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924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924A
KR20230020924A KR1020220096219A KR20220096219A KR20230020924A KR 20230020924 A KR20230020924 A KR 20230020924A KR 1020220096219 A KR1020220096219 A KR 1020220096219A KR 20220096219 A KR20220096219 A KR 20220096219A KR 20230020924 A KR20230020924 A KR 20230020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upply unit
unit
cabinet
trea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안승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AU2022322499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22322499A1/en
Priority to PCT/KR2022/011412 priority patent/WO2023014058A1/ko
Publication of KR2023002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06F31/005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consisting of one or more rotating drums through which the laundry passes in a continuous flow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 상기 제1드럼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 상기 제1드럼 및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공급부의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유체가 순환되며, 상기 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유체순환부 및 상기 제1드럼과 상기 터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의 하단은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도록 위치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 및 제2드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의 세탁물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거나 건조시키는 등, 상기 세탁물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가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하도록 마련된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제 공급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세제란 섬유 세제, 섬유 유연제 및 섬유 표백제 등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세제는 가루(분말) 형태의 세제, 액체(액상) 형태의 세제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가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마련된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한 공기를 세탁물에 제공하여 상기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드럼 및 세탁물에 제공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건조하게 하는 가열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건조한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세탁물에 존재하는 수분이 상기 건조한 공기에 의해 증발되어 제거되고 세탁물의 물기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의류의 처리 과정을 모두 충족시키고, 각 처리 과정에 대한 수행 시간 단축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예컨대, 의류처리장치는 서로 분리된 복수의 드럼을 포함하고, 각각의 드럼에서 서로 독립적인 의류 처리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처리 과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관련문헌 EP 2949801 에는 프론트로더 타입의 메인 드럼 아래에 서랍형의 탑로더 타입 서브 드럼이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메인 드럼을 통해 의류의 제1처리과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서브 드럼을 통해 상기 제1처리과정과 독립된 제2처리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서브 드럼은 메인 드럼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소량의 의류를 처리할 수 있고, 공간적 한계에 의해 의류의 건조 과정과 같이 수행 가능한 처리 과정에 한계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에 복수의 드럼이 구비되되, 각각의 드럼이 모두 동등한 크기를 가지며 서로 대등한 관계에서 설계되어 서로 독립적인 의류 처리 과정을 수행하도록 연구되었다.
관련문헌 CN 102605586 에는 상측의 제1처리장치 및 하측의 제2처리장치가 프론트 로더 타입으로 설계된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자는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를 서로 독립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의류의 처리 과정을 동시에 복수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측의 제1처리장치가 의류의 건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기로 마련되고, 하측의 제2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자는 세탁 과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건조 과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처리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는 동시에 작동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가 상하 적층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제1처리장치의 하부에는 제1처리장치의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부가 구비되고, 제2처리장치의 상부에는 제2처리장치의 드럼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 및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등이 구비됨에 따라, 상측의 제1처리장치 전면에 형성되는 의류개구 또는 제1처리장치의 드럼이 지면으로부터 가지는 높이가 증가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상기 제1처리장치의 공기공급부의 위치를 제2처리장치의 반대측, 예컨대 제1처리장치의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2처리장치 또한 의류의 건조 기능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공기공급부와 제2처리장치의 드럼간 이격거리가 증가되어 제2처리장치의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제2처리장치의 건조 기능을 구현하는 데에 불리하다.
즉,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의 적층 형태에서 제1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의류의 투입을 위해 접근하게 되는 의류개구 또는 드럼개구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 사용자의 접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의류처리장치의 전체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 설치공간의 제약이 발생될 수 있고, 사용과정에서 제1처리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에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가 상하 적층 형태로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측의 제1처리장치에 형성되는 의류개구 또는 드럼개구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사용자의 접근성을 편리하게 향상시키고, 제1처리장치는 물론 제2처리장치 또한 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적으로 구조를 개발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하 적층 관계에 있는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를 통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측의 제1처리장치의 드럼 높이를 효과적으로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체 높이가 효율적으로 감소되어 설치공간의 제약이 줄어들고 수리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드럼 및 제2드럼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측의 제1처리장치의 제1드럼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가 하측의 제2처리장치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배치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가 제2처리장치에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구비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가 하나의 공기공급부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아 의류의 건조 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측의 제1처리장치 및 하측의 제2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제1처리장치는 제1드럼에 수용되는 의류의 건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제2처리장치는 제2드럼에 수용되는 의류의 세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처리장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공급부가 설치되기 위한 베이스부는 적어도 일부가 제2처리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세제공급부와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압축기의 하단은 세제공급부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의 하단은 세제공급부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는 제2처리장치의 상부에 배치되기 위해, 세제공급부와 마주보는 부분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세제공급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 상기 제1드럼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 상기 제1드럼 및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공급부의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유체가 순환되며, 상기 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유체순환부 및 상기 제1드럼과 상기 터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의 하단은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축기의 하단이 세제공급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베이스부의 위치가 설정됨으로써 제1처리장치의 높이, 즉 제1드럼의 높이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가 장착되는 압축기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장착부는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상기 압축기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확장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지지부는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순환부는 상기 유체와 상기 공기공급부의 공기간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은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하단은 상기 세제공급부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외부급수원과 연결되고, 상기 터브 또는 상기 세제공급부로 제공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베이스부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와 연결되고 물이 유동하는 급수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호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부는 지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는 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가 장착되는 압축기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장착부는 상기 세제공급부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유체가 유동하며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가 결합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세제공급부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가 장착되는 압축기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장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최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드럼과 연결되어 상기 제1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1드럼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리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리어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은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캐비닛 및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을 포함하는 제1처리장치와, 상기 제1캐비닛 아래에 배치되는 제2캐비닛 및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을 포함하는 제2처리장치 및 상기 제1드럼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1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은 상기 제1드럼의 측방향에 배치되는 제1사이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제1사이드패널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2드럼의 측방향에 배치되는 제2사이드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사이드패널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2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베이스부가 설치된 상기 제2처리장치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은 상기 제1드럼의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리어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제1드럼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2드럼이 설치되며 물이 수용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와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제2캐비닛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보다 위에 위치되며,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2드럼이 설치되며 물이 수용되는 터브 및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급수원과 연결되어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베이스부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공기공급부의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부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유체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사이드패널의 상단보다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압축기장착부가 제2드럼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장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최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은 상기 제1드럼보다 앞에 위치되는 제1프론트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제1프론트패널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2드럼보다 앞에 위치되는 제2프론트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론트패널 및 상기 제2프론트패널 사이에는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와 신호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단은 상기 제2사이드패널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의 상단은 상기 제1사이드패널의 하단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론트패널의 하단은 상기 제1사이드패널의 하단보다 위에 위치되고, 상기 제2프론트패널의 상단은 상기 제2사이드패널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캐비닛 및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을 포함하는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캐비닛 아래에 배치되는 제2캐비닛 및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을 포함하는 제2처리장치 및 상기 제1처리장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2처리장치 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공급부와 상기 제1드럼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제1드럼 내부와 연통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장치는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결합부를 향해 개방되는 개방면을 둘러싸는 연결실러 및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일부가 삽입 및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실러의 일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실러는 상기 개방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에 위치되는 제1부분이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제2부분보다 더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방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개방면보다 위에 위치되어 상기 제1결합부를 상기 제1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연결면 및 상기 개방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개방면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제1결합부를 상기 제1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연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실러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연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2연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제1드럼 및 상기 제2드럼과 연통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드럼 내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통시키는 제1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드럼 내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통시키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연결부간 공기 유동을 택일적으로 허용하는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제1회전위치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고, 제2회전위치에서 상기 제2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하 적층 관계에 있는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를 통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측의 제1처리장치의 드럼 높이를 효과적으로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체 높이가 효율적으로 감소되어 설치공간의 제약이 줄어들고 수리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드럼 및 제2드럼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측의 제1처리장치의 제1드럼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가 하측의 제2처리장치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배치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가 제2처리장치에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구비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가 하나의 공기공급부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아 의류의 건조 기능이 구현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전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후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처리장치의 제1구동부와 제1드럼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가 제2처리장치 