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948B1 - 감지기 - Google Patents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948B1
KR101588948B1 KR1020140027195A KR20140027195A KR101588948B1 KR 101588948 B1 KR101588948 B1 KR 101588948B1 KR 1020140027195 A KR1020140027195 A KR 1020140027195A KR 20140027195 A KR20140027195 A KR 20140027195A KR 101588948 B1 KR101588948 B1 KR 101588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lens
circuit module
ca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5035A (ko
Inventor
조충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40027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9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5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06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테나가 부착된 렌즈를 교체하는 것으로, 설치 위치 또는, 현장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하도록 여러 방사각으로 변경 가능한 감지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는 전자기파 신호를 발생 및 처리하는 회로모듈, 상기 회로모듈을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며, 상기 개구를 덮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내면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렌즈가 결합 시 상기 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감지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감지기{Detec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장비에 사용되는 감지기는 사용 현장의 벽이나 천장에 설치되어, 경비 개시 중, 경비 구역 내의 전자기파(예를 들면, 원적외선)를 모아서 경비 구역 내에서 발생되는 온도 변화량 또는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무단 침입자를 감지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감지기는 별도의 브래킷이나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벽이나 천장에 설치되므로, 현장에서의 설치 위치 또는, 현장 환경에 따라 여러 방사각을 가지는 감지기가 필요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4844(2005012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테나가 부착된 렌즈를 교체하는 것으로, 설치 위치 또는, 현장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하도록 여러 방사각으로 변경 가능한 감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는 전자기파 신호를 발생 및 처리하는 회로모듈, 상기 회로모듈을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며, 상기 개구를 덮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내면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렌즈가 결합 시 상기 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렌즈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단일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로모듈에 연결되는 안테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90도 감지각 및 10m 이하의 감지거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렌즈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적어도 2 개의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로모듈에 연결되는 안테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의 개수가 2 개로 형성될 경우, 60도 감지각 및 12m 이하의 감지거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의 개수가 3 개로 형성될 경우, 30도 감지각 및 14m 이하의 감지거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 모듈은 전자기파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모듈은 신호 증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발생부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현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회로모듈은 상기 안테나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는 안테나가 부착된 렌즈를 교체하는 것으로, 설치 위치 또는, 현장 환경에 따라 적용 가능하도록 여러 방사각으로 변경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의 렌즈의 내면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렌즈의 일부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의 렌즈의 일부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단계, 동작, 부재, 요소, 수치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단계, 동작, 부재, 요소, 수치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의 렌즈의 내면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렌즈의 일부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100)는 케이스(110), 렌즈(120), 안테나 모듈(121) 및 회로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감지기의 일측을 형성하여, 벽이나 천장에 부착/결합되며, 내부에 제 1 수용 공간(111a)이 형성된 제 1 케이스(111) 및 제 1 케이스(111)의 타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로모듈(130)이 수용되도록 내부 영역에 제 2 수용 공간(112b)을 제공하는 제2케이스(112)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케이스(110)가 하나의 케이스로 형성될 수 있지만, 벽이나 천장에 용이하게 부착/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케이스(110)의 일측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12)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120)는 상기 제2케이스(112)에 결합하여 제2케이스(112)의 타측 개구를 덮는다.
여기서, 상기 렌즈(120)의 모서리 영역에는 수 체결부재(120a)가 형성되며, 상기 제2케이스(112)에는 상기 수 체결부재(120a)와 대응되는 영역에 암 체결부재(112a)가 형성되어, 이들의 상호 결합으로 렌즈(120)와 제2케이스(112) 사이의 결합/분해가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112)의 일측에도 수 체결부재(112c)가 형성되어, 제 1 케이스(111)과 제2케이스(112) 사이의 결합/분해가 편리하도록 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렌즈(12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대략 일면이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렌즈(120)의 내면에는 안테나 모듈(121)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안테나 모듈(121)은 상기 렌즈(120)의 내면에 직접 부착된 안테나(121a) 및 상기 안테나(121a)에서 제2케이스(112)가 형성된 일측으로 연장된 안테나 커넥터(121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121a)는 렌즈(120)의 내면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대략 판형의 패치 안테나로 형성되며, 단일 안테나로 대략 90도 감지각 및 10m 이하의 감지거리를 갖는다.
여기서, 안테나 커넥터(121b)는 상기 렌즈(120)가 제2케이스(112)에 결합 시, 안테나(121a)와 상기 회로모듈(13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일종의 커넥터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로모듈(130)은 상술한 제2케이스(112)의 제 2 수용 공간(112b)에 수용 및 안착 되며, 내부에 신호 발생부(미도시), 신호 처리부(미도시) 및 신호 증폭부(미도시)로 동작하는 센서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커넥터 홀(131) 및 외부 단자(1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기 입력된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호 증폭부를 거친 증폭된 신호를 상기 안테나(121a)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자체적으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MCU(Main Control Unit)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테나(121a)로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노이즈 제거를 수행한다.
상기 커넥터 홀(1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커넥터(121b)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렌즈(120)가 제2케이스(112)에 결합 시 안테나 커넥터(121b)가 삽입되어, 회로모듈(130)과 안테나 모듈(121)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회로모듈(130)은 외부 단자(132)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음은 도 3c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를 설명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의 렌즈의 일부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과 도 3c를 비교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에 비해서 안테나 모듈(221)의 구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는 상기 안테나 모듈(22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는 도 3b에 따른 감지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모듈(221)은 상기 렌즈(120)의 내면에 직접 부착된 적어도 2 개의 안테나(221a) 및 상기 안테나(221a)에서 제2케이스(112)가 형성된 일측으로 연장된 안테나 커넥터(221b)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도 3b의 안테나 모듈(121)은 안테나(121a)가 단일 안테나로 형성 되었지만, 도 3c의 안테나 모듈(221)은 안테나(221a)가 적어도 2 개로 형성되는 점이 상이하다. 물론, 도 3c의 안테나(221a)가 2 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221a)의 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안테나(221a) 각각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안테나 커넥터(22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안테나 커넥터(221b)는 상기 커넥터 홀(131)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안테나 커넥터(121b)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221a)가 2 개로 형성되면, 대략 60도 감지각 및 12m 이하의 감지거리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221a)가 3 개로 형성되면, 대략 30도 감지각 및 14m 이하의 감지거리를 가질 수 있다.
즉, 안테나(221a)의 수가 증가할수록 전자기파의 방사각은 좁아지는 반면, 감지할 수 있는 감지거리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는 렌즈(120)에 직접 부착된 안테나(121a, 221a)의 수를 달리하여, 감지 현장에 적합한 감지기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달리 말하면, 동일한 회로모듈(130)이 탑재된 감지기(100)에서, 감지기(100)의 교체 없이도, 타측에 결합된 렌즈(120)를 교체하는 것으로 다양한 감지 현장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감지기 110; 케이스
120; 렌즈 121: 안테나 모듈
130; 회로모듈

