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346B1 -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346B1
KR101591346B1 KR1020127008074A KR20127008074A KR101591346B1 KR 101591346 B1 KR101591346 B1 KR 101591346B1 KR 1020127008074 A KR1020127008074 A KR 1020127008074A KR 20127008074 A KR20127008074 A KR 20127008074A KR 101591346 B1 KR101591346 B1 KR 101591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roup
component
weight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722A (ko
Inventor
요시노리 타무라
야스히로 도이
주리 사타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4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3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n alkoxy or aryloxy group, e.g. behenoxy dimethicone or stearoxy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을 용이하게 모발용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기 공정 1 및 2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공정 1: 다음의 성분(A)와 (B)를, (A)/(B)=1/10~10/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실리콘 조성물을 얻는 공정
(A) 일반식(I)
R1O-(PO)n/(EO)m-R2 (I)
(식 중, R1은 알킬기 등을 나타내고, PO는 프로필렌 옥시기를 나타내고, EO는 에틸렌 옥시기를 나타내고, n은 1.5~5.0의 수를 나타내고, m는 0~1.0의 수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
(B)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
공정 2: 공정 1에서 얻어진 실리콘 조성물과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 및/또는 물을 혼합하여 모발용 화장료를 얻는 공정

Description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PRODUCTION METHOD FOR COSMETIC MATERIAL FOR HAIR}
본 발명은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기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은 배합 안정성이 좋고, 세정, 건조 후의 모발에 높은 컨디셔닝 효과를 주어, 모발용 화장료용 성분으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한편, (A) 일반식(1)
R1O-(AO)n-R2 (1)
(식 중, R1은 탄소수 8~10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는 탄소수 2~4인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n은 알킬렌옥시기의 수로서 평균 0.5~3.5의 수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 0.2~20중량%,
(B)(A)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 5~60중량%, 및
(C)실리콘류 및 탄소수 15~28인 1가 알코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0.1~10중량%를 함유하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이, 우수한 기포성과 세정 시에서부터 건조 후까지의 양호한 사용감을 가지는 것이 개시되고 있다(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5-09715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063294호 공보
특허 문헌 2의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에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을 배합하는 경우, 점도가 높고, 세정제 조성물 중의 상기 실리콘의 분산이 곤란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화합물로 대표되는 모발에 양호한 사용감을 부여하는 성분에 실리콘을 안정적으로 배합하고,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을 모발용 화장료 중에 용이하게 분산할 수 있는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 및 취급하기 쉽고,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 우수한 효과를 내는 모발용 화장료용 실리콘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는 예의연구를 행한 결과, 하기 특정 성분(A)를 성분(B)와 특정비율로 혼합한 후,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 및/또는 물을 혼합하면, 모발용 화장료 중에 성분(B)를 용이하게 배합할 수 있고, 얻어진 모발용 화장료는 높은 컨디셔닝 효과를 가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이 이유로서 본 제조 방법을 이용하면, 모발용 화장료 중, 특정 성분(A)가 성분(B)를 미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즉, 본 발명은 하기 공정 1 및 2를 가지는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공정 1: 다음의 성분(A)와 (B)를 (A)/(B)=1/10~10/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실리콘 조성물을 얻는 공정
(A)일반식(I)
R1O-(PO)n/(EO)m-R2 (I)
(식 중, R1은 탄소수 3~10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PO는 프로필렌옥시기를 나타내고, EO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은 1.5~5.0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m은 0~1.0의 수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
(B)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
공정 2: 공정 1에서 얻어진 실리콘 조성물과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 및/또는 물을 혼합하여 모발용 화장료를 얻는 공정
또,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성분(A)와 (B)를, (A)/(B)=1/10~10/1의 중량비로 함유하고, 성분(A)와 (B)의 합계 함유량이 90~100중량%인 모발용 화장료용 실리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점도의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을 용이하게 모발용 화장료에 안정적으로 배합할 수 있고, 얻어진 모발용 화장료는 높은 컨디셔닝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실시예 15의 헤어 컨디셔닝제의 광학 현미경 사진(450배)이다.
도 2는 비교예 13의 헤어 컨디셔닝제의 광학 현미경 사진(450배)이다.
성분(A)
성분(A)의 일반식(I)에서, R1은 성분(B)를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 분산시키는 관점 및 모발의 정돈, 보습감, 윤기,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탄소수는 3 이상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탄소수 6 이상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성분(B)를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 분산시키는 관점, 보습감을 향상시키는 관점, 끈적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탄소수 10 이하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R1은 탄소수 3~1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10,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다. 또, 저브롬화의 관점에서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저브롬화의 관점, 모발용 화장료로서의 감촉(끈적임, 보습감, 윤기, 모발의 정돈, 모발의 매끄러움)의 관점에서 R1은 탄소수 8인 것이 바람직하고, 혼합 알킬의 경우, 탄소수 8인 것이 5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8몰% 이상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성분(A)의 일반식(I)에서, PO와 EO는 블록이어도 되고 랜덤이어도 되지만, 블록이 바람직하고, 저브롬화의 관점에서, (PO)n/(EO)m는 R1O에 대해서(PO)n, (EO)m의 순서로 블록 형상으로 (부가)배열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A)의 일반식(I)인 화합물에서, 평균 부가 몰수 n 및 m은, 성분(B)를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 분산시키는 관점과 냄새를 감소하는 관점, 모발용 화장료로서의 감촉(끈적임, 보습감, 윤기, 모발의 정돈, 모발의 매끄러움)의 관점의 균형으로부터 제한된다. 즉, 평균 부가 몰수 n 및 m이 적으면, 원료 알콜 함유량이 많아지고, 냄새가 증가함과 동시에, 성분(B)의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의 분산성이 저하하고, 보습감, 모발의 정돈, 윤기, 모발의 매끄러움이 저하한다. 한편, 평균 부가 몰수 n 및 m이 많으면, 도포시의 발림성, 모발의 정돈은 좋지만, 성분(B)의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의 분산성이 저하하고, 끈적임이 늘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평균 부가 몰수 n은 성분(B)를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 분산시키는 관점, 냄새를 감소하는 관점, 모발의 정돈이나 윤기, 보습감,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하는 관점에서, 1.5 이상이고, 2.0 이상이 바람직하고, 2.3 이상이 한층 바람직하고, 2.5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성분(B)를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 분산시키는 관점, 끈적임을 감소하는 관점, 보습감을 향상하는 관점에서, 5.0 이하이고,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9 이하가 한층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평균 부가 몰수 n은 1.5~5.0이고, 1.5~3.0이 바람직하고, 2.0~3.0이 보다 바람직하고, 2.3~2.9가 한층 더 바람직하고, 2.5~2.9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평균 부가 몰수 m은 냄새를 감소하는 관점에서 0 이상이며, 모발의 정돈이나 윤기, 보습감,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0 이하이고, 0.5 이하가 바람직하고, 0.2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평균 부가 몰수 m은 0~1.0이며, 0~0.5가 바람직하고, 0~0.2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n+m은 성분(B)를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 분산시키는 관점, 냄새를 감소하는 관점, 모발의 정돈이나 윤기, 보습감,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3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성분(B)를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 분산시키는 관점, 끈적임을 감소하는 관점, 보습감을 향상하는 관점에서,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고, 2.9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n+m은 1.5~5.0이 바람직하고, 1.5~4.0이 보다 바람직하고, 1.5~3.0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2.0~3.0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2.3~2.9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일반식(I) 중의 평균 부가 몰수 n 및 m은 평균이기 때문에, 개개의 분자의 부가 몰수는 분포가 있다. 그러한 부가 몰수 중 PO의 부가 몰수의 분포에 대해서는, 성분(B)를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 분산시키는 관점, 및 모발용 화장료로서의 감촉(끈적임, 보습감, 윤기, 모발의 정돈, 모발의 매끄러움)의 관점에서, 성분(A)에 함유되는 PO의 부가 몰수가 1~5인 화합물에 차지하는, PO의 부가 몰수가 2 및 3인 화합물의 합계 비율이, 58~80 몰%가 바람직하고, 60~70 몰%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B)를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 분산시키는 관점, 및 모발용 화장료로서의 감촉(끈적임, 보습감, 모발의 정돈, 윤기, 모발의 매끄러움)의 관점, 성분(A)의 제조의 관점에서, 성분(A)에 함유되는 PO의 부가 몰수 1~5인 화합물에 차지하는, PO의 부가 몰수 1인 화합물의 비율은 9~25 몰%가 바람직하고, PO의 부가 몰수 2인 화합물의 비율은 30~40 몰%가 바람직하고, PO의 부가 몰수 3인 화합물의 비율은 20~30 몰%가 바람직하고, PO의 부가 몰수 4인 화합물의 비율은 9~18 몰%가 바람직하고, PO의 부가 몰수 5인 화합물의 비율은 3~9 몰%가 바람직하다.
평균 부가 몰수 n 및 m의 값은 1H-NMR에 의해 구할 수 있다. PO의 부가 몰수의 분포는 후술하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구할 수 있고, EO가 부가되어도 PO만 부가하고 있는 화합물에 주목하여, 상기의 값을 구한다.
일반식(I) 중의 R2는 성분(A)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및 끈적임을 감소하고, 모발의 정돈,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지만,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또, 일반식(I) 중, n=m=0이고, R2가 수소 원자이고, R1이 탄소수 3~10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인 R1OH로 나타내는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R1이 탄소수 6~10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인 R1OH로 나타내는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R1이 탄소수 8~10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인 R1OH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저브롬화의 관점, 보습감, 모발 정돈의 관점에서, 성분(A) 중에 3000ppm 이하가 바람직하지만, 2000ppm 이하, 1500ppm 이하가 더, 1000ppm 이하가 보다 더, 500ppm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R1OH의 양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증류 등에 의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성분(A)는 염기성 촉매를 이용하고, R1OH(식 중, R1은 탄소수 3~1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10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원료 알코올에 프로필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 및 에틸렌 옥시드를 반응시킨 후, 그 원료 알코올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반응시 부가시키는 프로필렌 옥시드나 에틸렌 옥시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전술한 n, m, 및 n+m의 값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성분(A)에 포함되는 R1OH는 원료 알코올 유래의 것이고, 성분(A)의 일반식(I)에서, R1이 탄소수 3~10(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10)인 경우는, 성분(A)에 포함되는 R1OH의 R1의 탄소수도 3~10(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10)이 된다.
