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817B1 -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817B1
KR101587817B1 KR1020140132053A KR20140132053A KR101587817B1 KR 101587817 B1 KR101587817 B1 KR 101587817B1 KR 1020140132053 A KR1020140132053 A KR 1020140132053A KR 20140132053 A KR20140132053 A KR 20140132053A KR 101587817 B1 KR101587817 B1 KR 10158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astening
fuel tank
frame
g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년
주유석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140132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는: 연료탱크펌프를 연료탱크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과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기어부와, 프레임부를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에 맞물려서 이동되는 동력전달기어부와, 프레임부에 복수 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동력전달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기어부와 함께 회전되며 고정브라켓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체결볼트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체결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FASTENING APPARATUS FOR PUMP OF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탱크펌프를 연료탱크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의 조임토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에는 연소실에서 연소될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연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하여 자동차에는 연료공급장치가 구비된다. 자동차의 연료공급장치는 엔진의 작동상태에 따라 엔진이 필요로 하는 연료를 기화기 또는 연료분사장치로 공급한다. 자동차의 연료공급장치는, 연료탱크, 연료탱크 내의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탱크펌프, 연료탱크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연료를 연소실 쪽으로 공급하는 연료공급파이프를 포함한다.
통상의 연료탱크펌프는 펌프 본체 등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연료탱크 내에 내장되며, 상부플레이트와 연료를 압송하는 파이프 등 일부의 구성요소만이 연료탱크 외부로 설치되거나 연결된다.
종래에는 연료탱크펌프를 연료탱크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플레이트를 감싸는 브라켓을 고정할 때, 체결볼트를 하나씩 체결하는 작업에 의해 체결볼트의 조임토크가 불균일하게 되므로 연료탱크펌프와 연료탱크의 사이로 누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25965호(2014.03.05 공개, 발명의 명칭: 자동차의 연료탱크펌프 모듈)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탱크펌프를 연료탱크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의 조임토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는: 연료탱크펌프를 연료탱크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과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기어부와, 프레임부를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에 맞물려서 이동되는 동력전달기어부와, 프레임부에 복수 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동력전달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기어부와 함께 회전되며 고정브라켓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체결볼트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체결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부는, 고정브라켓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회전기어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체결기어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체결기어부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프레임은,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회전기어부의 제1기어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제1패널 및 제1패널에 고정되며 회전기어부의 제1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기어는 제1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서 동력전달기어부에 맞물리며, 제1회전축은 제1패널과 제1커버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프레임은, 베이스부에 구비된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과 마주하며 체결기어부의 제2기어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제2패널 및 제2패널에 고정되며 체결기어부의 제2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기어부는, 제2회전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체결볼트가 내측에 삽입되어 걸리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2기어는 제2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서 동력전달기어부에 맞물리며, 제2회전축은 제2패널과 제2커버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기어부의 양측에 체결기어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력전달기어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기어부와 체결기어부의 측면에 위치하는 기어몸체 및 기어몸체에서 돌출되어 회전기어부와 체결기어부에 맞물리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는, 체결기어부가 복수 개의 체결볼트를 동시에 회전시켜 체결볼트의 조임토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연료탱크펌프와 연료펌프의 사이로 누유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가 체결작업을 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용 연료탱크펌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가 체결작업을 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1)는, 연료탱크펌프(10)를 연료탱크(14)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16)과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프레임부(20)와,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기어부(30)와, 프레임부(20)를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30)에 맞물려서 이동되는 동력전달기어부(40)와, 프레임부(20)에 복수 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동력전달기어부(40)에 맞물려서 회전기어부(30)와 함께 회전되며 고정브라켓(16)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체결볼트(19)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체결기어부(50)를 포함한다.
연료탱크(14)는 자동차의 연료가 저장되기 위한 내측공간이 구비되며, 연료탱크(14)에 연료탱크펌프(10)가 고정된다. 연료탱크펌프(10)는 엔진의 작동상태에 따라 엔진이 필요로 하는 연료를 기화기 또는 연료분사장치로 공급한다.
