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85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853A
KR20230172853A KR1020220073534A KR20220073534A KR20230172853A KR 20230172853 A KR20230172853 A KR 20230172853A KR 1020220073534 A KR1020220073534 A KR 1020220073534A KR 20220073534 A KR20220073534 A KR 20220073534A KR 20230172853 A KR20230172853 A KR 20230172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device
upper frame
base
panel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룡
조보경
권용우
황인성
유학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3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853A/ko
Publication of KR2023017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측에 제1전면패널이 마련되고, 측방향 양측에 각각 제1측면패널이 마련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이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측방향 양측에 각각 제2측면패널이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이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1전면패널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측면패널 및 상기 제2측면패널과 체결되는 어퍼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측면패널에는 전방에서 내측으로 벤딩되는 제1전방벤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전방벤딩부에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는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걸쳐짐으로써 결합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의 세탁물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거나 건조시키는 등, 상기 세탁물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가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도록 마련된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마련된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한 공기를 세탁물에 제공하여 상기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드럼 및 세탁물에 제공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건조하게 하는 가열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건조한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세탁물에 존재하는 수분이 상기 건조한 공기에 의해 증발되어 제거되고 세탁물의 물기가 제거될 수 있다.
공개문헌 KR 10-2021-0112086 A1(선행문헌1)에는 복수의 처리장치가 함께 구비된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측에 건조기가 마련되고, 하측에 세탁기가 마련된다. 선행문헌1에는 세탁기의 상측부분에 제공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강성을 향상시키는 어퍼프레임이 개시된다. 어퍼프레임은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어퍼프레임은 세탁기의 상부 및 건조기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어퍼프레임의 일부가 세탁기의 상부와 건조기의 하부에 끼워지게 구성함으로써, 조립 과정에서 어퍼프레임을 용이하게 결합한다. 때문에,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에프터서비스(after-sales service)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어퍼프레임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건조기까지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하층에 처리장치가 적층된 의류처리장치 제조과정에서 조립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에프터서비스(after-sales service)를 위한 분해과정에서 불필요한 분해과정을 삭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하층에 처리장치가 적층된 의류처리장치 제조과정에서 조립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에프터서비스(after-sales service)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측에 제1전면패널이 마련되고, 측방향 양측에 각각 제1측면패널이 마련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이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측방향 양측에 각각 제2측면패널이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이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1전면패널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측면패널 및 상기 제2측면패널과 체결되는 어퍼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측면패널에는 전방에서 내측으로 벤딩되는 제1전방벤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전방벤딩부에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는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걸쳐짐으로써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전방측에 위치되는 제2전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전면패널과 상기 제2전면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와 신호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어퍼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컨트롤패널과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개구로 제공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개구에 걸쳐지는(hooked) 후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일부분을 절곡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일부분을 절단 및 벤딩 가공하여 형성되며, 절단에 의한 가공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후크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후크가 걸쳐지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2처리장치의 하부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베이스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는 결합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상기 결합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베이스체결홀이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상기 베이스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보스와 결합되어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와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전방측에 위치되는 제2전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전면패널과 상기 제2전면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와 신호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처리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트롤패널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전면의 일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로워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로워프레임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로워프레임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결합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2처리장치의 