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772B1 - 섬유대 - Google Patents

섬유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772B1
KR101588772B1 KR1020150042089A KR20150042089A KR101588772B1 KR 101588772 B1 KR101588772 B1 KR 101588772B1 KR 1020150042089 A KR1020150042089 A KR 1020150042089A KR 20150042089 A KR20150042089 A KR 20150042089A KR 101588772 B1 KR101588772 B1 KR 101588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pace
filling
drainage
fill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기
Original Assignee
서우조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우조경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우조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2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섬유대에 의하면, 우수기나 홍수시에 사면의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배수부를 통하여 우수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고, 섬유대에 모르타르와 같은 충진재를 충진하는 경우 자중에 의한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인장력저감부를 형성하여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대{Compound fabric}
본 발명은 사면보강용 섬유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기나 홍수시에 산사면의 침식이나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배수부를 형성하여 우수가 상기 배수부를 통하여 유도되도록 한다. 또한, 섬유대에 모르타르와 같은 충진재를 충진하는 경우, 자중에 의한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인장력저감부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섬유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도로 또는 철도, 제방, 댐 또는 호수, 저수지, 터널 입구 및 출구, 기타 도시 인근 아파트 단지 등을 시공하는 지역에는 절토 사면이나 성토 사면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지역의 절토 및 성토 사면의 활동(滑動)과 침식(浸蝕)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연환경과 조화되는 환경친화적인 사면보강공법이 요구되어 왔다.
종래의 사면보강공법은 그 공법의 구조상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여 사면을 보강하기 위해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다시 사면까지 이동시켜 설치하여야 하는 번잡함이 있으며, 특히, 배수로 및 기타 이음 구조가 일체화되지 않는 관계로 호우에 쉽게 쓸려 내려가 산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인명 사고와 같은 재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사면보강공법으로 그 동안 사용되어 왔던 쏘일네일(Soil Nail)은 사면의 전면에 숏크리트(Shotcrete)로 처리하는 공법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쏘일네일(Soil Nail) 사용은 미관이 매우 불량하고 배후면의 용수처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와이어 메시(Wire Mesh)가 부식되고 숏크리트면의 크랙 등으로 인해 매우 부실한 시공면이 형성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한다.
또 다른 사면보강공법으로는 철근콘크리트 옹벽이 많이 이용되어 왔는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 및 양생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굴토작업과 성토작업에 막대한 공사비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앵커 볼트가 일체로 된 구조물을 조적하면서 앵커볼트 부위에 흙을 매립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기술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강방법도 굴토 및 성토작업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또한 전체적으로 구조물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사면에 대한 보호공법 중 섬유 거푸집을 이용하여 사면을 보호하는 경우에는 육상은 물론 수중에서도 시공이 간편하고, 구조가 복잡한 사면에서도 손쉬운 시공을 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 및 비용의 절감, 콘크리트의 빠른 경화 및 증가효과와 외관이 매우 단정한 등 나름대로 많은 장점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우수기나 홍수시에 산사면의 침식이나 토사의 유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섬유대에 콘크리트 주입시 자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섬유대의 형태가 변형되어 내구성을 나쁘게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기나 홍수시에 사면의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섬유대에 모르타르와 같은 충진재를 충진하는 경우, 자중에 의한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섬유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는 사면에 설치되어 지반을 보강하는 것으로, 제1 상부직물 및 상기 제1 상부직물 사이에 제1 충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제1 충전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하부직물을 구비하는 제1 직물부, 제2 상부직물 및 상기 제2 상부직물 사이에 제2 충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제2 충전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하부직물을 구비하는 제2 직물부 및 상기 제1 충전공간과 상기 제2 충전공간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직물부와 상기 제2 직물부 사이에 위치하며, 지표수로 인한 상기 사면의 세굴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표수의 흐름이 유도되는 배수공간을 제공하는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의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제1 충전재 및 상기 제2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제2 충전재에 의해 상기 