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491A -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491A
KR20230015491A KR1020230008049A KR20230008049A KR20230015491A KR 20230015491 A KR20230015491 A KR 20230015491A KR 1020230008049 A KR1020230008049 A KR 1020230008049A KR 20230008049 A KR20230008049 A KR 20230008049A KR 20230015491 A KR20230015491 A KR 20230015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ide panel
guide
base
upp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한
진동현
조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3254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93057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1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외형을 형성하며 상부 베이스를 포함하는 상부 캐비닛과, 상부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건조드럼과, 상부 베이스에 구비되며 건조드럼을 회전시키는 상부 구동부와, 건조드럼의 공기를 공급 및 배출시키는 순환유로부 및 공기를 제습 가열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상부 처리장치와, 하부 외형을 형성하며 상부 베이스가 안착되는 하부 상면패널을 포함하는 하부 캐비닛과, 하부 캐비닛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 대상물이 투입되는 세탁드럼과, 세탁드럼을 회전시키는 하부 구동부를 포함하는 하부 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부 베이스의 하부에는 하부 캐비닛에 대하여 상부 캐비닛을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합니다.

Description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Stacking Type cloth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와 하부로 배치되는 복수의 처리장치를 적층하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그 사용에 있어 상부에 위치하는 처리장치와 하부에 위치하는 처리장치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장치는 통상적으로 의류가 투입 및 처리되는 형태에 따라 프론트로딩형 의류 처리장치와 탑로딩형 의류 처리장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의류를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의류를 세척하는 세탁장치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프론트 로딩형 세탁장치는 세탁조인 내조가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탑로딩형 세탁장치에 비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용량을 더 늘릴 수 있고, 포꼬임 등의 문제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프론트 로딩형 세탁장치의 경우 외관을 구성하는 본체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동 가능한 드럼과, 드럼을 회동시키는 구동장치가 포함되어 이루어져, 드럼의 회전에 따라 세탁물, 드럼, 세탁수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프론트 로딩형 세탁장치와 유사한 외관의 본체 캐비닛 내부에 회동 가능한 건조드럼과 건조드럼을 회동시키는 구동장치와, 고온건조한 열풍을 생산하는 열풍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의류 등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가 제작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장치와 건조장치를 동시에 설치하는 경우 설치면에 세탁장치와 건조장치을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설치공간이 협소할 경우 세탁장치와 건조장치를 각각 별도의 공간에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세탁장치에서 세탁이 완료된 의류를 건조장치로 이동/투입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세탁장치의 상부에 건조장치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면에 전조장치의 설치를 위한 설치면 또는 설치부속이 마련되어 있는 세탁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적층이 가능한 세탁장치 또는 건조장치의 경우 세탁장치의 상면에 건조장치의 안착을 위한 설치면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건조장치를 정확한 위치로 고정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별도의 고정장치가 없을 경우 건조장치의 작동에 따라 정확한 설치위치에서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탁장치와 건조장치의 적층을 위하여 별도의 설치부속이 구비될 경우 기존의 세탁장치에 별도의 설치부속를 고정설치하고, 세탁장치에 건조장치를 안착시킨 이후에 설치부속을 통하여 세탁장치와 건조장치를 고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세탁장치의 상부에 건조장치를 적측하여 사용할 때 세탁장치와 건조장치의 적측 및 고정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세탁장치와 건조장치의 적층구조를 개선한 의류 처리장치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부 처리장치와 상부 처리장치로 적층될 수 있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부 처리장치와 상부 처리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 처리장치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부 처리장치에 상부 처리장치가 적층될 때 상부 처리장치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는 상부 외형을 형성하며 상부 베이스를 포함하는 상부 캐비닛과, 상부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건조드럼과, 상기 상부 베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건조드럼을 회전시키는 상부 구동부와, 상기 건조드럼의 공기를 공급 및 배출시키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공기를 제습 가열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상부 처리장치와, 하부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베이스가 안착되는 하부 상면패널을 포함하는 하부 캐비닛과, 상기 하부 캐비닛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 대상물이 투입되는 세탁드럼과, 상기 세탁드럼을 회전시키는 하부 구동부를 포함하는 하부 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베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캐비닛에 대하여 상기 상부 캐비닛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 캐비닛은 상기 상부 처리장치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부 측면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캐비닛은 상기 하부 처리장치의 측면을 형성하는 하부 측면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상부 측면패널과 상기 하부 측면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처리장치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 측면패널은 상기 상부 측면패널의 하부에 상기 상부 처리장치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상부 수평 절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부 수평 절곡면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측면패널은 상기 수평 절곡면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수직 절곡면과, 상기 수직 절곡면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돌기의 상부로 절곡되는 베이스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는 베이스 지지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 상면패널에는 상기 하부 측면패널과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돌기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측면패널은 상기 하부 측면패널의 상부에 상기 하부 처리장치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하부 수평 절곡면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은 상기 하부 수평절곡면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수평 절곡면과, 상기 하부 수평 절곡면은 절연을 위하여 제 1각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측면패널의 상부에는 보강 프레임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하부 수평절곡면의 상면에 안착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하부 측면패널의 내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상기 하부 수평절곡면와 상기 