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824B1 -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8824B1 KR101588824B1 KR1020150040977A KR20150040977A KR101588824B1 KR 101588824 B1 KR101588824 B1 KR 101588824B1 KR 1020150040977 A KR1020150040977 A KR 1020150040977A KR 20150040977 A KR20150040977 A KR 20150040977A KR 101588824 B1 KR101588824 B1 KR 1015888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bossing
- rhombic
- present
- film
- adhesive she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 C09J7/02—
-
- C09J2201/1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 변의 길이가 같고 수직으로 상호 교차하는 두 대각선의 길이가 서로 다른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마름모 형상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이형 필름과, 상기 이형 필름상에 적층된 점착 필름으로 점착 시트를 제공하여 점착 시트의 종횡 연신율 편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점착 필름을 금속이나 유리 등에 부착하는 경우 기포 빠짐을 원활하게 하여 포집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 점착 필름에 음각으로 전사된 엠보싱 표면의 표면 장력을 효율적으로 플라스틱 유리 등과 같은 피착제에 가압하여 부착시 기포 빠짐을 원활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름모 형상의 가로 방향 대각선 길이 대비 세로 방향 대각선 길이의 비는 대략 1 : 1 초과 1.3 이하이며, 마름모 형상을 구성하는 엠보싱의 높이는 6~18㎛ 이고, 그 폭은 10~100㎛, 곡률 반경은 1~50㎛이다.
본 발명의 경우 점착 필름에 음각으로 전사된 엠보싱 표면의 표면 장력을 효율적으로 플라스틱 유리 등과 같은 피착제에 가압하여 부착시 기포 빠짐을 원활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름모 형상의 가로 방향 대각선 길이 대비 세로 방향 대각선 길이의 비는 대략 1 : 1 초과 1.3 이하이며, 마름모 형상을 구성하는 엠보싱의 높이는 6~18㎛ 이고, 그 폭은 10~100㎛, 곡률 반경은 1~50㎛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 변의 길이가 같고 두 대각선의 길이가 서로 다른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마름모 형상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이형 필름과, 상기 이형 필름상에 적층된 점착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공하여 점착 시트의 종횡 연신율 편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점착 필름을 금속이나 유리 등과 같은 피착제에 부착하는 경우 기포 빠짐을 원활하게 하여 포집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장용에 사용되는 점착 시트는 금속, 유리, 플라스틱 시트, 도장 면 또는 평탄한 면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에 부착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재질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착 시트의 구성의 일예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위로부터 표면처리층(1), 기재층(2), 점착제층(3) 및 이형라이너층(4) 등으로 구성되며, 기재층(2)에는 추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도 1의 표면처리층(1)외에 인쇄층(미도시) 등 다양한 형태의 가공이 행해질 수 있다.
통상 이형라이너층(4)에는 점착제층(3)의 기포 빠짐 기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엠보싱 돌기가 형성되며, 이형라이너층(4)에 부여된 돌기 형상은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3)에 전사된다.
따라서, 이형라이너층(4)을 제거한 경우 점착제층(3)에는 음각 형상으로 홈이 파진 형태의 엠보 문양이 생성된다.
점착제층(3)에 형성된 음각 형상의 엠보 문양은 평면에 부착시 기포 빠짐성을 부여하여 시공성을 좋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런데, 기포 빠짐 기능을 부여한 이형라이너층(4)을 사용하여 점착 코팅, 건조 및 점착 합판한 경우 제품 외관에 균일하지 않은 면이 많이 나타난다.
