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488B1 - 열교환 구조체 - Google Patents

열교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488B1
KR101589488B1 KR1020090129955A KR20090129955A KR101589488B1 KR 101589488 B1 KR101589488 B1 KR 101589488B1 KR 1020090129955 A KR1020090129955 A KR 1020090129955A KR 20090129955 A KR20090129955 A KR 20090129955A KR 101589488 B1 KR101589488 B1 KR 101589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heat exchange
exhaust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615A (ko
Inventor
사다오 오다지마
히로쿠니 타지마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테크노 프론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테크노 프론티어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테크노 프론티어
Publication of KR2011004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Abstract

열교환 효율이 높은 열교환 소자를 갖고, 또한, 컴팩트한 열교환 구조체를 제공한다.
옥외로부터의 급기측 공기(1)를 흘려보내는 급기덕트(11)와, 실내로부터의 배기측 공기(2)를 흘려보내는 배기덕트(12)를, 공통 에어덕트(10)에 의해 소정 길이 범위(L0)에 걸쳐서 일체구조로 함과 아울러, 공통 에어덕트(10) 내에 열교환을 행하는 가늘고 긴 형상의 대향류형 열교환 소자(3)를 내장하고 있다.
Figure R1020090129955
열교환 구조체, 급기덕트, 배기덕트, 평판재, 금속 박막, 송풍기

Description

열교환 구조체{HEAT-EXCHANGE CONSTRUCTION}
본 발명은 열교환 소자를 사용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난방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거주공간의 고단열화·고기밀화가 진행됨에 따라, 실내공기의 오염이 문제가 되어, 환기의 중요성이 재인식되고 있다. 냉난방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고 환기를 행하는 방법으로서 열교환 소자를 사용하여 급기측 공기와 배기측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 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종래, 주택 등의 건물의 실내를 환기할 때,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와, 실외의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급기덕트를 내부에 열교환 소자를 설치한 상자 모양의 케이싱에 접속하고, 케이싱 내부에 갖는 송풍기에 의해 급기측 공기와 배기측 공기를 열교환 소자에 유통시켜 열교환 시키는 환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9-121727호 공보
이러한 환기장치는 건물의 천장 안이나 벽 내부에 매입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환기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와 비교하여, 대형의 케이싱으로 외장할 필요가 있어, 천장 안 등의 좁은 공간에 시공하는 것이 대단히 어려웠다.
또,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표준적인 열교환 소자는 급기측 공기와 배기측 공기와의 열교환을 행하기 위한 접촉시간이 짧아, 열교환 효율은 60∼80% 정도가 한계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열교환 효율이 높은 열교환 소자를 갖고, 또한, 컴팩트한 열교환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구조체는, 옥외로부터의 급기측 공기를 흘려보내는 급기덕트와, 실내로부터의 배기측 공기를 흘려보내는 배기덕트를, 공통 에어덕트에 의해 소정 길이 범위에 걸쳐 일체 구조로 함과 아울러, 이 공통 에어덕트 내에 열교환을 행하는 가늘고 긴 형상의 대향류형(對向流型) 열교환 소자를 내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공통 에어덕트는 금속 박막으로 피복한 골판지 평판재를 통형으로 절곡 형성 내지 만곡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 이다.
또한, 상기 급기덕트에 흡입 송풍기를 내장하고, 또한, 상기 배기덕트에 배출 송풍기를 내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열교환 소자는 상기 공통 에어덕트의 단면의 세로 치수와 가로 치수의 산술평균값에 대하여, 3배 이상 또한 25배 이하의 장척 치수로 설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교환 구조체에 의하면, 천장 안 등의 좁은 공간이어도 용이하게 설치·시공할 수 있다. 또, 급기측 공기와 배기측 공기와의 접촉시간이 길어, 열교환 효율을 거의 90%∼100%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환 구조체(D)는 옥외로부터의 신선한 급기측 공기(1)를 흘려보내는 급기덕트(11)와,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된 배기측 공기(2)를 흘려보내는 배기덕트(12)를, 공통 에어덕트(10)에 의해 소정 길이 범위(L0)에 걸쳐서 일체 형상으로 연이어 설치하고 있다. 공통 에어덕트(10) 내에는, 급기측 공기(1)와 배기측 공기(2)의 열교환을 행하는 가늘고 긴 형상의 대향류형 열교환 소자(3)를 내장하고 있다.
