 본 발명은 색상 및 색도(색상의 농도) 등을 선택하도록 하여 원하는 색상 목재 제품(재색 목재 제품)을 공급하게 할 수 있는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 및 이를 이용한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lor code table for re-coloring wood which can supply a desired color wood product (color-red wood product) by selecting color and chromaticity (density of col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olor-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목재의 천연 무늬에 색상이 부여(재색)되면서 입체적 엠보감이 개선된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rless wood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embossing is improved by imparting color to the natural pattern of the wood (re-coloring).

본 발명은 제1형태에 따라서,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 (1) 내지 (5)의 항목이 작성되고, 목재의 재색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를 제공한다. The following items (1) to (5) are prepared, and a color code table for re-coloring processing of wood used for re-coloring processing of wood is provided.

(1) 색상제의 종류 (1) Type of color agent

(2) 색상제의 농도(2) Concentration of color agent

(3) 상기 색상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재색 처리된 목재의 샘플 사진 (3) a sample photograph of the wood color-treated according to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4) 상기 샘플의 색상에 해당하는 색상 코드 (4) a color code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sample

(5) 상기 색상 코드에 해당하는 색상 표본(5) A color sample corresponding to the color code

또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는, 하기 (6) 내지 (8)의 항목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항목이 더 작성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items selected from the following items (6) to (8).

(6) 상기 샘플에 해당하는 목재의 종류(6) The type of wood corresponding to the sample

(7) 상기 색상제를 포함하는 색상액의 도포량(7)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coloring liquid containing the coloring agent

(8) 상기 색상액의 도포횟수 (8)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of the hue

이때, 색상코드표의 x-y 평면 상에서, 상기 색상제의 종류는 x축 방향으로 작성되고, 상기 색상제의 농도는 y축 방향으로 작성되며, 상기 샘플 사진, 색상 코드 및 색상 표본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은, 상기 색상제의 종류(x축)와 색상제의 농도(y축)가 교차되는 교차 셀에 작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샘플 사진, 색상 코드 및 색상 표본은 상기 색상제의 종류(x축)와 색상제의 농도(y축)가 교차되는 교차 셀에 작성되되, 상기 샘플 사진의 하단에 색상 표본 및 색상 코드가 작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on the xy plane of the color code table, the kind of the coloring agent is made in the x-axis direc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is made in the y-axis direction,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sample photograph, color code, Can be formed in an intersecting cell where the type of the coloring agent (x axis)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y axis) cross each other. In addition, the sample photograph, the color code, and the color sample are created in an intersecting cell where the type of the coloring agent (x axis) crosses the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y axis) Can be created.

또한, 본 발명은 제2형태에 따라서,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목재에 색상액을 침투시켜 재색 처리하는 재색 공정을 포함하고, And a red coloring step of penetrating the coloring liquid into the wood to perform the color re-

상기 재색 공정은, The color-

상기 본 발명의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상기 색상액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 및 농도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하는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d colored wood by determining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contained in the coloring liquid according to the color cod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ing a color re-coloring process.

아울러, 본 발명은 제3형태에 따라서,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를 포함하는 목재에 색상액을 침투시켜 재색 처리하는 재색 공정; 및 A red coloring process of penetrating a coloring liquid into a wood including a grain pattern portion and a ground pattern portion to perform a color re-coloring process; And

상기 색상액이 침투된 목재의 표면을 브러싱하되, 상기 바탕 무늬부의 색상액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브러싱 공정을 포함하여,And a brushing step of brining the surface of the wood into which the coloring liquid has been infiltrated,

상기 나뭇결 무늬부가 바탕 무늬부보다 돌출되게 하고, 상기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 중에서 상기 나뭇결 무늬부에 색상액의 침투에 의해 구현된 색상을 갖게 하며, Wherein the wood grain pattern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ground pattern portion, and the wood grain pattern portion has a color implemented by penetration of a coloring liquid into the grain pattern portion,

상기 재색 공정은, The color-

상기 본 발명의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상기 색상액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 및 농도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하는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d colored wood by determining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contained in the coloring liquid according to the color cod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ing a color re-color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제4형태에 따라서,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를 포함하는 목재에 색상액을 침투시켜 재색 처리하는 재색 공정; 및 A red coloring process of penetrating a coloring liquid into a wood including a grain pattern portion and a ground pattern portion to perform a color re-coloring process; And

상기 색상액이 침투된 목재의 표면을 연마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의 색상액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연마 공정을 포함하여, And a polishing step of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to which the coloring liquid has been infiltrated, wherein the part of the wood grain pattern having the penetrated coloring liquid is etched and removed,

상기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를 평탄하게 하고, 상기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 중에서 상기 바탕 무늬부에 색상액의 침투에 의해 구현된 색상을 갖게 하며, Wherein the wood grain pattern portion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are flattened so that the ground pattern portion has a color implemented by the penetration of the coloring liquid in the grain pattern portion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상기 재색 공정은, The color-

상기 본 발명의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상기 색상액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 및 농도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하는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d colored wood by determining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contained in the coloring liquid according to the color cod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ing a color re-coloring process.

아울러, 본 발명은 제5형태에 따라서,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를 포함하는 목재의 표면을 브러싱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가 바탕 무늬부보다 돌출되게 하는 브러싱 공정; A brushing step of bru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including the grain pattern part and the ground pattern part so that the grain pattern part protrudes from the ground pattern part;

상기 브러싱된 목재의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에 색상액을 침투시켜 재색 처리하는 재색 공정; 및 A red coloring step of infiltrating the wood grain pattern of the brushed wood with the coloring liquid to make the coloring process; And

상기 색상액이 침투된 목재의 표면을 연마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의 색상액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연마 공정을 포함하여, And a polishing step of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to which the coloring liquid has been infiltrated, wherein the part of the wood grain pattern having the penetrated coloring liquid is etched and removed,

상기 나뭇결 무늬부가 바탕 무늬부보다 돌출되게 하고, 상기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 중에서 상기 바탕 무늬부에 색상액의 침투에 의해 구현된 색상을 갖게 하며, Wherein the wood grain pattern portion has a color embodied by penetration of a coloring liquid in the ground pattern portion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among the wood grain pattern portion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상기 재색 공정은, The color-

상기 본 발명의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상기 색상액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 및 농도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하는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d colored wood by determining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contained in the coloring liquid according to the color cod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ing a color re-color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제6형태에 따라서, Further,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를 포함하는 목재에 제1색상액을 침투시키는 제1재색 공정; A first red coloring step of infiltrating the first colored liquid into the wood including the grain pattern part and the ground pattern part;

상기 제1색상액이 침투된 목재의 표면을 연마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의 제1색상액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연마 공정; A polishing step of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having the first colored liquid impregnated therein, the portion of the wood grain pattern having the first colored liquid penetrated and removed;

상기 연마된 목재에 제2색상액을 침투시키는 제2재색 공정; 및 A second red coloring step of infiltrating the second colored liquid into the polished wood; And

상기 제2색상액이 침투된 목재의 표면을 브러싱하되, 상기 바탕 무늬부의 제2색상액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브러싱 공정을 포함하여,And a brushing step of bru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to which the second coloring liquid has been infiltrated, wherein the second colored liquid of the grounding part is etched and removed,

상기 나뭇결 무늬부가 바탕 무늬부보다 돌출되게 하고, 상기 바탕 무늬부는 제1색상액의 침투에 의해 구현된 색상을 갖게 하며, 상기 나뭇결 무늬부는 제2색상액의 침투에 의해 구현된 색상을 갖게 하며, Wherein the ground pattern portion has a color embodied by the penetration of the first color liquid and the wood grain pattern has a color realized by the penetration of the second color liquid,

상기 재색 공정은, The color-

상기 본 발명의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상기 제1색상액 및 제2색상액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 및 농도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하는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lorless wood by determining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contained in the first coloring liquid and the second coloring liquid according to the color cod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ing a color re-coloring process.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색상액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 공정은 색상액을 40℃ 내지 80℃에서 건조시키는 저온 건조 단계와, 70℃ 내지 110℃에서 건조시키는 고온 건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orless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drying step for drying the coloring liquid. At this time, the drying step may include a low-temperature drying step of drying the coloring liquid at 40 ° C to 80 ° C, and a high-temperature drying step of drying at 70 ° C to 110 ° C.

아울러, 상기 재색 공정은 스펀지 롤 코터를 이용하여 색상액을 도포하는 도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싱 공정은 컵 브러시와 롤 브러시를 이용하여 브러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or re-coloring step may include an applying step of applying a color liquid using a sponge roll coater. The bru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a cup brush and a roll brush.

본 발명에 따르면,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색상 및 색도(색상의 농도) 등을 선택할 수 있어, 원하는 색상을 가지는 재색 목재 제품을 공급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색상코드표에 기초하여, 다양한 색상 및 색도 등을 가지는 재색 목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or and chromaticity (density of color) can b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a color code tabl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supplying a coloration wood product having a desired color. Further, based on the color code table,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red color wood having various colors and chromaticity.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의 천연 무늬(나뭇결 무늬부 및/또는 바탕 무늬부)에 색상이 부여(재색)되면서 입체적 엠보감이 개선된 재색 목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의 나뭇결 무늬부 및/또는 바탕 무늬부에 색상이 구현되되,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져 목재의 천연 무늬가 두드러지고 입체감을 갖는다. 또한, 나뭇결 무늬부가 돌출된 경우, 천연 무늬가 더욱 두드러지면서 입체적 엠보감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부가적으로, 천연 무늬에 다양한 색상이 구현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red colored wood having a three-dimensional embossing feeling improved by imparting color (natural color) to natural patterns (wood grain pattern portion and / or ground pattern portion) of wood.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grain pattern and / or the ground pattern portion are colored, and the wood grain pattern portion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have different colors, so that the natural pattern of the wood becomes prominent and has a three-dimensional effect. Further, when the grain pattern portion is projected, the natural pattern becomes more conspicuous, and the three-dimensional emboss feeling is remarkably improved. In addition, various colors are implemented in the natural pattern.

도 1은 목재 합판을 보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의 일부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작성된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따른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의 일부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장치를 보인 일부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장치를 보인 일부 사시도 및 평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장치를 보인 일부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재색 목재 및 색상제를 보인 사진이다.
1 is a photograph showing a wood plywood.
Fig. 2 is a parti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lor code table for re-coloring processing of wo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8 are color code tables for re-coloring processing of wood prepare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arti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lor code table for re-coloring processing of wo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ducing a red-colored wo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 schematic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reddish wo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 flat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reddish wo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ducing a reddish wo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arti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color red wo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ducing a red-colored wo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hotograph showing a colorless wood and a coloring agent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s us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The term "one or more" as used herein means one or more than two.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ird ", and the like are used herein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each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에 형성", "상부(상측)에 형성", "하부(하측)에 형성", "상에 설치", "상부(상측)에 설치" 및 "하부(하측)에 설치" 등은, 당해 구성요소들이 직접 접하여 적층 형성(설치)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구성요소들 간의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형성(설치)되어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에 형성(설치)된다"라는 것은, 제1구성요소 위에 제2구성요소가 직접 접하여 형성(설치)되는 의미는 물론, 상기 제1구성요소와 제2구성요소의 사이에 제3구성요소가 더 형성(설치)될 수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s "forming on", "forming on top", "forming on bottom", "placing on top", "mounting on top" Does not mean that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directly laminated (installed), but includes the meaning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formed (install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For example, "formed on (installed)" means not only that the second component is directly formed (installed) on the first component, but also that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nd includes a meaning that the third component can be further formed (instal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보인 것으로,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각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두께는 확대하여 나타낸 것일 수 있고, 도면에 표시된 두께, 크기 및 비율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ovided to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are provided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only.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hickness may be enlarged to clearly show each layer and the area,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hickness, size and ratio shown in the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목재의 재색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이하, "색상코드표"로 약칭한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색상코드표에 준하여(기초하여) 재색된 목재를 제조하는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lor code table (hereinafter, abbreviated as "color code table") for re-coloring processing of wood used for re-coloring processing of wood.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lorless wood to produce re-colored wood (based on the color cod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은 목재(100)의 천연 무늬(10)(20)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재색하기 전의 목재 합판을 보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색상코드표의 구성도로서,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작성된 색상코드표이다. 이때, 도 4는 도 3의 연속이고, 도 6는 도 5의 연속이며, 도 8은 도 7의 연속이다. 또한, 상기 도 2은 상기 도 3의 일부를 발췌한 발췌본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natural pattern 10 (20) of a wood 100, which is a photograph showing a wood plywood before re-colorin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8 are color code tables prepared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inuation of Fig. 3, Fig. 6 is a continuation of Fig. 5, and Fig. 8 is a continuation of Fig. FIG. 2 is an excerpt of a portion of FIG. 3. FIG.

본 발명에서, 재색의 대상이 되는 목재(100)는 천연 원목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목재(100)의 종류 및/또는 형상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목재(100)는, 예를 들어 소나무, 삼나무, 오동나무, 전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밤나무, 자작나무 및/또는 은행나무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낙엽송이나 뉴송(뉴질랜드 소나무)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목재(100)는, 예를 들어 판상이나 각목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1장(1층)의 판재나 2장 이상의 판재가 접합된 다층 구조의 합판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100 to be color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derived from natural wood. For example, the type and / or shape of the wood 100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100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pine, cedar, paulownia, fir, zelkova, maple, chestnut, birch and / or ginkgo, (New Zealand pine),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100 may have a shape of, for example, a plate-like shape or a curved shape. For example, the wood 100 may be a single-layer plate or a multi- Lt; / RTI >

또한, 본 발명에서, 재색의 대상이 되는 목재(100)는 천연 무늬(10)(20)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목재(100)는 천연 무늬(10)(20)로서,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나뭇결 무늬부(10)는 주로 가을에서 겨울에 형성된 만재부(추재부)로서, 이는 목재 원목의 나이테(annual ring) 및/또는 옹이(knot)에 의해 형성된 목재 고유의 천연 나뭇결무늬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바탕 무늬부(20)는 주로 봄에서 여름에 형성된 조재부(춘재부)로서, 이는 나뭇결 무늬부(10)의 바탕 부분이다. 이때,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바탕 무늬부(20)는 천연 나뭇결 무늬부(10)와 대응되는 무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목재(100)는 위와 같은 고유의 천연 나뭇결 무늬부(10)와, 이의 바탕으로서의 바탕 무늬부(20)를 가지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100 to be re-colored may have the natural patterns 10 and 20. 1, the wood 100 is a natural pattern 10, 20, and may have a grain pattern 10 and a ground pattern 20. In this case, as is well kn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is a full-length portion formed mainly in winter in fall, and it is formed by an annual ring and / or a knot It is natural wood grain pattern unique to the formed woo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is a spring portion formed mainly in spring and summer, and is a base portion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s shown in FIG. 1, the ground pattern 20 provides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natural wood pattern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100 may preferably be used having the natural wood grain pattern 10 as described above and the ground pattern 20 as its base.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는, 하나의 예시에서 위와 같은 목재(100)의 재색 처리를 위해 사용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는 5개의 항목으로서, (1) 색상제의 종류(A); (2) 색상제의 농도(B); (3) 상기 색상제의 종류(A) 및 농도(B)에 따라 재색 처리된 목재의 샘플 사진(C1); (4) 상기 샘플의 색상에 해당하는 색상 코드(C2); 및 (5) 상기 색상 코드(C2)에 해당하는 색상 표본(C3)이 작성되어 있다.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re-coloring process of the above-mentioned wood 100 in one example. Referring to Figures 2 to 8,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ve items: (1) type of color agent (A); (2) the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B); (3) a sample photograph (C1) of a wood color-treated according to the type (A) and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agent; (4) a color code C2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sample; And (5) a color sample C3 corresponding to the color code C2.

(1) 색상제의 종류(A) (1) Type of color agent (A)

색상코드표에는 서로 다른 색상제의 종류(A)가 복수 개 작성(표기)되어 있다. 색상제의 종류(A)는 적어도 2개 이상이며, 그 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 내지 10종류의 색상제가 작성(표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에는 3종류의 색상제가 작성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색상제의 종류(A)는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색상 물질(색상제)의 성분을 알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예를 들어 각 색상제의 성분(화합물 명칭)을 구체적으로 작성(기재)하거나, 각 색상제를 구별할 수 있는 별칭(약칭)으로 작성(기재)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2 내지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K-type", "H-type" 및 "Y-type" 등의 별칭(약칭)으로 작성(표기)될 수 있다. 이러한 색상제의 구체적인 종류(A)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In the color code table, plural kinds (A) of different coloring agents are created (indicated). The kind of coloring agent (A) is at least two, and the number is not limited. For example, 2 to 10 kinds of coloring agents can be created (notated). In FIGS. 3 to 8, three kinds of coloring agents are shown. The type of coloring agent (A) is a coloring material (coloring agent) capable of realizing a color, and it can be obtained by, for example, specifically describing (describing) the components (compound names) of each coloring agent, (Abbreviated name) that can discriminate the coloring agent. In one example, an alias (abbreviation) such as "K-type "," H-type ", and "Y- The specific type (A) of such a coloring agent is as follows.

도 2를 참조하면, 색상코드표는 x-y 평면을 가지되, 상기 색상제의 종류(A)는 x-y 평면 상에서 x축 방향(가로 방향)으로 나열 작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색상제의 종류(A)는 x-y 평면 상의 x축 방향으로 나열 작성되되, 색상코드표의 상단에 작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olor code table has an xy plane, and the type (A) of the color agent can be listed in the x-axis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on the xy plane.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type of coloring agent A is listed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xy plane, but can be created at the top of the color code table.

(2) 색상제의 농도(B) (2) Concentration of coloring agent (B)

색상코드표에는 색상제의 농도(B)가 복수 개 작성(표기)되어 있다. 색상제의 농도(A)는 제한되지 않는다. 색상제의 농도(B)는, 각 색상제의 농도(함량)로서, 이는 '중량(%)'이나 '부피(%)' 단위로 작성(표기)될 수 있다. 또한, 색상제의 농도(B)는, 예를 들어 0.001 ~ 30중량% 범위 내에서 0.001중량%, 0.01중량%, 0.1중량%, 0.2중량%, 0.5중량%, 1중량%, 2중량% 및 0.5중량%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간격으로 작성(표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작성(표기)된 수치 "0.1", "0.3", "0.5", "1", "2", "3", "4" 및 "5" 등은 색상제의 농도(B)로서, 이는 중량%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In the color code table, a plurality of concentrations (B) of the coloring agent are prepared (indicated). The concentration (A) of the coloring agent is not limited.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agent is the concentration (content) of each coloring agent, and it can be written (expressed) in units of 'weight (%)' or 'volume (%)'.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agent may b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0.001 to 30% by weight, such as 0.001% by weight, 0.01% by weight, 0.1% by weight, 0.2% by weight, 0.5% by weight, 1% by weight, 0.5% by weight, and the like. The numerical values "0.1", "0.3", "0.5", "1", "2", "3", "4" and "5" B), which may be expressed in terms of% by weight.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색상제의 농도(B)는 색상코드표의 x-y 평면 상에서 y축 방향(세로 방향)으로 나열 작성되되, 색상코드표의 좌측 및/또는 우측에 작성될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서는 y축 방향(세로 방향)으로 좌측에 작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Referring to FIG. 2, the density (B) of the hue can be created in the y-axis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n the xy plane of the color code table, and can be created on the left and / In the drawing, a figure created on the left side in the y-axis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is illustrated.

