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655B1 - 차량용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655B1
KR101587655B1 KR1020090096898A KR20090096898A KR101587655B1 KR 101587655 B1 KR101587655 B1 KR 101587655B1 KR 1020090096898 A KR1020090096898 A KR 1020090096898A KR 20090096898 A KR20090096898 A KR 20090096898A KR 101587655 B1 KR101587655 B1 KR 101587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emperature
compressor
air conditioner
temperatur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867A (ko
Inventor
박두수
배상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6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8Vehicle drive related control of the compressor drive means, e.g. for fuel sav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 B60H2001/3275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to control the volume of a compress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온도조절도어에 의한 온도조절을 배제하고, 압축기의 냉매 토출용량 제어를 통하여 토출 공기 온도를 제어하는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된 냉기통로와 온기통로 사이에 설치되는 온도조절도어(14)의 위치와, 증발기(12)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24)로 토출하는 압축기(20)의 냉매 토출용량에 따라 공기 온도가 조절되는 공조장치에서,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위치와 상기 압축기(20)의 냉매 토출용량을 제어하는 마이컴(30)은 상기 공조장치가 냉방 기능으로 동작할 때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위치를 최대 냉방 위치로 고정한 채 상기 압축기(20)의 냉매 토출용량만을 제어하여 차량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조장치의 압축기에서의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연비의 향상 및 에너지 효율성 증대를 달성할 수 있으며, 압축기 구동에 의해 엔진 동력이 과도하게 소모됨으로써 차륜으로 전달되는 동력이 감소함으로써 발생되는 주행 불안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압축기, 공조장치, 전자제어밸브(Electronic Control Valve)

Description

차량용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MANUAL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의 혼합을 최대한 배제하고 압축기의 냉매 토출용량 제어를 통하여 공조장치의 토출 공기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동력소모를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장치용 가변용량 압축기는 냉매 토출량의 조절을 위하여 압력조절밸브를 사용하고 있는데, 기계적 구조의 압력조절밸브 대신에 전기적 힘을 이용하는 ECV(Electronic Control Valve)를 채용하기도 한다. ECV가 채용된 사판식 가변용량 압축기의 경우 ECV의 듀티(Duty)에 의해 사판의 기울기가 변화하게 되며, 사판의 기울기에 따라 압축기의 냉매 토출량이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ECV의 듀티에 따라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량이 달라지게 되며, 이는 ECV의 듀티값이 증발기 온도를 결정하는 주요인자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ECV 듀티값은 전체 시간 중에 ECV가 온(On) 되어 있는 시간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따라서 듀티가 높은 경우 시간당 압축기의 냉매 토출량이 증가하며, 낮은 경우에는 감소하게 된다.
가변용량 압축기가 채용된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로 송풍하는 블로워(11)와,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의 공기 유로 상에 설치되고, 냉매가 지나가면서 상기 블로워(11)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이 수행되는 증발기(12)와,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고, 고온의 엔진(E) 냉각수가 지나가면서 상기 블로워(11)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냉각수 사이의 열교환이 수행되는 히터코어(Heater Core, 13)와, 상기 증발기(12)를 통과한 공기가 지나가는 냉기통로와 상기 히터코어(13)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온기통로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4), 그리고 온도조절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벤트(15a, 15b, 15c)와, 상기 복수의 벤트(15a, 15b, 15c)를 개폐하는 복수의 벤트도어(16a, 16b, 16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1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각에 따라 냉기통로와 온기통로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슬라이드(Slide)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12)로부터 냉매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압축기(20)는 상기 엔진(E)에 전자클러치(21)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엔진(E)의 동력을 단속적으로 전달받으며, 상기 압축기(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사판(22)의 경사각을 제어하여 냉매 토출용량을 조절하는 ECV(23)가 상기 압축기(20)와 함께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공조장치에는 상기 압축기(2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응축하여 토출시키는 응축기(24)와, 상기 응축기(24)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교축하여 상기 증발기(12)로 보내는 팽창밸브(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유닛(30)이 상기 ECV(23)의 듀티값을 조절하여 상기 사판(22)의 경사각을 제어함으로써, 냉매의 토출용량이 조절된다.
