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806B1 -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806B1
KR101587806B1 KR1020140066420A KR20140066420A KR101587806B1 KR 101587806 B1 KR101587806 B1 KR 101587806B1 KR 1020140066420 A KR1020140066420 A KR 1020140066420A KR 20140066420 A KR20140066420 A KR 20140066420A KR 101587806 B1 KR101587806 B1 KR 101587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electrode
housing
adjust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024A (ko
Inventor
정기웅
이정하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140066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8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는: 용접대상물의 일측에 접하는 제1전극과, 제1전극이 고정되는 제1이동부와, 제1이동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1이동부의 회전은 구속하고 직선이동은 허용하는 제1하우징부와, 제1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이동부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며 제1이동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MOVING ELECTRODE WE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복수개의 전극이 이동되어 전극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항 용접법에는 프로젝션(Projection) 용접, 저항심(Resistance Seam) 용접, 저항벗(Resistance Butt) 용접, 벗심(Butt Seam) 용접, 점(Spot) 용접 등이 있다. 특히 전극의 형상에 의해서 전류 밀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점 용접과 용접 모재의 형상에 의해 전류 밀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프로젝션 용접이 많이 사용된다. 점 용접은, 상하의 전극 사이에 도전성의 용접 모재를 겹쳐 배치한 후, 적절한 압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상하의 전극에 전압을 공급하여 용접 모재에 전류를 통전시켜 용접하는 방법이다. 이때 전류의 통전과정에서 도전성의 용접 모재는 저항에 기인한 발열이 발생되며, 이러한 발열에 의해 용접 모재의 적어도 일부가 용융되면서 용접 모재간의 접합이 일어난다. 이때 전류의 경로 중에서 전극과 용접 모재가 접하는 계면 및 두 용접 모재의 계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값을 나타냄에 따라 높은 발열량을 나타내며 용접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40298호(2013.12.24 공개, 발명의 명칭: 저항 점 용접 전극의 드레싱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전극의 형상도 변형되므로 제품의 개발비가 상승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복수개의 전극이 이동되어 전극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는: 용접대상물의 일측에 접하는 제1전극과, 제1전극이 고정되는 제1이동부와, 제1이동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1이동부의 회전은 구속하고 직선이동은 허용하는 제1하우징부와, 제1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이동부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며 제1이동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대상물의 타측에 접하는 제2전극과, 제2전극이 고정되는 제2이동부와, 제2이동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2이동부의 회전은 구속하고 직선이동은 허용하는 제2하우징부와, 제2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2이동부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며 제2이동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이동부는, 제1조절부의 외측에 맞물리는 치형을 구비하는 제1기어부 및 일측은 제1기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전극에 고정되며 제1하우징부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이동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기어부는, 제1이동몸체에 연결되는 제1기어몸체 및 제1기어몸체에 연결되며 제1조절부에 접하는 상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제1기어몸체에 맞물리는 제1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하우징부는, 제1조절부가 이동되는 제1연결공이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제1하우징몸체 및 제1하우징몸체에 고정되며 제1이동부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제1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제1측면돌기를 구비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지지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제1지지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전극과 제1이동부와 제1조절부도 복수개로 구비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조절부는, 제1이동부에 맞물려 돌아가는 치형이 외측에 구비되는 제1조절몸체 및 제1조절몸체에서 제1하우징부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작업공구가 삽입되어 걸리는 제1삽입홀을 구비하는 제1조절머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이동부는, 제2조절부의 외측에 맞물리는 치형을 구비하는 제2기어부 및 일측은 제2전극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기어부에 고정되며 제2하우징부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이동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하우징부는, 제2조절부가 이동되는 제2연결공이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제2하우징몸체 및 제2하우징몸체에 고정되며 제2이동부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제2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제2측면돌기를 구비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지지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제2지지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전극과 제2이동부와 제2조절부도 복수개로 구비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는, 제1조절부와 제2조절부의 회전으로 복수개의 제1전극과 제2전극이 용접대상물의 형상에 맞게 이동되어 