위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처리장치가 제2처리장치에 대해 슬라이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의류처리장치에 컨트롤패널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패널과 제2사이드패널 상단의 높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드럼 및 제2드럼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의 공기공급부와 제1드럼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드럼 및 제2드럼에 함께 연결된 베이스부의 공기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공기공급부에 의한 공기의 순환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처리장치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처리장치에 구비되어 공기공급부와 연결되는 제1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 하단과 세제공급부의 높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의 압축기장착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열교환기 하단과 세제공급부의 높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드럼 및 제2드럼과 연결된 공기공급부의 유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공급부의 유입부가 제1결합부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공급부의 유입부와 결합되는 제1처리장치의 제1유입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공급부의 유입부에 형성되는 개방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공급부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연결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처리장치 위에 제1처리장치가 안착되어 공기공급부의 연결부에 제1처리장치의 제1유입결합부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의 제1유입결합부가 슬라이딩되어 공기공급부의 유입부와 제1유입결합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기공급부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유입결합부 및 제2유입결합부와 결합된 유입부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공급부의 유입부에 구비되는 제1선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드럼 내부와 공기공급부가 연통된 상태의 유입부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드럼 내부와 공기공급부가 연통된 상태의 유입부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유출결합부 및 제2유출결합부와 결합된 공기공급부의 유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에 마련되어 공기공급부의 유출부와 결합되는 제1유출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기공급부의 유출부에 형성되는 개방면 및 제2유출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공급부의 유출부에 구비되는 유출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가 제2처리장치 위에 안착되어 공기공급부의 유출부 위에 제1처리장치의 제1유출결합부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는 도 38의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유출결합부가 슬라이딩되어 공기공급부의 유출부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공급부의 유출부와 제1유출결합부 및 제2유출결합부에 의한 공기 유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유출결합부에 마련되는 제2선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공급부의 유출부와 제1드럼 내부가 연통된 상태의 제2선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공급부의 유출부와 제2드럼 내부가 연통된 상태의 제2선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캐비닛 내부에는 의류를 수용하기 위한 드럼이 구비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는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와 제2처리장치(3)는 드럼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2)는 제1드럼(30)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처리장치(3)는 제2드럼(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와 제2처리장치(3)는 하나의 캐비닛을 공유하도록 마련되거나,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다른 캐비닛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2)는 제1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처리장치(3)는 제2캐비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은 내부에 드럼 및 기타 구성이 구비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은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패널,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패널, 측방에 배치되는 사이드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는 제2처리장치(3)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사이드패널을 공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이드패널의 상부가 제1드럼(30)의 측방향에 위치되고 사이드패널의 하부가 제2드럼(40)의 측방향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과 같이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가 각각 제1캐비닛(10) 및 제2캐비닛(20)을 포함하는 경우, 제1캐비닛(10)은 제1프론트패널(11), 제1리어패널(13) 및 제1사이드패널(1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캐비닛(20)은 제2프론트패널(21), 제2리어패널(23) 및 제2사이드패널(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프론트패널(11)은 제2프론트패널(21)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제1리어패널(13)은 제2리어패널(23)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사이드패널(12)은 제2사이드패널(22)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론트 로더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캐비닛(10) 및 제2캐비닛(20)은 각각 제1프론트패널(11) 및 제2프론트패널(21)에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의류개구 및 제2의류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의류개구는 제2의류개구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제1처리장치(2)는 제1의류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제1의류도어(18)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처리장치(3)는 제2의류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제2의류도어(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의류도어(18) 및 제2의류도어(28)는 각각 제1프론트패널(11) 또는 제2프론트패널(2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의류도어(18) 및 제2의류도어(28)는 제1프론트패널(11) 또는 제2프론트패널(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 위치에 따라 제1의류개구 또는 제2의류개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트롤패널(5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은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각각에 마련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단일개로 마련되어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에 함께 연결될 수도 있다.
컨트롤패널(50)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패널(50)은 복수로 마련되어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각각의 상부에 위치되거나, 제1프론트패널(11)의 하부 및 제2프론트패널(21)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패널(50)은 단일개로 구비되어 제1프론트패널(11)과 제2프론트패널(21)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처리장치(2)는 제1프론트패널(11)을 포함할 수 있고, 제1프론트패널(11)에는 전술한 제1의류개구 및 제1의류도어(18)가 위치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3)는 제2프론트패널(21)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프론트패널(21)에는 전술한 제2의류개구 및 제2의류도어(28) 위치될 수 있다. 제1프론트패널(11)은 제2프론트패널(21)의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프론트패널(11) 및 제2프론트패널(21)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은 제1프론트패널(11)과 제2프론트패널(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은 제1처리장치(2)의 하부 전방에 위치되거나, 제2처리장치(3)의 상부 전방에 위치되거나,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의 전방에 함께 위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처리장치(2)는 제1드럼(3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드럼(30)은 제1의류개구를 향하는 제1드럼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드럼(30)의 내부에는 제1의류개구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3)는 제2드럼(40)을 포함할 수 있고, 제2드럼(40)은 제2의류개구를 향하는 제2드럼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드럼(40)의 내부에는 제2의류개구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3)는 터브(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드럼(40)은 터브(45)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터브(45)는 제2의류개구를 향하는 터브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의류개구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는 터브개구 및 제2드럼개구를 지나 제2드럼(4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터브(45)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처리장치(3)는 터브(45)에 물이 수용되고 제2드럼(40) 내부에 수용된 의류의 세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처리장치(3)는 의류의 세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는 서로 독립된 의류의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켜 의류의 처리 과정을 수행하거나,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를 동시에 작동시켜 각각의 의류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2)는 의류의 건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기로서 구비될 수 있고, 제2처리장치(3)는 의류의 세탁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옷의 건조가 필요한 경우 제1처리장치(2)를 이용할 수 있고, 옷의 세탁이 필요한 경우 제2처리장치(3)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제1그룹의 옷을 건조함과 동시에 제2그룹의 옷을 세탁하는 경우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를 동시에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의 기능이 반드시 위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가 각각 세탁기에 해당하거나 건조기에 해당할 수도 있다. 제1처리장치(2)가 세탁기에 해당하고 제2처리장치(3)가 건조기에 해당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제1드럼(30)은 제1구동부(15)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1구동부(15)는 제1드럼(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제1리어패널(13)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드럼(40)은 제2구동부(25)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2구동부(25)는 제2드럼(4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제2리어패널(23) 또는 터브(45)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제1처리장치(2)의 제1리어패널(13) 및 제2처리장치(3)의 제2리어패널(23)이 서로 분리된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리어패널(13) 및 상기 제2리어패널(23)은 하나의 패널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와 같이 제1캐비닛(10) 및 제2캐비닛(20)이 서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제1처리장치(2)는 제조과정 또는 사용 전 설치과정에서 제2처리장치(3) 위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가 제2처리장치(3)상에 설치되는 과정은 후술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제1드럼(30)은 제2드럼(40) 및 터브(45)보다 위에 설치될 수 있고, 제2처리장치(3)가 세탁기로서 구비되는 경우 제2드럼(40) 및 터브(45)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전단이 후단보다 위에 위치되도록 중심축이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제1드럼(30)과 제2드럼(40) 사이에는 제1처리장치(2)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설치되는 베이스부(100)가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2)는 의류의 건조 과정을 수행하는 건조기로서 구비될 수 있고, 베이스부(100)에는 제1드럼(3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2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의 건조 및 가열을 위한 온도조절부(30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드럼(30) 및 제1구동부(15)가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1구동부(15)는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드럼(30)과 연결되어 상기 제1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구동부(15)가 베이스부(100)에 위치되지 않고 이격됨에 따라, 베이스부(100)에 타 구성이 배치되거나 여유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나아가, 제1구동부(15)는 제1드럼(30)의 후방에 위치되어 제1리어패널(13)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리어패널(13)은 상기 제1드럼(3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1드럼(30)을 외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고, 상기 제1구동부(15)는 상기 제1리어패널(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구동부(15)는 제1리어패널(13)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제1리어패널(1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는 제1구동부(15)가 제1리어패널(13)의 후방에서 상기 제1리어패널(13)에 결합되고, 제1리어패널(13)의 후방에 리어커버가 배치되어 제1구동부(15)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제1구동부(15)는 제1리어패널(13)에 결합되어 상기 제1리어패널(13)을 관통하여 제1드럼(3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구동부(15)는 제1드럼(30)의 후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구동부(15)의 구동축은 제1드럼(30)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구동부(15)의 회전력이 제1드럼(30)의 회전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여 제1드럼(30)의 회전력을 제공하거나 회전을 제어함에 유리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2)와 제2처리장치(3)가 서로 분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베이스부(100)는 제2처리장치(3)에 결합되어 제1처리장치(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과정 또는 사용 전 설치과정에서 제2처리장치(3)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가 제2처리장치(3)와 분리된 경우, 제1처리장치(2)의 베이스부(100)는 제2처리장치(3)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처리장치(3)상에 결합되는 제1처리장치(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처리장치(2)는 상기 베이스부(100)가 설치된 상기 제2처리장치(3)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부(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공급부(200)와 온도조절부(300)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온도조절부(300)는 유체가 순환하는 유체 순환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유체 순환 시스템은 유체의 압축 및 순환을 위한 압축기(3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제1처리장치(2)가 제2처리장치(3)상에 결합됨에 따라 제1드럼(30)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는 도 7의 제1처리장치(2)가 제2처리장치(3) 위에 안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제1처리장치(2)는 제2처리장치(3)상에 안착된 이후 슬라이딩 과정을 통해 결합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처리장치(2)가 제2처리장치(3)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제1처리장치(2)는 지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결합 정위치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8에는 제1처리장치(2)가 결합 정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2)는 제2처리장치(3)의 위에 얹혀진 이후,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는 도 8의 제1처리장치(2)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결합 정위치에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결합 정위치에서 제1처리장치(2)의 제1캐비닛(10)은 제2처리장치(3)의 제2캐비닛(20)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2)가 결합 정위치를 향해 전방으로 슬라이딩 완료된 이후, 제1프론트패널(11)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제2프론트패널(21)의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제1사이드패널(12)은 제2사이드패널(22)의 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1리어패널(13)은 제2리어패널(23)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0에는 도 9의 의류처리장치(1)에 컨트롤패널(50)이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1처리장치(2)가 제2처리장치(3)상에서 결합 정위치로 슬라이딩된 이후, 컨트롤패널(50)이 제1프론트패널(11) 및 제2프론트패널(21) 사이에 결합되어 의류처리장치(1)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은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에 각각 구비되는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와 연결되거나, 제1구동부(15) 및 제2구동부(25) 등과 같은 전력소비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패널(50)은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의 상태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컨트롤패널(50)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를 조작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에서 컨트롤패널(50)과 제1사이드패널(12) 및 제2사이드패널(22)간 높이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제1프론트패널(11) 및 상기 제2프론트패널(21) 사이에는 상기 제1처리장치(2) 및 상기 제2처리장치(3)와 신호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패널(50)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은 사용자가 손으로 접근하기에 용이하도록 제1프론트패널(11) 및 제2프론트패널(21)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컨트롤패널(50)의 하단은 제1사이드패널(12)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의 하단은 제2사이드패널(22)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처리장치(2)와 제2처리장치(3)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적층된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제1처리장치(2)의 높이가 제2처리장치(3)에 의해 증가된다.
