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497B1 -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9497B1 KR101589497B1 KR1020090033190A KR20090033190A KR101589497B1 KR 101589497 B1 KR101589497 B1 KR 101589497B1 KR 1020090033190 A KR1020090033190 A KR 1020090033190A KR 20090033190 A KR20090033190 A KR 20090033190A KR 101589497 B1 KR101589497 B1 KR 1015894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rection lens
- driving unit
- support plate
- axis
-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할 시 손떨림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위하여, 보정렌즈와 상기 보정렌즈를 지지하는 보정렌즈 지지판을 포함하는 보정렌즈 모듈과,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을 상기 보정렌즈를 통과하는 광축에 수직한 제1축과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축에 수직한 제2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이 상기 제1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을 움직이는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와,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이 상기 제1축에 수직한 상기 제2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을 움직이는 제3구동부 및 제4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이 상기 보정렌즈 모듈의 무게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할 시 손떨림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촬영장치는 피사체에 관한 스틸 이미지의 디지털 파일 또는 동영상의 디지털 파일을 생성 및/또는 저장할 수 있는 장치로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 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VC; digital video camera) 또는 휴대 전화에 장착되는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한다.
최근 이러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디지털 촬영장치가 많이 보급되면서 점점 고품질의 스틸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획득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손떨림으로 인한 이미지의 선명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손떨림 보정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손떨림 보정장치는 손떨림 보정렌즈를 움직이거나 촬상소자를 움직여 손떨림 방지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이 중 손떨림 보정렌즈를 움직임으로써 손떨림 방지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손떨림 보정장치의 일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손떨림 보정장치는 보정렌즈(미도시)를 지지하는 보정렌즈 지지판(13)과, 이 보정렌즈 지지판(13)이 평면 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보정렌즈 지지판(13)을 지지하는 베이스(20)를 구비한다. 도 1에서 보정렌즈 지지판(13)의 개구부에 보정렌즈(미도시)가 삽입된다. 보정렌즈 지지판(13)을 베이스(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보정렌즈 지지판(13)을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구동부(31)와 제2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구동부(32)가 보정렌즈 지지판(13)에 배치된다. 또한, 보정렌즈 및/또는 보정렌즈 지지판(13)이 베이스(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어느 정도 움직였는지를 검출하는 제1검출부(41)와 제2검출부(42)가 보정렌즈 지지판(13)에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손떨림 보정장치가 디지털 촬영장치에 장착될 시 베이스(20)가 디지털 촬영장치 본체에 부착되는데, 손떨림 등에 의해 디지털 촬영장치의 본체가 흔들리게 되어 손떨림 보정장치의 베이스(20)가 디지털 촬영장치의 본체에 따라 같이 움직이더라도 보정렌즈 지지판(13)이 보정렌즈와 함께 베이스(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여, 결과적으로 보정렌즈를 포함한 다른 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디지털 촬영장치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촬상소자의 일정한 부분에 입사하도록 함으로써 흔들림이 없는 선명한 스틸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손떨림 보정장치의 경우 통상적으로 셔터(51) 및 셔터구동부(53)까지 손떨림 보정장치에 일체로 배치되는 셔터 일체형 손떨림 보정장치이다. 따라서 셔터(51) 및 셔터 구동부(53)를 배치하기 위하여, 보정렌즈 지지판(13)의 형상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손떨림 보정장치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보정렌즈를 통과하는 광축과 보정렌즈의 교차점(COA)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이 아니다. 그 결과 보정렌즈와 보정렌즈 지지판을 포함하는 보정렌즈 모듈의 무게중심(CM; center of mass)이 보정렌즈를 통과하는 광축과 보정렌즈의 교차점(COA)에 위치하지 않고 가장자리에 치우쳐 위치한다. 따라서 보정렌즈 지지판(20)을 일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구동부(31)에 의한 구동력 작용선(FV)과 보정렌즈 지지판(20)을 타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2구동부(32)에 의한 구동력 작용선(FH)의 교차점인 힘의 중심(CF; center of force)이 보정렌즈 모듈의 무게중심(CM)과 일치하지 않으며, 따라서 보정렌즈 모듈이 제1구동부(31)와 제2구동부(32)에 의해 움직일 시 토크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손떨림 보정장치가 작동할 시 이와 같은 이유로 의도하지 않았던 토크가 발생함에 따라 손떨림 보정장치의 손떨림 방지 성능을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자인 상의 문제로 제1구동부(31)에 의한 구동력 작용선(FV)과 제2구동부(32)에 의한 구동력 작용선(FH)의 교차점인 힘의 중심(CF)이 손떨림 보정장치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보정렌즈를 통과하는 광축과 보정렌즈의 교차점(COA)과도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다른 종래의 손떨림 보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인 도 2에서와 같이 제1구동부(31)와 제1검출부(41)의 위치를 바꾸고 제2구동부(32)와 제2검출부(42)의 위치를 바꾸어, 제1구 동부(31)에 의한 구동력 작용선(FV)과 제2구동부(32)에 의한 구동력 작용선(FH)의 교차점인 힘의 중심(CF)이 손떨림 보정장치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보정렌즈를 통과하는 광축과 보정렌즈의 교차점(COA)과 일치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도 1과 도 