지지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평절곡면은 상기 제 1간격보다 작은 제 2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면의 외측 단부는 상기 수직 절곡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하부 상면패널을 향하여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상면패널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어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은 하부 측면패널에 인접하여 상기 하부 처리장치의 내측으로 함입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상부 베이스의 하면 전방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전방 가이드돌기와, 상기 상부 베이스의 하면 후방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후방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한쌍의 전방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하부 상면패널에서 함입되는 전방 가이드홈과, 상기 한쌍의 후방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하부 상면패널에서 함입되는 후방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방 가이드돌기는 저면을 형성하는 전방 가이드면과, 상기 전방 가이드면의 선단에서 상기 상부 베이스의 저면으로 상향되는 전방 경사면과, 상기 전방 가이드면의 후단에서 상기 상부 베이스의 저면으로 상향되는 후방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가이드홈은 저면을 형성하는 가이드면과, 상기 가이드면의 선단에서 상기 하부 상면패널의 상면으로 상향되는 전방 경사면과, 상기 가이드면의 후단에서 상기 하부 상면패널의 상면으로 상향되는 후방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 경사면에는 상기 전방 가이드면보다 상향되는 보조 가이드면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 가이드면 또는 상기 후방 가이드면의 상기 상부 베이스의 외측을 향하는 모서리는 만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 베이스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각 지지돌기는 상기 상부 베이스와 동일 재질로 상기 상부 베이스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상면패널은 금속판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제조하며, 상기 각 가이드홈은 상기 하부 상면패널의 제조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상부 베이스의 외주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상기 지지돌기의 일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하부 처리장치와 상부 처리장치의 체결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하부 처리장치와 상부 처리장치의 적층시 지지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하부 처리장치의 상부에 상부 처리장치를 적층할 때 상부 처리장치의 적층 위치가 보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처리장치의 상부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처리장치의 상부 베이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처리장치의 하부 상면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처리장치의 하부 상면패널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상부 처리장치와 하부 처리장치의 적측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베이스와 하부 상면패널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1 또는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는 하부에 세탁 대상물의 세탁 및 헹굼을 수행하는 세탁장치(이하, '하부 처리장치(200)'라 칭함)와, 하부 처리장치(2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세탁이 완료된 되거나 별도 건조가 필요한 건조 대상물의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장치(이하, '상부 처리장치(100)'라 칭함)을 구비한다.
상부 처리장치(100)에 해당하는 건조장치의 경우 통상적으로 열원의 공급방식에 따라 가스버너, 전기히터, 히트펌프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되어 질 수 있으면, 본 발명에서는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건조장치에 해당하는 상부 처리장치(100)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상부 처리장치(10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열원의 공급방식이 다르더라도 상부 처리장치(100)의 주요 구성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상부 처리장치(100)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상부 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전면패널(300), 상부 상면패널(116), 상부 측면패널(117), 상부 후면패널(118) 및 상부 베이스(300)를 포함하는 상부 캐비닛(110)과, 상부 캐비닛(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어 건조되는 건조드럼(120)과, 건조드럼(120)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건조드럼(120)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 공기를 배출하는 순환 유로부(130)와, 건조드럼(120)을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40)와, 순환 유로부(130)의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열교환부(150) 및 열교환부(15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배수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전면패널(300)에는 건조드럼(120)으로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상부 투입구(324) 및 상부 투입구(324)를 개폐하는 상부 도어(150)가 구비되며, 상부 전면패널(300)의 하부에는 상부 처리장치(100) 및 하부 처리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114)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 패널(114)은 상부 처리장치(100)와 하부 처리장치(200)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미도시)와, 상부 처리장치(100)와 하부 처리장치(200)의 작동상태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측면패널(117) 및 상부 후면패널(118)은 각각 별도의 분리된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패널을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측면패널(117) 및 상부 후면패널(118)은 상부 처리장치(10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측면패널(117)은 하부에 상부 처리장치(100)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상부 수평 절곡면(117a)이 형성되며, 상부 수평 절곡면(117a)의 단부에는 상부 처리장치(100)의 상측으로 절곡되는 수직 절곡면(117b)이 형성되며, 수직 절곡면(117b)의 단부에는 상부 처리장치(10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지지돌기(380)의 상부에 지지되는 베이스 지지면(117c)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후면패널(118)은 상부 처리장치(100)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부 처리장치(100)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상부 후면패널(118)을 개폐할 수 있는 서비스 패널(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캐비닛(110)의 하부에는 상부 처리장치의 각 구성부(예를 들어 건조드럼(120), 순환 유로부(130), 구동부(140), 열교환부(150) 등)가 지지 및 설치되며, 하부 세탁장치(200)에 대한 상부 세탁장치(100)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지지돌기(380), 전방 가이드돌기(381) 및 후방 가이드돌기(386)가 형성되는 상부 베이스(300)가 구비된다. 상부 베이스(300)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건조드럼(120)은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건조드럼(120)의 전방과 후방에는 건조드럼(1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 플레이트(121) 및 후방 플레이트(126)가 구비된다.
전방 플레이트(121)는 상부 전면패널(300)에 형성된 상부 투입구(324)와 연통되는 개구부(122)가 형성되며, 개구부(122) 외주면에서 건조드럼(120)의 전방측으로 건조드럼(120)의 전방 내주면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123)가 구비된다.
전방 지지부(123)의 하부에는 건조드럼(120)의 전방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 롤러(124)가 구비된다. 전방 플레이트(121)의 하부에는 건조드럼(120)의 공기가 순환 유로부(130)로 흡입되는 다수의 흡기홀(125)이 형성되며, 흡기홀(125)에는 순환 유로부(130)의 흡기덕트(133)가 연결된다.
