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780A - 차량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780A
KR20160133780A KR1020150066749A KR20150066749A KR20160133780A KR 20160133780 A KR20160133780 A KR 20160133780A KR 1020150066749 A KR1020150066749 A KR 1020150066749A KR 20150066749 A KR20150066749 A KR 20150066749A KR 20160133780 A KR20160133780 A KR 20160133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vehicle
input
informa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식
장석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6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3780A/ko
Priority to PCT/KR2016/004362 priority patent/WO2016182230A1/en
Priority to US15/149,712 priority patent/US9801034B2/en
Publication of KR20160133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68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driving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95Blocking or enabling display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97Blocking or enabling of input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or in sun visors
    • B60R2016/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키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키패드(300)와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30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활성화 상태와 입력 정보의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비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이의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부 장치와 연동된 차량을 통하여,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사람 또는 물체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동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전자적으로 차량을 제어하는 스마트 카(smart car)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카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카는 자율 주행이나, 사용자 인지, 사고 위험 방지 등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차량과 다양한 디바이스(device)들을 연동하여, 활용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과 이동 단말기를 연결하여, 미디어를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에 키패드(300)를 구비하여,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과 함께 키패드(300)를 통하여 다양한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키패드(300)를 통하여, 차량과 연동된 외부 장치에 키 입력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구비된 키패드(300)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작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키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키패드(300)와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30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활성화 상태와 입력 정보의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비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지 않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3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 가능한 문자의 수 및 입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수 및 입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제한되는 경우,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수 및 입력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외부의 음성을 입력 및 출력하도록 형성된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키패드(300)가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한 입력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키패드(300) 또는 음성인식부를 통한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300)에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원형 조향부의 이동이 제한되는 잠금 상태로 상기 원형 조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 기능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원형 조향부의 이동이 가능한 주행 상태로 상기 원형 조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도로 정보, 주행 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는 차량의 속도, 가속도, 정차, 주차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연동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바퀴를 움직이도록 형성된 원형 조향부와 상기 원형 조향부에 배치되고, 문자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키패드(300)와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외부 장치에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300)에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외부 장치에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키패드(300) 상에 사용자의 손이 근접한 것이 감지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 가능 시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 가능 시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외부 장치로부터 일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일정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300) 상의 기 설정된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연동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SNS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외부 장치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메시지 작성이 가능한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에서, 상기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연동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원형 조향부에 배치된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300)는, 상기 외부 장치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활성화 상태와 입력 정보의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비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30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활성화되고,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지 않도록,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30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 가능한 문자의 수 및 입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수 및 입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제한되는 경우,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수 및 입력 시간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 중인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키패드(3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키패드(3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운전자는 차량 운행 중에도, 키 입력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 키패드(300)를 통한 키 입력을 제한함으로써, 교통 사고의 발생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 키패드(300)를 통한 키 입력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운전 중인 상황에서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있어서, 키패드(300)의 입력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있어서, 도 2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차량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이벤트 발생 알림 여부를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차량이 이동 단말기와 연동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키패드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키패드(300)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차량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 상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차량에서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적어도 두 개의 외부 장치가 연동된 경우, 각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연계시켜 처리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9는 차량의 원형 조향부에 배치된 키패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차량의 원형 조향부의 위치에 따른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고,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차량은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차량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차량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차량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차량와 다른 차량 사이, 또는 차량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차량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차량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차량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차량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차량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차량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차량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차량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차량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차량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차량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b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바퀴(103FR, 103FL, 103RL), 원형 조향부(200),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는 동력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원형 조향부(200)는 차량의 바퀴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차량의 전방 유리에 반사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구성 요소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에 구비된 키패드(300)를 통하여, 키 입력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있어서, 키패드(300)의 입력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있어서, 도 2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상기 도 1a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키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키패드(300)(300),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디스플레이부(151), 무선 통신부(11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차량의 전방 유리에 가상 화상을 투영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head up display)일 수 있다.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가시영역 내에서 가상 화상을 투영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에,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에게 별도 액션(action) 없이도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210).
