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453A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453A
KR20140030453A KR1020120095147A KR20120095147A KR20140030453A KR 20140030453 A KR20140030453 A KR 20140030453A KR 1020120095147 A KR1020120095147 A KR 1020120095147A KR 20120095147 A KR20120095147 A KR 20120095147A KR 20140030453 A KR20140030453 A KR 20140030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outdoor
pressure
high pressur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기
문영철
권상영
장석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0453A/ko
Publication of KR2014003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3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4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out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1Discharge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3Suction pressur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가 냉방운전인지 판단하는 (a)단계와, 냉방운전인 경우 외기온도 및 배관 내에 저압과 고압을 측정하는 (b) 단계와, 상기 외기온도와 압력비가 비정상인지 판단하는 (c) 단계와, 상기 (c) 단계의 판단에 따라 실외 열교환기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operating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 열교환기의 열교환량을 조절하여서, 실내기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일정한 공간 내의 공기를 인간이 생활하기에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공기의 상태 조절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일정한 공간 내에서 열을 흡수하거나, 그 공간으로 열을 방출하여 그 공간의 온도와 습도 등을 적정수준으로 유지되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일정한 공간 내에서 열을 흡수하거나 그 공간으로 열을 방출하는 실내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에는 실외온도가 매우 낮은 때에 냉방운전을 하는 경우, 실외 열교환기의 열교환량의 증가로 실내 배관에 결빙이 발생하여서, 공기조화기의 연속운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냉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가 냉방운전인지 판단하는 (a)단계와, 냉방운전인 경우 외기온도 및 배관 내에 저압과 고압을 측정하는 (b) 단계와, 상기 외기온도와 압력비가 비정상인지 판단하는 (c) 단계와, 상기 (c) 단계의 판단에 따라 실외 열교환기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실시예는, 실외의 온도가 매우 낮은 때에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하는 경우, 실외 열교환기의 과도한 열교환으로 발생하는 실내측 배관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냉방 운전중인 실내기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조화기를 off할 필요가 없어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의 연속 운전이 가능한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의 열교환량이 너무 작은 경우 발생하는 과열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도면은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름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OU) 및 실내기(IU)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외기(OU)는, 압축기(110), 실외 열교환기(140), 실외 팽창 밸브(132), 과냉각기(18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1개 또는 복수의 실외기(OU)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OU)는 외부 공기(외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43)와 실외기(OU) 내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44)를 구비한 하우징(146) 내에 상술한 압축기(110), 실외 열교환기(140), 실외 팽창 밸브(132), 과냉각기(180)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외기(OU) 내의 공기 유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실외기 팬(1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팽창 밸브(131)(132)는 실내 팽창 밸브(131)와 실외 팽창 밸브(1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실외기(OU)에는 실외 열교환기(140)를 외기(외부공기)와 고립(isolate)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유닛이 설치된다. 개폐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실외기(OU)의 흡입구(143) 및/또는 토출구(144)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토출구(144)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흡입구(143)의 위치는 열교환의 효율성을 위해 토출구(144) 보다 수직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유닛은 실외 열교환기(140)가 설치된 실외기(OU)의 내부공간과 외기를 고립 또는 개방시켜서 실외 열교환기(140)의 열교환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개폐유닛은 실외기 액츄에이터(142)와, 실외기 액츄에이터(142)의 작동에 따라 이동되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윙(145)를 포함한다.
실외기 액츄에이터(142)는 개폐윙(145)을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전 시키는 장치이고, 예를 들면, 구동모터, 공압실린더 및 유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윙(145)은 실외기(OU)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회전운동 또는 왕복운동에 의해 실외기(OU) 내의 공간과 외기를 고립 또는 개방시킨다.
실외 온도센서(176)는 실외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외에 설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외기(OU)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10)는 유입되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고온 고압의 냉매로 압축시킨다. 압축기(110)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인버터형 압축기 또는 정속 압축기가 채택될 수 있다. 압축기(110)의 토출배관(161) 상에는 토출 온도 센서(171) 및 토출 압력 센서(151)가 설치된다. 또한,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 상에는 흡입 온도 센서(175) 및 흡입 압력 센서(154)가 설치된다.
흡입 압력 센서(154)는 배관내의 저압을 측정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한다.