배수공간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의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 충전재가 상기 제1 충전공간에 충전되기 전의 상기 제1 직물부 및 상기 제2 충전재가 상기 제2 충전공간에 충전되기 전의 상기 제2 직물부와 동일한 형태로 존재하며, 상기 제1 충전재 및 상기 제2 충전재가 각각 상기 제1 충전공간 및 상기 제2 충전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배수공간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는 상기 제1 직물부 및 상기 제2 직물부 각각과 상기 배수부를 구획하며, 상기 제1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제1 충전재 및 상기 제2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제2 충전재의 자중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 직물부 및 상기 제2 직물부의 인장을 저감시키도록 이중으로 봉제되어 형성되는 인장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는 상기 배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지표수를 하단까지 유도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공간에 상기 지표수에 혼입된 암석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유도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의 상기 배수부는, 제3 상부직물 및 상기 제3 상부직물 사이에 제3 충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3 하부직물을 구비하며, 상기 유도배수부는, 상기 제3 충전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대에 의하면, 우수기나 홍수시에 사면의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섬유대에 모르타르와 같은 충진재를 충진하는 경우, 자중에 의한 인장력에 저항하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의 A-A' 및 B-B'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의 유도배수부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도배수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의 A-A'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의 유도배수부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에 충전재가 충전되기 전 인 A-A' 및 섬유대에 충전재가 충전된 후인 B-B'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의 유도배수부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유도배수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100)는 사면에 설치되어 지반을 보강하는 것으로, 제1 상부직물(111) 및 상기 제1 상부직물(111) 사이에 제1 충전공간(115)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제1 충전재(117)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하부직물(113)을 구비하는 제1 직물부(110), 제2 상부직물(121) 및 상기 제2 상부직물(121) 사이에 제2 충전공간(125)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제2 충전재(127)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하부직물(123)을 구비하는 제2 직물부(120) 및 상기 제1 충전공간(115)과 상기 제2 충전공간(125)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직물부(110)와 상기 제2 직물부(120) 사이에 위치하며, 지표수로 인한 상기 사면의 세굴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표수의 흐름이 유도되는 배수공간(S)을 제공하는 배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면은 아파트, 하천, 댐 등의 공사현장에서의 절토 사면이나 성토 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직물부(110)는 상기 제1 상부직물(111) 및 상기 제1 상부직물(111) 사이에 상기 제1 충전공간(115)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충전재(117)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제1 하부직물(113)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1 상부직물(111)과 상기 제1 하부직물(113)의 재질은 탄성을 구비한 섬유일 수 있으며, 또한 합성수지나 폴리에스테르 또는 고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충전재(117)의 거푸집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직물부(110)는 상기 제1 상부직물(111) 및 상기 제1 하부직물(113)부 2겹으로 이루어지며,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상부직물(111)과 상기 제1 하부직물(113)간의 접합으로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제1 직물부(110)의 상기 제1 상부직물(111)과 상기 제1 하부직물(113)부의 접합은 제봉에 의해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또는 접착제나 열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상부직물(111)과 상기 제1 하부직물(113)부의 접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직물(111)과 상기 제1 하부직물(113)부의 접합이 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제1 충전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충전공간(115)은 제1 충전재(117)가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충전재(117)는 모르타르, 콘크리트 또는 골재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직물부(120)는 제2 상부직물(121) 및 상기 제2 상부직물(121) 사이에 제2 충전공간(125)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제2 충전재(127)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하부직물(1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물부(110)와 마찬가지로, 일예로 상기 제2 상부직물(121)과 상기 제2 하부직물(123)의 재질은 탄성을 구비한 섬유일 수 있으며, 또한 합성수지나 폴리에스테르 또는 고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직물부(120)는 상기 제2 상부직물(121)과 상기 제2 하부직물(123)부의 접합으로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제2 직물부(120)의 상기 제2 상부직물(121)과 상기 제2 하부직물(123)부의 접합은 제봉에 의해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또는 접착제나 