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072B1 - 교육용 물 소화기 - Google Patents

교육용 물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072B1
KR101594072B1 KR1020150032354A KR20150032354A KR101594072B1 KR 101594072 B1 KR101594072 B1 KR 101594072B1 KR 1020150032354 A KR1020150032354 A KR 1020150032354A KR 20150032354 A KR20150032354 A KR 20150032354A KR 101594072 B1 KR101594072 B1 KR 101594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handle
contain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로
Original Assignee
삼우산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산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산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2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육용 물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 및 공기공급부재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 및 보관이 더욱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교육용 물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물이 내장되는 내부수용부(11)를 갖는 용기(10);
하단부에 상기 용기(10) 입구와 체결되는 환형의 제1체결부(21), 전단부에 물 분출용 호스(H)가 체결되는 제2체결부(22), 상기 제1체결부(21) 및 제2체결부(22)와 상기 개구홀(24)을 연결하고 상기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와 연결되는 유로(26)를 포함하는 헤드부(20);
상기 헤드부(20)의 유로(26)를 개폐하는 개폐밸브(40);
상기 개폐밸브(40)를 승강시키는 손잡이(50);
상기 손잡이(50)와 개폐밸브(40) 사이에 배열되는 탄성체(4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의 내부에는 에어공급로(25)가 상기 유로(26)와 구획분리되어 일정구간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0)의 측단부에는 상기 에어공급로(25)의 상부와 연통되는 제3체결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21)의 외주연에는 상기 에어공급로(25)의 하부와 연통되는 요홈(29)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부(23)에는 공기의 흐름을 차폐하는 에어주입부(30)가 결합되어,
물은 상기 헤드부(20)의 제2체결부(22)와 유로(26)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로 주입되고,
에어는 상기 에어주입부(30)를 통해 헤드부(20)의 제3체결부(23), 에어공급로(25), 요홈(29)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에 주입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에어 및 물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구성을 소화기 몸체 둘레에 별도로 형성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관, 운반 및 사용 시에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기 내부의 에어 및 물의 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육용 물 소화기{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교육용 물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 및 공기공급부재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 및 보관이 더욱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교육용 물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교육용 물 소화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601호(2006.01.25.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배수장치가 있는 교육용 물 소화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소화기의 하단부의 형상이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화기 내부에 남아있는 물이 소화기 내부 중앙하부에 용이하게 모일 수 있도록 개선하였고, 하단부에 외부와 연결되는 구멍을 형성한 후, 구멍에 볼밸브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몸체 중단부에 형성된 물흡수구를 통해 물을 공급하고 물소화기를 사용한 후, 볼밸브를 개방하면 물이 소화기의 외부로 배출되어 소화기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게 함으로써, 소화기를 청결하게 보관하고 소화기 내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한 구성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의 물소화기에 의하면 소화기 몸체의 중단부에 물흡수구가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 시 돌출된 물흡수구로 인하여 타물체에 부딪히는 등 불편함이 있다.
또한 교육용 물소화기의 특성상 주로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 시 부딪혀서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소화기 내부의 물을 공급 및 배출 시, 물의 량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 및 물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구성을 소화기 몸체 둘레에 별도로 형성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사용 시에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교육용 물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화기 내부의 에어 및 물의 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육용 물 소화기는,

물이 내장되는 내부수용부(11)를 갖는 용기(10);
하단부에 상기 용기(10) 입구와 체결되는 환형의 제1체결부(21), 전단부에 물 분출용 호스(H)가 체결되는 제2체결부(22), 상기 제1체결부(21) 및 제2체결부(22)와 상기 개구홀(24)을 연결하고 상기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와 연결되는 유로(26)를 포함하는 헤드부(20);
상기 헤드부(20)의 유로(26)를 개폐하는 개폐밸브(40);
상기 개폐밸브(40)를 승강시키는 손잡이(50);
상기 손잡이(50)와 개폐밸브(40) 사이에 배열되는 탄성체(4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의 내부에는 에어공급로(25)가 상기 유로(26)와 구획분리되어 일정구간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0)의 측단부에는 상기 에어공급로(25)의 상부와 연통되는 제3체결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21)의 외주연에는 상기 에어공급로(25)의 하부와 연통되는 요홈(29)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부(23)에는 공기의 흐름을 차폐하는 에어주입부(30)가 결합되어,