하부 전면에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베이스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마련되는 로워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로워프레임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결합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로워프레임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와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응축기, 증발기 및 압축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공간과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유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제1전방벤딩부와 체결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전방벤딩부와 체결되고, 상기 제2측면패널은 전방에서 내측으로 벤딩되는 제2전방벤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상기 제2전방벤딩부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과 상기 제2전방벤딩부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제2전방벤딩부와 상기 어퍼프레임의 사이에 절연부재가 더 제공되며,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2처리장치의 하부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는 결합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상기 결합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베이스체결홀이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상기 베이스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보스와 결합되어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와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전방벤딩부보다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보스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전방벤딩부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어퍼프레임과 제1처리장치를 결합하는 제조 과정에서 조립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어퍼프레임과 제1처리장치를 결합하는 제조 과정에서 조립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에프터서비스(after-sales service)를 위한 분해과정에서 불필요한 분해과정을 삭제할 수 있고,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제공되는 베이스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어퍼프레임, 로워프레임이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정면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제1처리장치(10), 제2처리장치(20) 및 컨트롤패널(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각 구성에 대한 전방방향(+X), 후방방향(-X), 제1측방향(+Y), 제2측방향(-Y) 및 상방방향(+Z), 하방방향(Z)의 정의는 모두 동일한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10)의 전후방향(+X, -X)은 제2처리장치(20), 컨트롤패널(200)등의 전후방향과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고, 측방향(Y) 및 상하방향(Z) 또한 마찬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 및 제2처리장치(20)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및/또는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기 등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가 세탁기이고 제2처리장치(20)가 건조기일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 및 제2처리장치(20)가 모두 세탁기이거나 건조기일 수 있고, 제1처리장치(10)가 건조기이고 제2처리장치(20)가 세탁기일 수도 있으며, 기타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되는 제1처리장치(10)는 의류를 세탁하기 위한 세탁기에 해당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의 내부에는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12) 및 터브(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 내부의 제1드럼(12)은 터브(14)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는 제1처리장치(10)의 상측에 위치된다. 제1처리장치(10)는 제2처리장치(20)를 지지한다. 제2처리장치(20)는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기에 해당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12) 및 터브(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캐비닛(110)은 전방측에 제1전면패널(11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전면패널(112)에는 제1드럼(12)과 연통되는 의류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의류개구는 제1캐비닛도어(17)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처리장치(10)의 제1드럼(12)은 전후방향(+X, -Y)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진다.
제1처리장치(10)는 일측방향(+Y)에 제1좌측면패널(115)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의 타측방향(-Y)에는 제1우측면패널(116, 도2 참조)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의 후방측에는 제1후면패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의 상측에는 제1상면패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의 하측에 제1하면패널(117, 도 2 참조)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전면패널(112), 제1측면패널(115), 제1후면패널(미도시), 제1상면패널(119) 및 제1하면패널(미도시)은 서로 조합되어 제1캐비닛(110)을 형성하며, 서로 결합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제1캐비닛(110)은 내부에 제1드럼(12)과 같이 제1처리장치(10)를 구성하는 내장품이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는 의류개구를 통해 처리가 요구되는 의류 등이 제1캐비닛(110) 내부로 투입되어 제1드럼(12)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제1처리장치(10)에 의한 처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제1전면패널(112)에는 세제개구가 형성되고, 세제개구에는 세제저장유닛(16)이 삽입되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제1처리장치(10)는 지면상에 배치되며, 세제저장유닛(16)의 인입 및 인출이 편리하도록, 세제저장유닛(16)은 제1처리장치(10)의 의류개구 보다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저장유닛(16)은 제1처리장치(10)의 의류개구와 컨트롤패널(2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세제저장유닛(16)은 제1처리장치(10)의 의류개구 보다 상방에 위치되고, 컨트롤패널(200)보다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세제저장유닛(16)은 사용자에 의해 제1캐비닛(110)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1캐비닛(110)으로부터 세제저장유닛(16)을 분리하고, 세제저장유닛(16)에 세제를 저장시킨 이후, 세제저장유닛(16)을 제1캐비닛(110)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전면패널(112)은 세탁수로부터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유닛(18)이 삽입되는 필터개구가 형성되고, 필터개구에는 필터유닛(18)이 삽입되어 제공된다. 