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416B1 -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416B1
KR101588416B1 KR1020140108832A KR20140108832A KR101588416B1 KR 101588416 B1 KR101588416 B1 KR 101588416B1 KR 1020140108832 A KR1020140108832 A KR 1020140108832A KR 20140108832 A KR20140108832 A KR 20140108832A KR 101588416 B1 KR101588416 B1 KR 101588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guide
lifting
hooking member
convey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훈
Original Assignee
유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훈 filed Critical 유지훈
Priority to KR1020140108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의 걸이부재에 걸려 있는 세탁물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완전히 해소되도록 하면서 세탁물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현저히 감소되면서 작업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배출 장치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의 가이드프레임에 장착되는 설치대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걸이부재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이부재에 걸린 상태로 이송되는 옷걸이의 상단을 들어 올리는 상승작동부와; 상기 걸이부재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대와 이격되게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상승작동부의 하단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대에 장착되고, 선단 상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끝단에 외측으로 라운드진 라운드면이 형성되는 안내부재와; 상기 라운드면의 하부 일측으로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고, 상기 라운드면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안내부재의 단부에서 낙하하는 상기 옷걸이를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LAUNDRY DISCHARGING APPARATUS FOR LAUNDRY TRANSFERRING CONVEYOR}
본 발명은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에 설치하여 세탁물을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의 걸이부재에 걸려 있는 세탁물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완전히 해소되도록 하면서 세탁물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현저히 감소되면서 작업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관리 방식은 세탁소에서 고객으로부터 세탁물을 인도받으면 장부에 고객 정보를 수기로 기록하고, 송장을 교부하게 된다.
그리고 세탁소의 작업자는 세탁물에 송장 번호가 기재된 번호표를 부착하고, 세탁을 마친 후에는 특정 구역을 의미하는 문자나 기호로 이루어진 인식부호를 미리 표기하고, 송장 번호와 인식부호를 장부에 기록해 놓고 세탁물을 특정 구역에 걸어놓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객이 원하는 기일 또는 시간이 되어 송장을 가지고 세탁소에 방문하면, 작업자는 장부를 열람하고 해당 고객의 세탁물이 어느 구역에 걸려있는지를 육안(肉眼)으로 확인한 다음 다시 해당 구역으로 작업자가 직접 이동하여 해당 세탁물을 찾아 세탁물을 고객에게 인도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세탁물 관리방식은 영세한 사업장인 경우에는 불편함에도 일정부분 운영이 가능하나, 대규모 사업장인 경우에는 그 세탁물 및 고객의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당 세탁물을 찾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작업능률의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69720호의 "알에프 태그를 이용한 세탁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알에프 태그를 이용한 세탁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은 회전식으로 작동하며 걸려있는 세탁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장치(100)와, 그 컨베이어장치(100)의 회전을 제어하여 원하는 세탁물을 출고위치로 이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서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장치(100)는 세탁물을 이송시키는 무한궤도식의 컨베이어(200)와, 그 컨베이어(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M)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200)는 원형봉 형상의 가이드프레임(201)과, 그 가이드프레임(201)의 하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을 걸 수 있는 다수의 걸이부재(202)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이부재(202)들은 전후 양단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힌지공(H)이 형성되고, 그 힌지공(H)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힌지편(203)으로 다수의 걸이부재(202)들을 연속적으로 체결하여 링크형식으로 연결하여 무한궤도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걸이부재(202)의 돌출 힌지편(203)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표면에 접촉되어 걸이부재(202)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롤러(204)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01)의 곡선주로 내측에는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원판형상의 회전체(3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회전체(300)는 그 테두리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견인홈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걸이부재 (202)의 상단에 형성되는 돌출 힌지편(203)을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300)의 반대편의 곡선주로의 내측에는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테두리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견인홈(401)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연동 