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751Y1 -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 Google Patents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751Y1
KR200363751Y1 KR20-2004-0019881U KR20040019881U KR200363751Y1 KR 200363751 Y1 KR200363751 Y1 KR 200363751Y1 KR 20040019881 U KR20040019881 U KR 20040019881U KR 200363751 Y1 KR200363751 Y1 KR 200363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er
main body
electric port
cordless
fix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규
Original Assignee
최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규 filed Critical 최석규
Priority to KR20-2004-0019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7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83Wate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본적인 물 끓이기는 물론이고 다양한 차를 최적의 온도로 달여 추출해내고, 특히 원두커피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간이 커피메이커로 사용되며, 취급 및 관리도 용이하도록 하는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유출꼭지, 타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본체, 본체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앙에 전기접속구가 형성되는 전열부로 구성되는 본체부와, 본체의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전기포트와, 상기 전열부의 전기접속구에 결합되는 전기접속돌출부가 중앙에 형성되며 전원코드 케이블이 탄력적으로 수용되는 베이스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드레스형 전기포트에 있어서, 뚜껑이 결합되는 입구에 단턱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단턱에 결합 지지되는 외향플랜지가 주벽의 상부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걸름망이 지지되기 위한 내향플랜지가 주벽 하방에 형성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내향플랜지에 걸침 지지되기 위한 지지단이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추출물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걸름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걸름망은 원두커피 분말을 여과하기 위하여 그물눈이 촘촘하게 형성되는 원두커피 내림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A CORDLESS-TYPE ELECTRIC POT WITH FILTER MESH}
본 고안은 코드레스형 전기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본적인 물 끓이기는 물론이고 다양한 차를 최적의 온도로 달여 추출해내고, 특히 원두커피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간이 커피메이커로 사용되며, 취급 및 관리도 용이하도록 하는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메이커는 커피포트 상부에 원두커피 추출기가 위치되어 규모가 커지고 그 높이가 상당하므로 관리 및 취급이 번거로우며, 가격도 고가로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포트는 주로 물을 가열하는데 사용되며, 꼭지 유출구에 걸름망을 설치하여 예를 들면 둥글레차와 같은 차를 끓여 거를 수 있도록 되어 있기도 하다.
그리고, 전기포트의 전열부 중앙에 전기접속구가 형성되고, 이 전기접속구에 끼워지는 전기접속돌출부가 중앙에 형성되며 내부 설치되는 스프링에 의하여 전원코드의 케이블이 탄력적으로 수용되는 베이스판으로 구성되는 코드레스형 전기포트가 전기코드를 일일히 꽂지 않고 베이스판에 포트를 올려놓기만 하면 통전이 가능하게 되는 편의성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전기포트는 예를 들면 녹차나 둥글레차와 같은 추출물을 우려낸 다음 포트에서의 추출물 뒤처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추출물 찌꺼기는 대개 포트의 바닥과 꼭지 걸를망체에 젖은 상태로 붙어있어 거꾸로 털어내도 잘 떨구어지지 않는 등으로 포트 전체를 헹구어내야 되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추출물에 따라 각각 추출 최적의 온도가 있으며, 그보다 온도가 낮거나 과할 경우에는 그 맛과 향을 제대로 살릴 수 없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온도 조정기능이 결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본적인 물 끓이기는 물론이고 다양한 차를 최적의 온도로 달여 추출해내고, 특히 원두커피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간이 커피메이커로 사용되며, 취급 및 관리도 용이하도록 하는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걸름망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100: 전기포트
110: 본체부 111: 본체
111a: 단턱 111b: 입구
111c: 유출꼭지 111d: 손잡이
113: 전열부 120: 뚜껑
121: 압지주벽 130: 고정링
131: 주벽 133: 외향플랜지
135: 내향플랜지 140: 걸름망
141: 지지단 143: 내부공간
150: 온도제어부 153: 버튼
200: 베이스단 210: 전기접속 돌출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유출꼭지, 타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본체, 본체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앙에 전기접속구가 형성되는 전열부로 구성되는 본체부와, 본체의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전기포트와, 상기 전열부의 전기접속구에 결합되는 전기접속돌출부가 중앙에 형성되며 전원코드 케이블이 탄력적으로 수용되는 베이스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드레스형 전기포트에 있어서,
