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441B1 - 티 포트 - Google Patents

티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441B1
KR101541441B1 KR1020120039615A KR20120039615A KR101541441B1 KR 101541441 B1 KR101541441 B1 KR 101541441B1 KR 1020120039615 A KR1020120039615 A KR 1020120039615A KR 20120039615 A KR20120039615 A KR 20120039615A KR 101541441 B1 KR101541441 B1 KR 101541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e
inner tube
tea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480A (ko
Inventor
박창규
이양근
Original Assignee
박창규
이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규, 이양근 filed Critical 박창규
Publication of KR20130066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공간(S)의 팽창압력 또는 응축압력을 활용하여 티(T)를 보다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나아가 더욱 진한 티(T)의 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티 포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티 포트{TEA POT}
본 발명은 티 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표면, 내통의 외면 및 외통의 내면 사이에 마련된 밀폐공간의 팽창압력 또는 응축압력을 활용하여 티를 보다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끓여 더욱 진한 티의 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티 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티 포트는 원두커피를 비롯한 녹차, 국화차, 옥수수 등 다양한 티를 끓일 수 있도록 하는 주방기기의 일종이다.
제 1 선행문헌(공개번호 제10-2009-0075322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도 1은 제 1 선행문헌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제 1 선행문헌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는 커피분말 및 찻잎을 수용하는 호퍼(220), 호퍼(220)내로 물을 공급하며 회전 가능한 드립 플레이트(230), 드립 플레이트(2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60), 드립 플레이트(230)로 물을 제공하는 탱크(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호퍼(220), 드립 플레이트(230), 구동수단(260), 및 탱크(240)간의 상호 물리적 결합관계(예를 들면, 호퍼(220)가 물리적으로 어떻게 고정되는지)는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호퍼(220)는 미 도시된 체결수단에 의해서 직수관(245)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미 도시된 다른 체결수단에 의해서 본체(20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호퍼(220)는 상부 개구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추출된 커피를 배출하기 위한 추출구(221)가 형성되어 있다. 추출구(221)는 호퍼(220)의 형상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추출구(221)가 하향 연장되어 하측으로 돌출된 경우, 추출구(221)를 개폐하는 마개를 별도로 마련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 추출구(221)의 하부에는 커피잔(250)이나 서버 등이 배치되어 추출된 커피를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호퍼(220) 내에는 커피분말을 거르는 필터가 장착되며, 시중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필터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드립 플레이트(2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원판상의 바닥면과, 일정한 원주를 갖는 측벽을 갖는다. 드립 플레이트(230)는 호퍼(220)의 상부에 배치되며, 바닥면에는 호퍼(2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드립홀(235)이 형성되어 있다. 각 드립홀(235)은 원판상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각 드립홀(235)이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호 상이하다. 그리고, 각 드립홀(235)은 드립 플레이트(230)의 측벽으로부터 일정 거리이상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드립홀(235)은 드립 플레이트(230)가 회전할 때, 상이한 반경을 갖는 원형 궤적을 형성한다. 또한 각 드립홀(235)의 연부는 하향 연장되어 관상으로 형성되며, 관상의 드립홀(235)은 호퍼(220)로 공급되는 물을 모아줌으로써 드립홀(235)로부터의 물이 일정한 위치에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드립 플레이트(230)의 바닥면은 호퍼(220)의 상부 개구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며, 각 드립홀(235)은 드립 플레이트(230)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각 드립홀(235)로부터 배출된 물은 호퍼(220)내에 장착된 필터내의 커피분말에 바로 공급된다. 