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956B1 - 원심분리형 착즙기 - Google Patents

원심분리형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956B1
KR101589956B1 KR1020140039297A KR20140039297A KR101589956B1 KR 101589956 B1 KR101589956 B1 KR 101589956B1 KR 1020140039297 A KR1020140039297 A KR 1020140039297A KR 20140039297 A KR20140039297 A KR 20140039297A KR 101589956 B1 KR101589956 B1 KR 101589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juice
net
discharg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734A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최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윤 filed Critical 최종윤
Priority to KR102014003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95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06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by electroplasmoly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7Centrifugal ex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분리형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야채, 과일 및 곡식 등의 분쇄물을 액즙 및 슬러지로 원심분리시 압력구조에 의해 착즙율 및 슬러지의 이송력을 높이도록 하고, 안정된 고속회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급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분쇄물을 원심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착즙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회전망체와,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액즙을 수거하는 액즙수거부와,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체;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어 하부가 개방되고, 회전망체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착즙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내부드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망체는 서로 상이한 사이즈의 통공이 타공된 외부망체, 거름망체 및 내부망체가 순차적으로 배치 구성되고, 상기 내부망체의 통공은 내광외협구조의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심분리형 착즙기{Centrifugal type extractor}
본 발명은 원심분리형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 과일 및 곡식 등의 분쇄물을 액즙 및 슬러지로 연속적으로 분리함에 있어 압력구조에 의해 착즙율 및 슬러지의 이송력을 높이도록 하는 원심분리형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분야에서 사용되는 착즙기는 야채, 과일 및 곡식이 파쇄되어 액체와 고체가 혼합된 상태의 혼합물을 액즙과 슬러지로 분리시키는 장치이다.
통상 가정에서는 믹서기나 녹즙기 등이 착즙기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기들은 분쇄된 고형물에 액즙이나 과즙이 상당량 함유된 상태로 버려지게 되므로 낭비요소가 많고, 소량 생산에 불과하므로 효율적 대량생산이 요구되는 산업적 용도로 적합하지 않다.
이에 산업적 용도로 제시된 착즙기의 일예로서 공개특허 제10-2003-0004642호에서는, 나선형 파쇄날들을 갖는 기어들이 대향 장착되어 서로 마주하여 회전되면서 과일을 분쇄하고, 그 과일분쇄물을 압축관에 이송시킨 후, 피스톤을 작동시켜 과일분쇄물을 가압하면서 압축관의 하부측으로 과즙이 분리되도록 하는 과즙 추출장치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이 기술은 압축관 내에서 피스톤을 일측방향으로 단순 가압하여 과즙을 추출하는 구조로서, 피스톤의 일측방향 가압으로 인해 혼합물인 과일분쇄물 상태에서 과즙이 하부측으로 분리되고, 그 가압 압축과정에서 과일분쇄물의 잔여 슬러지는 압축관 일측 내에서 응집된 상태로 잔재하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는 슬러지를 충분히 압축시킬 수 없어 상당량의 과즙이 슬러지에서 분리되지 못하고 압축공정이 완료되어 과즙의 60∼80%만 회수되고 슬러지로 버려지게 되므로 낭비요소가 많고, 슬러지를 제거 및 배출하기 위해 추출과정을 중단해야 하므로 연속생산이 불가능하여 작업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착즙기의 다른예로서 등록특허 제10-0308413호에서는, 동력모터에 의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수평유지구, 여과망, 회전분쇄구와 유도날개를 구비한 고정너트, 슬러지배출구를 갖는 뚜껑과 고정 연결된 고정분쇄구 등으로 구성되는 다용도 액즙 추출기를 개시하였다. 이때 이 기술은 다른실시예로서 분쇄축에 마쇄(분쇄)기능을 배제시킨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단순히 여과망의 회전력에 의해서만 분쇄물을 착즙하게 되는 구조로 분쇄물 상에서 액즙이 완전분리 되지 못하고 그 일부가 슬러지에 포함된 채 상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높은 착즙율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회전되는 여과망의 내부압력이 외부압력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착즙율을 더욱 기대하기 힘들 뿐 아니라, 여과망 상에서 뭉쳐지는 슬러지를 완전히 밀어올려주지 못하고 슬러지 덩어리의 낙하현상이 반복순환되기 때문에 슬러지의 이송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과망의 상부측이 불안정한 지지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여과망의 고속회전이 어렵게 되고, 여과망의 회전시 내부 여과포가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여과망체를 이탈한 슬러지가 슬러지배출구로 전부 통과되지 못하고 일부는 뚜껑의 내벽에 달라 붙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3-0004642호 등록특허 제10-030841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야채, 과일 및 곡식 등의 분쇄물을 액즙 및 슬러지로 원심분리시 압력구조에 의해 착즙율 및 슬러지의 이송력을 높이도록 하고, 안정된 고속회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원심분리형 착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급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분쇄물을 원심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착즙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회전망체와,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액즙을 수거하는 액즙수거부와,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체;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어 하부가 개방되고, 회전망체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착즙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내부드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망체는 서로 상이한 사이즈의 통공이 타공된 외부망체, 거름망체 및 내부망체가 순차적으로 배치 구성되고, 상기 내부망체의 통공은 내광외협구조의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형 착즙기를 제공한다.