토출 압력 센서(151)는 배관내의 고압을 측정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한다.
실외기(OU)는 1개의 압축기(110)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외기(OU)가 복수 개의 압축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버터형 압축기 및 정속 압축기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10)에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에는 어큐뮬레이터(187)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10)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도록 압축기(110)의 토출배관(161)에는 오일분리기(113)가 설치될 수 있다.
사방밸브(160)는 냉난방 절환을 위한 유로 절환 밸브로서,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방 운전시 실외 열교환기(140)로 안내하고, 난방 운전시 실내 열교환기(120)로 안내한다. 상방밸브(160)는 냉방 운전시 A 상태이며, 난방 운전시 B 상태이다.
실외 열교환기(140)는 실외 공간에 배치되며, 실외 열교환기(140)를 통과하는 냉매가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실외 열교환기(140)는 냉방 운전 시 응축기로 작용하고, 난방 운전 시 증발기로 작용한다.
실외 팽창 밸브(132)는 난방 운전 시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하며, 액관(165)과 실외 열교환기(140)를 연결하는 유입배관(166) 상에 설치된다. 또한, 유입배관(166) 상에는 냉매가 실외 팽창 밸브(132)를 바이패스 하기 위한 제1바이패스 배관(167)이 설치되며, 제1바이패스 배관(167) 상에는 체크 밸브(133)가 설치된다.
체크밸브(133)는 냉방 운전 시 실외 열교환기(140)로부터 실내기(IU)로 냉매가 흐르지만, 난방 운전 시 냉매의 유동을 차단한다.
과냉각기(180)는 과냉용 열교환기(184), 제2바이패스 배관(181), 과냉 팽창 밸브(182) 및 배출 배관(185)을 포함한다. 과냉용 열교환기(184)는 유입배관(166) 상에 배치된다. 냉방 운전 시, 제2바이패스 배관(181)은 과냉용 열교환기(184)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바이패스 시켜서 과냉 팽창 밸브(182)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과냉 팽창 밸브(182)는 제2바이패스 배관(181) 상에는 배치되어, 제2바이패스 배관(181)으로 유입되는 액상의 냉매를 교축시켜서, 냉매의 압력 및 온도를 낮춘 후, 과냉용 열교환기(184)로 유입시킨다. 과냉 팽창 밸브(182)는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선형 팽창 밸브(Linear expansion valve)가 이용될 수 있다. 제2바이패스 배관(181) 상에는 과냉 팽창 밸브(182)에서 교축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냉 온도 센서(183)가 설치된다.
냉방 운전 시, 실외 열교환기(140)를 거친 응축 냉매가 제2바이패스 배관(181)을 통하여 유입된 저온의 냉매와 과냉용 열교환기(184)에서 열교환하여 과냉된 후 실내기(IU)로 유동한다.
제2바이패스 배관(181)을 통과한 냉매는 과냉 열교환기(184)에서 열교환 후, 배출 배관(185)을 통하여 어큐뮬레이터(187)로 유입된다. 배출 배관(185) 상에는 어큐뮬레이터(187)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출 배관 온도 센서(178)가 설치된다.
과냉각기(180)와 실내기(IU)를 연결하는 액관(165) 상에는 액관 온도 센서(174) 및 액관 압력 센서(156)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실내기(IU)는, 실내 열교환기(120), 실내 송풍기(125) 및 실내 팽창 밸브(131)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1개 또는 복수의 실내기(IU)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120)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어 실내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냉매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한다. 실내 열교환기(120)는 냉방 운전 시 증발기로 작용하고, 난방 운전 시 응축기로 작용한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냉방 운전 시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하는 장치이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실내기(IU)의 실내 입구 배관(163)에 설치된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선형 팽창 밸브(Linear expansion valve)가 이용될 수 있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냉방 운전 시 설정된 개도로 개방되며, 난방 운전시 완전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 팽창 밸브(131)는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시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완전 폐쇄되거나 완전 개방될 수 있다.