이러한 드립 플레이트(230)의 외측에는 드립 플레이트(2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60)이 마련되어 있다. 구동수단(260)은 드립 플레이트(230)의 측벽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피동기어(265)와, 피동기어(265)와 맞물리는 구동기어(263)와, 구동기어(263)를 구동하는 플레이트 모터(261)를 포함한다. 피동기어(265)는 드립 플레이트(230)의 측벽의 외주면을 따라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의 하부 영역에 드립 플레이트(2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전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구동기어(263)는 외주면에 톱니를 갖는 피니언으로 형성되며, 구동기어(263)의 톱니와 피동기어(265)의 톱니는 맞물려 있다. 플레이트 모터(261)는 드립 플레이트(230)의 세로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며, 플레이트 모터(261)의 축에는 구동기어(263)가 장착되어 있다. 플레이트 모터(261)로는 DC 모터, 스텝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모터(261)가 구동하면, 구동기어(263)가 일체로 회전하고, 구동기어(263)로부터의 회전력이 피동기어(265)로 전달되어 드립 플레이트(230)가 회전하게 된다. 플레이트 모터(261)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부(미도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부는 휴대용 전지 또는 전력공급회사로부터 유선으로 전력을 받아서 플레이터 모터(261)로 공급한다. 전원부는 콘센트를 통해서 받은 전력을 적절한 전압으로 다운시켜서 플레이터 모터(261)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제 1 선행문헌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는 플레이트 모터, 구동기어, 피동기어 직수관 및 드립 플레이트와 같은 다수의 구성이 필요로 하여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떨어지고, 커피나 차 등을 반복적으로 끓일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제 2 선행문헌(공개번호 제10-2003-0036892; 커피 메이커) 도 2는 제 2 선행문헌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메이커(110)는 소정량의 물(도시되지 않음)을 담는 제1 챔버 또는 보일러(112), 및 만들어진 음료의 최종 수집을 위한 제2 챔버(116)를 구비한다. 또한, 이 경우 커피 메이커(110)는 음식과 접촉하기에 적절하며, 상대적 온도를 견뎌낼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된 필터 장치(114)를 구비한다. 필터 장치(114)는 커피 메이커에 조립될 때 컬렉션 챔버(116) 내에 위치하는 캡슐(128) 및 상단부가 캡슐(128)에 단단히 고정되면서 타단부가 보일러(112)에 담겨진 물에 잠기는 튜브(126)로 구성된다. 캡슐(128)은 소정량의 커피 가루(115)를 포함한다. 또한, 컬렉션 챔버(116)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필터 장치(114)의 튜브(126)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 구멍(124)을 그 중심에 가지는 배플(117)이 설치된다. 튜브(126)에는 튜브(126)와 배플(117) 사이의 충분한 밀봉을 제공하는 플라스틱 필터 장치(114)의 고리 형상 아우터 립(134, outer lip)이 존재한다. 세이프티 밸브(120, safety valve)가 보일러(112)에 설치되고, 이것은 "에스프레소" 커피 메이커의 보일러와 대체로 유사하다.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보일러(112)는 기본적으로 단일 조각의 금속(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의 형태이며, 위쪽으로 개방되고, 컬렉션 챔버(116)에 연결될 수 있는 외부 나사산을 그 꼭대기에 가지는 측벽(122)과 베이스(121)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컬렉션 챔버는 그 저부상에 유사한 내부 나사산을 갖는다. 고리형상 개스킷(140)은 커피 메이커(110)가 조립될 때 외측방향으로의 밀봉을 제공한다. 컬렉션 챔버와 보일러 사이의 나사 연결(threaded connection) 대신에, 만약 밀봉을 확실히 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베이어닛 연결(bayonet connection)이 사용될 수 있다. 컬렉션 챔버(116)는 금속[통상, 보일러(112)와 동일 금속]뿐만 아니라 다른 재료 예컨대, 자기류(porcelain) 또는 내열 유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컬렉션 챔버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배플(117)을 측벽(118)과 일체로 결합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캡슐(128)은 구형이다. 캡슐(128)에 포함된 커피 가루(115)가 튜브(126)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튜브의 상단부는 액체 투과가능 배플(130, liquid-permeable baffle)에 의해 폐쇄된다. 배플은 예컨대, 종이 필터, 섬유, 관통 판 또는 그물망(mesh)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음식과 접촉하기에 적절하며 비교적 온도에 견딜 수 있는 모든 재료이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캡슐(128)의 상부에는 그것으로부터 커피 가루가 이탈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천공(perforations; 132)이 존재한다. 