회전체(4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연동 회전체(400)는 걸이부재(202)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종래의 컨베이어는 옷걸이를 통해 걸이부재에 걸린 세탁물을 상기 걸이부재에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상기 걸이부재에서 상기 옷걸이를 빼내어야 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량의 세탁물을 일일이 배출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08-69720호의 "알에프 태그를 이용한 세탁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2008.07.2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의 걸이부재에 걸려 있는 세탁물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완전히 해소되도록 하면서 세탁물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현저히 감소되면서 작업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사배출봉을 통해 이송 컨베이어에서 배출된 세탁물이 정해진 위치로 보다 신속하게 하강되어 후속 배출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의 가이드프레임에 장착되는 설치대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걸이부재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이부재에 걸린 상태로 이송되는 옷걸이의 상단을 들어 올리는 상승작동부와; 상기 걸이부재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대와 이격되게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상승작동부의 하단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대에 장착되고, 선단 상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끝단에 외측으로 라운드진 라운드면이 형성되는 안내부재와; 상기 라운드면의 하부 일측으로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고, 상기 라운드면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안내부재의 단부에서 낙하하는 상기 옷걸이를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의 상기 상승작동부는, 상기 설치대의 하단 일측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설치대의 하단에 장착되는 수직대와, 상기 수직대의 하단에 수평으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에 장착되고 상기 걸이부재의 하단을 감싸도록 유자형으로 형성되는 상승부재와, 상기 상승부재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의 상기 상승작동부는, 상기 안내부재에 대응하여 상기 상승부재의 상단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면이 평평한 안내돌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의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풀리와, 상기 풀리에 무한궤도로 감기어 상기 옷걸이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는, 상기 이송부의 단부에 설치되고,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옷걸이가 걸려 하부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사배출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의 걸이부재에 걸려 있는 세탁물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완전히 해소되고, 세탁물의 배출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현저히 감소되며, 그에 따라 세탁물 배출 작업의 효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배출봉을 통해 이송 컨베이어에서 배출된 세탁물이 정해진 위치로 보다 신속하게 하강되어 후속 배출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배출 장치가 설치된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배출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배출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배출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배출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배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배면도,
도 11은 종래의 이송 컨베이어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이송 컨베이어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배출 장치를 보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배출 장치(1)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C)에 설치되어 상기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C)를 통해 이송되는 옷걸이(H)를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C)는 무한궤도로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G)에 판형의 걸이부재(T)가 롤러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모터구동부(M)에 의해 상기 걸이부재(T)가 상기 가이드프레임(G)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걸이부재(T)에 걸이공(T1)에 걸린 옷걸이(H)를 이송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옷걸이(H)에는 세탁물이 거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배출 장치(1)는 상기 가이드프레임(G)에 설치되는 설치대(10)와, 상기 설치대(10)에 장착되는 상승작동부(20)와, 상기 가이드프레임(G)의 타측에 설치되는 고정대(30)와, 상기 고정대(30)에 설치되는 안내부재(40)와, 상기 고정대(30)에 설치되는 이송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대(10)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C)의 가이드프레임(G)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승작동부(2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승작동부(20)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C)의 걸이부재(T)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대(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걸이부재(T)에 걸린 상태로 이송되는 옷걸이(H)의 상단을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상승작동부(20)는 상기 설치대(10)의 하단 일측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는 