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365B1 - 디지털 스크린과 인쇄 매체가 결합된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스크린과 인쇄 매체가 결합된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365B1
KR101592365B1 KR1020140070671A KR20140070671A KR101592365B1 KR 101592365 B1 KR101592365 B1 KR 101592365B1 KR 1020140070671 A KR1020140070671 A KR 1020140070671A KR 20140070671 A KR20140070671 A KR 20140070671A KR 101592365 B1 KR101592365 B1 KR 101592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us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748A (ko
Inventor
한상택
김선기
양정윤
Original Assignee
(주)피엑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엑스디 filed Critical (주)피엑스디
Priority to KR102014007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365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지털 스크린과 인쇄 매체가 결합된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정보 안내부, 상기 인쇄정보 안내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투명 상태를 유지하거나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증강정보를 표시하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에 의한 인터페이스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인터페이스 신호에 따라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증강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어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스크린과 인쇄 매체가 결합된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APPRATUS FOR PROVIDING AUGMENTED INFORMATION COMBINED WITH DIGITAL SCREEN AND PRINTED MEDIA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스크린과 인쇄 매체가 결합된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도 정보 및 대중 교통 정보 등을 제공하는 기존의 인쇄 안내판에 투명화가 가능하면서도 증강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스크린을 부착함으로써, 여러 사람에게 필요한 공통의 정보인 지도 정보 및 대중 교통 정보 등과 함께 개인화된 증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버스 정류장에는 공공 안내 시스템으로서 종이 등의 인쇄 매체를 활용한 정보 안내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 안내판은 많은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찾는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적합하나, 개인화된 다양한 정보들이나 동적으로 변화하는 정보들을 제공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최근에는 지하철이나 버스 정류장에 기존의 인쇄 매체를 활용한 정보 안내판을 디지털 매체로 대체하는 시도가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공장소에 설치된 디지털 매체는 개인용으로 사용할 때 몰입해서 사용하고 상세한 조작을 통해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는 적합하지만, 조작이 복잡하고 각 사용자마다 사용 경향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사람에게 필요한 공통의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공공 안내 시스템에는 부적합한 면이 존재한다.
따라서, 여러 사람에게 필요한 공통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쇄 매체의 장점과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적합한 디지털 매체의 장점을 융합하여 극대화할 수 있는 공공 안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도 정보 및 대중 교통 정보 등을 제공하는 기존의 인쇄 안내판에 투명화가 가능하면서도 증강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스크린을 부착함으로써, 여러 사람에게 필요한 공통의 정보인 지도 정보 및 대중 교통 정보 등과 함께 개인화된 증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정보 안내부, 상기 인쇄정보 안내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투명 상태를 유지하거나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증강정보를 표시하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에 의한 인터페이스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인터페이스 신호에 따라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증강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어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은, 지도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지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추가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위성지도, 부분 확대 지도 및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지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목적지 검색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위치,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갈림길의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은, 버스정보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버스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버스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버스의 현재 위치, 상기 버스의 경로 정보, 상기 버스의 도착 예상 시간, 상기 버스의 정류장 위치, 현재 시간 및 사용자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광고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가 상기 제1 기준 거리 미만이고 제2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인쇄정보 안내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가 상기 제2 기준 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정보 입력 안내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환경 정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는,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증강정보를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사용자 입력 종료 신호이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정보 안내부,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증강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가 사용자에 의한 인터페이스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어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은, 지도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지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추가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위성지도, 부분 확대 지도 및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증강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지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목적지 검색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위치,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갈림길의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증강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은, 버스정보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버스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버스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버스의 현재 위치, 상기 버스의 경로 정보, 상기 버스의 도착 예상 시간, 상기 버스의 정류장 위치, 현재 시간 및 사용자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증강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광고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가 상기 제1 기준 거리 미만이고 제2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인쇄정보 안내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가 상기 제2 기준 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정보 입력 안내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환경 정보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인쇄정보 안내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투명 상태를 유지하거나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증강정보를 표시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강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사용자 