(3) 샘플 사진(C1) (3) Sample photograph (C1)

색상코드표에는 재색 처리된 목재의 샘플 사진(C1)이 복수 개 작성(표기)되어 있다. 샘플 사진(C1)은 상기 색상제의 종류(A) 및 농도(B)에 따라 재색 처리된 목재(재색 목재)들을 제조한 다음, 이들 각각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때, 촬영된 각 샘플들의 사진(C1)은, 예를 들어 이미지(image)화되어 색상코드표에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샘플 사진(C1)은 목재(100)의 종류별(뉴송 및 낙엽송 등)로 작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샘플 사진(C1)은 색상제의 종류(A), 색상제의 농도(B) 및 목재(100)의 종류(D)에 따라 재색 처리된 목재(재색 목재)들의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작성(표기)된 "뉴송" 및 "낙엽송"은 목재(100)의 종류(D)를 의미한다. In the color code table, a plurality of sample photographs (C1) of the re-color-treated wood are prepared (indicated). The sample photograph (C1) is a photograph of each of the woods (refolding wood) prepared according to the type (A) and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agent, and then photographing each of them. At this time, the photographic image C1 of each photographed sample may be formed into an image, for example, in a color code table. In addition, the sample photographs C1 can be prepared for each type of wood 100 (Newspaper and larch, etc.).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a sample photograph (C1) is a wood (refolding wood) which is color-t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kind (A) of colorant, the concentration of colorant (B) and the kind (D) And the like. &Quot; New Song "and" Larch "written (expressed) in FIG. 2 to FIG. 8 refer to a kind (D) of the wood 100.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샘플 사진(C1)은 색상코드표의 x축과 y축이 교차된 교차 셀(C)에 작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색상제의 종류(A)는 x축 방향으로 작성되고, 상기 색상제의 농도(B)는 y축 방향(세로 방향)으로 작성되되, 샘플 사진(C1)은 상기 각 색상제의 종류(x축)와 각 색상제의 농도(y축)이 교차된 교차 셀(C)에 작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sample photograph C1 may be created in an intersecting cell C where the x-axis and the y-axis of the color code table are intersected. Specifically, the type (A) of the coloring agent is prepared in the x-axis direction,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agent is prepared in the y-axis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created in the intersecting cell C where the type (x-axis) and the concentration of each coloring material (y-axis) are intersected.

(4) 색상 코드(C2) (4) Color code (C2)

색상코드표에는 상기 샘플의 색상에 해당하는 색상 코드(C2)가 복수 개 작성(표기)되어 있다. 즉, 색상코드표에는 상기 각 샘플 사진(C1)들의 색상에 해당하는 색상 코드(C2)가 작성(표기)되어 있다. 이때, 색상 코드(C2)는 임의의 문자, 숫자 및/또는 기호 등으로 작성될 수 있으며, 이는 각 샘플들의 색상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서, 색상 코드(C2)는 색상을 취급하는 산업분야, 예를 들어 포토샵 일러스트레이션(photoshop illustration)이나 그래픽(graphic) 분야 등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색상 코드로 작성될 수 있다. In the color code table, a plurality of color codes (C2) corresponding to the colors of the sample are created (indicated). That is, a color code C2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each of the sample photographs C1 is created (indicated) in the color code table. At this time, the color code C2 may be formed by any character, number, and / or symbol, and may be any one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colors of the respective sampl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lor code C2 may be written in a color code that is used universally in an industrial field that handles colors, for example, a photoshop illustration or a graphic fiel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색상 코드(C2)는 문자, 숫자 및 기호의 조합으로서, 도 2 내지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D4AB7B", "#C39255", "#E8CFA9", "#CFBC9F", "#B67643" 및 "#B17A48" 등으로 작성(표기)될 수 있다. 이때, 도 2 내지 도 8에 작성된 색상 코드(C2)는 포토샵 일러스트레이션(photoshop illustration) 분야 등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색상 코드이다. In one example, the color code C2 is a combination of letters, numbers, and symbols, and is represented by "# D4AB7B", "# C39255", "# E8CFA9", "# CFBC9F" Quot; # B67643 "and" # B17A48 ". At this time, the color code (C2) created in FIGS. 2 to 8 is a color code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photoshop illustration.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색상 코드(C2)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교차 셀(C)에 작성(표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상 코드(C2)는 상기 각 색상제의 종류(x축)와 각 색상제의 농도(y축)이 교차된 교차 셀(C) 내에 샘플 사진(C1)과 함께 작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색상 코드(C2)는 샘플 사진(C1)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the color code C2 may be written (indicated) in the intersecting cell C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color code C2 can be created together with the sample photograph C1 in the intersecting cell C where the type of each coloring agent (x-axis) and the concentration of each coloring agent (y-axis) are intersect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the color code C2 may be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sample photograph C1.

아울러, 1개의 교차 셀(C)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 복수의 색상 코드(C2)가 작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서, 도 2 내지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색상 코드(C2)를 포토샵 일러스트레이션 분야 등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색상 코드에 준하여 작성하는 경우, 1개의 샘플 사진(C1)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색상 코드(C2)가 작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샘플 사진(C1)에 대하여 2개 내지 4개의 색상 코드(C2)가 작성될 수 있다. 이때, 색상 코드(C2)는 각 샘플 사진(C1)과 최대한 동일하거나 최대한 근접하는 색상 코드로부터 선택된다.
In addition, one or more than two color codes (C2) may be created in one intersecting cell (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to 8, when the color code C2 is created in accordance with a color code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photoshop illustration and the like, Two or more color codes C2 may be created. For example, two to four color codes (C2) can be created for one sample photograph (C1). At this time, the color code C2 is selected from color codes which are as close as possible or as close as possible to each sample photograph C1.

(5) 색상 표본(C3) (5) Color sample (C3)

색상코드표에는 상기 색상 코드(C2)에 해당하는 색상 표본(C3)이 복수 개 작성되어 있다. 색상 표본(C3)은 색상 코드(C2)에 따라 특정된 색상으로서, 이 또한 색상 코드(C2)를 설명한 바와 같이 색상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색상 표본(C3)은 상기 색상 코드(C2)를 설명한 바와 같이 포토샵 일러스트레이션 등의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색상 표본(색상 코드)에 준하여 작성(표기)될 수 있다. 이때, 색상 표본(C3)은 색상 코드(C2)와 대응된다. 즉, 색상 표본(C3)은 색상 코드(C2)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며, 각 샘플 사진(C1)과 최대한 동일하거나 최대한 근접하는 색상으로부터 선택된다. A plurality of color samples (C3) corresponding to the color code (C2) are created in the color code table. The color sample (C3) is a color specified according to the color code (C2),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distinguish colors as described in the color code (C2). The color sample (C3) can be created (expressed) in accordance with a color sample (color code) used in an industrial field such as a photoshop illustration as described above for the color code (C2). At this time, the color sample (C3) corresponds to the color code (C2). That is, the color sample C3 has the same number as the color code C2, and is selected from the colors which are as close as possible or as close as possible to each sample photograph C1.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색상 표본(C3)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교차 셀(C)에 작성(표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상 표본(C3)은 상기 각 색상제의 종류(x축)와 각 색상제의 농도(y축)이 교차된 교차 셀(C) 내에 샘플 사진(C1) 및 색상 코드(C2)와 함께 작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olor sample C3 may be created (represented) in the intersecting cell C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color sample C3 includes a sample photograph C1 and a color code C2 in the intersecting cell C in which the type of each coloring agent (x axis) and the concentration of each coloring agent (y axis) Can be written together.

아울러, 1개의 교차 셀(C)에는 1개 또는 2개 이상 복수의 색상 표본(C3)가 작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서, 도 2 내지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색상 표본(C3)을 포토샵 일러스트레이션 분야 등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색상 표본에 준하여 작성하는 경우, 1개의 샘플 사진(C1)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색상 표본(C3)이 작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샘플 사진(C1)에 대하여, 2개 내지 4개의 색상 표본(C3)이 색상 코드(C2)와 동일하게 개수로 작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r more than one color samples C3 may be created in one intersecting cell 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to 8, when the color sample C3 is created in accordance with a color sample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photoshop illustration and the like, Two or more color samples (C3) may be created. For example, for one sample photograph (C1), two to four color samples (C3) can be created in the same number as the color code (C2).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색상 표본(C3)는 샘플 사진(C1)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차 셀(C)에는 1개의 샘플 사진(C1)이 작성되고, 상기 샘플 사진(C1)의 하단에는 1개 이상의 색상 표본(C3) 및 1개 이상의 색상 코드(C2)이 작성될 수 있다. 이때, 색상 표본(C3)과 색상 코드(C2)의 배치 순서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샘플 사진(C1)의 하단에는 1개 이상의 색상 표본(C3)이 작성되고, 상기 색상 표본(C3)의 하단에는 각 색상 표본(C3)에 대응되는 1갱 이상의 색상 코드(C2)가 작성될 수 있다. 아울러,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색상 코드(C2)는 대응되는 색상 표본(C3) 상에 적층된 형태로 작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olor sample C3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ample photograph C1. More specifically, one sample photograph C1 is created in the intersecting cell C, one or more color samples C3 and one or more color codes C2 are cre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ample photograph C1 .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color sample (C3) and the color code (C2) is not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to 8, at least one color sample (C3) And at least one color code C2 corresponding to each color sample C3 may be creat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or sample C3.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lor code C2 may be formed in a laminated form on the corresponding color sample C3.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6) 상기 샘플에 해당하는 목재(100)의 종류(D); (7) 상기 색상제를 포함하는 색상액(30')(40')의 도포량(E); 및 (8) 상기 색상액(30')(40')의 도포횟수(F)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항목이 더 작성될 수 있다. 이를 도 9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따른 색상코드표를 보인 구성도이다.
Meanwhile,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he kind (D) of the wood 100 corresponding to the sample; (7) an application amount (E) of the hue solutions (30 ') and (40') containing the coloring agent; And (8)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F) of the hue solution 30 ', 4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목재(100)의 종류(D) (6) Type of wood (100) (D)

색상코드표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샘플의 해당하는 목재(100)의 종류(D)가 더 작성(표기)될 수 있다. 이때, 목재(100)의 종류(D)는 해당 샘플 사진(C1)의 제작 시에 사용된 목재(100)와 동일한 목재 원목의 종류로 작성된다. 목재(100)의 종류(D)는 상기 나열한 바와 같은 목재(100)가 예시될 수 있다. 아울러, 목재(100)의 종류(D)는 목재(100)의 엠보 유무(有無)를 더 포함하여 작성될 수 있다. 즉, 해당 목재(100)의 표면에 요철 구조(엠보)가 형성된 것인지, 형성되지 않은 것인지에 대한 엠보 유무(有無)에 대해서도 작성(표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목재(100)의 종류(D)는 "뉴송", "낙엽송" 및 "낙엽송 엠보" 등과 같이 작성(표기)될 수 있다. 여기서, "낙엽송 엠보"는, 목재 원목의 종류가 낙엽송이고, 이의 표면에는 요철 구조(엠보)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type (D) of the corresponding wood (100) of the sample can be optionally created (indicated) in the color code table. At this time, the kind (D) of the wood (100) is made of the same kind of wood timber as the timber (100)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ample photograph (C1). The type (D) of the wood 100 can be exemplified by the wood 100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type (D) of the wood (100) may be prepared by further inclu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mbossment of the wood (100). That is, the embossed structure (emboss) is formed (or not embossed) on the surface of the wood 100, and the embossed emboss structure (not embossed) is formed (not shown).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s. 2 to 9, the kind (D) of the wood 100 can be made (expressed) as "New Song", "Larch" and "Larch Emboss". Here, "larch embossed" means that the kind of wood lumber is larch, and the surface thereof is formed with a concave-convex structure (emboss).

또한, 목재(100)의 종류(D)는 목재 원목을 알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예를 들어 목재 원목의 명칭 및 원산지 등을 구체적으로 작성(기재)하거나, 목재 원목을 구별할 수 있는 별칭(약칭)으로 작성(기재)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면에 작성된 "뉴송"은 뉴질랜드 소나무이며, 이와 같이 목재(100)의 종류(D)는 목재 원목의 종류와 원산지를 약칭으로 작성(기재)할 수 있다. The kind (D) of the wood (100) is a kind of wood timber that can be identifi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pecify (name) the name and origin of the timber timber, ). In one example, "New Song" in the drawing is New Zealand pine, and the type (D) of the wood 100 can be written (abbreviated) as the kind and origin of the wood.

아울러,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목재(100)의 종류(D)는 색상코드표의 x-y 평면 상에서 x축 방향(세로 방향)으로 1개 이상 작성되되, 색상코드표의 최상단에 작성될 수 있다. 즉, 목재(100)의 종류(D)는 색상제의 종류(A)보다 상측에 작성될 수 있다.
2 to 9, at least one type D of the wood 100 is prepared in the x-axis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n the xy plane of the color code table, have. In other words, the type (D) of the wood 100 can be created above the type (A) of the coloring agent.

(7) 도포량(E) (7) Application amount (E)

색상코드표에는 선택적으로 색상액(30')(40')의 도포량(E)이 더 작성(표기)될 수 있다. 상기 색상액(30')(40')은 색상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이때, 색상액(30')(40')의 도포량(E)은 단위 면적당 중량으로 작성(표기)되며, 예를 들어 "g/ft2" 및/또는 "g/cm2"등의 단위로 작성(표기)될 수 있다. 또한, 색상액(30')(40')의 도포량(E)은, 예를 들어 2 ~ 30g/ft2의 범위 내에서 0.1g/ft2, 0.2g/ft2, 0.5g/ft2, 1g/ft2, 2g/ft2 및 5g/ft2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간격으로 작성(표기)될 수 있다. 도 9에 작성(표기)된 수치 "[7]", "[12]" 및 "[15]" 등은 색상액(30')(40')의 도포량(E)이며, 이는 "g/ft2"의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In the color code table, the application amount E of the coloring liquid 30 ', 40' may be further prepared (indicated). The coloring liquids 30 'and 40' include a coloring ag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coating amount E of the coloring liquids 30 ', 40' is formed (expressed) by the weight per unit area, and is expressed in units of "g / ft 2 " and / or "g / cm 2 " (Notation). Further, the application amount (E) of the color liquid (30 ') (40') is, for example, 2 ~ 30g / in the range of ft 2 0.1g / ft 2, 0.2g / ft 2, 0.5g / ft 2, of one or more selected intervals from 1g / ft 2, 2g / ft 2 and 5g / ft 2 and so on can be written (written). The numerical values "7", "12", and "15" written (indicated) in FIG. 9 are the application amounts E of the hue solutions 30 ', 40'Quot; 2 ". ≪ / RTI >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색상액(30')(40')의 도포량(E)은 색상코드표의 x-y 평면 상에서 y축 방향(세로 방향)으로 나열 작성되되, 색상코드표의 좌측 및/또는 우측에 작성될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서는 y축 방향(세로 방향)으로 좌측에 작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아울러, 색상액(30')(40')의 도포량(E)은 색상제의 농도(B)와 대응될 수 있다. 즉, 색상액(30')(40')의 도포량(E)은 색상제의 농도(B)와 동일한 개수로 작성(표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색상액(30')(40')의 도포량(E)은 각 색상제의 농도(B)와 함께, 해당 농도(B)의 하부에 작성(표기)될 수 있다. 이때, 도포량(E)은 1회의 도포량을 의미할 수 있다.
9, the application amount E of the hue solutions 30 'and 40' is arranged in the y-axis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n the xy plane of the color code table, and the left side and / or the right side of the color code table And the figure drawn on the left side in the y-axis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i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amount E of the hue solutions 30 ', 40' may correspond to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agent. That is, the coating amount E of the coloring liquids 30 ', 40' can be made (expressed) in the same number as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material.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the application amount E of the hue solutions 30 'and 40' is written (not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ncentration B together with the concentration B of each hue, . At this time, the coating amount E may mean a coating amount of one time.

(8) 도포횟수(F) (8) Number of application (F)

색상코드표에는 선택적으로 색상액(30')(40')의 도포횟수(F)가 더 작성(표기)될 수 있다. 이때, 색상액(30')(40')의 도포횟수(F)은 자연수로 작성(표기)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1 ~ 10 범위 내의 자연수로 작성(표기)될 수 있다. 도 9에 작성(표기)된 수치 "<1회>" 및 "<2회>" 등은 색상액(30')(40')의 도포횟수(F)이다. The number (F) of application of the coloring liquid 30 '(40') can be further created (indicated) in the color code table. At this time,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F of the coloring liquids 30 ', 40' can be created (expressed) as a natural number, which can be created (expressed) as a natural number within a range of 1 to 10, for example. The numerical values " (1) "and" (2) ", etc. written (indicated) in FIG. 9 are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F) of the hue solutions 30 'and 40'.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색상액(30')(40')의 도포횟수(F)는 색상코드표의 x-y 평면 상에서 y축 방향(세로 방향)으로 나열 작성되되, 색상코드표의 좌측 및/또는 우측에 작성될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에서는 y축 방향(세로 방향)으로 좌측에 작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아울러, 색상액(30')(40')의 도포횟수(F)은 도포량(E)과 대응될 수 있다. 즉, 색상액(30')(40')의 도포횟수(F)와 도포량(E)은 동일한 개수로 작성(표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보인 바와 같이, 색상액(30')(40')의 도포횟수(F)은 각 도포량(E)과 함께, 해당 도포량(E)의 하부에 작성(표기)될 수 있다.
9,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of the coloring liquids 30 ', 40' is listed in the y-axis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on the xy plane of the color code table, Or the right side, an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igure created on the left side in the y-axis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is illustrated. In addition,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F of the color liquids 30 ', 40' may correspond to the application amount E. That is,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F of the coloring liquids 30 ', 40' and the amount of application of the coloring liquids 30 ', 40' may be made the same number.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F of the coloring liquid 30 'or 40' can be created (indicated) below the application amount E together with the respective application amounts E .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샘플 사진(C1)을 위한 샘플은, 색상이 서로 다른 2종류 이상의 색상제가 사용되어 2종 이상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색상제의 종류(A)는 1개의 셀에 2종류 이상의 색상제(구체적인 성분 명칭 또는 별칭)로 나열 작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각 색상제에 해당하는 농도(B)도 2개 이상으로 작성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e for the sample photograph (C1) may have two or more kinds of hues by using two or more types of hu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color. At this time, the type (A) of the coloring agent can be listed in two or more types of coloring agents (specific component names or aliases) in one cell. In this case, the concentration (B) . &Lt; / RTI &gt;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9에서는 3개의 셀에 3종류의 색상제(A)가 각 셀마다 1개씩 작성되어 있다. 일례를 들어, 도 9에서,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셀에는 "Y-type"으로서 1종류의 색상제(A)가 작성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1개의 셀에는 2종류 이상의 색상제(A)가 나열 작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서,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셀에는, 예를 들어 "Y-type/K-type" 등으로서 2종류의 색상제(A)가 작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색상제에 해당하는 농도(B)도 2개 이상으로 작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0.3" 등으로 작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농도(B) "0.1/0.3"에서, "0.1"은 "Y-type"의 색상제에 해당하는 농도(B)이고, "0.3"은 "K-type"의 색상제에 해당하는 농도(B)가 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9, three kinds of coloring agents (A) are formed in three cells for each cell. For example, in FIG. 9, one type of coloring material (A) is created as a "Y-type" in the cell located at the upper right corner. At this ti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kinds of coloring agent (A) may be listed in one cell. Namely, in the cell located at the upper right in Fig. 9, for example, two types of coloring agent (A) can be created as "Y-type / K-type &quot;. In this case, the concentration (B) corresponding to each coloring agent may be made to be two or more, and may be made, for example, "0.1 / 0.3 &quot;. At this time, in the concentration (B) "0.1 / 0.3", "0.1" is the concentration (B) corresponding to the coloring agent of "Y-type" and "0.3" Concentration (B).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는, 예를 들어 종이재 및/또는 합성수지재 등의 시트(sheet)에 작성되거나, 디스플레이(display) 등에 작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는, 예를 들어 카탈로그(catalogue) 등의 책자에 수록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저장되어 관람될 수 있다.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written on a sheet such as a paper material and /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can be written on a display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for example, a catalog such as a catalog, or stored in a display device or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는 목재(100)의 재색 처리를 위해 사용된다. 또한, 재색 목재의 수요자(예를 들어, 목재 제품의 소비자나 가공 업체 등), 및/또는 재색 목재의 생산자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를 보고 선호하는(원하는) 색상 및 색도(색상의 농도)를 가지는 재색 목재를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는 재색 목재의 제조 시, 색상 및 색도(색상의 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지침(표본) 및/또는 매뉴얼(manual) 등이 될 수 있다.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re-coloring the wood 100. In addition, the consumer of a reddish wood (for example, a consumer or a processor of a wood product, etc.), and / or the producer of a reddish wood, etc., can view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centration) can be selected. In addition,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guide (sample) and / or a manual for determining color and chromaticity (color density) at the time of producing the red color wood.

