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596A -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596A
KR20160053596A KR1020140152857A KR20140152857A KR20160053596A KR 20160053596 A KR20160053596 A KR 20160053596A KR 1020140152857 A KR1020140152857 A KR 1020140152857A KR 20140152857 A KR20140152857 A KR 20140152857A KR 20160053596 A KR20160053596 A KR 20160053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device
user
context data
server device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024B1 (ko
Inventor
백윤선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024B1/ko
Priority to US14/933,117 priority patent/US10313857B2/en
Publication of KR20160053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596A/ko
Priority to US16/394,830 priority patent/US10667104B2/en
Priority to US16/859,294 priority patent/US1149023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서버 디바이스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결정하며,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서버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Method for device controlling another device and the same device}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발달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자기기들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기들 상호간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일 전자기기는 다른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일 전자기기를 다른 전자기기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원격 제어나 전자기기들 간의 공유 이용을 위해서는 미러링(mirroring) 기술이 필요하다.
미러링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스마트 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스마트 카와 단말기 간에 미러링을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 카에서 사용되는 미러링 기술의 경우, 운전 도중에 스마트 기술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한 미러링 기술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간에 미러링 서비스 수행 시,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 간에 수행되는 미러링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서버 디바이스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결정된 이벤트가 제 1 이벤트인 경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서버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미러링(mirroring)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미러링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생성된 미러링 세션을 이용하여,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고, 기 설정된 주기는 이전에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되는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변경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이벤트가 결정된 시점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결정된 이벤트와 연관되는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객체를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서버 디바이스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이전에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서버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객체를 결정하는 이벤트와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데이터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소정 시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서버 디바이스에 획득되는 입력 정보 및 소정 시간에 획득된 컨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컨텍스트 데이터의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서버 디바이스가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감지한 시점에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통신부는,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서버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부는, 결정된 이벤트가 제 1 이벤트인 경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서버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미러링(mirroring)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미러링 세션을 생성하고, 통신부는, 생성된 미러링 세션을 이용하여,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신부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고, 기 설정된 주기는 이전에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부는,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예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부는, 이벤트가 결정된 시점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결정된 이벤트와 연관되는 동작을 결정하여, 결정된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객체를 변경하고, 통신부는, 변경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에 있어서,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서버 디바이스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이전에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서버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객체를 결정하는 이벤트와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데이터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부는, 소정 시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서버 디바이스에 획득되는 입력 정보 및 소정 시간에 획득된 컨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컨텍스트 데이터의 패턴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신부는, 서버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감지한 시점에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부는,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및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가 이벤트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주기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시작하는 경우, 서버 디바이스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 주행 중에 서버 디바이스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종료하는 경우, 서버 디바이스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다른 디바이스(10, 2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0) 및 제 2 디바이스(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획득한 데이터를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디바이스(100)를 서버 디바이스(100)로 설명하고,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서버 디바이스(100)에 전송하는 제 1 디바이스(10)를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는 일 예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는 사용자와 밀접한 위치에서,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context)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텍스트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속도, 사용자가 움직이는 방향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 따라, 컨텍스트 데이터는 사용자와 사물(예를 들어, 자동차)과의 거리 등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컨텍스트 데이터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텍스트 데이터는 서버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의 상황을 예측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2 디바이스(20)에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결과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버 디바이스(100)가 제 2 디바이스(20)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에는 서버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 하고 있는 화면을 그대로 제 2 디바이스(20)에 전송하는 미러링(mirroring)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 디바이스(100)가 출력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디바이스(20)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로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 디바이스(100)와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 간에 미러링 서비스가 실행되는 경우, 서버 디바이스(1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결과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통화 어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및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객체는 디바이스에 표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의미가 정의될 수 있는 것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객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 컨텐츠, 컨텐츠 실행 이미지에 나타나는 인물, 사물,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에 나타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에서 소정의 입력을 받아 소정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일컫는다. 컨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을 포함하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으로 실행될 수 있는 컨텐츠 자체 파일을 일컫는다. 인물, 사물 또는 아이콘은 컨텐츠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인물, 사물, 또는 아이콘을 일컫는다.
