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947B1 - 티 포트 - Google Patents

티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947B1
KR101589947B1 KR1020120040549A KR20120040549A KR101589947B1 KR 101589947 B1 KR101589947 B1 KR 101589947B1 KR 1020120040549 A KR1020120040549 A KR 1020120040549A KR 20120040549 A KR20120040549 A KR 20120040549A KR 101589947 B1 KR101589947 B1 KR 101589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er tube
tube
inner tube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규
이양근
Original Assignee
박창규
이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규, 이양근 filed Critical 박창규
Priority to KR1020120040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 A47J31/505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with heat-supply reg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공간(S)의 팽창압력 또는 응축압력을 활용하여 티(T)를 보다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나아가 반복적으로 끓여 더욱 진한 티(T)의 원액과 향을 추출 수 있도록 한 티 포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티 포트{TEA POT}
본 발명은 티 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표면, 내통의 외면 및 외통의 내면 사이에 마련된 밀폐공간의 팽창압력 또는 응축압력을 활용하여 티를 보다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끓여 더욱 진한 티의 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티 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티 포트는 원두커피를 비롯한 녹차, 국화차, 옥수수 등 다양한 티를 끓일 수 있도록 하는 주방기기의 일종이다.
제 1 선행문헌(공개번호 제10-2009-0075322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도 1은 제 1 선행문헌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제 1 선행문헌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는 커피분말 및 찻잎을 수용하는 호퍼(220), 호퍼(220)내로 물을 공급하며 회전 가능한 드립 플레이트(230), 드립 플레이트(2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60), 드립 플레이트(230)로 물을 제공하는 탱크(240)를 포함한다. 호퍼(220)는 미 도시된 체결수단에 의해서 직수관(245)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미 도시된 다른 체결수단에 의해서 본체(20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호퍼(220)는 상부 개구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추출된 커피를 배출하기 위한 추출구(221)가 형성되어 있다. 추출구(221)는 호퍼(220)의 형상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추출구(221)가 하향 연장되어 하측으로 돌출된 경우, 추출구(221)를 개폐하는 마개를 별도로 마련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 추출구(221)의 하부에는 커피잔(250)이나 서버 등이 배치되어 추출된 커피를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호퍼(220) 내에는 커피분말을 거르는 필터가 장착되며, 시중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필터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드립 플레이트(2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원판상의 바닥면과, 일정한 원주를 갖는 측벽을 갖는다. 드립 플레이트(230)는 호퍼(220)의 상부에 배치되며, 바닥면에는 호퍼(2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드립홀(235)이 형성되어 있다. 각 드립홀(235)은 원판상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각 드립홀(235)이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호 상이하다. 한편, 드립 플레이트(230)의 바닥면은 호퍼(220)의 상부 개구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며, 각 드립홀(235)은 드립 플레이트(230)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각 드립홀(235)로부터 배출된 물은 호퍼(220)내에 장착된 필터내의 커피분말에 바로 공급된다. 이러한 드립 플레이트(230)의 외측에는 드립 플레이트(2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60)이 마련되어 있다. 구동수단(260)은 드립 플레이트(230)의 측벽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피동기어(265)와, 피동기어(265)와 맞물리는 구동기어(263)와, 구동기어(263)를 구동하는 플레이트 모터(261)를 포함한다. 피동기어(265)는 드립 플레이트(230)의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의 하부 영역에 드립 플레이트(2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전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구동기어(263)는 외주면에 톱니를 갖는 피니언으로 형성되며, 구동기어(263)의 톱니와 피동기어(265)의 톱니는 맞물려 있다. 플레이트 모터(261)는 드립 플레이트(230)의 세로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며, 플레이트 모터(261)의 축에는 구동기어(263)가 장착되어 있다. 플레이트 모터(261)로는 DC 모터, 스텝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모터(261)가 구동하면, 구동기어(263)가 일체로 회전하고, 구동기어(263)로부터의 회전력이 피동기어(265)로 전달되어 드립 플레이트(230)가 회전하게 된다. 플레이트 모터(261)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부(미도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채용될 수 있다. 