성분(A)의 제조에 이용하는 염기성 촉매로는 수산화 칼륨,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리튬, 나트륨 알콕시드 등이 이용되고, R1OH로 표현되는 원료 알코올의 0.1~5 몰%가 바람직하고, 0.1~2 몰%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0~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60℃이고, 반응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0.1~0.8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6MPa이다.
반응물은 그대로 증류시킬 수도 있지만, 염기성 촉매를 중화제 혹은 흡착제 등으로 제거하고 나서 증류제거시킬 수도 있다. 원료 알코올의 증류제거란, 원료 알코올을 증류 혹은 수증기 처리에 의해 증류제거하거나, 또는 증류와 수증기 처리를 조합하여 증류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증기 처리란, 반응 조성물에 수증기를 불어넣어, 수증기와 함께 원료 알코올을 계외로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증류 제거조건은 다음과 같다.
온도: 80~200℃, 바람직하게는 80~150℃.
압력: 27kPa(200torr) 이하, 바람직하게는 6kPa(45torr) 이하.
수증기량: 반응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서 0~50중량부.
성분(B)
성분(B)의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은 실리콘 주쇄에 폴리글리세롤 사슬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성분(B)로는 하기 구조식(1), (2), (3), (4) 또는 (5)로 나타내는 글리세롤기 또는 글리시돌기가 동일 또는 다르게 평균 4개 이상 결합하고, 또한 구조식(1) 또는 (5)로 나타내는 기를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한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이, 실리콘의 규소 원자에 연결기를 개재하여 적어도 1개 결합한, 분기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이하 성분(b)라고 한다)을 예로 들 수 있다.
Figure 112012025145431-pct00001
또한, 상기 구조식(1)의 2개의 산소 원자에는, 동일 또는 다르게 상기 구조식(1), (2), (3), (4) 또는 (5)로 나타내는 글리세롤기 또는 글리시돌기가 결합하고, 구조식(2)의 산소 원자에는, 상기 구조식(1), (2), (3), (4) 또는 (5)로 나타내는 글리세롤기 또는 글리시돌기가 결합하고, 구조식(3)의 산소 원자에는, 상기 구조식(1), (2), (3), (4) 또는 (5)로 나타내는 글리세롤기 또는 글리시돌기가 결합하고, 구조식(5)의 2개의 산소 원자에는, 동일 또는 다르게 상기 구조식(1), (2), (3), (4) 또는 (5)로 나타내는 글리세롤기 또는 글리시돌기가 결합한다.
이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은 a개의 구조식(1)로 나타낸 분기 글리세롤기(이하, 기(1)이라고 한다), b개의 구조식(2)로 나타낸 글리시돌기(이하, 기(2)라고 한다), c개의 구조식(3)으로 나타낸 글리세롤기(이하, 기(3)이라고 한다), d개의 구조식(4)로 나타낸 글리세롤기(이하, 기(4)라고 한다), e개의 구조식(5)로 나타낸 분기 글리세롤기(이하, 기(5)라고 한다)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 중에서, 기(1), (2), (3) 및 (5)는 임의의 배열로 서로 결합해도 된다. 기(1) 및/또는 기(5)의 수가 많을수록 분기 구조가 발달해 있고, 각 분기쇄의 말단에 기(4)가 존재한다.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 중의, 기(1), (2), (3), (4) 및 (5)의 평균 결합 총수(a+b+c+d+e)는 NMR 해석 내지 전구체 실리콘과의 분자량 비교에 의해 구할 수 있고, 그 수는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며, 4~201이 보다 바람직하고, 4~101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4~51인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4~21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 중의 분기의 비율[(a+e)/(a+b+c+d+e)]은 1/20 이상이 바람직하고, 1/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6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1/2 미만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 중에서, 기(1), (2), (3), (4) 및 (5)는 임의로 결합해도 된다.
기(1)의 수(즉, a)는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 중, 0~100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0개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00개 존재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2~50개 존재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2~25개 존재하는 것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2~10개 존재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기(4)의 수(즉, d)는 1~101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101개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101개 존재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3~51개 존재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3~26개 존재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3~11개 존재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기(2)의 수(즉, b), 기(3)의 수(즉, c)는 동일 또는 다르고, 0~199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98개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96개 존재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0~96개 존재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0~46개 존재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0~16개 존재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기(5)의 수(즉, e)는 a가 0일 때는 1개이며, a가 1 이상일 때는 0 또는 1개가 바람직하다. a가 1 이상이고, e가 0인, 실리콘의 규소 원자에, 연결기를 개입시켜서, 하기 구조식(1)로 나타낸 분기 글리세롤기를 1개 이상 함유하는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이 적어도 1개 결합한, 분기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Figure 112012025145431-pct00002
(식 중, 2개의 산소 원자에는, 동일 또는 다르게, 상기 구조식(1), 하기 구조식(2), (3) 또는 (4)로 나타낸 글리세롤기 또는 글리시돌기가 결합한다.
Figure 112012025145431-pct00003
이 경우, 구조식(1)의 2개의 산소 원자에는, 동일 또는 다르게 상기 구조식(1), (2), (3) 또는 (4)로 나타낸 글리세롤기 또는 글리시돌기가 결합하고, 구조식(2)의 산소 원자에는, 상기 구조식(1), (2), (3) 또는 (4)로 나타낸 글리세롤기 또는 글리시돌기가 결합하고, 구조식(3)의 산소 원자에는, 상기 구조식(1), (2), (3) 또는 (4)로 나타낸 글리세롤기 또는 글리시돌기가 결합한다.)
분기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에 있어서의, 실리콘의 규소 원자와 상술한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을 결합하는 연결기는, 에테르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가지는 2가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모발 세정제 조성물 중에서의 화학적 안정성 등의 점에서, 에테르기를 가지는 2가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테르기를 가지는 2가의 기로는 일반식(7)로 나타낸 기(이하, 연결기(7)이라고 한다)가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기(7)은 (R9)p측이 실리콘 사슬의 규소 원자에 결합하고, (AO)q측이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에 결합한다.
-(R9)p-O-(AO)q- (7)
(식 중, R9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22인 직쇄 혹은 분기쇄의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또는 탄소수 6~28인 아릴렌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2인 직쇄 혹은 분기쇄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 AO는 탄소수 1~4인 알킬렌옥시기(옥시알킬렌기라고도 한다) 또는 탄소수 6~10인 아릴렌옥시기(옥시아릴렌기라고도 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인 알킬렌옥시기, p는 0 또는 1의 수, q는 0~30의 수를 나타내고, q개의 AO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에스테르기를 가지는 2가의 기로는 일반식(8)로 나타낸 기(이하, 연결기(8)이라고 한다)가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기(8)은 R10측이 실리콘 사슬의 규소 원자에 결합하고, (AO)r측이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에 결합한다.
-R10-COO-(AO)r- (8)
(식 중, R10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탄소수 1~22인 직쇄 혹은 분기쇄의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또는 탄소수 6~28인 아릴렌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2인 직쇄 혹은 분기쇄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 r는 0~30의 수, AO는 상기한 의미를 나타내고, r개의 AO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연결기(7) 및 (8)에서, AO의 알킬렌옥시기 또는 아릴렌옥시기의 산소측에서 분기 폴리글리세롤기에 결합하고, 알킬렌옥시기 또는 아릴렌옥시기의 알킬렌 또는 아릴렌측에서, 연결기가 함유하는 에테르기 또는 에스테르기에 결합한다.
R9 및 R10 중의 치환기로서 히드록시기, 아미노기(탄소수 1~22), 이미노기(탄소수 1~22), 카르복실기, 알콕시기(탄소수 1~22), 아실기(탄소수 1~22) 등을 들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연결기는 하기 일반식(9)로 나타낸 연결기(이하, 연결기(9)라고 한다)이다. 또한, 연결기(9)에서는 트리메틸렌측이 실리콘 사슬의 규소 원자에 결합하고, 산소 원자측이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에 결합한다.
-CH2CH2CH2-O-CH2CH2O- (9)
또, 바람직한 다른 연결기는 옥시페닐렌기를 함유하는 연결기이다. 그러한 연결기 중에는 하기 일반식(10)으로 나타낸 기(이하, 연결기(10)이라고 한다) 또는 일반식(11)로 나타낸 기(이하, 연결기(11)이라고 한다)가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기(10)에서는 (R11)u측이 실리콘 사슬의 규소 원자에 결합하고, (AO)v측이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에 결합한다. 또, 연결기(11)에서는 (R12)z측이 실리콘 사슬의 규소 원자에 결합하고, (AO)x 및 (AO)y측이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에 결합한다.
Figure 112012025145431-pct00004
(식 중, R11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22인 직쇄 혹은 분기쇄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 u는 0 또는 1의 수, v는 0~30의 수, AO는 상기한 의미를 나타내고, v개의 AO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Figure 112012025145431-pct00005
(식 중, R12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22인 직쇄 혹은 분기쇄의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 z는 0 또는 1의 수, x는 0~30의 수, y는 0~30의 수, AO는 상기한 의미를 나타내고, x개 및 y개의 AO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연결기(10) 및 연결기(11)에서, (R11)u 및 (R12)z는 실리콘 사슬의 규소 원자와, 연결기가 함유하는 옥시페닐렌기의 페닐렌기를 연결하는 기이지만, R11 및 R12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6,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12인 알킬렌기 또는 알케닐렌기이며, 에틸렌, 프로필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카메틸렌, 운데카메틸렌, 도데카메틸렌, 트리데카메틸렌, 테트라데카메틸렌, 펜타데카메틸렌, 헥사데카메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트리메틸렌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에틸렌 또는 트리메틸렌기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R11 및 R12중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는 치환기로서, 히드록시기, 아미노기(탄소수 1~22), 이미노기(탄소수 1~22), 카르복실기, 알콕시기(탄소수 1~22), 아실기(탄소수 1~22) 등을 들 수 있다.
u 및 z는 0 또는 1이지만, 1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결기(10) 및 연결기(11)에서, AO는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과, 연결기가 함유하는 옥시페닐렌기의 산소 원자를 연결하는 옥시알킬렌기 또는 옥시아릴렌기며, 옥시알킬렌기 또는 옥시아릴렌기의 산소측에서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에 결합하고, 옥시알킬렌기 또는 옥시아릴렌기의 알킬렌 또는 아릴렌측에서 옥시페닐렌기의 산소 원자에 결합한다. AO으로서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또는 옥시페닐렌기가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는 옥시에틸렌기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v, x 및 y는 각각, 0~30의 수이지만, 0~15가 바람직하고, 0~5가 한층 더 바람직하고, 0이 가장 바람직하다. v, x 및 y가 0 이외의 수인 경우, v개의 AO, x개의 AO, y개의 AO는, 동일 또는 달라도 되고, 다른 경우, 그들 AO의 상호의 결합 양식은 교호형, 블록형 혹은 이들 이외의 주기 배열이어도 되고, 또는 랜덤형이어도 된다.
연결기(10)에서, 옥시페닐렌기의 페닐렌기에 결합한, 산소 원자와 (R11)u기(u가 0인 경우는 실리콘 사슬상의 규소 원자)의 결합 양식은 서로 오르토 위치, 메타 위치, 파라 위치 중 어느 하나여도 되고, 또 이들의 혼합이어도 된다. 또 연결기(11)에서, 옥시페닐렌기의 페닐렌기에 결합한, 2개의 산소 원자와 (R12)z기(z가 0인 경우는 실리콘 사슬상의 규소 원자) 중 어느 2개에 대해서도, 그 결합 양식은 서로 오르토 위치, 메타 위치, 파라 위치 중 어느 하나여도 되고, 또 이들의 혼합이어도 된다.