필터유닛(18)은 제1전면패널(112)의 하부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필터유닛(18)은 필터개구를 통해 제1캐비닛(1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터브(14)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필터유닛(18)은 세탁과정이 수행된 이후 터브(14)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필터유닛(18)의 역할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대상으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유닛(18)은 세탁과정 진행 전에 세탁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세탁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필터개구를 통해 필터유닛(18)을 제1캐비닛(110) 내부로 인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인출된 필터유닛(18)은 세척 후 재사용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필터유닛(18)은 세제저장유닛(16)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인입 및 인출 주기가 더 길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입 및 인출 주기가 비교적 짧은 세제저장유닛(16)이 인입되는 세제개구를 제1전면패널(112)의 상부측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인입 및 인출 주기가 비교적 긴 필터유닛(18)이 인입되는 필터개구는 제1전면패널(112)의 하부측에 배치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공간 활용성이 우수한 제1전면패널(112)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제1캐비닛(110) 내부에서 터브(14)와 연결되는 세탁수 배출유로는 세탁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제1캐비닛(110) 내에서 하부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필터유닛(18)은 제1캐비닛(110)의 하부측에 마련되어 세탁수 배출유로와 효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에는 제1장치제어부(19)가 제공될 수 있다. 제1장치제어부(19)는 제1처리장치(10)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1장치제어부(19)는 제1캐비닛(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장치제어부(19)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장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장치제어부(19)는 컨트롤패널(200)으로부터 수신된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메모리에서 확인하고,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장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1장치제어부(19)는 제1처리장치(10)의 상태를 컨트롤패널(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캐비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캐비닛(120)은 전방측에 마련되는 제2전면패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면패널(122)에는 제2드럼(22)과 연통되는 의류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의류개구는 제2캐비닛도어(27)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는 일측방향(+Y)에 제2좌측면패널(125)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의 타측방향(-Y)에는 제2우측면패널(126, 도2 참조)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의 후방측에는 제2후면패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의 상측에는 제2상면패널(127)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의 하측에는 베이스(500, 도 2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전면패널(122), 제2측면패널(125), 제2후면패널(128, 도 2 참조), 제2상면패널(127) 및 베이스(500)는 서로 조합되어 제2캐비닛(120)을 형성하며, 서로 결합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제2캐비닛(120)은 내부에 제2드럼(22)과 같이 제2처리장치(20)를 구성하는 내장품이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의 의류개구를 통해 처리가 요구되는 의류 등이 제2캐비닛(120) 내부로 투입되어 제2드럼(2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2드럼(22)에 수용된 의류는 제2처리장치(20)에 의한 세탁, 건조 등의 처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처리장치(20)는 의류개구가 제2캐비닛도어(27)와 함께 제2전면패널(122)상에 마련된다. 제2처리장치(20)에 수용된 제2드럼(22)은 전후방향(X)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진다.
제2처리장치(20)는 제1처리장치(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처리장치(10)의 하부는 제2처리장치(20)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의 상방은 제2처리장치(20)를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10)의 제1상면패널(미도시)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2처리장치(20)의 베이스(500)를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처리장치(20)에는 제2장치제어부(29)가 제공될 수 있다. 제2장치제어부(29)는 제2처리장치(2)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제2장치제어부(29)는 제2캐비닛(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2장치제어부(29)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장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2장치제어부(29)는 컨트롤패널(200)으로부터 수신된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메모리에서 확인하고,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장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2장치제어부(29)는 제2처리장치(20)의 상태를 컨트롤패널(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200)은 제1전면패널(112) 및 제2전면패널(122) 사이에 배치된다. 컨트롤패널(200)은 대략 사용자의 허리에 대응되는 높이인 제1전면패널(112) 및 제2전면패널(122)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하는 데에 편리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200)은 제1처리장치(10) 및 제2처리장치(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컨트롤패널(200)은 제1처리장치(10) 및 제2처리장치(20)와 신호적으로 연결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컨트롤패널(200)은 제1장치제어부(19) 및/또는 제2처리장치(20)와 신호적으로 연결된다. 컨트롤패널(200)의 전면부에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컨트롤패널(200)을 통해 제1처리장치(10) 및/또는 제2처리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의 후방에는 후방브라켓(300)이 제공된다. 후방브라켓(300)은 제1처리장치(10) 및 제2처리장치(20)와 결합된다. 후방브라켓(300)은 제1처리장치(10)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고, 동시에 제2처리장치(20)의 후방 하부에 배치된다. 후방브라켓(300)에는 운반자를 위한 핸들이 형성된다. 운반자는 후방브라켓(300)에 형성된 핸들을 이용하여 의류처리장치(1)를 보다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캐비닛(110)을 이루는 구성 및 제2캐비닛(120)을 이루는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하며, 설명의 편의상 제2캐비닛(120)의 제2상면패널(127)은 도시를 생략한다.
제1캐비닛(110)은 제1처리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제1전면패널(112)은 제1캐비닛(110)의 전방면을 이룬다. 제1우측면패널(115)은 제1캐비닛(110)의 우측면을 이룬다. 제1좌측면패널(116)은 제1캐비닛(110)의 좌측면을 이룬다. 제1후면패널(미도시)은 제1캐비닛(110)의 후방면을 이룬다. 제1하면패널(117)은 제1캐비닛(110)의 저면을 이룬다.