2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제1구동부(31)와 제2구동부(32)의 크기를 작게 도시하였는바, 실제로는 제1구동부(31)와 제2구동부(32)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우 제1검출부(41) 및/또는 제2검출부(42)가 도 1에 도시된 경우보다 셔터구동부(53)에 더욱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 셔터구동부(53)에 의해 영향을 받아 보정렌즈 지지판(13)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검출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할 시 손떨림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정렌즈와 상기 보정렌즈를 지지하는 보정렌즈 지지판을 포함하는 보정렌즈 모듈과,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을 상기 보정렌즈를 통과하는 광축에 수직한 제1축과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축에 수직한 제2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이 상기 제1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을 움직이는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와,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이 상기 제1축에 수직한 상기 제2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을 움직이는 제3구동부 및 제4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이 상기 보정렌즈 모듈의 무게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은, 장방형의 판상 형상인 본체와, 상기 본체가 위치하는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본체의 장축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와 상기 본체의 장축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3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3구동부와 상기 제4구동 부는 상기 제3구동부와 상기 제4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이 상기 보정렌즈 모듈의 상기 제1돌출부 내지 제3돌출부를 제외한 부분의 무게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돌출부 내지 제3돌출부 각각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정렌즈 모듈의 상기 제1돌출부 내지 제3돌출부를 제외한 부분의 무게 중심은 상기 보정렌즈를 통과하는 광축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단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제4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단축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보정렌즈 모듈을 덮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의 상기 제1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제1검출부와,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의 상기 제2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제2검출부가 배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검출부와 상기 제2검출부는 각각 홀(hall)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단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제4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단축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검출부는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검출부 는 상기 타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검출부는 상기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검출부는 상기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정렌즈에 입사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는 셔터와, 상기 보정렌즈에 입사하는 광을 차단하도록 상기 셔터를 움직일 수 있는 셔터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셔터구동부는, 상기 광축 방향에서 보았을 시 상기 제1검출부 및 상기 제2검출부와 위치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과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은 각각 상기 제1축과 평행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과 상기 제4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은 각각 상기 제2축과 평행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정렌즈 모듈은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배치된 자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부 내지 상기 제4구동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코일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자석과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요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자석과 상기 요크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모듈이 상기 베이스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손떨림 보정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에 따르면, 디지털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할 시 손떨림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도 3의 손떨림 보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비교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는 보정렌즈 모듈(110), 베이스(120), 제1구동부(131), 제2구동부(132), 제3구동부(133) 및 제4구동부(134)를 구비한다. 보정렌즈 모듈(110)은 보정렌즈(111)와 이 보정렌즈(111)를 지지하는 보정렌즈 지지판(11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보정렌즈 모듈(110)은 그 기하학적 중심점에 대해 상하가 대칭을 이루고 좌우가 대칭을 이루는 등의 방식으로, 보정렌즈 모듈(110)의 기하학적 중심점에 무게 중심(CM)이 위치하도록 한다.
베이스(120)는 보정렌즈 지지판(113)을, 보정렌즈(111)를 통과하는 광축(z축)에 수직한 제1축(y축)과, 광축 및 제1축에 수직한 제2축(x축)을 따라 이동가능 하게 지지한다. 결과적으로 베이스(120)는 보정렌즈 지지판(113)을 포함하는 보정렌즈 모듈(11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손떨림 등의 흔들림 등이 발생하여 촬상소자(미도시)에서 획득하는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가 선명하지 않게 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면, 보정렌즈 모듈(110)이 움직임으로써 촬상소자(미도시)에서 획득하는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가 선명하게 될 수 있도록 하여 손떨림을 보정한다.
