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528B1 - 광반사조형물 - Google Patents

광반사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528B1
KR101588528B1 KR1020140087541A KR20140087541A KR101588528B1 KR 101588528 B1 KR101588528 B1 KR 101588528B1 KR 1020140087541 A KR1020140087541 A KR 1020140087541A KR 20140087541 A KR20140087541 A KR 20140087541A KR 101588528 B1 KR101588528 B1 KR 101588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reflection
reflection part
reflector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207A (ko
Inventor
진정식
Original Assignee
진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정식 filed Critical 진정식
Priority to KR102014008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5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반사조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입사광이 반사되는 오목한 곡면이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된 광반사부와; 상기 광반사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반사부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광반사부의 판면에는 상기 입사광이 반사된 반사광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광배출공이 복수개 관통형성된다.

Description

광반사조형물{LIGHT REFLECTING SCULPTURE}
본 발명은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광원으로부터 빛이 비춰지면 빛이 반사되어 조형물에 형성된 광배출공을 지나면서 형형색색의 아름다운 빛깔과 모양을 만들어내는 광반사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조형물은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보는 이들에게 심미감을 형성한다. 조형물은 조각품, 얼음조각, 건축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조형물의 일례가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5406호 "발광기능을 갖는 조형물", 등록실용 제20-0452191호 "바람개비 조형물"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조형물들은 처음 제작된 외부형상만 외부로 드러낼 뿐, 빛이 비춰지는 것에 의한 부가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 천이나 직물 또는 유리와 같은 조형물들에 형광등이나 햇빛이 비춰지면 단순히 빛을 투과하여 비춰지는 것 뿐 빛을 반사하는 기능이 없어 시간이 지나더라도 항상 동일한 외형을 나타내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 또는 조명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반사시켜 내부 공간에서 반사되는 반사광과 조형물 자체의 장식부재의 형상이 서로 어우러져 신비로운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광반사조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태양은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시간, 날씨, 계절 등에 따라 고도가 상이하다. 이러한 태양의 위치에 따른 태양광의 변화에 따라 동일한 광반사조형물이지만 보는 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는 광반사조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반사조형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반사조형물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입사광이 반사되는 오목한 곡면이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된 광반사부와; 상기 광반사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반사부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광반사부의 판면에는 상기 입사광이 반사된 반사광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광배출공이 복수개 관통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반사부는 개구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반구형상, 오목한 곡면을 갖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반사부는 자체적으로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체로 형성되거나, 광을 반사하지 않는 비광반사체 재질의 표면에 광반사체를 결합시키거나, 비광반사체 재질에 광반사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광배출공은 도형, 이미지, 캐릭터, 사물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배출공에는 스테인드글라스가 결합되며, 상기 스테인드글라스에는 채색된 이미지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반사부 내부에 수용되어 광의 다중굴절을 유도하는 광반사체가 구비되며, 상기 광반사체는 유리, 거울, 금속의 소재로 형성되며, 구, 다이아몬드,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반사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광반사부의 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광반사부로부터 배출된 광을 다시 상기 광반사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외부광반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반사조형물은 광반사부와 지지축으로 형성된 외부 형상 자체만으로도 1차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한다. 