상기 차량의 제어부(180)는 차량의 외부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거나, 차량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의 외부와 관련된 정보 및 차량의 내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외부와 관련된 정보는 차량이 현재 주행 중인 도로 정보(예를 들어, 도로 형태 정보, 도로 휴게소 정보, 어린이 보호 구역 정보 등), 교통 정보(예를 들어, 교통 신호 정보, 교통량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차량의 내부와 관련된 정보는 속도 정보, 위치 정보, 주정차 정보, 주차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거나, 통신을 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는 차량과 근접한 영역 상에 위치한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차량의 각종 구성 요소들을 감지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근접 센서는 적외선 센서, 영상 센서(예를 들어, 카메라), 레이져(laser) 센서, 라이다(lidar, light detecting and ranging)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차량의 각종 구성 요소들을 감지하는 센서는,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대기압 센서(BPS), 수온센서(WTS), 위치 센서, 산소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는 이동 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및 위치 정보 모듈(1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및 위치 정보 모듈(115)은 상기 도 1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하여 교통 상황과 관련된 외부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교통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의 수신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외부 장치와 연동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220).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5)은 차량과 근접한 영역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은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5)을 통하여, 근접한 영역 내에 위치한 외부 장치(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이동 단말기 등)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근접한 영역 내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외부 장치와 연동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렇게 차량과 연동 가능한 외부 장치들을 노매딕 디바이스(nomadic device)라고 명칭할 수도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차량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차량 사이, 또는 차량과 다른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차량의 주변에, 상기 차량과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차량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차량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장치는 차량과 외부 장치 간의 식별 정보의 인증이 완료된 외부 장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외부 장치에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차량의 고유의 정보로써, 차량을 다른 차량들과 구별시킬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등록 번호, 제조 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차량으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한 외부 장치는 상기 차량과의 근거리 통신을 허가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이 허용된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외부 장치와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차량이 외부 장치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장치에 근거리 통신을 허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차량과 상기 외부 장치 간의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차량과의 연동 시도시마다 새롭게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고, 1회 인증된 후에는 추후 인증 절차 없이 곧바로 상기 차량과 연동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장치와 연동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을 차량에서 대신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와 연동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메시지 전송 기능을 차량에서 대신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네비게이션과 연동된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에서 실행 가능한 길 찾기 기능을 차량에서 대신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장치와 연동된 경우, 상기 외부 장치에서 실행 중인 기능들의 입력 정보를 차량을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네비게이션과 연동된 경우, 목적지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와 연동된 경우, 메시지의 내용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연동된 경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에서 실행될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이 시동을 방금 건 상태임이 감지되고,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차량에서 실행될 기능을 상기 차량에 연동된 네비게이션에 목적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이 시동이 건 상태가 감지되는 것과 함께, 키패드와 근접한 위치에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결정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와 근접한 영역 상에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목적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S210 단계와 S220 단계는 서로 순서를 바꾸어 진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220 단계는 필수적인 단계는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생략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서, 외부 장치와의 연동 없이, 메시지의 송수신 및 네비게이션 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경우, 상기 S220 단계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동된 외부 장치에 전송될 정보를 입력하도록 키패드(300)의 입력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230).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키 입력의 수신이 가능한 키패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300)는 키 입력의 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입력부로써, 소프트 키패드(300) 및 하드 키패드(30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 키패드(300)는 터치를 통하여 키 입력을 수신하도록 형성된 키패드(300)이고, 상기 하드 키패드(300)는 버튼을 통하여 키 입력을 수신하도록 형성된 키패드(300)일 수 있다.