커피 메이커(110)의 컬렉션 챔버(116)에 모여지는 음료가 보일러(112)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컬렉션 챔버(116)내에서 음료가 도달하는 레벨보다 더 높게 천공(132)이 위치되어야만 한다. 캡슐(128)과 튜브(126)는 캡슐(128) 내에 이미 커피 가루가 삽입되어 판매될 수 있는 일체형의 필터 장치(114)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필터 장치(114)는 단지 한번만 사용하고 버려지도록 의도된 것이다. 이 필터장치는 또한 [예컨대, 분사 성형(injection molding)에 의해] 두 개의 부분으로 된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첫 번째 부분은 튜브(126)와 구형 캡슐(128)의 하반부를 포함하며, 두 번째 부분은 캡슐(128)의 상반부를 구성한다. 캡슐(128)의 하반부의 내부에 튜브(126)를 거기에 개방하는 위치로 (그 구성 재료에 따라)종래 방식의 투과가능 소자(130)를 적용한 후, 소망하는 량의 커피 가루가 우선 공급된 캡슐(128)의 하반부로 캡슐(128)의 상반부가 [예컨대, 초음파 결합(ultra sonic)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필터 장치(114)는 다른 방식, 예컨대 튜브(126)와 캡슐(128)을 분리 성형하고, 튜브(126)의 대응 단부에(그 구성 재료에 따라) 종래 방식의 투과가능 소자(130)를 적용하고, 그 하부 구멍에서 그것을 통해 커피 가루(115)를 공급한 후 캡슐(128)에 그 단부를 (또한, 종래 방식으로) 고정한다. 도 2의 위치에 필터 장치(114)를 배치하기 위해서, 튜브(126)는 배플(117)에 존재하는 관통 구멍(through hole; 124)을 통해 필터 장치(114)에만 삽입되며, 캡슐(128)의 상부가 손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가압되어 립(134)이 배플(117)을 지나 물리게(snap) 된다. 정지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튜브가 구멍(124)으로 너무 멀리 밀리지 않도록 용이하게 제공된다. 필터 장치(114)가 일회용 형식(disposable type)이 아니라면,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지만, 그 재료는 스테인레스강 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더 비싼 재료일 수 있고, 캡슐(128)을 형성하는 2개의 부분은 예컨대 나사체결 또는 베이어닛 연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음료가 얻어지는 각각의 시간에서, 캡슐(128)은 개방되어야 하며, 소비된 커피 가루가 거기에서 제거되고, 소망하는 량의 커피 가루가 캡슐(128)의 하반부에 부어지고, 마지막으로 그 상반부를 적용함으로써 캡슐(128)이 폐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메이커(110)의 컬렉션 챔버(116)에는 손잡이(136)와 종래의 주둥이(138)가 있다. 도면에서, 컬렉션 챔버(116)는 간략화를 위해 뚜껑 없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커피 메이커에는 뚜껑, 특히 종래의 힌지 뚜껑이 분명히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제 2 선행문헌에 따른 커피 메이커는 커피를 끓이고 얻는데 구성이 복잡하고, 필터 장치(114)가 일회용으로 되어 있어 자원낭비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공간의 팽창압력 또는 응축압력을 활용하여 티를 보다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반복적으로 끓여 더욱 진한 티의 향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간단 구조를 통한 생산성 및 조립성이 월등한 티 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녹차나 원두커피와 같은 티를 내통에 넣고 외통에 물을 채워 끓일 경우 밀폐공간은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되어 외통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을 통해 내통 속의 수위를 높여 티를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끓일 수 있는 티 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통의 상단 높이를 외통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시켜 히팅열이 부여되어 물이 끓기 시작함과 동시에 밀폐공간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킬 때 외통 속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을 통해 내통 속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그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티 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히팅열에 의해 끓여지는 물을 수용하는 외통과, 상기 외통에 걸쳐짐과 동시에 티를 수용하면서 상기 물 속으로 부분 침수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에 씌워지면서 배출통로가 마련된 뚜껑을 포함하는 티 포트에 있어서,
상기 내통은 하측 순환공을 구비하고,