급기덕트(11) 및 배기덕트(12) 및 공통 에어덕트(10)는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 박막(5)을 붙여서 피복한 종이 또는 수지제의 골판지 평판재(4)(도 10 참조)로 이루어지고, 골판지 평판재(4)를 절곡 내지 만곡해서 통형으로 형성하여 제작한 것이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급기덕트(11) 및 배기덕트(12) 그리고 공통 에어덕트(10)는 단면이 사각형의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급기덕트(11)와 배기덕트(12)는 평행1쌍 형상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분리벽부(13)를 통하여 분리되어 있다. 공통 에어덕트(10)는 급기덕트(11)와 배기덕트(12)를 갈라놓는 분리벽부(13)를 장척 치수(L1)에 걸쳐 제거하여, 급기덕트(11)와 배기덕트(12)를 일체 연통 형상으로 연결하고 있다. 급기덕트(11)와 배기덕트(12)는 공통 에어덕트(10)로부터 연장된 모양으로 연속되어 있다. 즉, 외관상, 열교환 구조체(D)는 급기덕트(11) 및 배기덕트(12) 및 공통 에어덕트(10)가 1개의 장척 덕트를 형성하고 있다.
급기덕트(11)는 열교환 소자(3)로부터 급기측 공기(1)을 끌어내서 실내를 향하여 흘려보내는 흡입 송풍기(6)를 배열 설치하고 있다. 배기덕트(12)는 열교환 소자(3)로부터 배기측 공기(2)를 끌어내어 옥외로 배출하는 배출 송풍기(7)를 배열 설치하고 있다. 흡입 송풍기(6) 및 배출 송풍기(7)는 공통 에어덕트(10)로부터 격리한 위치에서 덕트(11) 또는 배기덕트(12)에 내장되고, 도시생략된 전원에 접속되어 구동하고 있다. 흡입 송풍기(6)는 공통 에어덕트(10)와 흡입거리 치수(L6)를 가 지고 배열 설치되고, 배출 송풍기(7)는 공통 에어덕트(10)와 배출거리 치수(L7)를 가지고 배열 설치되어 있다. 흡입거리 치수(L6) 및 배출거리 치수(L7)는 공통 에어덕트(10)의 길이 범위(L0) 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 소자(3)는 2종류의 공기의 현열 및 잠열을 열교환 시키는 대향류형 전열교환 소자이며, 평면으로 보아 가늘고 긴 육각 형상의 적층 블록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 소자(3)는 공통 에어덕트(10)의 단면(도 4 참조)의 세로 치수(A0)와 가로 치수(B0)(모두 내측 치수로 나타냄)의 산술평균값(M){=(A0+B0)/2}에 대하여, 장척 치수(L1)를 3배 이상 또한 25배 이하로(보다 바람직하게는 7배 이상 또한 20배 이하로) 설정한 가늘고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 소자(3)는 장척 치수(L1)를 공통 에어덕트(10)의 길이 범위(L0)보다도 짧게 설정하고, 또한, 높이 치수(H1) 및 폭 치수(W1)를 공통 에어덕트(10)의 내측에 간극을 생기게 하지 않고 내장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열교환 소자(3)는 경사면부(31, 32, 33, 34)에 의해 길이 방향의 양단에 코너부(30, 30)를 형성하고, 분리벽부(13)의 절단부(14, 14)에 코너부(30, 30)를 맞닿게 하면서, 공통 에어덕트(10) 내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 소자(3)는 칸막이막(23)과, 칸막이막(23)에 고착되는 유로형성 부재(24)로 이루어지는 가늘고 긴 육각판 형상의 열교환 부재(20)를 복수매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다.