입력 종료 신호이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증강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은, 지도 정보 및 대중 교통 정보 등을 제공하는 기존의 인쇄 안내판에 투명화가 가능하면서도 증강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스크린을 부착함으로써, 여러 사람에게 필요한 공통의 정보인 지도 정보 및 대중 교통 정보 등과 함께 개인화된 증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은, 평상 시에는 디지털 스크린이 투명화되어 있고 사용자가 근접하여 개인화된 추가 정보를 얻으려고 하는 경우에만 디지털 스크린이 동작되므로, 무리하게 사용자의 주의를 끌지 않을 수 있어 공공 안내 시스템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개인화된 정보를 안내판의 필요한 부분에만 표시하고 다른 영역은 투명 상태가 유지되므로 여러 사용자가 사용 중일 경우에도 다른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지도 정보 및 대중 교통 정보 등의 증강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제1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제2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제3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제4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lowchart)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방법의 S73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Flowchart)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쇄정보 안내부(110),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정보 안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다. 일례로서, 인쇄정보 안내부(11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는 지도정보 표시 영역, 버스정보 표시 영역 및 주요장소 표시 영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쇄정보 안내부(110)는 종이와 같은 인쇄매체로 구현될 수 있고, 지하철역 내 또는 버스정류장 등의 장소에 설치되는 주변 지도 안내물과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인쇄정보 안내부(11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추가로 상술하기로 한다.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는, 인쇄정보 안내부(110)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투명 상태를 유지하거나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증강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증강정보는 정지 상태의 사진 또는 동적으로 변화하는 영상 등일 수 있고,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인터페이스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는 사용자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를 조작하는 인터페이스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는 터치스크린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 신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는 상기 터치 신호를 인터페이스 신호로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는 근접센서, 동작인식센서, 시선인식센서, 위치인식센서 및 음성인식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 전방의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거리, 동작, 시선, 위치 및 음성 등을 감지하여 인터페이스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근접센서(미도시)는, 사용자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는 센서에 접근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인식센서(미도시)는, 인식범위 내의 인체로 적외선을 송출한 후 인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인체의 중요 관절 부위를 복수 개의 점(예: 20개)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체의 움직임, 속도 및 위치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인식센서는, 깊이 센서(Depth Sensor)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작인식센서와 감지된 인체까지의 거리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작인식센서는, 터치스크린과 달리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터치하지 않고 근접한 상태에서도 인식이 가능하므로 화면과 이격된 상태에서도 인터페이스 조작이 가능한 에어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인식범위 내에 여러 사람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여러 사람을 분리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상기 동작인식센서는 모션 캡쳐(Motion Capture) 및 음성 인식이 가능한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키넥트"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동작인식센서는 대략적으로 40cm ~ 4m의 거리에 있는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인식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동작인식센서에서 생성되는 동작 인식 신호는 동작인식센서에서 감지된 인체의 움직임 및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감지된 인체의 중요 관절 부위를 표현한 복수 개의 점들의 위치 정보 및 깊이(Depth)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인체에서 가장 가까운 부분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깊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선인식센서(미도시)는, 사람의 동공을 세밀하게 추적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어느 방향을 향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서,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 전방의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 사용자의 시선이 유지되는 시간 등)를 포함하는 시선 인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인식센서(미도시)는, 사용자가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 전방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적외선 위치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치인식센서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 전방의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사용자가 서있는 위치,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 서있는 시간 등)를 포함하는 위치 인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인식센서(미도시)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 전방의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음성인식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음성인식센서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 전방의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인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는 상기 동작 인식 신호, 시선 인식 신호, 위치 인식 신호, 음성 인식 신호 등을 인터페이스 신호로서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가, 근접센서, 동작인식센서, 시선인식센서, 위치인식센서 및 음성인식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는 이외에도 다양한 인식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근접센서, 동작인식센서, 시선인식센서, 위치인식센서 및 음성인식센서 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로부터 입력받은 인터페이스 신호에 따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의 투명 상태를 유지하거나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증강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따라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어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지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추가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위성지도, 부분 확대 지도 및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지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목적지 검색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현재 위치,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갈림길의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버스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버스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버스의 현재 위치, 상기 버스의 경로 정보, 상기 버스의 도착 예상 시간, 상기 버스의 정류장 위치, 현재 시간 및 