Claims (11)

  1. 전자기파 신호를 발생 및 처리하는 회로모듈;
    상기 회로모듈을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며, 상기 개구를 덮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내면에 부착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렌즈가 결합 시 상기 회로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렌즈의 내측면에 부착되며,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적어도 2 개의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로모듈에 연결되는 안테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개수가 2 개로 형성될 경우, 60도 감지각 및 12m 이하의 감지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개수가 3 개로 형성될 경우, 30도 감지각 및 14m 이하의 감지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모듈은 전자기파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모듈은 신호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현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MCU(Micro Controller Unit)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모듈은 상기 안테나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 홀을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
KR1020140027195A 2014-03-07 2014-03-07 감지기 KR101588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195A KR101588948B1 (ko) 2014-03-07 2014-03-07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195A KR101588948B1 (ko) 2014-03-07 2014-03-07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035A KR20150105035A (ko) 2015-09-16
KR101588948B1 true KR101588948B1 (ko) 2016-01-26

Family

ID=5424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195A KR101588948B1 (ko) 2014-03-07 2014-03-07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9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9072A (ja) * 2003-03-13 2004-10-07 Omron Corp マイクロ波センサ
JP2005157668A (ja) * 2003-11-25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セキュリティーセンサ
KR100882236B1 (ko) 2007-11-08 2009-02-0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불꽃감지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69A (ja) * 1996-07-04 1998-01-23 Atsumi Electron Corp Ltd 熱線センサ用アダプタ
KR200374844Y1 (ko) 2004-11-17 2005-02-03 주식회사 에스원 감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9072A (ja) * 2003-03-13 2004-10-07 Omron Corp マイクロ波センサ
JP2005157668A (ja) * 2003-11-25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セキュリティーセンサ
KR100882236B1 (ko) 2007-11-08 2009-02-0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불꽃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035A (ko)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0261B2 (en) Intrinsic safe in-line adaptor with integrated capacitive barrier for connecting a wireless module with antenna
JP6298526B2 (ja) 通信装置および試験装置
WO2004059589A3 (en) Non-specific sensor array detectors
WO2007054685A3 (en) Passive detection apparatus
ATE472098T1 (de) Bolometrischer detektor, vorricthung zur detektion elektromagnetischer submillimeter- und millimeterwellen mit einem solchen detektor
WO2007064542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tdoa/fdoa location
US10528778B2 (en) Handheld RFID read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9459345B2 (en) Passive detection of unauthorized electronic devices using wafer scale beam forming
WO2007027637A3 (en) Portable electrical appliance with object sensing assembly
KR20170119590A (ko) 레이더 장치
KR101588948B1 (ko) 감지기
KR101998360B1 (ko) 센서 모듈
US20200161905A1 (en) Living Object Protection and Foreign Object Protection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DK180077B1 (en) Road Equipment Monitoring Device
JP4780702B2 (ja) 遠隔監視装置
JP6095415B2 (ja) 煙感知器
US20190235045A1 (en) Antenna,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and position measurement system
WO2021006577A1 (ko) 인체 감지를 위한 도플러 레이더 구조
WO2011010629A1 (ja) 物体検出装置
US10091569B1 (en) Smart microphone devices,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WO2016024509A1 (ja) 電波計測器
KR102093467B1 (ko) 무전력 와이파이 확장 장치
US8587419B2 (en) Collision avoidance detection arrangement
JP2007286731A (ja) 移動体等検知方法
KR101418907B1 (ko) 반도체 소자 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