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793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793B1
KR102129793B1 KR1020130013293A KR20130013293A KR102129793B1 KR 102129793 B1 KR102129793 B1 KR 102129793B1 KR 1020130013293 A KR1020130013293 A KR 1020130013293A KR 20130013293 A KR20130013293 A KR 20130013293A KR 102129793 B1 KR102129793 B1 KR 102129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compressor
support
duct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227A (ko
Inventor
김영석
홍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01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793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BR112015016360-2A priority patent/BR112015016360B1/pt
Priority to PCT/KR2014/000548 priority patent/WO2014116001A1/en
Priority to AU2014210506A priority patent/AU2014210506B2/en
Priority to CN201480004262.3A priority patent/CN104919108B/zh
Priority to CN201480004265.7A priority patent/CN104919105B/zh
Priority to BR112015017081-1A priority patent/BR112015017081B1/pt
Priority to EP14743079.7A priority patent/EP2948582B1/en
Priority to EP14743476.5A priority patent/EP2948584B1/en
Priority to PCT/KR2014/000543 priority patent/WO2014115999A1/en
Priority to PCT/KR2014/000563 priority patent/WO2014116002A1/en
Priority to AU2014210504A priority patent/AU2014210504B2/en
Priority to EP23215899.8A priority patent/EP4310242A3/en
Priority to CN201480004281.6A priority patent/CN104903507B/zh
Priority to EP14743219.9A priority patent/EP2948583B1/en
Priority to AU2014210507A priority patent/AU2014210507B2/en
Priority to BR112015016951-1A priority patent/BR112015016951B1/pt
Priority to US14/163,823 priority patent/US9279211B2/en
Priority to US14/163,854 priority patent/US9163352B2/en
Priority to US14/163,841 priority patent/US9290885B2/en
Publication of KR20140100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227A/ko
Publication of KR102129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며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공급하며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의류수용부의 전방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가 구비된 열풍공급모듈;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재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Machin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가전기기로 세탁기,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고온의 공기(열풍)을 의류에 공급하는데 공기의 유동방식에 근거하여 배기식과 순환식(응축식)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저장된 의류수용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되,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제습)하여 가열한 뒤 의류수용부에 재공급하는 구조이다.
배기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수용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되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순환시키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열풍공급부는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블로워, 상기 블로워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로 구비되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공기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열교환부 이전에 블로워가 위치되어 있어 의류수용부에서 인출된 공기는 블로워 및 열교환부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의류수용부로 재공급되는 방식이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의 안정성 시험단계, 운반단계, 작동단계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의 블로워, 열교환부와 순환유로가 외부의 충격을 받아 파손될 위험이 크다.
따라서, 히트펌프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열교환부의 압축기가 연결덕트 외부에 위치함에 따라 의류처리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압축기를 보호하고 캐비닛 내에 견고히 고정시켜야 하는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순환유로의 연결덕트가 안정성 시험단계, 운반단계에서 캐비닛 외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순환유로의 연결덕트와 블로워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단계에서 의류수용부와 간섭을 일으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운반단계에서 연결덕트와 블로워가 받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덕트의 외부에 위치한 압축기가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상기 압축기를 캐비닛 내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덕트, 블로워, 압축기로 전달되는 충격, 진동을 최소화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며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안내하는 순환유로,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 상기 순환유로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가 구비된 열풍공급모듈;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열풍공급모듈을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며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안내하는 순환유로,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 상기 순환유로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가 구비된 열풍공급모듈;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열풍공급모듈을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은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열풍공급모듈을 상기 의류수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공급모듈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순환유로의 연결덕트가 의류처리장치의 안정성 시험단계나 운반단계에서 캐비닛의 외측 방향으로 받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덕트 또는 블로워가 의류수용부와의 간섭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덕트 또는 블로워를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연결덕트 또는 블로워가 캐비닛 내부에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덕트 외부에 구비된 압축기가 이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바로 고정되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 외부에서 압축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압축기를 캐비닛 내부에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열풍공급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체결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가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지지부재와 캐비닛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지지부재와 캐비닛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모듈(4)로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11),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13)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11)의 상부에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151)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내역이 표시되는 표시부(1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컨트롤패널(15)이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151)는 버튼이나 로터리놉(rotary knob)의 형태로 컨트롤패널(15)에 구비되며, 의류처리장치에 설정된 세탁이나 건조를 위한 프로그램(세탁코스, 건조코스), 세탁시간, 세탁수의 양, 열풍공급시간 등의 제어명령을 제어부(미도시)에 입력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표시부(153)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코스 명 등),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의류처리장치(100)가 동작함으로써 발생되는 정보(잔여시간 등)를 표시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건조만을 위한 건조기로 구비될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는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3)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동시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브와 드럼이 모두 구비된 의류수용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투입구(11)를 향하는 터브의 전방면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터브개구부(21)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개구부(21)와 상기 투입구(11) 사이에는 가스켓(23)이 구비되는데, 상기 가스켓(23)은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터브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드럼(3)의 회전 시 터브(2)에 발생된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터브(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이 지지되는 지면에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지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터브(2)가 지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경우 터브의 경사각은 90도 미만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2)의 원주면 상부에는 터브(2)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홀(25)이 구비되며, 상기 터브의 하부에는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배수부(27)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배출홀(25)은 터브(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터브(2)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A)에 대해 소정거리(L1)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 3참고).