다만, 제1처리장치(2)의 높이가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면 컨트롤패널(50)의 위치 또는 제1드럼(30)의 높이가 지나치게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처리장치(2)를 제2처리장치(3) 위에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제1처리장치(2)의 높이, 예컨대 제1드럼(30)의 높이 또는 컨트롤패널(5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사용 편의성를 향상시키고 설치 공간의 제약을 줄이는 데에 중요하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를 조작하기 위해 접근해야 하는 컨트롤패널(50)의 높이를 적절히 낮추기 위해, 컨트롤패널(50)의 하단이 제2사이드패널(22)의 하단보다 낮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컨트롤패널(50)의 상단은 제1처리장치(2)의 전면상에 위치되고, 컨트롤패널(50)의 하단은 제2처리장치(3)의 전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이 전체로서 제1처리장치(2) 또는 제2처리장치(3)의 전면 일부를 구성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패널(50)은 제1처리장치(2)의 슬라이딩 과정이 종료된 이후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의 상단은 제1사이드패널(12)의 하단 및 제2사이드패널(22)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패널(50)의 설치 위치 확보를 위해, 제1프론트패널(11) 및 제2프론트패널(21)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프론트패널(11)의 하단은 제1사이드패널(12)의 하단보다 위에 위치되고 제2프론트패널(21)의 상단은 제2사이드패널(22)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됨으로써, 의류처리장치(1)의 전면상 대략 중앙 부분이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중앙 부분에 컨트롤패널(50)이 배치됨으로써, 제1프론트패널(11), 제2프론트패널(21) 및 컨트롤패널(50)이 함께 의류처리장치(1)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처리장치(3)에 설치된 베이스부(100) 위에 위치된 제1처리장치(2)와 베이스부(100)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베이스부(100)는 반드시 제2처리장치(3)에 결합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1처리장치(2)의 하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100)는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0)는 제2처리장치(3)의 터브(45)보다 위에 위치되고 제1드럼(30)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공기공급부(200)는 제1처리장치(2)의 제1결합부(260)와 결합되어 제1드럼(30)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제1캐비닛(10)은 하면에 개방될 수 있고, 제2캐비닛(20)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즉, 제1캐비닛(10)과 제2캐비닛(20)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제1캐비닛(10)의 개방된 하면 및 제2캐비닛(20)의 개방된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0)의 일부는 제2캐비닛(20)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100)의 나머지는 제1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부(100)는 제2캐비닛(20)의 개방된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공기공급부(200)는 제1드럼(30)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제1드럼(30) 내부로 의류의 건조를 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제2캐비닛(2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제1캐비닛(10) 내부에서 베이스부(10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제2캐비닛(2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베이스부(100)의 높이가 낮춰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드럼(30)의 높이 또한 낮춰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드럼개구 및 제1의류개구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어 사용자의 접근성, 즉 사용자가 제1의류개구를 통해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접근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13에는 베이스부(100)의 공기공급부(200)와 제1드럼(30)의 내부가 연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부(100)의 공기공급부(200)는 제1드럼(30)의 내부와 연통되기 위한 연결부(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처리장치(2)는 베이스부(100)의 공기공급부(200)와 연결되기 위한 제1결합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가 제2처리장치(3) 위에 설치됨에 따라 제1결합부(260)는 공기공급부(200)의 연결부(210)와 결합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200)의 연결부(210)는 유입부(220) 및 유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220)는 제1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유출부(230)는 제1드럼(30)으로 공급되기 위한 공기가 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는 제1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1유입결합부(261)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드럼(30)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1유출결합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에서 제1드럼(30)의 일측은 내부패널(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1드럼(30)의 타측은 제1리어패널(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드럼(30)의 전단부는 내부패널(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1드럼(30)의 후단부는 제1리어패널(13) 또는 제1구동부(15)와의 결합 관계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내부패널(60)은 제1프론트패널(1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프론트패널(11) 및 내부패널(60)에는 제1의류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내부패널(60)은 제1드럼(30)의 전단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패널(60)은 제1드럼(30)의 전단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1유입결합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내부패널(60)에 구비되는 제1유입결합부(261)를 통해 공기공급부(200)의 유입부(220)로 유동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의 제1유출결합부(262)는 제1드럼(30) 또는 제1리어패널(13)과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할 내용과 같이, 공기공급부(200)의 유출부(23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는 제1유출결합부(262)를 따라 유동되어 제1리어패널(13)에 마련되는 공기유로(80)를 따라 유동되며, 상기 공기유로(80)의 공기는 제1드럼(30)의 후면을 통해 제1드럼(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된 공기공급부(2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2)는 물론 제2처리장치(3) 또한 의류의 건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2)는 의류의 건조 과정을 위한 건조기에 해당할 수 있고, 제2처리장치(3)는 의류의 세탁 과정과 더불어 건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건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제2처리장치(3)의 건조 과정 수행을 위해 공기공급부(200)는 제2드럼(40) 또는 터브(45)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으며, 터브(45)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는 공기공급부(200)의 연결부(210)와 연결되는 제2결합부(270)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부(100)의 공기공급부(200)는 위로 제1드럼(30) 내부와 연결될 수 있고, 아래로 제2드럼(40)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0)의 공기공급부(200)는 터브(45)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의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공기가 유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공기의 건조 및 가열이 이루어지며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공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공급부(20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220)와,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공급부(200)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가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경로에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기와, 제1드럼(30) 또는 제2드럼(40)으로 제공되기 위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100)는 온도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300)는 유체가 순환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온도조절부(300)의 유체는 압축기(310)에 의해 압축 및 유동되는 냉매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300), 즉 유체순환부에서 유체는 압축기(310), 응축기 및 증발기를 차례대로 순환할 수 있으며, 응축기는 유체의 열이 주변으로 방출되고, 증발기는 유체가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증발기는 공기공급부(200)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상에 위치되어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흡열기(322)에 해당하고, 온도가 낮아지는 공기로부터 수증기가 응결되어 제거되는 제습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응축기는 공기공급부(200)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상에 위치되어 공기중으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기(324)에 해당하고, 온도가 증가된 공기가 고온 건조해지는 가열기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도조절부(300)에 해당하는 유체순환부의 흡열기(322) 및 발열기(324)가 함께 공기공급부(200)에 배치됨으로써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드럼(30) 또는 제2드럼(4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공기공급부(200)를 유동하며 상기 흡열기(322)에 의해 냉각되면서 수증기가 응결 및 제거되어 제습될 수 있고, 이후 발열기(324)에 의해 가열되면서 고온 건조해질 수 있다.