실내 입구 배관(163) 상에는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173)가 설치된다. 실내 입구 배관 온도 센서(173)는 실내 열교환기(120)와 실내 팽창 밸브(13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내 출구 배관(164) 상에는 실내 출구 배관 온도 센서(172)가 설치된다.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압축기(110)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사방밸브(160)를 거쳐 실외 열교환기(140)로 유입된다.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냉매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한다. 실외 열교환기(14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는 완전 개방된 실외 팽창 밸브(132) 및 바이패스 배관(133)을 통하여 과냉각기(180)로 유입된다. 유입된 냉매는 과냉용 열교환기(184)에서 과냉된 후 실내기(IU)로 유입된다.
과냉용 열교환기(184)에서 과냉된 냉매의 일부는 과냉 팽창 밸브(182)에서 교축되어 과냉용 열교환기(184)를 통과하는 냉매를 과냉시킨다. 과냉 열교환기(184) 과냉시킨 냉매는 어큐뮬레이터(187)로 유입된다.
실내기(IU)로 유입된 냉매는 설정된 개도로 개방된 실내 팽창 밸브(131)에서 교축된 후 실내 열교환기(120)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한다. 증발된 냉매는 사방밸브(160) 및 어큐뮬레이터(187)를 거쳐 압축기(110)로 유입된다.
실외의 온도가 매우 낮은 때에(예를 들면, -5 ℃),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하는 경우, 실외 열교환기(140)에서는 과도한 열교환이 발생하게 되고, 교축된 저압의 온도가 매우 낮아져서 실내측 배관의 결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압축기(110)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는, 사방밸브(160)를 거쳐 실내기(IU)로 유입된다. 실내기(IU)의 실내 팽창 밸브(131)들은 완전 개방된다. 따라서, 실내기(IU)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는 실외 팽창 밸브(132)에서 교축된 후, 실외 열교환기(140)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한다. 증발된 냉매는 사방밸브(160) 및 어큐뮬레이터(187)를 거쳐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으로 유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흡입 압력 센서(154)는 배관내의 저압(즉, 압축기(110)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한다. 흡입 압력 센서(154)는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 상에 설치된다.
토출 압력 센서(151)는 배관내의 고압(즉, 압축기(110)로 부터 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한다. 토출 압력 센서(151)는 압축기(110)의 토출배관(161) 상에 설치된다.
실외 온도센서(176)는 실외 공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실외 온도 센서(176)는 실외기(OU)의 외부에 설치된다.
제어부(190)는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가 냉방운전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냉방운전인지 여부는 사방밸브(160)의 절환상태 또는 냉매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상기 외기온도와 압력비가 비정상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외기온도는 실외 온도센서(176)가 측정한 온도이다. 압력비는 상기 저압 대비 상기 고압의 비율(즉, 고압을 저압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공기조화기의 냉매가 순환하면서 오차범위 내에서 2가지 압력에서 변화하는데, 상기 2가지 압력 중에 높은 압력의 고압을 낮은 압력은 저압을 의미한다. 또한, 저압은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 상에 설치된 흡입 압력 센서(154)에 의해 측정된 압력일 수 있고, 고압은 압축기(110)의 토출배관(161) 상에 설치된 토출 압력 센서(151)에 의해 측정된 압력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외기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예를 들면, 0℃) 이하이고, 압력비가 기설정된 압력비(예를 들면, 1.8 내지 2.0) 이하인 경우, 상기 외기온도와 압력비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190)는 상기 외기온도와 상기 압력비가 비정상인 경우 데이터로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10)를 통하여 외부로 경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10)는 제어부(190)가 상기 외기온도와 상기 압력비가 비정상으로 판단한 경우 이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제어부(190)는 상기 저압, 고압 및 외기온도를 바탕으로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를 조절한다.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 조절은 제어부(190)가 실외기 엑츄에이터(142)를 조정하여 구현된다. 개방도의 의미는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은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개시한다.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가 냉방운전인지 판단한다(S210). 즉, 제어부(190)는 사방밸브(160)의 절환상태 또는 냉매의 흐름 방향을 바탕으로 공기조화기가 작동모드가 냉방운전인지 판단하게 된다.