옥시 페닐렌기 함유 연결기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하기 일반식(12)로 나타낸 연결기(이하, 연결기(12)라고 한다)이다. 또한, 연결기(12)에서는 트리메틸렌측이 실리콘 사슬의 규소 원자에 결합하고, 산소 원자측이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에 결합한다.
Figure 112012025145431-pct00006
연결기(12)에서, 옥시페닐렌기의 페닐렌기에 결합한, 산소 원자와 트리메틸렌기의 결합 양식은 오르토 위치, 메타 위치, 파라 위치 중 어느 하나여도 되고, 또 이들의 혼합이어도 되지만, 오르토 위치, 파라 위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b)를 형성하는 실리콘은 규소 원자를 2개 이상 가지는 폴리실록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으로, 폴리실록산의 형상은 직쇄상, 분기쇄상, 환상 중 어느 하나여도 된다. 또, 폴리실록산의 수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7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20만,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000~2만이다. 수평균 분자량은 겔·파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이하, GPC)법 등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성분(b)로는 일반식(6)으로 나타낸 직쇄상 실리콘(이하, 실리콘(6)이라고 한다)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2025145431-pct00007
식 중, R1, R2, R3, t개의 R4, t개의 R5, R6, R7, R8은 동일 또는 다르고,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이 결합한 연결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수 1~22인 직쇄 혹은 분기쇄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콕시기, 혹은 탄소수 6~22인 아릴기를 나타내고, R1, R2, R3, t개의 R4, t개의 R5, R6, R7, R8 중 적어도 1개는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이 결합한 연결기이다. t는 0~10,000의 수를 나타낸다.)
실리콘(6)에서, R1, R2, R3, t개의 R4, t개의 R5, R6, R7, R8 중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이 결합한 연결기 이외의 기는, 동일 또는 다르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고,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수 1~22인 직쇄 혹은 분기쇄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콕시기, 혹은 탄소수 6~22인 아릴기이며, 탄소수 1~22인 알킬기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t-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트리플루오로프로필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1~22인 알케닐기로는, 비닐기나 알릴기를 들 수 있고, 탄소수 1~22인 알콕시기로는,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헵틸옥시, 옥틸옥시, 페녹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탄소수 1~12인 직쇄 혹은 분기쇄의 알킬기, 비닐기, 알릴기, 또는 탄소수 6~12인 아릴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3인 알킬기 또는 페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기, 프로필기 또는 페닐기가 한층 더 바람직하고, 메틸기, 페닐기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실리콘(6)에서, R1~R8가 가지고 있어도 되는 치환기로서, 페닐기, 히드록시 페닐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탄소수 0~14), 이미노기, (아미노 에틸)아미노기, (디메틸 아미노 에틸)아미노기, 폴리옥시알킬렌기, 메르캅토기, 및 에폭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치환기를 가지는 경우, R1~R8로서 프로필기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실리콘(6)에서, R1, R2, R3, t개의 R4, t개의 R5, R6, R7, R8 중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1~1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5개,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2개는,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이 결합한 연결기이다. 이 연결기는 실리콘(6)의 측쇄, 편말단 및/또는 양말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해도 되고, 또 그 혼합물이어도 된다.
실리콘(6) 중, R1~R3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와, R6~R8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가,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이 결합한 연결기를 나타내고, 잔여의 R1~R3 및 R6~R8, t개의 R4, t개의 R5는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이 결합한 연결기가, t개의 R4, 및 t개의 R5로부터 선택되는 3개 이상에 존재하는 경우도, 측쇄 다치환형의 분기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이 되어 바람직하다.
실리콘(6) 중의 t는 0~10,000의 수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1~3,000의 수를,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0의 수를,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0~150의 수를 나타낸다.
성분(b)의 수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5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20만,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000~10만이다. 이 수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GPC법(표준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환산)에 따른다.
성분(b)는 실리콘 중의 규소 원자수(Si)와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 중의 기(1), (2), (3), (4) 및 (5)의 합계수(이하, 글리세롤기 수라고 한다)(G)의 비(G/Si)가, 0.001~50이 바람직하고, 0.05~10이 보다 바람직하고, 0.1~3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0.15~1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성분(b)에서,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저해하지 않는 한,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 중에, 소량의 에틸렌옥시기 및/또는 프로필렌옥시기가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에틸렌옥시기 및/또는 프로필렌옥시기가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 중에 랜덤하게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복수의 에틸렌옥시기 및/또는 프로필렌옥시기가 연쇄를 이루어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 중에 블록적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 때, 복수의 에틸렌옥시기 및/또는 프로필렌옥시기로 이루어진 블록은 분기 폴리글리세롤 사슬의 연결기의 근방에 존재해도 되고, 말단에 존재해도 되고, 혹은 중간 정도에 존재해도 된다. 에틸렌옥시기 및/또는 프로필렌옥시기는 0.001~0.5 몰 당량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2~0.2 몰 당량 존재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성분(b)는 반응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분기 폴리글리세롤과, 실리콘 사슬 중의 규소 원자의 일부에 수소 원자가 결합한, 이른바 오르가노하이드로겐 실리콘을, 백금계 촉매 존재하에서 히드로실릴화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반응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분기 폴리글리세롤은 반응성 불포화기와 관능기(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화합물에, 산성 촉매 또는 염기성 촉매 존재 하, 글리시돌(2,3-에폭시-1-프로판올)을, 첨가 속도를 컨트롤하면서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첨가 속도를 늦춰서, 분기도가 높은 반응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분기 폴리글리세롤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반응성기로서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메르캅토기 및 에폭시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는 실리콘에, 산성 또는 칼륨 등의 염기성 촉매의 존재 하, 글리시돌을 첨가하고, 그라프트 중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서도 성분(b)를 제조할 수 있다.
또,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은 일본 특허공개 2005-97150호, 일본 특허공개 2004-339244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은 하기 공정 1 및 2를 가진다.
공정 1: 상기 성분(A)와 (B)를, 1/10~10/1의 중량비((A)/(B))로 혼합하여, 실리콘 조성물을 얻는 공정
공정 2: 공정 1에서 얻어진 실리콘 조성물과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 및/또는 물을 혼합하여 모발용 화장료를 얻는 공정
공정 1에서는 성분(A)와 (B)를 혼합하여, 실리콘 조성물을 얻는다. 여기에서는 성분(A)에 성분(B)를 첨가해도 되고, 그 반대로 해도 된다.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성분(B)를 제조한 후, 계속해서 성분(B)가 들어가 있는 반응조에 성분(A)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A)와 (B)를 균일하게 혼합하는 관점에서, 혼합 온도는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실리콘 조성물의 착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80℃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혼합 온도는 10~100℃가 바람직하고, 10~80℃가 보다 바람직하고, 15~80℃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혼합함으로써, 성분(A)와 (B)가, 거의 균일한 용액이 되고, 성분(B)가 점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해진다.
성분(A)와 (B)의 혼합 중량비 [(A)/(B)]는,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 성분(B)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관점, 공정 2의 생산성(핸들링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및 모발용 화장료로서의 감촉(끈적임, 보습감, 윤기, 모발의 정돈,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10 이상이며,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1/4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모발용 화장료로서의 감촉(끈적임, 모발의 정돈, 윤기, 보습감,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0/1 이하이며, 5/1 이하가 바람직하고, 1/1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고, 2/3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성분(A)와 (B)의 혼합 중량비 [(A)/(B)]는 1/10~10/1이며, 1/10~5/1이 바람직하고, 1/5~5/1이 보다 바람직하고, 1/5~1/1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1/4~1/1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1/4~2/3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실리콘 조성물 중, 성분(A)와 (B)의 합계 함유량은 모발용 화장료로서의 감촉과 배합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5~100중량%,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99~100중량%이다.
실리콘 조성물 중, 성분(A)와 (B) 이외의 성분으로는 물이나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 등의 유기용매, 저중합도(저점도)의 디메치콘, 방부제,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얻어진 실리콘 조성물의 30℃에서의 점도는 공정 2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0000mPa·s 이하가 바람직하고, 5000mPa·s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0mPa·s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공정 2의 생산성(계량성)이나 모발용 화장료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0mPa·s 이상이 바람직하고, 50mPa·s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mPa·s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500mPa·s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실리콘 조성물의 30℃에서의 점도는 10~20000mPa·s가 바람직하고, 50~5000mPa·s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2000mPa·s가 한층 더 바람직하고, 500~2000mPa·s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실리콘 조성물의 30℃에서의 점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실리콘 조성물의 점도의 조정은 성분(A)와 성분(B)의 혼합 중량비나, 성분(A)의 R1이나 n수(PO쇄 길이)의 선택, 성분(B)의 분자량, 성분(B)에서의 글리시돌의 부가 몰 수 등을 조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얻어진 실리콘 조성물은 점도가 낮고, 계면활성제 및/또는 물과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고, 성분(B)를 계면활성제 및/또는 수중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성분(B)와 함께 성분(A)도, 모발의 컨디셔닝 효과가 높기 때문에, 성분(B)와 함께 성분(A)도 모발용 화장료로 할 수 있다.
공정 2에서는 공정 1에서 얻어진 실리콘 조성물과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 및/또는 물을 혼합하여, 모발용 화장료를 얻는다. (A)성분과 (B)성분을 포함한 실리콘 조성물은 물 및/또는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와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료의 종류에 따라서, 상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어 샴푸 등의 경우,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 및 다른 유제(油劑), 방부제 등의 성분과 물을 70~80℃로 가열 혼합, 교반하고, 그 후 30~40℃까지 냉각하고, 실리콘 조성물을 첨가하여, 샴푸를 얻을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헤어 컨디셔닝제, 헤어 퍼머제, 헤어 칼라제 등의 경우,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과 물을 70~80℃로 가온 혼합한 수상(水相)에, 고급 알코올, 유제 등의 혼합물인 유상(油相)을 첨가하고,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40~50℃에서 실리콘 조성물을 첨가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헤어 컨디셔닝제 등을 얻을 수 있다.