제2캐비닛(120)은 제2처리장치(20)의 외관을 형성한다. 제2전면패널(122)은 제2캐비닛(120)의 전방면을 이룬다. 제2우측면패널(125)은 제2캐비닛(120)의 우측면을 이룬다. 제2좌측면패널(126)은 제2캐비닛(120)의 좌측면을 이룬다. 제2후면패널(128)은 제2캐비닛(120)의 후방면을 이룬다. 베이스(500)는 제2캐비닛(120)의 저면을 이룬다.
로워프레임(600)은 베이스(500)의 전면에 위치된다. 로워프레임(600)은 컨트롤패널(200)의 후방에 위치된다. 로워프레임(600)은 제2처리장치(20)의 하부에 위치된다. 로워프레임(600)의 양측은 제2우측면패널(125) 및 제2좌측면패널(126)과 결합될 수 있다. 로워프레임(600)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패널(200)의 후방에 위치한다. 로워프레임(600)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500)의 전면부(510)의 일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제공된다.
어퍼프레임(700)은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일부분이 베이스(50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마련된다. 어퍼프레임(700)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컨트롤패널(200)과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어퍼프레임(700)은 상기 제1전면패널(112)의 후방인 후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700)의 하부 양측은 제1우측면패널(115) 및 제1좌측면패널(116)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어퍼프레임(700)의 상부 양측은 제2우측면패널(125) 및 제2좌측면패널(126)과 절연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700)은 제1처리장치(10)에서 상측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강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제공되는 베이스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3을 설명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500)를 설명한다.
베이스(500)는 제2처리장치(20)의 하부 외형을 이룬다. 베이스(500)는 제2처리장치(2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베이스(500)는 후술하는 제2전방벤딩부(125a, 126a)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베이스(500)는 열교환부(미도시)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부(미도시)는 히트펌프(미도시)일 수 있다. 히트펌프(미도시)는 공기유동부(520)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미도시)와, 증발기(미도시)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가열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압축기(미도시)를 통과한 냉매로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 건조한 열풍을 생성하는 웅축기(미도시)와, 응축기(미도시)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하여 온도를 절감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00)에는 제2드럼(22)과 연통하며 제2드럼(22) 내부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흡입구(511)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5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동부(520)를 통과하며, 히트펌프(미도시)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다. 공기유동부(520)에는 제2드럼(22)에서 토출된 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필요가 있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500)에는 장치장착부(531)가 형성될 수 있다. 장치장착부(531)는 공기유동부(520)와 격벽(55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장치장착부(531)에는 제2드럼(22)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미도시) 및 히트펌프(미도시) 중 압축기(미도시) 등의 각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장치장착부(531)는 건조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필요가 없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500)의 하부에는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 수집부(534)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500)에는 배수펌프(미도시)가 설치되어 수집부(534)에 응축된 물을 배수할 수 있다.
공기이동부(520)에는 증발기(미도시)가 안착되는 증발기 장착부(524)와, 응축기(미도시)가 안착되는 응축기 장착부(523)가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장착부(524)에는 제2드럼(22)에서 토출된 린트 등의 이물질이 수집부(53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걸림돌기(524a)가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 장착부(523)는 응축기(미도시)의 발열로 인해 물이 적체될 가능성이 없으므로 응축기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기(미도시)와 베이스(500)의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증발기(미도시)에서 응축된 물은 공기이동부(520) 바닥면에 수집되고, 격벽(55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홀(551)을 따라 응축수 수집부(534)로 이동한다. 이때, 공기이동부(520)의 바닥면은 관통홀(551)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다. 응축수 수집부(534)는 공기이동부(520)의 바닥면보다 낮게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미도시)와 응축기(미도시)는 금속재질로 구비된 복수의 열교환판과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과 열교환판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드럼(22)에서 토출된 고온다습한 공기는 증발기(미도시)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수분은 응축수가 되어 응축수 수집부(534)에 수집된다. 이후, 응축기(미도시)를 통과하는 공기는 가열되어 고온 건조한 공기로 재생될 수 있다. 고온 건조한 공기는 제2드럼(22)으로 다시 유입되어 드럼 내부에 있는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우측면패널(115)에는 전방에서 내측으로 벤딩되는 제1전방벤딩부(115a)가 형성된다. 제1좌측면패널(116)에는 전방에서 내측으로 벤딩되는 제1전방벤딩부(116a)가 형성된다. 각각의 제1전방벤딩부(115a, 116a)에는 제1가이드부(115b, 116b; a first coupling portion)가 형성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전방벤딩부(115a)에는 제1가이드부(115b)가 형성된다. 제1전방벤딩부(116a)에는 제1가이드부(116b)가 형성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가이드부(115a, 116b)는 개구로 형성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가이드부(115a, 116b)의 개구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116b)은 어퍼프레임(700)에 형성된 제2가이드부(716, 도 5 참조)와 결합된다.