이와 같이 보정렌즈 모듈(110), 즉 보정렌즈 지지판(113)이 베이스(12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제1구동부(131) 및 제2구동부(132)는 보정렌즈 지지판(113)이 제1축(y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보정렌즈 지지판(133)을 움직인다. 그리고 제3구동부(133) 및 제4구동부(134)는 보정렌즈 지지판(113)이 제2축(x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보정렌즈 지지판(113)을 움직인다.
이때, 제1구동부(131)와 제2구동부(132)는, 제1구동부(131)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1)과 제2구동부(132)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2)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1구동부(131)와 제2구동부(132)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3구동부(133)와 제4구동부(134)는, 제3구동부(133)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1)과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 용선(FH2)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3구동부(133)와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들(FH, FV)의 교차점인 힘의 중심(CF)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을 지나게 된다. 나아가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이 보정렌즈(111)를 통과하는 광축 상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보정렌즈(111)를 통과하는 광축과 보정렌즈의 교차점(COA)과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이 일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손떨림 보정장치의 경우 보정렌즈 지지판을 움직이는 구동부들의 구동력 작용선들의 교차점인 힘의 중심이 보정렌즈 모듈의 무게중심과 일치하지 않으며, 따라서 보정렌즈 모듈이 구동부들에 의해 움직일 시 토크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그 결과 손떨림 보정장치가 작동할 시 의도하지 않았던 토크가 발생함에 따라 손떨림 보정장치의 손떨림 방지 성능을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비교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들(FH, FV)의 교차점인 힘의 중심(CF)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을 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비교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경우에는 손떨림 보정장치가 작동할 시 토크 발생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손떨림 보정 장치의 작동에 의한 손떨림 방지 성능 저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교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경우, 보정렌즈 모듈(110)과 베이스(120)가 상호 밀착되지 않아 덜컹거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비교예에 따른 보정렌즈 지지판(113)은 장방형의 판상 형상인 본체와, 이 본체가 위치하는 평면(도 4b의 경우 xy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부(A1) 내지 제4돌출부(A4)를 갖는다. 이 제1돌출부(A1) 내지 제4돌출부(A4)는 보정렌즈 지지판(113)과 베이스(120) 사이에 배치되는 네 개의 베어링들이 보정렌즈 지지판(113)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보정렌즈(111)의 렌즈면(렌즈면이 평탄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정렌즈에 입사광이 정확하게 입사할 시의 입사하는 입사광의 광축에 수직한 면)(S1)과 베이스(120)의 내측면(S2)은 상호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며, 평행하지 않더라도 두 면이 이루는 각도가 10' 이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비교예에 따른 보정렌즈 지지판(113)과 베이스(120)는 네 개의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호 접촉하는바, 이 경우 보정렌즈 모듈(110)이 베이스(120)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덜컹거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한 평면을 결정하는 것은 세 점들이면 충분하며 네 점들의 경우 오히려 한 평면을 결정함에 있어서 네 점들의 위치를 세밀하게 결정해야만 한다. 즉 임의의 세 개의 점들에 의해 결정되는 평면 내에 나머지 한 점이 위치하지 않으 면, 네 점은 한 개의 평면을 결정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비교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경우 네 개의 베어링을 이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보정렌즈 모듈(110)이 베이스(120)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덜컹거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손떨림 보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손떨림 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는 보정렌즈 모듈(110), 베이스(120), 제1구동부(131), 제2구동부(132), 제3구동부(133) 및 제4구동부(134)를 구비한다. 보정렌즈 모듈(110)은 보정렌즈(111)와 이 보정렌즈(111)를 지지하는 보정렌즈 지지판(113)을 포함한다.
베이스(120)는 보정렌즈 지지판(113)을 보정렌즈(111)를 통과하는 광축(COA)에 수직한 제1축(y축)과, 광축(COA) 및 제1축(y축)에 수직한 제2축(x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결과적으로 베이스(120)는 보정렌즈 지지판(113)을 포함하는 보정렌즈 모듈(11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손떨림 등의 흔들림 등이 발생하여 촬상소자(미도시)에서 획득하는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가 선명하지 않게 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면, 보정렌즈 모듈(110)이 움직임으로써 촬상소자(미도시)에서 획득하는 데이터로부터의 이미지가 선명하게 될 수 있도록 하여 손떨림을 보정한다.
