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457B1 -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457B1
KR101594457B1 KR1020140044103A KR20140044103A KR101594457B1 KR 101594457 B1 KR101594457 B1 KR 101594457B1 KR 1020140044103 A KR1020140044103 A KR 1020140044103A KR 20140044103 A KR20140044103 A KR 20140044103A KR 101594457 B1 KR101594457 B1 KR 101594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ice
inner member
forming
ou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358A (ko
Inventor
권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to KR1020140044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45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수를 제빙시키는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판재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하여 드로잉가공(drawing 加工)하여 내형부재를 제작하는 내형부재 제작단계; (b) 판재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하여 드로잉가공하여 외형부재를 제작하는 외형부재 제작단계; (c) 상기 외형부재를 관통하여 냉매유입구와 냉매배출구를 형성하는 냉매입출구 형성단계; 및 (d) 상기 내형부재와 외형부재 사이에 냉매유로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형부재의 외주면에 외형부재가 감싸도록 결합하는 결합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유입구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냉매유로부를 거쳐 이동하면서 상기 내형부재의 내부를 통과하는 제빙수를 제빙시키며 상기 냉매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형부재와 외형부재가 면접촉이나 선접촉되어 냉매유로부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됨으로써, 냉매가 완전히 밀폐된 냉매유로부를 거쳐 이동하는 동안 누수되지 않아 냉매 누수로 인한 보수비용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가 내형부재의 내부를 통과하는 제빙수를 직접적으로 제빙시킴에 따라 얼음 제조가 용이한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Various shapes Ice Maker available Ice mak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수를 제빙하는 제빙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장치는 압축기의 압력에 의하여 냉매가 제빙관으로 이동되고 응축기를 거쳐 열교환을 함에 따라 얼음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제빙장치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기화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로 이송시키는 응축기 라인과; 상기 응축기로부터 응축된 냉매를 압축기로 이송시키는 냉매 라인과; 공급수를 일시 저장하는 정수 저장소와 연결되어 공급수를 공급받아 이를 배출하는 다수개의 노즐부가 하부측에 형성된 공급수 공급수단과; 상기 노즐부를 일정 부분 수용하도록 결합되며 노즐부로부터 공급수를 공급받는 원통형상의 제빙 유닛과; 상기 제빙 유닛 내에 고정 설치되며 공급수가 낙하시에 공급수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제빙 유닛 외연에 결합되고 상기 냉매 라인 상에 연결되어 액화된 냉매를 공급받아 이를 배출할 수 있도록 냉매유입관과 냉매배출관이 각각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며 유입된 냉매가 내부에 형성되는 일정 수용공간에서 유동하여 배출하게되는 자유관로부가 형성됨에 따라 냉매의 냉기가 제빙 유닛 내측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열교환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제빙장치의 냉매유입관과 냉매배출관이 형성된 열교환부가 제빙 유닛의 외연에 결합될 때, 열교환부와 제빙 유닛 사이에 냉매가 유동하는 자유관로부가 밀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빙 유닛의 외연에 열교환부를 용접을 통해 결합시켰다.