실리콘 조성물과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 및/또는 물과의 혼합 중량비, 즉, 실리콘 조성물/[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물]은 얻어지는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모발의 정돈이나 윤기, 보습감,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10000 이상이 바람직하고, 5/100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00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2/1000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 끈적임을 억제하고, 보습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2/10 이하가 바람직하고, 1/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100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고, 3/100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실리콘 조성물/[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물]은, 1/10000~2/10이 바람직하고, 5/10000~1/10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00~5/100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2/1000~3/100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는 공지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황산계, 술폰산계, 카르복실산계, 인산계 및 아미노산계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케닐에테르 황산염, 술포호박산 알킬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술포호박산 알킬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페닐에테르 황산염, 알칸술폰산염, 아실이세티오네이트, 아실메틸타우레이트, 고급 지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인산염, 아실글루타민산염, 알라닌 유도체, 글리신 유도체, 아르기닌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양성(兩性) 계면활성제로는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민옥사이드형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이미다졸린계 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술포베타인 등의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의 아민옥사이드형 계면활성제가 보다 바람직하고, 알킬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 베타인,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알킬술포베타인, 지방산 아미드프로필히드록시술포베타인 및 지방산 아미드프로필술포베타인 등의 술포베타인 및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모노장쇄(長鎖)알킬(탄소수 12~28) 4급 암모늄염으로는, 스테아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미리스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아라키딜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베헤닐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N-스테아릴-N,N,N-트리(폴리옥시 에틸렌)암모늄 클로라이드(합계 3 몰 부가) 등을 들 수 있다. 디장쇄 알킬 또는 알케닐(탄소수 12~28) 4급 암모늄염으로는, 디스테아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올레일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팔미틸 메틸 히드록시에틸 암모늄 메토설페이트, 디이소 스테아릴 디메틸 암모늄 메토설페이트, 디[(2-도데카노일아미노)에틸]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2-스테아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 암모늄 에토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아미드(탄소수 12~28) 알킬(탄소수 1~5) 4급 암모늄염으로는, 스테아라마이드 프로필 4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N-탄화수소(탄소수 12~28) 카르바모일 알킬(탄소수 1~5) 4급 암모늄염으로는, N-스테아릴 카르바모일 프로필 4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아실(탄소수 12~28) 옥시 알킬(탄소수 1~5) 4급 암모늄염으로는, 스테아로일 프로필 4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탄소수 12~28) 옥시 알킬(탄소수 1~5) 4급 암모늄염으로는, 옥타데실록시 프로필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들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 알킬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 알킬렌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 알킬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 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류, 성분(A) 이외의 폴리옥시 알킬렌 알킬 에테르류, 폴리옥시 알킬렌 알킬 페닐 에테르류, 폴리옥시 알킬렌(경화) 피마자유류, 자당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글리세린 알킬 에테르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알킬 글리코시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알킬 글리코시드류, 폴리옥시 에틸렌(C8~C20) 알킬 에테르(바람직하게는 EO의 평균 부가 몰수 3~50),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알칸올 아미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모발용 화장료로서 헤어 샴푸, 헤어 컨디셔닝제, 헤어 퍼머제, 헤어 칼라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 중의 실리콘 조성물의 함유량은 머리카락의 정돈이나 윤기, 보습감,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0.05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1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2중량%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한편, 모발용 화장료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끈적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1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중량%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실리콘 조성물의 함유량은 모발용 화장료 중, 0.05~10중량%가 바람직하고, 0.1~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2~3중량%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 중, 성분(A)의 함유량은 성분(B)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보습감, 모발의 정돈, 윤기,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0.05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1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끈적임을 억제하고, 보습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7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중량%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성분(A)의 모발용 화장료 중의 함유량은 0.05~10중량%, 0.1~7중량%가 한층, 0.1~3중량%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는, 상기 일반식(1) 중, n=m=0이고, R2가 수소 원자이고, R1이 탄소수 3~10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인 R1OH로 나타내는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R1이 탄소수 6~10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인 R1OH로 나타내는 화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R1이 탄소수 8~10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인 R1OH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저브롬화, 보습감, 모발 정돈의 관점에서 모발용 화장료 중, 300ppm 이하가 바람직하고, 150pp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0ppm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고, 50ppm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30ppm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하한은 특별히 없지만, 제조 용이성의 관점에서 1ppm 이상이 바람직하다.
모발용 화장료 중에 포함되는 R1OH는, 성분(A)에 포함되는 R1OH 유래의 것이며, 성분(A)의 일반식(1)에서, R1이 탄소수 3~10(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10)인 경우는, 모발용 화장료 중에 포함되는 R1OH의 R1의 탄소수도 3~10(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10,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10)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 중, R1OH의 함유량을 300ppm 이하로 하려면, 성분(A) 중의 그 원료 알코올을 증류로 제거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원료 알코올의 함유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R1OH의 함유량을 상기의 범위로 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R1OH의 함유량이 낮은 (A)성분을 이용해도 되고, (A)성분을 배합 후에 R1OH의 원료 알코올을 제거할 수도 있지만, 전자 쪽이 효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 중, 성분(B)의 함유량은 모발의 촉촉함, 윤기, 모발의 정돈,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0.05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1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3중량%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고, 끈적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1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7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중량%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성분(B)의 모발용 화장료 중의 함유량은 0.05~10중량%, 0.1~7중량%가 한층, 0.3~3중량%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모발용 화장료 중, 성분(A)와 (B)의 중량비는 전술한 혼합량비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 특히 헤어 컨디셔닝제, 헤어 퍼머제, 헤어 칼라제 중에서의 성분(B)의 분산 입경은 모발에 균일하게 부착하는 관점에서, 50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30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μm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모발에의 흡착량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0.1μm 이상이 바람직하고, 0.5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μm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B)의 분산 입경은 0.1~50μm이 바람직하고, 0.5~30μm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μm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모발용 화장료 중에서의 성분(B)의 분산 입경은 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성분(B)의 분산 입경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려면, 성분(A)와 성분(B)의 혼합 중량비나, 성분(A)의 R1이나 n수(PO쇄 길이)의 선택, 성분(B)의 분자량, 성분(B)에서의 글리시돌의 부가 몰수,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조건(교반력, 혼합 온도, 혼합 시간) 등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어 샴푸의 경우,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의 모발용 화장료중의 함유량은 거품을 일으키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의 모발용 화장료 중의 함유량은 1~15중량%가 바람직하고, 3~1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물의 함유량은 50~90중량%가 바람직하고, 60~8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A)와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와의 중량비[성분(A)/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는, 모발의 정돈, 윤기, 보습감,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5/10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1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100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거품이 이는 속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1/1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0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성분(A)/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는 5/1000~1/5가 바람직하고, 1/100~1/10이 보다 바람직하고, 2/100~1/20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헤어 컨디셔닝제, 헤어 퍼머제, 헤어 칼라제의 경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고,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의 모발용 화장료 중의 함유량은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0.05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1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3중량% 이상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중량%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의 모발용 화장료 중의 함유량은 0.05~10중량%가 바람직하고, 0.1~1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3~5중량%가 한층 더 바람직하고, 0.3~2.5중량%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물의 함유량은 50~98중량%가 바람직하고, 60~97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A)와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와의 중량비[성분(A)/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는, 끈적임, 모발의 정돈, 윤기, 보습감,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100 이상이 바람직하고, 5/1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끈적임을 억제하는 관점, 모발의 매끄러움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5/1 이하가 바람직하고, 3/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1 이하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을 종합하면, [성분(A)/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는 1/100~5/1이 바람직하고, 5/100~3/1이 바람직하고, 1/10~1/1이 한층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는 본 발명을 해치지 않는 한, 유성 성분을 더 함유해도 된다.