한편, 공기공급부(200)의 유출부(230)를 통해 유출되는 공기는 제1처리장치(2)의 제1유출결합부(262) 및 제2유출결합부(272)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유동하여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 중 적어도 하나에 유입될 수 있다.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은 각각의 후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을 통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 내부로 제공되는 공기는 유체순환부의 흡열기(322) 및 발열기(324)를 통해 고온 건조해진 상태이며, 따라서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 내부에 수용된 의류는 상기 공기와의 접촉을 통해 수분이 증발 및 제거될 수 있다.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 내부에서 수분이 증가된 공기는 제1드럼개구 또는 제2드럼개구를 통해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제1유입결합부(261)를 통해 공기공급부(200)의 유입부(220)로 유동될 수 있으며, 제2드럼(4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제2유입결합부(271)를 통해 공기공급부(200)의 유입부(220)로 유동될 수 있다.
유입부(220)를 통해 공기공급부(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시 유체순환부의 흡열기(322) 및 발열기(324)를 경유하며 고온 건조해질 수 있고, 이러한 공기가 다시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 과정을 겪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처리장치(2)를 기준으로, 유출부(2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제1처리장치(2)의 덕트부(7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70)는 제1처리장치(2)의 제1유출결합부(262)에 해당할 수 있다.
덕트부(70)는 유출부(230)와 제1리어패널(13)의 공기유로(8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덕트부(70)를 경유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80)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제1리어패널(13)은 제1구동부(15)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공기유로(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80)는 드럼의 후면을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드럼(30)의 후면에서 상기 공기유로(80)를 마주하는 부분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부(70)를 통해 유입되어 공기유로(8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전방으로 유출될 수 있고, 공기유로(8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는 제1드럼(30) 후면의 개구를 통해 제1드럼(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드럼(30) 내부의 공기는 제1드럼개구를 통해 제1드럼(3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제1드럼(3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내부패널(60)에 구비되는 제1유입결합부(261)를 통해 유동되어 공기공급부(200)의 유입부(22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제2처리장치(3)를 기준으로, 유출부(2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제2처리장치(3)의 제2유출결합부(27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3)는 터브(45)와 연통되는 터브유로(7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유출결합부(272)는 상기 터브유로(75)에 해당하거나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터브유로(75)와 유출부(2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처리장치(3)는 유출부(230)의 팬하우징(237)에 결합되는 유출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출프레임(24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유출결합부(272)에 해당할 수 있다. 터브유로(75)는 상기 제2유출결합부(272)에 결합될 수 있다.
유출부(23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2유출결합부(272) 및 터브유로(75)를 따라 유동되는 터브(4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드럼(40)의 내부는 터브(45) 내부와 연통 관계를 가지므로, 유출부(230)에서 제공되는 고온 건조한 공기는 제2드럼(40) 내부로 제공되어 의류의 건조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터브(45) 내부의 공기는 터브개구를 통해 터브(45)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터브개구를 둘러싸는 터브가스켓(65) 및 제2유입결합부(271)를 따라 공기가 유동되어 공기공급부(200)의 유입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유입결합부(271)는 상기 터브가스켓(65)의 일부에 해당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터브가스켓(65)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처리장치(2)의 상부측에 위치된 베이스부(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고하여 베이스부(100)의 배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제1처리장치(2)와 제2처리장치(3)를 포함하고, 제1처리장치(2)는 제1캐비닛(10) 및 상기 제1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30)을 포함하며, 제2처리장치(3)는 상기 제1캐비닛(10) 아래에 배치되는 제2캐비닛(20) 및 상기 제2캐비닛(20)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4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상기 제1드럼(30)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1드럼(3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과 베이스부(100)간의 거리가 효율적으로 최소화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100)의 공기공급부(200)로부터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으로 공기가 전달되는 경로가 효과적으로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10)은 상기 제1드럼(30)의 측방향에 배치되는 제1사이드패널(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20)은 상기 제1사이드패널(12)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2드럼(40)의 측방향에 배치되는 제2사이드패널(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사이드패널(22)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0)의 하단은 제2사이드패널(22)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제2캐비닛(20)에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캐비닛(2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베이스부(100)가 제1캐비닛(10)에 결합 및 고정되고, 베이스부(100)의 하단이 제2사이드패널(22)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구조 또한 가능하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제2캐비닛(20)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제2사이드패널(22)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제2캐비닛(20)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나머지는 제2사이드패널(22)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되어 제1캐비닛(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베이스부(100)가 전체로서 제2캐비닛(20) 내부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드럼(30)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20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00)는 적어도 일부가 제2캐비닛(20)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드럼(30)과 지면간 거리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어 제1의류개구 또는 제1드럼개구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0)의 하단이 제2사이드패널(22)의 상단보다 아래 위치되면, 베이스부(100)는 결국 제2캐비닛(20)의 상부에서 제2사이드패널(22) 등에 의해 지면과 나란한 방향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캐비닛(20)에 대한 베이스부(100)의 구조적 안정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제2처리장치(3)의 이동, 설치 등의 취급 과정에서 베이스부(100)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도 17에는 제1처리장치(2)에서 베이스부(100)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260)가 도시되어 있다. 제1결합부(260)는 제1유입결합부(261) 및 제1유출결합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입결합부(261)는 제1드럼(30)의 제1드럼개구와 연통되어 공기공급부(200)의 연결부(210) 중 유입부(22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유출결합부(262)는 제1드럼(30)의 후면과 연통되어 공기공급부(200)의 연결부(210) 중 유출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는 제1결합부(260)와 공기공급부(200)의 연결부(210)가 결합됨으로써 제1드럼(30) 내부와 공기공급부(200)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제2캐비닛(20)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8에는 베이스부(100)와 세제공급부(400)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처리장치(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기로서 구비될 수 있고, 따라서 제2처리장치(3)는 터브(45) 및 세제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부(400)는 사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터브(45)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세제를 저장하기 위한 세제저장부가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400)는 컨트롤패널(5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고 지나치게 손을 높게 들지 않아도 세제공급부(400)를 취급할 수 있도록, 의류처리장치(1)의 전면을 기준으로 세제공급부(400)는 제1의류도어(18)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제2의류도어(28)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터브(45)는 상기 제2캐비닛(20)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2드럼(40)이 설치되며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400)는 상기 터브(45)와 연결되어 상기 터브(45) 내부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세제공급부(400)는 물과 함께 세제를 터브(45)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세제공급부(400)는 물과 세제의 자중이 터브(45)로의 유동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터브(45)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00) 및 상기 세제공급부(400)는 상기 제2캐비닛(20)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45)보다 위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부(100)의 적어도 일부는 지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400)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세제공급부(400)와 지면에 대해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베이스부(100)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세제공급부(400)와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부(100)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400)와 중첩되는 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드럼(30)의 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베이스부(100)의 높이가 낮아져 베이스부(100)의 하단이 제2캐비닛(20)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베이스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세제공급부(400)와 지면에 대해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00)는 세제공급부(40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베이스부(100)의 개방영역(110)에 세제공급부(400)가 배치됨으로써, 베이스부(100)와 세제공급부(400)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드럼(30)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15)가 베이스부(100)에 결합되지 않고 베이스부(100)와 이격됨으로써, 베이스부(100)에 개방영역(110)을 형성할 수 있는 여유면적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개방영역(110)에 세제공급부(400)가 배치됨으로써 베이스부(100)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처리장치(2)가 건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드럼(3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200)가 구비될 수 있고, 공기공급부(200)의 공기를 가열하거나 제습하기 위한 온도조절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부(200) 및 온도조절부(300)의 자체 하중을 고려하여, 제1캐비닛(10) 또는 제2캐비닛(2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200) 및 온도조절부(300)의 구성 중 일부는 베이스부(100) 외의 대상, 예컨대 제1캐비닛(10) 또는 제2캐비닛(2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프레임 등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공기공급부(200)의 유출팬(235)이나 온도조절부(300)의 압축기(310), 열교환기(320) 등의 하중을 고려할 때, 상기 공기공급부(200) 및 온도조절부(300)의 각 구성들이 안정적으로 배치되기 위해 베이스부(100)와 같은 별도의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0)는 의류처리장치(1)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공급부(200) 또는 온도조절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부(100)를 통해 상기 공기공급부(200)와 온도조절부(3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공기공급부(200) 등이 설치되는 베이스부(100)는 제1처리장치(2)에서 의류의 건조 코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1드럼(30)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유리하다.