열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상부직물(111)과 상기 제1 하부직물(113)부의 접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직물(121)과 상기 제2 하부직물(123)부의 접합이 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제2 충전공간(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충전공간(125)은 제2 충전재(127)가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충전재(127)는 모르타르, 콘크리트 또는 골재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직물부(110) 및 상기 제2 직물부(120)는 각각 상기 제1 충전공간(115) 및 상기 제2 충전공간(125)에 상기 제1 충전재(117) 및 상기 제2 충전재(127)를 충전하도록 외부로부터 연통하여 형성되는 제1 주입부(119) 및 제2 주입부(129)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충전재(117) 및 상기 제2 충전재(127)는 각각 상기 제1 주입부(119) 및 상기 제2 주입부(129)를 통하여 충전될 수 있으며,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제1 주입부(119) 및 상기 제2 주입부(129)는 봉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주입부(119) 및 상기 제2 주입부(129)로 상기 제1 충전재(117) 및 상기 제2 충전재(127)를 주입하는 경우, 하나의 주입부로 주입하는 것과 비교할 때, 분할시공을 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충전재의 재료분리 및 쏠림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100)는 사면에 식생을 형성하도록 식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부(15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상기 배수부(130)는 상기 제1 충전공간(115)과 상기 제2 충전공간(125)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직물부(110)와 상기 제2 직물부(120) 사이에 위치하며, 지표수로 인한 상기 사면의 세굴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표수의 흐름이 유도되는 배수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우수기나 홍수 시 상기 지표수는 많은 양을 가질 수 있으며, 많은 양의 상기 지표수는 사면을 따라 하단으로 흐름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표수의 흐름으로 인해 사면을 이루는 흙, 모래 및 자갈은 유실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면은 세굴이 일어날 수 있다. 사면의 세굴로 인하여 제1 직물부(110) 및 제2 직물부(120)는 사면으로부터 들뜸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사면의 세굴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수부(130)는 상기 지표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수공간(S)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지표수는 상기 배수공간(S)을 따라 하단으로 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부(130)로 인하여 사면의 세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식생보존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130)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100)는 상기 제1 직물부(110)와 상기 제2 직물부(120)로 나누어 각각 상기 제1 충전재(117) 및 상기 제2 충전재(127)의 분할 충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충전재의 재료분리 및 쏠림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130)는 상기 제1 충전공간(115)에 충전되는 제1 충전재(117) 및 상기 제2 충전공간(125)에 충전되는 제2 충전재(127)에 의해 상기 배수공간(S)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충전재(117) 및 상기 제2 충전재(127)가 상기 제1 충전공간(115) 및 상기 제2 충 충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직물부(110)의 상기 제1 상부직물(111) 및 상기 제2 직물부(120)의 상기 제2 상부직물(121)은 상기 제1 충전재(117) 및 상기 제2 충전재(127)에 의하여 팽창하며, 그 결과, 사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1 충전재(117) 및 상기 제2 충전재(127)의 충전여부와 상관없이 위치변화가 없는 상기 배수부(130)는 상기 제1 충전재(117) 및 상기 제2 충전재(127)에 의하여 상기 배수공간(S)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100)는 상기 제1 직물부(110) 및 상기 제2 직물부(120) 각각과 상기 배수부(130)를 구획하며, 상기 제1 충전공간(115)에 충전되는 제1 충전재(117) 및 상기 제2 충전공간(125)에 충전되는 제2 충전재(127)의 자중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 직물부(110) 및 상기 제2 직물부(120)의 인장을 저감시키도록 이중으로 봉제되어 형성되는 인장저감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물부(110)의 제1 충전공간(115) 및 상기 제2 직물부(120)의 상기 제2 충전공간(125)에 각각 상기 제1 충전재(117) 및 상기 제2 충전재(127)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충전재(117) 및 상기 제2 충전재(127)의 무게로 인한 힘은 상기 제1 직물부(110) 및 상기 제2 직물부(120)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면에 설치된 상기 제1 직물부(110) 및 상기 제2 직물부(120)는 아래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되며, 상기 인장력에 의하여 상기 제1 직물부(110) 및 상기 제2 직물부(120)는 아래방향으로 처지거나, 심한 경우, 찢어지거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중봉제에 의하여 형성되는 인장저감부(140)는 상기 제1 직물부(110)와 상기 배수부(130)의 사이 및 상기 제2 직물부(120)와 상기 배수부(1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인장력을 흡수하여 상기 제1 직물부(110) 및 상기 제2 직물부(120)의 인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100)는 상기 배수공간(S)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공간(S)으로 유입되는 상기 지표수를 하단까지 유도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공간(S)에 상기 지표수에 혼입된 암석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유도배수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배수부(160)는 내부로 상기 지표수에 혼입된 암석이 유입되지 않도록 기둥 형상의 유공관일 수 있다. 