그런데, 제 1 선행문헌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는 플레이트 모터, 구동기어, 피동기어, 직수관 및 드립 플레이트와 같은 다수의 구성이 필요로 하여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떨어지고, 커피나 차 등을 특히 반복적으로 끓일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제 2 선행문헌(공개번호 제10-2003-0036892; 커피 메이커) 도 2는 제 2 선행문헌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메이커(110)는 소정량의 물을 담는 제1 챔버 또는 보일러(112), 및 만들어진 음료의 최종 수집을 위한 제2 챔버(116)를 구비한다. 또한, 이 경우 커피 메이커(110)는 음식과 접촉하기에 적절하며, 상대적 온도를 견뎌낼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된 필터 장치(114)를 구비한다. 필터 장치(114)는 커피 메이커에 조립될 때 컬렉션 챔버(116) 내에 위치하는 캡슐(128) 및 상단부가 캡슐(128)에 단단히 고정되면서 타단부가 보일러(112)에 담겨진 물에 잠기는 튜브(126)로 구성된다. 캡슐(128)은 소정량의 커피 가루(115)를 포함한다. 또한, 컬렉션 챔버(116)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필터 장치(114)의 튜브(126)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 구멍(124)을 그 중심에 가지는 배플(117)이 설치된다. 튜브(126)에는 튜브(126)와 배플(117) 사이의 충분한 밀봉을 제공하는 플라스틱 필터 장치(114)의 고리 형상 아우터 립(134, outer lip)이 존재한다. 세이프티 밸브(120, safety valve)가 보일러(112)에 설치되고, 이것은 "에스프레소" 커피 메이커의 보일러와 대체로 유사하다.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보일러(112)는 기본적으로 단일 조각의 금속(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의 형태이며, 위쪽으로 개방되고, 컬렉션 챔버(116)에 연결될 수 있는 외부 나사산을 그 꼭대기에 가지는 측벽(122)과 베이스(121)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컬렉션 챔버는 그 저부상에 유사한 내부 나사산을 갖는다. 고리형상 개스킷(140)은 커피 메이커(110)가 조립될 때 외측방향으로의 밀봉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캡슐(128)의 상부에는 그것으로부터 커피 가루가 이탈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천공(perforations; 132)이 존재한다. 커피 메이커(110)의 컬렉션 챔버(116)에 모여지는 음료가 보일러(112)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컬렉션 챔버(116)내에서 음료가 도달하는 레벨보다 더 높게 천공(132)이 위치되어야만 한다. 캡슐(128)과 튜브(126)는 캡슐(128) 내에 이미 커피 가루가 삽입되어 판매될 수 있는 일체형의 필터 장치(114)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필터 장치(114)는 단지 한번만 사용하고 버려지도록 의도된 것이다. 도 2의 위치에 필터 장치(114)를 배치하기 위해서, 튜브(126)는 배플(117)에 존재하는 관통 구멍(through hole; 124)을 통해 필터 장치(114)에만 삽입되며, 캡슐(128)의 상부가 손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가압되어 립(134)이 배플(117)을 지나 물리게(snap) 된다. 정지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튜브가 구멍(124)으로 너무 멀리 밀리지 않도록 용이하게 제공된다. 그런데, 제 2 선행문헌에 따른 커피 메이커는 커피를 끓이고 얻는데 구성이 복잡하고, 필터 장치(114)가 일회용으로 되어 있어 자원낭비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공간의 팽창압력 또는 응축압력을 활용하여 티를 보다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끓여 더욱 진한 티의 원액과 향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간단 구조를 통한 생산성 및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킨 티 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녹차나 원두커피와 같은 티를 내통에 넣고 외통에 물을 채워 끓일 경우 밀폐공간은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되어 외통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을 통해 내통 속의 수위를 높여 티를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끓일 수 있는 티 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통의 상단 높이를 외통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시켜 히팅열이 부여되어 물이 끓기 시작함과 동시에 밀폐공간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킬 때 외통 속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을 통해 내통 속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그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티 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히터의 히팅열에 의해 끓여지는 물을 수용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에 걸쳐짐과 동시에 티를 수용하면서 상기 물 속으로 부분 침수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에 씌워지면서 배출통로가 마련된 뚜껑을 포함하는 티 포트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하측 순환공을 구비하고,
상기 내통은 상기 외통에 밀착 걸쳐지고,
상기 물의 표면, 상기 내통의 외면 및 상기 외통의 내면 사이에 밀폐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히터가 오프되어 히팅열이 부여되지 않을 경우 상기 외통과 더불어 상기 내통 속의 수위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히터를 턴온시켜 상기 물이 끓기 시작할 경우 상기 밀폐공간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켜 상기 외통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하측 순환공을 통해 상기 내통 속의 수위를 높여 상기 티를 끓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히터를 턴오프시켜 히팅열을 차단할 경우 상기 물이 식으면서 상기 밀폐공간의 포화증기의 응축에 따른 응축압력을 통해 상기 내통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그 물을 끌어당겨 상대적으로 상기 외통의 수위를 높이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밀폐공간의 팽창압력 또는 응축압력을 활용하여 티를 