연료탱크펌프(10)는 연료탱크(14)에 연결되는 상부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상부플레이트(12)는 연료탱크(14)에 걸린 상태로 고정된다. 상부플레이트(1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플레이트(12)의 테두리 하측은 연료탱크(14)에 걸려서 하측 이동이 구속된다. 한편 상부플레이트(12)의 하측에 펌프 등이 구비되며, 이러한 연료탱크펌프(10)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으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료탱크(14)에 구비된 구멍은 상부플레이트(12)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상부플레이트(12)가 연료탱크(14)의 외측에 걸린 상태가 되며, 상부플레이트(12)의 외측에 링 형상의 장착브라켓(18)이 고정된다. 장착브라켓(18)은 용접에 의해 연료탱크(14)의 상측에 고정되며, 체결볼트(19)가 장착되는 부분은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제작된다. 장착브라켓(18)의 상측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고정브라켓(16)은 상부플레이트(12)의 상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부플레이트(12)를 따라 복수의 체결볼트(19)가 체결되며, 체결볼트(19)가 체결되는 위치에 있는 장착브라켓(18)은 체결볼트(19)가 연료탱크(14)의 외측에 접하지 못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다.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1)가 동작되어 서로 마주하는 2개 이상의 체결볼트(19)를 동시에 회전시키므로, 체결볼트(19)의 체결작업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부(20)는 연료탱크펌프(10)를 연료탱크(14)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16)과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되며, 2개 이상의 체결볼트(19)와 마주하며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20)는 베이스부(21), 고정프레임(23), 이동프레임(26), 커버프레임(29)을 포함한다.
베이스부(21)는 고정브라켓(16)의 상측에 길이방향(D)으로 연장된다. 베이스부(21)에는 이동프레임(26)의 길이방향(D) 이동을 안내하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22)이 베이스부(21)의 길이방향(D)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홀(22)은 이동프레임(26)의 양측에 형성되며, 가이드홀(22)이 형성된 베이스부(2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프레임(23)은 회전기어부(30)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부(21)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23)은, 베이스부(21)에 고정되며 회전기어부(30)의 제1기어(34)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제1패널(24)과, 제1패널(24)에 고정되며 회전기어부(30)의 제1회전축(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커버(25)를 포함한다. 제1커버(25)는 판 형상이며, 제1커버(25)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1패널(24)에는 회전기어부(30)의 제1기어(34)가 회전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제1패널(24)은 제1커버(25)에 고정되며, 제1커버(25)는 베이스부(21)에 고정된다.
이동프레임(26)은 내측에 체결기어부(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부(21)를 따라 길이방향(D)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프레임(26)은, 베이스부(21)에 구비된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22)과 마주하며 체결기어부(50)의 제2기어(54)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제2패널(27)과, 제2패널(27)에 고정되며 체결기어부(50)의 제2회전축(5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커버(28)를 포함한다. 제2커버(28)는 판 형상이며, 제2커버(28)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패널(27)에는 체결기어부(50)의 제2기어(54)가 회전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제2패널(27)은 제2커버(28)에 고정되며, 제2커버(28)는 베이스부(21)에 고정된다. 이동프레임(26)에 체결되는 가이드볼트(100)는 가이드홀(22)을 관통하여 가이드홀(22)의 하측으로 돌출되어서 가이드너트(102)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동프레임(26)은 가이드홀(22)을 따라 이동된 후에 가이드볼트(100)가 가이드너트(102)에 고정되는 작업에 의해 이동프레임(26)의 이동이 구속된다.
커버프레임(29)은 체결기어부(50)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부(21)에 고정된다. 커버프레임(29)과 베이스부(21)의 사이에는 동력전달기어부(40)가 길이방향(D)으로 이동된다. 커버프레임(29)의 단면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동력전달기어부(40)의 상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회전기어부(30)는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동력전달기어부(40)를 통해 체결기어부(50)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30)는 제1회전축(32)과 제1기어(34)와 커넥팅부재(36)를 포함한다.
제1회전축(32)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패널(24)과 제1커버(25)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회전축(32)의 상측은 고정프레임(23)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제1회전축(32)의 상측에 커넥팅부재(36)가 고정된다. 커넥팅부재(36)는 동력공급부(95)에 연결되어 미끄럼 현상 없이 동력공급부(95)의 동력을 공급받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부재(36)는 육각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사각단면 형상의 홈이 구비된다.
제1기어(34)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기어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기어(34)는 제1회전축(3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동력전달기어부(40)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한편 회전기어부(30)의 양측에 체결기어부(50)가 설치되며, 회전기어부(30)와 체결기어부(50)는 동력전달기어부(40)에 의해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동력전달기어부(40)는 프레임부(20)를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30)와 체결기어부(50)에 동시에 맞물려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기어부(4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기어부(30)와 체결기어부(50)의 측면에 위치하는 기어몸체(42)와, 기어몸체(42)에서 돌출되어 회전기어부(30)와 체결기어부(50)에 맞물리는 랙기어(44)를 포함한다.
동력전달기어부(40)는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30)와 체결기어부(50)에 동시에 맞물리므로, 회전기어부(30)로 전달된 동력을 체결기어부(50)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체결기어부(50)는 프레임부(20)에 복수 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동력전달기어부(40)에 맞물려서 회전기어부(30)와 함께 회전되며, 고정브라켓(16)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체결볼트(19)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기어부(50)는 제2회전축(52)과 제2기어(54)와 연결부(56)를 포함한다.