열교환 부재(20)는 복수의 급기 유로(21)가 형성되는 제 1 열교환 부재(20A)와, 복수의 배기 유로(22)가 형성되는 제 2 열교환 부재(20B)를 갖고, 제 1 열교환 부재(20A)와 제 2 열교환 부재(20B)를 번갈아 적층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열교환 소자(3)에는, 다수의 급기 유로(21…)와, 다수의 배기 유로(22…)가 칸막이막(23)을 사이에 두고 번갈아 배열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 소자(3)는 일방의 코너부(30)를 형성하는 1쌍의 경사면부(31, 32)를, 급기 유로(21…)의 일단이 개구하는 다수의 급기 입구를 갖는 경사면부(31)와, 배기 유로(22…)의 일단이 개구하는 다수의 배기 출구(22e…)를 갖는 경사면부(34)로서 구성하고 있다. 타방의 코너부(30)는 급기 유로(21…)의 타단이 개구하는 다수의 급기 출구(21e…)를 갖는 경사면부(33)와, 배기 유로(22…)의 타단이 개구하는 다수의 배기 입구를 갖는 경사면부(34)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급기 유로(21)는 열교환 소자(3)의 길이 방향 양단 근처에 각각 배열 설치되는 경사면부(31, 33)로 개구하고, 연통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배기 유로(22)는 열교환 소자(3)의 다른 2개의 경사면부(32, 34)로 개구하고, 연통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S는 급기덕트(11) 및 급기 유로(21)에 의해 형성되는 급기측 공기(1)의 흐름을 나타내고, E는 배기덕트(12) 및 배기 유로(22)에 의해 형성되는 배기측 공기(2)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급기측 공기(1)는 급기덕트(11)로부터 열교환 소자(3)의 경사면부(31)에 도입되고, 열교환 소자(3) 내를 통과하여, 열교환 소자(3)의 반대측의 경사면부(33)로부터 급기덕트(11)에 토출된다. 한편, 배기측 공기(2)는 배기덕트(12)로부터 열 교환 소자(3)의 경사면부(34)에 도입되고, 열교환 소자(3) 내를 급기측 공기(1)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통과하고, 열교환 소자(3)의 반대측의 경사면부(32)로부터 배기덕트(12)에 토출된다. 즉, 열교환 소자(3)는 내부에서 급기측 공기(1)와 배기측 공기(2)를 대향하여 유통시켜, 현열 및 잠열을 열교환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급기덕트(11)는 공통 에어덕트(10) 내의 열교환 소자(3)를 통하여 연통되어, 급기측 공기(1)를 옥외로부터 실내로 반송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배기덕트(12)는 공통 에어덕트(10) 내의 열교환 소자(3)를 통하여 연통되어, 급기측 공기(1)에 배기측 공기(2)를(혼입시키지 않고) 열교환을 행하여 실내로부터 옥외로 배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기덕트(11)는 흡입 송풍기(6)보다도 실내측의 위치에 분배관(15)을 배열 설치하고 있어, 급기측 공기(1)를 건물의 방으로 분배하고 있다. 또, 배기덕트(12)는 공통 에어덕트(10)보다도 실내측의 위치에 분기 배관(16)을 배열 설치하고 있어, 건물의 방으로부터 배기측 공기(2)를 받아들여 배기덕트(12)에 모으고 있다. 도시 생략하지만, 급기덕트(11)에는 복수의 분배관(15…)이 설치되고, 배기덕트(12)에는 복수의 분기 배관(16…)이 설치되어 있어, 복수의 방에 급기측 공기(1)를 공급함과 아울러, 배기측 공기(2)를 회수하여, 건물내의 환기를 행하고 있다.
또한, 도 1 중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덕트(11, 12)는 평행하게 배열 설치하지 않고 소정 각도를 가지고 서로 분리하여 배열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다(참고용).