예를 들어, 재색 목재의 수요자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를 보고 선호하는(원하는) 샘플 사진(C1), 색상 코드(C2), 색상 표본(C) 및/또는 목재의 종류(D)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재색 목재의 생산 업체(가공 업체)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에 기초하여 수요자의 욕구를 초대한 만족시킬 수 있다. 즉, 재색 목재의 생산 업체(가공 업체)는 색상코드표에 기초하여, 상기 수요자가 선택한 샘플 사진(C1), 색상 코드(C2), 색상 표본(C) 및/또는 목재의 종류(D)에 대응되는 색상제의 종류(A), 색상제의 농도(B) 및/또는 목재(100)의 종류(D)를 선택, 결정하여 재색 목재를 제조할 수 있다. For example, a consumer of a red-colored wood can view a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play the preferred (desired) sample photographs C1, color codes C2, color samples C and / You can choose. At this time, the manufacturer (processing company) of the red-colored wood can satisfy the consumer's desire based on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manufacturer (processing company) of the red-color wood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lor code table by using the sample photograph (C1), color code (C2), color sample (C) and / The colored wood can be produced by selecting and determining the type (A) of the corresponding coloring agent,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agent and / or the type (D) of the wood 100.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원하는 색상, 색도(색상의 농도) 및/또는 목재의 종류(D) 등을 선택하고, 이에 대응되는 재색 목재를 제조할 수 있어, 수요자의 욕구를 최대한 충족한 재색 목재 제품을 공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색상코드표에 기초하여, 다양한 색상 및 색도 등을 가지는 재색 목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red color, chromaticity (color density) and / or type of wood (D) can b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code table and the corresponding color-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red color wood product which satisfies the desire as much as possible. Further, based on the color code table,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red color wood having various colors and chromaticity.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재색 목재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재색 목재는, 상기 본 발명의 색상코드표에 작성되는 샘플 사진(C1)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5,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d color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d colored wood produced thereby will be described. He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colorless wood described below and the colored wood produced thereby include the description of the sample photograph (C1) prepared in the color cod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를 구성하는 상기 샘플 및 이의 제조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재색 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샘플 사진(C1)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재색 목재(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한 재색 목재)를 촬영한 사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은 재색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재색 공정에서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색상제의 종류(A), 색상제의 농도(B), 목재(100)의 종류(D), 색상액(30')(40')의 도포량(E) 및/또는 도포횟수(F) 등을 결정하는 선택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샘플 사진(C1)의 제조에서는 상기 선택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Specifically, the sample constituting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anufacture can be produced according to the red-colored wood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scribed below. That is, the sample photograph (C1) may be a photograph of a colorless wood (and a colored woo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scribed below. However, in the color re-coloring process, the type of coloring agent (A), the coloring agent concentration (B), the coloring agent (B), the coloring agent (E) and / or the number of application (F) of the coloring liquid 30 '(40'), and the like, And does not include the selection step.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및 샘플)는 색상액(30')(40')의 침투(흡수)에 의해 재색되어 있다. 이때,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재색 목재(및 샘플)는 상기한 바와 같은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를 포함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색상액(30')(40')이 침투(흡수)되어 재색되어 있다. 즉,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색상액(30')(40')의 침투(흡수)에 의해 재색된 재색부(30)(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나뭇결 무늬부(10)는 목재 원목의 나이테 및/또는 옹이에 의해 형성된 무늬미고, 상기 바탕 무늬부(20)의 나뭇결 무늬부(10)의 바탕 부분이다. First, the red colored wood (and s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lored by the penetration (absorption) of the color liquids 30 'and 40'.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red color wood (and sample) includes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s described above, and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30 ') and (40') penetrate (absorb)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coloring liquids 30 'and 40'. Tha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grain pattern 10 and the ground pattern 20 is colored by the colored portions 30 and 40 re-colored by the penetration (absorption) of the color liquids 30 'and 40'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is a base portion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of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formed by the rings and / or knots of the timb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는 서로 동일한 색상을 갖거나,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로 다른 색상'이란 색상액(30')(40')에 의해 서로 다르게 구현되는 색상, 및/또는 색상액(30')(40')의 색상과 목재(100) 자체의 고유 색상(천연색)에 의해 서로 다르게 구현되는 색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로 다른 색상'이란 색상(색깔) 자체가 서로 다른 것은 물론, 동일한 색상(색깔)에서 색도(색의 농도)가 다른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노란색과 빨간색으로서 색상(색깔) 자체가 다른 것은 물론, 진한 노란색과 연한 노란색으로서 색도(색의 농도)가 다른 것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may have the same color or different colors. In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colors' are colors which are differently implemented by the colorants 30 'and 40', and / or colors of the colorants 30 'and 40' Means a color that is implemented differently by a unique color (natural color).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colors' include not only different colors (colors) themselves, but also different colors (color densities) in the same color (color). For example, yellow and red, as well as different colors (colors) themselves, as well as dark yellow and light yellow color (color concentration) contains different things.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라서 색상액(30')의 침투(흡수)에 의해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에만 재색부(30)가 형성(도 10 참조)되어 있거나,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라서 색상액(30')의 침투(흡수)에 의해 상기 바탕 무늬부(20)에만 재색부(30)가 형성(도 13 참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라서 서로 다른 색상액(30')(40')의 침투(흡수)에 의해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 둘 모두에 재색부(30)(40)가 형성(도 15 참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다. The red color portion 30 is formed only on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by the penetration (absorption) of the color liquid 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 10) The red coloring portion 30 is formed only on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refer to FIG. 13) by penetration (absorption) of the coloring liquid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fringe portion 20 are colored by the red coloring portion () by the penetration (absorption) of the different color liquids 30 ' 30) 40 are formed (see Fig. 15). Accordingly, the grain pattern 10 and the ground pattern 20 have different color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구현예의 경우, 나뭇결 무늬부(10)는 색상액(30')에 의해 구현되는 색상을 가지며, 바탕 무늬부(20)는 목재(100)의 고유 색상(천연색)을 가져 서로 다른 색상이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구현예의 경우, 나뭇결 무늬부(10)는 목재(100)의 고유 색상(천연색)을 가지며, 바탕 무늬부(20)는 색상액(30')에 의해 구현되는 색상을 가져 서로 다른 색상이 구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구현예의 경우,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는 서로 다른 색상액(30')(40')에 의해 구현되는 색상을 가져 서로 다른 색상이 구현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has a hue realized by the hue 30 ',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has a hue ) So that different colors are implement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has a natural color (natural color) of the wood 10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has a color that is realized by the color liquid 30 ' Different colors are implemented.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pattern 10 and the ground pattern 20 have colors realized by different colorants 30 'and 40', and different colors are implemented.

본 발명에서, '재색'이란 목재(100)에 색상액(30')(40')이 침투(흡수)되어 채색(착색)된 것으로서, 이는 통상적인 색상 도료의 도장과는 다른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통상적인 색상 도료의 도장은 목재의 표면 상에 색상 도료층이 적층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의 재색은 목재(100)의 표면에서부터 소정 깊이까지 색상액(30')(40')이 침투, 흡수되어 채색된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lor re-coloration' means that the coloring liquids 30 'and 40' penetrate (absorb) into the wood 100 and are colored (colore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painting of a color paint. 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painting of a color paint means that a color paint layer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wood, but the color of the color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lor liquid 30 'from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a predetermined depth. (40 ') is penetrated, absorbed and colored.

또한, 본 발명에서 재색된 부분, 즉 재색부(30)(40)는 나뭇결 무늬부(10) 및/또는 바탕 무늬부(20)의 자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이는 색상액(30')(40')이 침투(흡수)되어 형성된 착색 부분을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재색부(30)(40)는 색상액(30')(40')에 의해 구현된 색상을 가지되, 이는 색상액(30')(40')의 종류에 따라 사용된 색상액(30')(40') 자체와 동일한 색상을 갖거나, 사용된 색상액(30')(40')과는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lored portions, that is, the re-colored portions 30 and 40 are portions formed in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 or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t a predetermined depth, ) 40 'is penetrated (absorbed). In addition, the re-coloring portions 30 and 40 have a color implemented by the coloring liquids 30 'and 40', which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loring liquids 30 'and 40' May have the same hue as the coloring liquids 30 ', 40' themselves, or may have a different color from the used hueing liquids 30 ', 40'.

본 발명에서, 색상액(30')(40')은 색상제(A)와 용제를 포함하는 액상으로서, 이는 목재(100)에 침투(흡수)되어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ing liquids 30 'and 40' are liquids containing a coloring agent (A) and a solvent,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can penetrate (absorb) the wood 100 to realize colors.

상기 색상제(A)는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물질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색상제(A)는 무기물, 유기물 및/또는 무기-유기 복합물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색상제(A)는, 예를 들어 화학 염료, 화학 안료, 식물성 색소 및 동물성 색소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색상제(A)에 의해 구현되는 색상, 즉 상기 재색부(30)(40)의 색상은, 예를 들어 갈색, 녹색, 흑녹색, 검보라색, 보라색, 연두색, 노란색, 빨간색, 분홍색, 오렌지색, 파란색 및/또는 하늘색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색상은 1종의 색상제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2종 이상의 색상제가 혼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The coloring agent (A) may be selected from an inorganic compound, an organic compound and / or an inorganic-organic compound, and the like, provided that the coloring agent (A) is not a material capable of realizing hue. The coloring agent (A) may use one or more selected from, for example, chemical dyes, chemical pigments, vegetable dyes and animal dyes. The colors realized by the coloring agent (A), that is, the colors of the re-coloring portions 30 and 40 may be, for example, brown, green, black green, black, purple, green, yellow, red, Orange, blue and / or sky blue. These colors may be realized by mixing one kind of coloring agent or two or more kinds of coloring agents having different colors.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색상제(A)는 수용성 무기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과망간산칼륨(potassium permanganate, KMnO4), 황산제1철(ferrous sulfate, FeSO4) 및 염화제2철(ferric chloride, FeCl3)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열한 3종류의 색상제는 목재(100)에 침투(흡수)능이 우수하면서 낮은 농도로도 우수한 색도를 구현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바람직하다. 이때, 도 3 내지 도 8에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에서, 색상제의 종류(A)로서 작성(표기)된 "K-type"은 상기 과망간산칼륨(KMnO4)을 의미하고, "H-type"은 상기 황산제1철(FeSO4)을 의미하며, "Y-type"은 상기 염화제2철(FeCl3)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ing agent (A) may be selected from water-soluble inorganic substances, more preferably potassium permanganate (KMnO 4 ), ferrous sulfate (FeSO 4 ) Ferric chloride (FeCl 3 ), and the like may be used. The three colorants listed above are excellent for penetrating (absorbing) the wood 100, and can realize excellent chromaticity even at a low concentration, which is prefer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in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3 to 8, "K-type" (expressed as a kind of coloring agent A) means potassium permanganate (KMnO 4 ) -type "means ferrous sulfate (FeSO 4 ), and" Y-type "means ferric chloride (FeCl 3 ).

또한, 상기 용제는 색상제(A)를 용해(또는 희석)시키면서 색상제(A)를 목재(100) 내부로 침투(흡수)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상기 용제는 물 및/또는 유기 용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알콜류(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및/또는 케톤류(메틸에틸케톤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용제로는 물을 사용하거나,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olvent may be one capable of penetrating (absorbing) the coloring agent (A) into the wood 100 while dissolving (or diluting) the coloring agent (A). The solvent may be selected from water and / or organic solvents. As the organic solvent, for example, alcohols (methanol, ethanol, isopropanol, etc.) and / or ketones (methyl ethyl ketone, etc.) may be used. In one example, the solvent may be water, or a mixture of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may be used.

상기 색상액(30')(40')은, 용액 전체 중량 기준으로 색상제(A) 0.001 ~ 30중량%(색상제의 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잔량은 용제(예를 들어, 물)이다. 이때, 색상제의 함량(농도)이 0.001중량% 미만이면, 색도가 낮아 선명한 색상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색상제의 함량(농도)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색도가 너무 높아 천연 무늬(10)(20)가 불명확해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점도가 높아 목재(100) 내부로의 침투(흡수)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색상액(30')(40')은 0.01 ~ 20중량%, 또는 0.05 ~ 10중량%의 색상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loring liquids 30 'and 40' may contain 0.001 to 30% by weight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of the coloring agent (A)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ution. The remaining amount is a solvent (for example, water). At this time, if the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is less than 0.001% by weight, the chromaticity is low and it may be difficult to realize a clear color. When the content of the coloring agent (concentration) exceeds 30% by weight, the chromaticity is too high, so that the natural patterns 10 and 20 become unclear, and in some cases, the viscosity becomes high, ) May be deteriorated. Considering this point, the coloring liquids 30 ', 40' may contain 0.01 to 20% by weight, or 0.05 to 10% by weight of a coloring agent.

본 발명에서, 상기 색상제의 함량(농도)는 상기 예시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색상제의 종류(A) 및/또는 목적하는 색도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색상제의 함량, 색상제의 농도(B), 색상액(30')(40')의 농도는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에 작성되는 색상제의 농도(B)는 색상액(30')(40') 내에 포함된 색상제의 함량으로서, 이는 색상액(30')(40')의 농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에 작성되는 색상액(30')(40')의 도포량(E) 및 도포횟수(F)은 각각 색상제의 도포량 및 도포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range, but may be set according to the kind of coloring agent (A) and / or the desired chromaticity.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the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B),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liquid (30 ') (40') may be used in the same sense. That is,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agent formed in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tent of the coloring agent contained in the coloring liquids 30 'and 40', which is the amount of the coloring liquids 30 ' Can be used to refer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oating amount E and the application frequency F of the hue solution 30 ', 40' formed on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coloring agent and the application frequency,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나뭇결 무늬부(10)는 바탕 무늬부(20)보다 돌출될 수 있다. 즉,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는 바탕 무늬부(20)보다 나뭇결 무늬부(10)가 돌출되어, 돌부와 요부로 구성된 요철 구조(엠보)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철 구조(엠보)에서, 나뭇결 무늬부(10)는 돌부를 구성하고, 바탕 무늬부(20)는 요부를 구성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에는 색상액(30')이 침투(흡수)되어 재색된 재색부(30)가 소정 깊이(T3)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나뭇결 무늬부(10)는 바탕 무늬부(20)보다 돌출되어 요철 구조의 표면을 가지되, 상기 바탕 무늬부(20)에는 색상액(30')이 침투(흡수)되어 재색된 재색부(30)가 소정 깊이(T3)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pattern 10 may protrude from the ground pattern 20. That is, referring to FIG. 10, the reddish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urface of a concave-convex structure (emboss) formed of a convex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by projecting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from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t this time, in the embossed structure,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constitutes a protrusion portion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constitutes a recess portion. In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 coloring liquid 30 ' (Absorbed) so that the re-colored portion 3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T 3 .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protrudes from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nd has a surface of a concavo-convex structure. In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 color liquid 30 ' The colored portion 3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T 3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는 평탄할 수 있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는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가 높고 낮음이 없이 평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바탕 무늬부(20)에는 색상액(30')이 침투(흡수)되어 재색된 재색부(30)가 소정 깊이(T3)로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may be flat. That is, referring to FIG. 13, the reddish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lat surface without high and low graininess pattern 10 and ground pattern 20. At this time, the re-coloring unit 30 having the coloring liquid 30 'penetrated (absorbed) in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T 3 .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나뭇결 무늬부(10)는 바탕 무늬부(20)보다 돌출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는 서로 다른 색상액(30')(40')이 침투되어 재색된 재색부(30)(40)가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5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는 바탕 무늬부(20)보다 나뭇결 무늬부(10)가 돌출되어 요철 구조(엠보)의 표면을 가지되, 상기 바탕 무늬부(20)는 제1색상액(30')이 침투(흡수)되어 재색된 제1재색부(30)가 형성되고, 상기 나뭇결 무늬부(10)는 제2색상액(40')이 침투(흡수)되어 재색된 제2재색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protrudes from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nd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have different colors The red colored portions 30 and 40 which have been re-colored by penetrating the liquid 30 'and 40'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15, the reddish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ain pattern 10 protruding from the ground pattern 20 to have a surface of an embossed structure, The first colored liquid 30 'penetrates (absorbs) to form a re-colored first red colored portion 30, and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penetrates (absorbs) the second colored liquid 40' The second red colored portion 40 may be formed.

본 발명에서, 상기 재색부(30)(40)의 두께(깊이)는 제한되지 않으나, 이는 예를 들어 0.01㎛ 내지 10mm가 될 수 있다. 즉, 도 10 및 도 13에서, T3는 예를 들어 0.01㎛ 내지 1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depth) of the re-coloring portions 30 and 40 is not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0.01 to 10 mm. 10 and 13, T 3 may have a thickness of, for example, 0.01 μm to 10 mm.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100)의 나뭇결 무늬부(10) 및/또는 바탕 무늬부(20)에 색상이 구현되되,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져 목재(100)의 천연 무늬(10)(20)가 두드러지고 입체감을 갖는다. 또한, 나뭇결 무늬부(10)가 돌출된 경우, 천연 무늬(10)(20)가 더욱 두드러지면서 입체적 엠보감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무늬(10)(20)에 다양한 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색상액(30')(40')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색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pattern 10 and / or the ground pattern 20 of the wood 100 are colored, and the wood pattern 10 and the ground pattern 20 have different colors. The natural pattern 10 (20) of the wood 100 is prominent and has a three-dimensional appearance. In addition, when the grain pattern 10 protrudes, the natural patterns 10 and 20 become more conspicuous, and the three-dimensional emboss feeling is remarkably improved.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lors can be implemented in the natural pattern 10 (20). That is, a desired color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coloring liquid 30 'or 40' o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및 제조장치)을 통해 함께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실시 형태를 함께 설명한다.
The above-described coloring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various methods,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is not limited. Preferabl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rless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red-colored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ed-colored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orless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제1실시 형태 First Embodiment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장치가 예시되어 있다.Fig. 10 illustrate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ducing a color red wo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 and 12 illustrate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red-colored wo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은, 목재(100)에 색상액(30')을 침투시켜 재색 처리하는 재색 공정을 적어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재색 공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에 준하여(기초하여), 상기 색상액(30')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A) 및 농도(B)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한다. 즉, 색상코드표에 따른 색상제의 종류(A) 및 농도를 가지는 색상액(30')을 이용하여 재색 처리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r red wo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includes a color red coloring step of penetrating the wood 100 with the color liquid 30 'to perform color re-coloring. At this time, the type (A) and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agent included in the hue 30 'are determined (based on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 That is, the color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coloring liquid 30 'having the kind (A) and the coloring agent according to the color code table.