제2회전축(52)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제2패널(27)과 제2커버(28)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회전축(52)의 상측은 이동프레임(26)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제2회전축(52)의 하측에 연결부(56)가 연결된다. 연결부(56)는 제2회전축(5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체결볼트(19)가 내측에 삽입되어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제2기어(54)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기어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기어(54)는 제2회전축(5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동력전달기어부(40)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동안내부(60)는 동력전달기어부(40)가 길이방향(D)으로 직선 이동됨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안내부(60)는 고정핀부재(62)와 안내홀(64)을 포함한다.
안내홀(64)은 동력전달기어부(40)의 기어몸체(42) 내측에 길이방향(D)으로 장공의 홀을 형성하며, 안내홀(64)이 형성된 기어몸체(42)의 상측과 하측은 연통된다. 고정핀부재(62)는 안내홀(64)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프레임부(20)에 고정된다. 고정핀부재(62)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안내홀(64)이 구비된 동력전달기어부(40)의 직선방향 이동이 가이드되며, 기어몸체(42)의 이동거리도 안내홀(64)의 형상 변경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1)는 2개의 체결볼트(19)를 동시에 체결할 수 있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3개 이상의 체결볼트(19)를 동시에 체결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장착브라켓(18)이 연료탱크(14)의 외측에 용접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연료탱크펌프(10)의 상부플레이트(12)가 연료탱크(14)의 외측에 걸쳐진다. 그리고, 상부플레이트(12)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고정브라켓(16)을 위치한 후, 체결볼트(19)를 가조립한다. 체결볼트(19)는 고정브라켓(16)을 관통하여 장착브라켓(18)에 체결되며,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체결볼트(19)는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1)의 연결부(56)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커넥팅부재(36)는 외부의 동력공급원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공급받으며, 커넥팅부재(36)의 회전에 의해 커넥팅부재(36)에 고정된 제1회전축(32)이 회전된다. 제1회전축(32)과 함께 제1기어(34)가 회전되며, 제1기어(34)에 맞물린 동력전달기어부(40)가 직성방향으로 이동된다.
동력전달기어부(40)에 맞물린 체결기어부(50)가 회전되면서, 체결기어부(50)의 하측에 구비된 연결부(56)도 회전되어 2개의 체결볼트(19)를 동시에 가압한다.
따라서 고정브라켓(16)을 장착브라켓(18)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체결볼트(19)가 동시에 회전되므로 고정브라켓(16)을 고정시키는 체결볼트(19)의 조임토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고정브라켓(16)과 상부플레이트(12)의 고정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3)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3)는, 체결기어부(50)의 간격을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한 간격측정부(70)가 사용된다. 간격측정부(70)는 광선을 조사하는 조사부(72)와, 조사부(72)에서 발생된 광선을 수광하는 수광부(74)를 포함한다.
조사부(72)는 길이방향(D) 일측에 위치하는 이동프레임(26)의 측면에 설치되며, 수광부(74)는 길이방향(D) 타측에 위치하는 이동프레임(26)의 측면에 설치된다. 간격측정부(70)의 측정값은 제어부(80)로 전달되며, 제어부(80)는 간격측정부(70)의 측정값을 표시부(85)로 출력한다.