여기에서, 골판지 평판재(4)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하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판지 평판재(4)는 평판 형상 중판부(40)와, 중판부(40)의 표리면에 접착한 파(波)판부(41, 41)와, 파판부(41, 41)의 표리 양측에 팽팽하게 붙여지는 측판부(42, 42)와, 측판부(42, 42)에 첩부되는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 박막(5, 5)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판부(41)는 코루게이트(물결 모양) 가공한 것으로, 파판부(41)와 중판부(40) 및 측판부(42) 사이에, 복수의 공간부(43…)를 형성하고 있다. 또, 골판지 평판재(4)는 중판부(40)와 파판부(41)와 측판부(42)를 크래프트지나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골판지 평판재(4)는, 우수한 단열성을 가짐과 아울러, 경량이고 또한 저렴하게 제작되며, 게다가 금속 박막(5)으로 피복되어 내화성도 우수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열교환 구조체의 사용방법(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도 3에 나타낸 열교환 구조체(D)를 주택이나 점포나 사무소 등의 건물의 천장 안에, 공기 반송용의 환기 덕트로서 설치하기 위해서는, 골판지 평판재(4)를 괘선을 따라 구부려서 각통을 이루도록 조립하고, 분리벽부(13)로 나뉘어진 급기덕트(11) 및 배기덕트(12)와 일체구조의 공통 에어덕트(10)를 형성한다. 이때, 공통 에어덕트(10)에는, 미리, 열교환 소자(3)를 내장해 둔다. 이 조립작업은 설치·시공의 현장에서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골판지 평판재(4)를 편평하게 전개한 상태에서 반입하면, 수송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다음에 열교환 구조체(D)를 와이어나 매달기 로드 등을 사용하여 천장 안에 매단다. 열교환 구조체(D)의 재료로 한 골판지 평판재(4)는 경량으로, 간단하게 들어올려, 소량의 와이어나 매달기 로드 등으로 매달 수 있다. 게다가, 골판지 평판재(4)는 단열성을 갖는 재료이기 때문에, 별도 단열처리를 하지 않고 열교환 구조체(D)의 설치를 완료하여, 외부로 열을 놓치지 않고 공기를 반송한다.
그리고, 설치완료한 열교환 구조체(D)의 급기덕트(11)에, 건물의 각 방에 연통하는 분배관(15)을 접속하고, 배기덕트(12)에 건물의 각 방에 연통하는 분기 배관(16)을 접속한다. 흡입 송풍기(6) 및 배출 송풍기(7)를 작동시켜, 급기덕트(11)에 옥외로부터의 신선한 급기측 공기(1)를 흘려보내고, 배기덕트(12)에 실내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된 배기측 공기(2)를 흘려보낸다. 흡입 송풍기(6) 및 배출 송풍기(7)는 공통 에어덕트(10)로부터 흡입거리 치수(L6) 및 배출거리 치수(L7)를 가지고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이 갖는 중량을, 골판지 평판재(4)로 제작된 열교환 구조체(D)에 분산하여 지지한다. 바꿔 말하면, 공통 에어덕트(10)를 강성 및 강도가 높은 대형의 케이싱으로 외장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열교환 소자(3)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의 골판지 평판재(4)를 사용하여 공통 에어덕트(10)를 제작하면 된다.
열교환 구조체(D)에는, 온도차가 있는 2종류의 공기가 흐르고, 열교환 소자(3)에 통과시킴으로써 열교환을 행하여, 실내의 냉난방에 드는 소비 에너지를 삭감한다. 열교환 소자(3)는 길이 방향으로 장척 치수(L1)를 갖는 가늘고 긴 형상으 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기측 공기(1)와 배기측 공기(2)가 대향하여 유통하는 거리가 길게(오래), 대향류형의 열교환을 행하기 위한 시간이 충분히 길어진다. 즉, 열교환 소자(3)는, 공통 에어덕트(10)의 형상에 맞추어 가늘고 길게 형성함으로써, 유효 전열면적이 넓어져, 효율적으로 열교환을 행한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참고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 구조체(D)는 골판지 평판재(4)를 원통 형상으로 만곡하여, 단면이 타원형의 공통 에어덕트(10)를 형성한 것이면 된다. 이 경우, 범용성이 높은 원통 형상의 덕트로 이루어지는 급기덕트(11) 및 배기덕트(12)를 각각 공통 에어덕트(10)에 연결하여 열교환 구조체(D)를 구성하고 있다. 급기덕트(11)와 배기덕트(12)를 공통 에어덕트(10)에 의해 일체구조로 하는 점은 동일하고, 공통 에어덕트(10)에 내장하는 열교환 소자(3)에, 급기측 공기(1)와 배기측 공기(2)를 혼입시키지 않고 유통시켜, 현열 및 잠열을 열교환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직사각형 형상의 열교환 소자(3)는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공통 에어덕트(10) 내에, 복수의 간극(17…)을 형성하면서 내장되기 때문에, 간극(17…)을 적당하게 스페이서 등으로 메워, 급기측 공기(1)와 배기측 공기(2)를 분류하고 있다.