물은 상기 헤드부(20)의 제2체결부(22)와 유로(26)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로 주입되고,
에어는 상기 에어주입부(30)를 통해 헤드부(20)의 제3체결부(23), 에어공급로(25), 요홈(29)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에 주입되게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교육용 물 소화기는,
에어 및 물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구성을 소화기 몸체 둘레에 별도로 형성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사용 시에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화기 내부의 에어 및 물의 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육용 물 소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육용 물 소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밸브가 폐쇄된 헤드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폐밸브가 개방된 헤드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폐쇄된 카플링밸브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개방된 카플링밸브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에어주입부와 에어공급부재가 분리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손잡이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 정하고, 용기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정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육용 물 소화기는,
크게 용기(10), 헤드부(20), 에어주입부(30), 개폐밸브(4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용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소화기용 용기로서,
물이 내장되는 내부수용부(11), 그리고 상부 입구 측에 형성된 제1대응체결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용기 둘레에는 내부수용부(11)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창(13)이 형성될 수 있는데, 확인창(13)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시부(131), 투시부(131)의 둘레를 감싸는 테두리부(132)로 이루어지고, 볼트나 용접 등을 통해 용기와 결합 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내부수용부(11)의 물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확인창(13)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시부(131)에는 표시부(133)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정확한 물의 충전량을 확인하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33)는 눈금이나 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 입구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10) 입구의 제1대응체결부(12)와 체결되는 환형의 제1체결부(21),
전단부에 물 분출용 호스(H)가 체결되는 제2체결부(22),
삭제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홀(24),
삭제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체결부(21, 22,)와 상기 개구홀(24)을 연결하고 상기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와 연결되는 유로(2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제1체결부(21), 제2체결부(22) 및 개구홀(24)은 상기 유로(25)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와 연결되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의 내부에는 에어공급로(25)가 상기 유로(26)와 구획분리되어 일정구간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0)의 측단부에는 상기 에어공급로(25)의 상부와 연통되는 제3체결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21)의 외주연에는 상기 에어공급로(25)의 하부와 연통되는 요홈(29)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부(23)에는 공기의 흐름을 차폐하는 에어주입부(30)가 결합 된다.
삭제
또한 상기 헤드부(20)는 상기 유로(26)에서 상기 제1체결부(21) 측에 위치한 유로(26)에 형성되는 결합부(27)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27)에는 단부가 상기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에 내장된 물에 잠기는 인출관(28)이 연결된다.
에어주입부(3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의 공급 및 배출을 단속하는 카플링밸브(311)와 밸브스프링(312)가 내재된 원통체 형상의 본체(31),
상기 본체(3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3체결부(23)에 체결되는 니플(32),
상기 본체(31)의 선단부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선단부 외주면에 방사상(放射狀)으로 장착된 록킹볼(331)과 압축스프링(332)에 의해 진퇴(進退)하는 작동관(33)으로 이루어진다.
개폐밸브(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20)에 장착되어 상기 유로(26)의 물 흐름을 개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一端部)에 형성되는 패킹부(41), 그리고
타단부(他端部)에 형성되는 피가압부(4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헤드부(20)의 유로(26)에서 상기 제1체결부(21) 측에 위치한 유로(26) 내로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20)의 개구홀(24)에 끼워지되, 상기 패킹부(41)는 상기 유로(26)에 위치하고 상기 피가압부(42)는 외부로 노출되게 끼워진다.
결국 상기 패킹부(41)는 상기 유로(26)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유로(26)를 차단하고 있고, 상기 피가압부(42)는 상기 개구홀(24) 상부로 노출되게 끼워지고, 노출된 상기 피가압부(42)는 상기 손잡이(50)와 접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패킹부(41)는 밀폐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기의 손잡이(50)와 개폐밸브(40)의 파가압부(42) 사이에는 탄성체(43)가 배열되는데, 손잡이(50)에 대한 누름 동작 시 하강했던 상기 개폐밸브(40)가 자동 복귀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손잡이(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밸브(40)의 피가압부(42)와 접촉되게 상기 헤드부(20)에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상부 및 하부 손잡이(51, 52)로 나누어져 있고,
각 손잡이(51, 52)는 힌지 축(53)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상기 헤드부(2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손잡이(51, 52) 중 하나의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손잡이(51)의 하강을 방지하는 통상의 안전핀(5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손잡이(52)에는 그 단부에 상하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걸림고리(521)가 형성되고, 상부손잡이(51)의 상부에는 걸림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물 소화기의 에어 및 물 공급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손잡이(50)에 대한 동작 전 상태, 즉 비(非)사용 상태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밸브(40)의 패킹부(41)가 상기 헤드부(20)의 유로(26)를 차단하고 있다.