다만, 베이스부(100)가 제1드럼(30)보다 위에 설치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처리장치(3)가 건조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공기공급부(200)와 연결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공기공급부(200)와 제2드럼(40)간의 거리가 지나치게 증가되어 불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비교적 하중이 높은 베이스부(100)가 의류처리장치(1)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구조적인 안정성 측면에서도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100)가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간의 거리가 효율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1)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공급부(400)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과 물/세제의 낙하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세제공급부(400) 및 베이스부(100)는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 사이의 공간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세제공급부(400)와 베이스부(100)가 상하로 배치되면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 사이의 공간이 차지하는 높이가 증가되므로 제1드럼(30)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데에 불리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100)에 개방영역(11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100)에서 세제공급부(400)를 지면과 수직하게 마주보는 부분을 제거하여 베이스부(100)와 세제공급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더라도 상호간의 구조적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방영역(110)은 세제공급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으며, 개방영역(110)은 세제공급부(400)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제공급부(400)가 상기 개방영역(110)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가 베이스부(100)로부터 제거되고 제1리어패널(13) 등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부(100)에서 상기 개방영역(110)을 형성하기 위한 여유면적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공기공급부(200) 및 온도조절부(300) 등의 설치영역을 제공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부(200) 및 상기 온도조절부(300) 등의 각 구성들이 모두 베이스부(100)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베이스부(100)에서 압축기(310) 또는 열교환기(320) 등이 제거되고 해당 부분이 추가적으로 개방영역(1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압축기(310) 또는 열교환기(320) 등 베이스부(100)와 이격 및 분리된 구성들은 제1캐비닛(10), 제2캐비닛(20), 터브 등 다양한 구성에 결합 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가 생략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베이스부(100)가 제거되더라도 공기공급부(200) 및 온도조절부(300)는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과의 연결 효율성을 고려하여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드럼(40)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공기공급부(200) 및 온도조절부(300)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는 제2캐비닛(2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공급부(200)는 제2처리장치(3)의 터브(45)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200)에서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유로부가 제2처리장치(3)의 터브(45)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드럼(30)의 제1결합부(260)는 제2캐비닛(20) 내부에 배치된 공기공급부(200)에 결합되어 제1드럼(30)의 내부와 공기공급부(200)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온도조절부(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로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온도조절부(300)는 열교환기(320)를 포함할 수 있고, 열교환기(320)는 상기 유로부 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습 또는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세제공급부(400)는 터브(45)의 위에서 측방향 일측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유로부는 터브(45)의 위에서 측방향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세제공급부(400)와 구조적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온도조절부(300)의 압축기(310)는 그 길이방향이 지면에 수직하거나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터브(45)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제2캐비닛(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압축기(310)가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 공기공급부(200) 및 온도조절부(300)는 전체로서 제2캐비닛(2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압축기(310)가 제2캐비닛(20)에 결합되는 경우, 압축기(310)는 제2캐비닛(20)의 강성 보강을 위한 프레임에 결합 및 고정되거나, 압축기(310)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지지부재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고 압축기(310)가 상기 지지부재에 안착 및 결합될 수 있다. 압축기(310)는 세제공급부(400)의 후방이나 유로부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처리장치(3)는 의류의 세탁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는 외부급수원과 연결되고 상기 터브(45) 또는 상기 세제공급부(400)로 제공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급수밸브(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450)는 상기 베이스부(100)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급수밸브(450)가 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제공급부(400)와 연결되고 물이 유동하는 급수호스(4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급수호스(460)의 적어도 일부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제1드럼(30)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200)를 포함하는 베이스부(100)의 위에 급수밸브(450) 및 급수호스(460)가 배치될 수 있다. 급수호스(460)는 급수밸브(450)와 세제공급부(400)를 연결하며 외부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세제공급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처리장치(3)의 급수밸브(450) 및 급수호스(460)가 베이스부(100)와 위에 배치됨으로써 베이스부(100)와 제2드럼(40)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베이스부(100)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전술한 온도조절부(300)를 구성하는 압축기(310), 흡열기(322) 및 발열기(324)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상기 공기공급부(200)의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고, 온도조절부(300)는 유체가 압축기(310), 발열기(324) 및 흡열기(322)를 순환하며 유동하는 유체순환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유체순환부는 상기 발열기(324) 및 흡열기(322)를 포함하는 열교환기(3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열교환기(320)는 공기공급부(20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습이나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온도조절부(300)에서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유체를 순환시키는 압축기(31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사이드패널(22)의 상단보다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압축기(310)의 상단부는 제2캐비닛(20) 내부에 위로 돌출되어 제1캐비닛(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다라서는 압축기(310) 전체가 제2캐비닛(20) 내부에 위치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한편, 도 1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에 장착되는 압축기(310)와 세제공급부(4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온도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고, 온도조절부(30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공급부(200)의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유체가 순환되며, 상기 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310)를 포함하는 유체순환부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310)의 하단(312)은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400)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압축기(310)의 하단(312)은 세제공급부(400)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에 장착되는 다양한 구성 중 압축기(310)는 압축 효율 등을 고려하여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0)에서 압축기(310)는 상하방향으로 가장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100)에서 압축기(310)를 상단이 가지는 높이를 낮추는 것은 제1드럼(30)의 높이를 낮추는 데에 중요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축기(310)의 하단(312)이 세제공급부(400)와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압축기(310)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제1드럼(30)의 높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310)의 하단(312)은 세제공급부(400)의 하단보다 낮게 위치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310)는 세제공급부(4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310)의 하단(312)은 상기 세제공급부(4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압축기(310)가 장착되는 압축기장착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기장착부(120)는 상기 세제공급부(4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축기(310)의 상단 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압축기(310)가 장착되는 베이스부(100)의 압축기장착부(12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장착부(120)는 베이스부(100)에서 제2드럼(40)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장착부(120)는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400)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압축기장착부(120)의 하단은 세제공급부(400)와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세제공급부(400)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압축기장착부(120)는 세제공급부(4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터브(45)는 물의 누수 방지를 위해 전단보다 후단이 더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압축기(310) 및 압축기장착부(120)의 위치는 터브(45)의 후단부의 위에 해당할 수 있고, 터브(45)의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아래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압축기장착부(120)의 함몰 깊이를 더 깊게 하기에 용이하며, 압축기(120) 하단의 위치를 낮추는데에 유리할 수 있다.
도 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0)의 압축기장착부(120)를 후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는 공기공급부(200)의 유출부(230)가 도시되어 있고, 유출부(23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유출팬(235)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유출부(230)는 제1처리장치(2)의 제1드럼(30)과 연통되는 제1유출결합부(262)과 결합될 수 있고, 제2처리장치(3)의 터브(45)와 연통되는 제2유출결합부(272)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장착부(120)는 베이스부(100)의 나머지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압축기(310)의 상단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한편,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압축기장착부(12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최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0에는 압축기(310)의 하단(312) 및 압축기장착부(120)의 높이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압축기(310)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함몰 형성되는 압축기장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압축기장착부(120)의 하단은 베이스부(100)의 최하단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310)는 확장지지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지지부(315)는 압축기(310)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압축기장착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확장지지부(315)는 압축기(310)가 상기 압축기장착부(120)에 의해 지지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압축기(3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장지지부(315)는 세제공급부(400)와 지면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확장지지부(315)는 적어도 세제공급부(400)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확장지지부(315)는 압축기(310)의 하단(312)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확장지지부(315)는 압축기(310)의 하단(312)을 정의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확장지지부(315)가 세제공급부(400)와 지면에 대해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1에는 유체순환부의 열교환기(320)와 세제공급부(4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는 온도조절부(300)에 해당하는 유체순환부의 열교환기(320)의 하단 높이가 점선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조절부(300)의 열교환기(320)는 흡열기(322) 및 발열기(32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열교환기(320)는 세제공급부(400)의 측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처리장치(3)의 상부에서 측방향 일측에는 세제공급부(400)가 배치되고, 측방향 타측에는 공기공급부(200)가 배치되며, 상기 공기공급부(200)에 상기 열교환기(320)가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320)는 유체와 상기 공기공급부(200)의 공기간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20)의 하단은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400)와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기(320)의 하단이란 흡열기(322) 및 발열기(324) 중 어느 하나의 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흡열기(322) 또는 발열기(324)의 하단이 세제공급부(400)와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320)의 하단은 적어도 세제공급부(400)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열교환기(320)의 하단이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400)와 중첩되도록 위치되도록 베이스부(100)의 높이가 낮추어짐으로써, 제1드럼(30)의 높이 감소는 물론 의류처리장치(1) 전체 높이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는 개방영역(110)이 형성됨에 따라, 즉 베이스부(100)가 세제공급부(400)와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중첩되지 않도록 마련됨에 따라, 베이스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세제공급부(400)와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의 하단은 세제공급부(400)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그 일부가 세제공급부(400)와 지면에 나란하게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도 있고, 상기 일부가 세제공급부(400)보다 더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베이스부(100) 전체로서 세제공급부(400)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부(200)와 제1처리장치(2)의 결합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따라 공기공급부(200)의 연결부(210)에 해당하는 유입부(220)와 제1처리장치(2)의 제1결합부(260)에 해당하는 제1유입결합부(261) 및 제2처리장치(3)의 제2결합부(270)에 해당하는 제2유입결합부(271)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는 제2처리장치(3)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처리장치(2)는 제2처리장치(3) 위에 안착 및 결합됨으로써, 제1드럼(30) 내부와 공기공급부(200)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처리장치(2)는 상기 제2처리장치(3) 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공급부(200)와 상기 제1드럼(30)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제2유입결합부(271)는 제1처리장치(2)에서 터브(45)와 유입부(2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유입결합부(271)는 유입부(220)와 결합되어 터브(45) 내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2유입결합부(271)는 터브(45)의 전단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는 터브(45)의 전단부와 제2프론트패널(21) 사이를 실링하기 위한 터브가스켓(65)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브가스켓(65)은 터브개구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유입결합부(271)는 상기 터브가스켓(65)에 결합되거나 터브가스켓(65)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도 2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공급부(200)의 유입부(220)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유입부(220)의 상단은 제2사이드패널(22)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유입부(220)는 베이스부(100)의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220)로부터 후방으로 공기공급부(200)의 공기 유동 경로가 정의될 수 있다. 유입부(220)의 후방으로 온도조절부(300)의 흡열기(322) 및 발열기(324)가 위치될 수 있다.