상기 물의 표면, 상기 내통의 외면 및 상기 외통의 내면 사이에 밀폐공간이 마련되도록 하고, 히팅열이 부여되지 않을 경우 상기 외통과 더불어 상기 내통 속의 수위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히팅열이 부여되어 상기 물이 끓기 시작할 경우 상기 밀폐공간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켜 상기 외통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하측 순환공을 통해 상기 내통 속의 수위를 높여 상기 티를 끓일 수 있도록 하고, 히팅열을 제거할 경우 상기 물이 식혀지면서 상기 밀폐공간의 포화증기의 응축에 따른 응축압력을 통해 상기 내통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그 물을 끌어당겨 상대적으로 상기 외통의 수위를 높이도록 상기 외통에 걸쳐진 상기 내통 사이에 밀착되는 밀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밀폐공간의 팽창압력 또는 응축압력을 활용하여 티를 보다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나아가 반복적으로 끓여 더욱 진한 티의 향을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생산성 및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두커피와 같은 티를 내통에 넣고 외통에 물을 채워 끓일 경우 밀폐공간은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되어 외통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을 통해 내통 속의 수위를 높여 티를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끓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밀폐수단으로 내통의 외주연에 장착된 패킹을 적용하여 외통과의 밀폐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면서 부드럽게 조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통의 상단 높이를 외통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시켜 히팅열이 부여되어 물이 끓기 시작함과 동시에 밀폐공간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킬 때 외통 속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을 통해 내통 속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그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 선행문헌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의 구성도.
도 2는 제 2 선행문헌에 따른 수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실시예로서 원두커피와 같은 티를 내통에 넣고 외통에 물을 채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실시예로서 원두커피와 같은 티를 내통에 넣고 외통에 물을 채워 끓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실시예로서 원두커피와 같은 티를 내통에 넣고 외통에 물을 채우고 끓인 후 식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열에 의해 끓여지는 물(W)을 수용하는 외통(10)과, 외통(10)에 걸쳐짐과 동시에 티(T)를 수용하면서 물(W) 속으로 부분 침수되는 내통(20)과, 내통(20)에 씌워지면서 배출통로(31)가 마련된 뚜껑(30)이라는 최소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생산성 및 조립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배출통로(3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에 직접 뚫려질 수도 있고 뚜껑(30)과 외통(10) 사이의 틈새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내통(20) 속에 수용되는 티(T)는 원두커피를 비롯한 녹차, 국화차, 옥수수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실시예로서 녹차나 원두커피와 같은 티(T)를 내통(20)에 넣고 외통(10)에 물(W)을 채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실시예로서 녹차나 원두커피와 같은 티(T)를 내통(20)에 넣고 외통(10)에 물(W)을 채우고 끓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의 실시예로서 녹차나 원두커피와 같은 티(T)를 내통(20)에 넣고 외통(10)에 물(W)을 채우고 끓인 후 식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내통(20)은 하측 순환공(21)을 구비하며, 이 하측 순환공(21)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0)에 물(W)을 채울 때 그 물(W) 속으로 잠길 정도의 내통(20)의 하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물(W)의 표면, 내통(20)의 외면 및 외통(10)의 내면 사이에 밀폐공간(S)이 마련되도록 하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열이 부여되지 않을 경우 외통(10)과 더불어 내통(20) 속의 수위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열이 부여되어 물(W)이 끓기 시작할 경우 밀폐공간(S)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켜 외통(1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21)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를 높여 티(T)를 끓일 수 있도록 하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열을 제거할 경우 물(W)이 식혀지면서 밀폐공간(S)의 포화증기의 응축에 따른 응축압력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그 물(W)을 끌어당겨 상대적으로 외통(10)의 수위를 높이도록 외통(10)에 걸쳐진 내통(20) 사이에 밀착되는 밀폐수단(40)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차나 원두커피와 같은 티(T)를 내통(20)에 넣고 외통(10)에 물(W)을 채우면 내통(20) 속의 수위와 외통(10) 내부의 수위는 하측 순환공(21)이 연통되어 있으므로 동일하게 된다.