이에 덧붙여 광반사부의 내부에서 반사된 광이 외부로 반사되는 과정에서 광반사부의 내외부의 형상과 어우러져 다양한 빛의 색깔과 형태를 노출하여 2차적인 빛의 아름다움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빛의 아름다움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태양광의 고도, 관람자의 위치, 관람시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반사조형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반사조형물의 광반사부의 다양한 재질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광반사조형물의 광반사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사조형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광반사조형물의 광반사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광반사조형물의 실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반사조형물(100)의 일실시예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반사조형물(100)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표면에서 난반사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광반사부(110)와, 광반사부(11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축(120)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지지축(120)을 지면에 대개 기립되게 지지하는 베이스(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광반사부(110)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킨다. 이를 위해 광반사부(110)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오목한 곡면이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된다. 광반사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곡면형태로 형성되는 반구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광반사부(110)의 표면에는 판면에서 입사광(L1,L2)가 반사된 반사광(L1',L2')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광배출공(111)이 복수개 형성된다.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입사광(L1,L2)은 광반사부(110)의 표면에서 난반사되고, 반사된 반사광(L1',L2')은 측면의 광배출공(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광반사조형물(100)의 외부에 위치한 관람자가 광반사조형물(100)을 보았을 때 복수개의 광배출공(111)을 통해 배출되는 반사광(L1',L2)이 굴절됨에 따라 광반사부(110)의 표면 색상이 다양하게 변화되고, 반사광(L1',L2)가 반사되는 경로에 형성되는 형형색색의 아름다움 빛깔과 모양을 볼 수 있다. 이에 의해 신비로움과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광배출공(111)은 삼각형과 사각형 같은 도형, 별이나 달과 같은 사물, 하트나 미키마우스와 같은 캐릭터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광배출공(111)은 서로 상이한 형상과 상이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광배출공(111)은 인지할 수 없는 추상적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복수개의 광배출공(111)이 광반사부(110)의 전체면적에 대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최소 1/5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반사광(L1',L2')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배출공(111)의 면적이 광반사부(110)의 전체 면적의 1/5 이하인 경우, 광이 반사되는 배출되는 영역이 좁아져 광이 굴절 경로가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광에 의해 나타나는 아름다움이 줄어들게 된다.
여기서, 도 2는 광반사부(110)의 다양한 재질을 형성한 예시도이다. 광반사부(110)는 광을 반사할 수 있는 광반사재질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반사부(110) 자체가 광반사재질(A)로 형성될 수 있다.
광반사재질(A)은 금속, 유리, 미러 등일 수 있으나, 외부에 장기간 설치되어 있기 위는 것을 감안하여 일정 강도와 내구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광반사재질(A)은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리스 강판도 표면에 반사기능을 가질 수 있는 정도로 연마가 된 제품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광반사재질(A)은 스테인레스 강판 표면상태에 따른 분류의 표면종류 No.7이 사용될 수 있다. No.7은 KSL 6001(연마재 입도규정)에 의한 400~600Mesh의 연마재료로 Buff를 회전시켜 연마하여 만들어진다. No. 7은 어느 정도의 반사기능을 가지며, 건축자재 장식 또는 공업용으로 이용된다.
또한, 광반사재질(A)은 스테인레스 강판 표면 상태에 따른 분류의 표면종류 No.8이 사용될 수 있다. No. 8은 상당한 광택 및 반사기능을 가진 연마제품으로 800Mesh 이상의 연마재로 Buff를 회전시켜 연마하여 만들어진다.
한편, 광반사부(11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광반사재질(A')에 광반사체(B)를 결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비광반사재질(A')는 반사성을 갖지 않는 스테일레스 강판 일 수 있다. 광반사체(B)는 알루미늄이나 유리, 미러 등일 수 있다.
또한, 광반사부(110)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광반사재질(A')에 광반사물질(C)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광반사물질(C)은 비광반사재질(A')의 표면에 은 나노 입자를 증착하는 방식이나 코팅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광반사물질(C)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광반사부(110)는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면에 요철(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광반사재질(A) 표면에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여 빛의 반사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광반사재질(A)은 상술한 스테인레스 외에 알루미늄, 구리, 철과 같은 다양한 금속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반사부(110)는 상술한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구리, 철, 유리, 미러, 비광반사재질 등이 서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광반사부(110)의 광반사효율을 더 높이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반사부(110) 내부에 광반사체(140)가 결합될 수 있다. 광반사체(140)는 유리, 금속,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반사체(140)는 구슬, 정육면체, 다이아몬드형상 등 복수개의 반사면을 가져 광반사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입사광(L4)이 광반사체(140) 표면에서 반사되어 광배출공(111)으로 배출되거나(L4'), 입사광(L5)이 광반사부(110) 표면에서 반사된 후, 다시 광반사체(140) 표면에서 재반사되어 광배출공(111)으로 배출될 수 있다(L5"). 