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360B1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360B1
KR101590360B1 KR1020090010266A KR20090010266A KR101590360B1 KR 101590360 B1 KR101590360 B1 KR 101590360B1 KR 1020090010266 A KR1020090010266 A KR 1020090010266A KR 20090010266 A KR20090010266 A KR 20090010266A KR 101590360 B1 KR101590360 B1 KR 101590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compressor
refrigerant
temperature
liqui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001A (ko
Inventor
김성환
정백영
오세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36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6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leakage of heat-exchang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1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5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은, 실내기에 대한 실내 운전 변수를 산출하는 (a) 단계와, 상기 실내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에 대한 압축기 운전 변수를 산출하는 (b) 단계와, 상기 실내기 운전 변수 또는 상기 압축기 운전 변수가 정상값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기관 및 액관이 직결되었음을 외부로 알리는 (c) 단계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 기관, 액관, 고장 판단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기관 및 액관이 직결되어 있는 것을 스스로 판단하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일정한 공간 내의 공기를 인간이 생활하기에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공기의 상태 조절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일정한 공간 내에서 열을 흡수하거나, 그 공간으로 열을 방출하여 그 공간의 온도와 습도 등을 적정수준으로 유지되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일정한 공간 내에서 열을 흡수하거나 그 공간으로 열을 방출하는 실내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건물 내 복수개의 실내기를 가진 공기조화기 설치 시 각 실의 공조 부하에 따라 용량에 맞는 실내기를 설치한다. 복수개의 실내기를 설치할 때,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저압의 기관과 고압의 액관이 직접 연결되는 경우가 있다.
기관 및 액관이 직결될 경우, 냉방시 과냉의 액체 냉매가 실내기에서 증발되 어야 하나 직결된 부분으로 인하여 액체 냉매가 바로 기관으로 회수되므로 실내기에서 증발되는 액체 냉매의 량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성능이 떨어지며 또한 증발온도를 낮추어 주기 위하여 압축기가 더 돌아가게 되므로 소비전력은 더 많아지게 되고, 결국에는 제품의 파손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조화기의 기관 및 액관이 직결되어 있는 것을 스스로 판단하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변수를 측정하여 기관 및 액관의 직결을 판단하여 이를 외부로 알리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은, 실내기에 대한 실내 운전 변수를 산출하는 (a) 단계와, 상기 실내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에 대한 압축기 운전 변수를 산출하는 (b) 단계와, 상기 실내기 운전 변수 또는 상기 압축기 운전 변수가 정상값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기관 및 액관이 직결되었음을 외부로 알리는 (c)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상기 냉매를 교축하는 실내 팽창 밸브와, 냉방운전시 상기 실내 팽창 밸브로 유입되는 액체상태의 냉매가 통과하는 액관과, 냉방운전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유출되는 기체상태의 냉매가 통과하는 기관과, 상기 액관 및 상기 기관이 직결된 경우 이를 외부로 알리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공기조화기의 기관 및 액관의 직결을 스스로 판단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공기조화기의 기관 및 액관이 직결된 경우 이를 외부로 알리는 장점도 있다.
셋째, 공기조화기의 기관 및 액관의 직결을 빠르게 검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 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OU) 및 복수의 실내기(IU)를 포함한다.
실외기(OU)는, 압축기(110), 실외 열교환기(140), 실외 팽창 밸브(132), 과냉각기(18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1개 또는 복수의 실외기(OU)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실외기(OU)가 구비된다.
압축기(110)는 유입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냉매로 압축시킨다. 압축기(110)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인버터형 압축기 또는 정속 압축기가 채택될 수 있다. 압축기(110)의 토출배관(161) 상에는 토출 온도 센서(171) 및 토출 압력 센서(151)가 설치된다. 또한,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 상에는 흡입 온도 센서(175)가 설치된다.
실외기(OU)는 1개의 압축기(110)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외기(OU)가 복수 개의 압축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버터형 압축기 및 정 속 압축기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10)에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에는 어큐뮬레이터(187)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10)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도록 압축기(110)의 토출배관(161)에는 오일분리기(113)가 설치될 수 있다.
사방밸브(160)는 냉난방 절환을 위한 유로 절환 밸브로서,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방 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40)로 안내하고, 난방 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20)로 안내한다. 상방밸브(160)는 냉방 운전시 A 상태이며, 난방 운전시 B 상태이다.
실외 열교환기(140)는 실외 공간에 배치되며, 실외 열교환기(140)를 통과하는 냉매가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실외 열교환기(140)는 냉방 운전 시 응축기로 작용하고, 난방 운전 시 증발기로 작용한다.
실외 팽창 밸브(132)는 난방 운전 시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하며, 액관(165)과 실외 열교환기(140)를 연결하는 유입배관(166) 상에 설치된다. 또한, 유입배관(166) 상에는 냉매가 실외 팽창 밸브(132)를 바이패스 하기 위한 제1바이패스 배관(167)이 설치되며, 제1바이패스 배관(167) 상에는 체크 밸브(133)가 설치된다.