유압실린더(21)와, 상기 설치대(10)의 하단에 장착되는 수직대(22)와, 상기 수직대(22)의 하단에 수평으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핀(23)과, 상기 힌지핀(23)에 장착되고 상기 걸이부재(T)의 하단을 감싸도록 유자형으로 형성되는 상승부재(24)와, 상기 상승부재(24)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압실린더(21)의 로드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턱(25)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실린더(21)는 공압 또는 유압의 공급에 의해 작동되는 공지의 것으로, 상기 힌지핀(23)에 힌지 결합된 상기 상승부재(24)를 당겨서 절곡시키거나 밀어서 그 절곡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대(22)는 상기 설치대(10)의 하부측으로 상기 힌지핀(23)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힌지핀(23)은 상기 상승부재(24)가 장착되어 상기 상승부재(24)가 상기 수직대(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승부재(24)는 유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압실린더(21)에 의해 상기 힌지핀(23)을 중심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걸이부재(T)의 걸이공(T1)에 걸려 있는 상기 옷걸이(H)의 상단을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턱(25)은 상기 유압실린더(21)의 로드의 하단이 상기 상승부재(24)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연결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승작동부(20)는 상기 안내부재(40)에 대응하여 상기 상승부재(24)의 상단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면이 평평한 안내돌턱(2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안내돌턱(26)은 상기 안내부재(40)까지 연결되어 상기 옷걸이(H)가 상기 상승부재(24)에서 상기 안내부재(40)로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대(30)는 상기 걸이부재(T)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대(10)와 이격되게 상기 가이드프레임(G)에 엘자형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G)의 외측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안내부재(40)와 이송부(5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부재(40)는 상기 고정대(30)에 장착되고 상기 상승작동부(20)가 상기 걸이부재를 들어올릴 때 상기 상승작동부(20)와 연이어지도록 선단 상면에 경사면(41)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41)의 끝단에 외측으로 라운드진 라운드면(42)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승부재(24)의 안내돌턱(26)에 의해 상부측으로 들어 올려진 상기 옷걸이(H)의 상단이 상기 걸이부재(T)의 수평이동과 함께 밀리어 상기 경사면(41)과 라운드면(42)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걸이부재(T)의 걸이공(T1)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부(50)는 상기 라운드면(42)의 하부 일측으로 상기 고정대(3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라운드면(42)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안내부재(40)의 단부에서 낙하하는 상기 옷걸이(H)를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이송부(50)는 상기 고정대(30)에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풀리(51)와, 상기 풀리(51)에 무한궤도로 감기어 상기 옷걸이(H)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벨트(52)를 포함한다.
상기 풀리(51)는 외부케이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풀리(51) 중의 하나에 모터구동부가 설치되어 상기 풀리(51)가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벨트(52)를 무한궤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벨트(52)는 상기 풀리(51)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되면서 그 상면에 낙하되어 걸리는 상기 옷걸이(H)를 상기 걸이부재(T)의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세탁물 배출 장치는 상기 이송부(50)의 단부에 설치되고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배출봉(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경사배출봉(60)은 상기 이송벨트(52)에 의해 이송된 상기 옷걸이(H)의 상단이 걸리면서 그 중량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부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상기 옷걸이(H)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배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C)의 구동에 의해 옷걸이(H)가 상기 걸이공(T1)에 걸린 상태로 상기 걸이부재(T)가 상기 가이드프레임(G)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로 수평으로 이송된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21)의 작동에 의해 상기 힌지핀(23)을 중심으로 상기 상승부재(24)가 상부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안내돌턱(26)을 절곡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안내돌턱(26)이 상기 옷걸이(H)를 상부측으로 들어 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돌턱(26)의 상면은 상기 안내부재(40)의 경사면(41)과 일치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돌턱(26)에 의해 상부측으로 들어 올려진 상기 옷걸이(H)는 상기 걸이부재(T)의 수평 이동과 함께 수평으로 밀리면서 상기 안내돌턱(26)에서 상기 안내부재(40)의 경사면(41)을 따라 이동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재(T)의 계속되는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40)의 경사면(4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는 상기 옷걸이(H)는 상기 안내부재(40)의 라운드면(42)을 따라 계속 이동되면서 상기 걸이부재(T)의 걸이공(T1)에서 완전히 이탈된 후에 상기 이송벨트(52)의 상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벨트(52)의 상면으로 상기 옷걸이(H)가 낙하하면 상기 이송벨트(52)의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옷걸이(H)가 상기 걸이부재(T)의 외측으로 이송되어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설치대