냉방운전인 경우 외기온도 및 배관 내에 저압과 고압을 측정한다(S220). 상기 외기온도는 실외 온도센서(176)가 측정한 온도이다. 압력비는 상기 저압 대비 상기 고압의 비율(즉, 고압을 저압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공기조화기의 냉매가 순환하면서 오차범위 내에서 2가지 압력에서 변화하는데, 상기 2가지 압력 중에 높은 압력은 고압을 낮은 압력은 저압을 의미한다. 또한, 저압은 압축기(110)의 흡입배관(162) 상에 설치된 흡입 압력 센서(154)에 의해 측정된 압력일 수 있고, 고압은 압축기(110)의 토출배관(161) 상에 설치된 토출 압력 센서(151)에 의해 측정된 압력일 수 있다.
상기 외기온도와 압력비가 비정상인지 판단한다 (S230). 제어부(190)는 측정단계(S220)에서 입력 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외기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예를 들면, 0℃) 이하이고, 압력비가 기설정된 압력비(예를 들면, 1.8 내지 2.0) 이하인 경우, 상기 외기온도와 압력비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상기 외기온도와 압력비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온도를 초과하거나, 기설정된 압력비를 초과하는 경우 정상이라고 판단한다.
제어부(190)는 상기 저압, 고압 및 외기온도를 바탕으로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를 조절한다.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 조절은 제어부(190)가 실외기 엑츄에이터(142)를 조정하여 구현된다. 여기서 개방도는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외부공기) 사이의 소통정도 또는 내부에 실외 열교환기(140)를 구비한 실외기(OU)가 흡입구(143) 및/또는 토출구(144)를 가질 경우 흡입구(143) 및/또는 토출구(144)의 개방의 정도를 의미한다. 자세하게는 개방도는 흡입구(143) 및/또는 토출구(144)의 단면적 대비 흡입구(143) 및/또는 토출구(144)의 개방 면적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를 조절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실외 열교환기(140)를 구비한 실외기(OU)의 흡입구(143) 및/또는 토출구(144)를 개폐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외기(OU)의 흡입구(143) 및/또는 토출구(144)를 개폐는 개폐윙(145)의 회전각을 제어해서 구현 가능하다.
상기 외기온도와 상기 압력비가 비정상인 경우, 제어부(190)는 실외 열교환기(140)를 외기와 고립시킨다(S241). 여기서, 고립은 완전한 의미의 고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오차범위 내에서 실외 열교환기(140)와 열교환 된 공기가 외부공기와 혼합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140)를 외기와 고립시키는 것은 실외기(OU)의 흡입구(143) 및/또는 토출구(144)를 폐쇄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의 고립상태란, 실외기(OU) 내의 공기와 실외 열교환기(140)가 열교환하며, 실외기(OU) 밖의 공기와 실외 열교환기(140)는 열교환하지 않는 상태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실외기(OU) 자체와 외기 사이에는 열교환이 발생하게 된다. 다만,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 사이의 열교환량은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 사이를 개방하였을 때 보다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의 고립은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가 0 인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외기온도와 상기 압력비가 비정상인 경우, 제어부(190)는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를 기설정된 값만큼 감소시킨다(S241). 즉, 제어부(190)는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가 감소되는 경우, 실외 열교환기(140)의 인접주위의 온도가 상승하고, 실외기(OU)의 내부와 외기의 공기 유동이 감소되게 되어서, 결과적으로 실외 열교환기(140)에서의 열교환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실외의 온도가 매우 낮은 때에(예를 들면, -5 ℃),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하는 경우, 실외 열교환기(140)에서는 과도한 열교환이 발생하게 되고, 교축된 저압의 온도가 매우 낮아져서 실내측 배관의 결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외 열교환기(140)에서의 열교환량이 감소시켜 실내측 배관에 발생하는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상기 외기온도와 상기 압력비가 비정상인 경우, 실외기 팬(141)을 OFF하거나, 실외기 팬(141)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킨다(S242). 이 경우 실외 열교환기(140)의 열교환량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외기온도와 상기 압력비가 정상인 경우(비정상이 아닌 경우), 제어부(190)는 상기 고압이 기준고압 이상인지 판단한다(S250). 기준고압은 각각의 공기조화기의 모델별도 실험값에 의해 설정된 압력을 의미한다.