한편, 이와 같은 공조장치는 자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자동식은 공조장치 제어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설정만 운전자가 입력하면 상기 제어유닛(30)이 상기 ECV(23)의 듀티값을 비롯하여 상기 블로워(11)의 송풍량, 상기 온도조절도어(12)의 위치 등을 적절히 연산하여 조절하는 방식인 반면, 수동식 제어는 운전자가 상기 블로워(11)의 송풍량, 상기 온도조절도어(12)의 위치 등을 직접 조절하는 방식이다.
도 2는 수동식 공조장치 제어 패널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식 공조장치의 제어를 위해서 공조장치 제어 패널에는 우선 상기 블로워(11)를 구동하여 공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풍량조절부(41a, 41b)가 구비된다. 상기 풍량조절부(41a, 41b)를 통한 운전자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블로워(11)의 회전 단수가 제어됨으로써, 상기 공조장치 내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 제어 패널에는 냉방기능선택부(43)가 구비된다. 상기 냉방기능선택부(43)는 상기 공조장치가 냉방기능으로 사용될 것인지 여부를 운전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냉방기능선택부(43)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 상기 압축기(20)의 구동 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냉방기능선택부(43)를 통한 입력에 의하 여 상기 압축기(20)가 구동되면 상기 제어유닛(30)은 설정된 바에 따라 상기 ECV(23)의 듀티값을 출력하여 냉매가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조장치 제어 패널에는 공조모드선택부(45a, 45b)가 구비되며, 상기 공조모드선택부(45a, 45b)를 통해 공조모드가 선택되면 복수의 벤트도어들(16a, 16b, 16c)은 선택된 공조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 제어 패널에는 온도조절부(47a, 47b)가 함께 구비됨으로써 운전자로부터 원하는 온도를 설정받는데, 기존의 수동식 공조장치에서는 상기 온도조절부(47a, 47b)가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기능하였다. 즉, 상기 온도조절부(47a, 47b)의 설정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위치가 조절되어 차량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조절되는 방식으로 공조장치가 제어되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조장치가 총 16단계의 온도 조절 단계로 설정 가능하고, 단계가 낮을수록 낮은 온도로 설정되며, 제1단계 내지 제8단계가 냉방 기능 시의 온도 설정 단계에 해당하는 경우, 제1단계 내지 제8단계에서의 상기 압축기(20)의 ECV(23)의 듀티값은 큰 차이 없이 조절되면서 선택된 온도 설정 단계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온도가 제어된다. 즉, 공조장치가 냉방 모드로 동작할 때, 온도 설정 단계가 제1단계에서 제8단계를 향해 높아질수록 상기 온도조절도어(14)가 상기 히터코어(13)의 전면을 폐쇄한 위치로부터 상기 히터코어(13)를 통과하는 공기량이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상기 히터코어(13)를 개방하는 위치로 변위됨으로써, 상기 히터코어(13)를 통과한 따뜻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12)를 통과한 차가운 공기와 혼합되어 점차 높은 온도의 공기가 토출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공조장치의 설정 온도를 제5단계로 선택한 경우, 상기 ECV(23)의 듀티값은 제1단계가 선택된 경우와 큰 차이 없이 높게 조절되는 대신에 상기 온도조절도어(14) 위치가 선택된 단계에 대응하여 상기 히터코어(13)를 개방하도록 조절됨으로써 공기 온도가 제1단계보다 높게 조절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선택된 온도 설정 단계와 관계없이 ECV(23)의 듀티값이 큰 차이 없이 조절됨으로써, 운전자가 제5단계를 선택한 경우와 같이 큰 냉방 부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제1단계를 선택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부하량을 상기 압축기(20)에서 소비함에 따라 차량의 동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그에 따라 차량의 연료가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차량 연비가 나빠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장치의 압축기에서의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조장치의 압축기 구동에 의해 엔진 동력이 과도하게 소모됨으로써 발생되는 주행 불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워(11)와;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증발기(12)와; 상기 증발기(12) 하류에 형성되는 냉기통로 및 온기통로와; 상기 온기통로 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13)와; 상기 증발기(12)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24)로 토출하는 압축기(20)와; 상기 냉기통로 및 온기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위치에 따라 상기 냉기통로와 온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온도조절도어(14)와; 운전자로부터 