주로 많이 나타나는 외관 품질 문제는 길이 방향으로 많이 나타나며, 길이 모양으로 나타나거나 길이 방향 광택 차이로 인한 미세 얼룩 현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점착제 코팅시 마이크로 기포 혹은 기포가 이형 라이너층의 양각 형상 돌출부에 포집되어 코팅 방향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기포 빠짐 처리되지 않은 평탄한 일반 이형라이너층을 사용한 경우보다 기포 빠짐 처리를 위해 엠보 처리된 이형라이너층(4)을 사용한 경우가 그 외관 불균일 현상이 더욱 심해지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점착제 코팅, 건조 및 기재 합판 후 외관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등 외관 제품으로 사용하는데 있어 품질 저하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를 스퀴지로 가압하여 부착할 경우 길이 방향의 기재 연신율이 높은 관계로 기포 빠짐성이 저하되는 등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횡 연신율 편차를 감소시켜 기포 빠짐 현상을 개선시킨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형 필름상에 점착 필름을 코팅하는 경우 주로 길이 방향으로 포집되어지는 양각 돌출부에서의 기포 포집 현상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는 네 변의 길이가 같고 돌출된 엠보싱이 교차하여 형성된 마름모 형상의 격자 패턴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이형 필름과, 상기 이형 필름상에 적층된 점착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엠보싱의 네 변은 소정 높이와 소정 폭을 가지며, 그 상단부와 양측면부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엠보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름모 형상의 가로 방향 대각선 길이 대비 세로 방향 대각선 길이의 비율은 1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의 상기 소정 높이는 6~18㎛, 상기 소정 폭은 10~100㎛, 상기 소정 곡률 반경은 1㎛~50㎛, 마름모의 면적은 1089~64000㎛2 으로 하고, 가로방향의 대각선 길이와 세로방향의 대각선 길이의 비율을 원단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연신율에 비례하는 것으로 설계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마름모 형상의 가로 방향 대각선 길이 대비 세로 방향 대각선 길이의 비율은 1 보다 크게 한 상태에서 높이와 폭과 가로 및 세로 방향 대각선 길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점착 시트의 종횡 연신율 편차를 감소시켜 점착 필름을 금속이나 유리 등에 부착하는 경우 기포 빠짐을 원활하게 하여 포집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엠보싱을 갖는 이형 필름상에 접착제 코팅시 이형 필름상의 양각 돌출부로 인해 포집되어지는 마이크로 기포 또는 기포 포집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점착 필름에 음각으로 전사된 엠보싱의 표면 장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플라스틱, 유리,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피착제에 가압하여 부착시 기포 빠짐을 원활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형 필름상의 양각 돌출부의 형상을 소정 곡률 반경을 갖도록 라운딩 처리하여 형상이 전사된 점착층의 표면장력이 용이하게 작용하도록 하였다.
도 1은 종래 점착 시트의 단면도의 일예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외관 및 그 단면도의 일예이다.
도 3a 및 3b는 이형 필름에 돌출 엠보싱이 교차하여 형성된 격자 패턴이 모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턴과 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돌출 엠보싱의 돌기 형상 단면도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돌출 엠보싱의 대각선 길이의 종횡 비율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외관 및 그 단면도의 일예이다.
도 3a 및 3b는 이형 필름에 돌출 엠보싱이 교차하여 형성된 격자 패턴이 모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턴과 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돌출 엠보싱의 돌기 형상 단면도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돌출 엠보싱의 대각선 길이의 종횡 비율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종횡 비율이 다른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시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점착 시트의 외관 및 그 단면도의 일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크게 점착 필름과 이형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점착 필름은 기재층과 기재층 상부에 적층된 점착층으로 이루어지고, 이형 필름은 슬립 방지층에 지지층 및 성형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이다. 참고로, 이형 코팅층은 필요에 따라 이형 필름 상부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형 필름의 성형층에는 돌출 엠보싱이 교차하여 교차하여 형성된 격자 패턴이 마름모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따라서 이형 필름의 성형층에 합판되는 점착 필름의 점착층에는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점착 시트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 폴리메틸펜텐,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공중합체, ABS수지, 아이오노머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발포 필름, 또는 그들의 적층 필름 등과 같이 업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거나 시판 중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이형 필름의 성형층에 형성되는 격차 패턴을 구성하는 엠보싱인 돌기부에 있는 바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3b는 이형 필름에 돌출 엠보싱이 교차하여 형성된 격자 패턴이 모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턴과 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 필름 상부에 적층된 성형층에는 네 변의 길이가 같고 교차하는 두 대각선(두 대각선의 길이는 상이함)이 상호 직교하도록 교차하여 형성되는 격자 패턴이 마름모 형상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3a 및 3b는 이형 필름에 돌출 엠보싱이 교차하여 형성된 격자 패턴이 모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턴과 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 필름 상부에 적층된 성형층에는 네 변의 길이가 같고 교차하는 두 대각선(두 대각선의 길이는 상이함)이 상호 직교하도록 교차하여 형성되는 격자 패턴이 마름모 형상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삭제
삭제
따라서, 이형 필름과 합판되는 점착 필름의 점착층에는 이에 대응하는 음각의 형상인 요철 돌기부가 전사되어 형성될 것이다.
도시된 엠보싱 돌기부를 구성하는 네 변은 소정 높이와 소정 폭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점착 필름의 기포 빠짐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엠보싱 돌기부의 가로 방향 대각선 길이 대비 세로 방향 대각선 길이의 비율을 1 보다 크게 하였다.
