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360B1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360B1
KR101594360B1 KR1020090011335A KR20090011335A KR101594360B1 KR 101594360 B1 KR101594360 B1 KR 101594360B1 KR 1020090011335 A KR1020090011335 A KR 1020090011335A KR 20090011335 A KR20090011335 A KR 20090011335A KR 101594360 B1 KR101594360 B1 KR 101594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space
tub
heat pump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123A (ko
Inventor
김나은
김성룡
이동수
김영민
고철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360B1/ko
Priority to US12/700,176 priority patent/US8490438B2/en
Priority to PCT/KR2010/000713 priority patent/WO2010090472A2/en
Priority to EP10738756.5A priority patent/EP2393973B1/en
Priority to CN201080004986XA priority patent/CN102282303B/zh
Publication of KR2010009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캐비넷;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제1 캐비넷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캐비넷; 및 상기 제2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내측으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세탁장치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세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세탁장치 {Wahs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으로 세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세탁만을 수행하는 세탁기, 세타과 건조를 함께 수행하는 건조겸용 세탁기 및 건조만을 수행하는 건조기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는 방향에 따라 상부에서 투입하는 탑로딩 방식(top loading type), 전방에서 투입하는 프론트로딩 방식(front loading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런데, 건조겸용 세탁기 및 건조기는 내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유지 및 보수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캐비넷;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제1 캐비넷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캐비넷; 및 상기 제2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내측으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여기서, 상기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는 히트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캐비넷은 상기 제2 공간과 구별되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제3 공간을 상기 제2 공간의 전방에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캐비넷은 상기 제1 캐비넷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는 상기 터브 내측의 공기를 상기 터브의 후방상부에서 배출하여 상기 터브의 전방상부로 다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순환덕트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순 환덕트는 상기 터브의 후방상부와 상기 히트펌프를 연결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히트펌프와 상기 터브의 전방상부를 연결하는 공급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캐비넷은 제2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워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는 외부에서 상기 제2 공간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제2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냉매를 충진하는 충진유닛 및 냉매를 배출하는 배출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진유닛은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진유닛 및 배출유닛은 이분지관, 상기 이분지관에서 분지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는 건조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히트펌프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세탁대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서 접근가능한 공간에 상기 히터펌프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유지 및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10)는 제1 캐비넷(100)과 제2 캐비넷(200)을 구비한다. 제1 캐비넷(100)과 제2 캐비넷(200)은 세탁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제1 캐비넷(100)의 내측에는 메인공간, 또는 제1 공간(110)(이하, '제1 공간'이라 한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간(110)에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105) 및 터브(105)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미도시)이 구비된다. 즉, 제1 공간(110)은 세탁대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게 된다.
제1 캐비넷(100)의 전방에는 도어가 구비된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드럼으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드럼은 터브(105)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07)는 터브(105)의 후방에 구비되어 드럼의 회전축과 직접연결되어 드럼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드럼의 회전축과 벨트 등에 의해 연결되어 드럼을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드럼의 내부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는 전술한 제1 캐비넷(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지만,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00)는 제1 캐비넷(100)과는 별도의 공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00)가 드럼 및 터브(105)와 함께 제1 캐비넷(100)에 구비된다면, 제1 캐비넷(100)의 내부가 협소하 여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드럼 및 터브(105)의 용량이 변화하는 경우에 제1 캐비넷(100)과 함께 그 내부에 구비된 모든 구성요소, 즉 드럼, 터브(105) 및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의 설계를 새로이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반해,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를 별도의 공간에 구비하고 터브(105)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덕트 등에 의해 연결만 하게 된다면, 전술한 드럼 및 터브(105)의 용량이 변화하더라도, 드럼 및 터브(105) 등의 요소만 새로이 설계하면 된다. 