후방 플레이트(126)는 후술할 순환 유로부(130)의 공급덕트(131)가 연결되어 건조드럼(120)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는 다수의 공급홀(127)이 형성되며, 공급홀(127)의 외측으로 건조드럼(120)의 후방측으로 건조드럼(120)의 후방 내주면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128)가 구비된다. 후방 지지부(128)의 하부에는 건조드럼(120)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 롤러(129)가 구비된다.
유로부(130)는 흡기홀(125)에 연통되어 건조드럼(120) 내의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덕트(133)와, 흡기덕트(133)의 공기를 건조드럼(120)으로 공급하는 공급덕트(131)와, 흡기덕트(133)와 공급덕트(131)를 연결하며 내부에 열교환부(150)의 흡열부(151) 및 발열부(152)가 구비되는 연결덕트(135) 및 공급덕트(131)와 흡기덕트(133) 사이에 구비되어 건조드럼(120) 내부의 공기가 흡기덕트(133), 연결덕트(135), 공급덕트(131)를 순환하도록 하는 팬(134)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흡기덕트(133)의 흡기홀(125)에는 건조드럼(120)에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와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132)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덕트(135)는 후술할 상부 베이스(300)에 체결되어 흡열부(151) 및 발열부(152)가 설치되는 유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급덕트(131)는 연결덕트(135)에 구비되는 흡열부(151) 및 발열부(152)에서 제습 및 가열된 공기를 건조드럼(120)의 내부로 안내한다.
여기서, 순환 유로부(130)는 팬(134)의 작동에 따라 건조드럼(120) 내부의 공기가 흡기덕트(133)를 통하여 흡입되어 건조드럼(120)의 압력이 낮아지며, 건조드럼(120)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건조드럼(120) 외부의 공기가 공급덕트(131)를 통하여 건조드럼(12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공급덕트(131)를 통하여 이동되는 공기는 연결덕트(135)에 구비되는 열교환부(150)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드럼(120)의 내부로 공급된다.
여기서, 팬(134)은 흡기덕트(133), 연결덕트(135) 또는 공급덕트(131) 중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팬(134)이 연결덕트(135)와 공급덕트(131) 사이에 구비된 경우(즉, 발열부(152)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열교환부(150)는 연결덕트(135)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교환부(150)가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열교환부(150)는 연결덕트(135) 내부에 구비되어 연결덕트(135)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흡열부(151)와, 연결덕트(135) 내부에 구비되어 흡열부(15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152)와, 발열부(152)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흡열부(151)로 공급하는 압축기(153)와, 발열부(152)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154)를 구비하며, 열교환부(150)의 각 구성은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관(156)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흡열부(151) 및 발열부(152)는 연결덕트(135)의 너비 방향 또는 연결덕트(135)의 높이 방향을 따라 공기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이 구비될 수 있으며, 흡열부(151)와 발열부(152)는 연결덕트(135) 내부에 흡기덕트(133)에서 공급덕트(131)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구동부(140)는 건조드럼(120)을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41)와, 모터(141)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풀리(142)와, 풀리(142)와 건조드럼(120)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밸트(14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141)의 회전축 일단에는 풀리(14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 타단에는 순환 유로부(130)의 팬(134)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모터(141)를 이용하여 순환 유로부(130)의 팬(134)과 건조드럼(120)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건조드럼(120)과 팬(134)이 하나의 모터(141)에 의해 구동됨으로 건조드럼(120)과 팬(134)의 회전속도가 일정한 비율로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건조드럼(120)과 팬(134)에 각각 별도의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건조드럼(120)과 팬(134)에 각각 별도의 모터가 구비될 경우 건조드럼(120)과 팬(134)의 회전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배수부(180)는 열교환부의 흡열부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부(180)는 상부 캐비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161), 상부 베이스(300)에 구비되어 흡열부(151)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162)와, 배수펌프(162)에서 펌핑되는 응축수를 저장바디로 안내하는 배수관(163)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바디(161)는 상부 캐비닛(110)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탱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저장바디(161)의 전방면에는 상부 전면패널(1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처리장치(100)는 건조 대상물이 상부 투입구(324)를 통하여 건조드럼(120)으로 투입됨에 따라 구동부(140)에 의해 건조드럼(120)이 회전되면서 건조드럼(120) 내부의 건조 대상물이 유동된다.
또한 구동부(140)에 의해 팬(134)이 회전됨에 따라 건조드럼(120) 내부의 공기가 흡기덕트(133)와 공급덕트(131)에 의해 순환되며, 연결덕트에 구비되는 열교환부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드럼(120)으로 공급된다.
하부 처리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 전면패널(211), 하부 측면패널(214), 하부 후면패널(219), 하부 상면패널(400) 및 하부 베이스패널(219a)을 포함하는 하부 캐비닛(210)과, 하부 캐비닛(210) 내부에 세탁수가 저수되도록 구비되는 터브(220)와 터브(2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투입되는 세탁 대상물을 세탁하는 세탁드럼(240)과, 터브(220) 후방에 구비되어 세탁드럼(24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30)와, 터브(220)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250)와,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와 세제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세제공급부(252)와, 터브(220)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부(260)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전면패널(211)에는 세탁드럼(240)으로 세탁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하부 투입구(212) 및 하부 투입구(212)를 개폐하는 하부 도어(213)가 구비된다.