즉, 광이 광반사부(110) 내부로 입사된 후 광배출공(111)으로 배출되는 경로가 길어져 빛의 반사에 따른 광반사부(110) 내부에서의 아름다움을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빛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된 광반사체(140)가 외부로 비춰져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광반사조형물(100)의 외적 아름다움을 부가하기 위해 광반사부(110)의 외부에도 장식부재(140a)를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 장식부재(140a)는 스테인글라스 또는 유리구슬, 또는 큐빅과 같이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된다. 장식부재(140a)는 연결줄(141)에 의해 광반사부(110)에 결합되거나, 직접 광반사부(110)의 외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빛의 배출경로를 길게 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반사조형물(100)은 광반사부(110)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광반사부(150)를 더 구비될 수 있다. 외부광반사부(150)는 광반사부(110)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내부에 광반사부(110)를 수용한다. 외부광반사부(150)의 표면에도 외부광배출공(151)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심미감과 빛의 반사를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광반사부(150)의 상부는 톱날 형태처럼 경사부(153)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입사광(L6)이 광반사부(110)의 표면과 접촉되며 반사되면 광배출공(111)을 통해 배출된다(L6'). 배출된 반사광(L6')은 외부광반사부(150)의 표면과 부딪친 후 반사되어 광반사부(110) 내부로 유입되거나 광반사부(110) 외측 표면과 부딪치며 반사된다(L6", L6"'). 이러한 과정에 의해 반사광이 광반사부(110)와 외부광반사부(150) 사이에서 수차례 반사를 거듭하여 체류시간이 길어진다. 이에 따라 광의 다중 이동경로가 생성되고, 광의 이동경로도 길어지며 무지개와 같은 다양한 색상이 광이 투과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빛이 외부로 노출되어 신비롭게 보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광배출공(111)은 광반사부(110)로부터 관통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배출공(111)에 스테인글라스(stained glass. 16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인글라스(160)는 금속산화물을 녹여 붙이거나 표면에 안료를 구워서 붙인 색판 유리조각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채색한 유리판이다. 스테인글라스(160)는 자체적으로 색을 갖거나 표면에 채색한 이미지(161)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광반사부(110)로부터 반사되는 광이 스테인글라스(160)를 경유하며 지나갈 때 채색한 이미지(161)의 색상이 함께 외부로 드러나 더욱 아름답게 빛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광반사조형물(100)이 실외에 배치되었을 때, 광원이 태양광인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광반사조형물(100a)은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실내에 설치된 경우 광원은 조명(S)에서 발생되는 불빛이다.
도 6은 실내에 설치되는 광반사조형물(100a)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실외에서 태양광을 입사받을 때는 입사범위가 넓지만, 상대적으로 실내 공간에서는 조명(S)의 입사범위가 좁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광반사부(110)의 상부에 입사되는 광을 광반사부(110) 내부로 확산시키는 반사판(170)이 구비된다. 반사판(170)으로 유입된 광이 반사판(170) 표면의 반사공(171)을 통해 광반사부(110)로 반사되어 입사된다.
한편,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반사부(110a)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광반사부(110)는 모두 반구 형태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형상이지만, 내부에 곡면을 갖는 형태로 광반사부(110a)로 구현이 가능하다. 다각형의 경우 곡면의 곡률반경이 부분적으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의 (a)와 (b)는 사각형 형태에 곡면을 갖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 외에도 삼각형 또는 오각형에 오목한 곡면이 형성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반사조형물(100)을 실제로 구현한 형태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반사조형물(100)은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부(110)가 지지축(12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복수개의 광반사부(110)가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되고,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다.
각 광반사부(110)에는 장식을 위해 장식부재(180)가 결합될 수 있다. 광반사부(110)로 유입된 광은 광반사부(110)의 내부에서 반사되어 광배출공(111)으로 배출된다. 광이 배출되는 굴절각도와 광의 배출경로에 따라 상이한 빛이 외부로 배출되어 광반사부(110) 표면이 아름답게 빛나게 된다. 또한, 광반사부(110) 주위를 따라 무지개 빛깔의 아름다운 색상이 나타나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색상과 분위기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태양의 고도에 따라 상이해지므로, 한 개의 광반사조형물을 가지도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반사조형물은 광반사부와 지지축으로 형성된 외부 형상 자체만으로도 1차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한다. 이에 덧붙여 광반사부의 내부에서 반사된 광이 외부로 반사되는 과정에서 광반사부의 내외부 형상과 어우러져 다양한 빛의 색깔과 형태를 노출하여 2차적인 빛의 아름다움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빛의 아름다움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태양광의 고도, 관람자의 위치, 관람시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광반사조형물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광반사조형물 110 : 광반사부
111 : 광배출공 120 : 지지축
130 : 베이스 140 : 광반사체
150 : 외부광반사부 151 : 외부광배출공
160 : 스테인글라스 170 : 반사판
171 : 반사공