즉,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를 포함한 일종의 조립체(assembly)를 제공하게 되면, 다양한 용량의 터브 및 드럼에 대응하여 범용적으로 상기 조립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를 구비하는 제2 캐비넷(200)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2는 도 1에서 제2 캐비넷(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드럼 및 터브(105)의 내측으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를 제2 캐비넷(200)에 구비하게 된다. 제2 캐비넷(200)은 제1 캐비넷(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제2 캐비넷(200)의 내측에 보조공간, 또는 제2 공간(210)(이하, '제2 공간'이라 한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210)에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00)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캐비넷(200)은 전술한 제1 캐비넷(100)에 비하여 그 체적이 더 작을 수 있다. 이는 제1 캐비넷(100)에 드럼 및 터브(105)와 같이 체적이 큰 요소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제2 캐비넷(200)은 제1 캐비넷(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착탈'이라 함은 제1 캐비넷(100)과 제2 캐비넷(200)이 일체, 즉,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제2 캐비넷(200)이 제1 캐비넷(10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및 터브 등을 구비하는 제1 캐비넷(100)에 제2 캐비넷(200)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용량의 제1 캐비넷(100)에 대응하여 제2 캐비넷의 범용화가 가능해진다. 제2 캐비넷(200)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제1 캐비넷(1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방식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제2 캐비넷(200)은 제1 캐비넷(100)의 상부, 하부 및 양측부의 어느 부위에도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제1 캐비넷(100)에 드럼 및 터브(105)를 구비하게 되면 사용자는 제1 캐비넷(100)으로 세탁대상물을 투입하게 되며, 이 경우 제1 캐비넷(100)의 높이가 적절하지 않게 되면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려서 세탁대상물을 투입해야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세탁대상물을 제1 캐비넷(100)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제2 캐비넷(200)은 제1 캐비넷(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캐비넷(100)과 제2 캐비넷(200)은 내부에 각각 공간을 형성하도록 밀페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부분적으로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캐비넷(100)과 제2 캐비넷(200)의 연결부위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캐비넷(200)의 내측에는 건조가열공기공급장 치(220)가 구비되므로,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00)와 터브(105)를 연결하는 덕트 등의 구성요소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1 캐비넷(100)과 제2 캐비넷(200)이 서로 연통되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 캐비넷(200)과 제1 캐비넷(100)이 서로 인접하는 부위가 개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캐비넷(200)이 제1 캐비넷(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1 캐비넷(100)의 하부와 제2 캐비넷(200)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2 캐비넷(200)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경우에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의 일부분이 제2 캐비넷(200)의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제1 캐비넷(100)의 제1 공간(110)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캐비넷(200)에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가 구비되는 경우에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의 점검 또는 보수를 하는 경우에 제2 캐비넷(200)을 모두 분해해야 한다면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당히 많은 공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는 외부에서 제2 공간(210)으로 접근이 용이하도록 제2 캐비넷(20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2 캐비넷(200)은 전면, 배면 및 양측면 중에 적어도 하나가 착탈 가능한 형태의 패널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캐비넷(200)에 착탈 가능한 드로워를 구비하고,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제2 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드로워 타입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00)는 공기를 가열하여 드럼 및 터브의 내측으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220)로서 히트펌프를 채용하지만, 예를 들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히터는 전기식, 또는 가스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히트펌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히트펌프(22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222), 압축기(224), 응축기(226) 및 팽창밸브(228)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222)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224)를 거쳐 응축기(226)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222)와 응축기(226)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증발기(222)와 응축기(226)에서 생성된 건조가열공기가 터브(105)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2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220)에 의해 터브(105)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히 트펌프(22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히트펌프(220)에서 제습 및 가열된 건조가열공기는 터브(105) 및 드럼의 내측으로 공급되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터브(105)에서 배출된 공기는 순환덕트(240)를 따라 히트펌프(220)의 증발기(222) 및 응축기(226)를 거쳐 다시 터브(105) 내부로 공급된다. 즉, 터브(105)에서 배출된 공기는 히트펌프(220)에 의해 제습 및 가열되어 다시 터브(105) 내측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순환덕트(240)는 터브(105)의 후방과 전방을 연결하여 터브(105)의 후방에서 공기를 배출하여 터브(105)의 전방으로 다시 공기를 공급하게 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105)의 후방상부에서 공기를 배출하여 터브(105)의 전방상부로 다시 공급하여 순환시키게 된다.