사용자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주요장소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주요장소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현재 위치, 주요장소까지의 경로 및 갈림길의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광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미만이고 제2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를 투명 상태로 전환하여 인쇄정보 안내부(110)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하며, 사용자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거리가 제2 기준 거리 미만인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정보 입력 안내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사용자 입력 종료 신호이거나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를 투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환경 정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환경 정보에는 날짜 정보, 시간 정보 및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의 사용자 연령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주중에 표시되는 증강정보와 주말에 표시되는 증강정보, 낮 시간에 표시되는 증강정보와 밤 시간에 표시되는 증강정보 등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주말에 증강정보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주변 지도를 탐색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요청한 증강정보 이외에도 주말에 유용한 정보인 주변의 카페, 음식점, 쇼핑 센터 등의 정보를 추가로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중에 증강정보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주변 지도를 탐색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요청한 증강정보 이외에도 주중에 유용한 정보인 주변의 은행, 파출소, 기업 건물 등의 정보를 추가로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상기 환경 정보에 따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증강정보의 중요도를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주말에 증강정보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여 주변 지도를 탐색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주말에 유용한 정보인 주변의 카페, 음식점, 쇼핑 센터 등의 정보를 다른 정보보다 더욱 크게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고, 더욱 진하게 표시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에서 가장 잘 보이는 위치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는 환경 정보에 따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상황에 적합한 증강정보를 추가로 표시하거나 증강정보의 중요도를 다르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에는 날짜 및 시간을 판단할 수 있는 타이머(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고,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환경 정보에 따라 추가되는 증강정보들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는,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증강정보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는 지하철 역이나 버스 정류장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동시에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복수 명의 사용자를 인식하여 각각의 증강정보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CPU 프로세서와 같은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제어부(140) 또는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수행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140)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미도시)는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일반적인 저장수단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실시예이고, 도 2의 (b)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실시예로서, 모두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가 인쇄정보 안내부(110)와 분리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실제로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가 인쇄정보 안내부(110)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쇄정보 안내부(110),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 및 본체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나 본체부(150)에 설치될 수 있고, 제어부(140)는 본체부(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정보 안내부(110)는, 주요장소 표시 영역(111), 지도정보 표시 영역(112) 및 버스정보 표시 영역(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요장소 표시 영역(111)에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요장소(예: 영화관, 공원, 관공서 등)가 표시될 수 있고, 지도정보 표시 영역(112)에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110)의 주변 지역의 지도가 표시될 수 있으며, 버스정보 표시 영역(113)에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110)의 주변 위치를 지나는 버스들의 노선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인쇄정보 안내부(110)에 지도정보 표시 영역(111), 버스정보 표시 영역(112) 및 주요장소 표시 영역(113)이 포함된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인쇄정보 안내부(110)에는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공공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해당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뒤의 배경이 투과되는 투명 상태에서 일영역에 증강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및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쇄정보 안내부(110),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123, 125)로 구현되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 및 본체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나 본체부(150)에 설치될 수 있고, 제어부(140)는 본체부(1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123, 125)는, 투명 스크린부(123) 및 프로젝터부(1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투명 스크린부(123)는 전면투사형 투명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고, 콜레스테릭 액정(Cholesteric Liquid Crystal) 소재 등을 사용하여 프로젝터부(125)에서 조사되는 빛을 선별적으로 반사하고 나머지 빛은 투과함으로써 투명하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스크린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부(125)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스크린부(123)에 전체적으로 증강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로젝터부(125)에서 영상을 조사하지 않는 경우에는 투명 스크린부(123)를 통해서 뒤쪽의 인쇄정보 안내부(110)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고, 프로젝터부(125)에서 증강정보를 조사하는 경우에는 투명 스크린부(123)에 해당 증강정보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증강정보와 함께 인쇄정보 안내부(110)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는, 지도 정보 및 대중 교통 정보 등을 제공하는 인쇄정보 안내부(110) 앞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나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를 배치하여 인쇄된 안내정보를 보완하는 상세한 디지털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제1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지도정보 표시 영역(112)에 대응되고 추가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위성지도, 부분 확대 지도 및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개인화된 추가정보를 얻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80)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된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접근하여 양 손의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추가정보를 얻기 위한 영역(31)을 특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가 터치스크린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양 손의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를 터치함으로써 상기 영역(31)을 특정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가 