보다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나아가 반복적으로 끓여 더욱 진한 티의 원액과 향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생산성 및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두커피와 같은 티를 내통에 넣고 외통에 물을 채워 끓일 경우 밀폐공간은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되어 외통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을 통해 내통 속의 수위를 높여 티를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나아가 반복적으로 끓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밀폐수단으로 내통의 외주연에 장착된 패킹을 적용하여 외통과의 밀폐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면서 부드럽게 조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통의 상단 높이를 외통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시켜 히팅열이 부여되어 물이 끓기 시작함과 동시에 밀폐공간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킬 때 외통 속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을 통해 내통 속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그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 선행문헌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의 구성도.
도 2는 제 2 선행문헌에 따른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에 적용된 외통의 하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실시예로서 원두커피와 같은 티를 내통에 넣고 외통에 물을 채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실시예로서 원두커피와 같은 티를 내통에 넣고 외통에 물을 채워 끓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실시예로서 원두커피와 같은 티를 내통에 넣고 외통에 물을 채우고 끓인 후 식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 포트에 적용된 내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 포트에 적용된 내통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에 적용된 외통의 하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는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열에 의해 끓여지는 물(W)을 수용하는 외통(10)과, 외통(10)에 걸쳐짐과 동시에 티(T)를 수용하면서 물(W) 속으로 부분 침수되는 내통(20)과, 내통(20)에 씌워지면서 배출통로(31)가 마련된 뚜껑(30)이라는 최소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생산성 및 조립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배출통로(3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에 직접 뚫려질 수도 있고 뚜껑(30)과 외통(10) 사이의 틈새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내통(20) 속에 수용되는 티(T)는 원두커피를 비롯한 녹차, 국화차, 옥수수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실시예로서 녹차나 원두커피와 같은 티(T)를 내통(20)에 넣고 외통(10)에 물(W)을 채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실시예로서 녹차나 원두커피와 같은 티(T)를 내통(20)에 넣고 외통(10)에 물(W)을 채우고 끓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실시예로서 녹차나 원두커피와 같은 티(T)를 내통(20)에 넣고 외통(10)에 물(W)을 채우고 끓인 후 식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내통(20)은 하측 순환공(21)을 구비하며, 이 하측 순환공(21)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0)에 물(W)을 채울 때 그 물(W) 속으로 잠길 정도의 내통(20)의 하부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내통(20)은 하측 순환공(21)을 구비하고, 내통(20)은 외통(10)에 밀착 걸쳐지고, 물(W)의 표면, 내통(20)의 외면 및 외통(10)의 내면 사이에 밀폐공간(S)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는 히터(50)가 오프되어 히팅열이 부여되지 않을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0)과 더불어 내통(20) 속의 수위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히터(50)를 턴온시켜 물(W)이 끓기 시작할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공간(S)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켜 외통(1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21)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를 높여 티(T)를 끓일 수 있도록 하고, 히터(50)를 턴오프시켜 히팅열을 차단할 경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W)이 식으면서 밀폐공간(S)의 포화증기의 응축에 따른 응축압력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그 물(W)을 끌어당겨 상대적으로 외통(10)의 수위를 높이도록 하는 컨트롤러(6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외통(10)에 걸쳐진 내통(20) 사이에는 밀폐수단(40)이 장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차나 원두커피와 같은 티(T)를 내통(20)에 넣고 외통(10)에 물(W)을 채우면 내통(20) 속의 수위와 외통(10) 내부의 수위는 하측 순환공(21)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동일하게 된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차나 원두커피와 같은 티(T)를 내통(20)에 넣고 컨트롤러(60)의 제어로서 히터(50)가 턴온되어 외통(10)의 물(W)을 끓일 경우 밀폐공간(S)은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되어 외통(1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21)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를 높여 티(T)를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끓일 수 있도록 한다.