작업자는 표시부(85)에 표시된 간격측정부(70)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체결볼트(19)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을 갖도록 이동프레임(26)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로봇(90)의 로봇팔(92)과 동력공급부(9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로봇팔(92)은 프레임부(20)를 파지하여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3)를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로봇(90)에 파지된 동력공급부(95)는 로봇(90)의 동작에 의해 이동되어 회전기어부(30)의 커넥팅부재(36)에 연결되므로 회전기어부(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기어부(50)가 복수 개의 체결볼트(19)를 동시에 회전시켜 체결볼트(19)의 조임토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연료탱크펌프(10)와 연료펌프의 사이로 누유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용 연료탱크펌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른 기계장치에서 사용되는 연료탱크펌프의 고정이나 다른 기계요소의 고정에도 본 발명에 의한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3: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10: 연료탱크펌프 12: 상부플레이트 14: 연료탱크 16: 고정브라켓 18: 장착브라켓 19: 체결볼트
20: 프레임부 21: 베이스부 22: 가이드홀 23: 고정프레임 24: 제1패널 25: 제1커버 26: 이동프레임 27: 제2패널 28: 제2커버 29: 커버프레임
30: 회전기어부 32: 제1회전축 34: 제1기어 36: 커넥팅부재
40: 동력전달기어부 42: 기어몸체 44: 랙기어
50: 체결기어부 52: 제2회전축 54: 제2기어 56: 연결부
60: 이동안내부 62: 고정핀부재 64: 안내홀
70: 간격측정부 72: 조사부 74: 수광부
80: 제어부 85: 표시부
90: 로봇 92: 로봇팔 95: 동력공급부
100: 가이드볼트 102: 가이드너트
D: 길이방향

Claims (8)

  1. 연료탱크펌프를 연료탱크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과 마주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기어부;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어부에 맞물려서 이동되는 동력전달기어부;
    상기 프레임부에 복수 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기어부에 맞물려서 상기 회전기어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체결볼트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체결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
    상기 회전기어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체결기어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체결기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기어부의 제1기어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제1패널; 및
    상기 제1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기어부의 제1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제1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동력전달기어부에 맞물리며,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1커버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된 장공 형상의 가이드홀과 마주하며, 상기 체결기어부의 제2기어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제2패널; 및
    상기 제2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체결기어부의 제2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기어부는, 상기 제2회전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체결볼트가 내측에 삽입되어 걸리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2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서 상기 동력전달기어부에 맞물리며,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제2패널과 상기 제2커버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부의 양측에 상기 체결기어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어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기어부와 상기 체결기어부의 측면에 위치하는 기어몸체; 및
    상기 기어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회전기어부와 상기 체결기어부에 맞물리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KR1020140132053A 2014-09-30 2014-09-30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KR101587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053A KR101587817B1 (ko) 2014-09-30 2014-09-30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053A KR101587817B1 (ko) 2014-09-30 2014-09-30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817B1 true KR101587817B1 (ko) 2016-01-25

Family

ID=5530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053A KR101587817B1 (ko) 2014-09-30 2014-09-30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8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8429A (zh) * 2016-06-29 2018-01-05 佳木斯骥驰拖拉机制造有限公司 圆螺母锁紧装置
CN115781258A (zh) * 2022-12-07 2023-03-14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一种汽车前罩铰链拧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6172A (ja) * 1996-02-06 1997-08-19 Fuji Seiki Eng:Kk ボルトの締付装置及び締結手段
JP2000084760A (ja) * 1998-09-07 2000-03-28 Nec Corp ネジ締め装置及びネジ締め方法
KR20120078802A (ko) * 2011-01-03 2012-07-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터빈 배기관 내부볼트용 유압렌치
JP2013063473A (ja) * 2011-09-15 2013-04-11 Toyota Motor Corp ナットラン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6172A (ja) * 1996-02-06 1997-08-19 Fuji Seiki Eng:Kk ボルトの締付装置及び締結手段
JP2000084760A (ja) * 1998-09-07 2000-03-28 Nec Corp ネジ締め装置及びネジ締め方法
KR20120078802A (ko) * 2011-01-03 2012-07-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스터빈 배기관 내부볼트용 유압렌치
JP2013063473A (ja) * 2011-09-15 2013-04-11 Toyota Motor Corp ナットラン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38429A (zh) * 2016-06-29 2018-01-05 佳木斯骥驰拖拉机制造有限公司 圆螺母锁紧装置
CN115781258A (zh) * 2022-12-07 2023-03-14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一种汽车前罩铰链拧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5769C (en) Coating apparatus
KR101587817B1 (ko) 연료탱크펌프용 체결장치
JPWO2014076806A1 (ja) 管内走行装置及び走行体
WO2013111399A1 (en) Electric clamp apparatus
KR101513476B1 (ko) 터빈용 연소기 조립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US8820466B2 (en) Working machine
KR20100137805A (ko) 트랜스미션용 지그장치
US8819995B2 (en) Window regulator and jig
CN216802321U (zh) 一种钢管焊接用环缝自动焊接去应力装置
KR20130076133A (ko) 유성감속기 백래쉬 측정장치
EP2676796A1 (en) Plate cylinder drive device in printing machine
KR20140141058A (ko) 페달용 내구 시험장치
KR20070116328A (ko) 전기식 조향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56435A (ko) 회전형 지그장치
KR200487904Y1 (ko) 일체형 모터 커플링 장치
KR20150000734A (ko) 튜브 자동 용접장치
JP2012188211A (ja) 産業車両用回転クランプ装置の垂直姿勢検知機構
KR102315120B1 (ko) 원형관 파지 및 회전 장치
KR20220131031A (ko) 포지셔너 겸용 터닝 롤러가 구비되는 터닝 장치
KR20140091216A (ko) 가변공급관을 갖는 피스 자동 체결기
CN107081564B (zh) 三缝焊接装置
KR200467688Y1 (ko) 너트탭핑용 슈트의 정렬장치
KR20160050133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용 감속장치
KR20170037143A (ko) 차량부품용 내구성 시험장치
JP2013184682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