또한, 객체에 관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 또는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가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일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객체에 관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예를 들면, 구글 지도, 구글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내용(예를 들면, 지도 검색 서비스, 컨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의 입력 포맷(예를 들면, 파일의 형식, 크기), 디바이스가 어플리케이션을 구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가 컨텐츠일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객체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의 파일명, 접근 URL 주소, 컨텐츠 파일의 형식, 컨텐츠 파일의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가 컨텐츠 실행 이미지에 나타나는 인물, 사물일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객체에 관한 정보는, 인물 또는 사물의 이름,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가 컨텐츠 실행 이미지에 나타나는 아이콘일 경우, 본 명세서에서 객체에 관한 정보는 아이콘이 상징하는 의미, 아이콘이 조작되었을 때 실행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다수개의 서버 디바이스(100)와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 간에 미러링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다.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디바이스(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는 1:1, 1:N, 또는 N:N 으로 연결되어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 20)간에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 2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CDMA, WCDMA, 근거리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 표준에 따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0, 20)은 태블릿, 스마트 폰, 헤드 유닛(head-unit), 스마트 TV, 스마트 워치(watch), 스마트 글래스(glass), PC 및 랩탑 등을 포함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서버 디바이스(100)를 스마트 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를 스마트 워치 또는 스마트 글래스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를 차량용 헤드 유닛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한정일 뿐,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이 스마트 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차량용 헤드 유닛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서버 디바이스(100)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 2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100)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 20)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21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한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작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 신호를 획득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획득하는 경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 감지되는 경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주기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가 사용자로부터 이전에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되는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이벤트는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상황들 중에서,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를 제어하기 위해 특정한 상황을 일컫는다.
단계 22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결정한다.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는 이벤트와 대응되는 컨텍스트 데이터의 패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출력되는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벤트는 설정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이벤트,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시작하는 이벤트, 사용자가 차량 주행 중 속도를 변경하는 이벤트 및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종료하는 이벤트 등이 이벤트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이벤트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23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서버 디바이스(100)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100)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서버 디바이스(100)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미러링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시작하는 경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출력되는 지도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100)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 및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를 제어하여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31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는 서버 디바이스(100)를 중심으로 반경 a의 거리 범위에 위치하는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는 서버 디바이스(100)에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제 1 컨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는 서버 디바이스(100)가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를 감지하는 경우, 서버 디바이스(100)에 제 1 컨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100)에 제 1 컨텍스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텍스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된 제 1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텍스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한 결과,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시작하는 제 1 이벤트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제 1 이벤트에 기초하여,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와 미러링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차량 주행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미러링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세션 정보를 객체에 관한 정보로서 전송할 수 있다. 미러링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세션 정보에는 서버 디바이스(100)의 OS, IP 정보, 포트 목록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350에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는 서버 디바이스(100)와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 간에 미러링 세션이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는 서버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미러링 서비스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목록을 출력할 수도 있다.