전극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극과 제2전극이 용접대상물과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극과 제2전극이 용접대상물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극과 제1이동부와 제1하우징과 제1조절부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극과 제2이동부와 제2하우징과 제2조절부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접대상물이 설치되는 모재를 연료탱크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극과 제2전극이 용접대상물과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극과 제2전극이 용접대상물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극과 제1이동부와 제1하우징과 제1조절부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극과 제2이동부와 제2하우징과 제2조절부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1)는, 용접대상물(10)의 일측에 접하는 제1전극(20)과, 제1전극(20)이 고정되는 제1이동부(30)와, 제1이동부(3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1이동부(30)의 회전은 구속하고 직선이동은 허용하는 제1하우징부(40)와, 제1하우징부(4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이동부(30)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며 제1이동부(30)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1)는 용접대상물(10)의 상측에 설치된 제1전극(20), 제1이동부(30), 제1하우징부(40), 제1조절부(50)만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2전극(60), 제2이동부(70), 제2하우징부(80), 제2조절부(90)를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1)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1)는, 용접대상물(10)의 타측에 접하는 제2전극(60)과, 제2전극(60)이 고정되는 제2이동부(70)와, 제2이동부(7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2이동부(70)의 회전은 구속하고 직선이동은 허용하는 제2하우징부(80)와, 제2하우징부(8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2이동부(70)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며 제2이동부(70)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조절부(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1)에 의해 고정되는 용접대상물(10)은 링 형상의 펌프플레이트 이며, 용접대상물(10)이 고정되는 모재(12)는 연료탱크이다. 용접대상물(10)이 모재(12)에 용접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펌프유닛이 용접대상물(10)에 고정된다. 모재(12)와 용접대상물(10)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용접대상물(10)의 상측에 접하는 제1전극(20)과, 모재(12)의 하측에 접하는 제2전극(60)의 위치가 가변된다.
제1전극(20)은 용접대상물(10)의 일측(이하 도 2 기준 상측)에 접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극(20)의 종단면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전극(20)의 하측은 용접대상물(10)의 상측에 접하며 제1전극(20)의 상측은 제1이동부(30)에 접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제1전극(20)은 제1이동부(30)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이동부(30)는 제1전극(20)이 고정되어 제1전극(20)과 함께 이동되며, 제1조절부(50)에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제1조절부(50)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부(30)는, 제1조절부(50)의 외측에 맞물리는 치형을 구비하는 제1기어부(32)와, 일측은 제1기어부(32)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1전극(20)에 고정되며 제1하우징부(40)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이동몸체(38)를 포함한다.
제1기어부(32)는 제1조절부(50)의 외측에 형성된 나선형의 치형에 맞물리면서 제1하우징부(40)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부(32)는 제1기어몸체(34)와 제1접합부(36)를 포함한다. 제1기어부(32)의 종단면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기어몸체(34)의 상측에 제1접합부(36)가 설치된다.
제1기어몸체(34)는 제1이동몸체(38)에 연결되며, 제1접합부(36)는 제1기어몸체(34)에 연결된다. 제1접합부(36)는 제1조절부(50)에 접하는 상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제1기어몸체(34)에 맞물리므로 제1조절부(50)가 회전하면 제1기어부(32)는 수평이동을 한다.
제1조절몸체(52)와 마주하는 제1접합부(36)의 상측에는 제1조절몸체(52)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평판 형상의 제1이동몸체(38)가 제1기어부(32)에 접하므로, 제1접합부(36)와 제1이동몸체(38)의 사이로 제1하우징부(40)의 제1측면돌기(48)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부(40)는 제1이동부(3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1이동부(30)의 회전은 구속하고 직선이동은 허용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부(40)는 제1하우징몸체(42)와 제1지지부(46)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몸체(42)는 제1조절부(50)가 이동되는 제1연결공(44)이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된다. 제1하우징몸체(4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하우징몸체(42)의 측면 둘레를 따라 제1연결공(44)이 복수개 설치된다. 볼트 형상의 제1조절부(50)가 제1연결공(44)을 통해 삽입되며, 제1조절부(50)의 일단은 제1하우징몸체(42)의 중심을 향하여 설치된다. 제1조절부(50)는 제1하우징몸체(4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제1지지부(46)는 제1하우징몸체(42)의 하측에 고정되며, 제1이동부(30)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제1이동부(3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제1측면돌기(48)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46)의 횡단면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지지부(46)의 하측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제1측면돌기(48)가 구비된다. 제1지지부(46)에서 뾰쪽한 꼭지점 부분은 제1하우징몸체(42)의 중심을 향하여 배치되며, 제1지지부(46)의 원호 부분은 제1하우징몸체(42)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배치된다.