일례를 들어, 수요자가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은 색상코드표를 보고, 색상제의 종류(A)는 "K-type"(과망간산칼륨)이고, 색상제의 농도(B)는 "0.1"(중량%)인 샘플 사진(C1)을 선택한 경우, 상기 재색 공정에서는 과망간산칼륨(K-type) 0.1중량%를 포함하는 색상액(30')을 이용하여 재색 처리한다. 또한, 색상코드표에 따라 목재(100)로는 낙엽송 엠보(표면에 요철 구조를 가지는 낙엽송)를 선택하여, 12g/ft2의 도포량으로 1회 도포하여 재색 처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sumer views the color code table as illustrated in FIG. 9, the color agent type (A) is "K-type" (potassium permanganate) and the color agent concentration (B) is "0.1" Weight%) is selected, the color re-coloring process uses the coloring liquid 30 'containing 0.1% by weight of potassium permanganate (K-typ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lor code table, the larch emboss (larch having a concavo-convex structure on the surface) may be selected as the wood 100 and applied once at a coating amount of 12 g / ft &lt; 2 &gt;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재색의 대상이 되는 목재(100)는 다층 구조의 목재 합판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10의 (a)에 보인 바와 같이, 목재(100)는 예를 들어 제1판재(1), 제2판재(2) 및 제3판재(3)로서, 3장의 판재(1)(2)(3)가 접합된 다층 구조의 목재 합판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목재(100)는 천연 무늬(10)(20)로서,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최외각에 위치한 적어도 1장 이상의 판재(1)(3)는 천연 무늬(10)(20)를 갖는다. 즉, 도 10의 (a)에 보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적어도 제1판재(1)는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wood 100 to be color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ed from wood plywood of a multi-layer structure. 10 (a), the wood 100 includes three sheets 1 and 2, for example, as a first sheet 1, a second sheet 2 and a third sheet 3, (3) are bonded to each other. The wood 100 may be a natural pattern 10 or 20 and may include a grain pattern 10 and a ground pattern 20. At least one plate member (1) (3) located at the outermost periphery has a natural pattern (10) (20). That is, as shown in FIG. 10A, for example, at least the first plate 1 may include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서, 본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은 브러싱(brush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를 포함하는 목재(100)에 색상액(30')을 침투(흡수)시키는 재색 공정; 및 상기 색상액(30')이 침투(흡수)된 목재(100)의 표면을 브러싱(brushing)하되, 상기 바탕 무늬부(20)의 색상액(30')이 침투(흡수)된 부분을 식각하는 브러싱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재색 공정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에 준하여(기초하여), 상기 색상액(30')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A) 및 농도(B)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한다.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재색 공정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에 준하여(기초하여) 목재(100)의 종류(D), 상기 색상제를 포함하는 색상액의 도포량(E) 및 상기 색상액의 도포횟수(F)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결정하여 재색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lorless wo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brushing. Specifically, a coloring step of infiltrating (absorbing) the coloring liquid 30 'into the wood 100 including the grain pattern 10 and the ground pattern 20; And bru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n which the coloring liquid 30 'penetrates (absorbed), so that the penetrated (absorbed) part of the coloring liquid 30' of the grounding part 20 is etched And a brushing process. At this time, in the red coloring step, the type (A) and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agent contained in the hue 30 'are determined (based on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re-coloring step, the kind (D) of the wood 100, the amount of the coloring liquid applied including the coloring agent (E), and the coloring amount of the coloring liquid It is possible to further determin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F to perform the color re-color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은, 선택적으로 색상액(30')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 공정은 재색 공정 이후에 진행된다. 상기 건조 공정은, 예를 들어 재색 공정과 브러싱 공정의 사이에 진행되거나, 브러싱 공정을 실시한 후에 진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lorless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ying step for selectively drying the coloring liquid 30 '. At this time, the drying process proceeds after the color remover process. The drying step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between the red coloring step and the brushing step or after the brushing step.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장치는,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를 포함하는 목재(100)를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110); 상기 이송 수단(110) 상에 설치되고, 목재(100)의 표면 상에 색상액(30')을 도포하여 색상액(30')이 침투되도록 하는 재색 처리기(130); 및 상기 재색 처리기(130)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색상액(30')이 침투된 목재(100)의 표면을 브러싱하되, 상기 바탕 무늬부(2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하는 브러싱 유닛(210)(220)(brushing unit)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장치는, 선택적으로 색상액(30')을 건조시키는 건조기(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기(150)는 재색 처리기(130)와 브러싱 유닛(210)(220)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상기 브러싱 유닛(210)(22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 11 and 12,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red-colored wo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a wood 100 including a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a ground pattern portion 20, (110); A re-coloring processor 130 installed on the conveying means 110 and applying a coloring liquid 30 'on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allow the coloring liquid 30' to penetrate; And the coloring liquid 30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brushed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nto which the coloring liquid 30' is infiltrated, And a brushing unit 210 (220) (brushing unit) for etching the portion. 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colorless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yer 150 for selectively drying the coloring liquid 30 '. At this time, the dryer 1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the brush units 210 and 220, or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brush units 210 and 220.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목재(100)의 표면 상에 색상액(30')을 도포하여, 목재(100)의 표면에서부터 소정 깊이(T1)(T2)까지 색상액(30')을 침투, 흡수시킨다. 이때, 색상액(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수용액으로서, 이는 적정 함량(농도)으로 색상제가 용해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색상액(30')의 농도(색상제의 함량)는 예를 들어 0.001 ~ 30중량%, 0.01 ~ 20중량% 또는 0.05 ~ 10중량%가 될 수 있으며, 색상제는 예를 들어 과망간산칼륨(KMnO4), 황산제1철(FeSO4) 및 염화제2철(FeCl3)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10 (b), a coloring liquid 30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form a coloring liquid 30' from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a predetermined depth T 1 (T 2 ) 30 '). At this time, the hue 30 'is, for example, an aqueous solution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dissolved in an appropriate amount (concentration). Also, as described above, the concentration (color agent content) of the hue 30 'may be, for example, 0.001 to 30 wt%, 0.01 to 20 wt% or 0.05 to 10 wt%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tassium permanganate (KMnO 4 ), ferrous sulfate (FeSO 4 ) and ferric chloride (FeCl 3 ).

본 발명에서, 색상액(30')의 도포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포 방법은, 예를 들어 색상액(30')에 목재(100)를 침지(dipping)하는 함침 방법; 및/또는 목재(100)의 표면 상에 색상액(30')을 코팅(coating)하는 코팅 방법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은, 예를 들어 분사 코팅(spray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바 코팅(bar coating) 및/또는 스핀 코팅(spin coating)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hue solution 30 'is not limited. The application method includes, for example, an impregnation method in which the wood 100 is dipped in the hue 30 '; And / or a coating method in which a hue 30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wood 100 and the like. The coating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spray coating, roll coating, bar coating and / or spin coating.

위와 같이 색상액(30')을 도포한 다음에는 소정 시간 동안 방치(정치)하여, 색상액(30')이 목재(100)의 내부로 침투, 흡수되게 한다. 이때, 색상액(30')은 농도에 따라, 또는 원하는 색도에 따라 1회 또는 2회 이상 수회 도포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예시에서 1회 내지 5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색상액(30')의 1회 도포량은, 예를 들어 2 ~ 30g/ft2가 될 수 있다. 이때, 도포량이 2g/ft2 미만인 경우, 선면한 색상 구현이 어려울 수 있으며, 30g/ft2를 초과하는 경우 침투 시간 및/또는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1회 도포량은, 예를 들어 5 ~ 20g/ft2, 또는 10 ~ 15g/ft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the coloring liquid 30 'is a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coloring liquid 30' is allowed to permeate and be absorbed into the interior of the wood 100 by being left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is time, the coloring liquid 30 'can be applied several times or one or more time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r desired chromaticity, and in one example, it can be applied once to five time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coloring liquid 30 'may be, for example, 2 to 30 g / ft 2 . In this case, when the coating amount is less than 2 g / ft 2 ,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the colored surface, and when it exceeds 30 g / ft 2 , the penetration time and / or the drying time may take a long time. In view of this point,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one application is, for example, 5 to 20 g / ft 2 , or 10 to 15 g / ft 2 .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재색 공정은 농도 0.05 ~ 10중량%의 색상액(30')을 1회 도포량 5 ~ 20g/ft2로 하여, 1회 내지 3회 도포하여 재색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포는 스펀지 롤 코터(sponge roll coater)를 사용하여 롤 코팅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재색 공정은 스펀지 롤 코터를 이용하여 색상액(30')을 도포하는 도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펀지 롤 코터는, 롤 코터(roll coater)의 표면 상에 신축성 스펀지가 설치된 것으로서, 이는 균일한 도포에 유리하다. 아울러, 도포 후에는 약 10초 내지 5분(침투 시간) 동안 방치하여 침투(흡수)되게 할 수 있다. 침투 시간은, 목재(100)의 종류 및/또는 색상액(30')은 농도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lor re-coloring step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the coloring liquid 30 'having a concentration of 0.05 to 10% by weight once to three times at a coating amount of 5 to 20 g / ft 2 .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ay be carried out by a roll coating method using a sponge roll coater. That is, the color re-coloring step may include an applying step of applying the coloring liquid 30 'using a sponge roll coater. At this time, the sponge roll coater is provided with a stretchable sponge on the surface of a roll coater, which is advantageous for uniform application. In addition, it can be left to permeate (absorb) for about 10 seconds to 5 minutes (infiltration time) after application. The penetration time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wood 100 and / or the coloring liquid 30 ',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range.

한편, 색상코드표에 준하는 농도(B)를 갖게 함에 있어서, 이는 색상액(30')의 도포량 및 도포회수를 조절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일례를 들어, 12g/ft2의 도포량으로 1회 도포하는 경우 0.1중량%에 해당하는 농도(B)를 갖는다면, 예를 들어 0.3중량%에 해당하는 농도(B)는 동일한 도포량(12g/ft2)으로 2회 도포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어 0.7중량%에 해당하는 농도(B)는 동일한 도포량(12g/ft2)으로 3회 도포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서, 색상액(30')의 도포량 및 도포횟수의 조절을 통하여 색상코드표에 준하는 농도(B)를 갖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obtain the density (B) according to the color code table, this can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application amount and the application number of the coloring liquid 30 '. For example, if a single application at a coverage of 12 g / ft 2 has a concentration (B) corresponding to 0.1 wt%, the concentration (B) corresponding to 0.3 wt%, for example, 2 ). In another example, the concentration (B) corresponding to 0.7% by weight can be realized by applying three times with the same application amount (12 g / ft 2 ). That is, depending on the cas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density (B) according to the color code table by adjusting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hue 30 'and the application frequency.

도 11에는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재색 처리기(130)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재색 공정은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은 재색 처리기(13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FIG. 11 shows an exemplary implementation of a re-color processor 130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ne example, the color re-color process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re-color processor 130 as shown in FIG.

도 11을 참조하면, 재색 처리기(130)는 이송 수단(110)의 상측에 설치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롤 코터(131)(132)와, 색상액(30')이 수용(저장)된 색상액 공급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색상액 공급조(140)는 롤 코터(131)(13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 코터(130)는, 예를 들어 제1롤 코터(131)와, 상기 제1롤 코터(131)에 밀착, 설치된 제2롤 코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2개의 롤 코터(130) 중에서, 적어도 제2롤 코터(132)는 전술한 바와 같은 스펀지 롤 코터로 구성될 수 있다. 11, the re-color processor 130 includes at least one roll coater 131 (132)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ying means 110, and a color liquid supplying / (140). At this time, the color liquid supply tank 140 may be installed above the roll coaters 131 and 132. The roll coater 130 may include a first roll coater 131 and a second roll coater 132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roll coater 131. At this time, of the two roll coaters 130, at least the second roll coater 132 may be constituted by the sponge roll coater as described above.

목재(100)는 이송 수단(110) 상에 적재되어, 예를 들어 도 11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 수단(110)은 목재(100)를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으며, 이는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색상액(30')은 색상액 공급조(140)로부터 배출되어 제1롤 코터(131)와 제2롤 코터(132)의 사이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색상액(30')은 적어도 제2롤 코터(132)의 회전에 의해, 목재(100)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다. The wood 100 is stacked on the conveying means 110 and conveyed in the right direction in Fig. 11, for example. The conveying means 110 may be any material capable of conveying the wood 100, and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a conveyor belt. The coloring liquid 30 'may be discharged from the coloring liquid supply tank 140 and supplied between the first roll coater 131 and the second roll coater 132. At this time, the coloring liquid 30 'can be uniformly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od 100 by rotation of at least the second roll coater 132.

상기 이송 수단(110)은 목재(100)를 0.1 ~ 1.0m/sec의 속도로 이송시킬 수 있다. 목재(100)는 이송 수단(110)을 통해 재색 처리기(130)를 통과한 후, 브러싱 유닛(210)(220)으로 공급된다. 이때, 목재(100)의 이송 속도가 0.1m/sec 미만인 경우, 예를 들어 생산성 등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목재(100)의 이송 속도가 1.0m/sec를 초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색상액(30')의 도포량이 작아지거나 침투 시간이 짧아져 침투(흡수)량 및/또는 침투(흡수) 깊이(T1)(T2)가 낮아질 수 있다. The conveying means 110 can convey the wood 100 at a speed of 0.1 to 1.0 m / sec. The wood 100 passes through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through the conveying means 110 and then supplied to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At this time, if the feeding speed of the wood 100 is less than 0.1 m / sec, it may not be preferable, for example, in productivity. If the conveying speed of the wood 100 is more than 1.0 m / sec, for example, the coating amount of the hue 30 'becomes small or the penetration time becomes short and the penetration (absorption) amount and / or the penetration (absorption) depth (T 1 ) (T 2 ) can be lowered.

또한, 상기 재생 공정 후에는 건조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재색 처리기(130)의 후단에는 1개 이상의 건조기(15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조는 색상액(30')에 포함된 용제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적외선(IR) 조사, 열풍 건조 및/또는 자연 건조 등을 통해 진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외선(IR) 조사 및/또는 열풍 건조 등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기(150)는 적외선(IR) 건조기 및/또는 열풍 건조기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건조는 약 40℃ 내지 110℃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Further, the drying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regeneration step. As shown in FIG. 11, one or more dryers 150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re-color processor 130. In the present invention, dry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apable of removing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coloring liquid 30 ', and it can proceed through, for example, infrared (IR) irradiation, hot air drying and / , Preferably infrared (IR) irradiation and / or hot air drying. That is, the dryer 150 may be selected from an infrared (IR) dryer and / or a hot air dryer. In one example, the drying may proceed at a temperature of about 40 캜 to 110 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건조 공정은 약 40℃ 내지 80℃에서 건조시키는 저온 건조 단계와, 약 70℃ 내지 110℃에서 건조시키는 고온 건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건조기(150)는 약 40℃ 내지 80℃의 온도를 가하는 제1건조기(151)과, 상기 제1건조기(151)의 후단에 설치되고 약 70℃ 내지 110℃의 온도를 가하는 제2건조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건조기(151) 및 제2건조기(152)는 적외선(IR) 건조기가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drying step may comprise a low temperature drying step of drying at about 40 ° C to 80 ° C and a high temperature drying step of drying at about 70 ° C to 110 ° C. The dryer 150 includes a first dryer 151 for applying a temperature of about 40 ° C. to 80 ° C. and a second dryer 151 for applying a temperature of about 70 ° C. to 110 ° C. 2 dryer (152). In one example, an infrared (IR) dryer may be used for the first dryer 151 and the second dryer 152.

일반적으로, 목재(100)의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는 고유 물성과 색상이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목재(100)의 나이테에 의해 형성된 나뭇결 무늬부(10)는 주로 겨울에 성장하는 부분으로서, 이는 바탕 무늬부(20)에 비해 딱딱하고(경질) 밀도가 높으며, 진한 색상(대부분의 경우, 갈색에 가깝다)을 갖는다. 또한, 바탕 무늬부(20)는 주로 여름에 성장하는 부분으로서, 이는 나뭇결 무늬부(10)에 비해 부드럽고(연질) 밀도가 낮으며, 연한 색상(대부분의 경우, 흰색에 가깝다)을 갖는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재(100)의 고유 물성과 색상을 이용한다. Generally,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of the wood 100 hav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and colors. Particularly,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formed by the rings of the wood 100 is a part that grows mainly in the winter, which is harder (hard) and has a higher density than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 It is close to brown). In addition,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is a part that grows mainly in the summer, and has a soft (soft) density lower than that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has a soft color (in most cases, close to whit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inherent physical properties and hue of the wood 100 as described above.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위와 같은 목재(100)의 표면에 색상액(30')을 도포하면, 고유 물성 차이에 의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는 침투 깊이(T1)(T2)에 차이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색상액(30')을 도포하면, 상기 나뭇결 무늬부(10)는 딱딱하고 밀도가 높아 색상액(30')의 침투 깊이(T1)가 작고, 상기 바탕 무늬부(20)는 부드럽고 밀도가 낮아 색상액(30')의 침투 깊이(T2)가 크다. 즉, 도 10의 (b)에서, T1 < T2이다. 여기서, T1은 나뭇결 무늬부(10)에 침투(흡수)된 색상액(30')의 깊이이고, T2은 바탕 무늬부(20)에 침투(흡수)된 색상액(30')의 깊이이다. 10 (b), when the coloring liquid 30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od 100 as described above, the grain pattern 10 and the ground pattern 20 have a penetration depth (T 1 ) (T 2 ). Specifically, when the coloring liquid 30 'is applied, the grain pattern 10 is hard and has a high density so that the penetration depth T 1 of the coloring liquid 30' is small and the ground pattern 20 The penetration depth (T 2 ) of the color liquid 30 'is large because of its smoothness and low density. That is, in FIG. 10 (b), T 1 <T 2 . Herein, T 1 is the depth of the hue 30 'penetrated (absorbed) into the grain pattern 10, T 2 is the depth of the hue 30' penetrated (absorbed) into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to be.

위와 같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에 색상액(30')을 침투(흡수)시켜 재색 처리한 다음, 재색 처리된 목재(100)의 표면을 브러싱(brushing)한다. 이때, 브러싱 공정에서, 상기 바탕 무늬부(2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하여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b) 및 (c)를 참조하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의 표면을 브러싱하되, 바탕 무늬부(2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브러싱을 통해 식각, 제거한다. 즉, 도 10의 (b)에서, T2로 나타낸 부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The coloring liquid 30 'is infiltrated (absorbed) into the grain pattern 10 and the ground pattern 20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surface of the colored wood 100 is subjected to brushing. At this time, in the brushing process, the penetrated portion of the tint 30 'of the ground tint 20 is etched and removed. 10 (b) and 10 (c), the surface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re brushed, and the coloring liquid 30 'of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The penetrated part is etched and removed by brushing. That is, in FIG. 10 (b), the portion indicated by T 2 is completely removed.