즉, 단순한 용접을 통해 열교환부를 제빙 유닛의 외연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ㄷ'형상으로 형성된 열교환부의 개구된 끝단과 제빙 유닛의 외연이 제대로 용접되지 않아 자유관로부가 밀폐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자유관로부가 밀폐가 되더라고, 단순 접촉의 용접으로 이루어져서 장시간 사용시 용접부분의 탈락이 이루어져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매의 누수로 제빙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얼음을 용이하게 만들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6909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내형부재와 외형부재가 면접촉이나 선접촉되어 냉매유로부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됨으로써, 냉매가 완전히 밀폐된 냉매유로부를 거쳐 이동하는 동안 누수되지 않아 냉매 누수로 인한 보수비용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가 내형부재의 내부를 통과하는 제빙수를 직접적으로 제빙시킴에 따라 얼음 제조가 용이한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빙장치에 설치되어 제빙수를 제빙시키는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판재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하여 드로잉가공(drawing 加工)하여 내형부재를 제작하는 내형부재 제작단계; (b) 판재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하여 드로잉가공하여 외형부재를 제작하는 외형부재 제작단계; (c) 상기 외형부재를 관통하여 냉매유입구와 냉매배출구를 형성하는 냉매입출구 형성단계; 및 (d) 상기 내형부재와 외형부재 사이에 냉매유로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형부재의 외주면에 외형부재가 감싸도록 결합하는 결합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유입구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냉매유로부를 거쳐 이동하면서 상기 내형부재의 내부를 통과하는 제빙수를 제빙시키며 상기 냉매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형부재는, (a1) 하나의 판재로 드라잉가공시킨 뒤, 하측면을 제거하는 내형부재 베이스부 형성단계; (a2) 상기 내형부재 베이스부의 상부가 외측으로 절곡되게 수평절곡부 형성단계; 및 (a3) 상기 수평절곡부의 끝단이 하향하며 절곡되게 하향절곡부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형부재는, (b1) 하나의 판재로 드로잉가공시킨 뒤, 하측면을 제거하는 외형부재 베이스부 형성단계; (b2) 상기 외형부재 베이스부의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되게 이격절곡부 형성단계; (b3) 상기 이격절곡부의 끝단이 하향하며 절곡되게 결합부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매입출구 형성단계는, 상기 외형부재 베이스부의 일측에 냉매유입구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외형부재 베이스부의 타측에 냉매배출구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유입구와 냉매유출구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내형부재와 외형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외형부재 베이스부의 상부 외측면과 상기 내형부재의 하향절곡부의 내측면이 서로 면접촉으로 결합되고, 상기 외형부재의 결합부 내측면과 상기 내형부재 베이스부 하부 외측면이 서로 면접촉으로 결합되어 제빙부를 제작하는 제빙부 제작단계;와 다수개의 제빙부를 구비한 다음 상기 다수개의 제빙부 냉매유입구와 냉매배출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냉매유로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결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냉매가 하나의 제빙부에서 다른 하나의 제빙부로 전달되도록 하나의 제빙부의 냉매배출구에 형성된 돌출부와 다른 하나의 제빙부의 냉매유입구에 형성된 돌출부를 서로 끼움 결합하는 끼움결합단계;와 상기 끼움결합단계시 상기 돌출부의 연결부위 용접하여 밀폐부를 형성하는 밀폐부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냉매가 하나의 제빙부에서 다른 하나의 제빙부로 전달되도록 하나의 제빙부의 냉매배출구에 형성된 돌출부와 다른 하나의 제빙부의 냉매유입구에 형성된 돌출부에 연결관을 끼워 결합하는 끼움결합단계;와 상기 끼움결합단계시 상기 돌출부와 연결관의 연결부위를 용접하여 밀폐부를 형성하는 밀폐부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내형부재와 상기 외형부재 사이에서 냉매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외형부재와 내형부재의 결합부위를 용접하여 밀폐부를 형성시키는 밀폐부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내형부재와 상기 외형부재 사이에서 냉매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외형부재와 내형부재의 결합부위에 접합부재를 구비하고 가접합하는 가접합단계;와 상기 가접합단계 이후에 상기 접합부재를 비열차로 용융시켜 상기 외형부재와 내형부재가 접촉된 사이에 용융된 접합부재가 스며들도록 하여, 용융된 접합부재가 접촉면에 용접되는 용접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냉매유로부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형부재와 외형부재가 면접촉이나 선접촉되어 냉매유로부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됨으로써, 냉매가 완전히 밀폐된 냉매유로부를 거쳐 이동하는 동안 누수되지 않아 냉매 누수로 인한 보수비용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가 내형부재의 내부를 통과하는 제빙수를 직접적으로 제빙시킴에 따라 얼음 제조가 용이한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형부재에 직접 냉매가 접촉하는 직접접촉방식을 통해 얼음제조가 가능하여 얼음제조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은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의 내형부재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의 외형부재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의 내형부재와 외형부재가 결합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의 제빙부가 배치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의 제빙부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의 제빙부에 접합부재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빙부의 용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빙부의 컨베이터를 통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의 내형부재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의 외형부재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의 내형부재와 외형부재가 결합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의 제빙부가 배치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의 제빙부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의 제빙부에 접합부재가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빙부의 용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빙부의 컨베이터를 통해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은 내형부재 제작단계(S110), 외형부재 제작단계(S120), 냉매입출구 형성단계(S13), 결합단계(S14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내형부재 제작단계(S110)는 판재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하여 드로잉가공(drawing 加工)으로 가공하여 내형부재(110)를 제작한다.