이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차나 원두커피와 같은 티(T)를 내통(20)에 넣고 외통(10)에 물(W)을 채워 끓일 경우 밀폐공간(S)은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되어 외통(1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21)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를 높여 티(T)를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끓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물(W)의 끓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 밀폐공간(S)은 팽창압력상태가 지속되어 외통(10) 속의 물(W)이 내통(20) 속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밀어내면서 외통(10) 속의 수위는 내통(20)의 하단보다 조금 더 낮아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팽창압력의 힘이 외통(10) 속의 물(W)을 전량 내통(20) 속으로 밀어낼 수는 없기 때문에 외통(10) 속의 물(W)이 끓는 동안 증기압의 상승에 의해 내통(20) 속의 물(W) 역시 티(T)와 함께 끓게 된다.
여기서, 외통(10) 속의 팽창압력과 내통(20) 속의 물(W) 자체의 중력에 의한 하강하려는 힘이 서로 겨루기를 하면서 내통(20)으로부터 작은 물방울이 떨어지면서도 내통(20) 속으로의 증기의 상승현상은 계속 반복되면서 외통(10) 속의 물(W)과 내통(10) 속의 물(W)이 동시에 끓음과 동시에 티(T)의 원액을 지속적으로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W)을 식힐 경우 밀폐공간(S)은 포화증기의 응축에 따른 응축압력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그 물(W)을 끌어당겨 상대적으로 외통(10)의 수위를 높여 내통(20) 속은 녹차나 원두커피만이 존재하고 외통(10) 속에는 녹차나 원두커피가 녹아든 물(W)이 가득하게 되어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진한 녹차나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 포트는 밀폐공간(S)의 팽창압력 또는 응축압력을 활용하여 티(T)를 보다 신속하고도 간단하게 끓여 더욱 진한 티(T)의 향을 얻을 수 있는 작용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내통(20)의 외면 및 외통(10)의 내면 사이에 마련된 밀폐공간(S)의 팽창압력 또는 응축압력을 활용하여 티(T)를 지속하여 끓일 수 있도록 히팅열을 가해주고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더욱 진한 티의(T)의 향, 즉 티(T)의 농도가 높은 물(W)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밀폐수단(40)은 내통(20)의 외주연과 외통(10)의 내주연 상호간의 긴밀한 밀착에 의해 완성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내통(20)의 외주연에 장착된 패킹(41)을 적용하여 외통(10)과의 밀폐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외통(10)의 내주연에 패킹을 적용할 수 있으며, 패킹(41)의 외주연을 플렉시블하게 나사산처럼 돌출시켜 밀폐력을 유지하면서도 지나치게 높은 증기압이 걸릴 경우 유효 적절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내통(20)을 외통(10)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장착시키고자 할 때 더욱 부드럽게 착탈 가능케 한다].