따라서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로 물을 투입하기 위해서는 유로(26)를 개방해야 하기 때문에, 우선 도 4에서와 같이, 손잡이(50)를 눌러서 상기 개폐밸브(40)의 피가압부(32)를 가압한다.
그러면 상부손잡이(51)가 상기 힌지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피가압부(32)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피가압부(32)가 눌리게 됨에 따라 하강하는 상기 개폐밸브(40)의 패킹부(41)가 차단하고 있던 유로(26)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손잡이(52)의 걸림고리(521)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하강된 상부손잡이(51)의 걸림홈(511)에 걸리도록 한다.
그러면 상부손잡이(51)가 피가압부(32)를 누른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잡이(50)에서 손을 제거하더라도 유로(26)는 개방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고리(521) 및 걸림홈(511)은 사용자가 좀더 용이하게 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호스(H)를 통해 물을 투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은 호스(H)를 통해 이동하고, 제2체결부(22)를 통해 유로(26)로 유입된다.
유로(26)에 유입된 물은 유로(26)의 하방으로 이동하다가 결합부(27)를 통해 인출관(28)으로 유입되고 인출관(28)을 통과하여 내부수용부(11)로 배출된다.
즉, 물은 상기 헤드부(20)의 제2체결부(22)와 유로(26)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로 주입되는 것이다.
이때 용기(10)에 형성된 확인창(13)을 통해 물의 량을 조절하여 필요량을 투입하면 된다.
한편, 물의 투입이 완료 되면 상기 손잡이(50)에 대한 누름 동작을 해제시킨다.
그러면 상기 탄성체(43)에 의해 복귀하게 되는 상기 개폐밸브(40)의 패킹부(41)가 유로(26)를 다시 차단하게 된다.
에어의 공급과정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주입부(30)의 비(非)사용 상태에서는 카플링밸브(311)가 에어주입부(30) 내부의 유로를 차단하고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주입부(30)를 통해 내부수용부(11)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에어발생장치(예: 에어콤프레셔)와 연결된 에어공급부재(70)를 상기 에어주입부(30)에 결합한다.
이때 에어공급부재(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발생장치와 에어주입부(30)를 연결하는 것으로,
카플러플러그(71)와 볼밸브(72)로 이루어지는데,
카플러플러그(71)는,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바디(712), 상기 바디(712)의 선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부(713) 및 상기 바디(712)의 후단부와 상기 테이퍼부(713) 사이에 바디(7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록킹홈(714)으로 이루어진다.
볼밸브(72)는,
상기 바디(712)의 후단부와 연결되며 내부유로를 갖는 밸브몸체부(721) 및 밸브몸체부(721) 중앙에 연결된 밸브핸들부(722)로 이루어져, 에어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밸브몸체부(721)의 양단부에는 상기 카플러플러그(71)가 각각 나사결합되어, 일측의 카플러플러그(71)는 상기 에어주입부(30)와 연결되고, 타측의 에어플러그(71)는 에어발생장치와 연결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발생장치와 연결된 에어공급부재(70)를 상기 에어주입부(30)에 결합하는데, 이때 볼밸브(72)가 잠긴 상태에서 에어공급부재(70)와 에어주입부(30)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에어주입부(30)의 작동관(33)을 상기 헤드부(20) 방향으로 후진 시킨 상태에서, 상기 카플러플러그(71)의 테이퍼부(713)를 에어주입부(30)의 본체(31) 내부로 삽입시킨다.
그러면 테이퍼부(713)의 단부가 본체(31)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서 테이퍼부(713)가 본체(31) 내부에 배치된 카플링밸브(311)를 밀어서 카플링밸브(311)를 개방시키게 되는데, 이때 테이퍼부(713)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던 록킹볼(331)이 카플러플러그(71)에 형성된 록킹홈(714)에 삽입된다.
그리고 후진시켰던 작동관(33)을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카플링밸브(311)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에어공급부재(70)와 에어주입부(3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에어공급부재(70)와 에어주입부(30)가 결합이 되면, 잠겨 있던 상기 볼밸브(72)의 밸브핸들부(722)를 천천히 개방한다.
따라서 에어발생장치의 에어가 에어공급부재(70) 및 에어주입부(30)를 지나 제3체결부(23)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3체결부(23)로 이동한 에어는,
상기 헤드부(20)의 측단부에 형성된 에어공급로(25)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고, 에어공급로(25)를 경유하여 에어공급로(25)의 하부와 연통되는 요홈(29)으로 유입되며, 상기 요홈(29)을 경유하여, 상기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에 주입된다.
즉, 에어는 에어주입부(30)를 통해 헤드부(20)의 제3체결부(23), 에어공급로(25), 요홈(29)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에 주입되는 것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상기 헤드부(20)와 상기 용기(10)의 결합 시,
헤드부(20)의 제1체결부(21)와 용기(10)의 제1대응체결부(12) 사이에 위치한 상기 헤드부(20)의 요홈(29)에 의해서, 상기 헤드부(20)의 제3체결부(23)와 상기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가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이 핵심인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헤드부(20)는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헤드부(20)의 구성 하나만으로 물공급과 에어공급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제작 비용 또한 낮출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물 및 에어가 공급되는 이동 경로가 헤드부(20)의 내부에서 각각 구획분리된 구성이기 때문에, 물 및 에어의 주입이 용이하다.
필요량의 에어가 내부수용부(11)로 공급되면, 볼밸브(72)를 잠근 후 상기 에어주입부(30)의 작동관(33)을 다시 헤드부(20) 방향으로 후진시킨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플러플러그(71)를 에어주입부(30)에서 분리하면, 카플러플러그(71)에 의해 개방 되어 있던 카플링밸브(311)가 다시 폐쇄된다.
이때 작동관(33)에서 손을 떼면 압축스프링(332)에 의해 작동관(33)은 다시 헤드부(20)의 반대 방향으로 원위치 된다.
그러면 에어공급부재(70)가 에어주입부(30)로 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물 소화기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소화기 몸체의 중단부에 물 및 에어의 흡수구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소화기에 비해 보관 및 운반은 물론 사용 시에도 사용자가 부딪히는 불편함 없이 사용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확인창(13)으로 인하여, 소화기 내부에 물을 공급 및 배출 시, 물의 량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교육용 물 소화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용기
11 ; 내부수용부 12 ; 제1대응체결부
13 ; 확인창
131 ; 투시부 132 ; 테두리부
133 ; 표시부
20 ; 헤드부
21 ; 제1체결부 22 ; 제2체결부
23 ; 제3체결부 24 ; 개구홀
25 ; 에어공급로 26 ; 유로
27 ; 결합부 28 ; 인출관
29 ; 요홈
30 ; 에어주입부
31 ; 본체
311 ; 카플링밸브 312 ; 밸브스프링
32 ; 니플
33 ; 작동관
331 ; 록킹볼 332 ; 압축스프링
40 ; 개폐밸브
41 ; 패킹부 42 ; 피가압부
43 ; 탄성체