또,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참고예를 나타낸 것이다.
열교환 구조체(D)는 골판지 평판재(4)를 원통 형상으로 만곡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공통 에어덕트(10) 내에 열교환 소자(3)를 내장하고, 또한 열교환 소자(3) 의 높이 방향에 형성되는 간극(17, 17)에 소형 열교환 부재(8, 8)를 배열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소형 열교환 부재(8, 8)는 열교환 소자(3)와 동일하게 하여 열교환을 행하기 위한 대향류형 전열교환 소자로, 간극(17, 17)에서 급기측 공기(1)와 배기측 공기(2)의 열교환을 행하여, 열교환 구조체(D)의 열교환 효율을 보다 한층더 향상시키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참고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열교환 구조체(D)는 상기의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다른 열교환 소자(9)를 사용하여, 급기측 공기(1)의 흐름(S) 및 배기측 공기(2)의 흐름(E)을 변경해도 된다. 이 경우, 급기덕트(11) 및 배기덕트(12)는 열교환 소자(9)에 대응하도록 공통 에어덕트(1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열교환 소자(9)는 길이 방향의 길이 치수(L2)를 상기의 장척 치수(L1)와 동일한 정도로 설정하여 평면으로보아 가늘고 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기측 공기(1)와 배기측 공기(2)가 대향하여 유통하는 거리가 길어, 열교환을 행하기 위한 시간이 충분히 길게 확보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옥외로부터의 급기측 공기(1)를 흘려보내는 급기덕트(11)와, 실내로부터의 배기측 공기(2)를 흘려보내는 배기덕트(12)를 공통 에어덕트(10)에 의해 소정 길이 범위(L0)에 걸쳐서 일체구조로 함과 아울러, 공통 에어덕트(10) 내에 열교환을 행하는 가늘고 긴 형상의 대향류형 열교환 소자(3)를 내장했으므로, 천장 안 등의 좁은 공간이어도 용이하게 설치·시공할 수 있다. 또, 급기측 공기(1)와 배기측 공기(2)의 접촉시간이 길어, 열교환 효율을 충분히 향상 가능 하여, 예를 들면, 거의 100%로 할 수 있다.
또, 급기덕트(11)와 배기덕트(12)와 공통 에어덕트(10)는 금속 박막(5)으로 피복한 골판지 평판재(4)를, 통형으로 절곡 형성 내지 만곡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경량이고 또한 우수한 단열성을 구비하고, 내화성도 우수하다. 게다가,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급기덕트(11)에 흡입 송풍기(6)를 내장하고, 또한, 배기덕트(12)에 배출 송풍기(7)를 내장했으므로, 공통 에어덕트(10)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 열교환 소자(3)는 공통 에어덕트(10)의 단면의 세로 치수(A0)와 가로 치수(B0)의 산술평균값(M)에 대하여, 3배 이상 또한 25배 이하의 장척 치수(L1)로 설정했으므로, 급기측 공기(1)와 배기측 공기(2)가 열교환을 행하기 위한 시간을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있어, 열교환 효율을 충분히 향상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거의 100%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 평면도이다.