이는 드럼의 회전 시 터브(2) 내부의 공기가 공기배출홀(25)을 통해 터브(2)에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고 열풍공급모듈(4) 내부의 이물질이 터브(2)로 유입될 때 이물질 등이 터브(2)의 내주면을 따라 터브(2)의 하부면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 등이 드럼(3)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드럼(3)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2) 내부에 위치하며, 터브(2)의 외부에 구비된 모터(33)에 의해 터브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33)는 터브(2)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335), 상기 스테이터(335)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31), 터브(2)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3)의 배면과 로터(331)를 연결하는 회전축(3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3)에는 상기 투입구(11) 및 터브개구부(21)에 연통하는 드럼개구부(31)가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투입구(11)를 통해 드럼(3)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도 있고, 드럼(3)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터브(2)로 공급되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공급부(1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155)는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drawer) 형태로 구비되는 저장부(1551, 도 1참고), 상기 저장부(1551)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터브(2) 내부로 안내하는 세제공급관(1553, 도 1참고), 상기 컨트롤패널(15)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1551)를 캐비닛(1)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부 핸들(15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51)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데 급수원을 통해 저장부(1551)로 물이 공급되면 저장부(1551) 내부의 세제는 물과 함께 세제공급관(1553)을 통해 터브(2)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열풍공급모듈(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터브(2)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를 상기 터브(2)의 전방면(상기 투입구(11)가 위치된 방향에 형성된 터브의 일면)으로 안내하는 순환유로(41, 43, 47), 상기 순환유로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45), 상기 열교환부(45)와 상기 터브의 전방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터브(2)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49)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유로는 터브(2)에 구비된 공기배출홀(25, 도 2참고)에 고정된 흡입덕트(41), 상기 흡입덕트(41)와 상기 블로워(49)을 연결하며 상기 열교환부(45)가 고정되는 연결덕트(43), 상기 블로워(49)와 가스켓(23)을 연결하는 배출덕트(4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덕트(41)는 터브의 원주면 후방에 위치한 공기배출홀(25)을 통해 터브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유로로 상기 흡입덕트(41)는 진동절연부재(고무 등)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드럼(3)의 회전 시 터브(2)에 발생된 진동이 흡입덕트(41)를 통해 연결덕트(43) 및 열교환부(45)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터브(2)에 발생된 진동이 연결덕트(43) 및 열교환부(45)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흡입덕트(41)에는 주름관(bellows)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름관은 흡입덕트(41)의 전체 영역에 구비될 수도 있고, 흡입덕트(41)의 일부 영역(예, 연결덕트의 결합부위)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부(45)는 히트펌프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열교환부(45)에 구비되는 증발기(451) 및 응축기(453)는 연결덕트(43) 내부에 고정되고, 압축기(455)는 연결덕트(43)의 외부에 구비된다.
압축기(455)는 냉매관(459)을 통해 증발기(451) 및 응축기(453)에 연결되며 냉매는 압축기(455)에 의해 증발기, 응축기 및 압축기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상기 열풍공급모듈(4)은 열교환부(45)가 히트펌프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연결덕트(43)의 외부에 구비되어 압축기(455)를 지지하는 압축기 지지부(4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지지부(457)는 상기 압축기(455)를 하부에서 지지하여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연결덕트(43)에 결합되어 상기 열풍공급모듈(4)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451)에서는 냉매가 연결덕트(43)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따라서, 증발기(451)는 공기를 냉각함과 동시에 공기가 함유하고 있던 수분을 제거(제습)하는 수단이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덕트(43) 내부의 공기는 증발기(45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되므로 연결덕트(43) 내부에는 응축수가 잔류하게 된다.