단계 36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제 2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이전에 획득한 제 1 컨텍스트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 1 이벤트가 결정된 이후, 계속적으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제 2 컨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37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획득한 제 2 컨텍스트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된 제 2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38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제 2 이벤트에 기초하여 서버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390에서,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는 수신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는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표시되고 있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100)가 이벤트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가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에게 발생한 이벤트를 결정하기 위해 이벤트에 대응되는 컨텍스트 데이터의 패턴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 디바이스(100)는 소정 시간에 사용자가 서버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한 입력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획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범위 이전까지 획득된 컨텍스트 정보의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분석한 컨텍스트 정보의 패턴과 예측된 이벤트를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서버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서버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생성한 사용자 정보는 이후에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새롭게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와 사용자 정보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의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정보에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와 일치하는 제 1 패턴의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된 경우, 제 1 패턴의 컨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에게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51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계 510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210과 대응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가 사용자 정보에 저장된 움직임 패턴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움직임 패턴은 복수의 이벤트들 각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가 움직이는 방향, 사용자가 움직이는 동작, 사용자가 움직이는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한 정보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시작하는 경우, 핸들을 잡기 위해 움직이는 몸의 방향, 핸들을 잡기 위한 손의 동작, 차량 내에서의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움직임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종료하고 주차를 시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백미러 또는 사이드 미러를 보기 위해 움직이는 몸의 방향, 기어를 변경하기 위한 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움직임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대응되는 움직임 패턴에 따라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가 움직임 패턴과 임계 비율 이상 일치하는 경우, 움직임 패턴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사용자에게 발생되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예측된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발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단계 54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서버 디바이스(100)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100)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서버 디바이스(100)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계 540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230과 대응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100)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로부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주기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획득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주기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가 사용자로부터 이전에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되는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가 구비된 물체(예를 들어, 자동차)를 작동하기 위해, 물체에 근접하는 경우 기 설정된 주기를 사용자와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가 사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a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로부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기본값으로 설정된 주기인 10초 간격으로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와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구비된 자동차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주기를 짧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와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간의 거리가 반경 a/2로 좁혀지는 경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주기를 5초로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100)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및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71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계 710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210과 대응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결정한다.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는 이벤트와 대응되는 컨텍스트 데이터의 패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이벤트가 결정된 시점에 서버 디바이스(100)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결정된 이벤트와 대응되는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 이벤트를 기초로 수행해야 하는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정지하는 이벤트가 결정되면,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통화를 사용자에게 연결하는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정지하는 이벤트가 결정되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동작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출력되는 객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정지하는 이벤트가 결정되면, 디바이스(100)는 수신한 통화를 사용자에게 연결하기 위해, 수신한 통화에 관한 알림으로 객체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정지하는 이벤트가 결정되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기 위한 명령으로 객체를 변경할 수 있다.
단계 750에서, 서버 디바이스(100)는 변경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는 통화에 관한 알림을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10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서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0)의 화면 이미지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디바이스(100)가 변경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하는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단계 230과 대응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시작하는 경우, 서버 디바이스(100)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획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가 사용자 정보에 저장된 움직임 패턴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목에 구비될 수 있다.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는 사용자와 밀착한 위치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잡기 위해 움직이는 동작, 안전 벨트를 착용하는 동작,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 기어를 변경하는 동작 등을 수행하는 경우, 변경되는 사용자의 자세 및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획득한 정보가 사용자 정보에 저장된 움직임 패턴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시작하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움직임 패턴과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시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서버 디바이스(100)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시작하는 경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화면을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 주행 중에 서버 디바이스(100)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획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목에 구비될 수 있다.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는 사용자와 밀착한 위치에서, 사용자가 엑셀레이터를 밟는 동작 및 기어를 변경하는 동작 등을 수행하는 경우, 변경되는 사용자의 자세 및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획득한 정보가 사용자 정보에 저장된 움직임 패턴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차량 주행 중인 이벤트에 대응되는 움직임 패턴과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 주행 중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서버 디바이스(100)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차량 주행 중인 상황에서,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통화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 디바이스(100)는 통화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 결과와 통화 요청을 보내 상대방의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종료하는 경우, 서버 디바이스(100)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획득한 컨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손목에 구비될 수 있다.