이때, 내형부재(110)는 내형부재 베이스부 형성단계, 수평절곡부 형성단계, 하향절곡부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내형부재 베이스부 형성단계는 하나의 판재로 드라잉가공시킨 뒤, 하측면을 제거하여 내형부재 베이스부(111)를 형성한다.
수평절곡부(112) 형성단계는 내형부재 베이스부(111)의 상부가 외측으로 절곡되게 수평절곡부(112)를 형성한다.
하향절곡부 형성단계는 수평절곡부(112)의 끝단이 하향하며 절곡되게 하향절곡부(113)를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외형부재 제작단계(S120)는 판재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하여 드로잉가공하여 외형부재(120)를 제작한다.
이때, 외형부재(120)는 외형부재 베이스부 형성단계, 이격절곡부 형성단계, 결합부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외형부재 베이스부 형성단계는 하나의 판재로 드로잉가공시킨 뒤, 하측면을 제거하여 외형부재 베이스부(125)를 형성한다.
이격절곡부 형성단계는 외형부재 베이스부(125)의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되게 이격절곡부(126)를 형성한다.
결합부 형성단계는 이격절곡부(126)의 끝단이 하향하며 절곡되게 결합부(127)를 형성한다.
냉매입출구 형성단계(S130)는 외형부재(120)를 관통하여 냉매유입구(122)와 냉매배출구(124)를 형성한다.
이때, 냉매입출구를 형성단계(S130)는 냉매유입구 형성시키는 단계, 냉매배출구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냉매유입구(122)는 외형부재 베이스부(125)의 일측에 형성되고, 냉매배출구(124)는 외형부재 베이스부(125)의 타측에 형성된다.
이때, 냉매유입구(122)와 냉매유출구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단계(S140)는 내형부재(110)와 외형부재(120) 사이에 냉매유로부(130)가 형성되도록 내형부재(110)의 외주면에 외형부재(120)가 감싸도록 결합한다.
이때, 결합단계(S140)는 내형부재(110)와 외형부재(120) 사이에 형성된 냉매유로부(130)에서 냉매가 유출되지 않도록 면접촉 또는 선접촉되는 부위를 용접하여 밀폐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단계(S140)는 제빙부 제작단계, 연결단계를 포함한다.
제빙부 제작단계는 내형부재(110)와 외형부재(120)가 결합된다.
이때, 제빙부(100) 제작단계는 외형부재(120)의 베이스부 상부 외측면과 내형부재(110)의 하향절곡부(113)의 내측면이 서로 면접촉으로 결합된다.
또한, 외형부재(120)의 결합부(127) 내측면과 내형부재 베이스부(111)의 하부 외측면이 서로 면접촉으로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단계는 다수개의 제빙부(100)를 구비한 다음 다수개의 제빙부(100)의 냉매유입구(122)와 냉매유출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냉매유로부(130)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연결단계는 끼움결합단계, 밀폐부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끼움결합단계는 냉매가 하나의 제빙부(100)에서 다른 하나의 제빙부(100)로 전달되도록 하나의 제빙부(100)의 냉매배출구(124)에 형성된 돌출부와 다른 하나의 제빙부(100)의 냉매유입구(122)에 형성된 돌출부를 서로 끼움 결합한다.
여기서, 냉매유입구(122)의 돌출부와 냉매배출구(124)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는,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부 형성단계는 끼움결합단계시 돌출부의 연결부위 용접하여 밀폐부를 형성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끼움결합단계에서, 연결관(140)을 통해 제빙부(10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끼움결합단계는, 냉매가 하나의 제빙부(100)에서 다른 하나의 제빙부(100)로 전달되도록 하나의 제빙부(100)의 냉매배출구(124)에 형성된 돌출부와 다른 하나의 제빙부(100)의 냉매유입구(122)에 형성된 돌출부에 연결관(140)을 끼워 결합한다.
그리고, 밀폐부 형성단계는, 연결관(140)을 끼움결합시, 돌출부와 연결관(140)의 연결부위를 용접하여 밀폐부를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단계는 가접합단계와 용접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접합단계는, 내형부재(110)와 외형부재(120) 사이에서 냉매가 유출되지 않도록 외형부재(120)와 내형부재(110)의 결합부(127)위에 접합부재(200)를 구비하고 가접합한다.