이와 같이 보정렌즈 모듈(110), 즉 보정렌즈 지지판(113)이 베이스(12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구동부(131)와 제2구동부(132)는 보정렌즈 지지판(113)이 제1축(y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보정렌즈 지지판(113)을 움직이며, 제3구동부(133)와 제4구동부(134)는 보정렌즈 지지판(113)이 제1축(y축)에 수직한 제2축(x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보정렌즈 지지판(113)을 움직인다. 이때, 제1구동부(131)와 제2구동부(132)는, 제1구동부(131)와 제2구동부(132)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보정렌즈 지지판(113)은 장방형의 판상 형상인 본체와, 이 본체가 위치하는 평면(도면의 경우 xy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부(B1) 내지 제3돌출부(B3)를 갖는다. 제1돌출부(B1)는 본체의 장축(LA)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2돌출부(B2) 및 제3돌출부(B3)는 본체의 장축(LA)의 타측에 위치한다. 제3구동부(133)와 제4구동부(134)는, 제3구동부(133)와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제1돌출부(B1) 내지 제3돌출부(B3)를 제외한 부분의 무게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에 따르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131)와 제2구동부(132)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을 지나고, 제3구동부(133)와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 선(FH)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제1돌출부(B1) 내지 제3돌출부(B3)를 제외한 부분의 무게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결국 제1구동부(131)와 제2구동부(132)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과 제3구동부(133)와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의 교차점인 힘의 중심(CF)은, 비록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중심(CM)과 일치하지는 않지만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중심(CM)에 인접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손떨림 보정장치의 경우에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경우 힘의 중심(CF)과 무게중심(CM)이 매우 인접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손떨림 보정장치의 경우 보정렌즈 지지판을 움직이는 구동부들의 구동력 작용선들의 교차점인 힘의 중심이 보정렌즈 모듈의 무게중심과 일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호 크게 벗어나 있어, 보정렌즈 모듈이 구동부들에 의해 움직일 시 큰 토크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그 결과 손떨림 보정장치가 작동할 시 의도하지 않았던 큰 토크가 발생함에 따라 손떨림 보정장치의 손떨림 방지 성능을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들(FH, FV)의 교차점인 힘의 중심(CF)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에 매우 인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비교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경우에는 손떨림 보정장치가 작동할 시 토크 발생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손떨 림 보정장치의 작동에 의한 손떨림 방지 성능 저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경우, 보정렌즈 모듈(110)의 제1돌출부(B1) 내지 제3돌출부(B3)가 보정렌즈 지지판(113)과 베이스(120) 사이에 배치되는 세 개의 베어링들이 보정렌즈 지지판(113)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BR1 내지 BR3에 베어링이 위치하여, 보정렌즈 지지판(113)과 베이스(120) 사이에 베어링이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세 개의 베어링만을 이용함으로써 보정렌즈 모듈(110)이 베이스(120)와 밀착되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보정렌즈 모듈(110)이 덜컹거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경우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들(FH, FV)의 교차점인 힘의 중심(CF)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게 되는바,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렌즈 모듈(110)이 제1돌출부(B1) 내지 제3돌출부(B3)를 구비하여 그 구조가 보정렌즈 모듈(110)의 단축(SA)에 대해서는 대칭이나 장축(LA)에 대해서는 대칭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정렌즈 모듈(110) 전체에 있어서 제1돌출부(B1) 내지 제3돌출부(B3)의 크기 및 무게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실제로는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들(FH, FV)의 교차점인 힘의 중심(CF)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과 도 7c에 도시된 것보다도 더욱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구동부(131)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1)과 제2구동부(132)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2)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1구동부(131)와 제2구동부(132)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을 지나도록 하기 위하여, 제1구동부(131)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1)과 제2구동부(132)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2)은 각각 제1축(y축)과 평행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제1구동부(131)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1)과 제2구동부(132)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2)이 제1축(y축)과 평행한 것에 그치지 않고 도 7a에 도시된 것과 달리 각각 제1축(y축)과 일치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이는 제1구동부(131)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1)의 구동력 시작점과 제2구동부(132)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2)의 구동력 시작점이 제1축(y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함), 제3구동부(133) 및 제4구동부(134)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구동부(131)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1)과 제2구동부(132)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 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2)이 각각 제1축(y축)과 일치하도록 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구동부(131)는 제1축(y축, 보정렌즈 지지판(113)의 단축(SL))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제2구동부(132)는 제1축(y축)을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제1구동부(131)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1)과 제2구동부(132)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2)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1구동부(131)와 제2구동부(132)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V)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을 지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3구동부(133)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1)과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2)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3구동부(133)와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은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을 지나지는 않지만,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에 매우 인접한다. 