물(W)의 끓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 밀폐공간(S)은 팽창압력상태가 지속되어 외통(10) 속의 물(W)이 내통(20) 속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밀어내면서 외통(10) 속의 수위는 내통(20)의 하단보다 조금 더 낮아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팽창압력의 힘이 외통(10) 속의 물(W)을 전량 내통(20) 속으로 밀어낼 수는 없기 때문에 외통(10) 속의 물(W)이 끓는 동안 증기압의 상승에 의해 내통(20) 속의 물(W) 역시 티(T)와 함께 끓게 된다.
이때, 외통(10) 속의 팽창압력과 내통(20) 속의 물(W) 자체의 중력에 의한 하강하려는 힘이 서로 겨루기를 하면서 내통(20)으로부터 작은 물방울이 떨어지면서도 내통(20) 속으로의 증기의 상승현상은 계속 반복되면서 외통(10) 속의 물(W)과 내통(10) 속의 물(W)이 동시에 끓음과 동시에 티(T)의 원액을 지속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60)의 제어로서 히터(50)가 턴오프되어 물(W)을 식힐 경우 밀폐공간(S)은 포화증기의 응축에 따른 응축압력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그 물(W)을 끌어당겨 상대적으로 외통(10)의 수위를 높여 내통(20) 속은 녹차나 원두커피만이 존재하고 외통(10) 속에는 녹차나 원두커피의 원액이 녹아든 물(W)이 가득하게 되어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진한 녹차나 커피 등의 원액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는 밀폐공간(S)의 팽창압력 또는 응축압력을 활용하여 티(T)를 보다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끓여 더욱 진한 티(T)의 원액과 향을 추출할 수 있는 작용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내통(20)의 외면 및 외통(10)의 내면 사이에 마련된 밀폐공간(S)의 팽창압력 또는 응축압력을 활용하여 티(T)를 지속하여 끓일 수 있도록 히팅열을 가해주고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더욱 진한 티의(T)의 향, 즉 티(T)의 농도가 높은 물(W)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밀폐수단(40)은 내통(20)의 외주연과 외통(10)의 내주연 상호간의 긴밀한 밀착에 의해 완성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내통(20)의 외주연에 장착된 패킹(41)을 적용하여 외통(10)과의 밀폐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외통(10)의 내주연에 패킹을 적용할 수 있으며, 패킹(41)의 외주연을 플렉시블하게 나사산(41a)을 돌출시켜 밀폐력을 유지하면서도 지나치게 높은 증기압이 걸릴 경우 유효 적절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내통(20)을 외통(10)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장착시키고자 할 때 더욱 부드럽게 착탈 가능케 한다].