본 발명에서, 브러싱 공정은, 예를 들어 금속재 브러시(metal brush)를 이용하여 목재(100)의 표면을 식각 처리하는 공정으로서, 이러한 브러싱 공정은 경질의 나뭇결 무늬부(10)는 조금 식각되게 하고, 연질의 바탕 무늬부(20)는 상대적으로 많이 식각되게 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도 10의 (c)에 보인 바와 같이, 브러싱 공정 후에는 나뭇결 무늬부(10)에만 색상액(30')의 침투에 의해 재색된 재색부(30)가 소정 깊이(T3)로 형성되고, 바탕 무늬부(20)에는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이 없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ing process is a process of etch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by using, for example, a metal brush. In this brushing process, the hard wood grain 10 is etched a little , And the soft ground pattern 20 should be relatively etched. 10C, after the brushing process, the re-colored portion 30, which has been re-colored by the penetration of the coloring liquid 30 'into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only at the predetermined depth T 3 And the portion where the hue 30 'is penetrated disappears in the ground tint 20.

또한, 상기 브러싱 공정에 의해 목재(100)의 표면에는 요철 구조(엠보)가 형성된다. 즉, 연질의 바탕 무늬부(20)가 경질의 나뭇결 무늬부(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식각되어, 도 10의 (c)에 보인 바와 같이 나뭇결 무늬부(10)는 바탕 무늬부(20)보다 돌출된 요철 구조(엠보)의 표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나뭇결 무늬부(10)의 돌출된 부분에는 소정 깊이(T3)의 재색부(3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나뭇결 무늬부(10)는 색상액(30')의 침투에 의한 색상이 구현되고, 바탕 무늬부(20)는 고유 색상(천연색)을 가져, 육안 관찰 시 색상 차이에 의해 천연 무늬(10)(20)가 두드러지면서 입체감을 갖는다. 이와 함께, 나뭇결 무늬부(10)는 실질적으로 돌출되어 있어, 우수한 입체적 엠보감을 갖는다. In addition, a concave-convex structure (emboss)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ood 100 by the brushing process. 10 (c),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is etched relatively to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so that the soft ground pattern portion 20 is etched relatively more than the hard wood pattern portion 10, The surface of the protruding concave-convex structure (emboss) is formed. A red colored portion 3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 3 is formed o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ccordingly, the color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is realized by the penetration of the coloring liquid 30 ',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has a natural color (natural color) 10) 20 are conspicuous and have a three-dimensional effect. At the same time,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is substantially protruded, and has an excellent three-dimensional embossing feeling.

도 12에는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브러싱 유닛(210)(220)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브러싱 공정은 도 12에 보인 바와 같은 브러싱 유닛(210)(22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브러싱 유닛(210)(220)의 사시도와 평면도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12 shows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brush unit 210 (220)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ne example, the brushing process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as shown i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brush units 210 and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브러싱 유닛(210)(220)은 복수의 브러시(215)(225)를 갖는다. 상기 브러싱 유닛(210)(220)은 이송 수단(110) 상에 설치되며, 이는 예를 들어 회전을 통해 목재(100)의 표면을 식각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브러싱 유닛(210)(220)은 재색 처리기(130)의 후단에 설치된 컵형(cup type) 제1브러시 유닛(210)와, 상기 컵형 제1브러시 유닛(210)의 후단에 설치된 롤형(roll type) 제2브러시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brush units 210 and 220 have a plurality of brushes 215 and 225, respectively. The brush units 210 and 220 are installed on the conveying means 110, which etch the surface of the wood 100, for example, by rot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include a cup type first brush unit 210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a second brush unit 220 of a roll type.

상기 컵형 제1브러시 유닛(210)은, 예를 들어 금속재 와이어(215a)가 설치된 컵 브러시(215)와, 상기 컵 브러시(215)의 상부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컵 브러시(215)는 복수 개로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컵 브러시(215)는 지그재그 형태의 배치를 1열로 하여, 예를 들어 1열 내지 5열로 배열 설치될 수 있다. 도 12에는 지그재그 형태의 배치가 3열로 배열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롤형 제2브러시 유닛(220)은, 예를 들어 금속재 와이어(225a)가 설치된 롤 브러시(225)와, 상기 롤 브러시(225)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 브러시(225)는 복수개로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컵 브러시(215)와 롤 브러시(225)는 회전되며, 이들은 예를 들어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The cup-shaped first brush unit 210 includes a cup brush 215 having a metal wire 215a and a rotating shaft 212 mounted on the cup brush 215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2, a plurality of the cup brushes 215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In addition, the cup brushes 215 may be arranged in a zigzag arrangement in a single row, for example, in one to five rows. FIG. 1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staggered arrangements are arranged in three rows. The roll type second brush unit 220 may include a roll brush 225 provided with a metal wire 225a and a support frame 222 for supporting the roll brush 225. [ 12, the plurality of roll brushes 225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he cup brush 215 and the roll brush 225 are rotated, and they can be rotated by a motor (not shown), for example.

브러싱 유닛(210)(220)이 위와 같은 컵형 제1브러시 유닛(210)와 롤형 제2브러시 유닛(220)을 포함하는 경우 브러싱 공정이 개선된다. 이때, 상기 컵형 제1브러시 유닛(210)에 설치된 컵 브러시(215)는 목재(100)의 표면을 1차 브러싱하며, 이는 주로 식각 처리를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롤형 제2브러시 유닛(220)에 설치된 롤 브러시(225)는 목재(100)의 표면을 2차 브러싱하며, 이는 균일한 식각 처리를 담당한다. When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include the cup-shaped first brush unit 210 and the roll-shaped second brush unit 220 as described above, the brushing process is improved. At this time, the cup brush 215 installed on the cup-shaped first brush unit 210 first bristles the surface of the wood 100, and is mainly responsible for the etching process. The roll brush 225 installed on the second brush-type brush unit 220 brushes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form a second brush, which is responsible for uniform etching.

목재(100)는 이송 수단(110)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도 12의 오른쪽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브러싱 유닛(210)(220)을 통과한다. 이때, 목재(100)는 이송 수단(110)에 의해, 예를 들어 브러싱 유닛(210)(220)을 0.1 ~ 1.0m/sec의 속도로 통과한다. 또한, 상기 브러싱 유닛(210)(220)은 재색 처리기(130)로부터 5 ~ 3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된다. 이때, 목재(100)의 이송 속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재색 처리기(130)로부터 브러싱 유닛(210)(220)의 이격 거리가 5m 미만인 경우, 색상액(30')의 침투 시간이 짧아져 침투(흡수)량 및/또는 침투(흡수) 깊이(T1)(T2)가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브러싱 유닛(210)(220)의 이격 거리가 30m를 초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공정 라인이 길어지고, 공간 이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브러싱 유닛(210)(220)은 재색 처리기(130)로부터 8 ~ 2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된 것이 좋다. The wood 100 passes through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while being carried on the conveying means 110, for example, continuously conveyed in the rightward direction of FIG. At this time, the wood 100 passes by, for example, the brush units 210 and 220 by the conveying means 110 at a speed of 0.1 to 1.0 m / sec. The brush units 210 and 220 are spaced apart from the re-color processor 130 by a distance of 5 to 30 m. At this time, i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veyance speed of the wood 100. However, if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brush units 210 and 220 from the re-color processor 130 is less than 5 m, the penetration time of the hue solution 30 ' (Absorption) amount and / or penetration (absorption) depth (T 1 ) (T 2 ) can be lowered. If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exceeds 30 m, for example, the process line may be long and may not be preferable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is preferable that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are spaced apart from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by a distance of 8 to 20 m.

또한, 상기 이격 거리는 건조기(150)에도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건조기(150)는 재색 처리기(130)와 브러싱 유닛(210)(220)의 사이, 및/또는 브러싱 유닛(210)(22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적어도 재색 처리기(130)와 브러싱 유닛(210)(22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격 거리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색 처리기(130)와 브러싱 유닛(210)(220)의 사이에 건조기(150)가 설치된 경우, 상기 건조기(150)는 재색 처리기(130)로부터 5 ~ 3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 ~ 2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위와 같다. 구체적으로, 건조기(150)의 이격 거리가 너무 짧은 경우, 건조가 빨리 이루어져 색상액(30')의 침투 시간이 짧아진다. 그리고 건조기(150)의 이격 거리가 너무 긴 경우, 예를 들어 공정 라인이 길어지고, 공간 이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The distance may also be applied to the dryer 150. Specifically, the dryer 150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and / or the rear ends of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In this case, In the case of being installed between the processor 130 and the brush units 210 and 220, the spacing distance may be applied. That is, when the dryer 150 is installed between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the dryer 150 is spaced from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by 5 to 30 m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of preferably 8 to 20 m. The reason is as above. In particula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ryer (150) is too short, the dry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penetration time of the coloring liquid (30 ') is shortened. And if the spacing of the dryer 150 is too long, for example, the process line may be long and undesirable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이격 거리는 재색 처리기(130)의 말단(또는 중앙)에서부터 브러싱 유닛(210)(220) 또는 건조기(150)의 입구(또는 중앙)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현예에 따라서, 목재(100)의 이송 속도와 상기 이격 거리의 조절을 통해, 색상액(30')이 약 10초 내지 5분(침투 시간) 동안 침투(흡수)되게 할 수 있다. The spacing distance may refer to the distance from the end (or the center) of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to the entrance (or center) of the brushing unit 210, 220 or the dryer 150. Fur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loring liquid 30 'can be infiltrated (absorbed) for about 10 seconds to 5 minutes (infiltration time) by controlling the feeding speed of the wood 100 and the spacing distance have.

한편,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목재(100)의 표면을 샌딩(sanding) 처리하는 샌딩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샌딩 공정은, 예를 들어 샌드페이퍼(sand paper)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샌딩 공정은 재색 공정 이전, 및/또는 브러싱 공정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재색 처리기(130)의 선단 및/또는 브러싱 유닛(210)(220)의 후단에는 1개 이상의 샌딩기(1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1에는 재색 처리기(130)의 선단에 1개의 샌딩기(120)가 설치된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샌딩기(120)는, 예를 들어 회전 롤러의 표면에 샌드페이퍼가 부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anding process for sand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he sand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sand paper. At this time, the sand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the color remover process and / or after the brushing process. To this end, one or more sanders 120 may be installed at the tip of the re-color processor 130 and / or at the rear end of the brush units 210 and 220. 1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one sanding machine 120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re-color processor 130. In FIG. The sanding machine 1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sandpaper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rotating roller, for example.

상기 재색 공정 이전에 진행되는 샌딩 공정은 목재(100)의 표면을 평탄화(표면 균일화)하여, 예를 들어 재색 공정 시 색상액(30')의 균일한 도포 및 침투 등을 도모한다. 아울러, 상기 브러싱 공정 이후에 진행되는 샌딩 공정은 목재(100)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예를 들어 재색 목재의 표면성과 미려함 등을 개선한다.  The sanding process before the re-coloring step smoothes the surface of the wood 100 (surface homogenization), for example, uniformly applying and penetrating the coloring liquid 30 'during the red coloring step. In addition, the sanding process after the brushing process smoothes the surface of the wood 100, and improves the surface and the beauty of the red-colored wood, for examp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각 공정들은 적어도 1회 이상이다. 즉, 상기 재색 공정, 브러싱 공정, 건조 공정 및/또는 샌딩 공정은 1회에 한하여 진행되거나, 경우에 따라서 2회 이상 수회 반복하여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재색 공정 이전에도 브러싱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브러싱 공정 --> 재색 공정 --> 브러싱 공정을 순차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rocesses is at least one time. That is, the re-coloring step, the brushing step, the drying step and / or the sanding step may be performed only once, or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if necessary. 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the color re-coloring process. For example,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quentially include a brushing process, a colorizing process, and a brushing proces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및 조장치)의 제2실시 형태 내지 제4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사용되는 용어 및 도면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이는 상기 제1실시 형태를 설명한 바와 같다. 아울러,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실시 형태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 내지 제4실시 형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lor) of a colorless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note the same function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f there is a part which is not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this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addition, as occasion demands,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s of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below.

제2실시 형태 Second Embodiment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장치가 예시되어 있다.Fig. 13 illustrate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d-colored wo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14 illustrates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red-colored wo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은,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를 포함하는 목재(100)에 색상액(30')을 침투(흡수)시키는 재색 공정; 및 상기 색상액(30')이 침투된 목재(100)의 표면을 연마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연마 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재색 공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에 준하여(기초하여), 상기 색상액(30')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A) 및 농도(B)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한다. 아울러, 선택적으로 색상액(30')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 공정은 재색 공정과 연마 공정의 사이에 진행되거나, 연마 공정을 실시한 후에 진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d coloring wo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pplying a coloring liquid 30 'to a wood 100 including a grain pattern 10 and a ground pattern 20, ) To penetrate (absorb) the coloring material; And a polishing process of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nto which the coloring liquid 30 'is infiltrated, wherein the coloring liquid 30' of the wood grain pattern 10 is etched and removed. At this time, the type (A) and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agent included in the hue 30 'are determined (based on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drying process for selectively drying the coloring liquid 30 '. At this time, the drying step may be carried out between the color remover step and the polishing step or after the polishing step.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장치는,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를 포함하는 목재(100)를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110); 상기 이송 수단(110) 상에 설치되고, 목재(100)의 표면 상에 색상액(30')을 도포하여 색상액(30')이 침투되도록 하는 재색 처리기(130); 및 상기 재색 처리기(130)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색상액(30')이 침투된 목재(100)의 표면을 연마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연마기(160)를 포함한다. 아울러, 선택적으로 색상액(30')을 건조시키는 건조기(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기(150)는 재색 처리기(130)와 연마기(160)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상기 연마기(16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 14,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ddish-color wo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a wood 100 including a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a ground pattern portion 20 110); A re-coloring processor 130 installed on the conveying means 110 and applying a coloring liquid 30 'on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allow the coloring liquid 30' to penetrate; And a coloring liquid 30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nto which the coloring liquid 30' is infiltrated, And a polishing machine 160 for etching and removing the portions.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dryer 150 for selectively drying the coloring liquid 30 '. At this time, the dryer 1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the grinder 160 or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grinder 160.

도 13의 (a) 및 (b)를 참조하면, 먼저 목재(100)의 표면 상에 색상액(30')을 도포하여, 목재(100)의 표면에서부터 소정 깊이(T1)(T2)까지 색상액(30')을 침투, 흡수시킨다. 이때, 상기 제1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유 물성 차이에 의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는 침투 깊이(T1)(T2)에 차이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색상액(30')을 도포하면, 상기 나뭇결 무늬부(10)는 딱딱하고 밀도가 높아 색상액(30')의 침투 깊이(T1)가 작고, 상기 바탕 무늬부(20)는 부드럽고 밀도가 낮아 색상액(30')의 침투 깊이(T2)가 크다. 즉, 도 13의 (b)에서, T1 < T2이다. 13 (a) and 13 (b), a coloring liquid 30 'is first applied onto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form a predetermined depth T 1 (T 2 ) from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penetrate and absorb the hue 30 '. At this tim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show a difference in penetration depth (T 1 ) (T 2 ) due to a difference in inherent property. Specifically, when the coloring liquid 30 'is applied, the grain pattern 10 is hard and has a high density so that the penetration depth T 1 of the coloring liquid 30' is small and the ground pattern 20 The penetration depth (T 2 ) of the color liquid 30 'is large because of its smoothness and low density. That is, in Fig. 13B, T 1 < T 2 .

위와 같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에 색상액(30')을 침투(흡수)시켜 재색 처리한 다음, 재색 처리된 목재(100)의 표면을 연마한다. 이때, 연마 공정에서,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하여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도 13의 (b) 및 (c)를 참조하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의 표면을 연마하되, 나뭇결 무늬부(1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연마를 통해 식각, 제거한다. 즉, 도 13의 (b)에서, T1로 나타낸 부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The coloring liquid 30 'is infiltrated (absorbed) in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nd the surface of the colorized wood 100 is polished. At this time, in the polishing step, the penetrated portion of the coloring liquid 30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is etched and removed. 13 (b) and 13 (c), the surface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re polished, and the coloring liquid 30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is polished The penetrated part is etched and removed by polishing. That is, in FIG. 13 (b), the portion denoted by T 1 is completely removed.

본 발명에서, 연마 공정은 목재(100)의 표면을 소정 두께로 식각 처리하는 공정으로서, 이는 적어도 나뭇결 무늬부(1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연마 공정은, 예를 들어 샌딩 롤러, 샌드페이퍼 및/또는 샌드 블라스트 등을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연마 공정에 의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가 동일한 두께로 식각(샌딩)되어, 목재(100)는 평평한 표면을 갖는다. 이때, 나뭇결 무늬부(1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침투 깊이, 즉 도 13에서 T1로 표시한 부분은 식각, 제거되나, 바탕 무늬부(2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침투 깊이, 즉 도 13에서 T2로 표시한 부분은 깊이가 커 완전히 식각, 제거되지 않고 소정 깊이(T3)로 남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ishing step is a step of etch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which is particularly effective if at least the coloring liquid 30 'of the grain pattern 10 can be etched and removed It is not limited. The poli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sanding roller, a sandpaper, and / or a sandblast. By this polishing process,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re etched (sanded) to the same thickness, and the wood 100 has a flat surface. In this case, the penetration depth penetrated by the coloring liquid 30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that is, the portion indicated by T 1 in FIG. 13 is etched and removed, but the coloring liquid 30' This penetrated depth of penetration, that is, the portion indicated by T 2 in FIG. 13, is deep enough to remain at a predetermined depth T 3 without being completely etched and removed.

이에 따라, 도 13의 (c)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연마 공정 후에는 바탕 무늬부(20)에만 색상액(30')의 침투에 의해 재색된 재색부(30)가 소정 깊이(T3)로 형성되고, 나뭇결 무늬부(10)에는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이 없어진다. 또한, 상기 연마 공정에 의해 목재(100)의 표면은 평탄해진다. 즉,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는 돌출됨이 없이 평탄한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는,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가 평탄한 표면을 가지되, 바탕 무늬부(20)에는 소정 깊이(T3)의 재색부(30)가 형성된다. 그리고 나뭇결 무늬부(10)는 목재의 고유 색상(천연색)을 갖는다. 즉, 바탕 무늬부(20)는 색상액(30')의 침투에 의한 색상이 구현되고, 나뭇결 무늬부(10)는 고유 색상(천연색)을 가져, 육안 관찰 시 색상 차이에 의해 천연 무늬(10)(20)가 두드러지면서 입체감을 갖는다. 13C, after the grinding step, the re-colored portion 30, which has been re-colored by the penetration of the hue 30 'into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only at the predetermined depth T 3 , And the portion of the grain pattern 10 where the hue 30 'is penetrated disappears.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s flattened by the polishing process. That is,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have a flat surface without protruding. Thus, reindexing portions 30 of reindexing wood, grain pattern section 10 and the background pattern portion 20 being of a flat surface, a ground tint portion 20 has a predetermined depth (T 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has a natural color (natural color) of the wood. In other words,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realizes color due to the penetration of the coloring liquid 30 ', and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has a natural color (natural color) ) 20 is prominent and has a three-dimensional effect.