50 ; 손잡이
51 ; 상부손잡이 52 ; 하부손잡이
53 ; 힌지축 54 ; 안전핀
511 ; 걸림홈 521 ; 걸림고리
70 ; 에어공급부재
71 ; 카플러플러그
711 ; 바디
713 ; 테이퍼부
714 ; 록킹홈
72 ; 볼밸브
721 ; 밸브몸체부
722 ; 밸브핸들부
H ; 호스

Claims (7)

  1. 물이 내장되는 내부수용부(11)를 갖는 용기(10);
    하단부에 상기 용기(10) 입구와 체결되는 환형의 제1체결부(21), 전단부에 물 분출용 호스(H)가 체결되는 제2체결부(22),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홀(24), 상기 제1체결부(21) 및 제2체결부(22)와 상기 개구홀(24)을 연결하고 상기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와 연결되는 유로(26)를 포함하는 헤드부(20);
    상기 헤드부(20)의 유로(26)를 개폐하는 개폐밸브(40);
    상기 개폐밸브(40)를 승강시키는 손잡이(50);
    상기 손잡이(50)와 개폐밸브(40) 사이에 배열되는 탄성체(4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육용 물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의 내부에는 에어공급로(25)가 상기 유로(26)와 구획분리되어 일정구간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0)의 측단부에는 상기 에어공급로(25)의 상부와 연통되는 제3체결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21)의 외주연에는 상기 에어공급로(25)의 하부와 연통되는 요홈(29)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체결부(23)에는 공기의 흐름을 차폐하는 에어주입부(30)가 결합되어,