한편, 내통(20)의 상단 높이는 외통(10)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열이 부여되어 물(W)이 끓기 시작함과 동시에 밀폐공간(S)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킬 때 외통(10) 속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21)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그 물(W)이 넘치지 않도록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 포트에 적용된 내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 포트에 적용된 내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0)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된 내통(20)의 상단은 상광중협하광(上廣中狹下廣)의 항아리 형태로 형성되어 내통(20) 속의 물이 채워지면서 끓을 때 항아리 형태의 내통(20)의 곡면을 따라 상승 후 중앙으로 떨어지는 순환을 반복할 수 있게 되어 티(T)의 원액 추출을 더욱 용이하게 하면서도 물이 튀거나 넘치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그리고, 외통(10)은 유리로 제작되어 물(W) 및 티(T)의 끓는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내통(20)은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되어 더욱 견고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외통(10)의 하부에 히터(50)가 장착되어 간편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외통(10)에 손잡이(11)가 마련되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컨트롤러(60)는 히터(50)로 하여금 물(W)의 온도가 90∼98℃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고 100℃일 경우 턴오프되도록 구동시키고, 컨트롤러(60)의 구동간격은 타이머(61)에 의해 설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타이머(61)에 의해 설정된 구동간격동안 상기 컨트롤러(60)는 히터(50)를 반복하여 턴온 및 턴오프시켜 밀폐공간(S)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와 포화증기의 응축에 따른 응축압력상태로 교번시키면서 외통(10) 및 내통(10)의 수위를 상반되게 승강시켜 티(T)로부터 원액을 추출토록 하여, 매우 짧은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티(T)의 원액과 향을 더욱 효과적으로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히터(5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0)의 설계시 외통(10) 속의 물(W)의 온도를 감지하면서 예를 들어 97℃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도록 하여 히팅열을 가해주면, 물(W)은 점차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다가 100℃에서 끓기 시작하면서 증기를 발생함과 동시에 밀폐공간(S)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켜 외통(1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21)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를 높여 티(T)를 끓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예를 들어 물(W)의 온도가 100℃가 되면 히터(50)가 턴오프되어 히팅열이 제거됨과 동시에 물(W)이 식혀지면서 밀폐공간(S)의 포화증기의 응축에 따른 응축압력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그 물(W)을 끌어당겨 상대적으로 외통(10)의 수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물(W)의 온도가 하한점인 90∼98℃와 상한점인 100℃ 사이에서 반복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 타이머(61)로서 시간을 분단위 또는 시간단위로 제한할 경우 그 범위 내에서 물(W)의 끓고 식음에 따라 외통(10)과 내통(20) 상호간의 수위 변화는 계속하게 반복하게 되며, 이러한 반복에 의하여 내통(20) 속의 티(T)는 더욱 진하게 원액이 추출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물(W)의 온도를 컨트롤러(60)로 설정함에 있어서 하한점을 90℃이하로 설정할 경우 물(W)의 내통(20) 속으로의 상승과 외통(10) 속으로의 하강에 대한 간격이 지나치게 늦어질 수 있고, 상한점을 98℃이상으로 설정할 경우 물(W)의 내통(20) 속으로의 상승과 외통(10) 속으로의 하강에 대한 간격이 지나치게 빈번하거나 물(W)의 승강없이 내통(20) 속에서 계속적으로 머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물(W)의 온도가 90∼98℃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고 100℃일 경우 턴오프될 수 있도록 히터(50)를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히터(50)는 물(W)의 온도가 70∼75℃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고 80∼85℃보다 높을 경우 턴오프되는 것을 더 포함토록 하여 다 끓여진 티(T)를 지속적으로 다릴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물(W)의 온도가 40∼45℃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고 50∼55℃보다 높을 경우 턴오프되도록 하여 티(T) 자체의 보온을 유지토록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외통(1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빛을 발산시키는 LED(70)를 구비하고, 이 LED(70)는 외통(1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조립되어 빛을 투과시키면서 상향 굴절시키도록 톱니형 굴곡부(71a)를 지닌 빛투과굴절체(71)에 장착된다.