유성 성분으로는, 성분(B) 이외의 실리콘, 에스테르유, 탄화수소류, 글리세리드류, 식물유, 동물유, 라놀린 유도체,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고,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성분(B) 이외의 실리콘으로는, 일본 특허공개 1994-4891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a)디메틸 폴리실록산, (b)메틸 페닐 폴리실록산, (c)아미노 변성 실리콘[수성 유탁액으로는 SM8704C(토레·다우코닝·실리콘제), DC939(토레·다우코닝·실리콘제) 등을 들 수 있다], (d)지방산 변성 폴리실록산, (e)알코올 변성 실리콘, (f)지방족 알코올 변성 폴리실록산, (g)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h)에폭시 변성 실리콘, (i)불소 변성 실리콘, (j)환상 실리콘, (k)알킬 변성 실리콘, (l)아미노 변성 실록산-폴리옥시 알킬렌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로는, 모노 에스테르유, 또는 분자 내에 2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을 가지는 에스테르유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모노 에스테르유로는, 총 탄소수 8~40인 모노 에스테르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2,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20인 1가 지방산과 탄소수 1~20인 1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의 모노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직쇄이어도 되고 분기쇄이어도 되며, 또 포화이어도 되고 불포화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이소노난산 트리이소데실, 스테아린산 스테아릴, 모노 이소 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이 바람직하다.
분자 내에 2이상의 에스테르 결합을 가지는 다가 에스테르유로는, 총 탄소수 8~120인 다가 에스테르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22인 1가 또는 다가의 지방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과 탄소수 2~20인 1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과의 다가 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이들은 직쇄이어도 되고 분기쇄이어도 되고, 또 포화이어도 되고 불포화이어도 되며, 또한 방향환을 포함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디카프린산 네오펜틸 글리콜, 디이소 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디펜타 에리스리톨와 히드록시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로딘 등의 혼합 지방산과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에는, 고분자계 증점제를 배합할 수 있다. 고분자계 증점제로서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구아검, 크산탄검, 폴리 아크릴산계 고분자를 들 수 있다. 고분자계 증점제의 함유량은 모발용 화장료 중 0.01~20중량%가 바람직하고, 0.05~15중량%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에는, 공지의 성분인, 수용성 콜라겐, 콜라겐 유도체로 대표되는 단백 가수분해물을 배합할 수도 있다. 또, 킬레이트제, 착색제, 방부제, pH조정제, 점도 조정제, 향료, 펄 광택제, 습윤제, 스타일링용 폴리머 등을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로는, 모발의 끈적임, 윤기, 보습감, 모발의 정돈, 모발의 부드러움의 향상의 관점에서, 다음의 성분(A')~(C)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일반식(1)
R1O-(PO)n/(EO)m-R2 (1')
(식 중, R1은 탄소수 8~10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PO는 프로필렌 옥시기를 나타내고, EO는 에틸렌 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은 1.5~5.0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m은 0~1.0의 수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
(B)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
(C)(A') 이외의 계면활성제 및/또는 물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모발용 화장료는 모발의 정돈의 관점에서, 헤어 샴푸의 경우, pH(20℃)가 2~7이 바람직하고, 5~7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헤어 컨디셔닝제, 헤어 퍼머제, 헤어 칼라제의 경우, pH(20℃)는 2~7이 바람직하고, 2.5~5가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한층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1-옥타놀(카르콜 0898, 카오(주) 제품) 1615.0g(12.35mol)과 수산화 칼륨 6.9g(0.12mol)를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 넣고, 110℃, 13.3kPa로 탈수 후, 120℃에서 프로필렌 옥시드 1434g(24.69mol)를 0.3MPa로 압입하면서 부가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동일 반응 온도에서 6시간 숙성을 행한 후, 80℃까지 냉각하였다.
후처리로서, 얻어진 반응 조성물에 합성 흡착제(쿄워드 600 S, 쿄와 화학공업(주)) 55g를 첨가하고, 4.0kPa로 1시간 처리한 후, 여과에 의해 촉매를 제거했다. 얻어진 여과액의 1-옥타놀 함량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한 결과 9000ppm이었다.
그 후, 얻어진 여과액 1000g에 대해서, 130℃, 1.3kPa의 조건으로 1-옥타놀을 증류에 의해 증류제거했다. 또한 145℃, 6.0kPa, 5시간의 조건으로 수증기 100g를 불어넣는 수증기 처리를 행하였다.
얻어진 성분(A)(표 1에 나타낸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 중의 1-옥타놀 함량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Agilent사 HP6890N
컬럼: Frontier LAB Ultara-Alloy-1
온도 조건: 초기 온도 100℃(0min)
승온 속도 10℃/min(350℃까지)
최종 온도 350℃(20min)
샘플량: 1μL
주입구 조건:주입 모드 스프릿트법
주입구 온도 300℃
캐리어 가스: 헬륨 유량 60 mL/min
검출기: FID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증류 전과 증류, 수증기 처리 후의 성분(A)의 PO의 부가 몰수의 분포를 구했다.
증류 전의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의 PO 1~5의 분포(몰비)
PO 부가 몰수 1: 35.6
PO 부가 몰수 2: 34.9
PO 부가 몰수 3: 18.7
PO 부가 몰수 4: 7.8
PO 부가 몰수 5: 3.0
증류, 수증기 처리 후의 성분(A)의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의 PO 1~5의 분포(몰비)
PO 부가 몰수 1: 24.6
PO 부가 몰수 2: 39.8
PO 부가 몰수 3: 22.4
PO 부가 몰수 4: 9.5
PO 부가 몰수 5: 3.7
얻어진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의 PO의 평균 부가 몰수 n, EO의 평균 부가 몰수 m의 값은 1H-NMR에 의해 구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2: 헥실 알코올을 이용하고,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3.0몰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2를 얻었다.
제조예 3: n-프로필 알코올을 이용하고,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3.1 몰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3을 얻었다.
제조예 4: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2.9몰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4를 얻었다.
제조예 5: 2-에틸 헥실 알코올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5를 얻었다.
제조예 6: 1-데카놀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6을 얻었다.
제조예 7: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2.0몰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7을 얻었다.
제조예 8: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4.0몰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8을 얻었다.
제조예 9: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2.0몰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9를 얻었다.
제조예 10: 라우릴 알코올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0을 얻었다.
제조예 11: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6.9몰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1을 얻었다.
제조예 12: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7.2몰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2를 얻었다.
제조예 13: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를 6.7몰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6과 동일하게 하여,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3을 얻었다.
제조예 2~13에서 얻어진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를 표 1에 나타낸다.
R1 R2 n m 원료알콜량(ppm)[n=m=0]
제조예 1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 C8 H 2.4 0 400
제조예 2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2 C6 H 3.0 0 400
제조예 3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3 C3 H 3.1 0 400
제조예 4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4 C8 H 2.9 0 80
제조예 5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5 i-C8 H 3.0 0 400
제조예 6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6 C10 H 3.0 0 1500
제조예 7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7 i-C8 H 2.0 0 1500
제조예 8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8 i-C8 H 4.0 0 500
제조예 9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9 C8 H 2.0 0 500
제조예 10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0 C12 H 3.0 0 400
제조예 11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1 C3 H 6.9 0 400
제조예 12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2 C8 H 7.2 0 500
제조예 13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3 C10 H 6.7 0 500
제조예 14: 분기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연결기;-CH2CH2CH2-C6H4-O-)의 합성
페놀 변성 실리콘(토레·다우코닝(주) 제품, 상품명; BY16-752, 수산기 당량; 1500) 150g를 플라스크에 넣고, 칼륨 메톡시드(30% 메탄올 용액) 5.61g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감압하에서 60℃까지 가온해, 메탄올을 전부 증류제거하고, 황색 유상물로서 칼륨화 페놀 변성 실리콘을 얻었다. 95℃까지 승온하고, 거칠게 교반하면서 아르곤 기류하에서 글리시돌 39.9g(5.4 당량)을, 정량 송액 펌프를 이용해 3.5시간에 걸쳐서 첨가했다. 20분간 더 가열교반 후, 실온까지 냉각하면, 담황색 고체상 생성물이 얻어졌다. 얻어진 분기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에 에탄올 500mL를 첨가하고, 양이온 교환 수지에 의해 칼륨을 제거, 농축해, 미황색 유상물로서 분기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 A를 얻었다.(수율 98%).
얻어진 분기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은 13C-NMR 스펙트럼의 해석에 의해, 기(1)의 메틴 탄소 유래의 시그널(78.0~81.0ppm)의 존재로부터, 기(1)를 가지는 분기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인 것을 확인했다. 또 1H-NMR 스펙트럼의 해석에 의해, 평균 글리세롤 기 수(G)=10.9(한쪽측 5.5), 평균 규소 원자수(Si)=31.9, G/Si비는 0.34이며, GPC 해석(컬럼: KF-804L(×2), 지방족아민/클로로포름 용액, 40℃,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하면, 수평균 분자량(Mn)은 4100이었다.
실시예 1~13, 비교예 1~11
본 발명의 제조 공정에 따라, 공정 1에서 표 2의 실리콘 조성물을 얻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리콘 조성물의 제조(공정 1) 및 평가
혼합 상태: 표 2에 나타낸 소정량의 성분(A) 및 성분(B), 혹은 그 외 성분을 60℃에서 3시간 혼합하고, 실온에서 24시간 정치 후의 상태를 관찰했다.
○: 균일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 분리가 인정된다.
점도: 상기 평가에서, 균일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에 대해, BM형 점도계로 30℃에서의 점도를 측정했다.(측정 시간 1분, 로터 2 또는 3)