응축수가 연결덕트(43) 내부에 잔류하게 되면 응축수가 건조 중인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연결덕트(43) 내부에 잔류하는 응축수를 연결덕트(43)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를 연결덕트(43)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연결덕트(43)와 배수부(27)를 연결하는 유로(미도시)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453)에서는 냉매가 응축된다. 냉매의 응축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은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에 전달되므로 응축기(453)는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배출덕트(47)는 블로워(49)를 통해 연결덕트(43)에서 배출된 공기를 터브(2) 내부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일단은 블로워(49)에 고정되고 타단은 가스켓(23)에 구비된 덕트연결홀(231)에 연결된다.
드럼(3)의 회전 시 터브(2)에 발생된 진동이 배출덕트(47)를 통해 블로워(49)나 연결덕트(43)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스켓(23)과 배출덕트(4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진동절연부재(또는 탄성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로워(49)는 열교환부(45)와 배출덕트(47) 사이에 구비되므로 본 발명에 구비된 블로워(49)는 열교환부(45)의 전방에 양압을 발생시켜 공기가 열교환부(45)를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열교환부(45)의 후방에 음압을 발생시켜 공기가 열교환부(45)를 통과되도록 한다.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49)가 열교환부(45)의 전방에 양압을 발생시켜 공기가 열교환부(45)를 통과되도록 하면 연결덕트(43)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열교환부(45)로 쉽게 이동되지만 일부는 열교환부(45)로 쉽게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블로워에서 토출된 공기의 대부분은 열교환부(45)를 향해 용이하게 이동(B1)되지만 블로워(49)에서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연결덕트(43)의 형상이나 블로워의 구조에 따라 열교환부(45)로 빨리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B2)가 있다.
따라서, 블로워(49)가 열교환부(45) 이전에 위치하여 열교환부(45)를 향해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구조(열교환부 전방에 양압을 형성하는 구조)에서는 연결덕트(43)의 단면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연결덕트(43)의 위치에 따라 일정하지 않아 열교환 효율이 낮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된 블로워(49)는 열교환부(45)와 터브의 전방면에 연결되는 배출덕트(47) 사이에 위치(공기가 열교환부 및 블로워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므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49)가 열교환부(45)와 배출덕트(47) 사이에 위치하면 열교환부(45)의 후방에 음압이 발생된다.
열교환부(45)의 후방에 음압이 발생되면 연결덕트(43)를 따라 열교환부(45)로 이동하는 공기의 양은 연결덕트(43)의 단면 전체에 걸쳐 일정해지므로 본 발명은 도 4 (a)의 구조에 비해 공기와 열교환부(45)의 열교환 효율이 높아 건조효율이 높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되는 연결덕트(43)는 터브(2)의 원주면 상부에 위치되므로 증발기(451)가 위치되는 공간과 응축기(453)가 위치되는 공간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즉, 증발기(451)가 고정되는 부위의 연결덕트(43) 높이(H1)는 응축기(453)가 고정되는 부위의 연결덕트 높이(H2)에 비해 낮을 수 있다.