차량 내부의 온도설정단계를 선택받는 온도조절부(47);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부(47)를 통해 선택받은 온도설정단계에 대응하여 차량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마이컴(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30)은 상 기 공조장치가 냉방 기능으로 동작 시,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위치를 최대 냉방 위치로 고정하고, 상기 온도조절부(47)를 통해 선택받은 온도설정단계에 대응하여 상기 압축기(20)의 냉매 토출용량을 제어하는 마이컴(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조장치는, 상기 압축기(20)의 냉매 토출용량을 조절하는 전자조절밸브(Electronic Control Valve, 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이컴(30)은 상기 온도조절부(47)를 통해 선택받은 온도설정단계에 대해 미리 설정된 듀티값을 상기 전자조절밸브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공조장치의 압축기에서의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연비의 향상 및 에너지 효율성 증대를 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서는 공조장치의 압축기 구동에 의해 엔진 동력이 과도하게 소모됨으로써 발생되는 주행 불안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의 ECV 듀티 조절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의 구성을 개 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의 제어 방법과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수동식 공조장치의 ECV 제어 방법에서, 설정 온도에 대한 ECV 듀티와 온도조절 도어 위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우선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의 ECV 듀티 조절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닌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배경기술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며, 동일하거나 기능이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에는 마이컴(30)이 구비된다. 상기 마이컴(30)은 제어 수단으로서, 특정한 역할을 하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되고, 그에 필요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다.
상기 마이컴(30)은 특히 ECV(230)의 듀티값을 출력하여 상기 ECV(23)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ECV(23)는 상기 마이컴(30)의 출력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압축기(20) 내부에 구비되는 사판의 각도를 조절하여 궁극적으로 압축기(20)의 냉매 토출용량을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에는 운전자로부터 차량 내부 온도를 선택받기 위한 온도조절부(47)가 구비된다. 상기 온도조절부(47)는 공조장치가 냉방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와 난방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복수의 온도 설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방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최고 냉방 단계인 제1단계부터 최저 냉방 단계인 제8단계까지 상기 온도조절 부(47)에서 설정 가능하고, 난방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 최저 난방 단계인 제9단계부터 최고 난방 단계인 제16단계까지 상기 온도조절부(47)에서 설정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부(47)는 이와 같은 복수의 단계를 구분하여 선택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부(47)에서 선택된 온도 설정 단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마이컴(30)으로 전달된다. 상기 마이컴(30)은 상기 온도조절부(47)로부터 수신된 온도 설정 단계 정보에 따라 상기 ECV(23)로 출력할 듀티값을 연산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에는 온도조절도어 개폐장치(17)가 구비되는데, 상기 온도조절도어 개폐장치(17)는 이에 연결되는 온도조절도어(14)의 회동각이나 슬라이딩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개폐 위치를 제어하는 기계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전동모터가 될 수 있다. 상기 마이컴(30)은 상기 온도조절부(47)에서 선택된 온도 설정 단계에 따라 상기 온도조절도어 개폐장치(17)를 구동시켜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도어(14)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온도조절도어(14)와 마찬가지로 냉기통로와 온기통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에서 상기 마이컴(30)은 공조장치가 냉방 기능으로 동작할 때에는, 상기 온도조절부(47)에서 선택되는 온도 설정 단계와 무관하게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위치를 최대 냉방 위치로 고정한다.