또한, 전술한 히트펌프(220)에서 증발기(222)와 응축기(226)가 열교환기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증발기(222)와 응축기(226)를 묶어서 하나의 열교환기조립체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22)와 응축기(226)의 하나의 하우징(225)에 구비하여, 이를 열교환기조립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조립체를 구성하게 되면, 설치,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증발기(222) 또는 응축기(226)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히트펌프(220)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없이 열교환기조립체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순환덕트(240)는 터브(105)의 후방상부와 히트펌프(220)의 열교환기조립체(225)를 연결하는 배기덕트와, 히트펌프(220)의 열교환기조립체(225)와 터 브(105)의 전방상부를 연결하는 공급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기덕트를 통해 히트펌프(220)의 열교환기조립체(225)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조립체의 내부에서 제습 및 가열되어 건조가열공기로 변하게 되며, 건조가열공기는 팬(250)의 구동에 의해 공급덕트를 통하여 다시 터브(105)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터브(105)의 공기가 열교환기조립체(225)로 유입되는 배기덕트에는 바람직하게 필터(300)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300)를 구비함으로써, 터브(105)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다시 터브(105)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히트펌프(220)는 증발기(222), 압축기(224), 응축기(226) 및 팽창밸브(228)가 서로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냉매의 증발, 응축에 의해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220)를 유지 및 보수하는 경우에 히트펌프(220)의 냉매배관에서 냉매를 배출하거나, 또는 유지 및 보수가 끝난 후에는 냉매를 다시 충진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용이하게 냉매를 충진 및 배출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히트펌프(220)에는 냉매를 충진할 수 있는 충진유닛 및 냉매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유닛을 구비하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냉매 충진유닛 및 배출유닛을 구비한 히트펌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히트펌프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배관(221)을 따라 증발기(222), 압축기(224), 응축기(226) 및 팽창밸브(228)를 구비하며, 냉매를 충진할 수 있는 충진유닛(235) 및 냉매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유닛(230)을 구비한다.
여기서, 충진유닛(235) 및 배출유닛(230)은 다양하게 구현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이분지관(237, 232) 및 이분지관(237, 232)에서 분지되는 밸브(239, 23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충진유닛(235)의 밸브(239)를 개방하여 냉매를 냉매배관으로 투입하거나, 또는 배출유닛(230)의 밸브(234)를 개방하여 냉매를 냉매배관에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이 끝난 후에, 작업자는 밸브(239, 234)를 폐쇄함으로써, 냉매가 냉매배관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한편, 전술한 충진유닛(235)과 배출유닛(230)은 냉매배관(221)을 따라 구비되며, 바람직하게 충진유닛(235)은 증발기(222)와 압축기(224)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에 구비되고, 배출유닛(230)은 압축기(224)와 응축기(226)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에 구비된다.
즉, 히트펌프(220)의 냉매배관(221)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의 압력을 살펴보면, 압축기(224)를 기준으로 하여 압축기(224)의 전단부, 즉 압축기(224)와 증발기(222)를 연결하는 냉매배관 속의 냉매는 비교적 저압에 해당하며, 압축기(224)의 후단부, 즉 압축기(224)와 응축기(226)를 연결하는 냉매배관 속의 냉매는 비교적 고압에 해당한다.