도 24에는 제1처리장치(2)의 제1결합부(26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에는 제1결합부(260) 중 제1드럼개구와 연통되는 제1유입결합부(261)가 도시되어 있다. 제1유입결합부(261)는 내부패널(6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유입결합부(261)는 내부패널(60)에 결합되거나 내부패널(60)의 일부로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200)의 연결부(210)는 상기 제1드럼(30)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2)는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연결부(210)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처리장치(2)는 제2처리장치(3)상에서 제1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처리장치(2)의 제1결합부(260)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연결부(21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210)에서 제1결합부(260)를 향해 개방되는 개방면(211)이 도시되어 있다. 도 25의 연결부(210)는 유입부(220)에 해당하고, 따라서 유입부(220)에는 제1유입결합부(261)를 향해 개방되는 개방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10)에서 개방면(211)의 둘레부는 제1결합부(260)와의 접촉 관계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개방면(211)의 둘레부에는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실러(2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실러(25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실러(250)는 연결부(210) 중 유입부(220)는 물론 유출부(230)에도 구비될 수 있고, 그 형상적 특징 또한 동일할 수 있다.
연결실러(250)는 개방면(211)에 대해 제1방향에 위치되는 제1부분(251)과, 개방면(211)에 대해 제1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제2부분(252)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251) 및 제2부분(252)을 제외하고 유입부(220)의 슬라이딩홈(212)에 배치되는 나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실러(250)의 배치 관련 특징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2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입부(220) 위에 제1유입결합부(261)가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7의 제1유입결합부(261)는 유입부(220)에 대한 결합 정위치보다 제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즉, 도 27의 제1유입결합부(261)는 제1처리장치(2)가 슬라이딩되기 전의 위치에 해당하며, 제1방향, 예컨대 전방을 향해 제1처리장치(2)가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제1유입결합부(261)가 결합 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8에는 도 27의 제1유입결합부(261)가 제1방향으로 이동되어 결합 정위치에 배치되어 유입부(220)와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에 따른 결합관계는 유출부(230)와 제1유출결합부(262)에서도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드럼(3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200)는 제1처리장치(2)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제1처리장치(2)와 제2처리장치(3)간 결합 과정을 통해 공기공급부(200)의 연결부(210)와 제1처리장치(2)의 제1결합부(260)가 결합됨으로써, 제1드럼(30) 내부와 공기공급부(200)가 효과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210)는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제1결합부(260)와의 결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개방면(211)의 둘레부가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210)는 제1연결면(213)과 제2연결면(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면(213)은 상기 개방면(211)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개방면(211)보다 위에 위치되어 상기 제1결합부(260)를 상기 제1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면(214)은 상기 개방면(211)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개방면(211)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제1결합부(260)를 상기 제1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연결면(213) 및 제2연결면(214)은 전술한 개방면(211)의 둘레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둘레부 중 개방면(211)에 대해 제1방향에 위치되는 일변은 상기 제1연결면(21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일변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타변은 상기 제2연결면(2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머지 변에는 슬라이딩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면(211)은 대략 지면과 나란한 면일 수 있다. 즉, 개방면(211)은 대략 위로 개방될 수 있고, 제1결합부(260)는 연결부(210)의 위에 위치되어 상기 개방면(211)을 덮을 수 있다.
제1연결면(213)은 개방면(211)을 기준으로 제1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연결면(213)은 개방면(211)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연결면(213)은 개방면(211)보다 위로 돌출될 수 있으며, 후방에서 제1결합부(260)가 접촉될 수 있다.
제2연결면(214)은 개방면(211)을 기준으로 제1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연결면(214)은 개방면(211)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연결면(214)은 개방면(211)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후방에서 제1결합부(260)가 접촉될 수 있다.
연결부(210)와 대응되어 제1결합부(260) 또한 제1결합면(268) 및 제2결합면(26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면(268)은 제1결합부(26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면(211)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제2결합면(269)은 제1결합부(26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면(211)보다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제1결합부(260)의 제1결합면(268)은 전방으로 제1연결면(213)과 접촉될 수 있으며, 제2결합면(269)은 전방으로 제2연결면(214)과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결부(210)에 제1연결면(213) 및 제2연결면(214)이 마련됨에 따라, 연결부(210)와 제1결합부(260)의 접촉부위가 선접촉이 아닌 안정적인 면접촉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다라 연결부(210)와 제1결합부(260) 사이에서 공기가 누출되는 상황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213) 및 제2연결면(214)에 대한 설명은 도 28의 유입부(220) 및 제1유입결합부(261)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출부(230) 및 제2유입결합부(27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연결실러(250)는 상기 개방면(211)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에 위치되는 제1부분(251)이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제2부분(252)보다 더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실러(250)의 상기 제1부분(251)은 상기 제1연결면(213)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부분(252)은 상기 제2연결면(214)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실러(250)는 연결부(210)와 제1결합부(260)의 접촉 부위에 구비되어 공기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29에는 연결부(210)에 마련되는 슬라이딩홈(212) 및 상기 슬라이딩홈(212)에 삽입되는 연결실러(25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개방면(211)을 둘러싸는 둘레부 중 상기 제1연결몇 및 제2연결면(214)을 제외한 나머지, 즉 양측변에는 슬라이딩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212)에는 제1결합부(260)의 일부, 예컨대 제1결합부(260)에서 상기 슬라이딩홈(212)을 향해 돌출되는 슬라이딩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실러(250)는 상기 제1결합부(260)를 향해 개방되는 개방면(211)을 둘러싸고, 연결부(210)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부(260)의 일부가 삽입 및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21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실러(250)의 일부는 상기 슬라이딩홈(212)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실러(250)의 양측변부는 상기 슬라이딩홈(212)에 삽입되어 연결부(210)와 제1결합부(26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슬라이딩홈(212)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딩홈(212)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결합부(260)는 슬라이딩돌기가 상기 슬라이딩홈(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260)에서 슬라이딩홈(212)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리브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결합면(269)과 연결되어 일변이 개방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3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결합부(260) 및 제2결합부(270)와 결합된 상태의 유입부(220)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제1결합부(260)에 의해 유입부(220)의 위로는 제1드럼(30) 내부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내부패널(60)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패널(60) 내부에는 제1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내부필터(6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부(270)에 의해 유입부(220)의 아래에는 터브(45) 또는 제2드럼(40) 내부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유로는 터브가스켓(65)을 관통하며 터브(45) 내부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공급부(200)는 상기 제1드럼(30) 및 상기 제2드럼(40)과 연통되기 위한 연결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장치(2)는 상기 연결부(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드럼(30) 내부와 상기 연결부(210)를 연통시키는 제1결합부(2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처리장치(3)는 상기 연결부(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2드럼(40) 내부와 상기 연결부(210)를 연통시키는 제2결합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0), 상기 제1결합부(260) 및 상기 제2결합부(27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결합부(260) 및 상기 제2결합부(27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연결부(210)간 공기 유동을 택일적으로 허용하는 선택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부(280)는 제1선택부(281) 및 제2선택부(2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선택부(281)는 유입부(220)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며, 제2선택부(282)는 유출부(230)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0에는 유입부(220) 내부에 구비되는 제1선택부(281)가 도시되어 있다. 제1선택부(281)는 유입부(220) 내부에서 제1유입결합부(261) 및 제2유입결합부(271) 중 어느 하나를 유입부(220) 내부와 연통시키고 나머지 하나를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선택부(281)가 도시되어 있다. 제1선택부(281)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일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200)는 상기 제1선택부(281)의 회전을 위한 제1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부(280)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제1회전위치(R1)에서 상기 제1결합부(260)와 상기 연결부(210)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고, 제2회전위치(R2)에서 상기 제2결합부(270)와 상기 연결부(210)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입부(2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선택부(281)가 회전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입부(220) 및 개방면(211)은 대략 측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선택부(281) 또한 측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선택부(281)는 차단실러(283)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실러(283)는 제1선택부(281)에 마련되어 연결부(21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차단실러(283)와 연결부(210)의 내측면이 접촉된 부분은 공기의 유동을 차단될 수 있다.