상기 온도조절도어(14)는 공조장치의 냉,난방 기능 수행 여부 및 설정 온도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위치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될 수 있는데, 상기 최대 냉방 위치는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위치 중 히터코어에 가장 가까운 위치, 즉 미리 설정된 복수의 도어 위치 중 히터코어로 송풍되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즉, 상기 마이컴(30)은 공조장치가 냉방 기능으로 동작할 때, 냉방 기능 수행시 설정 가능한 복수의 온도 설정 단계 중 어떤 것이 선택되더라도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위치가 상기 최대 냉방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공조장치가 냉방 기능으로 동작할 때의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위치를 최대 냉방 위치 하나로만 미리 설정해도 된다.
그러나 공조장치가 난방 기능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30)은 상기 온도조절도어(14)가 종래의 제어방법에 따라 복수의 위치 중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이컴(30)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냉방 기능 수행 중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위치가 최대 냉방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차량 내부 온도가 과냉각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ECV(23)로 출력되는 듀티값을 조절한다. 즉, 기존에 운전자가 선택한 온도 설정 단계와 무관하게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던 ECV 듀티값을 운전자가 선택한 온도 설정 단계에 맞추어 조절한다.
예를 들어, 가장 낮은 온도의 공기를 토출하는 제1단계에서 출력되는 ECV 듀티값이 75%로 설정된 경우, 상기 마이컴(30)은 그보다 높은 온도를 토출하는 제5단계에서는 50%로 ECV 듀티를 감소시킴으로써 압축기(20) 내부의 사판의 경사각을 줄이고, 그에 따라 냉매 토출용량을 감소시켜, 상기 증발기(12)를 통과한 공기의 온 도 자체를 제1단계에서의 공기 온도보다 높게 함으로써, 히터코어(13)를 통과한 따뜻한 공기의 혼합이 필요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컴(30)에는 각각의 온도 설정 단계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ECV 듀티값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부(47)에서 선택된 온도 설정 단계에 따라 저장된 ECV 듀티값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도 4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두 차량의 수동제어식 공조장치를 냉방 기능으로 동작시킬 때 설정 가능한 온도 설정 단계가 총 7단계로 미리 정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고, 또한 이에 대응하여 냉방 기능 수행시 공조장치의 온도조절도어의 이동 가능한 위치 또한 7개의 위치로 미리 정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또한 온도 설정 단계는 숫자가 낮을수록 낮은 온도의 공기가 토출되는 것으로 정하였고, 온도조절도어의 위치는 숫자가 낮을수록 냉기통로의 개방 정도가 크고 숫자가 높아질수록 온기통로의 개방 정도가 상대적으로 점차 커지도록 정하였다.
도 4의 상단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의 제어방법과 비교할 수 있도록 종래기술에 의한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설정된 온도에 대한 ECV 듀티값과 온도조절도어 위치를 수치화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ECV 듀티값은 온도설정단계가 제1단계로 설정된 경우의 ECV 듀티값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즉, 선택된 온도설정단계와 무관하게 일관적으로 최대 냉방 성능이 요구되는 제1단계의 ECV 듀티값이 출력되고 있다.
그 대신에 높은 온도설정단계가 선택된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여 온도조절도어의 위치도 히터코어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가 혼합될 수 있는 위치로 변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ECV 듀티가 최대값으로 유지됨에 따라 압축기 또한 최대 출력으로 유지되어 불필요한 동력이 소모됨은 물론, 차량의 주행 중 엔진의 구동력이 압축기로 분배되어 차륜으로 전달되는 동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이 방해될 수 있다.