상기 키패드(300)는 적어도 하나의 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자들을 입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패드(300)는 숫자, 문자, 특수 문자, 기호, 방향 키, 기능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3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패드(300)는 쿼티 키패드(300) 형식으로 키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키패드(300)는 차량 공급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300)는,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과 키패드(300)의 입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차량의 운전 조작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운전 조작부는 사용자가 차량의 주행을 위하여 직접적인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상기 운전 조작부는 원형 조향부(200)(steering wheel), 변속기, 브레이크(break), 액셀(acceler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패드(300)는, 자동차의 원형 조향부(200)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원형 조향부(200)의 조작과 함께 키패드(300)를 통하여 키의 입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300)는 상기 운전 조작부 이외에도, 사용자가 자동차의 운행과 키 입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300)의 활성화는,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키 입력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키패드(300)의 비활성화는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키의 입력을 제한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 상에 사용자의 입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키패드(300) 입력의 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300) 입력의 위험도는 차량의 주행 시, 키패드를 입력으로 인한 사고 위험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 입력의 위험도가 낮은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키패드(300) 입력의 위험도가 높은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이 신호 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경우, 교통 상황이 정체인 경우,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 중인 경우, 현재 위치한 도로가 직선 도로인 경우, 키패드(300) 입력의 위험도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현재 위치한 도로가 곡선 또는 경사진 도로인 경우, 키패드(300) 입력의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키패드(300) 입력을 제한함으로써, 주행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 시간 및 입력 문자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시간은 상기 키패드(300)가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으로, 상기 입력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키패드(300)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입력 문자량은,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 가능한 문자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신호 대기 상태에서, 키패드(300)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 시간을 신호 대기 시간과 대응되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주행 중 키패드(300)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 문자량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 입력의 위험도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시간 및 입력 문자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 입력의 위험도가 높은 경우, 상기 입력 시간을 제1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키패드(300) 입력의 위험도가 낮은 경우, 상기 입력 시간을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 입력의 위험도가 높은 경우, 상기 입력 문자량을 제1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키패드(300) 입력의 위험도가 낮은 경우, 상기 입력 문자량을 제2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변경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변경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정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한 후, 상기 차량의 주행이 감지되면, 상기 키패드(30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한 후, 상기 차량이 정차가 감지되면, 상기 키패드(30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키패드(300)가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하도록,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통하여 인식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키패드(300)를 통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하던 중, 키패드(300)가 비활성화된 경우, 음성 인식을 통하여, 계속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으로 인하여 키패드(300) 입력이 제한된 경우, 별도의 제어 명령 없이도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계속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300)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입력 정보로 이용하는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의 활성화 여부와 함께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와 관련된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것은, 상기 기능과 관련된 실행을 중지 또는 제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상기 기능의 실행화면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은, 상기 기능이 실행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상기 기능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가 활성화 상태에서, 메시지 입력 기능의 실행 중, 상기 키패드(300)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메시지 입력 기능을 함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시지 입력 기능의 실행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키패드(300)의 입력 기능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키패드(300) 입력과 관련된 기능의 실행을 함께 제한함으로써, 사고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활성화된 경우, 상기 키패드(300)의 비활성화 전 실행 중이였던 기능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메시지 입력 기능의 실행 중, 상기 키패드(300)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키패드(300)가 다시 활성화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메시지 입력 기능을 다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상기 키패드(300)가 활성화되는 것과 함께, 상기 메시지 입력 기능의 실행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에 의하여 키패드(300)가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와 관련된 기능도 함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차량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은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서 사용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에 복수의 외부 장치가 연동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과 연동된 복수의 외부 장치를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하는 장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가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외부 장치 중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수신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조건이거나,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의 내용과 관련된 조건이거나, 외부 장치의 이벤트 발생 여부와 관련된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차량의 주행 시작 시점과 관련된 조건 또는 연동된 외부 장치에 이벤트가 발생할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호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이벤트, 기 설정된 일정 정보에 따른 알림 정보가 발생하는 이벤트 등 외부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시동을 건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정보(400)로 판단하고, 연동된 네비게이션에 목적지 정보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주행 중, 연동된 이동 단말기 상에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 수신에 대한 알림 정보를 음성(410)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의 출력 후, 상기 제어부(180)는 키패드(300)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메시지 정보(4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의하여 적어도 두 개의 외부 장치가 추출된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외부 장치 모두에 전송할지 또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만 전송할 지 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하도록,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외부 장치를 나타내는 항목을 포함한 장치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외부 장치와 연동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오부 