동작인식센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와 이격된 상태에서도 에어 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영역(31)을 특정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180)가 상기 영역(31)을 특정한 인터페이스 신호가 지도정보 표시 영역(112)의 위치에 대응되고 추가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의 상기 영역(31)에 해당 부분을 확대한 지도인 부분 확대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40)는, 양 손의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영역(31)을 특정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이외에도 한 손의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영역(31)을 특정하거나 양 손의 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영역(31)을 특정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동작 인식 신호를 추가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추가정보 표시 신호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 신호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저장된 추가정보 표시 신호와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인터페이스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입력받은 인터페이스 신호가 추가정보 표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영역(31)의 부분 확대 지도 상단에 추가 입력 버튼(32, 33, 34)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사용자가 좌측 버튼(32)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영역(31)을 위성에서 촬영한 실제 사진인 위성지도를 표시할 수 있고, 중앙 버튼(33)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영역(31)의 부분 확대 지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우측 버튼(34)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영역(31)에 포함되는 거리를 실제로 촬영한 사진인 스트리트뷰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180)는 자신이 선택한 영역(31)에 대한 다양한 추가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외에도 상기 영역(3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넘기는 인터페이스 방법으로 위성지도, 부분 확대 지도 및 스트리트뷰 등을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는,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40)는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증강정보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에도 서로 다른 증강정보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에 개인화된 정보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의 필요한 부분에만 표시하고 다른 영역은 투명 상태가 유지되므로 여러 사용자가 사용 중일 경우에도 다른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지도 정보 및 대중 교통 정보 등의 증강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입력받은 인터페이스 신호가 사용자 입력 종료 신호이거나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를 투명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제어부(140)는, 더 이상의 사용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었던 증강정보를 제거하고 다시 투명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40)는, 양 손을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멀리 이격시키거나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취소 버튼을 터치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동작 인식 신호를 사용자 입력 종료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제2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지도정보 표시 영역(112)에 대응되고 목적지 검색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현재 위치,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갈림길의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목적지를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80)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된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접근한 후 경로를 알고자 하는 목적지(41)를 터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180)의 인터페이스 조작은 실시예에 따라 직접 터치 또는 에어 터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180)가 상기 목적지(41)를 터치한 위치가 지도정보 표시 영역(112)의 위치에 대응되고 터치에 따른 인터페이스 신호가 목적지 검색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현재 위치(42), 목적지의 위치(43), 목적지까지의 경로(44), 갈림길의 스트리트뷰(45) 및 목적지의 스트리트뷰(46) 중 적어도 하나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갈림길의 스트리트뷰(45)에는 갈림길의 실제 모습과 가야할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위치(42)로부터 목적지(43)까지의 거리가 도보로 가기에는 먼 거리인 경우 제어부(140)는 버스노선 정보 등 대중교통 정보가 포함된 경로 정보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180)는 자신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 경로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고, 해당 사용자(180)가 사용자 입력 종료 신호를 입력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었던 증강정보들(42, 43, 44, 45, 46)은 사라지고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는 전체 투명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80)가 주요장소 표시 영역(111)의 주요장소를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터치된 주요장소에 대한 경로 정보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목적지(41)를 터치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이외에도 목적지(41)를 오랫동안 응시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목적지(41)를 음성으로 말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동작 인식 신호, 시선 인식 신호 및 음성 인식 신호 등을 목적지 검색 신호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제3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버스정보 표시 영역(113)에 대응되고 버스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버스의 현재 위치, 상기 버스의 경로 정보, 상기 버스의 도착 예상 시간, 상기 버스의 정류장 위치, 현재 시간 및 사용자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버스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80)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된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접근한 후 버스정보 표시 영역(113)에서 경로를 알고자 하는 버스노선을 터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180)의 인터페이스 조작은 실시예에 따라 직접 터치 또는 에어 터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된 버스정보 표시 영역(113)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사용자(180)가 330번 버스 노선을 터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c)는 지도정보 표시 영역(112)에 330번 버스에 관한 노선정보가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제어부(140)는 사용자(180)가 버스노선을 터치하여 인터페이스 신호가 버스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버스의 현재 위치(51), 버스의 노선번호(52), 버스 정류장의 위치(53), 사용자(180)의 위치(54), 버스의 경로 정보(55), 버스 정류장까지의 경로 정보(56), 버스 정류장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57) 및 버스의 도착 예상 시간(58)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c)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140)는 현재 시간을 별도의 위치에 더 표시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버스 정류장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57) 및 버스의 도착 예상 시간(58) 대신 버스 정류장 도착 예상 시각 및 버스의 도착 예상 시각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180)는 자신이 알고자 하는 버스의 노선 정보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고, 해당 사용자(180)가 사용자 입력 종료 신호를 입력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었던 증강정보들(51 ~ 58)은 사라지고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는 전체 투명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버스노선을 