Claims (7)

  1.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입사광이 반사되는 오목한 곡면이 적어도 일영역에 형성된 광반사부와;
    상기 광반사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반사부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하며,
    상기 광반사부의 판면에는 상기 입사광이 반사된 반사광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광배출공이 복수개 관통형성되며,
    상기 광반사부는 자체적으로 광을 반사하는 광반사체로 형성되거나, 광을 반사하지 않는 비광반사체 재질의 표면에 광반사체를 결합시키거나, 비광반사체 재질에 광반사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되고,
    상기 광반사부 내부에 수용되어 광의 다중굴절을 유도하는 광반사체가 구비되며,
    상기 광의 다중굴절을 유도하는 광반사체는 유리, 거울, 금속의 소재로 형성되며, 구, 다이아몬드,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조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부는 개구가 상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반구형상, 오목한 곡면을 갖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조형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광배출공은 도형, 이미지, 캐릭터, 사물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조형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배출공에는 스테인드글라스가 결합되며, 상기 스테인드글라스에는 채색된 이미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조형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광반사부의 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광반사부로부터 배출된 광을 다시 상기 광반사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외부광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사조형물.
KR1020140087541A 2014-07-11 2014-07-11 광반사조형물 KR101588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541A KR101588528B1 (ko) 2014-07-11 2014-07-11 광반사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541A KR101588528B1 (ko) 2014-07-11 2014-07-11 광반사조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07A KR20160007207A (ko) 2016-01-20
KR101588528B1 true KR101588528B1 (ko) 2016-01-28

Family

ID=5530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541A KR101588528B1 (ko) 2014-07-11 2014-07-11 광반사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69Y1 (ko) * 2017-11-01 2018-03-29 최광 사과 조형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9900A (ja) 2001-07-30 2003-02-13 Shinichi Kawashima 装飾品
CN2667294Y (zh) 2003-12-16 2004-12-29 揭阳市兴财金属制品有限公司 组合式多用途装饰台灯
JP2008305776A (ja) 2007-05-09 2008-12-18 Sanryu:Kk 透視用貫通口あるいは透明部を備えるランプシェー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9900A (ja) 2001-07-30 2003-02-13 Shinichi Kawashima 装飾品
CN2667294Y (zh) 2003-12-16 2004-12-29 揭阳市兴财金属制品有限公司 组合式多用途装饰台灯
JP2008305776A (ja) 2007-05-09 2008-12-18 Sanryu:Kk 透視用貫通口あるいは透明部を備えるランプシェー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69Y1 (ko) * 2017-11-01 2018-03-29 최광 사과 조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07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328B2 (en) Lighting device having fully developed lighting effect
US10222520B2 (en) Chromatic reflective unit
US9915408B2 (en) LED lighting fixture
CN101018978A (zh) 带有百叶窗构件的光源
KR101588528B1 (ko) 광반사조형물
US6309084B1 (en) Lamp showing dynamically changeful luster and shadow
CN103775863A (zh) 壳体内部排布led定形透明材料的光源、装饰、灯饰
US200902076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llumination of levitating bodies
CN106090754A (zh) 一种吸顶灯
JP2016021388A (ja) 照明装置
US20080278960A1 (en) Illuminating structure
US20130271978A1 (en) Large-scale prism luminaires
JPH07164798A (ja) 装飾パネル
WO2003071185A1 (en) Luminaire for emitting light having a variable color
CN212408409U (zh) 一种光束角可调的led投光照明装置
CN206708987U (zh) 一种出光效果好的灯罩及灯具
CN202303029U (zh) 一种橱柜灯
CN219903892U (zh) 一体龟裂宝石面结构
US20120188760A1 (en) System, method, and kit for creating artwork utilizing directional light source and crystal prisms
JP7130906B1 (ja) 光演出構造および光演出装置
CN2300162Y (zh) 眩光反射饰物结构
CN213676208U (zh) 一种具有立体反射效果的线艺工艺品
CN114060745A (zh) 一种光束角可调的led投光照明装置
CN220205482U (zh) 光学系统及灯具
KR200397866Y1 (ko) 반사유리를 이용한 만화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