한편, 내통(20)의 상단 높이는 외통(10)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열이 부여되어 물(W)이 끓기 시작함과 동시에 밀폐공간(S)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킬 때 외통(10) 속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21)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 그 물(W)이 넘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외통(10)은 유리로 제작되어 물(W) 및 티(T)의 끓는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내통(20)은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되어 더욱 견고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외통(10)의 하부에 히터(50)가 장착되어 간편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외통(10)에 손잡이(11)가 마련되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히터(50)는 물(W)의 온도가 90∼98℃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고 100℃보다 높을 경우 턴오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히터(50)를 제어하는 미 도시된 PCB의 설계시 외통(10) 속의 물(W)의 온도를 센서로서 감지하면서 예를 들어 97℃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도록 하여 히팅열을 가해주면, 물(W)은 점차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다가 100℃에서 끓기 시작하면서 증기를 발생함과 동시에 밀폐공간(S)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켜 외통(1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하측 순환공(21)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를 높여 티(T)를 끓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물(W)의 온도가 100℃이상이 되면 히터(50)가 턴오프되어 히팅열이 제거됨과 동시에 물(W)이 식혀지면서 밀폐공간(S)의 포화증기의 응축에 따른 응축압력을 통해 내통(2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그 물(W)을 끌어당겨 상대적으로 외통(10)의 수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물(W)의 온도가 하한점인 90∼98℃와 상한점인 100℃ 사이에서 반복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 타이머로서 시간을 분단위로 제한할 경우 그 범위 내에서 물(W)의 끓고 식음에 따라 외통(10)과 내통(20) 상호간의 수위 변화는 계속하게 반복하게 되며, 이러한 반복에 의하여 내통(20) 속의 티(T)는 더욱 진하게 원액이 추출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물(W)의 온도를 설정함에 있어서 하한점을 90℃이하로 설정할 경우 물(W)의 내통(20) 속으로의 상승과 외통(10) 속으로의 하강에 대한 간격이 지나치게 늦어질 수 있고, 상한점을 98℃이상으로 설정할 경우 물(W)의 내통(20) 속으로의 상승과 외통(10) 속으로의 하강에 대한 간격이 지나치게 빈번하거나 물(W)의 승강없이 내통(20) 속에서 계속적으로 머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물(W)의 온도가 90∼98℃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고 100℃보다 높을 경우 턴오프될 수 있도록 히터(50)를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히터(50)는 물(W)의 온도가 70∼75℃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고 80∼85℃보다 높을 경우 턴오프되는 것을 더 포함토록 하여 다 끓여진 티(T)를 지속적으로 다릴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물(W)의 온도가 40∼45℃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고 50∼55℃보다 높을 경우 턴오프되도록 하여 티(T) 자체의 보온을 유지토록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두커피를 비롯한 녹차, 국화차 등 음용할 수 있는 재료를 신속 간단 편리하게 끓일 수 있는 주방기구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W : 물 10 : 외통
11 : 손잡이 T : 티
20 : 내통 21 : 하측 순환공
30 : 뚜껑 31 : 배출통로
S : 밀폐공간 40 : 밀폐수단
41 : 패킹 50 : 히터

Claims (12)

  1. 히팅열에 의해 끓여지는 물(W)을 수용하는 외통(10)과, 상기 외통(10)에 걸쳐짐과 동시에 티(T)를 수용하면서 상기 물(W) 속으로 부분 침수되는 내통(20)과, 상기 내통(20)에 씌워지면서 배출통로(31)가 마련된 뚜껑(30)을 포함하는 티 포트에 있어서,
    상기 내통(20)은 하측 순환공(21)을 구비하고,
    상기 물(W)의 표면, 상기 내통(20)의 외면 및 상기 외통(10)의 내면 사이에 밀폐공간(S)이 마련되도록 하고, 히팅열이 부여되지 않을 경우 상기 외통(10)과 더불어 상기 내통(20) 속의 수위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히팅열이 부여되어 상기 물(W)이 끓기 시작할 경우 상기 밀폐공간(S)을 포화증기에 의한 팽창압력상태로 발전시켜 상기 외통(1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상대적으로 상기 하측 순환공(21)을 통해 상기 내통(20) 속의 수위를 높여 상기 티(T)를 끓일 수 있도록 하고, 히팅열을 제거할 경우 상기 물(W)이 식혀지면서 상기 밀폐공간(S)의 포화증기의 응축에 따른 응축압력을 통해 상기 내통(20) 속의 수위를 낮추면서 그 물(W)을 끌어당겨 상대적으로 상기 외통(10)의 수위를 높이도록 상기 외통(10)에 걸쳐진 상기 내통(20) 사이에 밀착되는 밀폐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40)은 상기 내통(20)의 외주연에 장착된 패킹(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41)의 외주연은 플렉시블하게 돌출된 나사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0)의 상단 높이는 상기 외통(10)의 상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0)의 외면 및 외통(10)의 내면 사이에 마련된 상기 밀폐공간(S)의 팽창압력 또는 응축압력을 활용하여 상기 티(T)를 지속 끓일 수 있도록 히팅열을 가해주고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은 유리로 제작되고,