터브(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결덕트(43)의 너비(L2)가 일정할 경우, 증발기(451) 및 응축기(453)가 구비되는 공간의 높이(H1, H2)가 서로 다르면 어느 하나의 열교환 용량에 의해 다른 하나의 열교환 용량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증발기와 응축기의 면적비는 1:1.3 내지 1:1.6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터브(2)에서 배출된 공기를 여과함으로써 열교환부(45)에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5)는 캐비닛(1)을 통해 상기 연결덕트(4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덕트(43)에는 상기 필터부(5)의 이동을 안내하는 필터가이더(43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필터부(5)가 관통하는 필터착탈부(157)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세제공급부(155)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필터착탈부(157)는 캐비닛(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거나 컨트롤패널(15)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세제공급부(155)가 구비되는 경우라면, 상기 필터착탈부(157)는 세제공급부(155)와 컨트롤패널(15) 사이의 공간에 위치(필터착탈부(157)는 투입구(11)의 상부에 위치)하되 캐비닛(1)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필터가이더(431)는 상기 필터착탈부(157)와 연결덕트(4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필터착탈부(157)로 삽입된 필터부(5)가 흡입덕트(41)와 증발기(451)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필터부(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51),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필터(55)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51)에는 상기 필터착탈부(157)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필터부(5)를 캐비닛(1)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1)으로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핸들(5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5)가 캐비닛(1)에 삽입된 경우 상기 바디(51)는 필터가이더(431)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필터(55)는 연결덕트(43)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바디(51)는 탄성부재(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필터착탈부(157)와 연결덕트(43)가 캐비닛(1)의 전방면에 대해 수직한 직선 상에 배치되지 못할 경우 필터프레임(55, 57)을 연결덕트(43)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유로(41, 43, 47)가 터브(2)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대각선방향을 따라 구비되고(연결덕트는 터브의 상부면 중심부 근처에 위치), 필터착탈부(157)는 캐비닛(1)의 전방면 일측에 구비(필터착탈부는 터브의 상부면 중심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경우 바디(51)가 탄성부재로 구비되어야만 필터(55)를 연결덕트(43)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 시 또는 의류처리장치의 운반 시에 열풍공급모듈(4)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풍공급모듈(4)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체결부재(7, 81, 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7, 81, 83)는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열풍공급모듈을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열풍공급모듈(4)을 상기 의류수용부(터브)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7)와 상기 열풍공급모듈(4)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81, 8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재(7)는 일단은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열풍공급모듈(4)의 상부에 위치하며, 외력에 의해 열풍공급모듈(4)이 터브의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부재(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디(71), 상기 바디의 양단이 절곡되어 구비된 것으로 상기 바디(71)를 상기 캐비닛(1)에 연결시키는 체결부(73)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71)는 상기 체결부(73)를 통해 캐비닛(1)에 고정되어 열풍공급모듈(4)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덕트(43)의 상부면을 지지하거나 연결덕트의 상부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열풍공급모듈(4)이 외력에 의해 캐비닛의 상부로 이동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바디(71)는 체결부(73)를 관통하여 캐비닛에 고정되는 나사를 통해 캐비닛에 고정될 수 있으나 캐비닛과 바디의 결합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71)에는 절곡부(711)를 구비하여 바디(71)가 압축기(455)와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바디(71)가 압축기(455)의 상부를 지지할 경우, 압축기에서 발생된 진동이 바디(71)를 통해 캐비닛(1)에 전달되어 소음이나 진동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터브 상부에 위치하는 열풍공급모듈(4) 및 기타의 장치들의 배치구조에 따라 상기 절곡부(711)는 상기 바디(71)에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체결부(73)는 상기 바디(7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며 볼트와 같은 수단을 통해 캐비닛(1)의 상부 내주면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7)는 바디(71)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바디(71)와 상기 체결부(73) 사이에 구비되는 플랜지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75)는 체결부(73)가 구비되기 전 바디(71)의 마주보는 양단이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고, 바디(7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가압부재(7)는 상기 연결덕트(43)의 상부에 위치하여 열풍공급모듈(4)이 터브의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나 외력에 의해 열풍공급모듈(4)이 터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고, 터브(2)와 열풍공급모듈(4)을 진동절연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 상기 체결부재는 열풍공급모듈(4)이 외력에 의해 터브(2)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81, 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열풍공급모듈(4)의 연결덕트(43) 또는 블로워(49)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81)와 상기 압축기 지지부(457)를 캐비닛 내에 고정시키는 제2지지부재(83)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81)는 터브(2)의 외주면과 순환유로(41, 43, 45) 사이에 위치하며 연결덕트(43) 또는 블로워(49)의 하부와 결합해 상기 열풍공급모듈(4)의 하부를 지지하므로 의류처리장치의 운반단계에서 상기 의류수용부(터브)와의 간섭을 막아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시키는 단계에서 터브(2)의 진동이 열풍공급모듈(4)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81)는 캐비닛(1)에 고정되어 연결덕트(43) 또는 블로워(49)를 지지하는 지지바(81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811)는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균형적으로 상기 연결덕트(43) 또는 상기 블로워(49)를 지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바(811)는 상기 도어(13)의 위쪽에 배치되며 일단이 캐비닛(1)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1)에 상기 제1지지부재(81)가 단단히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지지부재(81)는 상기 연결덕트(43) 또는 상기 블로워(49)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진동을 감소시키는 제1진동절연부(8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바(811)의 일단이 캐비닛(1)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어서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시 상기 의류수용부로부터 캐비닛(1)에 전달되는 진동이 열풍공급모듈(4)에 전해지게 되므로 제1지지부재(81)는 상기 제1진동절연부(81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운반시 캐비닛(1)에 발생된 진동이 상기 열풍공급모듈(4)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도 상기 제1진동절연부(8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모듈(4)의 동작시 발생된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진동절연부(8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진동절연부(813)는 상기 지지바(811)가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바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진동절연부(8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캐비닛(1)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상기 지지바(8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진동절연부(813)는 가운데 구멍이 있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효율적인 진동 흡수를 위해서 상기 제1진동절연부(813)는 에틸렌 프로필렌(EPDM) 고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제1진동절연부(813)의 재질은 상술한 EPDM에 한정될 필요가 없다.