장치에 전송될 정보를 입력하도록 키패드(300)의 입력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외부 장치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 없이도, 차량의 키패드(300)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이벤트의 발생 알림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차량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연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은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연동된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호 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 메시지가 수신되는 이벤트, 기 저장된 알림 정보가 발생하는 이벤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는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이 주차 중이거나 정차 중인 경우, 사고의 위험이 낮다고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함이 감지되어도,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한하는 것은 알림 정보를 출력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알림만을 제공하거나,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에 대한 알림 정보만을 출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간단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이벤트가 특정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될 조건 및 메시지의 내용 상에 특정 단어가 포함될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주행 중, "B"로 설정된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해서는 알림 정보(510)를 출력하고, "A"으로 설정된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대해서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회의"라는 단어가 포함된 메시지에 대해서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50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주행으로 인하여 알림 정보의 출력이 제한되었던 이벤트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수신된 시간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출력되는 것과 함께, 키패드(300)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가 출력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알림 정보의 출력과 함께 상기 알림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키패드(300)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메시지의 발생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가 출력되면,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하고,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하거나,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의 출력이 제한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의 활성화 정도도 함께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의 활성화 정도는 키패드 전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제1활성화 정도, 키패드를 부분적으로 활성화하는 제2활성화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간단한 알림 정보만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 또한, 간단한 기능의 수행(예를 들어, 스페이스 바(space bar) 또는 엔터(enter))이 가능한 키를 부분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의 내용이 표시된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전체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주행 중임에도 특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주행 중 특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이 표시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 시간 및 입력 정보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속도가 제1속도인 경우, 20초로 입력 시간을 제한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인 경우, 10초로 입력 시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에도, 연동된 외부 장치에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한함으로써, 사고의 위험성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이 이동 단말기와 연동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키패드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차량이 이동 단말기와 연동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키패드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이동 단말기와 차량이 연동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와 관련된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메시지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내용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키패드(300)를 활성화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내용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제한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내용의 출력 방식, 출력 형태, 출력 가능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어부(180)는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에 탑승한 동승자의 유무, 차량의 속도, 차량의 위치, 도로의 형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승자의 유무는 차량에 구비된 감지 센서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하여 차량의 동승자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에 탑승한 동승자의 유무에 따라 메시지를 청각적 방식으로 출력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에 동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경우, 메시지의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에 동승자가 탑승한 경우, 메시지의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의 내용이 음성으로 출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음성으로 인식하도록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키는 대신,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메시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시지의 내용의 시각적 출력을 제한하는 대신, 청각적으로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시지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내용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이벤트의 내용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의 내용의 출력의 제한은, 이벤트의 내용을 전부 표시하지 않는 경우 및 이벤트의 내용 중 간단한 정보만을 표시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의 내용의 출력이 제한된 정도에 따라, 상기 키패드의 활성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의 내용이 전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키패드를 구성하는 모든 키들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이벤트의 내용 중 간단한 정보만이 표시된 경우, 상기 키패드를 구성하는 적어도 일부의 키들만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의 내용이 출력이 제한된 상태에서 이벤트의 내용의 표시가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이벤트의 내용 표시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 중,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알림 정보(600)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도 5b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이 정차 중임이 감지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이 출력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정보(61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차량의 주행 중 수신된 메시지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현재 메시지의 내용 확인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5b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알림 정보(610)가 표시된 후,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메시지의 내용(620)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의 내용을 표시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키패드 입력 위험도를 판단하고, 키패드 입력 위험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형태는 색, 명암, 애니메이션 효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c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주행 중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 키패드 입력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하고, 상기 메시지의 출력 색을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c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정차 중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 키패드 입력 위험도가 낮다고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의 출력 색을 초록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제1속도인 경우, 상기 메시지의 출력 색을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가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인 