터치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이외에도 버스노선을 오랫동안 응시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버스노선을 음성으로 말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동작 인식 신호, 시선 인식 신호 및 음성 인식 신호 등에 따라 버스정보 표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제4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쇄정보 안내부(110) 및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는, 사용자(180)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180)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이상(a)인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광고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사용자(180)의 위치가 A 지점보다 멀리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처에 사용자(180)가 없거나 사용자(180)가 인쇄정보 안내부(110)에 표시된 지도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부분적으로 광고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180)에게 광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1 기준 거리(a)는 4~5m 정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사용자(180)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 사이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a) 미만이고 제2 기준 거리(b) 이상인 경우에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를 투명 상태로 전환하여 인쇄정보 안내부(110)가 사용자(180)에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180)가 A 지점과 B 지점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180)가 인쇄정보 안내부(110)의 정보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서 광고 정보를 제거하고 투명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인쇄정보 안내부(110)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2 기준 거리(b)는 50~100cm 정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사용자(180)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 사이의 거리가 제2 기준 거리(b) 미만인 경우에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정보 입력 안내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180)가 B 지점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180)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를 조작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180)의 이용 편의를 위하여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정보 입력 안내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는 정보 입력 안내 메뉴로서 간단한 사용 방법을 안내하는 메뉴 버튼이나 개인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메뉴가 부분적으로 표시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보 입력 안내 메뉴의 표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는, 주변의 사용자(180)를 인지하여 사용자(180)의 접근과 그 거리에 따라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는, 평상 시에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가 투명화되어 있고 사용자(180)가 근접하여 개인화된 추가 정보를 얻으려고 하는 경우에만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가 동작되므로, 무리하게 사용자의 주의를 끌지 않을 수 있어 공공 안내 시스템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Flowchart)이다. 도 7에 도시된 증강정보 제공 방법(700)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증강정보 제공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증강정보 제공 방법(700)은,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가 사용자(180)에 의한 인터페이스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하는 단계(S7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증강정보 제공 방법(700)은, 제어부(140)에서 인터페이스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로부터 입력받은 인터페이스 신호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인터페이스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인터페이스 신호라도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르게 판단해야 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40)에서 인터페이스 신호가 대응되는 인쇄정보 표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증강정보 제공 방법(700)은, 제어부(140)가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따라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어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결정하는 단계(S73)를 포함할 수 있다. S73 단계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추가로 상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증강정보 제공 방법(700)은, 사용자(180)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하는 단계, 및 제어부(140)가 사용자(180)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a) 이상인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광고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180)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a) 미만이고 제2 기준 거리(b) 이상인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를 투명 상태로 전환하여 인쇄정보 안내부(110)가 사용자(180)에게 표시되도록 하며, 사용자(180)와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거리가 제2 기준 거리(b) 미만인 경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정보 입력 안내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증강정보 제공 방법(700)은, 제어부(140)가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증강정보 제공 장치(100)의 환경 정보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증강정보 제공 방법(700)은,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사용자 입력 종료 신호이거나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 제어부(140)가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를 투명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방법의 S73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Flowchart)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130)로부터 입력받은 인터페이스 신호가 지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S810) 추가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S811), 위성지도, 부분 확대 지도 및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는 증강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S812).
또한,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지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S810) 목적지 검색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S813), 현재 위치,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갈림길의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는 증강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S814).
또한,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버스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S820) 버스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S821),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버스의 현재 위치, 상기 버스의 경로 정보, 상기 버스의 도착 예상 시간, 상기 버스의 정류장 위치, 현재 시간 및 사용자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는 증강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S822).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주요장소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S830) 주요장소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S832),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현재 위치, 주요장소까지의 경로 및 갈림길의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S832).