도 2는 열교환 소자의 1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열교환 구조체를 도시한 설명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Y-Y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참고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설명용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참고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설명용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참고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골판지 평판재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급기측 공기
2 배기측 공기
3 열교환 소자
4 골판지 평판재
5 금속 박막
6 흡입 송풍기
7 배출 송풍기
10 공통 에어덕트
11 급기덕트
12 배기덕트
L0 길이 범위
L1 장척 치수
A0 세로 치수
B0 가로 치수
M 산술평균값

Claims (4)

  1. 옥외로부터의 급기측 공기(1)를 흘려보내는 단면 사각형의 급기덕트(11)와, 실내로부터의 배기측 공기(2)를 흘려보내는 단면 사각형의 배기덕트(12)를, 평행1쌍 형상으로 나란히 설치하여, 중앙분리벽부(13)에 의해 구획된 외형 사각형의 각통 형상 분리벽부 부착 덕트를 형성하고,
    열교환 소자(3)를 내장한 열교환 소자 내장 덕트는, 외형 사각형의 각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열교환 소자 내장 덕트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분리벽부 부착 덕트를 연이어 설치하여, 외관상, 일체의 장척 덕트를 형성하고,
    상기 열교환 소자(3)는, 평면으로 보아 가늘고 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높이 치수(H1) 및 폭 치수(W1)를 상기 열교환 소자 내장 덕트의 내측에 간극을 생기게 하지 않고 내장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열교환 소자(3)의 길이 방향 일단부의 경사면부(31)와 타단부의 대변(對邊)이 되는 경사면부(33)로 개구하는 복수의 급기 유로(21)와, 일단부의 경사면부(32)와 타단부의 대변이 되는 경사면부(34)로 개구하는 복수의 배기 유로(22)를 평면으로 보아 서로 교차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번갈아 배열 설치하고, 상기 급기덕트(11)가 복수의 상기 급기 유로(21)를 통하여 연통되고, 또한 상기 배기덕트(12)가 복수의 상기 배기 유로(22)를 통하여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덕트(11)에는 상기 열교환 소자 내장 덕트로부터 흡입거리 치수(L6)를 가지고 격리된 위치에 흡입 송풍기(6)가 내장되고, 또한 상기 배기덕트(12)에는 상기 열교환 소자 내장 덕트로부터 배출거리 치수(L7)를 가지고 격리된 위치에 배출 송풍기(7)가 내장되고, 상기 흡입거리 치수(L6) 및 상기 배출거리 치수(L7)는 상기 열교환 소자 내장 덕트의 길이 치수(L0)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구조체.
  3. 삭제
  4. 삭제
KR1020090129955A 2009-11-05 2009-12-23 열교환 구조체 KR101589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09-007887 2009-11-05
JP2009007887U JP3156870U (ja) 2009-11-05 2009-11-05 熱交換構造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615A KR20110049615A (ko) 2011-05-12
KR101589488B1 true KR101589488B1 (ko) 2016-01-28

Family

ID=4445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955A KR101589488B1 (ko) 2009-11-05 2009-12-23 열교환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56870U (ko)
KR (1) KR101589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4681B2 (ja) * 2012-11-29 2017-08-23 協立エアテック株式会社 光ダク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7185A (ja) * 2005-11-29 2007-06-14 Taisei Corp 段ボール製ダクト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チャンバーボックス
JP4341924B2 (ja) * 2006-03-09 2009-10-14 新日本空調株式会社 デシカント換気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9410A (ja) * 1985-05-13 1986-11-17 日立電線株式会社 光フアイバ複合架空地線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7185A (ja) * 2005-11-29 2007-06-14 Taisei Corp 段ボール製ダクト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チャンバーボックス
JP4341924B2 (ja) * 2006-03-09 2009-10-14 新日本空調株式会社 デシカント換気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56870U (ja) 2010-01-21
KR20110049615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0790A (zh) 通风设备、热交换设备、热交换元件及该热交换元件的肋
US20050252647A1 (en) Ventilator
KR101589488B1 (ko) 열교환 구조체
LT3350B (en) Radiant or radiant-ventilating airconditioning prefabricated elements and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including said elements
KR20130133437A (ko) 고효율 열교환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03376B1 (ko) 열교환장치
JP2008122042A (ja) 換気装置
KR100975102B1 (ko)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KR20080083940A (ko)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US20060236713A1 (en) Total heat exchange air conditioner
KR100732375B1 (ko) 굴곡전열유로를 구비한 환기장치
JP2005291618A (ja) 全熱交換素子及び全熱交換器
EP1704377B1 (en) Heat exchanger for ventilator
KR20090077179A (ko) 급배기 일체형 팬 및 덕트를 이용한 전열교환 환기유니트
ES2779807T3 (es) Recuperador para intercambio de energía entre dos flujos de aire
JP4391116B2 (ja) 熱交換換気装置
CN201417102Y (zh) 热湿交换芯
KR100898926B1 (ko) 환기 장치용 열교환기
JP5808931B2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換気システム
WO2020261486A1 (ja) 熱交換素子および熱交換換気装置
CN102052741A (zh) 热交换构造体
WO1996035083A1 (en) Heat exchange unit and methods
CN2197619Y (zh) 恒温空气交换机
KR200237404Y1 (ko) 전열교환기용 열교환 유니트
KR960011372A (ko) 열교환기가 부착된 환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