상기 재색 공정은, 예를 들어 상기 제1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재색 처리기(130)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 공정은, 예를 들어 샌딩 롤러, 샌드페이퍼 및 샌드 블라스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연마기(16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The color re-color proces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through the re-color processor 130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Further, the polishing process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olishing machine 160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anding roller, a sandpaper, and a sandblast, for example.

도 14를 참조하면, 목재(100)는 이송 수단(110)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도 14의 오른쪽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재색 처리기(130) 및 연마기(160)를 통과한다. 이때, 목재(100)는 이송 수단(110)에 의해 0.1 ~ 1.0m/sec의 속도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연마기(160)은 재색 처리기(130)로부터 5 ~ 3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된다. 목재(100)의 이송 속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재색 처리기(130)로부터 연마기(160)의 이격 거리가 5m 미만인 경우, 색상액(30')의 침투 시간이 짧아져 침투(흡수)량 및/또는 침투(흡수) 깊이(T1)(T2)가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연마기(160)의 이격 거리가 30m를 초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공정 라인이 길어지고, 공간 이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연마기(160)는 재색 처리기(130)로부터 8 ~ 2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된 것이 좋다. 14, the wood 100 passes through the re-color processor 130 and the abrasive machine 160 while being continuously conveyed in the rightward direction in Fig. 14, for example, while being loaded on the conveying means 110. Fig. At this time, the wood 100 is conveyed by the conveying means 110 at a speed of 0.1 to 1.0 m / sec. The grinding machine 160 is spaced apart from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by a distance of 5 to 30 m. The amount of penetration (absorption) of the coloring liquid 30 'may be shortened and the amount of penetration (absorption) of the coloring liquid 30' may be shortened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olishing machine 160 is less than 5 m from the re- Or the penetration (absorption) depth (T 1 ) (T 2 ) may be lowered. If the distance of the polishing machine 160 is more than 30 m, for example, the process line may be long and may not be preferable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is preferable that the abrasive machine 160 is spaced apart from the re-color processor 130 by a distance of 8 to 20 m.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재색 처리기(130)와 연마기(160)의 사이, 및/또는 연마기(160)의 후단에는 건조기(15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적어도 재색 처리기(130)와 연마기(160)의 사이에 설치된 건조기(150)의 경우에는 상기 이격 거리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재색 처리기(130)와 연마기(160)의 사이에 건조기(150)가 설치된 경우, 상기 건조기(150)는 재색 처리기(130)로부터 5 ~ 3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 ~ 2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건조기(150)의 이격 거리가 너무 짧은 경우, 건조가 빨리 이루어져 색상액(30')의 침투 시간이 짧아진다. 그리고 건조기(150)의 이격 거리가 너무 긴 경우, 예를 들어 공정 라인이 길어지고, 공간 이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ryer 1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e-color processor 130 and the polisher 160 and / or the rear end of the polisher 160. At this time, at least the re- In the case of the dryer 150 installed between the polishers 160, the spacing distance may be applied. That is, when the dryer 150 is installed between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the abrasive machine 160, the dryer 15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by a distance of 5 to 30 m, Can be spaced apart by a distance of 8 ~ 20m. The reason is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ryer (150) is too short, the dry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penetration time of the coloring liquid (30 ') is shortened. And if the spacing of the dryer 150 is too long, for example, the process line may be long and undesirable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한편, 본 제2실시 형태에서도 제1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목재(100)의 표면을 샌딩(sanding) 처리하여 매끄럽게 하는 샌딩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샌딩 공정은, 예를 들어 샌드페이퍼(sand paper)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샌딩 공정은 재색 공정 이전, 및/또는 연마 공정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재색 처리기(130)의 선단 및/또는 연마기(160)의 후단에는 1개 이상의 샌딩기(120)가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mbodiment can further include a sanding step of sand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and smoothing it,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and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sand paper. At this time, the sand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the color remover process and / or after the polishing process. To this end, one or more sanders 120 may be installed at the tip of the re-color processor 130 and / or the rear end of the grinder 160.

상기 재색 공정 이전에 진행되는 샌딩 공정은 목재(100)의 표면을 평탄화(표면 균일화)하여, 예를 들어 재색 공정 시 색상액(30')의 균일한 도포 및 침투 등을 도모한다. 아울러, 상기 연마 공정 이후에 진행되는 샌딩 공정은 목재(100)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예를 들어 재색 목재의 표면성과 미려함 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The sanding process before the re-coloring step smoothes the surface of the wood 100 (surface homogenization), for example, uniformly applying and penetrating the coloring liquid 30 'during the red coloring step. In addition, the sanding process performed after the polishing process smoothes the surface of the wood 100, for example, can further improve the surface and beauty of the red-colored wood.

또한, 본 제2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방법은, 선택적으로 상기 재색 공정 이전에 진행되는 브러싱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제2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방법은 브러싱 공정 --> 재색 공정 --> 연마 공정을 순차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러싱 공정은 목재(100)의 표면을 브러싱하여, 경질의 나뭇결 무늬부(10)는 조금 식각되게 하고, 연질의 바탕 무늬부(20)는 상대적으로 많이 식각되게 하여, 재색 전의 목재(100)에 요철 구조를 갖게 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즉, 나뭇결 무늬부(10)가 바탕 무늬부(20)보다 돌출되게 할 수 있으면 좋다. 이러한 브러싱 공정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상기 제1실시 형태에서 설명된 부분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도 14에 보인 바와 같이, 재색 처리기(130)의 선단에는 1개 이상의 브러싱 유닛(210)(22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브러싱 유닛(210)(220)은 상기 제1실시 형태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rushing step optionally performed before the color re-coloring step. For example,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sequentially include a brushing process, a color remover process, and a polishing process. At this time, the brushing step brushes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make the hard grain pattern 10 slightly etched and the soft ground pattern 20 relatively more etched, 100 may have a concavo-convex structure. That is, the grain pattern 10 may protrude from the ground pattern 20. Specific examples of such a brushing process include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14, one or more brushing units 210 and 220 may be installed at the tip of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3실시 형태 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은,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를 포함하는 목재(100)의 표면을 브러싱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10)가 바탕 무늬부(20)보다 돌출되게 하는 브러싱 공정; 상기 브러싱된 목재(100)의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에 색상액(30')을 침투시키는 재색 공정; 및 상기 색상액(30')이 침투된 목재(100)의 표면을 연마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연마 공정을 포함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r red woo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ncluding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is brushed together with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 brushing step of protruding from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A coloring step of causing the coloring liquid 30 'to penetrate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of the brushed wood 100; And a polishing process of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nto which the coloring liquid 30 'is infiltrated, wherein the coloring liquid 30' of the wood grain pattern 10 is etched and removed.

이때, 상기 재색 공정에서는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상기 색상액(30')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A) 및 농도(B)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색상액(30')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 공정은 재색 공정과 연마 공정의 사이에 진행되거나, 연마 공정을 실시한 후에 진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color re-coloring step, the type (A) and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agent contained in the hue 30 'ar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code table, 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drying step for selectively drying the coloring liquid 30 '. At this time, the drying step may be carried out between the color remover step and the polishing step or after the polishing step.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장치는,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를 포함하는 목재(100)를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110); 상기 목재(100)의 표면을 브러싱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10)가 바탕 무늬부(20)보다 돌출되게 하는 브러싱 유닛; 상기 브러싱된 목재(100)의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에 색상액(30')을 도포하여 색상액(30')이 침투되도록 하는 재색 처리기(130); 및 상기 색상액(30')이 침투된 목재(100)의 표면을 연마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연마기(160)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색상액(30')을 건조시키는 건조기(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기(150)는 재색 처리기(130)와 연마기(160)의 사이에 설치되거나, 상기 연마기(16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color red wo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conveying means 110 for conveying a wood 100 including a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a ground pattern portion 20; A brushing unit for bru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so that the wood grain pattern 10 protrudes from the ground pattern 20; A color rendition processor 130 for applying the color liquid 30 'to the grain pattern 10 and the ground pattern 20 of the brushed wood 100 so as to penetrate the color liquid 30'; And a polisher 160 for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nto which the coloring liquid 30 'is infiltrated, and for etching and removing the penetrated portion of the coloring liquid 30' of the grain pattern 10 do.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dryer 150 for selectively drying the coloring liquid 30 '. At this time, the dryer 1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the grinder 160 or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grinder 160.

본 제3실시 형태에 따라서, 먼저 목재(100)의 표면을 브러싱하는 브러싱 공정을 진행한다. 이러한 브러싱 공정은 경질의 나뭇결 무늬부(10)는 조금 식각되게 하고, 연질의 바탕 무늬부(20)는 상대적으로 많이 식각되게 하여, 목재(100)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게 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즉, 나뭇결 무늬부(10)가 바탕 무늬부(20)보다 돌출되게 할 수 있으면 좋다. 이러한 브러싱 공정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상기 제1실시 형태에서 설명된 부분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재색 처리기(130)의 선단에는 1개 이상의 브러싱 유닛(210)(22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브러싱 유닛(210)(220)은 상기 제1실시 형태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 brushing process of first bru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s carried out. The brushing process may be as long as it allows the hard wood grain pattern 10 to be slightly etched and the soft ground pattern 20 to be relatively etched so as to have a concavo-convex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wood 100 . That is, the grain pattern 10 may protrude from the ground pattern 20. Specific examples of such a brushing process include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o this end, one or more brushing units 210 and 220 may be provided at the tip of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may be disposed at the tip of the re- Same as.

상기 브러싱된 목재(100)의 표면 상에 색상액(30')을 도포하여, 목재(100)의 표면에서부터 소정 깊이(T1)(T2)까지 색상액(30')을 침투, 흡수시킨다. 이때, 상기 제1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유 물성 차이에 의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는 침투 깊이(T1)(T2)에 차이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색상액(30')을 도포하면, 상기 나뭇결 무늬부(10)는 딱딱하고 밀도가 높아 색상액(30')의 침투 깊이(T1)가 작고, 상기 바탕 무늬부(20)는 부드럽고 밀도가 낮아 색상액(30')의 침투 깊이(T2)가 크다. The coloring liquid 30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brushed wood 100 to penetrate and absorb the coloring liquid 30' from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a predetermined depth T 1 (T 2 ) . At this tim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show a difference in penetration depth (T 1 ) (T 2 ) due to a difference in inherent property. Specifically, when the coloring liquid 30 'is applied, the grain pattern 10 is hard and has a high density so that the penetration depth T 1 of the coloring liquid 30' is small and the ground pattern 20 The penetration depth (T 2 ) of the color liquid 30 'is large because of its smoothness and low density.

위와 같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에 색상액(30')을 침투(흡수)시켜 재색 처리한 다음, 재색 처리된 목재(100)의 표면을 연마한다. 이때, 연마 공정에서,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하여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의 표면을 연마하되, 나뭇결 무늬부(1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연마를 통해 식각, 제거한다. 이러한 연마 공정은 제2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상기 연마 공정은 목재(100)의 표면을 소정 두께로 식각 처리하는 공정으로서, 이는 적어도 나뭇결 무늬부(10)의 제2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coloring liquid 30 'is infiltrated (absorbed) in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nd the surface of the colorized wood 100 is polished. At this time, in the polishing step, the penetrated portion of the coloring liquid 30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is etched and removed. Specifically, the surface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re polished, and the portion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in which the coloring liquid 30 'is penetrated is etched and removed through polishing. This polishing process is a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at is, the polishing process is a process of etch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which can at least etch away the penetrated portion of the second coloring liquid 30 'of the grain pattern 10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또한, 본 제3실시 형태의 연마 공정에서는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가 동일한 두께로 식각(샌딩)하되, 표면 요철 구조는 유지되도록 한다. 즉, 나뭇결 무늬부(1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되, 바탕 무늬부(20)보다 돌출된 요철 구조를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바탕 무늬부(20)의 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은 깊이가 커 완전히 식각, 제거되지 않고 소정 깊이로 남게 된다. In the polishing step of the third embodiment, the grain pattern 10 and the ground pattern 20 are etched (sanded) to the same thickness so that the surface irregularity structure is maintained. That is, the portion of the wood grain 10 which is penetrated by the hue 30 'is etched and removed so that the concave-convex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ground pattern 20 is maintained. The portion of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in which the hue 30 'is penetrated is not deeply etched and removed, but remains at a predetermined depth.

따라서 본 제3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는, 나뭇결 무늬부(10)가 바탕 무늬부(20)보다 돌출되어 있되, 바탕 무늬부(20)에만 소정 깊이(T3)의 재색부(30)가 형성된다. 그리고 나뭇결 무늬부(10)는 목재의 고유 색상(천연색)을 갖는다. 즉, 바탕 무늬부(20)는 색상액(30')의 침투에 의한 색상이 구현되고, 나뭇결 무늬부(10)는 고유 색상(천연색)을 가져, 육안 관찰 시 색상 차이에 의해 천연 무늬(10)(20)가 두드러지면서 입체감을 갖는다. 이와 함께, 나뭇결 무늬부(10)는 실질적으로 돌출되어 있어, 우수한 입체적 엠보감을 갖는다. Therefore, the reddish-colored part 30 of the reddish-colored wo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protrudes from the ground-tinted portion 20 and only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has a predetermined depth T 3 .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has a natural color (natural color) of the wood. In other words,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realizes color due to the penetration of the coloring liquid 30 ', and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has a natural color (natural color) ) 20 is prominent and has a three-dimensional effect. At the same time,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is substantially protruded, and has an excellent three-dimensional embossing feeling.

상기 브러싱 공정, 재색 공정 및 연마 공정은, 예를 들어 각각 브러싱 유닛(210)(220), 재색 처리기(130) 및 연마기(160)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싱 유닛(210)(220), 재색 처리기(130) 및 연마기(16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제1실시 형태 및 제2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The brushing process, the red coloring process, and the poli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through the brush units 210 and 220, the color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the polishing machine 160, respectively.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the color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the polishing machine 16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목재(100)는 이송 수단(110)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브러싱 유닛(210)(220), 재색 처리기(130) 및 연마기(16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때, 이송 수단(110)은 목재(100)를 0.1 ~ 1.0m/sec의 속도로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연마기(160)은 재색 처리기(130)로부터 5 ~ 3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된다. 목재(100)의 이송 속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이격 거리가 5m 미만인 경우, 색상액(30')의 침투 시간이 짧아져 침투(흡수)량 및/또는 침투(흡수) 깊이가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이격 거리가 30m를 초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공정 라인이 길어지고, 공간 이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연마기(160)는 재색 처리기(130)로부터 8 ~ 2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된 것이 좋다. The wood 10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the abrasive machine 160 while being carried on the conveying means 110, for example, continuously. At this time, the conveying means 110 conveys the wood 100 at a speed of 0.1 to 1.0 m / sec. The grinding machine 160 is spaced apart from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by a distance of 5 to 30 m. However, if the separation distance is less than 5 m, the penetration time of the hue solution 30 'may be shortened so that the penetration (absorption) amount and / or the penetration (absorption) depth may be lowered. If the separation distance exceeds 30 m, for example, the process line may be long and may not be preferable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is preferable that the abrasive machine 160 is spaced apart from the re-color processor 130 by a distance of 8 to 20 m.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재색 처리기(130)와 연마기(160)의 사이, 및/또는 연마기(160)의 후단에는 건조기(15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적어도 재색 처리기(130)와 연마기(160)의 사이에 설치된 건조기(150)의 경우에는 상기 이격 거리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재색 처리기(130)와 연마기(160)의 사이에 건조기(150)가 설치된 경우, 상기 건조기(150)는 재색 처리기(130)로부터 5 ~ 3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15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건조기(150)의 이격 거리가 너무 짧은 경우, 건조가 빨리 이루어져 색상액(30')의 침투 시간이 짧아진다. 그리고 건조기(150)의 이격 거리가 너무 긴 경우, 예를 들어 공정 라인이 길어지고, 공간 이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ryer 1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e-color processor 130 and the polisher 160 and / or the rear end of the polisher 160. At this time, at least the re- In the case of the dryer 150 installed between the polishers 160, the spacing distance may be applied. That is, when the dryer 150 is installed between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and the abrasive machine 160, the dryer 15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e-coloring processor 130 by a distance of 5 to 30 m, May be spaced 10 to 15 meters apart. The reason is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ryer (150) is too short, the dry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penetration time of the coloring liquid (30 ') is shortened. And if the spacing of the dryer 150 is too long, for example, the process line may be long and undesirable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한편, 본 제3실시 형태에서도 제1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목재(100)의 표면을 샌딩(sanding) 처리하여 매끄럽게 하는 샌딩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샌딩 공정은, 예를 들어 샌드페이퍼(sand paper)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샌딩 공정은 재색 공정 이전, 및/또는 연마 공정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재색 처리기(130)의 선단 및/또는 연마기(160)의 후단에는 1개 이상의 샌딩기(120)가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embodiment,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anding process in which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s sanded and smoothed. The sand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sand paper. At this time, the sand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the color remover process and / or after the polishing process. To this end, one or more sanders 120 may be installed at the tip of the re-color processor 130 and / or the rear end of the grinder 160.

상기 재색 공정 이전에 진행되는 샌딩 공정은 목재(100)의 표면을 평탄화(표면 균일화)하여, 예를 들어 재색 공정 시 색상액(30')의 균일한 도포 및 침투 등을 도모한다. 아울러, 상기 연마 공정 이후에 진행되는 샌딩 공정은 목재(100)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예를 들어 재색 목재의 표면성과 미려함 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The sanding process before the re-coloring step smoothes the surface of the wood 100 (surface homogenization), for example, uniformly applying and penetrating the coloring liquid 30 'during the red coloring step. In addition, the sanding process performed after the polishing process smoothes the surface of the wood 100, for example, can further improve the surface and beauty of the red-colored wood.

제4실시 형태 Fourth Embodiment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가 예시되어 있다. Fig. 15 illustrate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ducing a red-colored woo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은,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를 포함하는 목재(100)에 제1색상액(30')을 침투(흡수)시키는 제1재색 공정; 상기 제1색상액(30')이 침투된 목재(100)의 표면을 연마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의 제1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연마 공정; 상기 연마된 목재(100)에 제2색상액(40')을 침투시키는 제2재색 공정; 및 상기 제2색상액(40')이 침투된 목재(100)의 표면을 브러싱하되, 상기 바탕 무늬부(20)의 제2색상액(4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브러싱 공정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5,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d coloring woo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forming a first coloring liquid 30 'on a wood 100 including a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a ground pattern portion 20, (Absorbing) the coloring material; A polishing step of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nto which the first hue 30 'is impregnated, wherein the first hue 30' of the wood grain 10 is etched and removed; A second red coloring step of infiltrating the second colored liquid 40 'into the polished wood 100; And a brushing step of bru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nto which the second coloring liquid 40 'is infiltrated, wherein the second coloring liquid 40' of the grounding part 20 is etched and removed, .