하부 측면패널(214)의 상부에는 하부 처리장치(20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부 베이스(300)의 지지돌기(380) 및 상부 측면패널(117)의 베이스 지지면(117c)이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하부 수평 절곡면(214a)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측면패널(214)의 상부에는 하부 측면패널(214)의 상측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상부 베이스(300)의 지지돌기(380)가 안착되는 보강 프레임(215)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프레임(215)은 하부 측면패널(214)의 상면에 안착되는 수평 프레임(216)과 하부 측면패널(214)의 마주하는 내측면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218)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측면패널(214) 및 하부 후면패널(219)은 각각 별도의 분리된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패널을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측면패널(214) 및 하부 후면패널(219)은 하부 처리장치(20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하부 전면패널(211)과, 하부 측면패널(214)은 상술한 상부 전면패널(300)과 상부 측면패널(117)과 각각 동일한 연장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 전면패널(211)과 상부 전면패널(300)은 상부 전면패널(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컨트롤 패널(114)을 포함하여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측면패널(117)과 하부 측면패널(214)도 각각 상부 처리장치(100) 및 하부 처리장치(200)의 좌우측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상면패널(400)은 하부 전면패널(211)과 하부 측면패널(214)의 상부에 위치하여 하부 처리장치(200)와 상부 처리장치(100)를 구획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하부 처리장치(200)에 대하여 상부 처리장치(100)를 지지 및 정렬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처리장치(200) 또는 상부 처리장치(100)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하부 처리장치(200) 또는 상부 처리장치(100)에서 발생한 화재가 다른 처리장치로 옮겨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염패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상면패널(400)은 상부 처리장치(100)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도록 상부 베이스(300)에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돌기(381) 및 후방 가이드돌기(386)에 대응되는 위치로 전방 가이드홈(410) 및 후방 가이드홈(420)이 형성된다. 하부 상면패널(400)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부 후면패널(219)은 하부 처리장치(200)의 후면을 형성하며 하부 처리장치(200)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하부 후면패널(219)을 개폐할 수 있는 서비스 패널(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급수부(250)의 급수관(251)과, 배수부(260)의 배수관(253) 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하부 처리장치(200)의 상부에는 상부 처리장치(100)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하부 처리장치(200)의 상면의 경우 상부 처리장치(100)에 의해 덮혀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220)는 하부 캐비닛(210)의 내부에 스프링 및 댐퍼와 같은 서스펜션(222)에 의해 유동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에 하부 전면패널(211)에 형성되는 하부 투입구(212)와 연통되는 터브 개구부(221)가 형성된다. 하부 전면패널(211)의 하부 투입구(212)와 터브 개구부(221)는 터브(220)의 유동시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벨로우즈 형태의 가스켓(2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230)는 터브(220)의 후면에 구비되어 세탁드럼(2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터브(220) 후면에 구비되는 아웃터 로터 타입의 모터(232)와, 터브(220) 후면을 관통하여 모터(23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231)을 구비할 수 있다.
세탁드럼(240)은 터브(220)의 내측에 회전축(231)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에 터브(220)에 형성되는 터브 개구부(221)와 연통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개구부(241)가 형성된다. 또한, 세탁드럼(240)의 내주면에는 세탁수의 이동을 위한 다수의 탈수공(242)과, 세탁물의 유동을 위한 다수의 리프터(243)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부(250)는 의류 처리장치(10) 외부의 급수원(미도시)으로 부터 세탁수를 공급받는 것으로, 외부 급수원이 연결되는 급수관(251)과, 급수관(251)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세탁수와 세제를 혼합하여 터브(220)로 공급하는 세제공급부(252)와, 세제공급부(252)와 터브(220)를 연결하는 공급호스(253)를 구비할 수 있다.
배수부(260)는 터브(220)의 하부에 구비되어 터브(220)에서 세턱을 완료한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것으로, 터브(220)의 하부 저면에 연결되는 배수호스(261)와, 배수호스(261)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262)와, 배수펌프(262)에 의해 펌핑되는 세탁수를 하부 처리장치(200)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253)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부 처리장치(200)는 세탁 대상물이 하부 투입구(212)를 통하여 세탁드럼(240)으로 투입됨에 따라 급수부(250)에 의해 터브(220)로 세제 및 세탁수가 급수되고, 구동부(230)에 의해 세탁드럼(240)이 회전되면서 세탁드럼(240) 내부의 세탁 대상물이 유동되면서 세탁행정이 진행된다.
또한 세탁행정이 완료됨에 따라 배수부(260)의 배수펌프(262)에 의해 터브(220) 내부의 세탁수가 하부 처리장치(20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세탁행정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상부 처리장치(100)와 하부 처리장치(200)의 경우 하부 처리장치(200)가 설치된 이후에 상부 처리장치(100)가 하부 처리장치(200)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의류 처리장치(1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처리장치(100)의 상부 베이스(3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처리장치의 상부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처리장치의 상부 베이스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베이스(300)는 열교환부(150)의 압축기(153)가 설치되는 압축기 장착부(310)와, 열교환부(150)의 팬(134)이 장착되는 팬 장착부(330)와, 공급덕트(131)가 연결되는 공급덕트 연결부(340)와, 흡기덕트(133)가 연결되는 흡기덕트 연결부(350) 및 연결덕트(135)가 연결되어 열교환부(150)의 흡열부(151) 및 발열부(152)가 위치함과 동시에 흡열부(15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일지 저장되는 집수부(360)와, 집수부(360)에서 집수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162)가 설치되는 배수펌프 장착부(370)가 형성된다.