용접단계는, 가접합단계 이후에 접합부재(200)를 비열차로 용융시켜 외형부재(120)와 내형부재(110)가 접촉된 사이에 용융된 접합부재(200)가 스며들도록 하여, 용융된 접합부재(200)가 접촉면에 용접된다.
더 상세하게는, 도 10을 참조하면, 가접합된 외형부재(120)와 내형부재(110)를 컨베이어벨트 상에 배치하고,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길이가 긴 용접로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가접합된 접합부재(200)가 용융되어 외형부재(120)와 내형부재(110)의 접촉면에 스며든다. 이와 같이, 용접단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접합부재(200)은 비열차에 의한 용접을 위해 용융점이 외형부재(120)와 내형부재(110) 보다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형부재(110)와 외형부재(120)는 서로 접촉되는 면에 밀폐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은, 내형부재(110)와 외형부재(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형부재(110)와 외형부재(120)가 면접촉이나 선접촉됨으로써, 내형부재(110)와 외형부재(120)를 결합하는데 있어 용접 작업이 용이하며, 냉매유로부(130)의 밀폐력을 향상시켜 냉매의 누수가 발생하지 않고,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유입구(122)로 유입된 냉매는, 냉매유로부(130)를 거쳐 이동하면서 내형부재(110)의 내부를 통과하는 제빙수를 제빙시키며 냉매배출구(124)로 배출된다.
즉, 냉매가 완전히 밀폐된 냉매유로를 거쳐 이동하는 동안 누수되지 않아 냉매 누수로 인한 보수비용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가 내형부재(110)의 내부를 통과하는 제빙수를 직접적으로 제빙시킴에 따라 얼음 제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빙부 110: 내형부재
111: 내형부재 베이스부 112: 수평절곡부
113: 하향절곡부 120: 외형부재
122: 냉매유입구 124: 냉매배출구
125: 외형부재 베이스부 126: 이격절곡부
127: 결합부 130: 냉매유로부
140: 연결관 200: 접합부재

Claims (10)

  1. 제빙수를 제빙시키는 제빙장치 연결방법에 있어서,
    (a) 판재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하여 드로잉가공(drawing 加工)하여 내형부재를 제작하는 내형부재 제작단계;
    (b) 판재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배치하여 드로잉가공하여 외형부재를 제작하는 외형부재 제작단계;
    (c) 상기 외형부재를 관통하여 냉매유입구와 냉매배출구를 형성하는 냉매입출구 형성단계; 및
    (d) 상기 내형부재와 외형부재 사이에 냉매유로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형부재의 외주면에 외형부재가 감싸도록 결합하는 결합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유입구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냉매유로부를 거쳐 이동하면서 상기 내형부재의 내부를 통과하는 제빙수를 제빙시키며 상기 냉매배출구로 배출되며,
    상기 내형부재는,
    (a1) 하나의 판재로 드라잉가공시킨 뒤, 하측면을 제거하는 내형부재 베이스부 형성단계;
    (a2) 상기 내형부재 베이스부의 상부가 외측으로 절곡되게 수평절곡부 형성단계; 및
    (a3) 상기 수평절곡부의 끝단이 하향하며 절곡되게 하향절곡부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형부재는,
    (b1) 하나의 판재로 드로잉가공시킨 뒤, 하측면을 제거하는 외형부재 베이스부 형성단계;
    (b2) 상기 외형부재 베이스부의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되게 이격절곡부 형성단계;
    (b3) 상기 이격절곡부의 끝단이 하향하며 절곡되게 결합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입출구 형성단계는, 상기 외형부재 베이스부의 일측에 냉매유입구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외형부재 베이스부의 타측에 냉매배출구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유입구와 냉매유출구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내형부재와 외형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외형부재 베이스부의 상부 외측면과 상기 내형부재의 하향절곡부의 내측면이 서로 면접촉으로 결합되고, 상기 외형부재의 결합부 내측면과 상기 내형부재 베이스부 하부 외측면이 서로 면접촉으로 결합되어 제빙부를 제작하는 제빙부 제작단계;와
    다수개의 제빙부를 구비한 다음 상기 다수개의 제빙부 냉매유입구와 냉매배출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냉매유로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냉매가 하나의 제빙부에서 다른 하나의 제빙부로 전달되도록 하나의 제빙부의 냉매배출구에 형성된 돌출부와 다른 하나의 제빙부의 냉매유입구에 형성된 돌출부를 서로 끼움 결합하는 끼움결합단계;와
    상기 끼움결합단계시 상기 돌출부의 연결부위 용접하여 밀폐부를 형성하는 밀폐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는,