이는 점착 필름의 길이 방향인 세로 방향의 연신율이 더 크다는 점에 착안한 것으로 가로 방향 대각선 길이 대비 세로 방향 대각선 길이의 비율을 1 보다 크게 함으로써 점착 필름을 유리,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피착제에 점착하는 경우 길이 방향(세로 방향)을 따라 배출되는 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기포의 발생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경우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엠보싱의 높이는 6~18㎛ 이고, 그 폭은 10~100㎛ 으로 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설계에 따라서는 높이와 치수의 사이즈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마름모 형상인 격자 패턴의 면적을 1089~64000㎛2 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가로방향의 대각선 길이와 세로방향의 대각선 길이의 비율을 원단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연신율에 비례하는 것으로 설계하였다.
마찬가지로 엠보싱의 높이 또는 폭에 비례하여 가로 방향 대각선 길이와 세로 방향 대각선 길이는 필요에 따라 치수를 일부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엠보싱은 네 변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가로 방향 대각선 길이 대비 세로 방향 대각선 길이의 비율을 1 보다 크게 한 것으로,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통상 점착 시트를 제작함에 있어서 이형 필름에 점착 필름을 합판하여 롤러로 감아 당기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점착 필름의 종횡 연신율 편차가 발생하고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이형 필름으로부터 분리한 점착 필름을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에 부착하여 미는 경우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의 기포 빠짐 성능에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세로 방향으로의 연신율이 가로 방향의 연신율보다 더 크기 때문에 이러한 영향을 무시하고 정사각형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세로 방향을 따라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고 포집되어 공기 얼룩이 생기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네 변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고 가로 방향 대각선 길이 대비 세로 방향 대각선 길이의 비율을 1보다 크게 한 경우 점착 필름에 형성된 마름모 형상의 요철부(음각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속도가 거의 균일하게 유지되어 점착 필름 부착시 기포 포집 현상이 현저하게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돌출 엠보싱의 돌기 형상 단면도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돌기부로 이루어진 엠보싱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양측면부가 소정의 곡률(곡률반경은 1㎛~50㎛)을 갖도록 라운딩 처리하였다.
이러한 형상을 제공한 이유는 점착 필름으로 음각으로 전사된 경우 점착 필름이 유리,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피착체에 가압 부착시 점착층의 표면장력을 크게하여 기포가 포집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돌기부로 이루어진 엠보싱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양측면부를 소정 곡률 반경으로 라운딩 처리함으로써, 사각형 형상으로 각이 형성된 경우 종래의 엠보싱(도 1 참조)을 이용하여 점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점착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포집 현상의 제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엠보싱의 곡률 반경을 1㎛~50㎛으로 한 이유는 엠보싱의 높이와 폭을 고려한 것이다.
다음,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격자 패턴을 구성하는 엠보싱의 대각선 길이의 종횡 비율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 길이 대비 세로 방향 길이의 비는 0.92 : 1.08, 0.91 : 1.09, 0.94 : 1.06, 0.93 : 1.07 등으로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바람직한 설계 비율은 1 : 1.17, 1 : 1.2, 1 : 1.13, 1 : 1.15 등이었으며, 따라서 그 구체적인 설계 범위는 대략 1 : 1 초과 1.3 이하였다.
본 발명에서 가로 방향 길이 대비 세로 방향 길이의 비를 대략 1 : 1 초과 1.3 이하로 한 경우, 점착 필름을 유리면 등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가압하여 일정방향으로 밀었을 경우 점착 필름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연신율의 편차로 인해 연신율이 높은 세로 방향을 따라 대부분 발생하는 기포의 포집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Claims (4)
-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가진 돌출된 엠보싱이 교차하여 형성된 마름모 형상의 격자 패턴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이형 필름과,
상기 이형 필름상에 적층된 점착 필름을 포함하며,
돌출된 상기 엠보싱의 높이는 6~18㎛이고, 폭은 10~100㎛이며,
상기 마름모 형상의 상기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엠보싱의 네변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마름모 형상의 상기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상기 엠보싱의 가로 방향 대각선 길이 대비 세로 방향 대각선 길이의 비율은 1: 1 초과 1.3 이하이며,
상기 마름모 형상의 상기 격자 패턴의 면적은 1089~64000㎛2 이며,
상기 세로 방향은 상기 이형 필름에 상기 점착 필름을 합판하여 롤러로 감아 당기는 방향이고, 상기 가로 방향은 상기 세로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며,
상기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상기 엠보싱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양 측면부는 1㎛~50㎛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라운딩 처리하여 상기 점착 필름이 피착제에 가압 부착시 점착층의 표면 장력을 크게 하여 기포의 포집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0977A KR101588824B1 (ko) | 2015-03-24 | 2015-03-24 |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 |