상부 베이스(300)에 형성되는 압축기 장착부(310), 모터 장착부(320), 팬 장착부(330), 집수부(360), 배수펌프 장착부(370) 등은 각 구성의 연결 및 유로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집수부(360)는 연결덕트(135)와 결합되어 유로를 형성하도록 선단과 후단이 개방되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집수부(360)와 연결덕트(135)가 결합되는 내측에 흡열부(151)와 발열부(152)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집수부(360)의 선단에는 흡기덕트(133)가 연결되는 흡기덕트 연결부(350)가 위치하며, 집수부(360)의 후단에는 공급덕트 연결부(34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집수부(360)와 공급덕트(131) 사이에는 집수부의 흡열부(151)와 발열부(152)를 통과한 공기의 방향을 공급덕트(131) 측으로 전환하는 전환유로(342)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베이스(300)의 외측면 하부에는 상부 처리장치(100)와 하부 처리장치(200)의 간격을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돌기(38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380)는 상부 처리장치(100)와 하부 처리장치(200)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 처리장치(100)와 하부 처리장치(200)의 전기적 절연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베이스(300)의 하면 양측에는 상부 처리장치(100)가 하부 처리장치(200)의 상면에 안착될 때 하부 처리장치(200)의 하부 상면패널(400)에 안착되는 한쌍의 전방 가이드돌기(381)와, 한쌍의 후방 가이드돌기(386)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한쌍의 전방 가이드돌기(381)와, 한쌍의 후방 가이드돌기(386)는 지지돌기(380)의 하부에서 상부 베이스(300)의 하방향(즉, 하부 세탁장치(200)을 향햐여)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지지돌기(380)는 한쌍의 전방 가이드돌기(381)와, 한쌍의 후방 가이드돌기(386)와 별도로 한쌍의 전방 가이드돌기(381)와, 한쌍의 후방 가이드돌기(386)의 상측에서 상부 베이스(3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각 전방 가이드돌기(381)는 지지돌기(380)의 하면 전방에 상부 베이스(300)의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각 전방 가이드돌기(381)는 하면을 형성하는 전방 가이드면(382)과, 전방 가이드면(382)보다 높은 위치로 형성되는 보조 가이드면(383)이 형성된다.
여기서, 전방 가이드면(382)의 후단에는 상부 베이스(300)의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 1후방 경사면(384)이 형성되며, 전방 가이드면(382)과 보조 가이드면(383) 사이와 보조 가이드면(383)의 선단에는 상부 베이스(300)의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 1전방 경사면(384)이 형성된다.
여기서, 전방 가이드면(382)과 보조 가이드면(383)은 상부 처리장치(100)가 하부 처리장치(200)에 안착될 때 하부 처리장치(200)의 하부 상면패널(400)에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홈(410)의 일측에 임시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특히 보조 가이드면(383)의 경우 전방 가이드돌기(381)가 전방 가이드홈(410)에 완전히 삽입되기 이전에 전방 가이드면(382)이 전방 가이드홈(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임시적으로 하부 상면패널(400)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처리장치(100)가 하부 처리장치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경우 전방 가이드면(382)과 보조 가이드면(383)은 하부 상면패널(400)에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홈(410)의 내측에 위치하며, 각 전방 가이드돌기(381)가 각 전방 가이드홈(410)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제 1전방 경사면(384)과 제 1후방 경사면(385)은 상부 처리장치(100)가 하부 처리장치(200)에 안착될 때 각 전방 가이드돌기(381)가 각 전방 가이드홈(41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었을 때 각 전방 가이드 돌기(381)가 각 전방 가이드홈(410)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각 전방 가이드돌기(381)의 전방 가이드면(382)의 외측 모서리(즉, 상부 베이스(300)의 외측을 향하는 모서리)에는 상부 베이스(300)의 내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면(381a) 또는 경사지는 경사면(미도시)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8참조).
여기서, 전방 가이드면(382)에 형성되는 만곡면(381a)은 상부 처리장치(100)가 하부 처리장치(200)의 좌우방향으로의 정렬이 어긋나있을 경우 전방 가이드면(382)의 만곡면(381a)이 전방 가이드홈(41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각 후방 가이드돌기(386)는 지지돌기(380)의 하면 후방에 상부 베이스(300)의 좌우 방향에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각 후방 가이드돌기(386)는 하면을 형성하는 후방 가이드면(387)이 형성된다.
여기서, 후방 가이드면(387)의 후단에는 상부 베이스(300)의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 2후방 경사면(389)이 형성되며, 후방 가이드면(387)의 선단에는 상부 베이스(300)의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 2전방 경사면(388)이 형성된다.
한편, 상부 처리장치(100)가 하부 처리장치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경우 후방 가이드면(387)은 하부 상면패널(400)에 형성되는 후방 가이드홈(420)의 내측에 위치하며, 각 후방 가이드 돌기(386)가 각 후방 가이드 홈(420)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전방 경사면(388)과 제 2후방 경사면(389)은 상부 처리장치(100)가 하부 처리장치(200)에 안착될 때 각 후방 가이드돌기(386)가 각 후방 가이드홈(42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었을 때 각 후방 가이드 돌기(386)가 각 후방 가이드홈(420)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각 후방 가이드돌기(386)의 후방 가이드면(387)의 외측 모서리(즉, 상부 베이스(300) 후방의 외측을 향하는 모서리)에는 상부 베이스(300)의 내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면(386a) 또는 경사지는 경사면(미도시)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8참조).