뚜껑이 결합되는 입구에 단턱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단턱에 결합 지지되는 외향플랜지가 주벽의 상부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걸름망이 지지되기 위한 내향플랜지가 주벽 하방에 형성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내향플랜지에 걸침 지지되기 위한 지지단이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추출물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걸름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름망은 원두커피 분말을 여과하기 위하여 그물눈이 촘촘하게 형성되는 원두커피 내림용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름망은 여과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은 상기 고정링에 결합되며 하단으로 상기 걸름망의 지지단 상부에 대응하는 압지주벽이 내측에 형성되고, 뚜껑 상부와 압지주벽 일측에는 통수슬롯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체는 투명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포트에는 설정선택에 따라 가열온도가 다르게 제어되는 온도제어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링은 주벽 외측으로 탄지편이 두 개소 이상 형성되며, 주벽과 외향플랜지 일측에는 통수슬롯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름망은 고정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유출꼭지(111c), 타측에는 손잡이(111d)가 구비되는 본체(111), 본체(111)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앙에 전기접속구가 형성되는 전열부(113)로 구성되는 본체부(110)와, 본체(111)의 뚜껑(120)으 이루어지는 전기포트(100)와, 상기 전열부(113)의 전기접속구에 결합되는 전기접속돌출부(210)가 중앙에 형성되며 전원코드 케이블(220)이 탄력적으로 수용되는 베이스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드레스형 전기포트에 있어서, 뚜껑(120)이 결합되는 입구(111b)에 단턱(111a)이 형성되는 본체(111)와, 상기 본체(111)의 단턱(111a)에 결합 지지되는 외향플랜지(133)가 주벽(131)의 상부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걸름망(140)이 지지되기 위한 내향플랜지(135)가 주벽 하방에 형성되는 고정링(130)과, 상기 고정링(130)의 내향플랜지(135)에 걸침 지지되기 위한 지지단(141)이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추출물 수용공간(143)이 형성되는 걸름망(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름망(140)은 그물눈의 크가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녹차잎을 거를 수 있을 정도로 메쉬도가 약간 성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원두커피 분말을 거를 수 있도록 아주 촘촘하게 형성되는 원두커피 내림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름망(140)은 그물눈 밀도별로 여러 단계로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걸름망(140)은 여과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뚜껑(120)은 상기 고정링(130)에 결합되며 하단으로 상기 걸름망(140)의 지지단(141) 상부에 대응하는 압지주벽(121)이 내측에 형성되고, 뚜껑 상부와 압지주벽 일측에는 통수슬롯(12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뚜껑(120)을 끼워 닫으면 압지주벽(121)은 걸름망(140)의 지지단(141)을 고정하게 되어 걸름망이 튀어오르는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본체(111)는 내부가 들여다 보이는 투명체로 형성되어 추출진행상태를 외부에서 관찰가능토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포트(100)에는 설정선택에 따라 가열온도가 다르게 제어되는 온도제어부(1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50)의 콘트롤패널(151)에는 다양한 선택버튼(153)이 구비되며, 예컨대 녹차, 원두커피 등이 표시된 각각의 버튼을 형성하고 해당버튼을 누를 경우, 녹차는 온도가 70℃까지만 상승되고, 원두커피는 100℃까지 상승되도록 하는 등으로 최고상승온도가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130)은 주벽(131) 외측으로 탄지편(137)이 두 개소 이상형성되며, 주벽(131)과 외향플랜지(133) 일측에는 통수슬롯(139)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름망(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130)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고안은 코드레스형 전기포트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143)을 갖는 걸름망(140)을 구비함으로써 일반적인 물 끓이기는 물론이고, 녹차잎 또는 티백 등을 간단히 우려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걸름망(140)을 촘촘하게 형성하여 원두커피를 추출해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간편하게 원두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온도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각각의 추출물에 적합한 온도조건을 맞추어줌으로써 향과 맛을 최대한 살려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걸름망(140)은 본체(111)에 착탈이 간편하여 추출물 찌거기 처리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물 끓이기는 물론이고 차달이기 또는 