제1전방벤딩부(115a, 116a)에서 제1가이드부(115a, 116b)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복수개의 제1체결부(115c, 115d, 116c, 116d)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가이드부(115b)의 상부에는 제1상부체결부(115c)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115b)의 하부에는 제1하부체결부(115d)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116b)의 상부에는 제1상부체결부(116c)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116b)의 하부에는 제1하부체결부(116d)가 형성된다. 어퍼프레임(700)은 제1체결부(115c, 116c, 116d)를 통해 체결부재(900, 도 6 참조)에 의해 제1전방벤딩부(115a, 116a)와 체결된다. 체결부재(900)는 나사, 리벳 등 다양한 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제2우측면패널(125)에는 전방에서 내측으로 벤딩되는 제2전방벤딩부(125a)가 형성된다. 제2좌측면패널(126)에는 전방에서 내측으로 벤딩되는 제2전방벤딩부(126a)가 형성된다.
제2전방벤딩부(125a, 126a)에는 제2체결부(125c, 126c)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2전방벤딩부(125a)에는 제2체결부(125c)가 형성된다. 제2전방벤딩부(126a)에는 제2체결부(126c)가 형성된다. 제2체결부(125c, 126c)는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125c, 126c)는 제2전방벤딩부(125a, 126a)의 하방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700)은 체결부재(900, 도 6 참조)에 의해, 제2전방벤딩부(125a, 126a)와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900)는 나사, 리벳 등 다양한 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제2전방벤딩부(125a)에는 절연부재(130a)가 제공될 수 있다. 제2전방벤딩부(126a)에는 절연부재(130b)가 제공될 수 있다. 절연부재(130a, 130b)는 제2전방벤딩부(125a. 126a)에서 적어도 제2체결부(125c, 126c)에 제공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700)은 절연부재(130a, 130b)를 통해 제2전방벤딩부(126a, 126b)과 결합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와 제2처리장치(20)는 서로 절연될 필요성이 있다. 어퍼프레임(700)은 제1처리장치(10) 및 제2처리장치(20)와 결합됨에 따라, 결합 관계에 의해서, 제2처리장치(20)와는 절연될 필요성이 있다. 절연부재(130a, 130b)는 어퍼프레임(700)과 제2전방벤딩부(126a, 126b)의 제2체결부(125c, 126c)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500)의 전면(512)에는 결합보스(513a, 513b)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보스(513a, 513b)는 베이스(500)의 전면(512)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보스(513a, 513b)는 어퍼프레임(700)과 제2전방벤딩부(126a, 126b)가 결합되는 위치 근방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보스(513a, 513b)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제2전방벤딩부(126a, 126b)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결합보스(513a, 513b)는 베이스(500)의 전면(512)에서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결합보스(513a, 513b)는 제2전방벤딩부(126a, 126b)의 제2체결부(125c, 126c)가 형성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보스(513a, 513b)를 통해 어퍼프레임(700)은 베이스(500)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500)는 일반적으로 수지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어퍼프레임(700)과 직접 결합되더라도, 제1처리장치(10)와 제2처리장치(20)의 절연성이 유지할 수 있다. 어퍼프레임(700)은 체결부재(900, 도 6 참조)에 의해, 결합보스(513a, 513b)와 체결된다. 체결부재(900)는 나사, 리벳 등 다양한 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어퍼프레임(700)에는 제2가이드부(716)가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716)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716)는 제1전방벤딩부(115a, 116b)의 제1가이드부(115b, 116b, 도 4 참조)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716)는 제1전방벤딩부(115a, 116b)의 제1가이드부(115b, 116b)에 후킹(hooking)되어 제1가이드부(115b, 116b)와 결합된다.