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는 사용자와 밀착한 위치에서,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 고개를 돌리는 동작, 사용자가 안전 벨트의 착용을 해제하는 동작 등을 수행하는 경우, 변경되는 사용자의 자세 및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종료하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움직임 패턴과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종료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서버 디바이스(100)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종료하는 경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차량 주행을 종료하는 경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와 서버 디바이스(100)간에 연결된 미러링 세션을 종료하기 위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디바이스(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 이외에 센싱부(140), 입력부(150), A/V 입력부(160) 및 메모리(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110)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부(120)에서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서버 디바이스(100)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 디바이스(100)와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간에 생성된 미러링 세션을 이용하여,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고, 기 설정된 주기는 이전에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에게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출력되는 객체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서버 디바이스(100)가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를 감지한 시점에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기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50)는 디바이스(100)와 외부 기기 또는 디바이스(100)와 서버(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부(151), 이동 통신부(152),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100)가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110), 출력부(130), 센싱부(140), 통신부(150), A/V 입력부(16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에서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결정한다. 제어부(120)는 결정된 이벤트가 제 1 이벤트인 경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서버 디바이스(100)에서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미러링(mirroring)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생성된 미러링 세션을 이용하여,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20)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예측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벤트가 결정된 시점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결정된 이벤트와 연관되는 동작을 결정하여, 결정된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객체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소정 시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서버 디바이스(100)에 획득되는 입력 정보 및 소정 시간에 획득된 컨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컨텍스트 데이터의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서버 디바이스가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감지한 시점에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 저장된 사용자의 컨텍스트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31)와 음향 출력부(132), 진동 모터(13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1)는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1)는 획득한 호버링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을 타겟 오브젝트(20)에 수행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1)는 디바이스(1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에 식별 표시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3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3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31)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32)는 통신부(15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32)는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3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3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3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3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센싱부(140)는, 디바이스(1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리뷰 컨텐츠(105)에 관한 사용자의 참조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온/습도 센서(143), 적외선 센서(144),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 기압 센서(147), 근접 센서(1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입력부(15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5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구비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와 마이크로폰(1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2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복수의 메뉴,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복수의 제 1 계층 서브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2 계층 서브 메뉴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 터치 스크린 모듈(172), 알림 모듈(1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스플레이부(13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3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3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서버 디바이스
110: 통신부
120: 제어부

Claims (19)

  1. 서버 디바이스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이벤트가 제 1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상기 서버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미러링(mirroring)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미러링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생성된 미러링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상기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기 설정된 주기는 이전에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변경되는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결정된 시점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결정된 이벤트와 연관되는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객체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서버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이전에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서버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객체를 결정하는 이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데이터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서버 디바이스에 획득되는 입력 정보 및 상기 소정 시간에 획득된 컨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시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컨텍스트 데이터의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감지한 시점에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 디바이스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0. 서버 디바이스가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을 나타내는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이벤트가 제 1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상기 서버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미러링(mirroring)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미러링 세션을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미러링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상기 출력되는 객체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기 설정된 주기는 이전에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변경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를 예측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결정된 시점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결정된 이벤트와 연관되는 동작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객체를 변경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변경된 객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는,
    서버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이전에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서버 디바이스에 출력되는 객체를 결정하는 이벤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텍스트 데이터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서버 디바이스에 획득되는 입력 정보 및 상기 소정 시간에 획득된 컨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시간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컨텍스트 데이터의 패턴을 생성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감지한 시점에 상기 제 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한 컨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버 디바이스.