제1지지부(46)와 제1기어부(32)는 서로 교대로 설치되어 원판 형상을 형성하며, 제1지지부(46)의 상측은 제1하우징몸체(42)에 고정된다. 제1지지부(46)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제1지지부(46)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전극(20)과 제1이동부(30)와 제1조절부(50)도 복수개로 구비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제1조절부(50)가 회전되면, 제1조절부(50)에 맞물려 있는 제1이동부(30)가 제1하우징몸체(42)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되거나, 제1하우징몸체(42)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조절부(50)는 제1하우징부(4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이동부(30)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며 제1이동부(30)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조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부(50)는 제1조절몸체(52)와 제1조절머리(54)를 포함한다.
제1조절몸체(52)는 제1이동부(30)에 맞물려 돌아가는 치형이 외측에 구비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조절머리(54)는 제1조절몸체(52)에서 제1하우징부(4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작업공구(120)가 삽입되어 걸리는 다각형 형상의 제1삽입홀(56)을 구비한다.
제2전극(60)은 용접대상물(10)의 타측(이하 도 2 기준 하측)에 접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전극(60)의 상측은 용접대상물(10)의 하측에 접하며 제2전극(60)의 하측은 제2이동부(70)에 접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제2전극(60)은 제2이동부(70)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이동부(70)는 제2전극(60)이 고정되어 제2전극(60)과 함께 이동되며, 제2조절부(90)에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제2조절부(90)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이동부(70)는, 제2조절부(90)의 외측에 맞물리는 치형을 구비하는 제2기어부(72) 및 일측은 제2전극(60)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기어부(72)에 고정되며 제2하우징부(80)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이동몸체(78)를 포함한다.
제2기어부(72)는 제2조절부(90)의 외측에 형성된 나선형의 치형에 맞물리면서 제2하우징부(80)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기어부(72)는 제2기어몸체(74)와 제2접합부(76)를 포함한다. 제2기어부(72)의 종단면은 "ㅗ"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기어몸체(74)의 하측에 제2접합부(76)가 설치된다.
제2기어몸체(74)는 제2이동몸체(78)에 연결되며, 제2접합부(76)는 제2기어몸체(74)에 연결된다. 제2접합부(76)는 제2조절부(90)에 접하는 하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제2기어몸체(74)에 맞물리므로 제2조절부(90)가 회전하면 제2기어부(72)는 수평이동을 한다.
제2조절몸체(92)와 마주하는 제2접합부(76)의 하측에는 제2조절몸체(92)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평판 형상의 제2이동몸체(78)가 제2기어부(72)에 접하므로, 제2접합부(76)와 제2이동몸체(78)의 사이로 제2하우징부(80)의 제2측면돌기(88)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2하우징부(80)는 제2이동부(7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2이동부(70)의 회전은 구속하고 직선이동은 허용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하우징부(80)는 제2하우징몸체(82)와 제2지지부(86)를 포함한다.
제2하우징몸체(82)는 제2조절부(90)가 이동되는 제2연결공(84)이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된다. 제2하우징몸체(8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하우징몸체(82)의 측면 둘레를 따라 제2연결공(84)이 복수개 설치된다. 볼트 형상의 제2조절부(90)가 제2연결공(84)을 통해 삽입되며, 제2조절부(90)의 일단은 제2하우징몸체(82)의 중심을 향하여 설치된다. 제2조절부(90)는 제2하우징몸체(8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제2지지부(86)는 제2하우징몸체(82)의 상측에 고정되며, 제2이동부(70)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제2이동부(7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제2측면돌기(88)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86)의 횡단면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지지부(86)의 상측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제2측면돌기(88)가 구비된다. 제2지지부(86)에서 뾰쪽한 꼭지점 부분은 제2하우징몸체(82)의 중심을 향하여 배치되며, 제2지지부(86)의 원호 부분은 제2하우징몸체(82)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배치된다.
제2지지부(86)와 제2기어부(72)는 서로 교대로 설치되어 원판 형상을 형성하며, 제2지지부(86)의 하측은 제2하우징몸체(82)에 고정된다. 제2지지부(86)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제2지지부(86)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전극(60)과 제2이동부(70)와 제2조절부(90)도 복수개로 구비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제2조절부(90)가 회전되면, 제2조절부(90)에 맞물려 있는 제2이동부(70)가 제2하우징몸체(82)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되거나, 제2하우징몸체(82)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조절부(90)는 제2하우징부(8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2이동부(70)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며 제2이동부(70)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조절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부(90)는 제2조절몸체(92)와 제2조절머리(94)를 포함한다.