LED(70)의 빛 색상에 의해 티(T)를 끓임에 있어 시각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특히 빛투과굴절체(71)의 톱니형 굴곡부(71a)에 의해 LED(70)의 직진성 빛이 투과되면서 상향 굴절되어 그 시각적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은 원두커피를 비롯한 녹차, 국화차 등 음용할 수 있는 재료를 신속 간단 편리하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끓여 원액을 추출할 수 있는 주방기구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W : 물 10 : 외통
11 : 손잡이 T : 티
20 : 내통 21 : 하측 순환공
30 : 뚜껑 31 : 배출통로
S : 밀폐공간 40 : 밀폐수단
41 : 패킹 41a : 나사산
50 : 히터 60 : 컨트롤러
61 : 타이머 70 : LED
71 : 빛투과굴절체 71a : 톱니형 굴곡부

Claims (15)

  1. 히터(50)의 히팅열에 의해 끓여지는 물(W)을 수용하는 외통(10)과, 상기 외통(10)에 걸쳐짐과 동시에 티(T)를 수용하면서 상기 물(W) 속으로 부분 침수되는 내통(20)과, 상기 내통(20)에 씌워지면서 배출통로(31)가 마련된 뚜껑(30)을 포함하는 티 포트에 있어서,
    상기 내통(20)은 하측 순환공(21)을 구비하고,
    상기 내통(20)은 상기 외통(10)에 밀착 걸쳐지고,
    상기 물(W)의 표면, 상기 내통(20)의 외면 및 상기 외통(10)의 내면 사이에 밀폐공간(S)이 마련되며, 상기 히터(50)가 오프되어 히팅열이 부여되지 않을 경우 상기 외통(10)과 더불어 상기 내통(20) 속의 수위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히터(50)를 턴온시켜 상기 물(W)이 끓기 시작할 경우 상기 밀폐공간(S)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켜 상기 외통(1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하측 순환공(21)을 통해 상기 내통(20) 속의 수위를 높여 상기 티(T)를 끓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히터(50)를 턴오프시켜 히팅열을 차단할 경우 상기 물(W)이 식으면서 상기 밀폐공간(S)의 포화증기의 응축에 따른 응축압력을 통해 상기 내통(2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그 물(W)을 끌어당겨 상대적으로 상기 외통(10)의 수위를 높이도록 하는 컨트롤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히터(50)를 반복하여 턴온 및 턴오프시켜 상기 밀폐공간(S)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와 포화증기의 응축에 따른 응축압력상태로 교번시키면서 상기 외통(10) 및 내통(10)의 수위를 상반되게 승강시켜 상기 티(T)로부터 원액을 추출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히터(50)로 하여금 상기 물(W)의 온도가 90∼98℃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고 100℃일 경우 턴오프되도록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60)의 구동간격은 타이머(61)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61)에 의해 설정된 구동간격동안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히터(50)를 반복하여 턴온 및 턴오프시켜 상기 밀폐공간(S)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와 포화증기의 응축에 따른 응축압력상태로 교번시키면서 상기 외통(10) 및 내통(10)의 수위를 상반되게 승강시켜 상기 티(T)로부터 원액을 추출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0)은 상기 외통(10)에 밀폐수단(40)에 의해 밀착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40)은 상기 내통(20)의 외주연에 장착된 패킹(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41)의 외주연은 플렉시블하게 돌출된 나사산(41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0)의 상단 높이는 상기 외통(10)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된 상기 내통(20)의 상단은 상광중협하광(上廣中狹下廣)의 항아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은 유리로 제작되고,
    상기 내통(20)은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50)는 상기 외통(10)의 하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은 손잡이(1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14.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빛을 발산시키는 LED(70)를 장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LED(70)는 상기 외통(1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조립되어 빛을 투과시키면서 상향 굴절시키도록 톱니형 굴곡부(71a)를 지닌 빛투과굴절체(7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KR1020120040549A 2012-04-18 2012-04-18 티 포트 KR101589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549A KR101589947B1 (ko) 2012-04-18 2012-04-18 티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549A KR101589947B1 (ko) 2012-04-18 2012-04-18 티 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947B1 true KR101589947B1 (ko) 2016-01-29

Family

ID=5531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549A KR101589947B1 (ko) 2012-04-18 2012-04-18 티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9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892A (ko) 2000-10-04 2003-05-09 아드리아나 브리지오 커피 메이커
KR200363751Y1 (ko) * 2004-07-13 2004-10-11 최석규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KR200391300Y1 (ko) * 2005-05-19 2005-08-01 노한래 한약추출기의 조명장치
KR20090075322A (ko) 2008-01-04 2009-07-08 안승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US20120012008A1 (en) * 2010-07-16 2012-01-19 Hop Shing Metal & Plastic Manufactory Ltd. Tea brew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6892A (ko) 2000-10-04 2003-05-09 아드리아나 브리지오 커피 메이커
KR200363751Y1 (ko) * 2004-07-13 2004-10-11 최석규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KR200391300Y1 (ko) * 2005-05-19 2005-08-01 노한래 한약추출기의 조명장치
KR20090075322A (ko) 2008-01-04 2009-07-08 안승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US20120012008A1 (en) * 2010-07-16 2012-01-19 Hop Shing Metal & Plastic Manufactory Ltd. Tea brewing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구동수단(260)은 드립 플레이트(230)의 측벽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피동기어(265)와, 피동기어(265)와 맞물리는 구동기어(263)와, 구동기어(263)를 구동하는 플레이트 모터(261)를 포함한다.