도 32에는 제1유입결합부(261)와 공기공급부(200) 내부가 연통되도록 제1선택부(281)가 회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2에서 유입부(220)는 제1드럼(30)과 연통되며 터브(45) 내부와의 연통 관계는 차단될 수 있다.
도 32에는 공기의 유동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제1선택부(281)는 한 쌍의 차단실러(28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선택부(281)는 제1회전위치(R1)로 회전되어 제2유입결합부(271)를 차폐할 수 있다.
제1선택부(281)에서 각각의 차단실러(283)는 제1선택부(281)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제2유입결합부(27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선택부(281)의 제1회전위치(R1)에서 차단실러(283)는 제1유입결합부(261)와 유입부(220) 내부 사이를 벗어나 제2유입결합부(271)의 양측에 배치되어 유입부(220)와 제2유입결합부(271) 간의 연통 관계를 차단할 수 있다.
도 33에는 제2유입결합부(271)와 공기공급부(200) 내부가 연통되도록 제1선택부(281)가 회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3에서 유입부(220)는 터브(45)와 연통되며 제1드럼(30)과의 연통 관계는 차단될 수 있다.
도 33에는 공기의 유동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제1선택부(281)는 제2회전위치(R2)로 회전되어 제1유입결합부(261)를 차폐할 수 있다. 즉, 제1선택부(281)의 제2회전위치(R2)에서 차단실러(283)는 제2유입결합부(271)와 유입부(220)의 내부 사이를 벗어나 제1유입결합부(261)의 양측에 배치되어 유입부(220)와 제1유입결합부(261) 간의 연통 관계를 차단할 수 있다.
제1모터는 연결부(210)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부(210)를 관통하며 제1선택부(281)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선택부(281)의 회전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유입부(220)와 제1유입결합부(261) 및 제2유입결합부(271) 간 연통 관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의 건조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유입결합부(271) 및 제2유입결합부(271)와 연통되는 공기공급부(200)의 유출부(230)가 도시되어 있다. 유출부(230)는 내부에 유출팬(235)을 포함할 수 있고, 유출팬(235)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팬하우징(237)을 포함할 수 있다.
유출부(230)는 위로 제1처리장치(2)의 제1유출결합부(262)가 결합될 수 있고, 터브(45)와 연통되는 제2유출결합부(272)와 연결될 수 있다. 유출부(230)는 공기공급부(200)에서 유입부(220)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200)는 유입부(220)에서 유출부(230)까지 연장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가 정의될 수 있다. 유출부(230)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제1드럼(30) 또는 터브(45)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처리장치(2)의 제1유출결합부(262)가 도시되어 있다. 제1처리장치(2)는 제1리어패널(13)에 결합되는 덕트부(7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덕트부(70)는 전술한 제1유출결합부(262)에 해당하거나, 제1유출결합부(262)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덕트부(70) 또는 제1리어패널(1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70)가 제1유출결합부(262)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덕트부(70)로 제공되는 공기는 상기 덕트부(70)를 통해 제1리어패널(13)에 형성되는 공기유로(80)를 따라 유동하여 제1드럼(30)의 후면을 통해 제1드럼(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36에는 상기 제1유출결합부(262)가 분리된 상태의 유출부(230)가 도시되어 있다. 유출부(230)는 팬하우징(237)을 포함할 수 있고, 팬하우징(237)에는 유출프레임(24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유출프레임(240)에 연결부(210)의 개방면(211) 및 개방면(211)의 둘레부가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유출프레임(240)은 제2유출결합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출프레임(240)에는 제2유출결합부(272)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출결합부(272)의 유입면(2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면(242)은 유출부(230)의 개방면(211)과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면(242)과 개방면(211)은 후술할 제2선택부(282)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2유출결합부(272)는 상기 유입면(242)으로부터 터브(45)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3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출프레임(240)이 도시되어 있다. 유출프레임(240)은 유출부(230)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부(23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제2유출결합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프레임(240)은 전술한 개방면(211) 및 개방면(211)을 둘러싸는 둘레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방면(211)과 둘레부의 설명은 전술한 유입부(220)에서의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유출프레임(240)에서 둘레부는 상기 개방면(211)뿐만 아니라 제2유출결합부(272)의 유입면(242)을 포함하여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유출부(230)에 마련되는 둘레부와 연결실러(250)는 개방면(211)과 유입면(242)을 함께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유출부(230)의 둘레부 또한 제1연결면(213), 제2연결면(214) 및 슬라이딩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면(213)은 유출부(230)의 개방면(211) 및 제2유출결합부(272)의 유입면(242)에 대해 제1방향에 위치될 수 있고, 제2연결면(214)은 상기 개방면(211)과 상기 유입면(242)에 대해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212)은 둘레부 중 상기 개방면(211)과 상기 유입면(242)에 대해 측방향에 위치되는 양측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8에는 유출부(230) 위에 제1유출결합부(262)에 해당하는 덕트부(70)가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39에는 도 38의 제1유출결합부(262)가 제1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유출부(230)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1유출결합부(262)는 제1유입결합부(261)와 마찬가지로 제1처리장치(2)의 슬라이딩 과정에서 연결부(210)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연결부(21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유출결합부(262)는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유출부(230)와 결합되어 유출부(230)의 개방면(211)을 덮을 수 있다.
유출부(230)의 제1연결면(213)은 유출부(230)의 개방면(211)보다 위에 위치되고, 유출부(230)의 제2연결면(214)은 유출부(230)의 개방면(211)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출부(230)의 둘레부 중 양측변은 제1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출부(230)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제1유출결합부(262)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으며, 제1유출결합부(262)와 유출부(230)간의 밀착 정도가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유출부(230)의 연결실러(250)는 제1부분(251)이 제1연결면(213)에 위치되어 개방면(211) 및 유입면(242)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부분(252)이 제2연결면(214)에 위치되어 개방면(211) 및 유입면(242)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유출부(230)의 개방면(211), 둘레부 및 연결실러(250)에 관한 특징들은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에서 전술한 유입부(220)에서의 설명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0에는 유출부(230), 제1유출결합부(262), 제2유출결합부(272) 및 제2선택부(282)가 도시되어 있다. 유출부(230)는 유출팬(235) 및 팬하우징(237)을 포함할 수 있고, 유출팬(235)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개방면(211)을 통해 팬하우징(237)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개방면(21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1유출결합부(262)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제1유출결합부(262)의 내부 중 일부는 제2유출결합부(272)와 공유되도록 마련되며, 이에 따라 개방면(21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1유출결합부(262) 내부로 제공된 이후, 제2선택부(282)의 회전위치에 따라 제1유출결합부(262)의 유출면(241)을 통해 제1리어패널(13)의 공기유로(80)로 전달되거나 제2유출결합부(272)의 유입면(242)을 통해 상기 제2유출결합부(272) 내부로 유입되어 터브(45)로 제공될 수 있다.
터브유로(75)는 터브(45)로부터 연장되는 벨로우즈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유출결합부(272)와 터브유로(75)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선택부(282)는 유출부(230), 제1유출결합부(262) 및 제2유출결합부(27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유출결합부(262)에 상기 제2선택부(282)가 구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선택부(282)가 도시되어 있다. 제2선택부(282)는 제1유출결합부(262), 즉 제1처리장치(2)의 덕트부(7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선택부(282)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판상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테두리에는 제1유출결합부(262)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차폐하기 위한 차단실러(28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선택부(282)의 바디의 일측에는 바디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제2선택부(282)의 회전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제1유출결합부(262)의 내측면과의 접촉을 통해 제2선택부(282)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42에는 제2선택부(282)가 제1회전위치(R1)에 위치되도록 회전되어 유출부(23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제1유출결합부(262)의 유출면(241)을 통해 토출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2에서 유출부(23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제2선택부(282)는 제1회전위치(R1)에서 유출부(230)의 개방면(211)과 제2유출결합부(272)의 유입면(242) 사이를 구획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출부(230)의 개방면(211)을 통해 유출되어 제1유출결합부(262)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제2유출결합부(272)의 유입면(242)으로 유동되지 못하고 제1유출결합부(262)의 유출면(241)을 통해 유출되어 제1리어패널(13)의 공기유로(8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선택부(282)에 구비되는 차단실러(283)는 제1유출결합부(262)의 내측면과, 유출프레임(240) 중 개방면(211) 및 유입면(242) 사이 부위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개방면(211)과 유입면(242) 사이를 구획할 수 있다.