체크밸브(133)는 냉방 운전 시 실외 열교환기(140)로부터 복수의 실내기(IU)로 냉매가 흐르지만, 난방 운전 시 냉매의 유동을 차단한다.
과냉각기(180)는 과냉용 열교환기(184), 제2바이패스 배관(181), 과냉 팽창 밸브(182) 및 배출 배관(185)을 포함한다. 과냉용 열교환기(184)는 유입배관(166) 상에 배치된다. 냉방 운전 시, 제2바이패스 배관(181)은 과냉용 열교환기(184)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바이패스 시켜서 과냉 팽창 밸브(182)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과냉 팽창 밸브(182)는 제2바이패스 배관(181) 상에는 배치되어, 제2바이패스 배관(181)으로 유입되는 액상의 냉매를 교축시켜서, 냉매의 압력 및 온도를 낮춘 후, 과냉용 열교환기(184)로 유입시킨다. 과냉 팽창 밸브(182)는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선형 팽창 밸브(Linear expansion valve)가 이용될 수 있다.
냉방 운전 시, 실외 열교환기(140)를 거친 응축 냉매가 제2바이패스 배관(181)을 통하여 유입된 저온의 냉매와 과냉용 열교환기(184)에서 열교환하여 과냉된 후 복수의 실내기(IU)로 유동한다.
제2바이패스 배관(181)을 통과한 냉매는 과냉 열교환기(184)에서 열교환 후, 배출 배관(182)을 통하여 어큐뮬레이터(187)로 유입된다.
과냉각기(180)와 복수의 실내기(IU)를 연결하는 액관(165) 상에는 액관 온도 센서(174)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복수의 실내기(IU)는, 각각 실내 열교환기(120), 실내 송풍기(125) 및 실내 팽창 밸브(131)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1개 또는 복수의 실내기(IU)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IU(1)부터 IU(n)까지 복수로 구비된다.
실내 열교환기(120)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어 실내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실내 열교환기(120)는 냉방 운전 시 증발기로 작용하고, 난방 운전 시 응축기로 작용한다.
실내 송풍기(125)는 실내 열교환기(120)에서 열교환되는 실내 공기를 송풍시킨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냉방 운전 시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하는 장치이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실내기(IU)의 실내 입구 배관(163)에 설치된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선형 팽창 밸브(Linear expansion valve)가 이용될 수 있다.
실내 입구 배관(163) 상에는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173)가 설치된다.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173)는 실내 열교환기(120)와 실내 팽창 밸브(13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내 출구 배관(164) 상에는 실내 출구 배관 온도 센서(172)가 설치된다.
액관(165)은 실외기(OU)와 복수의 실내기(IU)를 연결하는 관으로써, 냉방운전시 액체상태의 냉매가 통과한다. 액관(165)은 유입배관(166) 및 실내 입구 배관(163) 사이에 연결된다. 액관(165)은 과냉각기(180)와 실내 팽창 밸브(131) 사이에 구비된다.
기관(169)는 실외기(OU)와 복수의 실내기(IU)를 연결하는 관으로써, 냉방운전시 기체상태의 냉매가 통과한다. 기관(165)은 실내 출구 배관(164) 및 사방밸브(160) 사이에 연결된다.
액관(165) 및 기관(169)은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직결(D)되는 경우가 있 다.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압축기(110)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사방밸브(160)를 거쳐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된다.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냉매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한다. 실외 열교환기(14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완전 개방된 실외 팽창 밸브(132) 및 바이패스 배관(133)을 통하여 과냉각기(180)로 유입된다. 유입된 냉매는 과냉용 열교환기(184)에서 과냉된 후 복수의 실내기(IU)로 유입된다.
과냉용 열교환기(184)에서 과냉된 냉매의 일부는 과냉 팽창 밸브(182)에서 교축되어 과냉용 열교환기(184)를 통과하는 냉매를 과냉시킨다. 과냉 열교환기(184) 과냉시킨 냉매는 어큐뮬레이터(187)로 유입된다.
각각의 실내기(IU)로 유입된 냉매는 설정된 개도로 개방된 실내 팽창 밸브(131)에서 교축된 후 실내 열교환기(120)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한다. 증발된 냉매는 사방밸브(160) 및 어큐뮬레이터(187)를 거쳐 압축기(110)로 유입된다.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압축기(110)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사방밸브(160)를 거쳐 복수의 실내기(IU)로 각각 유입된다. 각각의 실내기(IU)의 실내 팽창 밸브(131)들은 완전 개방된다. 따라서, 실내기(IU)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는 실외 팽창 밸브(132)에서 교축된 후,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한다. 증발된 냉매는 사방밸브(160) 및 어큐뮬레이터(187)를 거쳐 압축기(110)의 흡 입배관(162)으로 유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토출 온도 센서(171)는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한다. 토출 온도 센서(171)는 압축기(110)의 토출배관(161) 상에 설치된다.