제2가이드부(716)는 어퍼프레임(700)의 일부분을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716)는 어퍼프레임(700)의 일부분을 절단 및 벤딩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716)에는 후크 형성을 위한 절단에 의한 가공개구(714)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1가이드부(116b)가 개구이고, 제2가이드부(716)가 후크인 사항을 도시하였으나, 제1가이드부(116b)가 후크이고, 제2가이드부(716)가 개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가이드부(116b)에 제2가이드부(716)가 걸쳐질 수 있다.
어퍼프레임(700)의 제2가이드부(716)의 상부에는 제1전방체결부(711b)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700)의 제2가이드부(716)의 하부에는 제2전방체결부(71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전방체결부(711b) 및 제2전방체결부(712b)는 제1전방벤딩부(115a, 116a)의 제1체결부(116c, 116d)와 체결부재(9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700)에는 베이스체결홀(716b)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체결홀(716b)은 결합보스(513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결합보스(513a)에 대응되는 베이스체결홀(도 2 참조)도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900)는 베이스체결홀(716b)을 관통하여 결합보스(513b)와 결합된다. 체결부재(900)에 의해 어퍼프레임(700)과 베이스(500)가 서로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700)과 베이스(500)를 결합하는 체결부재(900)는 로워프레임(600)과 접촉하지 않고 결합보스(513a, 513b)에 결합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체결부재(900)가 도전성 소재라고 하더라도 베이스(500)가 절연성 소재임에 따라, 제1처리장치(10)와 제2처리장치(20)간의 절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700)과 베이스(500)의 결합에 의해 의류처리장치(1)의 좌우 유동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의 운반자가 후방브라켓(300)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경우에 하중이 전방의 체결부분으로 집중될 수 있다. 예컨대, 운반자가 후방브라켓(300)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1)를 전방으로 기울인 상태로 드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 하중이 제2체결부(125c, 126c)에 집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베이스(500)에 결합보스(513a, 513b)를 형성하고 어퍼프레임(700)과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1)의 운반시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어퍼프레임(700)에는 제3체결부(715b)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체결부(715b)은 제2체결부(126c)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체결부(125c)에 대응되는 제3체결부(미도시)도 형성될 수 있다. 제3체결부(715b)는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900)는 제3체결부(715b)를 관통하여 제2체결부(126c)와 결합된다. 체결부재(900)에 의해 어퍼프레임(700)과 제2전방벤딩부(126a)가 서로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전방벤딩부(125a. 126a)에서 적어도 제2체결부(125c, 126c)에는 절연부재(130a, 130b)가 제공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700)은 절연부재(130b)를 통해 제2전방벤딩부(126b)과 결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어퍼프레임, 로워프레임이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정면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로워프레임(600)은 제2전면패널(122)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로워프레임(600)은 베이스(500)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다. 로워프레임(600)은 전면에서 바라볼 때 베이스(50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어퍼프레임(700)에는 제1처리장치(10)에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저장유닛이 관통하는 세제개구(7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10)는 세제를 이용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세탁기에 해당될 수 있고, 어퍼프레임(700)에는 세제저장유닛에 의해 관통되는 세제개구(720)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700)과 제2전방벤딩부(126a, 126b)은 체결부재(900)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된다. 어퍼프레임(700)과 제2전방벤딩부(126a, 126b)의 사이에는 절연부재(130a, 130b)가 제공된다. 어퍼프레임(700)과 제1전방벤딩부(115a, 116b)은 체결부재(900)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된다.
어퍼프레임(700)의 전면(710) 제1처리장치 대응면(711)과 제2처리장치 대응면(7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 대응면(711)을 이루는 영역은 제1처리장치(10)의 전면에 대부분이 위치되고, 제2처리장치 대응면(712)이 이루는 영역은 제2처리장치(20)의 전면에 대부분이 위치된다.