제2조절몸체(92)는 제2이동부(70)에 맞물려 돌아가는 치형이 외측에 구비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조절머리(94)는 제2조절몸체(92)에서 제2하우징부(8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작업공구(120)가 삽입되어 걸리는 다각형 형상의 제2삽입홀(96)을 구비한다.
코어받침부(100)는 제2지지부(86)의 중심에 위치하며, 제2하우징몸체(82)에 고정되어 용접대상물(10)을 지지한다. 코어받침부(100)의 상측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코어받침부(100)의 하측은 제2하우징몸체(82)로 연장되어 제2하우징몸체(82)에 고정된다. 코어받침부(10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용접대상물(10)의 가운데로 삽입되어 용접대상물(10)의 위치를 지지한다.
제1기어몸체(34)와 제1접합부(36)와 제1전극(20) 등 별도로 생산되어 서로 연결되는 부품들은 체결볼트(110)로 연결되므로 서로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연료탱크인 모재(12)에 용접대상물(10)이 고정될 경우, 용접대상물(10)의 형상에 따라 제1전극(20)과 제2전극(60)을 이동시킨다.
작업공구(120)를 제1조절부(50)의 제1삽입홀(56)에 삽입한 후 제1조절부(50)를 회전시키면, 제1조절부(50)에 맞물려 있는 제1이동부(30)가 제1하우징부(40)를 따라 이동된다. 제1이동부(30)에 고정된 제1전극(20)도 제1이동부(30)와 함께 이동되므로 제1전극(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전극(20)마다 제1조절부(50)가 구비되므로, 위치 이동이 필요한 제1전극(20)에 대응하는 제1조절부(50)를 회전시켜 제1전극(20)의 위치를 조절한다.
제2전극(60)의 위치조절도 제1전극(20)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작업공구(120)를 제2조절부(90)의 제2삽입홀(96)에 삽입한 후 제2조절부(90)를 회전시키면, 제2조절부(90)에 맞물려 있는 제2이동부(70)가 제2하우징부(80)를 따라 이동된다. 제2이동부(70)에 고정된 제2전극(60)도 제2이동부(70)와 함께 이동되므로 제2전극(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전극(60)마다 제2조절부(90)가 구비되므로, 위치 이동이 필요한 제2전극(60)에 대응하는 제2조절부(90)를 회전시켜 제2전극(60)의 위치를 조절한다.
제1전극(20)과 제2전극(60)의 위치가 조절된 후, 제2전극(60)의 상측에 모재(12)와 용접대상물(10)이 차례로 적층된 상태에서 제1전극(20)을 하강시킨다. 제1전극(20)과 제2전극(60)으로 공급된 전기에 의해 모재(12)와 용접대상물(10)의 용접이 이루어지며, 용접대상물(10)에는 펌프유닛이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조절부(50)와 제2조절부(90)의 회전으로 복수개의 제1전극(20)과 제2전극(60)이 용접대상물(10)의 형상에 맞게 이동되어 전극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용접대상물이 설치되는 모재로 연료탱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연료탱크가 아닌 다른 형상의 부재와 용접대상물의 용접에도 본 발명에 의한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10: 용접대상물 12: 모재
20: 제1전극 30: 제1이동부 32: 제1기어부 34: 제1기어몸체 36: 제1접합부 38: 제1이동몸체
40: 제1하우징부 42: 제1하우징몸체 44: 제1연결공 46: 제1지지부 48: 제1측면돌기
50: 제1조절부 52: 제1조절몸체 54: 제1조절머리 56: 제1삽입홀
60: 제2전극 70: 제2이동부 72: 제2기어부 74: 제2기어몸체 76: 제2접합부 78: 제2이동몸체
80: 제2하우징부 82: 제2하우징몸체 84: 제2연결공 86: 제2지지부 88: 제2측면돌기
90: 제2조절부 92: 제2조절몸체 94: 제2조절머리 96: 제2삽입홀
100: 코어받침부 110: 체결볼트 120: 작업공구

Claims (10)

  1. 용접대상물의 일측에 접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이 고정되는 제1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부의 회전은 구속하고 직선이동은 허용하는 제1하우징부;
    상기 제1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이동부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며, 상기 제1이동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조절부;
    상기 용접대상물의 타측에 접하는 제2전극;
    상기 제2전극이 고정되는 제2이동부;
    상기 제2이동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이동부의 회전은 구속하고 직선이동은 허용하는 제2하우징부; 및
    상기 제2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이동부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되며, 상기 제2이동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부는, 상기 제1조절부가 이동되는 제1연결공이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제1하우징몸체; 및
    상기 제1하우징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이동부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제1측면돌기를 구비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제1조절부의 외측에 맞물리는 치형을 구비하는 제1기어부; 및
    일측은 상기 제1기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1전극에 고정되며, 상기 제1하우징부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이동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제1이동몸체에 연결되는 제1기어몸체; 및