여기서, 후방 가이드면(387)에 형성되는 만곡면(386a)은 상부 처리장치(100)가 하부 처리장치(200)의 좌우방향으로의 정렬이 어긋나있을 경우 후방 가이드면(387)의 만곡면(386a)이 후방 가이드홈(42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부 베이스(300)에 설치되는 흡열부(151), 발열부(152), 압축기(153) 등을 포함하는 열교환부(150)의 경우 비교적 낮은 온도로 작동되도록 마련되며, 이에 따라 상부 베이스(300)는 방염, 방열 기능이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베이스(300)의 경우 비교적 제조가 용이한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조 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플라스틱 등)를 이용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 될 수 있다.
즉, 상부 베이스(3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압축기 장착부(310), 모터 장착부(320), 팬 장착부(330), 집수부(360), 배수펌프 장착부(370) 등의 경우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지지돌기(380), 한쌍의 전방 가이드돌기(381), 한쌍의 후방 가이드돌기(386)들은 상부 베이스(300)의 제조시 상부 베이스(300)와 동일한 재질로 상부 베이스(300)의 측면 및 하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처리장치(200)의 하부 상면패널(4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처리장치의 하부 상면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부 처리장치의 하부 상면패널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한편, 하부 처리장치(200)의 하부 상면패널(400)은 전방 상부 양측에 상부 베이스(300)에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돌기(381)의 위치에 대응되어 한쌍의 전방 가이드홈(410)이 형성되며, 후방 상부 양측에 상부 베이스(300)에 형성되는 후방 가이드돌기(386)의 위치에 대응되어 한쌍의 후방 가이드홈(420)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상면패널(400)의 외주면에는 상부 측면패널(117)과 하부 측면패널(214)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면(4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면(430)은 구체적으로 상부 베이스(300)의 지지돌기(380)를 지지하며 지지돌기(380)와 같이 상부 측면패널(117)과 하부 측면패널(21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가이드홈(410)은 상부 베이스(300)에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돌기(381)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함입되는 제 1가이드면(414)이 형성되며, 제 1가이드면(414)의 전방에는 하부 상면패널(400)의 상면에서 제 1가이드면(414)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1전방 경사면(412)이 형성되고, 제 1가이드면(414)의 후방에는 하부 상면패널(400)의 상면에서 제 1가이드면(414)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1후방 경사면(4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전방 경사면(412)과, 제 1후방경사면(416)은 상부 베이스(300)의 전방 가이드돌기(381)가 슬라이딩되어 전방 가이드돌기(381)가 전방 가이드홈(410)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후방 가이드홈(420)은 상부 베이스(300)에 형성되는 후방 가이드돌기(386)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함입되는 제 2가이드면(424)이 형성되며, 제 2가이드면(424)의 전방에는 하부 상면패널(400)의 상면에서 제 2가이드면(424)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2전방 경사면(422)이 형성되고, 제 2가이드면(424)의 후방에는 하부 상면패널(400)의 상면에서 제 2가이드면(424)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2후방 경사면(426)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2전방 경사면(422)과, 제 2후방경사면(426)은 상부 베이스(300)의 전방 가이드돌기(381)가 슬라이딩되어 전방 가이드돌기(381)가 전방 가이드홈(410)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처리장치(100)가 하부 처리장치(200)의 안착되는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상부 처리장치와 하부 처리장치의 적측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베이스와 하부 상면패널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처리장치(100)와 하부 처리장치(200)의 적층에 따라 상부 베이스(300)에 형성되는 지지돌기(380)는 하부 처리장치(200)의 하부 측면패널(214)과, 상부 처리장치(100)의 상부 측면패널(117) 사이에 개재되어 하부 측면패널(214)에 대하여 상부 측면패널(117)을 지지한다.
여기서, 상부 베이스(300)의 전방 가이드돌기(381)는 하부 상면패널(400)의 전방 가이드홈(410)에 삽입되며, 상부 베이스(300)의 후방 가이드돌기(386)는 하부 상면패널(400)의 후방 가이드홈(420)에 삽입된다.