경우, 상기 메시지의 출력 색을 초록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주행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키패드 입력 위험도가 낮은 지점에서, 상기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d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과 연동된 네비게이션 상에서,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주행 경로(660)가 설정된 경우, 상기 네이게이션으로부터 상기 주행 경로 중 키패드 입력 위험도가 낮은 위치 정보(650a, 650b, 650c)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 입력 위험도가 낮은 위치(650a, 650b, 650c)는, 사고의 위험도가 낮은 위치라고 판단된 위치로, 직선 도로이거나, 속도 제한이 있는 도로, 휴게소의 위치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d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현재 위치(670)가 상기 키패드 입력 위험도가 낮은 위치(650a, 650b, 650c) 중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 입력 위험도가 낮은 위치 이외의 위치에서는 상기 이벤트의 내용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 입력 위험도가 낮은 위치에서,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 입력 위험도가 낮은 위치가 아닌 위치에서 상기 키패드(30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차량을 통하여, 연동된 이동 단말기 상에 발생한 이벤트의 내용을 제공하고, 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이벤트와 관련된 내용의 출력과 키패드(300)의 활성화 여부를 연동시켜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키패드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키패드(300)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180)는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키패드(300)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패드(300)에 대한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가 비활성화 상태임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가 비활성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 입력 제한"(700)이라는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300)가 비활성화 상태임을 알리는 알림 정보는 상기 키패드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6a의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가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키패드(300)에 대한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문자(72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가 활성화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 입력 가능"(720)이라는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키패드(3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키패드(300)의 활성화 시간이 한정된 경우, 상기 키패드(300)의 활성화 시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교통 신호 상태에 근거하여,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교통 신호 상태(730)는 정지 신호(730a), 대기 신호(730b) 및 주행 신호(730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정지 신호(730a)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정지 신호"(730a)근거하여,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신호 대기 시간을 키패드(300)의 입력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의 활성화와 함께,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72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 시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상기 입력된 정보(720)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의 첫번째 및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시간의 흐름에 따라 "메시지 입력 가능 시간 20초" 및 "메시지 입력 가능 시간 5초"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정지 신호(730a)에서 대기 신호(730b)로 변경된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가 비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의 세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입력 제한"이라는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도 6b의 네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대기 신호(730b)에서 주행 신호(730c)로 변경된 경우, 키패드(300) 대신, 음성으로 정보를 입력하도록,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키패드(300)의 입력 제한으로 인하여, 입력 중이던 정보의 입력이 불가능해 진 경우, 음성을 통하여 상기 정보를 계속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 중인 메시지의 내용을 음성을 통하여 계속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이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음성을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음성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 중인 이벤트의 내용의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키패드(300)의 상태와 디스플레이부(151)의 표시 정보를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의 첫번째 및 두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의 내용의 출력 중, 상기 키패드(300)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의 내용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키패드(300)의 비활성화와 함께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에 집중하도록, 모든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의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사라지게 한 후,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가 다시 활성화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사라진 내용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의 내용이 사라진 경우에도, 추후 다시 이벤트의 내용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도 별도의 제어 명령 없이도,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키패드(300)의 비활성화 이전의 상태로 다시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키패드(300)의 비활성화 이전의 상태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키패드(300)의 비활성화 전 입력 중인 정보를 연속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다왔"이라는 메시지의 입력 중 키패드(300)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키패드(300)가 다시 활성화되면, 상기 "다왔"에 이어지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메시지 입력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다왔어"라는 완성된 문장의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 중 키패드(300)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가 전환되어도,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연속성 있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차량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 상에 발생한 이벤트의 내용을 제공하고,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차량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 상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차량에서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차량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 상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차량에서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차량과 연동된 외부 장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차량의 키패드(300)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은, 차량과 연동된 외부 장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의 실행화면을 차량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 상에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키패드(30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키패드(300)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된 외부 장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이 정차 중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상기 어느 하나의 메시지(8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다른 하나의 메시지(820) 출력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다른 하나의 메시지(82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출력 요청은 키패드(300)에 대한 플리킹 입력, 버튼 입력 등 다양한 입력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표시된 정보가 제어되지 않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810)가 표시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메시지(820)의 출력 요청이 수신되지 못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차량과 연동된 외부 장치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과 연동된 외부 장치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상기 차량의 연동된 이동 단말기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키패드(300) 