반면에 도 4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조장치가 냉방 기능으로 동작할 때, 즉 압축기(20)가 구동될 때에는 상기 마이컴(30)이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위치를 최대한 따뜻한 공기가 혼합되지 않는 위치로 고정하는 반면에, 높은 온도설정단계가 선택될수록 상기 마이컴(30)에서 낮은 ECV 듀티값을 출력함으로써 증발기(12)에 흐르는 냉매량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증발기(12)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높여 온도조절도어(14) 위치 고정에 의한 공기 온도 하강을 보상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동력의 소모를 최소화시키고, 최대한의 동력을 차륜으로 전달함으로써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공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수동식 공조장치의 제어 패널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의 제어 방법과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의 ECV 제어 방법에서, 설정 온도에 대한 ECV 듀티와 온도조절 도어 위치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공조케이스 11: 블로워
12: 증발기 13: 히터코어
14: 온도조절도어 15a, 15b, 15c: 벤트
16a, 16b, 16c: 벤트 도어 20: 압축기
21: 클러치 22: 사판
23: ECV 24: 응축기
25: 팽창밸브 30: 제어유닛
E: 엔진 40: 공조장치 제어패널
41a, 41b: 풍량조절부 43: 냉방기능선택부
45a, 45b: 공조모드선택부 47a, 47b: 온도조절부
17: 온도조절도어 개폐장치

Claims (2)

  1.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워(11)와;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와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증발기(12)와;
    상기 증발기(12) 하류에 형성되는 냉기통로 및 온기통로와;
    상기 온기통로 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13)와;
    상기 증발기(12)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24)로 토출하는 압축기(20)와;
    상기 냉기통로 및 온기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위치에 따라 상기 냉기통로와 온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온도조절도어(14)와;
    운전자로부터 차량 내부의 온도설정단계를 선택받는 온도조절부(47);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부(47)를 통해 선택받은 온도설정단계에 대응하여 차량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마이컴(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동제어식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장치는 상기 압축기(20)의 냉매 토출용량을 조절하는 전자조절밸브(Electronic Control Valve, 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이컴(30)은,
    상기 공조장치가 냉방 기능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압축기(20)의 구동 시, 상기 온도조절도어(14)의 위치를 최대 냉방 위치로 고정하고, 상기 온도조절부(47)를 통해 선택받은 온도설정단계가 높게 선택될수록 낮은 듀티값을 갖도록 미리 설정된 듀티값을 상기 전자조절밸브로 출력하여 상기 압축기(20)의 냉매 토출용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2. 삭제
KR1020090096898A 2009-10-12 2009-10-12 차량용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7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898A KR101587655B1 (ko) 2009-10-12 2009-10-12 차량용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898A KR101587655B1 (ko) 2009-10-12 2009-10-12 차량용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867A KR20110039867A (ko) 2011-04-20
KR101587655B1 true KR101587655B1 (ko) 2016-01-21

Family

ID=4404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898A KR101587655B1 (ko) 2009-10-12 2009-10-12 차량용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6945B (zh) * 2011-12-07 2014-01-29 天津理工大学 四阶混沌电力系统的无源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9129A (ja) * 2007-12-18 2009-07-09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995B1 (ko) * 2004-10-21 2012-06-01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9129A (ja) * 2007-12-18 2009-07-09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867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7936B2 (en)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energy consumption of a vehicle
US11458810B2 (en) Air-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US20030080714A1 (en) Battery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y installed in vehicle
JPH05229333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冷暖房装置
JP6723137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20040089004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WO2019235412A1 (ja) 空調装置
CN111032386A (zh) 车用空调装置
EP1308327B1 (en) Energy efficient control method for a manually regulated vehicle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509894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87655B1 (ko) 차량용 수동제어식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062708B (zh) 车用空调装置
CN109661317B (zh) 车用空调装置
JP610806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87658B1 (ko) 차량의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52667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301209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冷暖房装置
CN111051095A (zh) 车辆用空气调节装置
JP4968038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5189422A (ja) 車両用冷房装置
KR20100023183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201106815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405493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587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310323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5