이후, 제어부(140)는, S812, S814, S822, S832 단계가 수행된 후에 결정된 증강정보를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S850). 이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방법은,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증강정보 제공 방법(700)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강정보 제공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인쇄정보 안내부 111: 주요정보 표시 영역
112: 지도정보 표시 영역 113: 버스정보 표시 영역
120: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 123: 투명 스크린부
125: 프로젝터부 130: 사용자 입력 감지부
140: 제어부 150: 본체부
180: 사용자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정보 안내부;
    상기 인쇄정보 안내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투명 상태를 유지하거나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증강정보를 표시하는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에 의한 인터페이스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입력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인터페이스 신호에 따라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의 투명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증강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어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광고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가 상기 제1 기준 거리 미만이고 제2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인쇄정보 안내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가 상기 제2 기준 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정보 입력 안내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은,
    지도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지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추가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위성지도, 부분 확대 지도 및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지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목적지 검색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위치,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갈림길의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은,
    버스정보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버스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버스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버스의 현재 위치, 상기 버스의 경로 정보, 상기 버스의 도착 예상 시간, 상기 버스의 정류장 위치, 현재 시간 및 사용자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환경 정보에 따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는,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상기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증강정보를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사용자 입력 종료 신호이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정보 안내부,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증강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가 제1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광고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가 상기 제1 기준 거리 미만이고 제2 기준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인쇄정보 안내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와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거리가 상기 제2 기준 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정보 입력 안내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인터페이스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 중 어느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인쇄정보 표시 영역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어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은,
    지도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지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추가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위성지도, 부분 확대 지도 및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증강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지도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목적지 검색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위치,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갈림길의 스트리트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증강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쇄정보 표시 영역은,
    버스정보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상기 버스정보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버스정보 표시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에 대응되는 버스의 현재 위치, 상기 버스의 경로 정보, 상기 버스의 도착 예상 시간, 상기 버스의 정류장 위치, 현재 시간 및 사용자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증강정보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방법.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정보를 상기 증강정보 제공 장치의 환경 정보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인쇄정보 안내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투명 상태를 유지하거나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증강정보를 표시하고,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 신호가 사용자 입력 종료 신호이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증강정보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정보 제공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2항 및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증강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070671A 2014-06-11 2014-06-11 디지털 스크린과 인쇄 매체가 결합된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 KR101592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671A KR101592365B1 (ko) 2014-06-11 2014-06-11 디지털 스크린과 인쇄 매체가 결합된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671A KR101592365B1 (ko) 2014-06-11 2014-06-11 디지털 스크린과 인쇄 매체가 결합된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748A KR20150142748A (ko) 2015-12-23
KR101592365B1 true KR101592365B1 (ko) 2016-02-11

Family

ID=55082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671A KR101592365B1 (ko) 2014-06-11 2014-06-11 디지털 스크린과 인쇄 매체가 결합된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3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783A (ko) * 2000-12-15 2002-06-21 전민우 교통정보 안내 시스템
KR101663619B1 (ko) * 2010-09-16 2016-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지역 정보 제공 방법
KR101793628B1 (ko) * 2012-04-08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045801A (ko) * 2012-10-09 201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748A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0134B2 (ja) ヘルメットベースのナビゲーション通知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021050B1 (ko)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이동 단말 및 서버
KR101972089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05278670B (zh) 眼佩戴型终端及控制眼佩戴型终端的方法
WO2015145544A1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732076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50129546A (ko) 안경형 단말기와 그 안경형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2007331692A (ja) 車載電子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装置
JP5141878B2 (ja) タッチ式操作入力装置
KR20160019707A (ko) 참조 지점을 이용한 경로 안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561108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10671078B2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controlling self balancing scooter
KR20160009879A (ko)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2956A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592365B1 (ko) 디지털 스크린과 인쇄 매체가 결합된 증강정보 제공 장치 및 증강정보 제공 방법
US982933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50322A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295017A1 (en) Rendezvous assistance apparatus, rendezvous assistance system, and rendezvous assistance method
JP2018200699A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20057441A (ja) 操作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180075843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KR101899465B1 (ko) 위치 정보를 활용한 여행지 정보 제공 장치
KR20160133780A (ko) 차량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11770A (ko) 객체의 위치정보 생성 장치, 인터랙티브 다중 레이어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98104B1 (ko) 차로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