이를 위해, 제3구동부(133)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1)과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2)은 각각 제2축(x축)과 평행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제3구동부(133)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1)과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2)이 제2축(x축)과 평행한 것에 그치지 않고 도 7a에 도시된 것과 달리 각각 제2축(x축)과 일치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이는 제3구동부(133)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1)의 구동력 시작점과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2)의 구동력 시작점이 제2축(x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함), 제1구동부(131) 및 제2구동부(132)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구동부(133)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1)과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2)이 각각 제2축(x축)과 일치하도록 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구동부(133)는 제2축(x축, 보정렌즈 지지판(113)의 장축(LA))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고, 제4구동부(134)는 제2축(x축)을 중심으로 타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제3구동부(133)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1)과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2)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3구동부(133)와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FH)이 보정렌즈 모듈(110)의 무게 중심(CM) 인근을 지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 각각은 베이스(120)에 배치된 코일일 수 있다. 이 경우 보정렌즈 모듈(11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정렌즈 지지판(113)에 배치된 자석들(135, 13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코일인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여 전류가 흐르는 코일인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와 자석들(135, 136) 사이에 원하는 크기의 인력 및/또는 척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에 의해 보정렌즈 모듈(110)이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자석의 개수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의 개수인 4개가 아닌 2개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구동부(131)와 제3구동부(133)가 한 개의 자석(135)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제2구동부(132)와 제4구동부(134)가 다른 한 개의 자석(136)에 대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구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구동부(131)와 제3구동부(133)는 보정렌즈(111)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구동부(132)와 제4구동부(134)는 보정렌즈(111)의 타측에 배치된다.
한편, 보정렌즈 모듈(110)이 베이스(120)에 밀착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바, 이를 위해 종래에는 스프링 등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스프링의 탄성력 저하 등으로 인하여 보정렌즈 모듈(110)이 베이스(120)에 밀착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요크(yoke, 130a, 130b)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요크(130a, 130b)는 보정렌즈 지지판(113)의 일측에 배치되어, 보정렌즈 지지판(113)의 타측에 배치된 자석(135, 136)과의 사이에서 인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요크(130a, 130b)가 베이스(120)에 부착되어 있을 시 보정렌즈 모듈(110)이 자연스럽게 베이스(12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보정렌즈 모듈(110)이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 자석(135, 136)이 구비될 필요가 있는 바, 이에 따라 요크(130a, 130b)만 추가함으로써 그 자석(135, 136)과 요크(130a, 130b) 사이에서의 인력을 이용하여 보정렌즈 모듈(110)을 베이스(120)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나아가 외부의 충격 등에 기인한 흔들림으로 인하여 보정렌즈 모듈(110)이 움직였을 경우, 보정렌즈 지지판(113) 상의 자석(135, 136)과 요크(130a, 130b) 사이의 인력에 의해 보정렌즈 모듈(110)이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정렌즈 모듈(110)의 위치를 중앙으로 되돌릴 시(centering)에도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에 전류를 흘려 보정렌즈 모듈(110)을 센터링하는 것 외에 이와 같은 요크(130a, 130b)와 자석(135, 136) 사이의 인력을 이용함으로써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와 상이한 것은 베이스(120)에 체결되어 보정 렌즈 모듈(110)을 덮는 커버(160)를 더 구비한다는 것이다. 이 커버(160)에는, 보정렌즈 지지판(113)의 제1축(y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제1검출부(141)와, 보정렌즈 지지판(113)의 제2축(x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제2검출부(142)가 배치된다. 