이때, 상기 제1 및 제2재색 공정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색상코드표에 준하여(기초하여), 상기 제1색상액(30') 및 제2색상액(40')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A) 및 농도(B)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한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색상코드표에는 색상제의 종류(A)로서, 1개의 셀에 2종류의 색상제(제1색상제 및 제2색상제)로 나열 작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예시한 바와 같이, 도 9의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셀에는, 일례를 들어 "Y-type/K-type" 등으로서 2종류의 색상제(A)가 나열 작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농도(B)도 "0.1/0.3" 등으로서 2개로 나열 작성될 수 있다. 상기 "Y-type"은 제1색상제, 상기 "K-type"은 제2색상제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제1재색 공정에서는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제1색상액(30')으로서 제1색상제(Y-type) 0.1중량%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고, 상기 제2재색 공정에서는 제2색상액(40')으로서 제2색상제(K-type) 0.2중량%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재색 처리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first and second color re-coloring steps, the type of the coloring agent included in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and the second coloring liquid 40' (based on the color cod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and the concentration (B) are determined, and colorimetric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color code table can be listed as a type of coloring agent (A) and two kinds of coloring agents (first coloring agent and second coloring agent) in one cell . Namely, as shown in the above example, two kinds of coloring material (A) can be listed in the cell located at the upper right end of Fig. 9, for example, as "Y-type / K-type ". In this case, the concentration (B) can also be listed in two as "0.1 / 0.3" or the like. Assuming that the "Y-type" is a first coloring agent and the "K-type" is a second coloring agent, in the first coloring step,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 A solution containing 0.2% by weight of a second coloring agent (K-type) as a second coloring liquid 40 'is used in the second coloring step, and a solution containing 0.1% by weight of a coloring agent (Y- Can be used for color re-coloring.

아울러, 선택적으로 색상액(30')(40')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 공정은, 예를 들어 제1재색 공정과 연마 공정의 사이, 연마 공정과 제2재색공정의 사이, 제2재색 공정과 브러싱 공정의 사이, 및/또는 브러싱 공정을 실시한 후에 진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drying process for selectively drying the coloring liquids 30 ', 40'. At this time, the drying step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between the first redemption step and the polishing step, between the polishing step and the second redemption step, between the second redemption step and the brushing step, and / have.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 형태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장치는,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를 포함하는 목재(100)를 이송시키는 이송 수단(110); 상기 이송 수단(110) 상에 설치되고, 목재(100)의 표면 상에 제1색상액(30')을 도포하여 제1색상액(30')이 침투되도록 하는 제1재색 처리기(130); 상기 제1재색 처리기(130)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색상액(30')이 침투된 목재(100)의 표면을 연마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의 제1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연마기(160); 상기 연마기(160)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연마된 목재(100)의 표면 상에 제2색상액(40')을 도포하여 제2색상액(40')이 침투되도록 하는 제2재색 처리기(130); 및 상기 제2재색 처리기(130)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색상액(40')이 침투된 목재(100)의 표면을 브러싱하되, 상기 바탕 무늬부(20)의 제2색상액(4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브러싱 유닛(210)(220)을 포함한다.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color red woo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conveying means 110 for conveying a wood 100 including a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a ground pattern portion 20; A first re-color processor 130 installed on the conveying means 110 for applying a first color liquid 30 'on the surface of the wood 100 so as to penetrate the first color liquid 30'; The first color liquid 30 (30 ') of the wood grain pattern 10 is polished on the surface of the wood 100, which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re-color processor 130 and into which the first color liquid 30' A polishing machine 160 for etching and removing the penetrated portion; A second color remover (not shown)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abrasive machine 160 for applying a second color liquid 40 'on the surface of the polished wood 100 so as to penetrate the second color liquid 40' 130); And the second color liquid (40 ')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olor rendition processor (130), and the surface of the wood (100) 40 ') for etching and removing the penetrated portions.

아울러, 선택적으로 색상액(30')(40')을 건조시키는 건조기(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기(150)는, 예를 들어 제1재색 처리기(130)와 연마기(160)의 사이, 연마기(160)와 제2재색 처리기(130)의 사이, 제2재색 처리기(130)와 브러싱 유닛(210)(220)의 사이, 및/또는 브러싱 유닛(210)(22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dryer 150 for selectively drying the coloring liquids 30 ', 40'. At this time, the dryer 15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e-color processor 130 and the grinder 160, between the grinder 160 and the second re-color processor 130, between the second re-color processor 130 and the second r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and / or at the rear end of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본 제4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다른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제1색상액(30')과 제2색상액(40')을 사용한다. 이때, 제1색상액(30')과 제2색상액(40')은 적어도 서로 다른 색상제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색상을 구현할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이들은 각각 제1재색부(30)와 제2재색부(40)를 형성한다.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first color liquid 30 'and the second color liquid 40', which can realize different colors, are used.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and the second coloring liquid 40'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y include at least different coloring materials and can implement different colors.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and the second coloring liquid 40' 2 red coloring portion 40 are formed.

먼저, 도 1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먼저 목재(100)의 표면 상에 제1색상액(30')을 도포하여, 목재(100)의 표면에서부터 소정 깊이까지 제1색상액(30')을 침투, 흡수시킨다.(제1재색 공정) 이때, 상기 제1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유 물성 차이에 의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는 침투 깊이에 차이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b)에 보인 바와 같이 제1색상액(30')을 도포하면, 상기 나뭇결 무늬부(10)는 딱딱하고 밀도가 높아 제1색상액(30')의 침투 깊이가 작고, 상기 바탕 무늬부(20)는 부드럽고 밀도가 낮아 제1색상액(30')의 침투 깊이가 크다. 15 (a) and 15 (b), a first color liquid 30 'is first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form a first color 30' from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fringe portion 20 are deformed by the penetration depths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due to the difference in inherent physical properties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Respectively. 15 (b), when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is applied, the grain pattern 10 is hard and has a high density, so that the depth of penetration of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is soft and has a low density, so that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is large.

위와 같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에 제1색상액(30')을 침투(흡수)시켜 제1차 재색 처리한 다음, 제1차 재색 처리된 목재(100)의 표면을 연마한다. 이때, 연마 공정에서,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의 제1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하여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b) 및 (c)를 참조하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의 표면을 연마하되, 나뭇결 무늬부(10)의 제1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연마를 통해 식각, 제거한다. 이러한 연마 공정은 제2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상기 연마 공정은 목재(100)의 표면을 소정 두께로 식각 처리하는 공정으로서, 이는 적어도 나뭇결 무늬부(10)의 제2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연마 공정에 의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가 동일한 두께로 식각(샌딩)되어, 목재(100)는 평평한 표면을 갖는다. 이때, 나뭇결 무늬부(10)의 제1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은 식각, 제거되나, 바탕 무늬부(20)의 제1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은 깊이가 커 완전히 식각, 제거되지 않고 소정 깊이로 남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5의 (c)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연마 공정 후에는 바탕 무늬부(20)에만 제1색상액(30')의 침투에 의해 재색된 제1재색부(30)가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나뭇결 무늬부(10)에는 제1색상액(30')이 침투된 부분이 없어진다. 또한, 상기 연마 공정에 의해 목재(100)의 표면은 평탄해진다. 즉,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는 돌출됨이 없이 평탄한 표면을 갖는다.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is infiltrated (absorbed) into the grain pattern 10 and the ground pattern 20 as described above to perform the first color re-coloring process, and then the surface of the first color- . At this time, in the polishing step, the penetrated portion of the first hue layer 30 'of the grain pattern 10 is removed by etching. 15 (b) and 15 (c), the surfaces of the grain pattern 10 and the ground pattern 20 are polished, and the first color liquid 30 'of the grain pattern 10 is polished, ) Is etched and removed through polishing. This polishing process is a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at is, the polishing process is a process of etching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which can at least etch away the penetrated portion of the second coloring liquid 30 'of the grain pattern 10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y this polishing process,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re etched (sanded) to the same thickness, and the wood 100 has a flat surface. At this time, the portion of the grain pattern 10 penetrated by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is etched and removed, but the portion of the grounding pattern 20 where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And is left at a predetermined depth without being completely etched or removed. 15C, after the polishing step, the first re-coloring portion 30, which has been re-colored by the penetration of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into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And the portion of the grain pattern 10 where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is infiltrated is eliminated.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s flattened by the polishing process. That is,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have a flat surface without protruding.

다음으로, 상기 연마된 목재(100)의 표면 상에 제2색상액(40')을 도포하여, 목재(100)의 표면에서부터 소정 깊이까지 제2색상액(40')을 침투, 흡수시킨다.(제2재색 공정)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고유 물성 차이에 의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는 침투 깊이에 차이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d)에 보인 바와 같이 제2색상액(40')을 도포하면, 상기 나뭇결 무늬부(10)는 딱딱하고 밀도가 높아 제2색상액(40')의 침투 깊이가 작고, 상기 바탕 무늬부(30)는 부드럽고 밀도가 낮아 제2색상액(40')의 침투 깊이가 크다. 이때, 도 15의 (d)에 보인 바와 같이, 제2색상액(40')의 침투 깊이가 제1색상액(30')의 침투에 의해 재색된 제1재색부(30)보다 깊지 않도록 침투(흡수)시킨다. Next, a second color liquid 40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polished wood 100 to penetrate and absorb the second color liquid 40' from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a predetermined depth. (Second Re-color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show differences in penetration depth due to the difference in inherent properties. 15 (d), when the second color liquid 40 'is applied, the grain pattern 10 is hard and has a high density, so that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second color liquid 40' And the ground tinted portion 30 is soft and has a low density, so that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second coloring liquid 40 'is large. 15 (d),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second color liquid 40 'is set so as not to be deeper than that of the first red colored portion 30 re-colored by the penetration of the first color liquid 30' (Absorbed).

위와 같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에 제2색상액(40')을 침투(흡수)시켜 제2차 재색 처리한 다음, 제2차 재색 처리된 목재(100)의 표면을 브러싱(brushing)한다. 이때, 상기 브러싱 공정에서, 상기 바탕 무늬부(20)의 제2색상액(40')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한다. 즉, 도 15의 (d) 및 (e)를 참조하면,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의 표면을 브러싱하되, 바탕 무늬부(20)의 제2색상액(40')이 침투된 부분을 브러싱을 통해 완전히 식각, 제거한다. 이러한 브러싱 공정은 제1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브러싱 공정은 경질의 나뭇결 무늬부(10)는 조금 식각되게 하고, 연질의 바탕 무늬부(20)는 상대적으로 많이 식각되게 하여, 바탕 무늬부(20)의 제2색상액(40')이 침투된 부분은 완전히 식각, 제거할 수 있고, 바탕 무늬부(20)에 형성된 제1재색부(30)는 소정 두께로 남게 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이는, 예를 들어 브러싱 유닛(210)(220)의 가압력을 조절하여 구현할 수 있다. The second colored liquid 40 'is infiltrated (absorbed) into the grain pattern 10 and the ground pattern 20 as described above to perform the second color re-coloring process and then the surface of the second colored red colored wood 100 Is brushed. At this time, in the brushing process, the second colored liquid 40 'of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is etched and removed. 15 (d) and 15 (e), the surface of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are brushed, and the second color liquid 40 'of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is polished, This penetrated part is thoroughly etched and removed by brushing. This brushing process is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brushing process causes the hard grain pattern 10 to be etched a little and the soft ground pattern 20 to be relatively etched so that the second color liquid 40 ' The penetrated portion may be completely etched and removed, and the first red colored portion 30 formed on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may be formed so as to be left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his can be implemented, for example, by adjust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brush units 210 and 220.

도 15의 (e)에 보인 바와 같이, 브러싱 공정 후, 상기 바탕 무늬부(20)에는 제1색상액(30')의 침투에 의해 재색된 제1재색부(30)가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나뭇결 무늬부(10)에는 제2색상액(40')의 침투에 의해 재색된 제2재색부(40)가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러싱 공정에 의해 목재(100)의 표면에는 요철 구조가 형성된다. 즉, 연질의 바탕 무늬부(20)가 경질의 나뭇결 무늬부(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식각되어, 도 15의 (e)에 보인 바와 같이 나뭇결 무늬부(10)는 바탕 무늬부(20)보다 돌출된 요철 구조(요철)의 표면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바탕 무늬부(20)는 제1색상액(30')의 침투에 의한 색상이 구현되고, 나뭇결 무늬부(10)는 제2색상액(40')의 침투에 의한 색상이 구현되어, 육안 관찰 시 색상 차이에 의해 천연 무늬(10)(20)가 두드러지면서 입체감을 갖는다. 이와 함께, 나뭇결 무늬부(10)는 실질적으로 돌출되어 있어, 우수한 입체적 엠보감을 갖는다. As shown in FIG. 15E, after the brushing process, the first re-coloring portion 30, which has been re-colored by the penetration of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 is formed in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second red colored portion 40 is formed in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to a predetermined depth by the penetration of the second color liquid 40 '. In addition, a concavo-convex structur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ood 100 by the brushing process. 15 (e),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is etched relatively to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so that the soft ground pattern portion 20 is etched relatively more than the hard wood pattern portion 10, The surface of the protruding concavo-convex structure (convexo-concave) is formed. Accordingly, the color of the ground tinted portion 20 is realized by the penetration of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 and the color of the grain patterned portion 10 is realized by the penetration of the second colored liquid 40' , And the natural patterns (10) and (20) are prominent due to the difference in color upon visual observation, thereby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At the same time,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is substantially protruded, and has an excellent three-dimensional embossing feeling.

상기 제1 및 제2재색 공정은, 예를 들어 각각 제1 및 제2재색 처리기(130)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 공정 및 브러싱 공정은 각각 연마기(160) 및 브러싱 유닛(210)(220)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재색 처리기(130), 연마기(160) 및 브러싱 유닛(210)(2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제1실시 형태 및 제2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The first and second re-color processe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color processors 130, respectively. The polishing process and the brus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polishing machine 160 and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respectively. The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e-color processors 130, the grinder 160, and the brush units 210 and 22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목재(100)는 이송 수단(110) 상에 적재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제1재색 처리기(130), 연마기(160), 제2재색 처리기(130) 및 브러싱 유닛(210)(2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때, 이송 수단(110)은 목재(100)를 0.1 ~ 1.0m/sec의 속도로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연마기(160)은 제1재색 처리기(130)로부터 5 ~ 3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브러싱 유닛(210)(220)은 제2재색 처리기(130)로부터 5 ~ 3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된다. 목재(100)의 이송 속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이격 거리가 5m 미만인 경우, 제1색상액(30') 및 제2색상액(40')의 침투 시간이 짧아져 침투(흡수)량 및/또는 침투(흡수) 깊이가 낮아질 수 있다. 그리고 이격 거리가 30m를 초과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공정 라인이 길어지고, 공간 이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연마기(160)와 브러싱 유닛(210)(220)은 제1 및 제2재색 처리기(130)로부터 각각 8 ~ 2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된 것이 좋다. The wood 100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re-color processor 130, the grinder 160, the second re-color processor 130, and the brush unit 210 while being loaded on the transfer means 110, for example, (220). At this time, the conveying means 110 conveys the wood 100 at a speed of 0.1 to 1.0 m / sec. The abrasive machine 16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color processor 130 by a distance of 5 to 30 m. The brush units 210 and 220 ar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e-color processor 130 by a distance of 5 to 30 m. The penetration time of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and the second coloring liquid 40' is shortened so that the amount of penetration (absorption) and / or the amount of penetration (absorption) of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 Or penetration (absorption) depth may be lowered. If the separation distance exceeds 30 m, for example, the process line may be long and may not be preferable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The grinding machine 160 and the brushing units 210 and 2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re-coloring processors 130 by a distance of 8 to 20 m, respectively.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재색 처리기(130)와 연마기(160)의 사이, 연마기(160)와 제2재색 처리기(130)의 사이, 제2재색 처리기(130)와 브러싱 유닛(210)(220)의 사이, 및/또는 브러싱 유닛(210)(220)의 후단에는 건조기(15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적어도 제1재색 처리기(130)와 연마기(160)의 사이, 및/또는 제2재색 처리기(130)와 브러싱 유닛(210)(220)의 사이에 설치된 건조기(150)의 경우에는 상기 이격 거리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재색 처리기(130)와 연마기(160)의 사이, 및/또는 제2재색 처리기(130)와 브러싱 유닛(210)(220)의 사이에 건조기(150)가 설치된 경우, 상기 건조기(150)는 제1 및 제2재색 처리기(130)로부터 5 ~ 3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 ~ 20m의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건조기(150)의 이격 거리가 너무 짧은 경우, 건조가 빨리 이루어져 제1색상액(30') 및 제2색상액(40')의 침투 시간이 짧아진다. 그리고 건조기(150)의 이격 거리가 너무 긴 경우, 예를 들어 공정 라인이 길어지고, 공간 이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color processor 130 and the grinder 160, between the grinder 160 and the second re-color processor 130, between the second re-color processor 130 and the brush unit 210 A dryer 1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e-color processor 130 and the abrasive machine 160 and / or between the first re-color processor 130 and the abrasive machine 160, and / Or in the case of the dryer 150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re-color processor 130 and the brush units 210 and 220, the spacing distance may be applied. That is, when the dryer 15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e-color processor 130 and the grinder 160, and / or between the second re-color processor 130 and the brush units 210 and 220, 15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re-color processors 130 by a distance of 5 to 30 m, preferably spaced apart by a distance of 8 to 20 m. The reason is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ryer 150 and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is too short, the dry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penetration time of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and the second coloring liquid 40 'is shortened. And if the spacing of the dryer 150 is too long, for example, the process line may be long and undesirable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한편, 본 제4실시 형태에서도 제1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목재(100)의 표면을 샌딩(sanding) 처리하여 매끄럽게 하는 샌딩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샌딩 공정은, 예를 들어 샌드페이퍼(sand paper)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샌딩 공정은 제1재색 공정 이전, 및/또는 브러싱 공정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재색 처리기(130)의 선단 및/또는 브러싱 유닛(210)(220)의 후단에는 1개 이상의 샌딩기(120)가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ourth embodiment,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anding process in which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s sanded and smoothed. The sand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sand paper. At this time, the sanding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the first colorizing process and / or after the brushing process. To this end, one or more sanders 120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re-color processor 130 and / or at the rear end of the brush units 210 and 220.

상기 제1재색 공정 이전에 진행되는 샌딩 공정은 목재(100)의 표면을 평탄화(표면 균일화)하여, 예를 들어 제1재색 공정 시 제1색상액(30')의 균일한 도포 및 침투 등을 도모한다. 아울러, 상기 브러싱 공정 이후에 진행되는 샌딩 공정은 목재(100)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예를 들어 재색 목재의 표면성과 미려함 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wood 100 is planarized (surface uniformized) by, for example, uniformly applying and penetrating the first coloring liquid 30 'during the first reding step, . In addition, the sanding process performed after the brushing process smoothes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urface and beauty of the red-colored wood.