토출 압력 센서(151)는 압축기(11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한다. 토출 압력 센서(151)는 압축기(110)의 토출배관(161) 상에 설치된다.
실내 출구 배관 온도 센서(172)는 실내 열교환기(120)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한다. 실내 출구 배관 온도 센서(172)는 실내 출구 배관(164) 상에 설치된다.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173)는 실내 열교환기(120)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한다.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173)는 실내 열교환기(120)와 실내 팽창 밸브(131)를 연결하는 실내 입구 배관(163) 상에 설치된다.
액관 온도 센서(174)는 과냉각기(180)와 실내 열교환기(12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한다. 액관 온도 센서(174)는 과냉각기(180)와 복수의 실내기(IU)를 연결하는 액관(165) 상에 설치된다.
흡입 온도 센서(175)는 압축기(110)에서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한다. 흡입 온도 센서(175)는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 상에 설치된다.
제어부(190)는 실내 운전 변수 및 압축기 운전 변수가 정상값과 차이가 있는지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실내 운전 변수는 실내 출구 배관 온도 센서(172)가 측정한 실내 출구 온도,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173)가 측정한 실내 입구 온도, 액관 온도 센서(174)가 측정한 액관 온도 및 실내 팽창 밸브(131)의 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압축기 운전 변수는 토출 온도 센서(171)가 측정한 토출 온도, 토출 압력 센서(151)가 측정한 토출 압력 및 흡입 온도 센서(175)가 측정한 흡입 온도이다.
제어부(190)는 실내 운전 변수 또는 상기 압축기 운전 변수를 통하여 실내기(IU)의 냉매가 부족한지 판단한다. 제어부(190)는 실내 출구 배관 온도 센서(172)가 측정한 실내 출구 온도,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173)가 측정한 실내 입구 온도, 액관 온도 센서(174)가 측정한 액관 온도 및 실내 팽창 밸브(131)의 개도가 정상값과 차이가 있는지 판단하여 냉매가 부족한지 판단한다. 제어부(190)는 냉매가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알람부(193)를 통하여 기관 및 액관이 직결(D)되었음을 외부로 알린다.
제어부(190)는 토출 압력 센서(151)에서 측정된 토출 압력을 통하여 토출되는 냉매의 포화 온도를 산출하고 토출 온도 센서(171)에서 측정된 토출 온도와의 차를 계산하여 토출 과열도를 산출하여 토출 과열도가 정상값보다 낮은지 판단한다. 제어부(190)는 토출 과열도가 정상값보다 낮다고 판단하는 경우 알람부(193)를 통하여 기관 및 액관이 직결(D)되었음을 외부로 알린다.
제어부(190)는 실내 출구 배관 온도 센서(172)가 측정한 실내 출구 온도와 흡입 온도 센서(175)가 측정한 압축기 입구 온도의 차를 산출하여 정상값보다 높은지 판단한다. 제어부(190)는 실내기 출구 온도와 압축기 입구 온도의 차가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 알람부(193)를 통하여 기관 및 액관이 직결(D)되었음을 외부로 알린 다.
알람부(190)는 기관과 액관이 직결(D)되었음을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외부에 표시한다. 알람부(190)는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로 알려주는 장치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정상 상태 운전시, 실내 운전 변수를 산출하여 실내기의 냉매가 부족한지 판단한다(S310). 실내 운전 변수는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173)가 측정한 실내 입구 온도, 실내 출구 배관 온도 센서(172)가 측정한 실내 출구 온도, 액관 온도 센서(174)가 측정한 액관 온도 및 실내 팽창 밸브(131)의 개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190)는 실내 운전 변수가 정상값과의 차이가 있는지 판단한다. 상술한 실내 운전 변수가 정상값과 차이가 나는지 판단하는 것은 실내기의 냉매량 판단 방법과 유사하므로, 제어부(190)는 실내기의 냉매 부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압축기 운전 변수를 산출하여 토출 과열도가 낮은지 판단한다(S320). 압축기 운전 변수는 토출 온도 센서(171)가 측정한 토출 온도 및 토출 압력 센서(151)가 측정한 토출 압력을 포함한다.
제어부(190)는 토출 압력 센서(151)에서 측정된 토출 압력을 통하여 토출되는 냉매의 포화 온도를 산출하고 토출 온도 센서(171)에서 측정된 토출 온도와의 차를 계산하여 토출 과열도를 산출하여 토출 과열도가 정상값보다 낮은지 판단한다.