상에 특정 키에 대한 입력에 근거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외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메시지가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830)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과 연동된 외부 장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키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연동된 외부 장치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외부 장치가 연동된 경우, 각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연계시켜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적어도 두 개의 외부 장치가 연동된 경우, 각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연계시켜 처리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네비게이션 및 이동 단말기와 함께 연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량의 제어부(180)는 상기 네비게이션 및 이동 단말기로부터 각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네비게이션으로부터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일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각각의 연동된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도착 예정 시간 정보와 일정 정보에 포함된 약속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 전송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의 첫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도착 예정 시간이 2시 30분이고, 약속 시간이 2시인 경우, 상기 약속과 관련된 외부 단말기에 약속 시간이 늦춰졌음을 나타내는 내용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각각의 연동된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 기능이 실행되면,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키패드(300)의 입력 시간 및 입력 문자량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에 기 설정된 방식의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메시지의 내용 상에 상기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 및 도착 예정 정보가 포함시키고, 자동으로 상기 일정 정보와 관련된 외부 단말기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후배" 단말기에 도착 예정 시간 및 현재 위치 정보를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시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연동된 외부 장치에 설치된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기능에 이용되도록,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키패드(300)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촬영된 영상과 함께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촬영된 영상, 상기 입력된 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기 설치된 기능을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치된 기능은, 차량의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치된 기능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키패드(300) 입력을 통하여, 차량의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는 기 설치된 SNS 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 상기 입력된 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SNS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차량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SNS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원형 조향부(200)에 키패드(300)가 배치된 경우,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차량의 원형 조향부(200)에 배치된 키패드(300)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은 차량의 원형 조향부(200)의 위치에 따른 키패드(300)의 위치에 따른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드 키패드(300) 및 소프트 키패드(300) 중 적어도 하나의 캐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드 키패드(300)는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응되는 버튼을 구비한 키패드(300)일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키패드(300)가 원형 조향부(200) 위에 장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원형 조향부(200)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도록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차량의 바퀴의 방향을 움직이는 사용자 입력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원형 조향부(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바퀴를 회전시키고, 이를 통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형 조향부(20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핸들(handle) 등 다양한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300)는 원형 조향부(200)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별도의 동작 없이도, 편리하게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조향부(200) 위에 장착된 키패드(300)는 사용자 편리상을 위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버튼들을 원형 조향부(200)의 양쪽을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300)를 구성하는 적어도 일부의 키는, 상기 원형 조향부(200)의 왼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의 키는 상기 원형 조향부(200)의 오른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상기 원형 조향부(200) 상에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영역 근처에 키들을 배치하여, 편리하게 키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조향부(200) 위에 장착된 키패드(300) 상에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닿는 운지 영역 내에 스페이스 바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위하여, 상기 원형 조향부(200)의 자세에 따라,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을 제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위하여, 상기 원형 조향부(200)의 자세가 차량의 바퀴가 정면을 향하는 자세인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원형 조향부(200)의 자세가 차량의 바퀴가 정면을 향하는 자세가 아닌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제한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원형 조향부(200)의 자세가 차량의 바퀴가 오른쪽 또는 왼쪽을 향하는 자세인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이 곡선으로 움직이는 것보다는 직선으로 움직이는 경우, 주행의 안전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이때,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형 조향부(200)의 자세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자가 차량의 조작하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원형 조향부(200)의 자세가 변경되면, 상기 차량을 조작하는 상태로 판단하고, 키패드(300)의 입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원형 조향부(20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키패드(30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제한된 경우, 원형 조향부(200)의 자세를 변경하라는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원형 조향부(200)의 자세가 변경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원형 조향부(200)의 자세 변경과 관련된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원형 조향부(200)의 자세를 변경하여,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80)는 키패드(300)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원형 조향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원형 조향부(200) 위에 배치된 키패드(300)에 입력이 가해지는 동안, 원형 조향부(200)에 의하여, 차량이 움직이지 않도록, 원형 조향부(2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원형 조향부(200)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를 잠금 상태라고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키패드(300)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원형 조향부(2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형 조향부(200)는 본래 기능인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상기 원형 조향부(200)의 이동이 가능한 주행 상태로 명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이 제한되도록 키패드(30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운전 중인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키패드(3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키패드(3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운전자는 차량 운행 중에도, 키 입력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 키패드(300)를 통한 키 입력을 제한함으로써, 교통 사고의 발생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 키패드(300)를 통한 키 입력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운전 중인 상황에서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키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키패드(300);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30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활성화 