도 7은 도 6의 I-I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어퍼프레임(700)에는 제2가이드부(716)가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716)는 어퍼프레임(700)의 제1처리장치 대응면(71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716)는 제1가이드부(116b)와 결합된다. 제1가이드부(116b)는 제1전방벤딩부(115a)에 형성된 개구일 수 있다. 제2가이드부(716)는 제1가이드부(115b)에 의한 개구를 관통하여 제1가이드부(115b)에 걸쳐질 수 있다. 제1가이드부(116b)에 제2가이드부(716)가 걸쳐지면, 어퍼프레임(700)이 제1처리장치(10)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말로 체결부재(900)를 이용하지 않고도 어퍼프레임(700)은 제1처리장치(10)에 가조립될 수 있다.
기존에는 에프터서비스(after-sales service)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어퍼프레임(700)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제2처리장치(20)까지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어퍼프레임(700)과 제1처리장치(10)를 가조립하는 구조를 적용하면, 의류처리장치(1) 제조과정에서 조립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에프터서비스(after-sales service)를 위한 분해과정에서 불필요한 분해과정을 삭제할 수 있고,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17)

  1. 전방측에 제1전면패널이 마련되고, 측방향 양측에 각각 제1측면패널이 마련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이 구비되는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배치되고, 측방향 양측에 각각 제2측면패널이 마련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이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1전면패널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1측면패널 및 상기 제2측면패널과 체결되는 어퍼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측면패널에는 전방에서 내측방향으로 벤딩되는 제1전방벤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전방벤딩부에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는 둘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걸쳐짐으로써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전방측에 위치되는 제2전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전면패널과 상기 제2전면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와 연결되는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어퍼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컨트롤패널과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개구로 제공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개구에 걸쳐지는(hooked) 후크 형상으로 제공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일부분을 절곡 가공하여 형성된 것인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일부분을 절단 및 벤딩 가공하여 형성되며, 절단에 의한 가공개구가 형성된 것인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후크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후크가 걸쳐지는 개구로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2처리장치의 하부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베이스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는 결합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상기 결합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베이스체결홀이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상기 베이스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보스와 결합되어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전방측에 위치되는 제2전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전면패널과 상기 제2전면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와 연결되는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처리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컨트롤패널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전면의 일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로워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로워프레임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로워프레임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결합보스에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2처리장치의 하부 전면에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베이스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게 마련되는 로워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로워프레임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결합보스에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로워프레임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응축기, 증발기 및 압축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열교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공간과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유동부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상기 제1전방벤딩부와 체결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전방벤딩부와 체결되고,
    상기 제2측면패널은 전방에서 내측으로 벤딩되는 제2전방벤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상기 제2전방벤딩부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2전방벤딩부와 체결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방벤딩부와 상기 어퍼프레임의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더 제공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2처리장치의 하부 외형을 이루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는 결합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에는 상기 결합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베이스체결홀이 형성되며, 체결부재가 상기 베이스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보스와 결합되어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전방벤딩부보다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보스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전방벤딩부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73534A 2022-06-16 2022-06-16 의류처리장치 KR20230172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534A KR20230172853A (ko) 2022-06-16 2022-06-16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534A KR20230172853A (ko) 2022-06-16 2022-06-1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853A true KR20230172853A (ko) 2023-12-26

Family

ID=8932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534A KR20230172853A (ko) 2022-06-16 2022-06-1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8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3056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JP2023099193A (ja) 衣類処理装置
JP7254844B2 (ja) 衣類処理装置
US10508384B2 (en) Top of an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providing drying air recirculation and moisture condensation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EP2270276B1 (en)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JP2023076654A (ja) 衣類処理装置
KR20210112087A (ko) 의류처리장치
US10883220B2 (en) Laundry machine
KR20140121003A (ko) 의류건조기
KR102129793B1 (ko) 의류처리장치
EP2920351A1 (en) Machine adapted to carry out at least one laundry drying cycle
KR20080065755A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20230172853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60870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230172852A (ko) 의류처리장치
RU2512760C2 (ru) Электроприбор для сушки белья
KR10253687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40095740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JP7319313B2 (ja) 衣類処理装置
JP7258927B2 (ja) 衣類処理装置
KR20230063654A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20230020924A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