PCT/KR2016/002835 WO2016153246A1 (ko) | 2015-03-24 | 2016-03-22 |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0977A KR101588824B1 (ko) | 2015-03-24 | 2015-03-24 |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8824B1 true KR101588824B1 (ko) | 2016-01-26 |
Family
ID=5530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0977A KR101588824B1 (ko) | 2015-03-24 | 2015-03-24 |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8824B1 (ko) |
WO (1) | WO2016153246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3994B1 (ko) | 2017-04-19 | 2018-03-05 | 브이티컴퍼지트(주) | 격자무늬 점착시트 및 제조방법 |
CN108059928A (zh) * | 2018-01-02 | 2018-05-22 | 厦门致力金刚石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片材胶及其胶合方法 |
WO2019151545A1 (ko) * | 2018-01-30 | 2019-08-08 | 강태욱 | 종횡 비율이 상이한 엠보싱을 갖는 점착시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05196A (zh) * | 2019-01-04 | 2019-03-22 | 江苏耐恒包装材料有限公司 | 一种新型导气离型纸和复合纸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5845A (ja) * | 2002-08-19 | 2004-03-1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粘着シート |
KR20060087387A (ko) * | 2005-01-28 | 2006-08-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단계 공기 배출 통로가 구비된 점착 시트 |
KR20080106248A (ko) | 2006-03-02 | 2008-12-04 |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 퀴놀린 유도체 |
JP2011000769A (ja) * | 2009-06-17 | 2011-01-06 | Oji Tac Hanbai Kk | 剥離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
KR101320300B1 (ko) * | 2013-02-15 | 2013-10-23 | 광성기업 주식회사 |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된 감압성 접착 시트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48430A (ja) * | 2009-04-20 | 2010-11-04 | Union Chemicar Co Ltd | 粘着シート |
-
2015
- 2015-03-24 KR KR1020150040977A patent/KR1015888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3-22 WO PCT/KR2016/002835 patent/WO201615324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5845A (ja) * | 2002-08-19 | 2004-03-1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粘着シート |
KR20060087387A (ko) * | 2005-01-28 | 2006-08-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단계 공기 배출 통로가 구비된 점착 시트 |
KR20080106248A (ko) | 2006-03-02 | 2008-12-04 | 아스트라제네카 아베 | 퀴놀린 유도체 |
JP2011000769A (ja) * | 2009-06-17 | 2011-01-06 | Oji Tac Hanbai Kk | 剥離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
KR101320300B1 (ko) * | 2013-02-15 | 2013-10-23 | 광성기업 주식회사 |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된 감압성 접착 시트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3994B1 (ko) | 2017-04-19 | 2018-03-05 | 브이티컴퍼지트(주) | 격자무늬 점착시트 및 제조방법 |
CN108059928A (zh) * | 2018-01-02 | 2018-05-22 | 厦门致力金刚石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片材胶及其胶合方法 |
CN108059928B (zh) * | 2018-01-02 | 2019-12-03 | 厦门致力金刚石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片材胶及其胶合方法 |
WO2019151545A1 (ko) * | 2018-01-30 | 2019-08-08 | 강태욱 | 종횡 비율이 상이한 엠보싱을 갖는 점착시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53246A1 (ko) | 2016-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8824B1 (ko) |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 | |
ES2659060T3 (es) | Película protectora con superficie extraíble | |
KR100475494B1 (ko) | 다중 엠보스된 웨브 | |
US20100209671A1 (en)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 |
JP4263233B2 (ja) | 粘着シート | |
WO2005100498A1 (ja) | 粘着シートおよび剥離材 | |
EP3472046B1 (en) | Aerodynamic articles and methods thereof | |
JP2016521645A5 (ko) | ||
JPWO2008075767A1 (ja) | 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320300B1 (ko) |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된 감압성 접착 시트 | |
JP5226351B2 (ja) | 易貼付性粘着シート | |
JP4398629B2 (ja) | 粘着シート | |
JP2008150431A (ja) | 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 |
JP2010083915A (ja) | 粘着シートの粘着剤層表面に凹凸を形成するための剥離シート | |
JP2010180271A (ja) | 易貼付性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07154144A (ja) | 粘着加工シート及び粘着剤付剥離紙 | |
JP2004075845A (ja) | 粘着シート | |
JP2009001667A (ja) | 粘着シートの粘着剤層表面に凹部を形成するための剥離シート | |
KR200463672Y1 (ko) | 이형지 및 이를 포함한 점착 시트 | |
JP2008156423A (ja) |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 |
JP2002332463A (ja) | 空気抜き接着剤付き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3049818A (ja) |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4515015B2 (ja) | 粘着シート | |
JP6127508B2 (ja) | 剥離基材及び積層体 | |
JP2009062454A (ja) | 易貼付性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