따라서, 암석은 상기 유도배수부(16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반면, 상기 지표수는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도배수부(160)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배수공간(S)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배수공간(S)에도 상기 지표수에 혼입된 암석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지표수가 상기 유도배수부(160)를 통해 하단으로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유도배수부(160)는 유공관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발관 또는 Drain board일 수 있으며,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의 A-A'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의 유도배수부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대(200)의 상기 배수부(230)는 상기 제1 충전재(217)가 상기 제1 충전공간(215)에 충전되기 전의 상기 제1 직물부(210) 및 상기 제2 충전재(227)가 상기 제2 충전공간(225)에 충전되기 전의 상기 제2 직물부(220)와 동일한 형태로 존재하며, 상기 제1 충전재(217) 및 상기 제2 충전재(227)가 각각 상기 제1 충전공간(215) 및 상기 제2 충전공간(225)에 충전되어 상기 배수공간(S)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230)는 제3 상부직물(231) 및 상기 제3 상부직물(231) 사이에 제3 충전공간(235)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3 하부직물(233)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부(230)는 상기 제1 충전재(217)가 상기 제1 충전공간(215)에 충전되기 전의 상기 제1 직물부(210) 및 상기 제2 충전재(227)가 상기 제2 충전공간(225)에 충전되기 전의 상기 제2 직물부(220)와 동일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상부직물(231)은 상기 제1 상부직물(211) 및 상기 제2 상부직물(221)의 형상과 대응되며, 상기 제3 하부직물(233)은 상기 제1 하부직물(213) 및 상기 제2 하부직물(223)과 대응되고, 상기 제3 충전공간(235)은 상기 제1 충전공간(215) 및 상기 제2 충전공간(225)과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충전재(217) 및 상기 제2 충전재(227)가 상기 제1 충전공간(215) 및 상기 제2 충 충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직물부(210)의 상기 제1 상부직물(211) 및 상기 제2 직물부(220)의 상기 제2 상부직물(221)은 상기 제1 충전재(217) 및 상기 제2 충전재(227)에 의하여 팽창하며, 그 결과 사면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1 충전재(217) 및 상기 제2 충전재(227)의 충전여부와 상관없이 위치변화가 없는 상기 배수부(230)는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충전재(217) 및 상기 제2 충전재(227)에 의하여 상기 배수공간(S)이 제공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기에서도, 상기 제1 직물부(210) 및 상기 제2 직물부(220) 각각과 상기 배수부(230)를 구획하며, 상기 제1 직물부(210) 및 상기 제2 직물부(220)의 인장을 저감시키도록 이중으로 봉제되어 형성되는 인장저감부(240)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배수부(260)는 상기 제3 충전공간(235)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도배수부(260)가 상기 제3 충전공간(235)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유도배수부(260)는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되며, 내구성 역시 확보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0: 제1 직물부
120: 제2 직물부
130: 배수부
140: 인장저감부
150: 식생부
160: 유도배수부

Claims (6)

  1. 사면에 설치되어 지반을 보강하는 섬유대에 있어서,
    제1 상부직물 및 상기 제1 상부직물 사이에 제1 충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제1 충전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하부직물을 구비하는 제1 직물부;
    제2 상부직물 및 상기 제2 상부직물 사이에 제2 충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제2 충전재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하부직물을 구비하는 제2 직물부;
    상기 제1 충전공간과 상기 제2 충전공간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직물부와 상기 제2 직물부 사이에 위치하며, 지표수로 인한 상기 사면의 세굴이 방지되도록 상기 지표수의 흐름이 유도되는 배수공간을 제공하는 배수부; 및
    상기 배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지표수를 하단까지 유도되도록 하며, 상기 배수공간에 상기 지표수에 혼입된 암석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유도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제3 상부직물 및 상기 제3 상부직물 사이에 제3 충전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제3 하부직물을 구비하며,
    상기 유도배수부는,
    상기 제3 충전공간으로의 상기 지표수에 혼입된 암석의 유입을 방지하되, 상기 지표수를 하단까지 유도하고, 상기 제3 상부직물에 의해 커버되어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제3 충전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제1 충전재 및 상기 제2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제2 충전재에 의해 상기 배수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 충전재가 상기 제1 충전공간에 충전되기 전의 상기 제1 직물부 및 상기 제2 충전재가 상기 제2 충전공간에 충전되기 전의 상기 제2 직물부와 동일한 형태로 존재하며, 상기 제1 충전재 및 상기 제2 충전재가 각각 상기 제1 충전공간 및 상기 제2 충전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배수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물부 및 상기 제2 직물부 각각과 상기 배수부를 구획하며, 상기 제1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제1 충전재 및 상기 제2 충전공간에 충전되는 제2 충전재의 자중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 직물부 및 상기 제2 직물부의 인장을 저감시키도록 이중으로 봉제되어 형성되는 인장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섬유대.