  19.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152857A 2014-11-05 2014-11-05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102273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857A KR102273024B1 (ko) 2014-11-05 2014-11-05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US14/933,117 US10313857B2 (en) 2014-11-05 2015-11-05 Method for device to control another device and the device
US16/394,830 US10667104B2 (en) 2014-11-05 2019-04-25 Method for device to control another device and the device
US16/859,294 US11490235B2 (en) 2014-11-05 2020-04-27 Method for device to control another device and th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857A KR102273024B1 (ko) 2014-11-05 2014-11-05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596A true KR20160053596A (ko) 2016-05-13
KR102273024B1 KR102273024B1 (ko) 2021-07-05

Family

ID=5585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857A KR102273024B1 (ko) 2014-11-05 2014-11-05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10313857B2 (ko)
KR (1) KR102273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735A1 (ko)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관 콘텐트를 미러링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0621B1 (en) 2016-09-13 2020-05-12 Iocurrents, Inc. Interfacing with a vehicular controller area network
KR20180032728A (ko) 2016-09-22 2018-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 장치,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및 사용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80055364A (ko) * 2016-11-17 2018-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556543B1 (ko) * 2017-02-10 2023-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11327662B (zh) * 2018-12-17 2023-07-11 华为云计算技术有限公司 一种异构物联网平台的通信方法及管理装置
JP7092045B2 (ja) * 2019-01-16 2022-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内制御装置
GB2582831A (en) * 2019-04-05 2020-10-07 Numbereight Tech Ltd Data sharing
US11628851B2 (en) * 2019-07-11 2023-04-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in autonomous driving system
US10848567B1 (en) 2019-11-29 2020-11-24 Cygnus, LLC Remote support for IoT devices
CN114422945A (zh) * 2021-12-17 2022-04-29 李毓思 一种车牌识别的呼叫方法、计算机装置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6673A (ko) * 2005-11-30 2007-06-0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지 기반의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그방법과, 그 단말 장치와 협력하여 옥내 이동 서비스를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KR20110026352A (ko) * 2009-09-07 201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메뉴 편집 방법
KR20120087253A (ko) * 2010-12-17 2012-08-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KR20130142642A (ko) * 2012-06-20 2013-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서버,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서버의 제어 방법
KR20140074152A (ko) * 2012-12-03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Ble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0186B2 (en) 2008-04-07 2012-05-01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 with motion controlled functions
US8503932B2 (en) * 2008-11-14 2013-08-06 Sony Mobile Commi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remote motion input device
US8692559B2 (en) * 2011-07-21 2014-04-08 Pacesetter, Inc. Connector sleeve for a lead of an internal pulse generator
US8538402B2 (en) * 2012-02-12 2013-09-17 Joel Vidal Phone that prevents texting while driving
US10021188B2 (en) * 2013-02-07 2018-07-10 Under Armour, Inc. Athletic performance monitoring with dynamic proximity pairing
US10021180B2 (en) * 2013-06-04 2018-07-10 Kingston Digital, Inc. Universal environment extend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6673A (ko) * 2005-11-30 2007-06-04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지 기반의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그방법과, 그 단말 장치와 협력하여 옥내 이동 서비스를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KR20110026352A (ko) * 2009-09-07 201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메뉴 편집 방법
KR20120087253A (ko) * 2010-12-17 2012-08-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KR20130142642A (ko) * 2012-06-20 2013-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서버,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서버의 제어 방법
KR20140074152A (ko) * 2012-12-03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Ble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735A1 (ko)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관 콘텐트를 미러링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27851A1 (en) 2016-05-05
US20200260245A1 (en) 2020-08-13
US20190253854A1 (en) 2019-08-15
US10667104B2 (en) 2020-05-26
US10313857B2 (en) 2019-06-04
KR102273024B1 (ko) 2021-07-05
US11490235B2 (en)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024B1 (ko)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US113565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
KR10227565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컨텐츠 전송 방법.
KR20160103850A (ko)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2336445B1 (ko)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그 디바이스
KR102374584B1 (ko)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WO2016035281A1 (ja) 車載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474259B2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using various input types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CN106200654A (zh) 无人机飞行速度的控制方法和装置
KR102109937B1 (ko)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20190129517A1 (en) Remote control by way of sequences of keyboard codes
KR20160071783A (ko) 컨텐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101628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KR10174650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17090B1 (ko)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US10929007B2 (en) Method of displaying object on devic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10194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location of terminal in vehicle
US9900489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evice use information
KR20150121565A (ko) 미러링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354145A (zh) 控制平衡车的方法和装置
KR101622361B1 (ko)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KR20160080972A (ko) 홈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