제2선택부(282)의 회전축은 제2선택부(282)의 바디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은 제1유출결합부(262)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선택부(282)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모터는 제1유출결합부(262)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다.
도 4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선택부(282)가 제2회전위치(R2)에 위치되도록 회전되어 유출부(23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제2유출결합부(272)의 유입면(242)을 통해 제2유출결합부(272)의 내부로 유입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2선택부(282)는 제2회전위치(R2)에서 유출부(230)의 개방면(211)과 제1유출결합부(262)의 유출면(241) 사이를 구획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출부(230)의 개방면(211)을 통해 유출되어 제1유출결합부(262)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제1유출결합부(262)의 유출면(241)으로 유동되지 못하고 제2유출결합부(272)의 유입면(242)을 통해 제2유출결합부(27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선택부(281) 및 제2선택부(282)는 함께 제1회전위치(R1) 및 제2회전위치(R2)에 위치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선택부(281)가 제1회전위치(R1)로 회전되면 제2선택부(282) 또한 제1회전위치(R1)로 회전될 수 있고, 제1선택부(281)가 제2회전위치(R2)로 회전되면 제2선택부(282) 또한 제2회전위치(R2)로 회전될 수 있다.
제1선택부(281) 및 제2선택부(282)의 회전위치는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공기공급부(200)를 통해 제1드럼(30) 및 제2드럼(40)의 건조 과정이 모두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부(100)를 제1드럼(30)의 위로 배치하는 경우, 제1드럼(30)의 높이를 낮출수는 있으나 제2드럼(40)과 베이스부(100)간의 거리가 증가되어 제2드럼(40)의 건조 과정을 수행하는 데에는 불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택부(280)를 통해 공기공급부(200)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를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어, 건조를 위한 효율적인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2 : 제1처리장치
3 : 제2처리장치 10 : 제1캐비닛
11 : 제1프론트패널 12 : 제1사이드패널
13 : 제1리어패널 15 : 제1구동부
18 : 제1의류도어 20 : 제2캐비닛
21 : 제2프론트패널 22 : 제2사이드패널
23 : 제2리어패널 25 : 제2구동부
28 : 제2의류도어 30 : 제1드럼
40 : 제2드럼 45 : 터브
50 : 컨트롤패널 60 : 내부패널
62 : 내부필터 65 : 터브가스켓
70 : 덕트부 71 : 전달면
75 : 터브유로 80 : 공기유로
100 : 베이스부 110 : 개방영역
120 : 압축기장착부 200 : 공기공급부
210 : 연결부 211 : 개방면
212 : 슬라이딩홈 213 : 제1연결면
214 : 제2연결면 220 : 유입부
230 : 유출부 235 : 유출팬
237 : 팬하우징 240 : 유출프레임
241 : 유출면 242 : 유입면
250 : 연결실러 251 : 제1부분
252 : 제2부분 260 : 제1결합부
261 : 제1유입결합부 262 : 제1유출결합부
268 : 제1결합면 269 : 제2결합면
270 : 제2결합부 271 : 제2유입결합부
272 : 제2유출결합부 280 : 선택부
281 : 제1선택부 282 : 제2선택부
283 : 차단실러 300 : 온도조절부
310 : 압축기 315 : 확장지지부
320 : 열교환기 322 : 흡열기
324 : 발열기 400 : 세제공급부
450 : 급수밸브 460 : 급수호스
R1 : 제1회전위치 R2 : 제2회전위치

Claims (37)

  1.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
    상기 제1드럼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
    상기 제1드럼 및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기공급부의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유체가 순환되며, 상기 유체를 압축시키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유체순환부; 및
    상기 제1드럼과 상기 터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의 하단은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가 장착되는 압축기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장착부는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압축기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확장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지지부는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순환부는 상기 유체와 상기 공기공급부의 공기간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은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하단은 상기 세제공급부의 후방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급수원과 연결되고, 상기 터브 또는 상기 세제공급부로 제공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베이스부보다 위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부와 연결되고 물이 유동하는 급수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호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부보다 위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부는 지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는 부분이 개방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가 장착되는 압축기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장착부는 상기 세제공급부의 후방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유체가 유동하며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가 결합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세제공급부의 측방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가 장착되는 압축기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장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최하단을 형성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드럼과 연결되어 상기 제1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럼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1드럼을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리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리어패널에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16.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
    상기 제1드럼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
    상기 제1드럼 및 상기 터브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제1드럼과 상기 터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제공급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이 상기 세제공급부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캐비닛 및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을 포함하는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캐비닛 아래에 배치되는 제2캐비닛 및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을 포함하는 제2처리장치; 및
    상기 제1드럼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1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캐비닛은 상기 제1드럼의 측방향에 배치되는 제1사이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제1사이드패널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2드럼의 측방향에 배치되는 제2사이드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사이드패널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2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베이스부가 설치된 상기 제2처리장치 위에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비닛은 상기 제1드럼의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리어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제1드럼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2드럼이 설치되며 물이 수용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와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제2캐비닛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보다 위에 위치되며,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2드럼이 설치되며 물이 수용되는 터브; 및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급수원과 연결되어 상기 터브로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베이스부보다 위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공기공급부의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유체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사이드패널의 상단보다 위로 돌출되는 의류처리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압축기가 설치되는 압축기장착부가 제2드럼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장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최하단을 형성하는 의류처리장치.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비닛은 상기 제1드럼보다 앞에 위치되는 제1프론트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닛은 상기 제1프론트패널보다 아래에 위치되고 상기 제2드럼보다 앞에 위치되는 제2프론트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프론트패널 및 상기 제2프론트패널 사이에는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와 신호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단은 상기 제2사이드패널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의 상단은 상기 제1사이드패널의 하단보다 위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론트패널의 하단은 상기 제1사이드패널의 하단보다 위에 위치되고,
    상기 제2프론트패널의 상단은 상기 제2사이드패널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31. 제1캐비닛 및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1드럼을 포함하는 제1처리장치;
    상기 제1캐비닛 아래에 배치되는 제2캐비닛 및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제2드럼을 포함하는 제2처리장치; 및
    상기 제1처리장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제2처리장치 위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공급부와 상기 제1드럼 내부가 서로 연통되는 의류처리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제1드럼 내부와 연통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장치는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결합부를 향해 개방되는 개방면을 둘러싸는 연결실러; 및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1결합부의 일부가 삽입 및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실러의 일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실러는 상기 개방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에 위치되는 제1부분이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제2부분보다 더 위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방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개방면보다 위에 위치되어 상기 제1결합부를 상기 제1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연결면; 및
    상기 개방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개방면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제1결합부를 상기 제1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연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실러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연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2연결면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제1드럼 및 상기 제2드럼과 연통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드럼 내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통시키는 제1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처리장치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드럼 내부와 상기 연결부를 연통시키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연결부간 공기 유동을 택일적으로 허용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제1회전위치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고, 제2회전위치에서 상기 제2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의 공기 유동을 허용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96219A 2021-08-04 2022-08-02 의류처리장치 KR20230020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2322499A AU2022322499A1 (en) 2021-08-04 2022-08-02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22/011412 WO2023014058A1 (ko) 2021-08-04 2022-08-02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02312 2021-08-04
KR1020210102312 2021-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924A true KR20230020924A (ko) 2023-02-13

Family

ID=8520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219A KR20230020924A (ko) 2021-08-04 2022-08-0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20924A (ko)
CN (1) CN11779514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795144A (zh)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9921B2 (en) Detergent dispenser for washing machine
EP2393973B1 (en) Laundry treatment device
US975226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070119072A1 (en) Single body washing machine and dryer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418789B2 (en) Combination dryer and method thereof
KR20230015491A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US20160083896A1 (en) Laundry machine
KR102493055B1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102281340B1 (ko) 세탁장치
KR20080010813A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0774206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80065755A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20230020924A (ko) 의류처리장치
KR100774207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U202232249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93057B1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AU2003235780A1 (en) A washing machine and dryer having being improved duct structure thereof
KR20220049839A (ko) 의류처리장치
US20240125039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38167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26584A (ko) 건조 겸용 세탁기
EP4050148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38097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5440467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230063654A (ko) 건조 겸용 세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