제1검출부(141)와 제2검출부(142)는 자기장(magnetic field)의 세기에 따라 유도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의 크기가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보정렌즈 지지판(113)의 움직임 및/또는 위치를 검출하는 홀(hall)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에 구비되는 제1검출부(141) 및 제2검출부(142)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검출부(141)와 제2검출부(142)가 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자석이 필요한데,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정렌즈 지지판(113)을 움직이기 위한 제1구동부(131) 내지 제4구동부(134)의 작동을 위해 보정렌즈 모듈(110)에 자석들(135, 136)이 구비될 수 있는 바, 이 자석들(135, 136)을 이용하여 제1검출부(141)와 제2검출부(142)가 보정렌즈 지지판(113)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자석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손떨림 보정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구동부(131)와 제3구동부(133)는 보정렌즈(111)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구동부(132)와 제4구동부(134)는 보정렌즈(111)의 타측에 배치되며, 제1검출부(141)는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제2검출부(142)는 상기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제1검출부가 상기 타측에 배치되고 제2검출부가 상기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는 보정렌즈(111)에 입사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는 셔터(151)와, 보정렌즈(111)에 입사하는 광을 차단하도록 셔터(151)를 움직일 수 있는 셔터구동부(153)까지 손떨림 보정장치에 일체로 배치되는 셔터 일체형 손떨림 보정장치이다. 즉, 셔터구동부(153)에 의해 셔터(151)가 움직여 보정렌즈(111) 근방에 위치함으로써 광이 보정렌즈(111)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셔터(151) 및 셔터구동부(153)가 각각 두 개씩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셔터(151) 및 셔터구동부(153)가 한 개씩 일측에 배치되고 타측에는 ND필터와 ND필터 구동부가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에서는 셔터구동부(153)가 광축 방향에서 보았을 시 제1검출부(미도시) 및 제2검출부(미도시)와 위치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셔터구동부(153)는, 제1구동부 내지 제4구동부(미도시)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을 구비하고 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근방에 배치된 자석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셔터(151)를 움직이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1검출부와 제2검출부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유도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의 크기가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보정렌즈 지지판(113)의 움직임 및/또는 위치를 검출하는 홀(hall)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셔터구동부(153)가 제1검출부 및/또는 제2검출부와 인접하여 배치된다면 제1검출부 및/또는 제2검출부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에서는 셔터구동부(153)가 광축 방향에서 보았을 시 제1검출부(미도시) 및 제2검출부(미도시)와 위치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검출부 및/또는 제2검출부의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에는 셀프-타이머 램프(211), 플래시(212), 셔터 릴리즈 버튼(213), 뷰 파인더(217), 플래시-광량 센서(219), 전원 스위치(231), 렌즈부(220) 및 원격 수신부(241)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2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릴리즈 버튼(2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영상을 포착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플래시-광량 센서(219)는 플래시(212)가 동작하는 경우에 그 광량을 감지하여 마이크로제어기(미도시)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미도시)에 입력시킨다. 원격 수신부(241)는 원격 제어기(미도시)로부터의 명령 신호, 예컨대 촬영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제어기를 통하여 디지털 카메라 프로세서에 입력한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에는 전술한 실시예들 및/또는 그 변형예들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손떨림을 비롯한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으로 인한 이미지의 선명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의 손떨림 방지장치와 달리 손떨림 방지장치의 작동 중에 유발되는 이미지 선명도 저 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손떨림 보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종래의 손떨림 보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3의 손떨림 보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손떨림 보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손떨림 보정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손떨림 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손떨림 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보정렌즈 113: 보정렌즈 지지판
110: 보정렌즈 모듈 120: 베이스
131: 제1구동부 132: 제2구동부
133: 제3구동부 134: 제4구동부
141: 제1검출부 142: 제2검출부
151: 셔터 153: 셔터구동부
Claims (14)
- 보정렌즈와, 상기 보정렌즈를 지지하는 보정렌즈 지지판을 포함하는 보정렌즈 모듈;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을, 상기 보정렌즈를 통과하는 광축에 수직한 제1축과,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축에 수직한 제2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이 상기 제1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을 움직이는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 및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이 상기 제1축에 수직한 상기 제2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을 움직이는 제3구동부 및 제4구동부를 구비하며,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이 상기 보정렌즈 모듈의 무게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되고,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은,장방형의 판상 형상인 본체; 및상기 본체가 위치하는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본체의 장축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와, 상기 본체의 장축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3돌출부를 가지며,상기 제3구동부와 상기 제4구동부는, 상기 제3구동부와 상기 제4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이, 상기 보정렌즈 모듈의 상기 제1돌출부 내지 제3돌출부를 제외한 부분의 무게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돌출부 내지 제3돌출부 각각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보정렌즈 모듈의 상기 제1돌출부 내지 제3돌출부를 제외한 부분의 무게 중심은 상기 보정렌즈를 통과하는 광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단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제4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단축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보정렌즈 