    상기 냉매가 하나의 제빙부에서 다른 하나의 제빙부로 전달되도록 하나의 제빙부의 냉매배출구에 형성된 돌출부와 다른 하나의 제빙부의 냉매유입구에 형성된 돌출부에 연결관을 끼워 결합하는 끼움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내형부재와 상기 외형부재 사이에서 냉매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외형부재와 내형부재의 결합부위를 용접하여 밀폐부를 형성시키는 밀폐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내형부재와 상기 외형부재 사이에서 냉매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외형부재와 내형부재의 결합부위에 접합부재를 구비하고 가접합하는 가접합단계;와
    상기 가접합단계 이후에 상기 접합부재를 비열차로 용융시켜 상기 외형부재와 내형부재가 접촉된 사이에 용융된 접합부재가 스며들도록 하여, 용융된 접합부재가 접촉면에 용접되는 용접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는,
    상기 냉매유로부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
KR1020140044103A 2014-04-14 2014-04-14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 KR101594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103A KR101594457B1 (ko) 2014-04-14 2014-04-14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103A KR101594457B1 (ko) 2014-04-14 2014-04-14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358A KR20150118358A (ko) 2015-10-22
KR101594457B1 true KR101594457B1 (ko) 2016-02-16

Family

ID=5442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103A KR101594457B1 (ko) 2014-04-14 2014-04-14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689B1 (ko) 2020-07-27 2022-02-07 주식회사 동패인터내셔널 오거식 제빙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5441A (ja) * 1999-07-13 2001-01-30 Tiger Vacuum Bottle Co Ltd 金属製真空二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26909B1 (ko) * 2010-08-11 2011-04-04 주식회사 리템 제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6962A (ja) * 1997-05-06 1998-11-17 Hoshizaki Electric Co Ltd オーガ式製氷機
KR20090093298A (ko) * 2008-02-29 2009-09-02 위스(주) 살균수제조장치를 구비한 양면결빙 제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5441A (ja) * 1999-07-13 2001-01-30 Tiger Vacuum Bottle Co Ltd 金属製真空二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26909B1 (ko) * 2010-08-11 2011-04-04 주식회사 리템 제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689B1 (ko) 2020-07-27 2022-02-07 주식회사 동패인터내셔널 오거식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358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916B1 (ko) 냉장고용 물탱크 및 그 제조방법과 냉장고용 물탱크를 포함하는 냉장고
TWI335979B (en) Plastic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4114963B (zh) 空调装置
KR101594457B1 (ko) 다양한 형상의 얼음 제조가 가능한 제빙장치 제조방법
KR20180009521A (ko) 얼음 생성용 증발기
CN105805990A (zh) 二氧化碳空调系统及其气液分离器
KR101640421B1 (ko) 유로구조를 갖는 직냉방식 제빙장치
KR20200072734A (ko)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및 제빙용 증발기
KR101809025B1 (ko) 분지관 제조방법
KR101640419B1 (ko) 인아웃 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8560A (ko) 인아웃 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1738019A (zh) 冷媒管的连接结构
JP2013040696A (ja) 熱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冷凍装置
KR20140113788A (ko) 제빙기용 증발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40244A (ko) 유로구조를 갖는 직냉방식 제빙장치
KR101144583B1 (ko) 플라스틱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플라스틱열교환기
KR100366430B1 (ko) 플라스틱 열교환기의 관군헤더 접합방법
CN103026151B (zh) 制冷器具
WO2017166669A1 (zh) 用于收集喷雾冷冻冰球颗粒的双密封式设备及其收集方法
JP6441549B1 (ja) 空気調和機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金型
CN101994679A (zh) 密闭型压缩机底座的连接结构
JP6785417B2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凍サイクル装置
CN206399063U (zh) 一种冰块机制冷系统及冰块机
JP7026846B2 (ja) 分離器、油分離器、気液分離器および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分離器の製造方法
CN202613853U (zh) 一种新型分歧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