이때, 회전망체의 하단부는 모터에 연결된 회전판 상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슬러지통과공이 형성된 연장관에 의해 연장되어 동체상에서 회전가이드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장관의 내주면, 외주면, 상부면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슬러지배출부는 내벽에 슬러지배출로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슬러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드럼은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거나, 착즙유로의 폭이 상부로 갈수록 축소 또는 확장되도록 회전망체와 상이한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드럼은 하부 개방부는 공급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공급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분쇄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망체는 바닥부에 풍량을 증가시키는 회전돌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회전돌기부는 테두리에 다수의 날개돌기가 형성되거나, 중심부에 뿔체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원심분리형 착즙기는 액즙을 분리하는 회전망체와 그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드럼 사이에 형성되는 협소공간인 착즙유로로 인해 회전망체의 회전시 착즙유로에 내부 압력을 발생시켜 그 압력에 의해 회전망체 내의 분쇄물을 가압함으로써 회전망체의 회전력에 더하여 착즙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그 착즙유로를 형성함으로 인해 슬러지를 회전망체의 내부에서 미끄러 떨어지지 않고 잡아주기 때문에 슬러지의 이송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속회전되는 회전망체의 상,하단을 동체 내에서 확고하게 지지되게 함으로써 착즙율을 높이기 위한 안정된 고속회전력을 확보할 수 있고, 이로 인한 고속의 원심분리를 통해 슬러지에 액즙이 거의 포함되지 않게 분리 가능하므로 95∼99%의 수율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심분리형 착즙기의 전체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망체, 연장관, 내부드럼 및 회전돌기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망체의 실시예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장관 내주면 및 외주면에 형성된 날개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경사안내로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분쇄물공급판의 구성을 나타낸 내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내부망체의 통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원심분리형 착즙기는 회전망체(10), 액즙수거부(20) 및 슬러지배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체(50)와, 회전망체(10) 내에 착즙유로(92)가 형성되게 하는 내부드럼(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망체(10)로 분쇄물을 공급하도록 공급관(2)이 연결 구성되며, 공급관(2)은 도 1에서와 같이 분쇄기(8)에 연결 설치되어 분쇄물을 이동 공급시킨다. 이때 분쇄물은 고액(Solid-Liquid)이 혼합된 상태의 분쇄물이며, 죽과 같은 걸쭉한 상태로 파쇄되어 액즙과 슬러지가 혼합된 상태의 것을 말한다. 상기 피분쇄 대상물은 주로 야채, 과일, 곡식 등이며, 그 외에도 폐기물 등의 다른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회전망체(10)는 공급관(2)을 통하여 유입되는 분쇄물을 원심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착즙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통상 산업적 규모로 사용되는 경우 분쇄물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상기 공급관(2)을 통해 300∼1,000㎏/hr로 분쇄물이 공급되며, 분쇄물의 원심분리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1,000∼15,000rpm으로 회전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회전망체(10)가 안정된 회전력을 유지하기 위해 회전망체(10)의 상,하단을 지지해 줄 필요가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회전망체(10)의 하단부는 모터(81)에 연결된 회전판(83) 상에 지지되게 하고, 상단부는 슬러지통과공(71)이 형성된 연장관(70)에 의해 연장되어 동체(50) 상에서 회전가이드(3)에 지지되게 한다. 이때 회전가이드(3)는 공급관(2)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로 동체(50)에 고정된다.