상기 제2지지부재(8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덕트(43)에 결합되며 상기 압축기(455)가 지지되는 압축기 지지부(457)를 캐비닛에 고정시키는 압축기 지지바(831)로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7)와 제1지지부재(81)는 열풍공급모듈(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히트펌프로 구비된 열풍공급모듈(4)을 포함하는 경우 증발기(451), 응축기(453)가 연결덕트(43)의 내부에 구비되어 보호되는 것과 달리 압축기(455)는 상기 연결덕트(43)의 외부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7)와 제1지지부재(81)만으로는 상기 압축기(455)를 보호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제2지지부재(8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는 캐비닛의 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 지지부(457)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지지부(457)는 상기 압축기(455)를 거치하는 지지판(4571)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판(457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455)가 지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진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4571)의 측면에는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관(457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는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2개의 압축기 지지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균형적으로 상기 압축기(455)를 지지하여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관(4573)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바 바디(8311)와 상기 지지바 바디(831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삽입관(4573)과 접촉하는 바디플랜지(8313)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플랜지(8313)는 상기 삽입관(4573)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압축기 지지부(457)와 상기 제2지지부재(83)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압축기(455)를 상기 압축기 지지부(457)와 상기 제2지지부재(83)에 의해 상기 캐비닛(1) 내에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는 일단은 캐비닛(1) 후면을 관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삽입관(4573)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4571)과 결합하여 고정되므로 상기 압축기 지지부(457)를 캐비닛(1) 내에 강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제2지지부재(83)는 상기 압축기 지지부(457)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진동을 흡수시키기 위하여 제2진동절연부(833)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진동절연부(833)는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진동절연부(833)는 캐비닛(1)에 결합되는 캐비닛 결합부(8331), 상기 캐비닛 결합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가 삽입되는 관통홀(833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진동절연부(833)는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의 일단에 위치하여 캐비닛(1)의 후면을 관통하고 상기 캐비닛(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결합부(8331)는 캐비닛(1)의 후면을 관통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8333)은 상기 캐비닛 결합부(8331)를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 결합부(8331)보다 더 길게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관통홀(8333)은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가 관통할 수 있는 정도의 홀을 가운데 구비하며 일정한 두께로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제1지지부재(81)를 구성하는 상기 제1진동절연부(813)와 달리 상기 제2진동절연부(833)는 상기 캐비닛 결합부(8331)와 상기 관통홀(8333)을 포함하여 구비되므로 상기 압축기 지지바(831)를 캐비닛(1) 외측에서 완전히 감싸도록 구비된다.