성분(A) 성분(B) 혼합비율<성분(A)/성분(B)> 혼합
상태
점도(mPa·s, 30℃)
화합물 중량부 화합물 중량부
실시예1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제조예1) 1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90 0.11 6250
실시예2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제조예1) 25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75 0.33 1200
실시예3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제조예1)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200
실시예4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제조예1) 75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25 3.00 40
실시예5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제조예1) 9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10 9.00 15
실시예6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2(제조예2) 25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75 0.33 1030
실시예7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3(제조예3)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164
실시예8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4(제조예4)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204
실시예9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5(제조예5)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231
실시예10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6(제조예6)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291
실시예11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7(제조예7)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189
실시예12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8(제조예8)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279
실시예13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9(제조예9)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167
비교예1 - -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100 0.00 44000
비교예2 시클로펜타실록산1)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7100
비교예3 디메틸폴리실록산(10CS)2)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8600
비교예4 옥틸알콜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
비교예5 프로필렌글리콜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
비교예6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0(제조예10)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
비교예7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1(제조예11)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
비교예8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2(제조예12)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
비교예9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3(제조예13) 50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
비교예10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제조예1) 50 고중합디메틸폴리실록산3) 50 1.00 ×
비교예11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제조예1) 50 아미노변성실리콘4) 50 1.00 ×
1): SH-245 Fluid [토레·다운코닝사 제품]
2): SH-200 C Fluid 10CS [토레·다운코닝사 제품]
3): KHS-3(점도: 10만mPa·s 이상) [신에츠 화학공업사 제품]
4): KF-8015 [신에츠 화학공업사 제품]
표 2로부터, 실시예 1~13의 실리콘 조성물은, 균일하게 혼합하고, 성분(A)를 함유하지 않는 성분(B)(비교예 1)에 비해, 점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비교예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B) 성분은 (A) 성분 이외의 일반적으로 모발용 화장료에 이용되는 화합물과 혼합한 경우, 분리하거나 분리하지 않아도 점도 감소 효과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비교예 10,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성분은 (B) 성분 이외의 실리콘과 혼합하여도, 분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균일한 실리콘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던 실시예 1~6, 비교예 1~3의 실리콘 조성물을 이용하여, 공정 2에서 헤어 샴푸를 제조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화장료(헤어 샴푸)의 제조(공정 2) 및 평가
하기 조성의 샴푸(pH6)를 조제하고,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에마르 E-27C(폴리옥시 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황산 Na: 유효분 27중량%[카오사 제품]) 56.7부와 물 40.8부와 혼합 후, 70℃로 가온하고, 아미논 C-11S(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 아미드([카오사 제품]) 1.0부, 카르콜 6098(세틸알콜[카오사 제품]] 0.7부, 안식향산 나트륨 0.3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40℃까지 냉각하고, 실리콘 조성물 또는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 0.5부를 혼합하여, pH가 6이 되도록 구연산을 첨가하고, 전량이 100부가 되도록 물을 첨가하고, 샴푸를 얻었다.
샴푸 조성 (중량%)
실리콘 조성물(실시예 1~6, 비교예 2~3) 또는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비교예 1) 0.5
에마르 E-27C[카오사 제품]
(폴리옥시 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황산 Na: 유효분 27중량%) 56.7
아미논 C-11S[카오사 제품]
(야자유 지방산 N-메틸 에탄올 아미드) 1.0
카르콜 6098[카오사 제품](세틸알콜) 0.7
안식향산 나트륨 0.3
구연산 적당량
정제수 잔여
계 100
분산성의 평가
상기의 샴푸 제조에서, 상술한 실리콘 조성물 또는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을 혼합하여, 구연산이나 물을 첨가하기 전의 혼합물에서의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의 분산성을 아래와 같은 판단으로 평가했다.
1: 혼합·교반에 의해, 용이하게 분산한다.(10분 이내에 균일하게 분산한다.)
2: 분산에 상당한 교반 시간이 걸린다.(균일하게 분산시키는데 30분 이상 걸린다.)
샴푸의 성능 평가
실시예 1~6과 비교예 1의 샴푸에 대해서, 하기의 평가에 기초하여, 샴푸 성능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4에 기재한다.
샴푸의 성능 평가(모발의 정돈, 윤기, 끈적임의 측정)는 일본인 모발을 이용한 시험용 트레스(20g, 길이 20cm)를 이용해 패널리스트 4명에 의한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즉, 화학 처리 이력이 없는 여자 성인 모발로 길이 약 40cm의 흑색의 직모를 검체로 하여, 이것을 40~50℃의 라우릴 황산나트륨 용액 중에 10분간 침지해 세정하고, 흐르는 물로 세정한 후 풍건한다. 이 모발 검체 약 4g를 겹치지 않게 3cm폭으로 가지런히 하여 모발의 길이가 35cm이 되도록 해 그 한쪽 끝을 3cm폭의 플라스틱판에 접착제로 고정한 것을 시험용의 트레스로 한다. 이와 같이 해 작성한 시험용 트레스를 이용했다.
조작:
트레스를 충분히 35~40℃의 온수로 적신 후, 프레인 샴푸로 세정한다. 충분히 온수로 헹군 후, 모속(毛束, hair bundle)을 가볍게 짜 여분의 수분을 빼내고, 1g의 상기 샴푸로 세정, 헹굼을 실시하고, 드라이어의 온풍으로 건조시켜, 마무리로 빗으로 모속을 정돈하고, 마무리시의 각 항목의 평가를 실시한다.
프레인 샴푸 (중량%)
에마르 E-27C[카오사 제품]
(폴리옥시 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황산 Na(유효분 27중량%)) 42
아미논 C-11S[카오사 제품]
(야자유 지방산 N-메틸 에탄올 아미드) 3
구연산 0.2
메틸파라벤 0.3
정제수 잔여
계 100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모발의 정돈(육안으로 평가한다.)
평가 기준:
5;튀어나온 머리카락이 없이 정돈되어 있다.
4;튀어나온 머리카락이 거의 없이 정돈되어 있다.
3;약간 튀어나온 머리카락이 있어, 약간 정리가 부족하다.
2;튀어나온 머리카락이 있어, 정돈되지 않았다.
1;튀어나온 머리카락이 많아 전혀 정돈되지 않았다.
머리카락의 윤기
평가 기준:
5;매우 명료한 윤기가 있다.
4;명료한 윤기가 있다.
3;약간 명료한 윤기가 있다.
2;윤기가 있지만 별로 명료하지 않다.
1;윤기가 전혀 없다.
머리카락의 끈적임(손으로 모발을 만져서 평가한다.)
평가 기준:
5;끈적끈적한 감촉은 전혀 없다.
4;끈적끈적한 감촉은 거의 없다.
3;약간 끈적끈적하다.
2;끈적끈적하다.
1;확실히 끈적끈적하다.
모두, 평점의 평균이 4 이상을 ◎, 4 미만 3 이상을 ○, 3 미만 2 이상을 △, 2 미만을 ×로 했다.
성분(A) 성분(B) 혼합비율[A성분/B성분] 분산성 건조후의 감촉
화합물 중량부 화합물 중량부 정돈성 윤기 끈적임
실시예1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제조예1) 10 폴리글리세롤변성실리콘(제조예14) 90 0.11 1
(4.8)