상기 모터(81)와 회전판(83)은 회전축(82)에 의해 연결되고, 회전축(82)은 베어링 구조에 의해 축지지되며, 모터(81)에는 감속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망체(10)는 도 4에서와 같이 서로 상이한 사이즈의 다수 통공(11,12,13)이 타공된 외부망체(15), 거름망체(16) 및 내부망체(17)를 겹겹이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되게 한다. 이때 회전망체(10)는 원형단면 구조로 상향 확장형의 경사각이 형성되는 역원추형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름망체(16)는 분쇄물을 착즙하는 미세망 구성으로서, 통공(12)을 통해 액즙이 통과되고 슬러지가 걸러지면서 분리되며, 이때 슬러지를 완전 분리시켜 순수 액즙만 통과되도록 통공(12)의 직경은 0.2∼0.5㎜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경이 0.2㎜ 미만이면 통공(12)에 응착된 슬러지에 의해 액즙의 통과율이 떨어지게 되고, 직경이 0.5㎜ 초과하면 통공(12)을 통해 슬러지가 통과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망체(15)는 거름망체(16)의 고속회전에 의한 외측변형을 방지하면서 회전력을 지지해 주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며, 거름망체(16)를 통해 착즙, 배출되는 액즙을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거름망체(16)의 것 보다 큰 통공(11)을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통공(11)은 넓은 노출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장공 형태로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태로 가능하다. 그리고 작업조건에 따라 거름망체(16)에 밀착될 수 있고, 또는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망체(17)는 거름망체(16)의 고속회전에 의한 내측변형을 방지하면서 회전력을 지지해 주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며, 도 8에서와 같이 내부망체(17)의 통공(13)은 내광외협한 구조로 경사각으로 형성되게 하여 그 경사각 구조에 의해 분쇄물(특히 슬러지)이 통공(13)의 경사면에 오래 잔류되게 함으로써 착즙시간을 증가시켜 이송을 지연하게 함으로 인해 착즙율을 높이도록 하였고, 고속회전에도 슬러지가 쉽게 올라가지 않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내광외협한 구조로 인해 넓은 마찰부가 형성됨으로 타격에 의한 착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현하였다.
상기 외부망체(15), 거름망체(16) 및 내부망체(17)는 개별 제작하여 분해가 용이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세척이 용이하다. 또한 외부망체(15), 거름망체(16) 및 내부망체(17)는 원형단면을 갖는 원추형 구조 뿐만 아니라 3각, 4각, 6각 등 다각추(각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경사진 측벽이 요철부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외부망체(15), 거름망체(16) 및 내부망체(17)에 형성되는 통공(11,12,13)의 배치는 작업조건에 따라 나선형, 일자형, 방사형, 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망체(15) 및 내부망체(17)는 그 사이에 위치된 거름망체(16)의 변형방지 및 회전력 지지를 위해 금속재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거름망체(16)는 미세망이 형성되어짐으로 제작 용이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망체(10)는 도 2에서와 같이 내부링(49) 및 외부링(47)에 의해 상부가 고정된다.
또한, 회전망체(10)는 그 바닥부에 풍량 및 풍압을 증가시키는 회전돌기부(60)를 구비하여 그 회전력에 의해 공급관(2)을 통해 공급되는 분쇄물을 상부측, 특히 회전망체(10)의 내측면 상으로 비산시킬 있게 되며, 그 실시예로서 도 2에서와 같이 테두리에 다수의 날개돌기(62)가 형성되게 할 수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공급되는 시점에서부터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뿔체형돌기(64)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뿔체형돌기(64) 표면에 경사방향, 나선방향 등으로 다수 날개를 형성하여 분쇄물의 비산력을 더 높일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의 회전망체(10)의 원심력에 의해 액즙을 수거하는 액즙수거부(20)가 구비된다. 액즙수거부(20)는 도 1에서와 같이 회전망체(10)에서 배출되는 액즙을 수용할 수 있도록 회전망체(10)에 이격되는 통 형태로 형성되며, 그 바닥측에는 액즙이 배출되는 액즙배출로(27)가 형성되고, 이에 연결된 액즙배출관(2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액즙수거부(20) 내에는 액즙의 역류 및 하부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부(26)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였으며, 경사진 내측단부를 회전판(83)의 하부에서 노출되지 않게 하였으며, 그 내측단부를 내향 절곡하여 액즙이 이탈되지 못하는 구조를 구현하였다.
상기 회전망체(10)를 통해 액즙이 배출되고 남은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해 슬러지배출부(30)가 구비된다. 슬러지배출부(30) 내에는 회전망체(10)의 상부측으로 고정 연결된 연장관(70)이 구비된다.
연장관(7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향 축소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정원추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회전망체(10)에서처럼 3각, 4각, 6각 등 다각추(각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연장관(70) 상에는 회전망체(10)의 내측으로 타고 올라온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해 다수 슬러지통과공(71)이 형성된다.