    상기 내통(20)은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의 하부에 히터(5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의 하부에 히터(5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50)는 상기 물(W)의 온도가 90∼98℃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고 100℃보다 높을 경우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50)는 상기 물(W)의 온도가 70∼75℃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고 80∼85℃보다 높을 경우 턴오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50)는 상기 물(W)의 온도가 40∼45℃보다 낮을 경우 턴온되고 50∼55℃보다 높을 경우 턴오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은 손잡이(1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포트.
KR1020120039615A 2011-12-12 2012-04-17 티 포트 KR101541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03 2011-12-12
KR20110132603 2011-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480A KR20130066480A (ko) 2013-06-20
KR101541441B1 true KR101541441B1 (ko) 2015-08-03

Family

ID=4886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615A KR101541441B1 (ko) 2011-12-12 2012-04-17 티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4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3002A (ja) 2001-03-08 2002-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ー沸かし器
KR100649510B1 (ko) 2005-01-20 2006-11-27 송유진 다용도 추출 포트
JP2009273744A (ja) 2008-05-16 2009-11-26 Makoto Takagi コーヒー抽出器用パッキン、コーヒー抽出器具及びコーヒー抽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3002A (ja) 2001-03-08 2002-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ヒー沸かし器
KR100649510B1 (ko) 2005-01-20 2006-11-27 송유진 다용도 추출 포트
JP2009273744A (ja) 2008-05-16 2009-11-26 Makoto Takagi コーヒー抽出器用パッキン、コーヒー抽出器具及びコーヒー抽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480A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617B2 (en) Easily-cleaning multifunctional soybean milk maker
US20130186280A1 (en) Compressed Coffee Drip Brewer
US9999316B2 (en) Beverage substance cartridge, water filling apparatus, beverage producing equipment, beverage producing system and beverage producing method
EP2292129B1 (en) Brew through lid, assembly of a thermal carafe and a brew through lid as well as a coffee maker including such an assembly
US20110083560A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Coffee Extract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KR20140084342A (ko)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US20070017382A1 (en) Beverage maker
WO1998017160A1 (en) Pressure coffee maker for preparing coffee infusions
ES2418154T3 (es) Dispositivo para la elaboración de bebidas con la ayuda de radiación electromagnética
CA2952611A1 (en) Single cup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using same
CN203220186U (zh) 煮茶水壶的滤芯传动升降结构
KR101541441B1 (ko) 티 포트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CN105982549A (zh) 煮茶杯
KR101589947B1 (ko) 티 포트
CN213605860U (zh) 一种茶具
CN201057962Y (zh) 咖啡机
CN102578915A (zh) 具有双室的饮料制备机器
CN101926610B (zh) 加热杯组件及豆浆机
CN107348840A (zh) 电水壶
KR102270443B1 (ko) 휴대용 커피머신
KR200409399Y1 (ko) 온수기가 구비된 커피메이커
CN203776698U (zh) 咖啡或茶或豆浆高温高压循环煮沸装置
CZ306335B6 (cs) Zařízení pro přípravu filtrované kávy
CA3128010A1 (en) Beverage bre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