  5. 삭제
  6. 삭제
KR1020150042089A 2015-03-26 2015-03-26 섬유대 KR101588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089A KR101588772B1 (ko) 2015-03-26 2015-03-26 섬유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089A KR101588772B1 (ko) 2015-03-26 2015-03-26 섬유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772B1 true KR101588772B1 (ko) 2016-01-27

Family

ID=5530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089A KR101588772B1 (ko) 2015-03-26 2015-03-26 섬유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7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669A (ja) * 1994-01-25 1995-08-08 Okanishi:Kk 布製型枠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および布製型枠
KR100775357B1 (ko) * 2007-01-25 2007-1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아치형 단위블록을 이용한 사면 안정화구조
KR100839233B1 (ko) * 2006-12-18 2008-06-19 황기원 섬유시트 거푸집 및 다수 거푸집을 이용한 침식 및유실방지대 설치방법
KR100928179B1 (ko) * 2009-03-20 2009-11-25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사면 보호용 섬유거푸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669A (ja) * 1994-01-25 1995-08-08 Okanishi:Kk 布製型枠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および布製型枠
KR100839233B1 (ko) * 2006-12-18 2008-06-19 황기원 섬유시트 거푸집 및 다수 거푸집을 이용한 침식 및유실방지대 설치방법
KR100775357B1 (ko) * 2007-01-25 2007-1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아치형 단위블록을 이용한 사면 안정화구조
KR100928179B1 (ko) * 2009-03-20 2009-11-25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사면 보호용 섬유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0460B (zh) 用于防止滑坡的预铸块保持壁方法
CN103882884B (zh) 一种锚索土工格栅支挡结构及其施工方法
CN203320549U (zh) 机场工程高边坡加筋格宾挡墙
CN109457709A (zh) 一种双排桩结合大角度锚索的支护结构及施工方法
CN104846780A (zh) 系混凝土块土工格栅软体排
CN210262555U (zh) 一种轻质土道路结构
CN101671985A (zh) 抗震包裹式加筋土结构
KR101197124B1 (ko) 친환경 복합 사면 안정화공법
CN110230273A (zh) 一种小型危岩落石的防护结构
CN210946536U (zh) 一种小型危岩落石的防护结构
KR101588772B1 (ko) 섬유대
CN108894206B (zh) 沙洲污水管、井抗浮体系及施工方法
JP6676462B2 (ja) 堤防補強工法
KR100823980B1 (ko) 배수겸용 패커식 가압 그라우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향식지반보강공법
JP4827165B2 (ja) 長尺土嚢ドレーン補強工法
KR20150021098A (ko) 수변구조물 강화공법
KR102138839B1 (ko) 대형마대를 이용한 현장 타설형 콘크리트블록을 활용한 호안공사 방법
CN212223491U (zh) 一种临河路基结构
CN210887227U (zh) 一种基坑排水型喷射混凝土结构
KR20110037317A (ko) 보강토 옹벽의 보강토블록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CN106917388A (zh) 一种用土工格栅加筋水泥改性土包盖的拦沙坝及施工方法
CN207812204U (zh) 深厚淤泥质软土路基加固结构
CN106400643A (zh) 以高聚物注浆补强防水的路堑立体防护结构
KR101132697B1 (ko) 침하가 예상되는 불량 지반에 적용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020217B1 (ko) 앵커를 이용한 암석 축조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