상기 연장관(70)이 회전망체(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슬러지통과공(71)을 통해 슬러지를 배출하게 되고, 그 슬러지는 슬러지배출로(32)에 연결된 슬러지배출관(3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슬러지통과공(71)을 통해 배출되는 슬러지의 일부는 슬러지배출관(38) 측으로 바로 이동되지 않고 슬러지배출부(30)의 측벽에 부딪히거나 그 주위를 멤돌게 된다. 이러한 슬러지가 측벽이나 일정위치에 쌓이지 않고 슬러지배출관(38) 측으로 빠른시간에 안내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슬러지배출부(30)의 내벽에는 슬러지배출로(32)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슬러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로(35)를 구비한다. 이때 경사안내로(35)는 슬러지배출로(32) 측이 가장 낮은 지점이 되도록 하여야 하며, 경사안내로(35)로 유입된 슬러지가 외부로 넘쳐 이탈되지 않도록 내측단부를 상부측으로 절곡시키도록 하거나 전체적으로 상향 형성되게 한다.
또한 연장관(70) 내부에서 슬러지의 배출율을 높이기 위해 도 5의 (a)에서와 같이 내주면에 다수 날개부(77)를 구비한다. 이때 날개부(77)는 슬러지통과공(71)측으로 슬러지가 자연스레 안내되도록 슬러지통과공(71)에 인접하여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장관(70) 외부에서 슬러지의 배출율을 높이기 위해 도 5의 (b)에서와 같이 외주면에 다수 날개부(78)를 구비한다. 이때에도 날개부(78)는 회전력에 의한 풍압을 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외부측 날개부(78) 구조에 의해 짧은 시간이나마 슬러지를 건조시키면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장관(70)의 상부에 슬러지가 달라붙거나 머무르지 않도록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다수 날개부(79)를 구비한다. 상기 날개부(79)가 회전하게 되면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그 상부측 부근에 슬러지가 진입하지 못하게 되고 측벽으로 안내된다.
상기한 날개부(77,78,79)의 구성은 연장관(70)의 내주면, 외주면, 상부면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구비된다.
또한, 슬러지배출부(30) 내의 슬러지배출로(32) 진입부에는 슬러지의 회전이동을 막아 슬러지배출관(38)으로 안내하는 막음판(39)을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망체(10), 액즙수거부(20) 및 슬러지배출부(30)를 포함하여 동체(50)가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망체(10)의 내측에는 공급관(2)과 연결되어 하부가 개방되고, 회전망체(10)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착즙유로(92)를 형성하도록 내부드럼(90)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드럼(90)을 구비하여 회전망체(10)와의 사이에 협소한 착즙유로(92)를 형성하게 되면 내부드럼(90)이 구비되지 않은 회전망체(10)에서 보다 착즙유로(92) 내에 압력이 상대적으로 상승되고, 이로 인해 그 착즙유로(92)를 지나 올라가는 슬러지를 회전망체(1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착즙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착즙유로(92)를 형성함으로 인해 슬러지를 회전망체(10)의 내부에서 미끄러 떨어지지 않고 잡아주기 때문에 슬러지의 이송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내부드럼(90)은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거나, 착즙유로(92)의 폭이 상부로 갈수록 축소 또는 확장되도록 회전망체(10)와 경사각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착즙유로(92)에서 발생되는 압력의 세기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분쇄물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선택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드럼(90)의 하부 개방부는 도 7에서와 같이 다수 통공(96)이 형성된 분쇄물공급판(9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공급관(2)에서의 분쇄물 공급이 늘 일정하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분쇄물공급판(95)을 형성하여 그 상부에서 분쇄물이 머무르는 시간을 지체시킴으로써 통공(96)을 통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구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부 개방부인 분쇄물공급판(95)에 형성된 통공(96)을 공급관(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원심분리형 착즙기의 동작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공급관(2)을 통해 분쇄기(8)에서 파쇄된 분쇄물이 회전망체(10) 내에 공급된다. 분쇄물이 수용된 회전망체(10)는 모터(81)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쇄물을 액즙 및 슬러지로 원심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액즙은 회전망체(10)의 원심력에 의해 망체들을 통과하여 액즙수거부(20)로 이동된 후, 액즙배출로(27)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달리 원심분리된 슬러지는 회전망체(10)를 통과하지 못하고 원심력 및 상향 확장되는 경사각에 의해 회전망체(10)의 내면을 따라 계속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승된 슬러지는 회전망체(1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 슬러지배출부(30)의 슬러지배출로(32)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2 : 공급관 3 : 회전가이드
10 : 회전망체 11,12,13 : 통공
15 : 외부망체 16 : 거름망체
17 : 내부망체 20 : 액즙수거부
30 : 슬러지배출부 32 : 슬러지배출로
35 : 경사안내로 50 : 동체
60 : 회전돌기부 62 : 날개돌기
64 : 뿔체형돌기 70 : 연장관
71 : 슬러지통과공 77,78,79 : 날개부
81 : 모터 83 : 회전판
90 : 내부드럼 92 : 착즙유로
95 : 분쇄물공급판 96 : 통공

Claims (10)