20 : 상승작동부
21 : 유압실린더 22 : 수직대
23 : 힌지핀 24 : 상승부재
25 : 연결턱 26 : 안내돌턱
30 : 고정대
40 : 안내부재
41 : 경사면 42 : 라운드면
50 : 이송부
51 : 풀리 52 : 이송벨트
60 : 경사배출봉
C : 이송 컨베이어
G : 가이드프레임
T : 걸이부재 T1 : 걸이공
H : 옷걸이

Claims (5)

  1.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의 가이드프레임에 장착되는 설치대(1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걸이부재의 내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대(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이부재에 걸린 상태로 이송되는 옷걸이의 상단을 들어 올리는 상승작동부(20)와;
    상기 걸이부재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설치대(10)와 이격되게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대(30)와;
    상기 고정대(30)에 장착되고, 상기 상승작동부(20)가 상기 걸이부재를 들어올릴 때 상기 상승작동부(20)와 연이어지도록 선단 상면에 경사면(41)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41)의 끝단에 외측으로 라운드진 라운드면(42)이 형성되는 안내부재(40)와;
    상기 라운드면(42)의 하부 일측으로 상기 고정대(30)에 설치되고, 상기 라운드면(42)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안내부재(40)의 단부에서 낙하하는 상기 옷걸이를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작동부(20)는,
    상기 설치대(10)의 하단 일측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는 유압실린더(21)와,
    상기 설치대(10)의 하단에 장착되는 수직대(22)와,
    상기 수직대(22)의 하단에 수평으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핀(23)과,
    상기 힌지핀(23)에 장착되고 상기 걸이부재의 하단을 감싸도록 유자형으로 형성되는 상승부재(24)와,
    상기 상승부재(24)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압실린더(21)의 로드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턱(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작동부(20)는,
    상기 안내부재(40)에 대응하여 상기 상승부재(24)의 상단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면이 평평한 안내돌턱(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50)는,
    상기 고정대(30)에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풀리(51)와,
    상기 풀리(51)에 무한궤도로 감기어 상기 옷걸이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벨트(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장치는,
    상기 이송부(50)의 단부에 설치되고,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옷걸이가 걸려 하부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사배출봉(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
KR1020140108832A 2014-08-21 2014-08-21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 KR101588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832A KR101588416B1 (ko) 2014-08-21 2014-08-21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832A KR101588416B1 (ko) 2014-08-21 2014-08-21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416B1 true KR101588416B1 (ko) 2016-01-25

Family

ID=5530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832A KR101588416B1 (ko) 2014-08-21 2014-08-21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552B1 (ko) * 2023-06-12 2023-11-29 주식회사 청세 세탁물 출고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1327A (ja) * 1993-01-14 1994-08-02 Nisshin Denshi Kogyo Kk ハンガートロリーの自動移載装置
KR20080069720A (ko) 2006-12-14 2008-07-29 권혁숙 알에프 태그를 이용한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1327A (ja) * 1993-01-14 1994-08-02 Nisshin Denshi Kogyo Kk ハンガートロリーの自動移載装置
KR20080069720A (ko) 2006-12-14 2008-07-29 권혁숙 알에프 태그를 이용한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552B1 (ko) * 2023-06-12 2023-11-29 주식회사 청세 세탁물 출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50655A (zh) 一种焊接车间用钢板搬运夹持器
CN205151499U (zh) 大型法兰自动吊装架
KR101588416B1 (ko)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용 세탁물 배출 장치
KR20080069720A (ko) 알에프 태그를 이용한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 시스템
WO2016170528A1 (en) Baggage handling system
CN207242686U (zh) 一种垂直提升机机架及垂直提升机
CN209684950U (zh) 一种用于立式供料盘的钢带输送装置
CN108137242B (zh) 具有枢转框架以及水平的导向和保持槽的支撑辊架
CN109018825B (zh) 一种高效飞轮清洗喷漆转运装置
JP2006240845A (ja) 容器の段ばらし装置
KR102111516B1 (ko) 세탁물 자동 분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물 자동 분류방법
EP1084971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objects, particularly plates, and process of and system for checking plates in an eating establishment
CN213139367U (zh) 一种全自动打圆孔在线贴标机
CN207618382U (zh) 自动分拣货柜及自动分拣货架
KR101597271B1 (ko) 세탁물 이송 컨베이어
CN205187207U (zh) 一种菌类培育装置
CN107019050A (zh) 一种豆皮挂杆机构及豆皮线
CN114180286A (zh) 一种用于服装面料流转的支轨结构
CN210022604U (zh) 木纹铝材的生产线
CN205347451U (zh) 一种皮革自动挂杆机
CN205687012U (zh) 一种用于圆瓶的出料装置
CN216532274U (zh) 一种振动输送控制器
CN212355926U (zh) 一种装饰纸生产线的输送装置
CN211544193U (zh) 一种斜压平商标机的上料装置
CN113619998B (zh) 待喷涂件自动上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