원두커피를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커피메이커를 겸하도록 하여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다양한 차문화, 특히 원두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하며, 취급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는, 기본적인 물 끓이기는 물론이고 다양한 차를 최적의 온도로 달여 추출해내고, 특히 원두커피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간이 커피메이커로 사용되며, 취급 및 관리도 용이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유출꼭지(111c), 타측에는 손잡이(111d)가 구비되는 본체(111), 본체(111)의 하부에 위치되며 중앙에 전기접속구가 형성되는 전열부(113)로 구성되는 본체부(110)와, 본체(111)의 뚜껑(120)으 이루어지는 전기포트(100)와, 상기 전열부(113)의 전기접속구에 결합되는 전기접속돌출부(210)가 중앙에 형성되며 전원코드 케이블(220)이 탄력적으로 수용되는 베이스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드레스형 전기포트에 있어서,
    뚜껑(120)이 결합되는 입구(111b)에 단턱(111a)이 형성되는 본체(111)와;
    상기 본체(111)의 단턱(111a)에 결합 지지되는 외향플랜지(133)가 주벽(131)의 상부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걸름망(140)이 지지되기 위한 내향플랜지(135)가 주벽 하방에 형성되는 고정링(130)과;
    상기 고정링(130)의 내향플랜지(135)에 걸침 지지되기 위한 지지단(141)이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추출물 수용공간(143)이 형성되는 걸름망(1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망(140)은 원두커피 분말을 여과하기 위하여 그물눈이 촘촘한 원두커피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망(140)은 여과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20)은 상기 고정링(130)에 결합되며 하단으로 상기 걸름망(140)의 지지단(141) 상부에 대응하는 압지주벽(121)이 내측에 형성되고, 뚜껑 상부와 압지주벽 일측에는 통수슬롯(12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1)는 투명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포트(100)에는 설정선택에 따라 가열온도가 다르게 제어되는 온도제어부(1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130)은 주벽(131) 외측으로 탄지편(137)이 두 개소 이상 형성되며, 주벽(131)과 외향플랜지(133) 일측에는 통수슬롯(139)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망(140)은 고정링(130)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KR20-2004-0019881U 2004-07-13 2004-07-13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KR200363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881U KR200363751Y1 (ko) 2004-07-13 2004-07-13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881U KR200363751Y1 (ko) 2004-07-13 2004-07-13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751Y1 true KR200363751Y1 (ko) 2004-10-11

Family

ID=4943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881U KR200363751Y1 (ko) 2004-07-13 2004-07-13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7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947B1 (ko) * 2012-04-18 2016-01-29 박창규 티 포트
KR20210089879A (ko) 2020-01-09 2021-07-19 이주원 전기쿠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947B1 (ko) * 2012-04-18 2016-01-29 박창규 티 포트
KR20210089879A (ko) 2020-01-09 2021-07-19 이주원 전기쿠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8133B2 (en) Cold brew coffee maker
KR200406420Y1 (ko) 다기능 무선 전기포트
CN203662427U (zh) 一种蒸茶或咖啡的器具
CN102008248B (zh) 泡茶器
WO2005102124A1 (fr) Bouilloire, bouilloire electrique et bouilloire electrique sans fil
US20090084270A1 (en) Electrically and battery powerd coffeemaker
WO2002091890A1 (en) Cookpot
CN201899358U (zh) 泡茶器
CN201223298Y (zh) 带磨豆功能的咖啡机
KR100649510B1 (ko) 다용도 추출 포트
KR200363751Y1 (ko) 걸름망이 구비된 코드레스형 전기포트
KR101116227B1 (ko) 휴대용 에스프레소 제조기
WO2004110225A1 (fr) Bouilloire, bouilloire electrothermique, et bouilloire electrothermique sans fil pour la cuisson de boissons
KR20120028775A (ko) 모카포트 원리를 이용한 캡슐형 커피메이커
CN206137919U (zh) 虹吸式咖啡机
CN203987630U (zh) 一种带磨豆功能的法压壶
US20110297004A1 (en) Ultrasonic brew technology systems
CN2875260Y (zh) 一种新型咖啡壶
CN2659296Y (zh) 电茶壶
CN209883800U (zh) 过滤组件及养生壶
CN211511460U (zh) 一种茶台
CN209644677U (zh) 一种便携式的滴漏式咖啡机
JP2011019839A (ja) コーヒー飲料抽出器
CN208837528U (zh) 一种咖啡与茶通用多功能杯
WO2014101954A1 (en) A fully automated thermally efficient compact tea preper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