상태와 입력 정보의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비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지 않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3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 가능한 문자의 수 및 입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수 및 입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제한되는 경우,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수 및 입력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음성을 입력 및 출력하도록 형성된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키패드(300)가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한 입력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키패드(300) 또는 음성인식부를 통한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300)에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원형 조향부의 이동이 제한되는 잠금 상태로 상기 원형 조향부를 제어하고,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 기능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원형 조향부의 이동이 가능한 주행 상태로 상기 원형 조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 도로 정보, 주행 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는
    차량의 속도, 가속도, 정차, 주차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외부 장치와 연동된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바퀴를 움직이도록 형성된 원형 조향부;
    상기 원형 조향부에 배치되고, 문자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키패드(300);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외부 장치에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300)에 근접한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외부 장치에서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키패드(300) 상에 사용자의 손이 근접한 것이 감지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 가능 시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300)의 입력 가능 시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외부 장치로부터 일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일정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키패드(300)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300) 상의 기 설정된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연동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을 SNS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외부 장치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메시지 작성이 가능한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에서, 상기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7. 외부 장치와 연동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원형 조향부에 배치된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키패드(300)는,
    상기 외부 장치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활성화 상태와 입력 정보의 수신이 가능하지 않은 비활성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30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활성화되고,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키패드(300)를 통한 입력이 가능하지 않도록,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300)는
    상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키패드(300)를 통하여 입력 가능한 문자의 수 및 입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수 및 입력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제한되는 경우,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수 및 입력 시간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50066749A 2015-05-13 2015-05-13 차량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3378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749A KR20160133780A (ko) 2015-05-13 2015-05-13 차량 및 이의 제어방법
PCT/KR2016/004362 WO2016182230A1 (en) 2015-05-13 2016-04-26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149,712 US9801034B2 (en) 2015-05-13 2016-05-09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749A KR20160133780A (ko) 2015-05-13 2015-05-13 차량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780A true KR20160133780A (ko) 2016-11-23

Family

ID=5724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749A KR20160133780A (ko) 2015-05-13 2015-05-13 차량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01034B2 (ko)
KR (1) KR20160133780A (ko)
WO (1) WO2016182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0909B2 (en) * 2018-08-03 2020-09-22 Tesla, Inc. User interface for steering wheel
JP7070357B2 (ja) * 2018-11-15 2022-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5872A1 (en) * 2007-02-01 2011-02-24 Simmons Craig L Portable Heads-Up Display System For Cellular Telephones
US20100184406A1 (en) * 2009-01-21 2010-07-22 Michael Schrader Total Integrated Messaging
US8994492B2 (en) * 2011-04-21 2015-03-31 Fariborz M Farhan Disablement of user device functionality
KR20130008979A (ko) * 2011-07-14 2013-01-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헤드 업 디스플레이 기반의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US9283931B2 (en) * 2011-12-12 2016-03-15 Mill Mountain Capital,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vehicles
KR20130080915A (ko) * 2012-01-06 2013-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상 키보드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380143B2 (en) * 2013-08-30 2016-06-28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Automatically disabling the on-screen key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vehicle
KR20150050838A (ko) * 2013-11-01 2015-05-1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37822A1 (en) 2016-11-17
WO2016182230A1 (en) 2016-11-17
US9801034B2 (en)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599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479072B1 (ko) 탑승자 단말 및 디스트랙션 확인을 통한 컨텐츠 표시 방법
US10120567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command and control
EP2826689B1 (en) Mobile terminal
EP2770500B1 (en) Method for providing a voice-speech service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WO2016132876A1 (ja) 情報処理装置
US9881605B2 (en) In-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in-vehicle control method
KR101234578B1 (ko) 동작 인식을 이용한 원격 제어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원격 제어방법
CN107846518B (zh) 一种导航状态切换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08659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 thereof
KR20120009851A (ko) 이동 단말기에서 보호 모드 실행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60053596A (ko)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WO2018022329A1 (en) Detecting user interactions with a computing system of a vehicle
KR20150137827A (ko) 핸들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053001A1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mobil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901848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interaction mirroring
KR10266022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정보 제공 방법
KR102109937B1 (ko)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90129517A1 (en) Remote control by way of sequences of keyboard codes
JP2012122777A (ja) 車載装置
KR20160133780A (ko) 차량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8194976A (ja) メッセージ表示用プログラム、メッセージ表示装置、及びメッセージ表示方法
JP2005321948A (ja) 操作入力装置
KR10174650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768793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hanging between screen views of a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