  1. 공급관(2)을 통하여 유입되는 분쇄물을 원심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착즙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회전망체(10)와,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액즙을 수거하는 액즙수거부(20)와,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체(50); 상기 공급관(2)과 연결되어 하부가 개방되고, 회전망체(10)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착즙유로(92)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내부드럼(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망체(10)는 서로 상이한 사이즈의 통공(11,12,13)이 타공된 외부망체(15), 거름망체(16) 및 내부망체(17)가 순차적으로 배치 구성되고, 상기 내부망체(17)의 통공(13)은 내광외협구조의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형 착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망체(10)의 하단부는 모터(81)에 연결된 회전판(83) 상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슬러지통과공(71)이 형성된 연장관(70)에 의해 연장되어 동체(50)상에서 회전가이드(3)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형 착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70)의 내주면, 외주면, 상부면 중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날개부(77,78,7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형 착즙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배출부(30)는 내벽에 슬러지배출로(32)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슬러지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로(3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형 착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드럼(90)은 외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거나, 착즙유로(92)의 폭이 상부로 갈수록 축소 또는 확장되도록 회전망체(10)와 상이한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형 착즙기.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드럼(90)은 하부 개방부는 공급관(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공급관(2)을 통하여 유입되는 분쇄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형 착즙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망체(10)는 바닥부에 풍량을 증가시키는 회전돌기부(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형 착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부(60)는 테두리에 다수의 날개돌기(62)가 형성되거나, 중심부에 뿔체형돌기(6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리형 착즙기.
KR1020140039297A 2014-04-02 2014-04-02 원심분리형 착즙기 KR101589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297A KR101589956B1 (ko) 2014-04-02 2014-04-02 원심분리형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297A KR101589956B1 (ko) 2014-04-02 2014-04-02 원심분리형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734A KR20150114734A (ko) 2015-10-13
KR101589956B1 true KR101589956B1 (ko) 2016-01-29

Family

ID=5434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297A KR101589956B1 (ko) 2014-04-02 2014-04-02 원심분리형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9885A (zh) * 2020-08-09 2020-11-03 范涛涛 一种草莓加工用打浆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236Y1 (ko) * 2000-02-10 2000-07-15 신동환 분쇄기
KR100308413B1 (ko) * 1999-06-30 2001-09-24 양희준 다용도 액즙(液汁) 추출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7149B2 (ja) * 1993-11-25 1997-09-24 三洋電機株式会社 ジューサー
KR0117474Y1 (ko) * 1995-03-09 1998-04-23 강부자 원심 분리형 녹즙기
KR20030004642A (ko) 2001-07-06 2003-01-15 김희주 과즙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413B1 (ko) * 1999-06-30 2001-09-24 양희준 다용도 액즙(液汁) 추출기
KR200189236Y1 (ko) * 2000-02-10 2000-07-15 신동환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734A (ko)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7894B2 (en) Device for preparing olive paste for oil extraction
US9731467B2 (en) Food processor
CN206262641U (zh) 一种原料高效粉碎装置
WO2010115306A1 (zh) 榨汁机
US9949502B2 (en) Electric appliance for preparing juice by pressing food
CN112312808B (zh) 食物制备装置
CN109248751A (zh) 污泥破碎机以及利用其破碎污泥的方法
CN216932703U (zh) 榨汁果汁机用螺杆及使用该螺杆的榨汁果汁机
EP4331439A1 (en) Separation screw and juicer using same
RU2630313C1 (ru) Агрегат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перги
US2840130A (en) Juice extractors
KR101589956B1 (ko) 원심분리형 착즙기
KR20120002207U (ko) 스크루식 착즙기
CN204377846U (zh) 水果破碎设备
KR101932088B1 (ko) 원두분쇄장치
CN203897226U (zh) 咖啡生熟果分离机
KR101586282B1 (ko) 원심분리형 착즙기
CN209732045U (zh) 滚筒式花椒脱粒机
RU80772U1 (ru) Зерновая дробилка
CN216025410U (zh) 一种富硒猴头菇多级高效粉碎装置
Leone Olive milling and pitting
CN202626066U (zh) 多级卧式薯类渣浆自动分离机
CN210207189U (zh) 一种滤粉筛及立磨机选粉装置
KR101602817B1 (ko) 액즙 제조장치
CN114160289A (zh) 一种饲料生产用破碎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