상기 고압이 기준고압 이상인 경우, 제어부(190)는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 사이를 개방하거나, 실외 열교환기(140)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를 기설정된 값만큼 상승시킨다. 이 경우, 실외 열교환기(140)의 열교환량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압 상승에 의해 냉매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압이 기준고압 이상인 경우, 제어부(190)는 실외기의 팬(141)을 ON하거나, 실외기 팬(141)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킨다. 이 경우, 실외 열교환기(140)의 열교환량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압 상승에 의해 냉매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어부(190)는 상기 외기온도와 상기 압력비가 비정상인 경우 데이터로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10)를 통하여 외부로 경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10)는 제어부(190)가 상기 외기온도와 상기 압력비가 비정상으로 판단한 경우 이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S210 내지 S262 단계를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분 내지 10분)마다 반복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가 냉방운전인지 판단하는 (a)단계;
    냉방운전인 경우 외기온도 및 배관 내에 저압과 고압을 측정하는 (b) 단계;
    상기 외기온도와 압력비가 비정상인지 판단하는 (c) 단계; 및
    상기 (c) 단계의 판단에 따라 실외 열교환기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은 압축기 흡입배관의 압력인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은 압축기 토출배관의 압력인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비는 상기 저압 대비 상기 고압의 비율인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외기 사이 개방도 조절은 실외기의 흡입구 및/또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온도와 상기 압력비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외기와 고립시키는 (d-1)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온도와 상기 압력비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를 기설정된 값만큼 감소시키는 (d-2)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온도와 상기 압력비가 비정상인 경우 실외기 팬을 OFF하거나, 실외기 팬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e)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온도와 상기 압력비가 정상인 경우,
    상기 고압이 기준고압 이상인지 판단하는 (f) 단계; 및
    상기 고압이 기준고압 이상인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외기 사이를 개방하거나,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외기 사이의 개방도를 기설정된 값만큼 상승시키는 (g)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이 기준고압 이상인 경우, 실외기의 팬을 ON하거나, 실외기 팬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는 (g-1)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11.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
    냉매가 실외 공기와 열교환되는 실외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외기;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팽창밸브;
    외기의 온도를 측정 실외 온도센서;
    상기 압축기 입구의 저압을 측정하는 흡입 압력센서;
    상기 압축기 출구의 고압을 측정하는 토출 압력센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외부와 고립 또는 개방시키는 개폐유닛;
    상기 외기온도, 저압 및 고압을 기준으로 상기 개폐유닛을 조정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외기와 고립 또는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실외기에 구비되고,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이동되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개폐윙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20095147A 2012-08-29 2012-08-2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KR20140030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47A KR20140030453A (ko) 2012-08-29 2012-08-2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47A KR20140030453A (ko) 2012-08-29 2012-08-2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453A true KR20140030453A (ko) 2014-03-12

Family

ID=50642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147A KR20140030453A (ko) 2012-08-29 2012-08-2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04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01B1 (ko) * 2014-02-06 2014-07-25 주식회사 부성기연 증발온도 보상형 냉난방 시스템
KR101952433B1 (ko) * 2018-04-25 2019-02-26 황병찬 타이어 광택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01B1 (ko) * 2014-02-06 2014-07-25 주식회사 부성기연 증발온도 보상형 냉난방 시스템
KR101952433B1 (ko) * 2018-04-25 2019-02-26 황병찬 타이어 광택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345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479458B1 (ko) 냉동 장치
EP3279580B1 (en) Air-conditioning device
CN106288488B (zh) 空调器系统和空调器系统的控制方法
US20110154834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0808237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systems having a cooling mode and a free-cooling mode
WO2007139010A1 (ja) 冷凍装置
KR20140062878A (ko) 공기 조화기
JP2001280669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US11892209B2 (en) Multi-air conditioner for heating and cooling including a shut-off valve between indoor and outdoor uni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262624A1 (ja) 冷凍装置
JP7138790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4720641B2 (ja) 冷凍装置
KR20190041091A (ko) 공기조화기
KR20140030453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KR101392316B1 (ko) 공기조화 시스템
JP5517891B2 (ja) 空気調和装置
US20220268498A1 (en) Intermediate unit for refrigeration apparatus, and refrigeration apparatus
US20220128275A1 (en) Refrigeration apparatus
US11624518B2 (en) Water source heat pump head pressure control for hot gas reheat
KR101075168B1 (ko)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에제거방법
KR101891615B1 (ko) 실외 열교환기
KR10145054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416939B1 (ko) 실외 열교환기
KR20080084482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