이 경우, 냉매를 냉매배관에서 배출하는 경우에는 냉매배관 속의 냉매의 압력이 비교적 높을수록 냉매의 배출이 용이하므로, 배출유닛(230)은 압축기(224)와 응축기(226)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따라 구비된다. 또한, 냉매를 냉매배관으로 충진하는 경우에는 냉매배관 속의 냉매의 압력이 비교적 낮을수록 냉매의 충진이 용이하므로, 충진유닛(235)은 압축기(224)와 증발기(222)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따라 구비된다.
한편, 사용자가 세탁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세제를 비롯한 각종 액세서리를 보관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액세서리를 세탁장치의 상부에 보관하는 경우에 미관상 보기 안좋을 뿐만 아니라, 세제가 물 등에 의해 용해되어 세탁장치의 표시부 및 선택부 등으로 유입되어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세탁장치의 각종 액세서리를 보관할 수 있는 장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캐비넷(200)을 구비하게 되므로, 제2 캐비넷(200)의 내측에 액세서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제2 공간과 별도의 공간을 구비한 제2 캐비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히트펌프(220)를 제2 캐비넷(200) 내부의 일측으로 배치하고, 제2 캐비넷(200) 내부의 타측에 히트펌프(220)가 구비되는 제2 공간(210)과 구별되는 제3 공간(31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캐비넷(200)의 전면, 배면 및 양측면 중에 적어도 하나가 착탈 가능한 패널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전술한 제3 공간(310)은 상기 착탈 가능한 패널이 구비되는 부위를 따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착탈 가능한 패널을 통하여 상기 제3 공간(31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2 캐비넷(20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한 패널 등을 구비하는 경우에, 히트펌프(220)는 제2 캐비넷(220)의 후방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공 간(310)은 제2 캐비넷(200)의 전방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3 공간은 제2 공간(210)과 격벽(312) 등을 통하여 구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서 제2 캐비넷(4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캐비넷(400)에 착탈 가능한 드로워(420)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바,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캐비넷(400)은 제2 공간(410)을 형성하는 드로워(420) 및 드로워(420)가 슬라이딩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레임(440)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드로워(420)는 제2 캐비넷(400)의 전면, 양측면 및 배면 중에 하나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캐비넷(400)의 전면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캐비넷(4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420)의 내부에 제2 공간(410)이 형성되며, 제2 공간(410)에 히트펌프(220)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드로워(420)의 내측에 히트펌프(220)가 구비되면, 히트펌프(220)의 유지 및 보수를 하는 경우에 제1 캐비넷(100) 또는 제2 캐비넷(400)을 분해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드로워(420)를 제2 캐비넷(400)에서 분리하여 용이하게 유지 및 보수가 가능해진다.
한편, 드로워(420)를 제2 캐비넷(400)에 구비하게 되면, 드로워(420)를 제2 캐비넷(40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 순환덕트(240)와 히트펌프(220)를 연결하는 부위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이 가 능한데, 예를 들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순환덕트(240)와 히트펌프(220)의 연결부위를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한 플렉서블한 튜브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로워(420)를 분리하여 당기게 되면 상기 연결부위가 신장되어 드로워(420)가 제2 캐비넷(400)에서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드로워(420)를 밀어넣게 되면 상기 연결부위가 수축되어 드로워(420)가 제2 캐비넷(400)으로 인입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드로워(420)의 내부에 제2 공간(410)과 구별되는 제3 공간을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제2 캐비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히트펌프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3에서 냉매 충진유닛 및 배출유닛을 구비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도 2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캐비넷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드로워를 구비한 제2 캐비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15)

  1. 제1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캐비넷;
    상기 제1 공간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제1 캐비넷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 공간을 제공하는 제2 캐비넷; 및