또한, 본 제4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방법은, 선택적으로 상기 제1재색 공정 이전에 진행되는 브러싱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제4실시 형태에 따른 제조방법은 제1브러싱 공정 --> 제1재색 공정 --> 연마 공정 --> 제2재색 공정 --> 제2브러싱 공정을 순차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브러싱 공정은 목재(100)의 표면을 브러싱하여, 경질의 나뭇결 무늬부(10)는 조금 식각되게 하고, 연질의 바탕 무늬부(20)는 상대적으로 많이 식각되게 하여, 재색 전의 목재(100)에 요철 구조를 갖게 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즉, 제1재색 공정 전에 나뭇결 무늬부(10)가 바탕 무늬부(20)보다 돌출되게 할 수 있으면 좋다. 이러한 제1브러싱 공정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상기 제1실시 형태에서 설명된 부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rushing step optionally performed before the first colorizing step. For exampl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first brushing process-> the first reding process-> the polishing process-> the second reding process-> the second brushing process are sequentially included . At this time, the first brushing step brushes the surface of the wood 100 to make the hard wood grain pattern 10 etched a little and the soft ground pattern 20 a relatively large etched, Any material that can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in the wood 100 may be used. That is, the grain pattern 10 may protrude from the ground pattern 20 before the first re-color process.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first brushing process includes the portio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재색 목재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목재(100)의 나뭇결 무늬부(10) 및/또는 바탕 무늬부(20)에 색상이 구현되되,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져 목재(100)의 천연 무늬(10)(20)가 두드러지고 입체감을 갖는다. 또한, 나뭇결 무늬부(10)가 돌출된 경우, 천연 무늬(10)(20)가 더욱 두드러지면서 입체적 엠보감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부가적으로, 천연 무늬(10)(20)에 다양한 색상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나뭇결 무늬부(10)와 바탕 무늬부(20)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색상액(30')(40')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색상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 improved coloring wood can be provided.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ood pattern 100 and / or the ground pattern 20 of the wood 100 are colored, and the wood pattern 10 and the ground pattern 20 Have different colors, and the natural patterns 10 and 20 of the wood 100 are prominent and have a three-dimensional appearance. In addition, when the grain pattern 10 protrudes, the natural patterns 10 and 20 become more conspicuous, and the three-dimensional emboss feeling is remarkably improved. In addition, various colors can be implemented in the natural pattern 10 (20). That is, a desired color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coloring liquids 30 'and 40' o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ain pattern portion 10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2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순차적인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1회 이상의 재색 공정과 적어도 1회 이상의 브러싱 공정을 가지거나, 적어도 1회 이상의 재색 공정과 적어도 1회 이상의 연마 공정을 가지는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 Meanwhil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ed color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sequential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lorless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mprises at least one coloring step and at least one brushing step, or at least one coloring step and at least one polishing step.

- 재색 공정(1회 이상) --> 브러싱 공정(1회 이상) --> 샌딩 공정(1회 이상)- At least one coloring process -> Brushing process (at least once) -> Sanding process (at least once)

- 재색 공정(1회 이상) --> 건조 공정(1회 이상) --> 브러싱 공정(1회 이상)- Red coloring process (more than once) -> Drying process (more than once) -> Brushing process (more than one time)

- 재색 공정(1회 이상) --> 브러싱 공정(1회 이상) --> 건조 공정(1회 이상) - Red coloring process (at least once) -> Brushing process (at least once) -> Drying process (at least once)

- 샌딩 공정(1회 이상) --> 재색 공정(1회 이상) --> 브러싱 공정(1회 이상)- Sanding process (more than once) -> Red coloring process (more than once) -> Brushing process (more than once)

- 재색 공정(1회 이상) --> 브러싱 공정(1회 이상) --> 샌딩 공정(1회 이상)- At least one coloring process -> Brushing process (at least once) -> Sanding process (at least once)

- 브러싱 공정(1회 이상) --> 재색 공정(1회 이상) --> 브러싱 공정(1회 이상)- Brushing process (more than once) -> Re-coloring process (more than once) -> Brushing process (more than once)

- 브러싱 공정(1회 이상) --> 재색 공정(1회 이상) --> 건조 공정(1회 이상) --> 브러싱 공정(1회 이상) - Brushing process (more than once) -> Red coloring process (more than once) -> Drying process (more than once) -> Brushing process (more than once)

- 재색 공정(1회 이상) --> 건조 공정(1회 이상) --> 연마 공정(1회 이상)- Coloring process (at least once) -> Drying process (at least once) -> Polishing process (at least once)

- 브러싱 공정(1회 이상) --> 재색 공정(1회 이상) --> 건조 공정(1회 이상) --> 연마 공정(1회 이상)- Brushing process (more than once) -> Red coloring process (more than once) -> Drying process (more than once) -> Polishing process (more than once)

- 제1재색 공정(1회 이상) --> 제1건조 공정(1회 이상) --> 연마 공정(1회 이상) --> 제2재색 공정(1회 이상) --> 제2건조 공정(1회 이상) --> 브러싱 공정(1회 이상) (More than one time) -> the first coloring process (more than one time) -> the first drying process (more than once) -> the polishing process (more than once) Process (more than once) -> Brushing process (more than once)

- 제1재색 공정(1회 이상) --> 연마 공정(1회 이상) --> 제2재색 공정(1회 이상) --> 제2브러싱 공정(1회 이상) --> 샌딩 공정(1회 이상) (1 or more times) -> Polishing process (1 time or more) -> Second red coloring process (1 time or more) -> Second brushing process (1 time or more) -> Sanding process More than once)

- 제1브러싱 공정(1회 이상) --> 제1재색 공정(1회 이상) --> 연마 공정(1회 이상) --> 제2재색 공정(1회 이상) --> 제2브러싱 공정(1회 이상)The first brushing step (at least one time) -> the first red coloring step (at least once) -> the polishing step (at least once) -> the second red coloring step (at least once) Process (more than once)

- 제1브러싱 공정(1회 이상) --> 제1재색 공정(1회 이상) --> 연마 공정(1회 이상) --> 제2재색 공정(1회 이상) --> 제2브러싱 공정(1회 이상) --> 샌딩 공정(1회 이상)
The first brushing step (at least one time) -> the first red coloring step (at least once) -> the polishing step (at least once) -> the second red coloring step (at least once) Process (more than once) -> Sanding process (more than on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및 이에 따른 재색 목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색상코드표에 작성된 샘플 사진(C1)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다. 즉, 상기 샘플 사진(C1)을 제작하기 위한 재색 목재의 샘플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샘플의 제조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의 각 실시 형태에서 언급하고 있는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색상제의 종류(A) 및 농도(B)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rless w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color red wood) includes the description of the sample photograph C1 prepared in the color code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sample of the red colored wood for making the sample photograph (C1) can be produced thr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oduction of the sample does not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kind (A) and the concentration (B) of the coloring agent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code table mentioned in each embodiment of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또한, 첨부된 도 1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색상제의 종류에 따른 재색 목재의 표면 사진을 보인 것이다. 도 16에 보인 재색 목재는 낙엽송의 목재 합판에 대하여 브러싱 공정, 재색 공정 및 연마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제조되었다. 이때, 상기 재색 공정에서 사용된 색상액(30')은, 색상액(30') 전체 중량 기준으로 물에 3중량(wt)%의 색상제를 12g/ft2의 도포량으로 도포하여 침투되도록 하였다. In addition, FIG. 16 show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a red colored wood according to the type of coloring agent. The red colored wood shown in FIG. 16 was produced by sequentially performing a brushing process, a color remover process, and a polishing process on wood plywood of larch trees. At this time, the coloring liquid 30 'used in the color re-coloring step is applied by applying 3 g (wt%) of a coloring agent to water in an amount of 12 g / ft 2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loring liquid 30' .

상기 색상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3종류의 색상제로서, 각 실시예에 따라 종류를 달리하여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색상제로서, 실시예 1의 경우에는 과망간산칼륨(KMnO4)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2의 경우에는 황산제1철(FeSO4)을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3의 경우에는 염화제2철(FeCl3)을 사용하였다. 도 16에는 각 색상제의 색상과 사진을 함께 나타내었다. The coloring agent was used in three kinds of coloring agents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loring agents were used in different kinds according to each example. Specifically, as the coloring agent, potassium permanganate (KMnO 4 ) was used in the case of Example 1, ferrous sulfate (FeSO 4 ) was used in the case of Example 2, 2 Fe (FeCl 3 ) was used. FIG. 16 shows the colors and photographs of the respective colors.

도 16에 보인 바와 같이, 목재(100)의 천연 무늬(10)(20)가 뚜렷하게 두드러지고, 우수한 입체적 엠보감을 가짐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16, it can be seen that the natural pattern 10 (20) of the wood 100 is conspicuous and has an excellent three-dimensional embossing feeling.

10 : 나뭇결 무늬부 20 : 바탕 무늬부
30 : 재색부 30', 40' : 색상액
100 : 목재 110 : 이송 수단
120 : 샌딩기 130 : 롤 코터
140 : 색상액 공급조 150 : 건조기
160 : 연마기 210, 220 : 브러싱 유닛
A : 색상제의 종류 B : 색상제의 농도
C : 교차 셀 C1 : 샘플 사진
C2: 색상 코드 C3 : 색상 표본
D : 목재의 종류 E : 도포량 F : 도포횟수
10: grain pattern part 20: ground pattern part
30: Re-colored portion 30 ', 40': Colored liquid
100: wood 110: conveying means
120: Sanding machine 130: Roll coater
140: Color liquid supply tank 150: Dryer
160: Grinding machine 210, 220: Brushing unit
A: Type of coloring agent B: Concentration of coloring agent
C: Cross cell C1: Sample picture
C2: Color code C3: Color sample
D: Type of wood E: Application amount F: Number of application

Claims (8)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를 포함하는 목재에 색상액을 침투시켜 재색 처리하는 재색 공정; 및
상기 색상액이 침투된 목재의 표면을 브러싱하되, 상기 바탕 무늬부의 색상액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브러싱 공정을 포함하여,
상기 나뭇결 무늬부가 바탕 무늬부보다 돌출되게 하고, 상기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 중에서 상기 나뭇결 무늬부에 색상액의 침투에 의해 구현된 색상을 갖게 하며,
상기 재색 공정은,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상기 색상액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 및 농도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
A red coloring process of penetrating a coloring liquid into a wood including a grain pattern portion and a ground pattern portion to perform a color re-coloring process; And
And a brushing step of brining the surface of the wood into which the coloring liquid has been infiltrated,
Wherein the wood grain pattern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ground pattern portion, and the wood grain pattern portion has a color implemented by penetration of a coloring liquid into the grain pattern portion,
Wherein the color re-coloring step determines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contained in the coloring liquid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code table for the color re-coloring treatment of the wood to perform the color re-coloring process.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를 포함하는 목재에 색상액을 침투시켜 재색 처리하는 재색 공정; 및
상기 색상액이 침투된 목재의 표면을 연마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의 색상액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연마 공정을 포함하여,
상기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를 평탄하게 하고, 상기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 중에서 상기 바탕 무늬부에 색상액의 침투에 의해 구현된 색상을 갖게 하며,
상기 재색 공정은,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상기 색상액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 및 농도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
A red coloring process of penetrating a coloring liquid into a wood including a grain pattern portion and a ground pattern portion to perform a color re-coloring process; And
And a polishing step of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to which the coloring liquid has been infiltrated, wherein the part of the wood grain pattern having the penetrated coloring liquid is etched and removed,
Wherein the wood grain pattern portion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are flattened so that the ground pattern portion has a color implemented by the penetration of the coloring liquid in the grain pattern portion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Wherein the color re-coloring step determines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contained in the coloring liquid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code table for the color re-coloring treatment of the wood to perform the color re-coloring process.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를 포함하는 목재의 표면을 브러싱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가 바탕 무늬부보다 돌출되게 하는 브러싱 공정;
상기 브러싱된 목재의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에 색상액을 침투시켜 재색 처리하는 재색 공정; 및
상기 색상액이 침투된 목재의 표면을 연마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의 색상액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연마 공정을 포함하여,
상기 나뭇결 무늬부가 바탕 무늬부보다 돌출되게 하고, 상기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 중에서 상기 바탕 무늬부에 색상액의 침투에 의해 구현된 색상을 갖게 하며,
상기 재색 공정은,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상기 색상액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 및 농도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
A brushing step of bru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including the grain pattern part and the ground pattern part so that the grain pattern part protrudes from the ground pattern part;
A red coloring step of infiltrating the wood grain pattern of the brushed wood with the coloring liquid to make the coloring process; And
And a polishing step of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to which the coloring liquid has been infiltrated, wherein the part of the wood grain pattern having the penetrated coloring liquid is etched and removed,
Wherein the wood grain pattern portion has a color embodied by penetration of a coloring liquid in the ground pattern portion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among the wood grain pattern portion and the ground pattern portion,
Wherein the color re-coloring step determines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contained in the coloring liquid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code table for the color re-coloring treatment of the wood to perform the color re-coloring process.
나뭇결 무늬부와 바탕 무늬부를 포함하는 목재에 제1색상액을 침투시키는 제1재색 공정;
상기 제1색상액이 침투된 목재의 표면을 연마하되, 상기 나뭇결 무늬부의 제1색상액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연마 공정;
상기 연마된 목재에 제2색상액을 침투시키는 제2재색 공정; 및
상기 제2색상액이 침투된 목재의 표면을 브러싱하되, 상기 바탕 무늬부의 제2색상액이 침투된 부분을 식각, 제거하는 브러싱 공정을 포함하여,
상기 나뭇결 무늬부가 바탕 무늬부보다 돌출되게 하고, 상기 바탕 무늬부는 제1색상액의 침투에 의해 구현된 색상을 갖게 하며, 상기 나뭇결 무늬부는 제2색상액의 침투에 의해 구현된 색상을 갖게 하며,
상기 재색 공정은,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에 준하여 상기 제1색상액 및 제2색상액에 포함된 색상제의 종류 및 농도를 결정하여 재색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
A first red coloring step of infiltrating the first colored liquid into the wood including the grain pattern part and the ground pattern part;
A polishing step of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having the first colored liquid impregnated therein, the portion of the wood grain pattern having the first colored liquid penetrated and removed;
A second red coloring step of infiltrating the second colored liquid into the polished wood; And
And a brushing step of brushing the surface of the wood to which the second coloring liquid has been infiltrated, wherein the second colored liquid of the grounding part is etched and removed,
Wherein the ground pattern portion has a color embodied by the penetration of the first color liquid and the wood grain pattern has a color realized by the penetration of the second color liquid,
Wherein the color re-coloring step determines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contained in the first coloring liquid and the second coloring liquid in accordance with the color code table for the re-coloring treatment of the wood to perform the color re-coloring treatmen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는, 하기 (1) 내지 (5)의 항목이 작성되고, 목재의 재색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
(1) 색상제의 종류
(2) 색상제의 농도
(3) 상기 색상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재색 처리된 목재의 샘플 사진
(4) 상기 샘플의 색상에 해당하는 색상 코드
(5) 상기 색상 코드에 해당하는 색상 표본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color code table for the re-coloring treatment of the wood is produced by the following items (1) to (5), and is used for re-coloring the wood.
(1) Type of color agent
(2) Concentration of color agent
(3) a sample photograph of the wood color-treated according to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4) a color code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sample
(5) A color sample corresponding to the color co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의 재색 처리용 색상코드표는, 하기 (6) 내지 (8)의 항목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항목이 더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
(6) 상기 샘플에 해당하는 목재의 종류
(7) 상기 색상제를 포함하는 색상액의 도포량
(8) 상기 색상액의 도포횟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lor code table for the re-coloring treatment of the wood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item selected from the following items (6) to (8).
(6) The type of wood corresponding to the sample
(7)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coloring liquid containing the coloring agent
(8)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of the hu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제의 종류는 x축 방향으로 작성되고,
상기 색상제의 농도는 y축 방향으로 작성되며,
상기 샘플 사진, 색상 코드 및 색상 표본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은, 상기 색상제의 종류(x축)와 색상제의 농도(y축)가 교차되는 교차 셀에 작성되되, 상기 샘플 사진의 하단에 색상 표본 및 색상 코드가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색 목재의 제조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ype of the coloring agent is made in the x-axis direc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is created in the y-axis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sample photographs, color codes, and color samples is created in an intersecting cell where a type of the coloring agent (x axis) and a concentration of the coloring agent (y axis) cross each other, And a color code are written on the surface of the colored wood.
삭제delete
KR1020150062054A 2015-04-30 2015-04-30 Color code table for dyeing w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yed wood KR1015944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054A KR101594499B1 (en) 2015-04-30 2015-04-30 Color code table for dyeing w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yed w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054A KR101594499B1 (en) 2015-04-30 2015-04-30 Color code table for dyeing w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yed w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499B1 true KR101594499B1 (en) 2016-02-17

Family

ID=5545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054A KR101594499B1 (en) 2015-04-30 2015-04-30 Color code table for dyeing w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yed w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4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155A (en) * 2019-08-29 2021-03-10 (주)우드필가구 Method of manufacturing wood board having a natural pattern on the side
KR102372823B1 (en) * 2020-11-04 2022-03-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determining bamboo heat treatment condition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417A (en) * 1992-05-18 1993-12-03 Tostem Utsudo Waaku Kk Production of building material for decoration
JPH06238619A (en) * 1993-02-23 1994-08-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urface processing method of wood material
JPH10329106A (en) * 1997-05-30 1998-12-15 Eidai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ing decorative material
KR20030076535A (en) 2003-09-03 2003-09-26 하재웅 Formation method of structure of tree board that use paraffin and tree board that use this
JP2012035541A (en) * 2010-08-09 2012-02-23 Koichi Obata Coating process of woody material
KR101385434B1 (en) 2013-12-19 2014-04-14 이동수 Form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wood surface and the manufactured interior wo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417A (en) * 1992-05-18 1993-12-03 Tostem Utsudo Waaku Kk Production of building material for decoration
JPH06238619A (en) * 1993-02-23 1994-08-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urface processing method of wood material
JPH10329106A (en) * 1997-05-30 1998-12-15 Eidai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ing decorative material
KR20030076535A (en) 2003-09-03 2003-09-26 하재웅 Formation method of structure of tree board that use paraffin and tree board that use this
JP2012035541A (en) * 2010-08-09 2012-02-23 Koichi Obata Coating process of woody material
KR101385434B1 (en) 2013-12-19 2014-04-14 이동수 Form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wood surface and the manufactured interior wo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155A (en) * 2019-08-29 2021-03-10 (주)우드필가구 Method of manufacturing wood board having a natural pattern on the side
KR102415418B1 (en) * 2019-08-29 2022-06-30 (주)우드필가구 Method of manufacturing wood board having a natural pattern on the side
KR102372823B1 (en) * 2020-11-04 2022-03-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determining bamboo heat treatment condi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3812B2 (en) Process of making compreg multi-colored laminated wood and utility, ornamental, decorative products thereof
KR101594499B1 (en) Color code table for dyeing w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yed wood
KR101029184B1 (en) Form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structure of tree
WO201306170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tterned wood material
CN106217568B (en) A kind of woodwork does old technology
KR101570216B1 (en) Dyed w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8174120A1 (en) Natural-wood thin pa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6284318B1 (en) Painting method with long-napped wool covered rollers
CN108855839A (en) A kind of water paint aesthetics flo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05007680A (en) Lacquer ware with wood powder-containing coating film layer
JPH0740700A (en) Decorative material having natural grain pattern and manufacture thereof
KR10134354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wooden container and wooden container of manufacturing the same
JPS6214349B2 (en)
KR100807975B1 (en) Impregnated nonwoven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85459B1 (en) Artificial Finish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0271903A (en) Veneer with grain pattern and manufacture thereof
KR20090025044A (en)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wood carpet using a japanning
JP3805042B2 (en) Glued wood with vegetation dye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arver A Little Dab Will Do Ya: Paint
JP2529128B2 (en) Decorative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GB2486162A (en) Creating a wood grain or patterned effect using a multilayer coating
Habel Paints and special effects for furniture
JPS6113872B2 (en)
WO2010002055A1 (en) Method of modifying stone surface and stone made by using the same
Beigbeder Furniture Refinishing… Antiqu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