모듈을 덮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의 상기 제1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제1검출부와,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의 상기 제2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제2검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검출부와 상기 제2검출부는 각각 홀(hall)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단축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구동부와 상기 제4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단축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검출부는 상기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검출부는 상기 타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검출부는 상기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검출부는 상기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보정렌즈에 입사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는 셔터; 및상기 보정렌즈에 입사하는 광을 차단하도록 상기 셔터를 움직일 수 있는 셔터구동부를 더 구비하고,상기 셔터구동부는, 상기 광축 방향에서 보았을 시 상기 제1검출부 및 상기 제2검출부와 위치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과 상기 제2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은 각각 상기 제1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3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과 상기 제4구동부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작용하는 구동력 작용선은 각각 상기 제2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보정렌즈 모듈은 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에 배치된 자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부 내지 상기 제4구동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된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보정렌즈 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자석과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요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자석과 상기 요크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보정렌즈 모듈이 상기 베이스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떨림 보정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손떨림 보정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3190A KR101589497B1 (ko) | 2009-04-16 | 2009-04-16 |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3190A KR101589497B1 (ko) | 2009-04-16 | 2009-04-16 |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4684A KR20100114684A (ko) | 2010-10-26 |
KR101589497B1 true KR101589497B1 (ko) | 2016-01-28 |
Family
ID=4313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3190A KR101589497B1 (ko) | 2009-04-16 | 2009-04-16 |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949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41059A (ja) | 2002-02-20 | 2003-08-27 | Nikon Corp | レンズ鏡筒 |
JP2006031027A (ja) | 2004-07-21 | 2006-02-0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 画像安定化のためのマグネット構造 |
JP2008209435A (ja) | 2007-02-23 | 2008-09-11 | Nikon Corp | ブレ補正装置及び光学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47273B2 (ja) * | 2004-09-24 | 2011-03-09 | Hoya株式会社 | ステージ駆動機構 |
-
2009
- 2009-04-16 KR KR1020090033190A patent/KR1015894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41059A (ja) | 2002-02-20 | 2003-08-27 | Nikon Corp | レンズ鏡筒 |
JP2006031027A (ja) | 2004-07-21 | 2006-02-02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 画像安定化のためのマグネット構造 |
JP2008209435A (ja) | 2007-02-23 | 2008-09-11 | Nikon Corp | ブレ補正装置及び光学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4684A (ko) | 2010-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111208B (zh) | 致动器、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 |
KR101343197B1 (ko) | 카메라 모듈 | |
US8213783B2 (en) | Anti-shake device and optical system having the same | |
US7881598B1 (en) | Anti-shake auto-focus modular structure | |
EP2811734B1 (en) | Image stabilize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5594456B2 (ja)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 |
JP6056883B2 (ja)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 |
CN103901701A (zh) | 透镜驱动装置、摄像模块以及附带摄像机的便携式终端 | |
US20100208089A1 (en) | Anti-shake camera | |
US20110217029A1 (en) | Anti-shake structure for auto-focus modular | |
US20080292296A1 (en) | Vibration compensation for image capturing device | |
US20090097833A1 (en) | Optical apparatus including image blur correction device | |
KR20160146680A (ko) | 액추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부착 휴대 단말 | |
TWI491251B (zh) | 相機模組 | |
TWI483055B (zh) | 相機模組 | |
TWI485459B (zh) | 成像裝置 | |
JP6365647B2 (ja) |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 |
KR20140035672A (ko) |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 |
KR20110097626A (ko) | 촬영 장치 | |
KR101446777B1 (ko) |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 |
JP2011004075A (ja) | ブレ補正装置 | |
JP6935801B2 (ja) | 光学装置及び撮像装置 | |
JP5820667B2 (ja) | 光学式像振れ補正機構 | |
JP2011027947A (ja) | 光学ユニット | |
KR101521527B1 (ko) | 손떨림 보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촬영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