이때, 전방 가이드돌기(381)의 제 1전방 경사면(384) 또는 제 1후방 경사면(385)은 전방 가이드홈(410)의 제 1전방 경사면(412) 또는 제 1후방 경사면(416) 중 하나를 슬라이딩 이동되어 전방 가이드돌기(381)가 전방 가이드홈(41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후방 가이드돌기(386)의 제 2전방 경사면(388) 또는 제 2후방 경사면(389)은 후방 가이드홈(420)의 제 2전방 경사면(422) 또는 제 2후방 경사면(426) 중 하나를 슬라이딩 이동되어 후방 가이드돌기(386)가 후방 가이드홈(42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하부 상면패널(400)은 소정두께의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 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상면패널(400)에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홈(410) 및 후방 가이드홈(420)의 경우 하부 상면패널(400)의 제조시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상면패널(400)의 경우 상부 처리장치(100)를 지지하기 위한 강도 및 방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금속판재의 프레스 성형이외의 다른 재질 및 제조방법에 의해 하부 상면패널(400)이 제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하부 상면패널(400)의 경우 방염재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시 전방 가이드홈(410) 및 후방 가이드홈(420)이 일체로 성형되어 질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300)의 지지돌기(380), 하부 상면패널(400), 상부 측면패널(117), 하부 측면패널(214) 사이에는 상부 처리장치(100)와 하부 처리장치(200)의 절연을 위하여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부 측면패널(117)의 상부 수평 절곡면(117a)과 하부 측면패널(214)의 하부 수평 절곡면(214a)은 제 1간격(D2)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측면패널(214)에 보강 프레임(215) 구비될 경우 보강 프레임(215)의 수평 프레임(216)과 상부 측면패널(117)의 상부 수평 절곡면(117a)은 제 1간격(D1)보다 작은 제 2간격(D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간격(D1)과 제 2간격(D2)은 상부 측면패널(117)과 하부 측면패널(214) 사이의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상부 처리장치(100)와 하부 처리장치(200) 사이의 절연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측면패널(117)의 베이스 지지면(117c)은 상부 측면패널(117)의 상부 수평 절곡면(117a)에 대하여 제 3간격(D3)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 질수 있다. 제 3간격(D3)은 적어도 상부 베이스(300)의 지지돌기(380)와 하부 상면패널(400)의 지지면(430)의 두께를 합친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측면패널(117)의 수평 절곡면(117a)의 위치는 베이스 지지면(117c)이 지지돌기(380)에 지지될 때 하부 측면패널(214)의 하부 수평 절곡면(214a)에 대하여 이격되어 절연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측면패널(214)에 보강 프레임(215)이 더 구비될 경우 상부 측면패널(117)의 베이스 지지면(117c)은 하부 측면패널(214)의 하부 수평 절곡면(214a)에 대하여 제 4간격(D4)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 4간격(D4)은 상부 베이스(300)의 지지돌기(380)의 두께, 하부 상면패널(400)의 지지면(430)의 두께, 보강 프레임(215)의 수평 프레임(216)의 두께를 합친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측면패널(117)의 수평 절곡면(117a)는 제 1간격(D1)을 형성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간격(D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측면패널(214)의 하부 수평 절곡면(214a)과 상부 측면패널(117)의 상부 수평 절곡면(117a) 사이의 간격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215)의 수평 프레임(216)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측면패널(117)과, 하부 측면패널(214)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면(430)은 상부 측면패널(117)의 수직 절곡면(117b)에 대하여 제 5간격(D5)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면(430)과 수직 절곡면(117b) 사이에 형성되는 제 5간격(D5)은 하부 처리장치(200)와 상부 측면패널(117) 사이의 절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돌기(380)는 상부 측면패널(117)에 형성되는 수평 절곡면(117a)의 내측에서 수직 절곡면(177b)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지지면(177c)은 지지돌기(38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돌기(380)의 위치는 상부 측면패널(117)의 수직 절곡면(177b)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부 측면패널()의 내측 또는 수평 절곡면(177b)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380)의 위치는 수직 절곡면(177b)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는 상태임으로 지지면(177c)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10)의 경우 상부 처리장치(100)가 하부 처리장치(200)의 상부에 적층될 때 상부 처리장치(100)의 상부 베이스(300)에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돌기(381) 및 후방 가이드돌기(386)가 하부 처리장치(200)의 하부 상면패널(400)에 형성되는 전방 가이드홈(410) 및 후방 가이드홈(420)에 삽입되어 상부 처리장치(100)가 하부 처리장치(200)에 대하여 정렬된 상태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10)는 상부 처리장치의 상부 측면패널과 하부 처리장치의 하부 측면패널 사이에 절연을 위한 다수의 간격이 형성되어 상부 처리장치와 하부 처리장치의 절연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100: 상부 처리장치
110: 상부 캐비닛 117: 상부 측면패널
120: 건조드럼 121: 전방 플레이트
126: 후방 플레이트 130: 순환 유로부
131: 공급덕트 133: 흡기덕트
135: 연결덕트 140: 구동부
150: 열교환부 151: 흡열부
152: 발열부 153: 압축기
160: 배수부 161: 저장바디
200: 하부 처리장치 210: 하부 캐비닛
214: 하부 측면패널 219: 하부 후면패널
220: 터브 230: 구동부
240: 세탁드럼 250: 급수부
260: 배수부 300: 상부 베이스
310: 압축기 장착부 320: 모터 장착부
330: 팬 장착부 340: 공급덕트 연결부
350: 흡기덕트 연결부 360: 집수부
370: 배수펌프 장착부 380: 지지돌기
381: 전방 가이드돌기 386: 후방 가이드돌기
400: 하부 상면패널 410: 전방 가이드홈
420: 후방 가이드홈

Claims (15)

  1. 상부 외형을 정의하며, 상부 베이스를 가지는 상부 캐비닛과 상부 캐비닛에 구비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상부 처리장치; 및
    하부 외형을 정의하며, 하부 상면패널을 가지는 하부 캐비닛과 상기 하부 캐비닛에 구비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하부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적층식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이스에서 하부로 돌출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며, 상기 하부 상면패널에 구비되는 가이드홈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상부 베이스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하부 상면패널의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상부 베이스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전방 가이드돌기와, 상기 상부 베이스의 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후방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한쌍의 전방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전방 가이드홈과, 상기 한쌍의 후방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한 쌍의 후방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가이드돌기는 저면을 형성하는 전방 가이드면과, 상기 전방 가이드면의 선단에서 상향되는 전방 경사면과, 상기 전방 가이드면의 후단에서 상향되는 후방 경사면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가이드홈은 저면을 형성하는 가이드면과, 상기 가이드면의 선단에서 상향되는 전방 경사면과, 상기 가이드면의 후단에서 상향되는 후방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가이드 돌기의 상기 전방 경사면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보조 가이드면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가이드면에서 상기 상부 베이스의 외측을 향하는 모서리는 만곡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이스와 상기 가이드돌기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상면패널과 상기 가이드홈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9. 상부 외형을 정의하며, 상부 측면패널 및 상부 베이스를 가지는 상부 캐비닛, 상부 캐비닛에 구비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상부 처리장치; 및