그런데, 제 1 선행문헌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는 플레이트 모터, 구동기어, 피동기어, 직수관 및 드립 플레이트와 같은 다수의 구성이 필요로 하여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떨어지고, 커피나 차 등을 특히 반복적으로 끓일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런데, 제 2 선행문헌에 따른 커피 메이커는 커피를 끓이고 얻는데 구성이 복잡하고, 필터 장치(114)가 일회용으로 되어 있어 자원낭비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제 1 선행문헌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제 2 선행문헌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캡슐(128)의 상부에는 그것으로부터 커피 가루가 이탈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천공(perforations; 132)이 존재한다. 커피 메이커(110)의 컬렉션 챔버(116)에 모여지는 음료가 보일러(112)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컬렉션 챔버(116)내에서 음료가 도달하는 레벨보다 더 높게 천공(132)이 위치되어야만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메이커(110)는 소정량의 물을 담는 제1 챔버 또는 보일러(112), 및 만들어진 음료의 최종 수집을 위한 제2 챔버(116)를 구비한다. 또한, 이 경우 커피 메이커(110)는 음식과 접촉하기에 적절하며, 상대적 온도를 견뎌낼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된 필터 장치(114)를 구비한다.
도 2의 위치에 필터 장치(114)를 배치하기 위해서, 튜브(126)는 배플(117)에 존재하는 관통 구멍(through hole; 124)을 통해 필터 장치(114)에만 삽입되며, 캡슐(128)의 상부가 손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가압되어 립(134)이 배플(117)을 지나 물리게(snap) 된다. 정지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튜브가 구멍(124)으로 너무 멀리 밀리지 않도록 용이하게 제공된다.
드립 플레이트(2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원판상의 바닥면과, 일정한 원주를 갖는 측벽을 갖는다. 드립 플레이트(230)는 호퍼(220)의 상부에 배치되며, 바닥면에는 호퍼(2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드립홀(235)이 형성되어 있다. 각 드립홀(235)은 원판상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각 드립홀(235)이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호 상이하다.
또한, 컬렉션 챔버(116)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필터 장치(114)의 튜브(126)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 구멍(124)을 그 중심에 가지는 배플(117)이 설치된다. 튜브(126)에는 튜브(126)와 배플(117) 사이의 충분한 밀봉을 제공하는 플라스틱 필터 장치(114)의 고리 형상 아우터 립(134, outer lip)이 존재한다.
세이프티 밸브(120, safety valve)가 보일러(112)에 설치되고, 이것은 "에스프레소" 커피 메이커의 보일러와 대체로 유사하다.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보일러(112)는 기본적으로 단일 조각의 금속(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의 형태이며, 위쪽으로 개방되고, 컬렉션 챔버(116)에 연결될 수 있는 외부 나사산을 그 꼭대기에 가지는 측벽(122)과 베이스(121)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컬렉션 챔버는 그 저부상에 유사한 내부 나사산을 갖는다. 고리형상 개스킷(140)은 커피 메이커(110)가 조립될 때 외측방향으로의 밀봉을 제공한다.
이러한 드립 플레이트(230)의 외측에는 드립 플레이트(2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60)이 마련되어 있다.