(4.8)

(3.8)
실시예2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제조예1) 25 폴리글리세롤변성실리콘(제조예14) 75 0.33 1
(4.8)

(4.8)

(4.5)
실시예3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제조예1) 50 폴리글리세롤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1
(4.5)

(3.8)

(4.5)
실시예4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제조예1) 75 폴리글리세롤변성실리콘(제조예14) 25 3.00 1
(3.5)

(3.8)

(4.8)
실시예5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제조예1) 90 폴리글리세롤변성실리콘(제조예14) 10 9.00 1
(2.8)

(2.5)

(3.8)
실시예6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2(제조예2) 25 폴리글리세롤변성실리콘(제조예14) 75 0.33 1
(3.8)

(4.8)

(4.5)
비교예1 - - 폴리글리세롤변성실리콘(제조예14) 100 0.00 2
(2.3)

(3.3)

(2.0)
비교예2 시클로펜타실록산1 ) 50 폴리글리세롤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2 평가를 하지 않았다
비교예3 디메틸폴리실록산(10CS)2 ) 50 폴리글리세롤변성실리콘(제조예14) 50 1.00 2 평가를 하지 않았다
1): SH-245 Fluid [토레·다운코닝사 제품]
2): SH-200 C Fluid 10CS [토레·다운코닝사 제품]
본 발명의 실리콘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는, 건조 후의 모발 성능이 우수하였다.
비교예 2, 3의 실리콘 조성물의 점도는 약간 낮지만, 샴푸 중에는 용이하게 분산할 수 없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리콘 조성물을 이용하면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을 용이하게 배합할 수 있었다.
화장료(헤어 컨디셔닝제)의 제조 및 평가
실시예 14, 비교예 12의 헤어 컨디셔닝제를 조제하고, 하기의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14
코타민 60 W(염화 세틸트리메틸 암모늄: 유효분 30%[카오사 제품]) 1.39부와 물 94.20부와 메틸파라벤 0.30부를 실온에서 혼합하고, 이 수용액을 80℃로 가온했다. 미리, 카르콜 6098(세틸알콜[카오사 제품]) 1.62부와 카르콜 8098(스테아릴 알코올[카오사 제품]) 1.72부를 실온에서 혼합한 혼합물을 80℃로 가열한 수용액에 첨가하고, 유화시킨 후, 50℃에 냉각했다. 50℃에서, 실시예 2의 실리콘 조성물 0.267부와 BY11-040(고중합 메틸 폴리실록산[토레·다운코닝사 제품]) 0.25부, SH200C(디메틸 폴리실록산[토레·다운코닝사 제품]) 0.25부를 첨가하고, 전량이 100부가 되도록 물을 더 첨가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pH4.3의 헤어 컨디셔닝제를 제조했다.
비교예 12
실시예 2의 실리콘 조성물 대신에,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1 0.067부와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 0.20부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비교예 12의 헤어 컨디셔닝제(pH4.3)을 제조했다.
헤어 컨디셔닝제의 성능 평가(모발의 정돈, 윤기, 끈적임의 측정)
헤어 컨디셔닝제의 성능 평가(모발의 정돈, 윤기, 끈적임의 측정)는, 일본인 모발을 이용한 시험용 트레스(20g, 길이 20cm)를 이용해 패널리스트 4명에 의한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조작:
트레스를 충분히 35~40℃의 온수로 적신 후, 프레인 샴푸로 세정한다. 충분히 온수로 헹군 후, 모속을 가볍게 짜 여분의 수분을 빼내고, 1g의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을 도포한다. 도포시의 각 항목의 평가를 실시한 후, 온수로 헹구고, 타올로 수분을 빼내고, 빗으로 모속을 정돈한다. 그 후, 드라이어의 온풍으로 건조시키고, 마무리로 빗으로 모속을 정돈하여, 마무리시의 각 항목의 평가를 실시한다.
이용한 트레스, 프레인 샴푸는 샴푸의 성능 평가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하다.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모발의 정돈(육안으로 평가한다.)
평가 기준:
5;튀어나온 머리카락이 전혀 없이 잘 정돈되어 있다.
4;튀어나온 머리카락이 없이 정돈되어 있다.
3;튀어나온 머리카락이 거의 없이 정돈되어 있다.
2;약간 튀어나온 머리카락이 있지만, 정돈되어 있다.
1;약간 튀어나온 머리카락이 있고, 조금 정돈이 부족하다.
머리카락의 윤기
평가 기준:
5;매우 명료한 윤기가 있고, 윤기의 윤곽이 뚜렷하다.
4;명료한 윤기가 있고, 윤기의 윤곽이 뚜렷하다.
3;명료한 윤기가 있고, 윤기의 윤곽이 약간 뚜렷하다.
2;약간 명료한 윤기가 있고, 윤기의 윤곽이 약간 뚜렷하다.
1;약간 명료한 윤기가 있다.
머리카락의 끈적임(손으로 모발을 만져서 평가한다.)
평가 기준:
5;끈적끈적한 감촉은 전혀 없고, 찰랑찰랑하다.
4;끈적끈적한 감촉은 전혀 없고, 약간 찰랑찰랑하다.
3;끈적끈적한 감촉은 거의 없지만, 어느 정도 찰랑찰랑한 감이 있다.
2;약간 끈적끈적하고, 찰랑찰랑한 감이 약하다.
1;약간 끈적끈적하다.
모두, 평점의 평균이 4이상을 ◎, 4 미만 3 이상을 ○, 3 미만 2 이상을 △, 2 미만을 ×로 했다.
원료명 실시예 14
(중량%)
비교예 12
(중량%)
실시예 2의 실리콘 조성물 0.267 -
성분(A) 알킬렌 글리콜 에테르1(제조예1) - 0.067
성분(B) 폴리글리세롤 변성실리콘(제조예14) - 0.20
계면활성제 코타민60W1) 1.39 1.39
유성 성분 카르콜 60982) 1.62 1.62
카르콜 80983) 1.72 1.72
BY11-0404) 0.25 0.25
SH200C5) 0.25 0.25
방부제 메틸파라벤 0.30 0.30
정제수 밸런스 밸런스
제조방법 공정1 있음 있음
물성 외관 백색 크림 백색 크림
5%pH 4.3 4.3
점도(mPa·s;30℃) 25000 25000
건조 후의 감촉 정돈성 ◎(4.3) △(2.8)
윤기 ◎(4.5) ○(3.3)
끈적임 ○(3.8) △(2.3)
삭제
1): 염화 세틸트리메틸 암모늄 코타민60W(유효분 30중량%) [카오사 제품]
2): 세틸알콜 [카오사 제품]
3): 스테아릴알콜 [카오사 제품]
4):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토레·다우코닝사 제품]
5): 디메틸 폴리실록산 [토레·다우코닝사 제품]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컨디셔너(실시예 14)는, 종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컨디셔너(비교예 12)에 비해, 모발의 정돈성, 윤기가 우수하고, 끈적임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장료 ( 헤어 컨디셔닝제 ) 중의 성분(B)의 분산 상태
실시예 15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의 헤어 컨디셔닝제 중의 성분(B)의 분산 상태를 조사했다. 헤어 컨디셔닝제 중의 성분(B)의 분산 상태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BY11-040, SH200C를 이용하지 않은 헤어 컨디셔닝제를 조제했다. 즉, BY11-040, SH200C를 이용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 14, 비교예 12와 동일하게 행하여, 실시예 15, 비교예 13의 헤어 컨디셔닝제를 조제했다.
분산 상태의 측정
실시예 15, 비교예 13의 헤어 컨디셔닝제를, 고배율 줌 렌즈 「VH-Z450」를 구비한 디지털 현미경 「VHX-100」(키엔스사 제품)을 이용하고, 450~1000배로 관찰하여 사진 촬영을 실시했다. 입경은 사진 화상에 삽입된 스케일을 이용하고, 사진 화상 내에 있는 가장 큰 입자와 가장 작은 입자를 측정했다.
얻어진 광학 현미경 사진을 도 1(실시예 15), 도 2(비교예 13)에 나타낸다.
도 1,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실시예 15의 헤어 컨디셔닝제에서는, 성분(B)는 입경 1~30μm로 분산되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비교예 13의 헤어 컨디셔닝제에서는, 성분(B)는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지 않았다.
실시예 16
표 5에 나타낸 조성의 헤어 컨디셔닝제를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즉, 코타민 E-80K(염화 옥타데실록시 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유효분 45중량%[카오사 제품]) 3.50부와 물 86.1부와 메틸파라벤 0.30부를 실온에서 혼합하고, 이 수용액을 80℃로 가온했다. 미리, 카르콜 6098(세틸알콜[카오사 제품]) 3.00부와 카르콜 8098(스테아릴알코올[카오사 제품]) 3.00부, 싱크로 왁스 ERL-C(에틸렌글리콜 지방산 디에스테르([크로다사 제품]) 1.00부를 실온에서 혼합한 혼합물을 80℃로 가열한 수용액에 첨가하고, 유화시킨 후, 50℃로 냉각했다. 50℃에서, 실시예 2의 실리콘 조성물 0.8부와 X-52-2127(고중합 메틸 폴리실록산[신에츠 화학사 제품]) 2.0부를 첨가하고, 전량이 100부가 되도록 물을 더 첨가하고, 실온까지 냉각해, pH4.3의 헤어 컨디셔닝제를 제조했다.
원료명 실시예 16(중량%)
배합 코타민 E-80K1) 3.50
카르콜 60982) 3.00
카르콜 80983) 3.30
싱크로 왁스 ERL-C4) 1.00
실시예 2의 실리콘 조성물 0.80
X-52-21275) 2.00
메틸파라벤 0.30
정제수 밸런스
성분(A)/성분(B) 25/75
물성 외관 백색 크림
5%pH 4.3
점도(mPa·s; 30℃) 40000
1): 염화 옥타데실록시 프로필 트리메틸 암모늄 (유효분 45중량%) [카오사 제품]
2): 세틸 알콜 [카오사 제품]
3): 스테아릴 알콜 [카오사 제품]
4): 에틸렌 글리콜 지방산(C18-36)디에스테르[크로다사 제품]
5):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신에츠 화학 공업(주) 제품]
본 발명의 실리콘 조성물을 이용하면, 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을 용이하게 모발용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고, 얻어진 상기 헤어 컨디셔닝제는 마무리시에 끈적임이 없고, 윤기가 있으며, 모발의 부드러움이 우수하고, 양호한 모발의 정돈과 보습감을 부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하기 공정 1 및 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공정 1: 다음의 성분(A)와 (B)를, (A)/(B)=1/10 이상 2/3 이하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성분(A)와 (B)의 합계 함유량이 90~100질량%이면서, 30℃에서의 점도가 500~20000mPaㆍs인 실리콘 조성물을 얻는 공정
    (A)일반식(I)
    R1O-(PO)n/(EO)m-R2 (I)
    (식 중, R1은 탄소수 3~10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PO는 프로필렌 옥시기를 나타내고, EO는 에틸렌 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은 1.5~5.0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m은 0~1.0의 수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
    (B)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
    공정 2: 공정 1에서 얻어진 실리콘 조성물과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를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내는 혼합 중량비가 1/10000~2/10으로 혼합하거나,
    공정 1에서 얻어진 실리콘 조성물과, 성분(A) 이외의 계면활성제 및 물의 혼합물을 하기 수학식 2로 나타내는 혼합 중량비가 1/10000~2/10으로 혼합하여,
    모발용 화장료를 얻는 공정.
    [수학식 1]
    공정 1에서 얻어진 실리콘 조성물의 중량/[성분(A) 이외의 계면 활성제의 중량]
    [수학식 2]
    공정 1에서 얻어진 실리콘 조성물의 중량/[성분(A) 이외의 계면 활성제 및 물의 혼합물의 중량]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A)가 R1OH(식 중, R1은 탄소수 3~10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원료 알코올에, 프로필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와, 에틸렌 옥시드의 혼합물을 반응시킨 후, 그 원료 알코올을 증류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발용 화장료가 샴푸 또는 헤어 컨디셔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모발용 화장료.
  5. 다음의 성분(A)와 (B)를, (A)/(B)=1/10 이상 2/3 이하의 중량비로 함유하여 얻어지는, 성분(A)와 (B)의 합계 함유량이 90~1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용 실리콘 조성물.
    (A)일반식(I)
    R1O-(PO)n/(EO)m-R2 (I)
    (식 중, R1은 탄소수 3~10인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PO는 프로필렌 옥시기를 나타내고, EO는 에틸렌 옥시기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n은 1.5~5.0의 수를 나타내고, 평균 부가 몰수 m은 0~1.0의 수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
    (B)폴리글리세롤 변성 실리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7008074A 2009-10-01 2010-09-30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KR101591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29459 2009-10-01
JPJP-P-2009-229459 2009-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722A KR20120084722A (ko) 2012-07-30
KR101591346B1 true KR101591346B1 (ko) 2016-02-03