    하부 외형을 정의하며, 하부 측면패널과 및 하부 상면패널을 가지는 하부 캐비닛과 상기 하부 캐비닛에 구비되는 드럼을 포함하는 하부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적층식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이스의 하부에는 절연재질의 지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측면패널의 상부에 상기 하부 상면패널이 안착되며,
    상기 하부 상면패널의 상부에 상기 상부 베이스의 상기 지지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상부 측면패널 및 상기 하부 측면패널의 외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측면패널 및 상기 하부 측면패널은 이격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의 상면은 상기 상부 측면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 베이스의 측면은 상기 상부 측면패널과 이격되며,
    상기 하부 상면패널은 상기 상부 측면패널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측면패널은, 하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상부 수평 절곡면, 상기 상부 수평 절곡면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수직 절곡면 및 상기 수직 절곡면의 단부에서 상부로 절곡되는 베이스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베이스의 측면 및 상기 하부 상면패널의 측면은 상기 상부 측면패널과 이격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의 상면은 상기 상부 측면패널의 베이스 지지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측면패널은 내측으로 절곡되는 하부 수평 절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상면패널은 상기 하부 수평 절곡면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 절곡면과 상기 하부 수평 절곡면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측면패널의 상부에는 보강 프레임이 더욱 구비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하부 수평절곡면의 상면에 안착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하부 측면패널의 내측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평절곡면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1020230008049A 2020-03-05 2023-01-19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202300154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27778 2020-03-05
KR1020200027778 2020-03-05
KR1020200132544A KR102493057B1 (ko) 2020-03-05 2020-10-14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544A Division KR102493057B1 (ko) 2020-02-19 2020-10-14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491A true KR20230015491A (ko) 2023-01-31

Family

ID=74666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049A KR20230015491A (ko) 2020-03-05 2023-01-19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77559A1 (ko)
EP (1) EP3875659A1 (ko)
KR (1) KR20230015491A (ko)
CN (5) CN117005143A (ko)
AU (2) AU2021201454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8472S1 (en) * 2019-09-20 2022-07-1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CA196214S (en) * 2019-09-20 2022-04-01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USD964671S1 (en) * 2019-09-20 2022-09-20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USD960467S1 (en) * 2019-09-20 2022-08-0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JP1717870S (ja) * 2019-09-20 2022-06-22 洗濯用洗濯乾燥機
USD954367S1 (en) * 2019-09-20 2022-06-07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USD959766S1 (en) * 2019-09-20 2022-08-02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CA195072S (en) * 2019-09-20 2023-01-18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JP1717869S (ja) * 2019-09-20 2022-06-22 洗濯用洗濯乾燥機
USD959768S1 (en) * 2019-09-20 2022-08-02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USD963267S1 (en) * 2019-09-20 2022-09-0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CA199076S (en) * 2020-02-25 2023-06-21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washing and drying machine set for laundry purpose
JP1738470S (ja) * 2020-02-25 2023-03-08 洗濯用洗濯乾燥機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0583A (ja) * 2003-01-20 2005-01-06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KR20060005849A (ko) * 2004-07-14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하체결구조를 갖는 가전제품 및 그 체결방법
JP4685571B2 (ja) * 2005-09-22 2011-05-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5104578B2 (ja) * 2008-06-18 2012-1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EP2703536A1 (en) * 2012-08-31 2014-03-0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evice for connecting a first appliance with a second appliance
WO2017131444A1 (ko) * 2016-01-27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구동 유닛, 이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또는 트윈 세탁장치, 그리고 이의 제어방법
CN107587313B (zh) * 2016-07-07 2020-08-21 Lg电子株式会社 洗涤物处理装置
CN107780180B (zh) * 2016-08-30 2020-09-0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换热器和具有该换热器的洗衣机
KR102347850B1 (ko) * 2016-12-23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01454A1 (en) 2021-09-23
EP3875659A1 (en) 2021-09-08
CN116988260A (zh) 2023-11-03
AU2023202968A1 (en) 2023-06-01
CN117026571A (zh) 2023-11-10
CN113355841B (zh) 2023-08-18
CN113355841A (zh) 2021-09-07
AU2021201454B2 (en) 2023-02-16
US20210277559A1 (en) 2021-09-09
CN117005143A (zh) 2023-11-07
CN117026572A (zh)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15491A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102493055B1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102370121B1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CN113308844B (zh) 堆叠式衣物处理装置
KR102493057B1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102616497B1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US7043944B2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CN113308843B (zh) 堆叠式衣物处理装置
KR102613320B1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102616498B1 (ko) 적층식 의류 처리장치
KR20220083370A (ko)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