    상기 제1기어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1조절부에 접하는 상측에 오목한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기어몸체에 맞물리는 제1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지지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1이동부와 상기 제1조절부도 복수개로 구비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제1이동부에 맞물려 돌아가는 치형이 외측에 구비되는 제1조절몸체; 및
    상기 제1조절몸체에서 상기 제1하우징부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작업공구가 삽입되어 걸리는 제1삽입홀을 구비하는 제1조절머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제2조절부의 외측에 맞물리는 치형을 구비하는 제2기어부; 및
    일측은 상기 제2전극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기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하우징부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이동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부는, 상기 제2조절부가 이동되는 제2연결공이 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제2하우징몸체; 및
    상기 제2하우징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2이동부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이동부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제2측면돌기를 구비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2지지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2이동부와 상기 제2조절부도 복수개로 구비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KR1020140066420A 2014-05-30 2014-05-30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KR101587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420A KR101587806B1 (ko) 2014-05-30 2014-05-30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420A KR101587806B1 (ko) 2014-05-30 2014-05-30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24A KR20150139024A (ko) 2015-12-11
KR101587806B1 true KR101587806B1 (ko) 2016-01-25

Family

ID=5502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420A KR101587806B1 (ko) 2014-05-30 2014-05-30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8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3098A (ja) 2008-07-23 2010-02-04 Honda Motor Co Ltd 電極ユニット及び抵抗溶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9323B2 (ja) * 1991-07-02 1999-12-13 株式会社クラタ スポット溶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3098A (ja) 2008-07-23 2010-02-04 Honda Motor Co Ltd 電極ユニット及び抵抗溶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24A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3085B2 (ja) 位置決め部材、位置決め装置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CN102785009B (zh) 一种焊缝机械自动跟踪装置
JP4875718B2 (ja) 可撓導体および可撓導体の製造方法
EP3019425B1 (en) Indexing drive roll carrier system and method
JP7036337B2 (ja) 同じ側に配置された電極を有する電気抵抗溶接ヘッド
JP5260952B2 (ja) アーマチュアの巻線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9346133B2 (en) Apparatus for welding continuous strips wound on a support ring
KR101587806B1 (ko) 전극 가변형 용접장치
CN104114313B (zh) 用于气体保护金属极弧焊中的接触尖端
KR20160105902A (ko) 용접 장치 및 용접 시스템
JP2016103880A (ja) 溶接装置の電極接続機構
US20120273469A1 (en) Planetary Resistance Weld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JP6686313B2 (ja) 溶接装置
KR101865501B1 (ko) 표면마찰가열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JP5083643B2 (ja) 軸状部品をパイプ部材に溶接する溶接装置
EP3694676A1 (en) Welding electrode with radial-serrated weld face and method of forming and reforming weld face
JP5717274B2 (ja) 抵抗溶接装置
JP2009270655A (ja) 転動体保持器の製造方法
JP5925715B2 (ja) 溝付パイプの製造方法及びその加工装置
US20150352657A1 (en) Method for Resisting Welding of a First Component to a Second Component
KR101923667B1 (ko) 이중복합 전극팁을 가지는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JP5141578B2 (ja) 編組線加工装置及び端部が拡げられた編組線の製造方法
US6903299B2 (en) Resistance welding tip assembly
JP5983491B2 (ja) スパイラルフィン型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967681B1 (ja) 環状部材、嵌合部材、接合済部材、接合済部材の製造方法及び接合済部材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