효율적인 진동 흡수를 위해서 상기 제2진동절연부(8333)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캐비닛 11: 투입구
2: 터브 3: 드럼
4: 열풍공급모듈 41: 흡입덕트
43: 연결덕트 45: 열교환부
451: 증발기 453: 응축기
455: 압축기 457: 압축기 지지부
4571: 지지판 4573: 삽입관
47:배출덕트 49: 블로워
7: 가압부재 71: 바디
711: 절곡부 73: 체결부
75: 플랜지부 81: 제1지지부재
811: 지지바 813: 제1진동절연부
83: 제2지지부재 831: 압축기 지지바
8311: 지지바 바디 8313: 바디플랜지
833: 제2진동절연부 8331: 캐비닛 결합부
8333: 관통홀

Claims (14)

  1. 외관을 형성하며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안내하는 순환유로,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 상기 순환유로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가 구비된 열풍공급모듈;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어 상기 열풍공급모듈을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의류수용부의 원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는 흡입덕트;
    상기 의류수용부의 원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덕트;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배출덕트를 연결하고 상기 열교환부가 구비되는 연결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연결덕트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증발시켜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응축하는 증발기;
    상기 연결덕트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응축시켜 상기 증발기를 거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
    상기 연결덕트 외부에 구비되고 냉매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를 순환되도록 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풍공급모듈은 상기 연결덕트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를 지지하는 압축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일단은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캐비닛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를 상기 의류수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압축기 지지부를 캐비닛 내에 고정시키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덕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는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배출덕트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의류수용부의 후방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의류수용부의 전방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상부면을 상기 의류수용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바디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는 캐비닛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강도를 보강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바;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제1진동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압축기 지지바;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 지지바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제2진동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지지부는 상기 압축기가 지지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 지지바가 수용되는 삽입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지지바는 상기 삽입관에 삽입되는 지지바 바디, 상기 지지바 바디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삽입관에 접촉하는 바디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30013293A 2013-01-25 2013-02-06 의류처리장치 KR102129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293A KR102129793B1 (ko) 2013-02-06 2013-02-06 의류처리장치
EP23215899.8A EP4310242A3 (en) 2013-01-25 2014-01-2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CT/KR2014/000548 WO2014116001A1 (en) 2013-01-25 2014-01-2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480004262.3A CN104919108B (zh) 2013-01-25 2014-01-20 衣物处理设备
CN201480004265.7A CN104919105B (zh) 2013-01-25 2014-01-20 衣物处理设备
BR112015017081-1A BR112015017081B1 (pt) 2013-01-25 2014-01-20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s configurado para ser operado em um ciclo de secagem e um ciclo de lavagem
EP14743079.7A EP2948582B1 (en) 2013-01-25 2014-01-2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14743476.5A EP2948584B1 (en) 2013-01-25 2014-01-2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480004281.6A CN104903507B (zh) 2013-01-25 2014-01-20 衣物处理设备
PCT/KR2014/000563 WO2014116002A1 (en) 2013-01-25 2014-01-2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BR112015016360-2A BR112015016360B1 (pt) 2013-01-25 2014-01-20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 que compreende uma passagem de separação/acoplamento de filtro e um guia de filtro
AU2014210506A AU2014210506B2 (en) 2013-01-25 2014-01-2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CT/KR2014/000543 WO2014115999A1 (en) 2013-01-25 2014-01-2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14743219.9A EP2948583B1 (en) 2013-01-25 2014-01-2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U2014210507A AU2014210507B2 (en) 2013-01-25 2014-01-2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BR112015016951-1A BR112015016951B1 (pt) 2013-01-25 2014-01-20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s
AU2014210504A AU2014210504B2 (en) 2013-01-25 2014-01-2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4/163,823 US9279211B2 (en) 2013-01-25 2014-01-24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4/163,854 US9163352B2 (en) 2013-01-25 2014-01-24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4/163,841 US9290885B2 (en) 2013-01-25 2014-01-24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293A KR102129793B1 (ko) 2013-02-06 2013-02-0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227A KR20140100227A (ko) 2014-08-14
KR102129793B1 true KR102129793B1 (ko) 2020-07-03

Family

ID=5174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293A KR102129793B1 (ko) 2013-01-25 2013-02-0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7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51A1 (ko) * 2022-01-03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WO2023128203A1 (ko) * 2021-12-29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024B1 (ko) * 2016-01-05 2023-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CN113529378B (zh) * 2020-04-21 2023-07-14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用于干衣机的底座组件及具有其的干衣机
WO2022005069A1 (ko) 2020-07-03 2022-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440B1 (ko) * 2002-05-27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히터 장착구조
EP3109358B1 (en) * 2009-06-29 2018-08-2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03A1 (ko) * 2021-12-29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WO2023128251A1 (ko) * 2022-01-03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227A (ko)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8582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01559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US9909249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02326B1 (ko) 의류처리장치
US10883220B2 (en) Laundry machine
KR102119538B1 (ko) 의류건조기
JP4271208B2 (ja) 衣類乾燥装置
KR102619008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12979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4486A (ko) 건조기
KR20190128487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319881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28484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360870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190128529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72853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61129B1 (ko) 건조기
KR101594360B1 (ko) 세탁장치
KR20140132801A (ko) 드럼 세탁기
KR20130044508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04484A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