실내기 출구 온도와 압축기 입구 온도의 차가 높은지 판단한다(S330). 제어부(190)는 실내 출구 배관 온도 센서(172)가 측정한 실내 출구 온도와 흡입 온도 센서(175)가 측정한 압축기 입구 온도의 차를 산출한다. 제어부(190)는 실내기 출구 온도와 압축기 입구 온도의 차가 정상값보다 높은지 판단한다.
제어부(190)는 실내기의 냉매가 부족하고 토출 과열도가 낮으며 실내기 출구 온도와 압축기 입구 온도의 차가 높은 경우 알람부(193)를 통하여 기관과 액관이 직결(D)되었음을 외부로 경고한다(S340). 알람부(190)는 기관과 액관이 직결(D)되었음을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외부에 표시한다.
상술한 S310 단계 내지 S330 단계는 그 순서가 바뀌거나 생략될 수 있다. 또한, 각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어도 S34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압축기 120: 실내 열교환기
131: 실내 팽창 밸브 140: 실외 열교환기

Claims (13)

  1. 실내기에 대한 실내 운전 변수를 산출하는 (a) 단계;
    상기 실내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에 대한 압축기 운전 변수를 산출하는 (b) 단계; 및
    상기 실내 운전 변수 및 상기 압축기 운전 변수가 정상값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는 기관 및 액관이 직결되었음을 외부로 알리는 (c)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운전 변수는, 상기 실내기에서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에 대한 운전 변수와, 상기 실내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하는 실내 팽창 밸브에 대한 운전 변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실내 운전 변수 및 상기 압축기 운전 변수를 통하여 상기 실내기의 냉매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관 및 상기 액관이 직결되었음을 외부로 알리는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실내 운전 변수는 냉방 운전시 상기 실내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하는 실내 팽창 밸브의 개도이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실내 팽창 밸브의 개도가 정상값보다 큰 경우 상기 기관 및 상기 액관이 직결되었음을 외부로 알리는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실내 운전 변수는 상기 실내기 출구의 냉매 온도이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압축기 운전 변수는 상기 압축기 입구의 냉매 온도이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실내기 출구 온도와 상기 압축기 입구 온도의 차가 정상값보다 큰 경우 상기 기관 및 상기 액관이 직결되었음을 외부로 알리는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압축기 운전 변수는 상기 압축기에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와 압력으로 산출되는 토출 과열도이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토출 과열도가 정상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기관 및 상기 액관이 직결되었음을 외부로 알리는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
  6.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연결되어 상기 냉매를 교축하는 실내 팽창 밸브;
    냉방운전시 상기 실내 팽창 밸브로 유입되는 액체상태의 냉매가 통과하는 액관;
    냉방운전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유출되는 기체상태의 냉매가 통과하는 기관;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내 팽창 밸브에 대한 실내 운전 변수 및 상기 압축기에 대한 압축기 운전 변수를 정상값과 비교하여 상기 액관 및 상기 기관이 직결되었는지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액관 및 상기 기관이 직결된 경우 이를 외부로 알리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출구 배관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관을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액관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흡입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토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흡입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90010266A 2009-02-09 2009-02-0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 KR101590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266A KR101590360B1 (ko) 2009-02-09 2009-02-0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266A KR101590360B1 (ko) 2009-02-09 2009-02-0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001A KR20100091001A (ko) 2010-08-18
KR101590360B1 true KR101590360B1 (ko) 2016-02-18

Family

ID=4275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266A KR101590360B1 (ko) 2009-02-09 2009-02-0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84751A (zh) * 2021-04-07 2021-07-09 四川建安工业有限责任公司 纵臂胶套压装装置及压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1301A (ja) * 1993-03-31 1994-10-07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KR100667277B1 (ko) * 2005-05-20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배관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배관연결 점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001A (ko)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345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EP2339256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88390B1 (ko) 공기조화장치의 냉매량 판단 방법
US902735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if refrigerant charge is sufficient and charging refrigerant
US7765812B2 (en) System for detecting mis-connected state between communication lines for multi-type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JP6628911B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4418936B2 (ja) 空気調和装置
WO2017122479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のバイパス弁漏れ判定制御方法
JP7138790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4902723B2 (ja) 凝縮圧力検知システム及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KR101329752B1 (ko) 공기조화 시스템
JP2002147905A (ja) 冷凍装置
JP7150135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590360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오류 판단 방법
KR101583344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냉매 충전 방법
KR101416939B1 (ko) 실외 열교환기
KR20100081620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고장 판단 방법
KR101584530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시운전 방법
JP6404539B2 (ja) 空気調和機
JP5199713B2 (ja) マルチ型空気調和機、室内ユニットの室内側電子膨張弁の動作確認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故障診断装置
JP3097468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20110003770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고장 판단 방법
KR20140030453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KR101505190B1 (ko) 공기조화기의 설치이상 검출방법
KR101587149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