    물은 상기 헤드부(20)의 제2체결부(22)와 유로(26)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로 주입되고,
    에어는 상기 에어주입부(30)를 통해 헤드부(20)의 제3체결부(23), 에어공급로(25), 요홈(29)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용기(10)의 내부수용부(11)에 주입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물 소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주입부(30)는,
    에어를 단속하는 카플링밸브(311)와 밸브스프링(312)가 내재된 원통체 형상의 본체(31);
    상기 본체(3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3체결부에 체결되는 니플(32);
    상기 본체(31)의 선단부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선단부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장착된 록킹볼(331)과 압축스프링(332)에 의해 진퇴(進退)하도록 이루어진 작동관(33);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물 소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50)는,
    상기 개폐밸브(40)와 접하게 되는 상부손잡이(51);
    힌지축(53)에 의해 상기 상부손잡이(51)와 연결되는 하부손잡이(52);
    상기 하부손잡이(52)에 상하 회전하도록 형성된 걸림고리(521);
    로 이루어져,
    상부손잡이(51)를 힌지축(53)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걸림고리(521)를 상부손잡이(51)에 걸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물 소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손잡이(51)는,
    상기 하부손잡이(52)의 걸림고리(521)가 걸리는 걸림홈(511)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물 소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에는 물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물 소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창(13)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물 소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창(13)에는 표시부(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물 소화기.


KR1020150032354A 2015-03-09 2015-03-09 교육용 물 소화기 KR101594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354A KR101594072B1 (ko) 2015-03-09 2015-03-09 교육용 물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354A KR101594072B1 (ko) 2015-03-09 2015-03-09 교육용 물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072B1 true KR101594072B1 (ko) 2016-02-15

Family

ID=5535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354A KR101594072B1 (ko) 2015-03-09 2015-03-09 교육용 물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1342B2 (en) 2019-03-29 2024-04-09 Carrier Corporation Nozzle and valve assembly for a fire extinguish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411B1 (ko) * 2008-05-10 2008-09-12 최완형 체크밸브 장착용 블록 및 이 블록을 이용한 체크밸브가장착된 소화기
US20110214885A1 (en) 2008-12-23 2011-09-08 Mauney Ronald C Fire extinguisher and discharge nozzle assembly
JP2012110503A (ja) * 2010-11-25 2012-06-14 Yamato Protec Co 訓練用水消火器及び訓練用水消火器への水充填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411B1 (ko) * 2008-05-10 2008-09-12 최완형 체크밸브 장착용 블록 및 이 블록을 이용한 체크밸브가장착된 소화기
US20110214885A1 (en) 2008-12-23 2011-09-08 Mauney Ronald C Fire extinguisher and discharge nozzle assembly
JP2012110503A (ja) * 2010-11-25 2012-06-14 Yamato Protec Co 訓練用水消火器及び訓練用水消火器への水充填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1342B2 (en) 2019-03-29 2024-04-09 Carrier Corporation Nozzle and valve assembly for a fire extingui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13671B (zh) 气体注射器填充装置及其制造和使用方法
JP6105707B2 (ja) 自動車の緊急パンク修理キット
JP3229549U (ja) 自動車用タイヤのエアーノズル及び空気圧縮機のフレキシブル管コネクタに結合される噴出防止装置
KR101594072B1 (ko) 교육용 물 소화기
KR200448964Y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분무기
TWM572946U (zh) Check connector structure of tandem hose for vehicle air compressor
CN110538367A (zh) 一种手动式双喷头鼻腔给药定量可调气雾泵
KR101752166B1 (ko) 액체소화기
US3632045A (en) Portable fluid container
JP4377097B2 (ja) 手持ち可能なポンプ噴霧装置
WO2012155224A1 (pt) Pulverizador portátil seguro
US20080268990A1 (en) Toy Ball
KR101161939B1 (ko) 공기 탱크 일체형 분무기
CN110613907B (zh) 六氟丙烷灭火器及其喷射装置
KR100946284B1 (ko) 물총완구
KR100570307B1 (ko) 수압을 이용한 분무 장치 및 분무 방법
TWI535472B (zh) Fire extinguisher intake structure
JP3790850B2 (ja) スプレー缶システムにおけるエア注入具
CN207906540U (zh) 一种新型的灭火装置容器阀
CN210057041U (zh) 一种备用氧气袋
KR100793948B1 (ko) 카드레이지식 축압 분말 소화기
CN219049840U (zh) 一种瓶塞穿刺器
KR200474528Y1 (ko) 에어 건
KR200258493Y1 (ko) 소방교육용 소화기
JPS5827439B2 (ja) タイヤの内圧注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