    상기 제2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내측으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는 히트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냉매를 충진하는 충진유닛 및 냉매를 배출하는 배출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충진유닛 및 배출유닛은 이분지관, 상기 이분지관에서 분지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비넷의 전면, 배면 및 양측면 중에 적어도 하나가 착탈 가능한 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비넷은 상기 제2 공간과 구별되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제3 공간을 상기 제2 공간의 전방에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비넷은 상기 제1 캐비넷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측의 공기를 상기 터브의 후방상부에서 배출하여 상기 터브의 전방상부로 다시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순환덕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순환덕트를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덕트는 상기 터브의 후방상부와 상기 히트펌프를 연결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히트펌프와 상기 터브의 전방상부를 연결하는 공급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비넷은 제2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드로워는 외부에서 상기 제2 공간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제2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제2 공간과 구별되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제3 공간을 상기 제2 공간의 전방에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유닛은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삭제
  13. 세탁대상물을 세탁하는 메인공간을 제공하는 제1 캐비넷;
    상기 메인공간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세탁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제1 캐비넷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보조공간을 제공하는 제2 캐비넷; 및
    상기 보조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내측으로 건조가열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는 히트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트펌프는 상기 냉매를 충진하는 충진유닛 및 냉매를 배출하는 배출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충진유닛 및 배출유닛은 이분지관, 상기 이분지관에서 분지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비넷의 전면, 배면 및 양측면 중에 적어도 하나가 착탈 가능한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비넷은 보조공간을 형성하는 착탈 가능한 드로워를 더 구비하고, 상기 건조가열공기공급장치는 상기 보조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090011335A 2009-02-05 2009-02-12 세탁장치 KR101594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35A KR101594360B1 (ko) 2009-02-12 2009-02-12 세탁장치
US12/700,176 US8490438B2 (en) 2009-02-05 2010-02-04 Laundry treatment device
PCT/KR2010/000713 WO2010090472A2 (en) 2009-02-05 2010-02-05 Laundry treatment device
EP10738756.5A EP2393973B1 (en) 2009-02-05 2010-02-05 Laundry treatment device
CN201080004986XA CN102282303B (zh) 2009-02-05 2010-02-05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335A KR101594360B1 (ko) 2009-02-12 2009-02-12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123A KR20100092123A (ko) 2010-08-20
KR101594360B1 true KR101594360B1 (ko) 2016-02-16

Family

ID=4275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335A KR101594360B1 (ko) 2009-02-05 2009-02-12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3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3589A (ja) * 2004-03-10 2005-09-22 Sanyo Electric Co Ltd 乾燥機
JP2007143609A (ja) * 2005-11-24 2007-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0822153B1 (ko) * 2007-06-04 2008-04-16 전영환 세탁기용 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399B1 (ko) * 2000-04-10 2002-06-01 구자홍 흡수식 히트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3589A (ja) * 2004-03-10 2005-09-22 Sanyo Electric Co Ltd 乾燥機
JP2007143609A (ja) * 2005-11-24 2007-06-14 Mitsubishi Electr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0822153B1 (ko) * 2007-06-04 2008-04-16 전영환 세탁기용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123A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0438B2 (en) Laundry treatment device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KR101435797B1 (ko) 의류처리장치
JP4271208B2 (ja) 衣類乾燥装置
US8418509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US10883220B2 (en) Laundry machine
US20030056393A1 (en) Washing/drying machine and clothes dryer
KR102302326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10005279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BRPI0715351A2 (pt) mÁquina de tratamento de lavagem de roupa Íntima
JP2004135755A (ja) 洗濯乾燥機
JP4836658B2 (ja) 洗濯乾燥機
EP2743394A1 (en) Heat pump laundry treatment apparatus
BRPI0715349A2 (pt) mÁquina méltipla de tratamento de artigo a ser lavado e mÉotdo de controle da mesma
JP2009106566A (ja)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KR20160049735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130698A1 (en) Washer method and apparatus
KR20190128484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28487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129793B1 (ko) 의류처리장치
EP2743395A1 (en) Heat pump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4507966B2 (ja) 洗濯乾燥機
KR101594360B1 (ko) 세탁장치
JP2015123348A (ja) 乾燥機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