제 1 선행문헌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는 커피분말 및 찻잎을 수용하는 호퍼(220), 호퍼(220)내로 물을 공급하며 회전 가능한 드립 플레이트(230), 드립 플레이트(2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60), 드립 플레이트(230)로 물을 제공하는 탱크(240)를 포함한다.
캡슐(128)과 튜브(126)는 캡슐(128) 내에 이미 커피 가루가 삽입되어 판매될 수 있는 일체형의 필터 장치(114)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필터 장치(114)는 단지 한번만 사용하고 버려지도록 의도된 것이다.
캡슐(128)은 소정량의 커피 가루(115)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모터(261)는 드립 플레이트(230)의 세로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며, 플레이트 모터(261)의 축에는 구동기어(263)가 장착되어 있다. 플레이트 모터(261)로는 DC 모터, 스텝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모터(261)가 구동하면, 구동기어(263)가 일체로 회전하고, 구동기어(263)로부터의 회전력이 피동기어(265)로 전달되어 드립 플레이트(230)가 회전하게 된다. 플레이트 모터(261)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부(미도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채용될 수 있다.
피동기어(265)는 드립 플레이트(230)의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의 하부 영역에 드립 플레이트(2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전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구동기어(263)는 외주면에 톱니를 갖는 피니언으로 형성되며, 구동기어(263)의 톱니와 피동기어(265)의 톱니는 맞물려 있다.
필터 장치(114)는 커피 메이커에 조립될 때 컬렉션 챔버(116) 내에 위치하는 캡슐(128) 및 상단부가 캡슐(128)에 단단히 고정되면서 타단부가 보일러(112)에 담겨진 물에 잠기는 튜브(126)로 구성된다.
한편, 드립 플레이트(230)의 바닥면은 호퍼(220)의 상부 개구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며, 각 드립홀(235)은 드립 플레이트(230)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각 드립홀(235)로부터 배출된 물은 호퍼(220)내에 장착된 필터내의 커피분말에 바로 공급된다.
호퍼(220)는 미 도시된 체결수단에 의해서 직수관(245)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미 도시된 다른 체결수단에 의해서 본체(20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호퍼(220)는 상부 개구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추출된 커피를 배출하기 위한 추출구(221)가 형성되어 있다. 추출구(221)는 호퍼(220)의 형상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추출구(221)가 하향 연장되어 하측으로 돌출된 경우, 추출구(221)를 개폐하는 마개를 별도로 마련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 추출구(221)의 하부에는 커피잔(250)이나 서버 등이 배치되어 추출된 커피를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호퍼(220) 내에는 커피분말을 거르는 필터가 장착되며, 시중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필터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9316B2 (en) Beverage substance cartridge, water filling apparatus, beverage producing equipment, beverage producing system and beverage producing method
US20130186280A1 (en) Compressed Coffee Drip Brewer
CN102264265B (zh) 泡制容纳在胶囊中的茶叶的方法
EP2353468A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coffee extract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CN109890255B (zh) 以受控方式形成液体食品或饮料产品的系统
KR20150023825A (ko) 캡슐 내의 식물 성분으로부터 에센셜 오일 및 하이드로졸을 추출하는 증류 장치
US20070017382A1 (en) Beverage maker
RU2017101982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варного напитка
CN104219982A (zh) 烹调机与搅拌器
US10980369B2 (en) Infusion beverage apparatus
JP2009219847A (ja) 上昇管を有するコーヒーメーカー
CN105342463A (zh) 一种自动煮茶机
JP2007054609A (ja) 飲料作成器
US20110076360A1 (en) Disposable whole bean coffee filter
KR101589947B1 (ko) 티 포트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KR101541441B1 (ko) 티 포트
CN201243955Y (zh) 多功能饮料萃取装置
CN105982549A (zh) 煮茶杯
CN201452902U (zh) 加热杯组件及豆浆机
CN101926610B (zh) 加热杯组件及豆浆机
CN211459778U (zh) 一种多用途电饭锅
CN209846932U (zh) 一种饮品冲泡机
RU204761U1 (ru) Держатель с капсулой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RU206157U1 (ru) Держатель прокалыватель капсулы для устройст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