Family

ID=4382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074A KR101591346B1 (ko) 2009-10-01 2010-09-30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58953B2 (ko)
KR (1) KR101591346B1 (ko)
MY (1) MY160234A (ko)
TW (1) TWI522118B (ko)
WO (1) WO20110405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5170B2 (ja) * 2011-10-20 2016-09-06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6003000B2 (ja) * 2012-04-06 2016-10-05 学校法人神奈川大学 化粧料及び化粧料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8655A1 (en) 2001-03-02 2003-10-23 Isamu Kaneda Aqueous polymer emulsions and cosmetics with the use of the same
US20070172441A1 (en) 2004-01-30 2007-07-26 Hiromitsu Takeda Cation-modified purified galactomannan polysaccharid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ubstan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124B2 (ja) * 1991-06-25 2000-03-13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3794576B2 (ja) * 2002-01-28 2006-07-05 株式会社資生堂 毛髪コンディショニング剤
JP4176597B2 (ja) * 2003-09-11 2008-11-05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3946679B2 (ja) 2003-09-24 2007-07-18 花王株式会社 毛髪洗浄剤組成物
US8961946B2 (en) * 2004-12-20 2015-02-24 Showa Denko K.K. Hair processing agent and method for permanent waving hair
AU2006309718B2 (en) * 2005-10-31 2011-06-02 Kao Corporation Thickening/Foam-Promoting Agent
JP3961554B1 (ja) * 2005-10-31 2007-08-22 花王株式会社 増粘増泡剤
EP1972326B1 (en) * 2005-12-28 2017-09-13 Kao Corporation Skin or hair washing composition
JP5063060B2 (ja) * 2006-09-08 2012-10-31 花王株式会社 皮膚又は毛髪用洗浄剤組成物
JP4886505B2 (ja) * 2006-12-28 2012-02-29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用組成物
MY152097A (en) * 2008-04-04 2014-08-15 Kao Corp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JP5229187B2 (ja) * 2009-11-11 2013-07-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複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8655A1 (en) 2001-03-02 2003-10-23 Isamu Kaneda Aqueous polymer emulsions and cosmetics with the use of the same
US20070172441A1 (en) 2004-01-30 2007-07-26 Hiromitsu Takeda Cation-modified purified galactomannan polysaccharid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ub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27405A (en) 2011-08-16
JP2011093884A (ja) 2011-05-12
KR20120084722A (ko) 2012-07-30
JP5658953B2 (ja) 2015-01-28
WO2011040524A1 (ja) 2011-04-07
MY160234A (en) 2017-02-28
TWI522118B (zh) 2016-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1178B1 (en) LOW VISCOSITY POLYORGANOSILOXANES COMPRISING QUATERNARY AMMONIUM GROUPS, METHODS FOR THE PRODUCTION AND THE USE THEREOF (ll)
KR102376269B1 (ko) 모발 컨디셔닝용 조성물
JP5108817B2 (ja) 毛髪化粧料
WO2001017492A1 (en) A process for forming a hair care composition and a composition formed by same
US20150374608A1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rising amidoamine cationic surfactant and deposition polymer and having lower ph
JP2006315986A (ja) 毛髪化粧料
US8932568B2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KR102473295B1 (ko) 4급 암모늄 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저점도 폴리오가노실록산,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JP5732313B2 (ja) 毛髪化粧料
KR101591346B1 (ko) 모발용 화장료의 제조 방법
KR20200014851A (ko) 모발 처리용 수성 조성물
JP5945165B2 (ja) 毛髪化粧料
JP5325568B2 (ja) 毛髪用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2005097150A (ja) 毛髪洗浄剤組成物
JP5985170B2 (ja) 毛髪化粧料
JP4444888B2 (ja) 毛髪化粧料
JP2722243B2 (ja) 毛髪化粧料
AU5809499A (en) Hair car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therefor
JP7358114B2 (ja) 毛髪化粧料
US20160374924A1 (en) Method of Preparing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rising Mono-Alkyl Amine Cationic Surfactant, Anionic Polymer and Polyol
JP5548380B2 (ja) 毛髪用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4943980B2 (ja) 毛髪用組成物
JP5331422B2 (ja) 水性毛髪洗浄剤
JP2010070508A (ja) 水性毛髪洗浄剤
KR20230084573A (ko) 케라틴 섬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